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931A - stove - Google Patents
sto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06931A KR20160106931A KR1020150029672A KR20150029672A KR20160106931A KR 20160106931 A KR20160106931 A KR 20160106931A KR 1020150029672 A KR1020150029672 A KR 1020150029672A KR 20150029672 A KR20150029672 A KR 20150029672A KR 20160106931 A KR20160106931 A KR 201601069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bustion
- combustion chamber
- plate
- main body
-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2—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3—Grates; Ir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24B1/1952—Multiple fire-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목 및 펠릿을 연소재로 사용하는 한편 실내 및 실외에서 간편하게 설치하여 난방을 위한 난로 기능과, 조리를 위한 버너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 pellet combined indoor and outdoor sto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od pellet combined indoor and outdoor stove which can be used as a burnable material and easily installed indoors or outdoors to provide a stove function for heating and a burner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and outdoor paddle stove.
일반적으로, 캠핑이나 낚시, 등산 등 주로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레저 활동 시에는 추위를 극복하기 위하여 모닥불을 피우거나 난로를 이용하여 난방을 하게 되는데, 모닥불의 경우에는 야외에서만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의 위험이 큰 단점이 있고, 실내에서는 전혀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In general, when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fishing, and mountain climbing are carried out in various leisure activities, the campfire is heated by using a fire or a fireplace to overcome the cold. In the case of campfire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 not be used at all in a room.
따라서, 최근에는 사용이 편리하고, 화력의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가스 난로를 주로 사용하며, 특히 연료의 구입과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한 부탄가스를 이용한 휴대용 가스 난로의 사용이 많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Recently, portable gas stoves which are easy to use and easy to control the thermal power are mainly used, and in particular, portable gas stoves using butane gas, which is convenient for the purchase, storage and use of fuel, are increasing.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들에 개시되어 있듯이, 부탄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용 가스 난로는, 가스통을 수용하는 가스통수용부와, 가스통에서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공급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버너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점화하는 점화장치를 동작하는 화력조절노브와, 가스통수용부와 가스배관으로 연결되는 버너가 설치되는 화구와, 버너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점화하는 점화장치와, 버너에 의해 가열되어 복사열을 발생하는 열반사체와, 열반사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망으로 구성된다.[0003] On the other hand, as disclosed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a conventional general portable gas heater using butane gas as a fuel has a gas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 gas container and a gas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for regulating the gas supply amount supplied to the burner A fire control knob for operating an ignition device for igniting the gas discharged from the burner, a fireplace for installing a burner connected to the gas container containing portion and the gas pipe, an ignition device for igniting gas discharged from the burner, And a safety net to prevent the heat radiation body from escaping.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가스 난로는, 부탄가스가 버너로 공급되어 연소되면서 열반사체를 가열하면, 열반사체에서 복사열이 발생하여 화구의 전면으로 방사됨으로써 복사열을 이용한 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In such a conventional portable gas fireplace, if butane gas is supplied to the burner and heated, the heat is radiated from the heat transfer body to the front face of the firebox, so that heating using radiant heat is performed.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가스 난로는 열반사체가 설치되는 화구에만 열이 집중되기 때문에, 화구 주변에 근접한 소수의 인원에만 난방열이 전해짐으로써 다수를 위한 난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고, 연료원으로 주로 휴대가 용이한 부탄가스를 이용하는데, 이는 사용상 많은 주의가 요구될 뿐 아니라 폭발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portable gas heater, heat is concentrated only on the hearth where the heat transfer body is install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heating is difficult for a large number of people because a small number of persons near the burner surrounds the heating heat. Butane gas is used, which requires a lot of attention in use and there is a risk of explos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휴대용 가스 난로 및 이에 대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들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portable gas stove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ology therefor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 및 실외에서 조리를 위한 버너 기능과, 난방을 위한 난로 기능을 갖는 난로를 간편하게 설치할 뿐 아니라 열이 난로의 본체 전 주변으로 발열되어 난방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효율적인 난방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rner for cooking i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a stove having a stove function for heating,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oviding a wood pellet indoor / outdoor combined furnace which can generate efficient heating by maximizing the heating area.
상술한 목적은, 내부에 연소실이 제공되는 한편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본체의 연소실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한편 그 내부에 연소재가 투입 공급되어 연소되는 연소통; 본체의 연소실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연소실 내의 열을 배출시키는 굴뚝; 및 본체의 연소실 내에 구비되어 연소통과 굴뚝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직열댐퍼:를 포함하는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에 의해 달성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combustion chamber provided therein and an air hole into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 combustion chamber which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main body and into which a combustion material is injected and combusted; A chimney communicating with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main body to discharge heat in the combustion chamber; And a direct heat damper provided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a flow path of the combustion-passing chimney: a wood pellet indoor / outdoor combined furnace.
그리고, 본체 내부의 연소실에는 연소실을 여러 공간으로 연통되게 구획하여 열을 순환시키는 격판이 구비되며, 격판에는 연소통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구가 형성되고, 굴뚝에 근접하게 구비된 격판에는 직열댐퍼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해당 격판의 방열구를 개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bustion chamber i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iaphragm for partitioning the combustion chamber into a plurality of spaces so as to circulate the heat. The diaphragm is provided with a heat dissipating port for dissipating the heat of combustion generated in the combustion ditch, It is preferable that a direct-acting damper is rotatably provided so as to open and close the heat-radiating port of the corresponding partition.
또한, 연소통 내에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연소통 내로 공급되는 연소재를 연소실 내에서 부양시킨 상태로 연소시키는 연소망을 더 포함하고, 연소망은, 연소통의 상면에 걸림되어 구비되는 한편 연소재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와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 상판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외측 연소망; 및 외측 연소망 내에 구비된 상태로 상판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편 상판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연소재가 걸림되어 구비되는 내측 연소망;을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mbustion network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in and out of the combustion cylinder and combusts the combustion material supplied in the combustion cylinder in a state of being flo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An upper plate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material can be introduced and an air hol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 outer combustion network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plate; And an inner combustion network which is fixed to the upper plate in a state of being provided in the outer combustion network and is provided with a combustion material inserted through the inlet of the upper plate being hooked.
게다가, 상판 상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상판의 투입구와 에어구멍에 대응한 투입구와 에어구멍을 갖는 회전판을 더 포함하고, 내측 연소망에는 본체의 에어구멍과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연소재 측으로 직접 공급하는 연통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rotating plate rotatably provided on the upper plate and having a charging port and an air hole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port and the air hole of the upper plate, wherein the inner charging network is connected to the air hole of the main body, It is preferable that a communication hole is provided.
그리고, 연소통 내에 구비되어 연소재를 연소실 내에서 부양시킨 상태로 연소시키는 연소받침판을 더 포함하며, 연소받침판은 연소통 내에 상하로 적층되게 구비되고, 상부 연소받침판은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장공의 배출구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편 장공의 배출구와 이격된 외측단부에는 정원의 배출구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부 연소받침판은 그 중앙부에 정원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한편 가장자리부에는 가장자리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장공의 배출구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bus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combustion-receiving plate provided in the combustion cylinder for burning the soft material in a state of being flo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wherein the combustion-receiving plate is vertically stacked in the combustion cylinder, The discharge port of the garden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outer end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slot. The discharge port of the garden is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burner support plate, It is preferable that a discharge hole of a long hole having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center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연소통의 상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기개폐판이 구비되고, 연소통과 공기개폐판의 상면과 측면에는 개폐판의 이동에 따라 개폐되는 각각의 에어구멍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air opening / closing plate movably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ylinder is provided, and air 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combustion passing air opening / closing plate.
이러한 연소통에는 연소통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연료공급관; 및 연료공급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연료공급관의 관로를 개폐시키는 연료개폐판;이 더 포함되고, 연소받침판과 마주하는 연료공급관의 단부는 요철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Such a combustion pipe includes a fuel supply pipe provided through the combustion pipe; And a fuel opening / closing plate movably coupled to the fuel supply pipe to open / close a channel of the fuel supply pipe, and the end of the fuel supply pipe facing the combustion gas receiving plate is formed as a concave / convex portion.
그리고, 본체에는 본체의 각 코너부위에 착탈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바가 구비될 수 있다.
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ba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each corner of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른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에 의하면, 실내 및 실외에서도 난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리와 난방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난로의 난방열이 난로의 본체 전 주변으로 발열되어 난방면적이 극대화됨으로써 효율적인 난방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wood pellet indoor / outdoor st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ok and heat indoor and outdoor using the stove, and the heating heat of the stove is heated around the entire body of the stove to maximize the heating area, There are advantages to be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겸용 난로의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겸용 난로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겸용 난로의 연소망을 도시한 분리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겸용 난로의 회전판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열댐퍼가 열린 상태의 실내외 겸용 난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열댐퍼가 닫힌 상태의 실내외 겸용 난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소통이 구비된 실내외 겸용 난로의 외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소통의 분리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소통에 구비되는 공기 개폐판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소통에 구비되는 연료 개폐판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소통이 구비된 실내외 겸용 난로에서 직열댐퍼가 열린 상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소통이 구비된 실내외 겸용 난로에서 직열댐퍼가 닫힌 상태의 단면 구성도이다.1 is an external view of an indoor / outdoor combined firepla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n indoor / outdoor combined firepla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mbustion network of an indoor / outdoor combined firepla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otary plate of the indoor / outdoor combined firepl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oor / outdoor combined fireplace in a state in which a straight damper is open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oor / outdoor combined fireplace in a closed state of the direct damp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ternal view of an indoor / outdoor combined fireplac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pip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of the communication pip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n air opening / closing plate provided in a communication pip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fuel opening and closing plate provided in the combustion cylin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rect heat damper is opened in an indoor / outdoor combined furnac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pip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rect-heating damper is closed in an indoor / outdoor combined furnace having a combustion pip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Terms used in this process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as exemplification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et forth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echnical idea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that include components replaceable as equivalents in the elemen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terms "first", "second", "one side", "another side", etc.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And the lik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hich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겸용 난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1 to 6 are views showing an indoor / outdoor combined firepla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연소실(111)을 갖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연소통(120) 및 굴뚝(130)과, 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10)를 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바(140)를 포함한다.1 and 2, the wood pellet indoor / outdoor combined
그리고, 본 발명의 난로(100)는 펠릿 또는 화목을 연소재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본체(110)는 육면체의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는 빈 공간으로서 연소실(111)로 제공된다.The
그리고, 본체(110)는 도 5 및 도 6의 단면 구성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 측면부에는 본체(110)의 연소실(111) 내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구멍(114)(116)이 형성되고, 이 에어구멍(114)(116)은 본체(110)의 양 측면부에 각각 구비되는 개폐판(115)(117)에 의해 개폐된다. 개폐판(115)(117)은 본체(110)의 양 측면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거나 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어 에어구멍(114)(116)의 개폐는 물론 에어구멍(114)(116)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The
이와 같은 본체(110)의 연소실(111) 내부에는 연소통(120)과 굴뚝(130)을 격리시키기 위한 가림판(119)과 다수의 격판(112)(113)이 구비된다.A plurality of
한편, 이와 같은 가림판(119)은, 본체(110)의 내측 상면과 후술될 하부 격판(113) 사이에 설치되어, 후술될 격판(112)(113)에 의해 구획되는 연소실(111)의 상부와 중앙의 통로를 막음으로써 연소통(120)과 굴뚝(130)이 직접적으로 연통됨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연소통(120)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은 후술될 하부 격판(113)의 방열구(113a)를 통해 연소실(111)의 하부 통로로 유입되어 연소실(111)을 순환한 후, 굴뚝(130)으로 유입되게 된다.The
또한, 상기와 같은 본체(110)의 내부에는 연소실(111)을 여러 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격판(112)(113)이 설치되고, 격판(112)(113)에 의해 구획된 각 공간은 각 격판(112)(113)을 우회하는 통로(즉 격판(112)(113)과 연소실(111)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된 통로)를 통해서 연통되게 구비된다. 즉, 격판(112)(113)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연소실(111)에 가로 방향(난로(100)의 설치 시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연소실(111)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게 된다. 이때, 격판(112)(113)은 연소실(111) 내부의 가로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하의 격판(112)(113)은 연소실(111)의 양 내측면에 서로 교번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체(110)의 연소실(111)에 2개의 격판(112)(113)이 설치된다고 가정할 때, 상부 격판(112)은 그 일단부가 연소실(111) 내의 일측면(굴뚝(130)과 근접한 내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타단부는 후술될 가림판(119)과 이격되며, 하부 격판(113)은 상부 격판(112)과는 반대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각 격판(112)(113)에는 방열구(112a)(113a)가 각각 형성되는 바, 하부 격판(113)의 방열구(113a)는 연소통(120) 하부에 구비되어 연소통(120)의 내경에 대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 격판(112)의 방열구(112a)는 굴뚝(130)의 하부에 구비되어 굴뚝(130)의 내경에 대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부 격판(112)에는 방열구(112a)를 개폐시킬 수 있는 직열댐퍼(160)가 설치하여 연소열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난방과 조리를 가능케 한다. 즉, 직열댐퍼(160)가 닫힌 상태에서는 연소망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이 하부 격판(113)의 방열구(113a)를 통해 연소실(111)의 하부 통로로 유입되었다가 하부 격판(113)을 우회한 후, 연소실(111)의 중앙 통로로 유입되고, 이는 다시 상부 격판(112)을 우회하여 연소실(111)의 상부 통로로 유입된 후, 굴뚝(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난방에 효율적이고, 직열댐퍼(160)가 열린 상태에서는 연소망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이 연소실(111)의 하부 통로로 유입된 후 개방된 상부 격판(112)의 방열구(112a)를 통해 곧바로 굴뚝(130)으로 유입됨으로써 굴뚝(130)의 상부로 고온의 열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조리에 효율적이다.A plurality of
한편, 상기와 같은 상부 격판(11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방열구(112a)를 개폐시키는 직열댐퍼(160)에는 직열댐퍼(16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레버(161)가 구비되고, 이 조작레버(161)는 본체(110)를 관통한 상태로 구비되어, 난로(100)의 본체(110) 외부에서 조작레버(161)에 의해 직열댐퍼(16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조작레버(161)는 상부 격판(1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직열댐퍼(160)의 힌지부에 구비되어 힌지핀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161)에 의해 회전되는 직열댐퍼(160)의 개폐량에 따라 방열구(112a)의 개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그리고, 본체(11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는 연소통(120)은 본체(1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연소통(120)과 본체(110)의 연소실(111)이 연통되게 구비된다.The
이러한 연소통(120) 내부에는 이중망 구조의 연소망이 구비되고, 이 연소망은 연소통(120)의 상면을 통해 연소통(120)에 출입가능하게 구비된다.In the
한편, 이와 같은 연소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표면에 다수의 타공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 연소망(122)과, 외측 연소망(122) 내부에 외측 연소망(122)과 이격되게 구비되는 한편 메쉬 형태로 형성되는 내측 연소망(123)을 포함한다. 이때, 외측 연소망(122)의 타공은 내측 연소망(123)의 메쉬 구멍보다 크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을 원활케 하고, 내측 연소망(123)의 메쉬 구멍은 외측 연소망(122)의 타공보다 작게 형성되어 내측 연소망(123) 내로 투입되는 펠릿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외측 연소망(122)은 그 상,하면이 모두 개구된 중공의 통 구조로 형성되고, 내측 연소망(123)은 상면은 개구되되, 하면은 반구형상으로 폐쇄된 형태의 메쉬 망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연소재로 사용하는 펠릿은 내측 연소망(123)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펠릿은 내측 연소망(123)에 의해 연소실(111)로 떨어지지 않고 연소실(111) 상에 부양된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펠릿의 발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완전 연소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특히, 펠릿이 구비되는 내측 연소망(123)의 하부에는 본체(110)의 일측 에어구멍(116)과 직접 연결되는 연통구(123a)가 형성되고, 이러한 연통구(123a)는 연소효율 측면을 고려할 때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체(110)의 에어구멍(116)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연통구(123a)를 통해서 바로 연소재인 펠릿이 있는 내측 연소망(123)의 하부로 직접 공급되어 펠릿의 발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연소망(122) 내에 내측 연소망(123)이 구비된 것을 일례로 개시하였으나, 내측 연소망(123) 대신 후술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소받침판(210)(220)이 구비될 수도 있다.3, the
또한, 상기와 같은 연소망(122)(123)의 상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중앙부에 관통된 연료 투입구(121a)와, 투입구(121a) 주위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관통된 에어구멍(121b)을 갖는 상판(121)이 고정되게 구비된다. 특히, 상판(121)의 투입구(121a)에는 투입구(121a)의 내주면에서 연장되는 중공의 안내관(121c)이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안내관(121c)에 후술될 회전판(124)이 결합되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상판(121)의 상면에 구비되는 회전판(124)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부에 상판(121)의 안내관(121c)이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는 직경으로 관통된 결합구(124a)가 형성되고, 결합구(124a) 주위에는 회전판(124)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관통된 에어구멍(124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판(121)의 안내관(121c)에 결합된 회전판(124)은 상판(121)의 상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판(124)의 에어구멍(124b)은 상판(121)의 에어구멍(121b)에 대응하여 동일한 위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판(124)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판(121)의 에어구멍(121b)을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판(124)의 상면에는 회전판(124)을 회전을 용이케 하는 레버(125)가 돌출 형성된다.
3 and 4, the
한편, 굴뚝(130)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소통(120) 반대편의 본체(110)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본체(110) 내의 연소열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The
그리고, 굴뚝(130)의 상단부에는 굴뚝(130)에 끼워서 구비할 수 있는 받침대(131)를 "×"자 형태로 설치하여, 굴뚝(130)의 상면에 냄비 등을 얹어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In addition, a
이러한 굴뚝(130)은 그 길이를 다양한 수단과 방법으로 길이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부 굴뚝의 상단부와 상부 굴뚝의 하단부를 경첩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상부 굴뚝을 하부 굴뚝 상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난로(100)의 비사용 시는 상부 굴뚝을 하부 굴뚝에 접은 상태로 보관하고, 난로(100)의 사용 시는 상부 굴뚝을 하부 굴뚝의 상부로 펼쳐 세운 상태로 구비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굴뚝(130)의 길이를 조절하는 이유는 로켓 터빈의 원리를 이용하고자 한 것으로, 굴뚝(130)의 높이가 연소실(111)의 화구 즉 연소실(111)의 상하 폭 보다 3∼4배 길이로 더 길게 형성되면, 불꽃의 높이가 3∼4배 상승되는데, 이때의 불꽃이 최대 화력이 된다.
The length of the
또한, 본체(110)의 하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는 가이드레일(118)이 구비되고, 양 가이드레일(118) 사이에는 각종 조리에 이용되는 팬(150)(일명 "후라이팬"이라 한다)이 서랍식으로 수납되어 구비됨으로써 본체(110)의 전면으로 방열되는 열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A
그리고, 본체(110)의 하면 각 코너부위에는 본체(110)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바(140)가 나사 결합되어 본체(110)에 착탈식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난로(100)의 사용 시는 지지바(140)를 본체(110)의 하면에 결합하여 난로(100)의 지상고를 유지하고, 보관 시는 지지바(140)를 본체(110)로부터 분리시켜 냄으로써 난로(1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겸용 난로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The function and effect of the indoor / outdoor combined firepl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난로(100)를 사용하고자 할 시는 분리되어 있던 난로(100)를 조립하게 된다. 즉, 본체(110)의 하면 각 코너부위에 각각의 지지바(140)를 나사 결합하여 설치하고, 연소통(120) 상부의 안내관(121c)에는 회전판(124)을 끼워 구비하며, 굴뚝(130)의 상단부에 받침대(131)를 끼워 "×"자 형태로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굴뚝(130) 상단부의 받침대(131)는 조리할 경우에만 필요하므로 조리 이외의 경우에는 받침대(131)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First,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이후, 난로(100)의 사용 시는, 연소재인 펠릿을 연소통(120)의 투입구(121a)로 투입하고, 투입된 펠릿은 내측 연소망(123)의 하부에 모두 걸려 본체(110)의 연소실(111) 상에 부양된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내부 연소망(123)에 걸림된 연소재인 펠릿으로 공기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발화가 용이하게 일어나게 된다. 물론, 난로(100)의 초기 사용 시는 연소재인 펠릿을 연소통(120)으로 투입하기 전에 일부의 펠릿에 불을 붙인 상태로 연소통(120)으로 투입할 수도 있고, 또는 연소통(120)으로 투입되어 내부 연소망(123)에 걸림된 펠릿에 불을 붙일 수도 있다.Thereafter, when using the
펠릿의 발화 후에는 더 많은 적정량의 펠릿을 연소통(120)의 투입구(121a)로 투입하는 한편 내측 연소망(123)의 연통구(123a)와 연결된 본체(110)의 일측 에어구멍(116)(도 5 및 도 6에서 우측 에어구멍)을 개방시키고, 연소통(120) 상부의 회전판(124)을 회전시켜 상판(121)의 에어구멍(121b) 역시도 개방시켜 주며, 도 5에서와 같이 상부 격판(112)의 방열구(112a)를 닫고 있던 직열댐퍼(160)를 회전시켜 방열구(112a)를 개방시켜 줌으로써 본체(110)의 연소실(111) 내부로 많은 양의 외부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소실(111)로 공급된 공기가 굴뚝(130)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되는 흐름을 가짐으로써 내측 연소망(123)에 걸림된 펠릿의 발화 및 연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A larger amount of pellets is injected into the
이후, 펠릿의 연소 시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직열댐퍼(160)를 역회전시켜 개방되어 있던 상부 격판(112)의 방열구(112a)를 닫고, 개방된 본체(110)의 에어구멍(116)과 연소통(120) 상판(121)의 에어구멍(121b)을 닫아 외부 공기의 유입량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펠릿의 연소를 지연시켜 장시간 동안 연소되게 한다.6,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연소되는 펠릿은 내측 연소망(123)에 의해 연소실(111) 내의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연소됨으로써 펠릿의 완전 연소가 가능해져 연소효율이 향상되고, 펠릿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은 연소실(111)의 상하좌우 전면으로 고루 분산될 뿐 아니라 연소열은 하부 격판(113)의 방열구(113a)를 통해 연소실(111)의 하부 통로로 유입되어 연소실(111)을 순환하면서 굴뚝(130)을 통해 배출되므로 난로(100)의 난방면적이 극대화되어 효율적인 난방을 이룰 수 있게 된다.Meanwhile, since the burned pellets are burnt in the air in the
그리고, 굴뚝(130)으로 고온의 열을 직접 공급하고자 할 시는 도 5에서와 같이, 본체(110) 내부에 횡설된 상부 격판(112)의 방열구(112a)를 막고 있는 직열댐퍼(160)를 조작레버(161)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방열구(112a)를 개방시킴으로써 연소실(111)의 하부 통로를 유동하는 연소열을 곧바로 굴뚝(130) 내부로 유입시켜 고온의 열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제공되는 고온의 열을 이용하여 음식을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게 된다.5, when the
물론, 이와 같이 굴뚝(130)으로 고온의 열을 공급하고자 할 시는, 굴뚝(130)과 인접한 본체(110) 일측의 에어구멍(114)(도 5 및 도 6의 좌측 에어구멍)을 개방시켜 열기의 흐름을 빠르게 형성하여 고온의 열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Of course, when the high temperature heat is to be supplied to the
첨부도면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소통 및 이 연소통이 구비된 실내외 겸용 난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7 to 12 are views showing a combustion cylin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door / outdoor combination furnace having the combustion cylinder.
먼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First, before describ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에에서는 실내외 겸용 난로 중에서 전술한 제 1 실시에의 실내외 겸용 난로와 차이가 있는 연소통에 관해 집중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combined stoves and the outdoor communication stove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겸용 난로(1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면에 구비되어 본체(110)와 연통되는 사각형상의 연소통(200)과, 이 연소통(200)의 상면에 관통 결합되어 연료 즉 연소재의 공급을 용이케 하는 연료공급관(240)을 더 포함한다.7 and 8, the indoor / outdoor combined
이러한 연소통(200)은 그 상면(201)과 양 측면(202)에 각각의 에어구멍(201a)(202a)(202b)이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면(201)의 에어구멍(201a)과 측면(202)의 에어구멍(202a)은 동일한 방향으로 나열되게 형성된다. 특히, 측면(202)의 에어구멍은 상면(201)으로부터 수직하게 하향 절곡된 모든 측면(202)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202) 중 서로 마주하는 일측의 양 측면부와 더불어 양 측면부를 연결하는 또 다른 측면부 즉 전면부(후술될 공기개폐판(230)의 손잡이가 있는 면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후술될 공기개폐판(230)으로 연소통(200)의 상면(201)과 마주하는 양 측면부의 에어구멍(201a)(202a)을 폐쇄시킬 때 연소통(200) 전면부의 에어구멍(202b)은 개방되어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In this
그리고, 연소통(200)의 내측 하부에는 연소재를 연소통(200) 내에서 부양시킨 상태로 연소시키는 연소받침판(210)(220)이 구비되고, 이러한 연소받침판(210)(220)은 사각판으로서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게 구비된다.In the lower part of the inner side of the
이러한 연소받침판(210)(220) 중 상부 연소받침판(210)은 그 중앙부에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장공의 배출구(211)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부에는 정원의 배출구(212)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소통(200)으로 투입 공급된 연소재는 상부 연소받침판(210)의 중앙부에 쌓인 상태로 연소되고, 연소된 재는 상부 연소받침판(210)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 측으로 흘러 내려가면서 장공의 배출구(211)와 가장자리 측에 형성되는 정원의 배출구(212)를 통해 자연스럽게 아래로 배출된다.The upper
그리고, 하부 연소받침판(220)은 그 중앙부에 정원의 배출구(221)가 형성되는 한편 가장자리부에는 가장자리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장공의 배출구(222)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부 연소받침판(2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배출구(221)는 연소열을 집중적으로 배출시키고,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배출구(222)는 상부 연소받침판(210)의 장공의 배출구(211)와는 반대로 형성되어 엇갈리게 위치되므로 상부 연소받침판(210)에서 배출된 완전 연소되지 않은 연소재가 하부 연소받침판(220)의 장공의 배출구(222)로 바로 배출되지 않고 하부 연소받침판(220) 상에 걸러져 재차 연소되고, 재연소 후 부피가 작아지거나 재 형태로 남은 연소재가 하부 연소받침판(220)의 장공의 배출구(222)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연소재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게 된다.A
특히, 상기와 같은 연소받침판(210)(22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개시된 내측 연소망(123)을 대신하여 외측 연소망(122) 내에 상하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Particularly, the
또한, 연소통(200)에는 연소통(200)의 상면과 측면 에어구멍(201a)(202a)(202b)을 개폐시키는 공기개폐판(230)이 구비된다.The
공기개폐판(2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의 상면(231)과, 상면(231)의 외주연부에서 하향 절곡된 측면(232)으로 형성됨으로써 연소통(200)의 상단부를 감싼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공기개폐판(230)의 상면(231)과 측면(232)에는 연소통(200)의 에어구멍(201a)(202a)에 대응한 각각의 에어구멍(231a)(232a)이 형성된다. 하지만, 공기개폐판(230)의 측면(232) 중 마주하는 양 측면부를 연결하는 전면부에는 별도의 에어구멍은 형성되지 않고 공기개폐판(230)의 작동을 용이케 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개폐판(230)의 이동에 의해 연소통(200)의 상면(201)과 양 측면부의 에어구멍(201a)(202a)이 개방될 시는 연소통(200) 전면부의 에어구멍(202b)은 폐쇄되고, 반대로 연소통(200)의 상면(201)과 양 측면부의 에어구멍(201a)(202a)이 폐쇄될 시는 연소통(200) 전면부의 에어구멍(202b)은 개방된다. 또한, 공기개폐판(230)의 상면 중앙부에는 연소통(200)에 관통 결합되는 연료공급관(240)이 관통된 상태로 구비되어, 공기개폐판(230)의 이동 시는 연소통(200)과 연료공급관(240)에 의해 공기개폐판(230)이 가이드되면서 이동된다.9, the air opening /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연소통(200)의 상면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연료공급관(240)은 연소재가 투입되는 호퍼부(241)와, 호퍼부(24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직관 형태의 관부(242)로 구성된다.The
특히, 상부 연소받침판(210)의 상면과 마주하는 관부(242)의 하단부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242a)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요철부(242a) 중 아래로 돌출된 철(凸)부의 하단부는 상부 연소받침판(210)의 상면과 20㎜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며, 요(凹)의 상단 홈부는 상부 연소받침판(210)의 상면과 40㎜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요철부(242a)를 통해서 상부 연소받침판(210)에 쌓인 연소재로 공기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연소재의 발화율이 향상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상부 연소받침판(210)은 하부 연소받침판(220)과 30㎜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발화율의 향상과 더불어서 연소재의 완전 연소를 위해 바람직하다. 즉, 상부 연소받침판(210)과 하부 연소받침판(220)을 30㎜ 간격으로 이격시켜 구비함으로써 공기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연소재의 발화율이 향상될 뿐 아니라 상부 연소받침판(210)에서 완전 연소되지 않은 연소재가 하부 연소받침판(220)으로 떨어져 구비되더라도 원활한 공기 공급으로 인해 하부 연소받침판(220) 상에서 재차 연소되어 완전 연소될 수 있게 된다.11 and 12, the concave and
또한, 관부(242)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부(242)의 관로를 개폐시키는 연료개폐판(250)이 관부(24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즉, 연료개폐판(250)은 관부(242)를 관통한 상태로 구비되어 관부(242) 상에서 연료개폐판(250)이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함에 따라 관부(242)의 관로를 개폐시키게 된다. 물론, 연료개폐판(250)에는 관부(242)의 관로를 개방시킬 수 있는 투입구멍(251)이 형성되고, 연료개폐판(250)의 전,후 양단부는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이동 시 연료개폐판(250)의 양단부가 각각 관부(242)의 외측면에 접함으로써 연료개폐판(250)이 관부(242)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a fuel opening /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겸용 난로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The function and effect of the indoor / outdoor combined firepl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립한 난로(100)의 사용 시는, 연소재인 펠릿을 연소통(200)의 상부에 결합된 연료공급관(240)의 호퍼부(241)로 투입한다. 이때, 연료공급관(240)의 관부(242)에 설치된 연료개폐판(250)에 의해서 호퍼부(241) 내에는 많은 양의 펠릿이 공급되어 있어도 된다.When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연료공급관(240)의 호퍼부(241)로 투입된 펠릿은 호퍼부(241)와 연통된 관부(242)를 통해 연소통(200)으로 공급되는데, 이때 관부(242)에 결합되어 있는 연료개폐판(250)의 개폐량에 따라 연소통(200)으로 공급되는 펠릿의 양이 결정된다. 즉, 도 10의 상부 도면과 같이, 연료개폐판(250)을 좌측으로 인출시키면 연료개폐판(250)의 투입구멍(251)이 관부(242)의 외측에 위치되어 관부(242)의 관로가 완전히 차단되므로 펠릿의 공급이 차단되고, 반대로 도 10의 하부 도면과 같이, 연료개폐판(250)을 오른쪽으로 인출시키면 연료개폐판(250)의 투입구멍(251)과 관부(242)의 관로가 동일선상으로 위치되어 펠릿을 최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e pellets injected into the
이와 같이 공급된 펠릿은 연소통(200) 내에 구비된 상부 연소받침판(210) 위에 적층되어 쌓이게 되고, 이와 같이 많은 양의 펠릿이 상부 연소받침판(210) 위에 쌓이더라도 관부(242)의 하단부에 형성된 요철부(242a)를 통해서 쌓인 펠릿 측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므로 펠릿의 발화가 용이하게 일어나게 된다.The supplied pellets are stacked and stacked on the upper
펠릿의 발화 후에는 더 많은 적정량의 펠릿을 연소통(200)으로 공급하는 한편 본체(110)의 일측 에어구멍(116)(도 11 및 도 12에서 우측 에어구멍)을 개방시키고, 연소통(200) 상부의 공기개폐판(230)을 도 9의 상부 도면 및 도 11과 같이 일방향으로 밀어 공기개폐판(230)의 에어구멍(231a)(232a)과 연소통(200)의 에어구멍(201a)(202a)을 동일선상으로 위치시켜 연소통(200)의 에어구멍(201a)(202a)을 개방시켜 주며(이때 연소통(200) 전면부의 에어구멍(202b)은 폐쇄된다), 상부 격판(112)의 방열구(112a)를 닫고 있던 직열댐퍼(160)를 회전시켜 방열구(112a)를 개방시켜 줌으로써 본체(110)의 연소실(111) 내부로 많은 양의 외부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소실(111)로 공급된 공기가 굴뚝(130)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되는 흐름을 가짐으로써 상부 연소받침판(210) 위에 쌓인 펠릿의 발화 및 연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After the ignition of the pellets, a larger amount of pellets is supplied to the
이후, 펠릿의 연소 시에는 도 12에서와 같이, 직열댐퍼(160)를 역회전시켜 개방되어 있던 상부 격판(112)의 방열구(112a)를 닫고, 개방된 본체(110)의 에어구멍(116)과 연소통(200)의 상면(201)과 양 측면부의 에어구멍(201a)(202a)을 닫는 한편 연소통(200) 전면부의 에어구멍(202b)은 개방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량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펠릿의 연소를 지연시켜 장시간 동안 연소되게 한다.12, when the pellet is burned, the heat-releasing
한편, 상기와 같이 연소되는 펠릿은 다수의 배출구(211)(212)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연소받침판(210) 위에서 연소되고, 연소 중이거나 또는 연소된 펠릿이 상부 연소받침판(210)의 배출구(211)(212)를 통해 하부 연소받침판(220) 위로 떨어져 재연소된 후, 하부 연소받침판(220)의 다수의 배출구(221)(222)를 통해 연소실(111)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연소받침판(210)(220)에서 연소되는 펠릿은 각 연소받침판(210)(220)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구(211)(212)(221)(222)를 통해 공기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연소효율이 향상될 뿐 아니라 펠릿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은 각 연소받침판(210)(220)의 배출구(211)(212)(221)(222)를 통해 하부로 전달되는데, 특히 대부분의 연소열이 하부 연소받침판(220)의 중앙부에 형성된 큰 직경의 배출구(221)를 통해 배출되어 하부 격판(113)의 방열구(113a)를 통해 연소실(111)의 하부 통로로 유입되어 연소실(111)을 순환하면서 굴뚝(130)을 통해 배출되므로 난로(100)의 난방면적이 극대화되어 효율적인 난방을 이룰 수 있게 된다.The burned pellets are burned on the upper
그리고, 굴뚝(130)으로 고온의 열을 직접 공급하고자 할 시는 도 11에서와 같이, 본체(110) 내부에 횡설된 상부 격판(112)의 방열구(112a)를 막고 있는 직열댐퍼(160)를 조작레버(161)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방열구(112a)를 개방시킴으로써 연소실(111)의 하부 통로를 유동하는 연소열을 곧바로 굴뚝(130) 내부로 유입시켜 고온의 열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제공되는 고온의 열을 이용하여 음식을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directly supply high-temperature heat to the
물론, 이와 같이 굴뚝(130)으로 고온의 열을 공급하고자 할 시는, 굴뚝(130)과 인접한 본체(110) 일측의 에어구멍(114)(도 11 및 도 12의 좌측 에어구멍)을 개방시켜 열기의 흐름을 빠르게 형성하여 고온의 열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Of course, in order to supply high-temperature heat to th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난로
110 : 본체
111 : 연소실
112,113 : 격판
112a,113a : 방열구
114,116 : 에어구멍
115,117 : 개폐판
118 : 가이드레일
119 : 가림판
120 : 연소통
121 : 상판
121a : 투입구
121b : 에어구멍
121c : 안내관
122,123 : 연소망
123a : 연통구
124 : 회전판
124a : 결합구
124b : 에어구멍
125 : 레버
130 : 굴뚝
131 : 받침대
140 : 지지바
150 : 팬
160 : 직열댐퍼
161 : 조작레버
200 : 연소통
201 : 상면
202 : 측면
201a,202a,202b : 에어구멍
210,220 : 연소받침판
211,212,221,222 : 배출구
230 : 공기개폐판
231 : 상면
232 : 측면
231a,232a : 에어구멍
240 : 연료공급관
241 : 호퍼부
242 : 관부
242a : 요철부
250 : 연료개폐판
251 : 투입구멍100: stove 110: main body
111:
112a, 113a:
115, 117: open / close plate 118: guide rail
119: Screening plate 120:
121:
121b:
122, 123:
124: Rotating
124b: air hole 125: lever
130: chimney 131: pedestal
140: support bar 150: fan
160: Direct damper 161: Operation lever
200: communication pipe 201: upper surface
202:
210, 220:
230: air opening / closing plate 231: upper surface
232:
240: fuel supply pipe 241: hopper part
242:
250: fuel open / close plate 251: input hole
Claims (13)
본체의 연소실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한편 그 내부에 연소재가 투입 공급되어 연소되는 연소통;
본체의 연소실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연소실 내의 열을 배출시키는 굴뚝; 및
본체의 연소실 내에 구비되어 연소통과 굴뚝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직열댐퍼:를 포함하는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A main body having a combustion chamber provided therein and an air hole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 combustion chamber which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main body and into which a combustion material is injected and combusted;
A chimney communicating with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main body to discharge heat in the combustion chamber; And
And a direct heat damper provided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a flow path of the combustion-passing chimney: a wood pellet combined indoor and outdoor stove.
본체 내부의 연소실에는 연소실을 여러 공간으로 연통되게 구획하여 열을 순환시키는 격판이 구비되는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bustion chamber inside the body is equipped with a diaphragm that divides the combustion chamber into a plurality of spaces so as to circulate the heat.
격판에는 연소통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구가 형성되고, 굴뚝에 근접하게 구비된 격판에는 직열댐퍼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해당 격판의 방열구를 개폐시키는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The method of claim 2,
A heat dissipating port is formed in the diaphragm to dissipate the heat of combustion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ipe. A wood pellet indoor / outdoor combined heat stove that opens and closes the heat dissipating port of the diaphragm is provided in the diaphragm provided close to the chimney.
연소통 내에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연소통 내로 공급되는 연소재를 연소실 내에서 부양시킨 상태로 연소시키는 연소망을 더 포함하는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And a burning furnace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go in and out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combusts the burned material suppli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in a state of being flo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연소망은, 연소통의 상면에 걸림되어 구비되는 한편 연소재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와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
상판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외측 연소망; 및
외측 연소망 내에 구비된 상태로 상판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편 상판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연소재가 걸림되어 구비되는 내측 연소망;을 포함하는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The method of claim 4,
An upper plate provid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soft material can be inserted and an air hole through which the air flows;
An outer combustion network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plate; And
And an inner combustion network which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in a state of being provided in the outer combustion network and is hooked with the combustion material injected through the inlet of the upper plate.
상판 상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상판의 투입구와 에어구멍에 대응한 투입구와 에어구멍을 갖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The method of claim 5,
And a rotary plate provided rotatably on the upper plate and having an inlet and an air hole corresponding to the inlet and the air hole of the upper plate.
내측 연소망에는 본체의 에어구멍과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연소재 측으로 직접 공급하는 연통구가 구비되는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The method of claim 5,
The inner furnace network has a communicating port which is connected to the air hole of the main body and directly supplies the outside air to the soft material side.
연소통 내에 구비되어 연소재를 연소실 내에서 부양시킨 상태로 연소시키는 연소받침판을 더 포함하는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Further comprising a combustion platen provided in the combustion cylinder and burning the burned material in a state in which the burned material is flo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연소받침판은 연소통 내에 상하로 적층되게 구비되고,
상부 연소받침판은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장공의 배출구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편 장공의 배출구와 이격된 외측단부에는 정원의 배출구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부 연소받침판은 그 중앙부에 정원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한편 가장자리부에는 가장자리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장공의 배출구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The method of claim 8,
The combustion supporting plate is stacked vertically in the combustion cylinder,
In the upper burning support plate, a discharge port of a long hole whose diameter in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edg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a discharge port of the garden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outer end remote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long hole,
The lower burning bed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of the garden at the center of the lower burner plate, while the edge of the lower burner plat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a discharge hole of a long hole whose diameter increases from the edge to the center.
연소통의 상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기개폐판이 구비되고,
연소통과 공기개폐판의 상면과 측면에는 개폐판의 이동에 따라 개폐되는 각각의 에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The method of claim 8,
An air opening / closing plate movably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ylinder,
The upper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combustion-passing air opening / closing plate are provided with respective air holes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연소통에는 연소통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연료공급관; 및
연료공급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연료공급관의 관로를 개폐시키는 연료개폐판;이 더 포함되는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The method of claim 8,
A fuel supply pipe provided through the combustion pipe; And
And a fuel opening / closing plate movably coupled to the fuel supply pipe to open / close the duct of the fuel supply pipe.
연소받침판과 마주하는 연료공급관의 단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The method of claim 11,
A wood pellet combined with indoor and outdoor stoves in which a concave port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uel supply pipe facing the combustion bed.
본체에는 본체의 각 코너부위에 착탈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바가 구비되는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upport bar that is detachably screwed to each corner of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main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9672A KR101782594B1 (en) | 2015-03-03 | 2015-03-03 | stov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9672A KR101782594B1 (en) | 2015-03-03 | 2015-03-03 | stov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6931A true KR20160106931A (en) | 2016-09-13 |
KR101782594B1 KR101782594B1 (en) | 2017-09-27 |
Family
ID=5694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9672A KR101782594B1 (en) | 2015-03-03 | 2015-03-03 | stov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259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28094B1 (en) | 2022-06-21 | 2023-05-02 | 박미영 | Fireball for camping stov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2045B1 (en) * | 2018-05-11 | 2020-02-26 | 신영변 | A stov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5283Y1 (en) | 1999-12-31 | 2000-06-15 | 김영보 | A burner-cap which enables to be used a burner as a heater |
KR200432469Y1 (en) | 2006-09-18 | 2006-12-04 | 김성기 | Portable gas stove and burn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0464B1 (en) * | 2013-04-18 | 2014-04-04 | 이동석 | Downward burning stove having both the oven room |
KR101479579B1 (en) | 2013-10-17 | 2015-01-06 | 유인규 | The pellet stove |
-
2015
- 2015-03-03 KR KR1020150029672A patent/KR10178259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5283Y1 (en) | 1999-12-31 | 2000-06-15 | 김영보 | A burner-cap which enables to be used a burner as a heater |
KR200432469Y1 (en) | 2006-09-18 | 2006-12-04 | 김성기 | Portable gas stove and burn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28094B1 (en) | 2022-06-21 | 2023-05-02 | 박미영 | Fireball for camping stov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2594B1 (en) | 2017-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24208A (en) | Portable stove | |
US10627112B2 (en) | Combustion apparatus | |
US4730597A (en) | Biomass stove | |
KR101486050B1 (en) | Pellet stove | |
KR101675992B1 (en) | Stove air circulation system | |
KR101847726B1 (en) | Portable Burner | |
KR101134044B1 (en) | Firewood and pellet combination stove | |
KR101392216B1 (en) | Boiler or stove using solid fuel | |
KR101782594B1 (en) | stove | |
KR101622312B1 (en) | Stove | |
US20080035137A1 (en) | Combustion apparatus | |
US20150345797A1 (en) | Small, High Efficient Wood Stove | |
KR101554638B1 (en) | Stove | |
KR20160045431A (en) | Pellet Stove | |
KR102560015B1 (en) | pellet stove | |
KR102528094B1 (en) | Fireball for camping stove | |
KR20150140881A (en) | The firewood boiler equip indoors | |
KR20150118692A (en) | a portable korean underfloor heating boiler | |
KR102246390B1 (en) | Hot Wind Stove for Camping | |
KR20200002575U (en) | Stove for outdoor | |
KR102690053B1 (en) | Multi-purpose stove that induces complete combustion | |
KR20130120429A (en) | Non-powered pellit combustion apparatus | |
KR102520232B1 (en) | Stove | |
KR20190043287A (en) | heating use as and a fire pot | |
JP2010230186A (en) | Pellet stove and combustion case for firewood used for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