KR20160107423A - Insert Type Handle - Google Patents
Insert Type Hand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07423A KR20160107423A KR1020150030115A KR20150030115A KR20160107423A KR 20160107423 A KR20160107423 A KR 20160107423A KR 1020150030115 A KR1020150030115 A KR 1020150030115A KR 20150030115 A KR20150030115 A KR 20150030115A KR 20160107423 A KR20160107423 A KR 201601074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plate
- push plate
- knob
- do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30 finish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47B2095/026—Handles built-in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형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의 기능 구현을 서랍 은 문짝의 전면으로 탈착되게 매립 고정되는 손잡이 본체의 수용공간에서 이루어지게 하여 크기의 슬림화를 달성하여 조립 설치를 용이하게 하였고, 또 슬림구조로 문짝의 목대(wood base)가공이 용이하여 별도의 마감이 필요 없게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type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ush-type handle, in which a drawer is made to be accommodated in a receiving space of a handle body to be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front face of a door, The structure of the door makes it easy to process the wood base so that no separate finishing is requir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종 책상 및 책장은 물론 서랍장과 수납장 혹은 싱크대와 김치냉장고와 같은 각종 가구류 제품의 서랍 또는 문짝에 매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매립형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의 기능 구현이 내부에서 이루어지게 한 슬림화 달성과 아울러 조립 설치를 용이하게 하였고, 또한 슬림 구조로 문짝의 목대(wood base)가공이 용이하여 별도의 마감이 필요 없게 한 매립형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type handle capable of being used in a drawer or door of various kinds of furniture products such as a drawer and a cabinet, a sink, a kimchi refrigerator as well as various desks and bookshelves,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flush-type handle which does not require a separate finishing process because it is easy to process a wood base of a door by a slim structure.
일반적으로 가정 및 사무실 등에서는 책상ㆍ책장ㆍ서랍장ㆍ수납장 및 싱크대ㆍ김치냉장고와 같은 각종 가구류 제품(이하 "가구"라 통칭한다.)에는 서랍 또는 문짝의 전면(前面)에는 이들을 용이하게 열거나 혹은 닫을 수 있게 하는 손잡이가 장착되어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Generally, in a home or office, various kinds of furniture products such as a desk, a bookcase, a drawer, a storage and a sink and a kimchi refrigerator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furniture") can be easily opened on a front surface of a drawer or a door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re is a handle that allows it to be closed.
그러나 각 가구의 서랍 혹은 문짝에 장착되는 종래 손잡이들은 서랍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있어 외관상 미려감과 아울러 제품의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게 하고 있음은 물론 충돌 등의 안전사고의 요인이 되게하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handles mounted on the drawers or doors of each furniture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thereby causing a deterioration in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a deterioration of the merchantability of the product, and a risk of a safety accident such as a collision .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손잡이들이 하기 특허문헌에 표시된 '매립형 손잡이'들이다.The handles developed to solve these problems are the 'buried handles' shown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하기 특허문헌1(특허공개번호 10-2010-0049791호)의 경우는, 전면이 개방형으로 된 손잡이 본체(body)를 서랍의 전면에서 서랍의 내측으로 매설하고, 손잡이 본체의 전면에는 손잡이 도어를 설치하여, 손잡이 도어의 전면을 터치할 때마다 손잡이 도어가 손잡이본체의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개방되거나 내부로 유입되면서 폐쇄되는 개폐가 반복으로 이루어지게 하였고, 개방된 손잡이도어를 당겨 가구의 서랍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49791), a handle body with an open front face is embedded in the drawer from the front of the drawer, and a handle door is installed on the front face of the handle body Each time the front of the door is touched, the door is opened to the front of the body of the knob or opened and closed repeatedly while the door is opened. The opened door of the furniture can be opened to open the drawer .
또한 특허문헌2(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10-0000408호)의 경우에도, 손잡이의 전,후방 몸체를 중앙 양측에서 체결피스로 상호 체결하고, 전방 몸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회전판의 상단 내측으로 좌우 브라켓을 설치하여 후방 몸체에 결합되는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케 결합하되, 후방 몸체에는 회전판이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좌우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전방 몸체의 좌우 브라켓들과 좌우 브라켓 하부 위치의 후방 몸체에는 좌우 인장스프링들로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lso,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00408), the front and rear bodies of the handle are mutually fastened at both sides of the center with clamping pieces, The left and right brackets of the front body and the rear body of the left and right bracke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racket, and the rear body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body by a bracket. The rear body includes left and right stoppers for restricting forward rotation of the rotary plate. Are connected to the right and left tension springs.
그러나 하기 특허문헌 표시의 선행기술들은 손잡이 도어 혹은 회전판을 개폐하는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 인장스프링과 같은 작동부품들이 설치되는 공간이 필요로되어 부피가 커지는 요인이 되고 있어, 제작비용은 물론 문짝이나 서랍에 설치함에도 홈(溝)이 아닌 관통구멍을 내어 설치하는 것이므로 작업자들의 노동은 물론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of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discloses that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operating parts such as the tension spring is required to implement the function of opening / closing the handle door or the rotary plate, which causes the volume to increase, It is disadvantageous in that labor is required not only for the worker but also for the installation cost.
또한 하기 선행기술들은 인장 스프링에 의한 손잡이 도어 혹은 회전판의 개폐 작동에 따른 복원과정에서 스토퍼 등과의 충돌로 소음발생이 우려가 있고, 또한 손잡이 도어 혹은 회전판의 개폐 작동에 있어서 인장 스프링 자체의 직접적인 인장이나 혹은 수축 작동은 장기 사용시 스프링 자체의 복원력을 약하게 함은 물론 소음발생의 요인이 되게하고 있다.In the following prior arts, there is a fear of generation of noise due to collision with the stopper or the like in the restoring process due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handle door or the rotary plate by the tension spring. In addition, in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handle door or the rotary plate, Or the shrinking operation not only weakens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itself but also causes noise during long-term use.
따라서 손잡이를 서랍이나 문짝에 조립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간결한 슬림화 구조를 이루게 하고, 또 손잡이 개폐 작동시 소음발생이 없는 부드러운 복원력을 갖게 한 매립형 손잡이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t i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a flush-type handle that has a simple slim structure to facilitate assembly of the handle to a drawer or a door, and has a smooth restoring force without generating noises during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handl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예컨데 손잡이의 기능 구현이 내부에서 이루어지게 하여 크기의 슬림화 달성과 아울러 조립 설치를 용이하게 하였고, 또한 슬림구조로 문짝의 목대(wood base)가공이 용이하여 별도의 마감이 필요 없게 하고, 또 손잡이 작동시 소음발생이 없는 부드러운 복원력을 갖게 한 매립형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advantage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chieve a slim size by facilitating the function implementation of the handl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ush type knob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wood base can be easily processed to eliminate the need for a separate finishing and a smooth restoring force without generating noises during operation of the knob.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매립형 손잡이에 의하여 달성된다.This object is achieved by a flush-type handle provid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매립형 손잡이는, 서랍 혹은 문짝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손잡이 매립홈을 구비하고, 손잡이 매립홈 내에 매립 고정되어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손잡이홀더와 이 손잡이홀더 위에 일체로 결합되어 최소면적을 제공하면서 틈새 마감 작용을 하는 사각틀 형상의 손잡이 커버로 이루어진 전면만이 개구된 손잡이 본체; 상기 손잡이 본체의 내부 양측에서 수용공간을 횡절(橫切)하는 상태로 위치되어 양단이 손잡이 본체의 내측벽에 각각 고정된 복수개의 고정축; 상기 손잡이 본체의 개구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누름판과 손잡이판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손잡이 본체의 개구를 서랍 혹은 문짝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게 막으면서 일측부들은 상기 고정축들의 각각에 회동되게 결합되고, 또한 전 둘레는 상기 손잡이 커버에 의하여 미려하게 마감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 본체의 내부 양측에 수용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누름판과 손잡이판을 연결되게 설치됨에 의해, 상기 누름판이 고정축을 지점으로하여 회동되게 누를시 상기 손잡이판이 고정축을 지점으로 회동되면서 손잡이로 제공되게 하고, 상기 누름판으로부터 누름력의 해제 시에는 누름판으로부터 작용되는 복원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누름판과 손잡이판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게 연동 작동되도록 하는 연동수단; 및 상기 손잡이 본체 내부에서 상기 누름판의 어느 일측과 이에 대면하는 손잡이 홀더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복원 스프링에의한 누름판의 복원시 누름판이 회동을 부드럽게 하는, 상기 손잡이 홀더의 일측 벽부에 회전되게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상기 누름판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齒合)작동되게 한 랙기어로 이루어진 소음방지수단을 포함 한다.The embeddable handle provide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holder having a handlebars embedding groov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drawer or a door and being fixedly embedded in the embedding groove of the handle to provide a receiving space, A knob body having an open front only, the knob body having a rectangular-shaped knob cover that provides a minimum area and has a gap-closing function; A plurality of fixing shafts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knob body in a state where the accommodating space is crossed and fixed at both ends to the inner wall of the knob body; A plurality of pressing plates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knob body and a knob plate so that the opening of the knob body is flush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or the door so that one side portion is pivotally coupled to each of the fixing shafts, A grip portion which is gently closed by the handle cover; Wherein the grip plat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rip bod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grip plate and the push plate of the grip unit so that when the push plate is pivotally moved about the fixed axis, An interlocking means for interlocking the push plate and the handle plate so that the push plate and the pull plate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a restoring force of a restoring spring applied from the push plate when the pushing force is released from the push plate; And a pinion provided between one side of the push plate and the handle holder facing the push plate in the handle body to rotate on one side wall of the pull holder when the push plate is restored by restoring the push plate by the return spring. And a noise preventing means composed of a gear and a rack gear coupled to one side of the press plate to engage with the pinion gea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누름판과 손잡이판에 각각 구비된 돌출편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된 연동축과, 그리고 손잡이 홀더의 내저부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게 수용된 상태에서 연동축의 양단부에 결합된 연결링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nterlocking means includes an interlocking shaft which is coupled to the outside through a fixing hol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a projecting piece provided respectively at the press plate and the handle plate, and a guide groove formed at the inner bottom portion of the handle holder And a connection link coupled to both ends of the interlocking shaft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to be moved.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원 스프링은 상기 누름판이 하부와 대응하는 손잡이 홀더의 내저부에 각각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restoration spring is fixed to the inner bottom portion of the handle holder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 plate.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의 기능 구현이 손잡이 본체의 수용공간에서만 이루어지게 하여 크기의 슬림화 구현과 아울러 조립 설치를 용이하게 한 효과를 부여하고, 또한 슬림 구조로 문짝의 목대(wood base)가공이 용이하여 별도의 마감이 필요 없게 한 효과를 제공하며, 또 손잡이 작동시 소음발생이 없는 부드러운 복원력을 제공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of the handle is realized only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handle body, thereby realizing the slimness of the size and facilitating the assembly and installation, and the slim structure facilitates the processing of the wood base of the door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finishing and also providing a soft restoring force without generating noises during operation of the knob.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가 피 설치물(서랍/문짝 모두 포함)의 전면에 매립되게 설치된 경우의 일 예를 전방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 표시의 손잡이가 개방되어 손잡이로 제공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매립형 손잡이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만을 분리하여 확대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손잡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front view of an example in which the embeddabl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a fixture (including a drawer / door)
FIG. 2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handle of FIG. 1 is opened and provided as a handle,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a buried handle in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portion A in Fig. 4,
Fi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II line direction of Fig. 1,
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handle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가 피 설치물(서랍/문짝 모두 포함)의 전면에 매립되게 설치된 경우의 일예를 전방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 표시의 손잡이가 개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embeddable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an object to be installed (including a drawer / door); Fig. 2 shows a case in which the handle of Fig. 1 is opened FIG.
도면 표시와 같이, 도면부호1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100)가 설치되는 서랍 혹은 문짝의 전면 일부만을 일예로 발췌하여 표시한 것이지만, 이하에서는 모두 "문짝"이라 통칭한다. 문짝(1)에 소정 깊이로 설치된 매립홈(11)(후술하는 도3참조)에는 손잡이(100)의 커버(113)만이 문짝(1)의 전면(前面)으로 돌출되는 최소부위를 이루고, 나머지는 문짝(1)과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매립설치된 구조로 인하여, 별도의 마감 작업을 하지 않아도 손잡이(100)의 외관이 문짝(1)에 미려하게 설치되는 것임을 도1,2로부터 확인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s,
도2는 평상시에는 도1과 같이 닫힘 상태로 있는 손잡이부(120)의 손잡이판(122)이 손잡이로 제공되게 외부로 노출되게 개방되어져서 사용자들로 하여금 문짝(1)의 개방 및 닫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상태를 나타낸다. 손잡이판(122)의 개방은 손잡이판(122)과 연동되게 설치된 누름판(121)의 누름 작용에 의하여 실행되고, 누름판(121)으로부터 손을 떼어 누름력을 해제하는 순간 손잡이판(122)과 누름판(121)은 도 1의 표시와 같이 원래 상태로 신속히 복원되어 손잡이 매립홈(11)(도 6참조)을 미려하게 마감한다.2, the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손잡이부 만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만을 분리하여 확대 표시한 사시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only a handle portion in FIG. 3,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only an A portion of FIG.
도면 표시와 같이, 문짝(1)에 설치된 손잡이 매립홈(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100)가 매립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 매립형 손잡이(100)는 손잡이 매립홈(11)과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어 손잡이 매립홈(11)의 내저부에 놓여지게 설치되는 저부로부터 낮은 둘레벽부가 형성된 대략 판형상의 손잡이 홀더(111)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 홀더(111)는 매립홈(11)으로부터 이탈됨이 없도록 하고자 매립홈(11)에 형성된 고정공(13)과 일치되는 볼트 체결공(117)을 통하여 고정볼트(미도시)로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각종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게 한 소정 넓이의 수용공간(115)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홀더(111)에는 사각틀 형태의 손잡이 마감용 커버(113)가 결합되어 매립용 손잡이(12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손잡이부(120)의 전 둘레부위를 미려하게 마감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특히 손잡이 커버(113)는 매립형 손잡이(100)에 설치되는 작동 부품들이 손잡이 홀더(111)의 수용공간(115)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모든 구동이 실현되게 구성되므로 인해, 최소의 면적만을 이루게 형성하면되는 만큼 미려한 디자인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손잡이 홀더(111)와 손잡이 마감용 커버(113)에 의하여 손잡이 본체(110)가 구성된다Particularly, the
상기 손잡이부(120)는 손잡이 본체(110)이 개구를 평상시에는 미려하게 폐쇄하고 있다가 문을 개방/닫을시에 열리도록 하고자, 손잡이부(120)는 복수개로 분할된 판형상의 누름판(121)과 손잡이판(122)으로 이루어져 손잡이 홀더(111)에 결합된 손잡이 마감용 커버(113)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되게 결합되어 있다. The
즉, 상기 누름판(121)과 손잡이판(122)은 고정축들(131,132)에 각각 헐겁게 결합되어 회동되게 축지지되어 있다. 누름판 고정축(131)은 도4의 표시와 같이, 누름판(12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설치된 복수개의 돌출편(121a)에 각각 형성된 축공(121b)을 헐겁게 관통후 그 양단이 손잡이 마감용 커버(113)의 내측벽에 고정설치되고, 손잡이 고정축(132) 또한 손잡이판(122)의 일측으로부터 돌출설치된 복수개의 돌출편(122a)에 각각 형성된 축공(122b)을 헐겁게 관통후 그 양단이 손잡이 마감용 커버(113)의 내측벽에 고정 설치된다(도6참조). 상기 누름판(121)과 손잡이판(122)이 회전되게 축지지되는 고정축들(131,132) 또한 손잡이 홀더(111)가 수용공간(115)에 수용되게 설치되어 매립형 손잡이(100)가 슬림화되는 간결한 구성을 이루게 하는데 일조를 한다.That is, the
상기 누름판(121)과 손잡이판(122)은 연동수단(14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되게 구성되어 있다. 연동수단(140)은 누름판(121)과 손잡이판(122)에 각각 설치된 돌출편(121a,122a)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121c,122c)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된 연동축(141,142)(도6참조)과, 그리고 손잡이 홀더(111)의 내저부에 형성된 안내홈(116)을 따라 이동되게 수용된 상태에서 연동축(141,142)의 양단부에 결합된 연결링크(143a,143b)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손잡이 홀더(111)의 내저부에는 누름판(121)이 누름 작동시 복원력을 부여하는 복원 스프링(144)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연동수단(140)에 의하여 누름판(121)을 누르게 되면 손잡이판(122)이 외부로 노출되게 연동(連動)되어 사용자들이 문짝(1)을 열거나 혹은 닫는데 편리하게 한다. The
상기 연동수단(140)또한 고정축들(131,132)과 같이 손잡이 홀더(111)의 수용공간(115)에 수용되게 하여 매립형 손잡이(100)가 간결한 슬림구성을 갖게 하는데 일조를 한다.The interlocking means 140 is also received in the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20)의 누름판(121)의 일측으로 되는 손잡이 홀더(111)의 일측 벽부에는 누름판(121)이 눌려졌다가 복원시 부드럽게 회전되게 하여 소음 발생을 없게하는 소음 방지수단(15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소음방지수단(150)은 손잡이 홀더(111)의 일측 벽부에 회전되게 설치된 피니언 기어(151)와 이 피니언 기어(151)에 치합(齒合)작동되게 결합된 랙기어(152)로 이루어지고, 랙기어(152)의 일단은 상기 누름판(121)의 일측 하단으로 돌출설치된 돌출편(121d)(도6,도7 참조)에 결합되어 있다. 5, the
도 6은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손잡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FIG. 6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handle of FIG. The operation of the embeddabl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본 발명의 매립형 손잡이(100)는 평상시에는 도 6의 표시와 같이, 손잡이부(120)가 복원 스프링(144)의 복원력에 의해 손잡이 홀더(111)와 손잡이 마감용 커버(113)로 이루어진 손잡이 본체(110)의 개방부를 외부로 부터 보이지 않도록 미려하게 마감한다.The buried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100)를 사용하여 문짝(1)을 열고자, 손잡이부(120)의 누름판(121)을 누르는 경우, 도7의 표시와 같이, 누름판(121)과 연동되는 손잡이판(122)을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개방되게 하여 문짝(1)을 여는데 용이한 손잡이 제공을 하게 된다. When the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평상시에는 도 6의 표시와 같은 상태로 있게 되는 매립형 손잡이(100)의 누름판(121)을, 도 7의 표시와 같이 누르게 되는 경우 누름판(121)은 스프링(144)의 수축과 함께 누름판 고정축(131)을 지지점으로 하여 손잡이 홀더(111)의 수용공간(115)인 화살표a 방향으로 회동되게 한다. 이러한 누름판(121)의 회동은 누름판(121)과 손잡이판(122)을 연결하는 연동수단(140)에 전달되어 연동수단(140)으로 하여금 손잡이판(122)을 도 7의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즉, 누름판(121)의 회동은 누름판(121)의 돌출편(121a)이 손잡이판(122)의 돌출편(122a)에 연결된 연동링크(143a)를 화살표 b방향으로 당기게 되므로, 연동링크(143a)에 의하여 돌출편(122a)을 당겨지게 하는 손잡이판(122)은 손잡이판 고정축(132)을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사용자들의 손가락을 넣어서 잡게되는 손잡이로 제공되게 한다. 손잡이판(122)의 손잡이 제공은 누름판(121)이 도 7의 상태로 눌려져 있는 동안은 계속된다.7, when the
도 7의 누름판(121)으로부터 손을 제거하여 누름판(121)에 대하여 가해지고 있던 외력이 해제되면, 도 6의 표시와 같이 복원 스프링(144)으로부터의 복원력으로 누름판(121)은 누름판 고정축(131)을 지지점으로하여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원래 위치로 복귀되고, 이때 화살표 b방향으로 당겨져 있던 연동수단(140)의 연결링크(143a) 역시 누름판(121)의 회동에 따라 원래 위치로 이동하면서 손잡이판(122)을 밀게 되므로 손잡이판(122) 또한 손잡이판 고정축(132)을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도 6의 표시와 같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When the hand is removed from the
상기 손잡이부(120)의 복귀 과정에서 복원 스프링(144)의 탄발력이 직접적으로 작용되는 누름판(121)으로부터는 타 구성품들과의 충돌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소음은 누름판(1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완충(Damper)작용을 하는 소음방지수단(150)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A noise may be generated due to a collision with other components from the
즉, 도 7의 표시와 같이, 누름판(121)의 누름에 의한 회동시에는 상기 손잡이부(120)의 누름판(121)의 일측에 구비된 돌출편(121d)에 결합되어 있던 랙기어(152)가 누름판(121)의 누름 작동에 의해 피니언 기어(151)와 회전 구동되면서 도 7에서 보아 왼쪽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7, the rotation of the
이상태에서 다시 누름판(121)이 복원 스프링(144)에 의한 복원시에는 도 7에서 좌측 위치로 이동되어 있던 랙기어(152)가 다시 누름판(121)에 의해 이끌리면서 피니언 기어(151)와 치합작동을 하며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피니언 기어(151)와 랙기어(152)의 맞물림 작동은 복원 스프링(144)의 강한 탄성력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여 누름판(121)의 회동을 부드럽게 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없게 한다. 이러한 작동은 손잡이부(120)를 사용하는 동안은 반복하여 실시된다. When the
1 : 문짝, 11 : 손잡이 매립홈
100 : 매립형 손잡이
110 : 손잡이 본체, 111 : 손잡이 홀더, 113 : 손잡이 커버
120 : 손잡이부, 121 : 누름판, 122 : 손잡이판
131,132 : 고정축
121a,121d, 122a : 돌출편
140 : 연동수단, 141,142: 연동축, 143a,143b: 연결링크
144 : 복원 스프링
150 : 소음 방지수단, 151: 피니언 기어, 152 : 랙기어
1: door, 11: embedding groove for handle
100: Embeddable handle
110: handle body, 111: handle holder, 113: handle cover
120: handle portion, 121: push plate, 122: handle plate
131, 132:
121a, 121d, 122a:
140: interlocking means, 141,142: interlocking shaft, 143a, 143b: connecting link
144: Restoring spring
150: noise preventing means, 151: pinion gear, 152: rack gear
Claims (3)
상기 손잡이 본체의 내부 양측에서 수용공간을 횡절(橫切)하는 상태로 위치되어 양단이 손잡이 본체의 내측벽에 각각 고정된 복수개의 고정축;
상기 손잡이 본체의 개구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누름판과 손잡이판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손잡이 본체의 개구를 서랍 혹은 문짝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게 막으면서 일측부들은 상기 고정축들의 각각에 회동되게 결합되고, 또한 전 둘레는 상기 손잡이 커버에 의하여 미려하게 마감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 본체의 내부 양측에 수용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누름판과 손잡이판을 연결되게 설치됨에 의해, 상기 누름판이 고정축을 지점으로하여 회동되게 누를시 상기 손잡이판이 고정축을 지점으로 회동되면서 손잡이로 제공되게 하고, 상기 누름판으로부터 누름력의 해제 시에는 누름판으로부터 작용되는 복원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누름판과 손잡이판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게 연동 작동되도록 하는 연동수단; 및
상기 손잡이 본체 내부에서 상기 누름판의 어느 일측과 이에 대면하는 손잡이 홀더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복원 스프링에의한 누름판의 복원시 누름판이 회동을 부드럽게 하는, 상기 손잡이 홀더의 일측 벽부에 회전되게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상기 누름판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齒合)작동되게 한 랙기어로 이루어진 소음방지수단을 포함하는 매립형 손잡이.A drawer or a knob embedding groov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oor, a handle holder which is fixedly embedded in the embedding groove of the handle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handle, and a crisscross shape A knob body having a front cover and a front cover;
A plurality of fixing shafts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knob body in a state where the accommodating space is crossed and fixed at both ends to the inner wall of the knob body;
A plurality of pressing plates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knob body and a knob plate so that the opening of the knob body is flush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or the door so that one side portion is pivotally coupled to each of the fixing shafts, A grip portion which is gently closed by the handle cover;
Wherein the grip plat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rip bod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push plate of the grip portion and the grip plate so that when the push plate is pivotally moved about the fixed axis, An interlocking means for interlocking the push plate and the handle plate so that the push plate and the pull plate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a restoring force of a restoring spring applied from the push plate when the pushing force is released from the push plate; And
A pinion gea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ush plate and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wall of the pull holder,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one side of the push plate and the pull holder facing the push plate, to smooth the pivoting of the push plate upon restoration of the push plate by the return spring. And a noise preventing means formed of a rack gear coupled to one side of the press plate to engage with the pinion gear.
상기 연동수단은 누름판과 손잡이판에 각각 구비된 돌출편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된 연동축과, 그리고 손잡이 홀더의 내저부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게 수용된 상태에서 연동축의 양단부에 결합된 연결링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손잡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locking means includes an interlocking shaft coupled to the outside through a fixing hol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each of the projecting piece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press plate and the handle plate and an interlocking shaft coupled to the interlocking shaft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to be moved along a guide groove formed in an inner bottom portion of the pull- And a connecting link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haft.
상기 복원 스프링은 상기 누름판이 하부와 대응하는 손잡이 홀더의 내저부에 각각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storation spring is fixedly installed on an inner bottom portion of the handle holder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 pl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0115A KR20160107423A (en) | 2015-03-04 | 2015-03-04 | Insert Type Hand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0115A KR20160107423A (en) | 2015-03-04 | 2015-03-04 | Insert Type Hand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7423A true KR20160107423A (en) | 2016-09-19 |
Family
ID=5710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0115A Ceased KR20160107423A (en) | 2015-03-04 | 2015-03-04 | Insert Type Hand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07423A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200162A (en) * | 2017-05-29 | 2018-12-20 | リンナイ株式会社 | Heating cooker |
KR101987281B1 (en) * | 2018-01-05 | 2019-06-11 | (주)동화엠피에스 | Handle For Furniture |
KR102133329B1 (en) * | 2020-03-10 | 2020-07-13 | (주)베스툴 | Handle for Furniture |
CN111779357A (en) * | 2020-08-27 | 2020-10-16 | 常宁市腾鑫家具研发有限公司 | Hidden type cabinet door handle |
WO2020246624A1 (en) * | 2019-06-03 | 2020-12-10 | (주)동화엠피에스 | Furniture handle and furniture comprising same |
KR20210088069A (en) * | 2020-01-06 | 2021-07-14 | 김정일 | Paint Method of Embedded Handles |
US20220081943A1 (en) * | 2020-09-17 | 2022-03-17 | Nissan North America, Inc. | Hood release lever cover assembly for a vehicle |
KR102568255B1 (en) * | 2023-02-28 | 2023-08-18 | 주식회사 뉴퍼스 | furniture handle |
KR20240054260A (en) * | 2021-04-28 | 2024-04-25 | (주)동화엠피에스 | Handle For Furniture |
WO2024197763A1 (en) * | 2023-03-31 | 2024-10-03 | 洛阳市宇龙办公机具有限公司 | Handle structure for furnitur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0408U (en) | 2008-07-04 | 2010-01-13 | 박병구 | Flush furniture handles |
KR20100049791A (en) | 2008-11-04 | 2010-05-13 | 정명주 | A insert type knob for furniture |
-
2015
- 2015-03-04 KR KR1020150030115A patent/KR20160107423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0408U (en) | 2008-07-04 | 2010-01-13 | 박병구 | Flush furniture handles |
KR20100049791A (en) | 2008-11-04 | 2010-05-13 | 정명주 | A insert type knob for furniture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200162A (en) * | 2017-05-29 | 2018-12-20 | リンナイ株式会社 | Heating cooker |
KR101987281B1 (en) * | 2018-01-05 | 2019-06-11 | (주)동화엠피에스 | Handle For Furniture |
WO2020246624A1 (en) * | 2019-06-03 | 2020-12-10 | (주)동화엠피에스 | Furniture handle and furniture comprising same |
KR20210088069A (en) * | 2020-01-06 | 2021-07-14 | 김정일 | Paint Method of Embedded Handles |
KR102133329B1 (en) * | 2020-03-10 | 2020-07-13 | (주)베스툴 | Handle for Furniture |
CN111779357A (en) * | 2020-08-27 | 2020-10-16 | 常宁市腾鑫家具研发有限公司 | Hidden type cabinet door handle |
US20220081943A1 (en) * | 2020-09-17 | 2022-03-17 | Nissan North America, Inc. | Hood release lever cover assembly for a vehicle |
US12227973B2 (en) * | 2020-09-17 | 2025-02-18 | Nissan North America, Inc. | Hood release lever cover assembly for a vehicle |
KR20240054260A (en) * | 2021-04-28 | 2024-04-25 | (주)동화엠피에스 | Handle For Furniture |
KR102568255B1 (en) * | 2023-02-28 | 2023-08-18 | 주식회사 뉴퍼스 | furniture handle |
WO2024197763A1 (en) * | 2023-03-31 | 2024-10-03 | 洛阳市宇龙办公机具有限公司 | Handle structure for furni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107423A (en) | Insert Type Handle | |
US8100453B2 (en) | Lid device opened at both sides and center console box | |
US9689605B2 (en) | Refrigerator | |
KR101188995B1 (en) | door lock | |
KR101343998B1 (en) | Insert type knob | |
KR200451017Y1 (en) | Flush furniture handles | |
KR101388198B1 (en) | insert type knob | |
JP2018121915A (en) | Storage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of storage device | |
JP6202429B2 (en) | Furniture puller | |
KR100734472B1 (en) |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drawer door with hidden handle in products with drawer storage compartment | |
KR200496411Y1 (en) | Handle for furniture | |
KR20210000001A (en) | Fumiture Knobs | |
KR101749426B1 (en) | Safety Handle for Sliding Door | |
JP5236972B2 (en) | Curtain | |
JP7220052B2 (en) | Switchgear and storage fixtures | |
KR20140125581A (en) |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KR200454866Y1 (en) | Door handle | |
JP5132942B2 (en) | cabinet | |
KR102740872B1 (en) | Handle for furniture | |
KR200498538Y1 (en) | Handle for furniture | |
JP7492818B2 (en) | Furniture with tabletop | |
KR200483771Y1 (en) | A insert type knob for furniture | |
KR102603788B1 (en) | A furniture handle | |
JP4710395B2 (en) | cabinet | |
JP2015187346A (en) | Storage furniture pull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12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5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