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069A -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05069A KR20160105069A KR1020150028277A KR20150028277A KR20160105069A KR 20160105069 A KR20160105069 A KR 20160105069A KR 1020150028277 A KR1020150028277 A KR 1020150028277A KR 20150028277 A KR20150028277 A KR 20150028277A KR 20160105069 A KR20160105069 A KR 201601050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bolt
- aiming
- plate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7—Attachment thereof
-
- F21S48/142—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5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moving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 F21S48/1742—
-
- F21S48/1768—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 F21W2101/10—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끼워져 에이밍볼트에 의해 슬라이딩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줄이는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곳에서 외부를 환하게 비추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전조등(headlamp) 및 미등(taillamp)이 설치되어 있으며, 주변 자동차 운전자에게 차선변경 및 주행방향을 알려 주거나, 긴급상황을 알려주기 위한 방향지시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에서 상기 전조등은, 빛을 멀리 비추어서 시야를 확보하는 하이빔모드와, 빛을 낮게 비추어서 전방을 주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 및 대항차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는 로우빔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전조등 즉, 헤드램프에는 그 전방 조사각도를 조정하여 운전자의 시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이밍 조정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이밍 조정장치는 헤드 램프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끼워져 결합되는 다수개의 피봇과, 상기 다수개의 피봇 중에 일부 피봇은 피봇점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할 수 있는 반면에 나머지 피봇은 다른 피봇점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는 다수개의 리테이너 및, 상기 헤드 램프의 전방 조사각도를 직접 조정할 수 있는 에이밍 볼트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헤드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의 떨림 및 소음 발생을 줄이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끼워져 에이밍볼트에 의해 슬라이딩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에이밍볼트의 회전 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 및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소가 형성되어, 서로 슬라이딩되도록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는 복수개소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워진 상기 돌출부 중 적어도 한 개소를 기준으로 상기 램프모듈이 회전할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상기 에이밍볼트의 회전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이밍 볼트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제 1에이밍볼트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를 상, 하로 회전시키고, 제 2에이밍볼트에 의해 슬라이딩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에이밍볼트의 작동시 회전시키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에이밍볼트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결합부에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램프 모듈의 작동에 따른 진동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램프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의 떨림 및 회동시 발생하는 소음 등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헤드램프 장치를 나나태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헤드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램프 장치를 나나태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헤드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헤드램프 장치를 나나태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헤드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와, 도 4는 도 3의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바람직한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브라켓(10)과, 브라켓(10)에 장착되는 프레임(20) 및 프레임(20)에 에이밍볼트로 결합되어 에이밍볼트의 회전으로 프레임(20)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 플레이트(5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헤드램프 장치를 나나태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헤드램프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와, 도 4는 도 3의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여기서, 헤드램프 장치에 대한 설명은 차량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방향에서 우측 램프 즉, 차량 운전자의 시야에서 좌측 헤드램프를 예로 설명한다.
램프 모듈(1)은 반도체 발광 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을 전방으로 조사시키는 미도시된 리플렉터 및 렌즈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프로젝션 타입의 램프 모듈에서 리플렉터는 반도체 발광 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을 전방으로 조사시키며 조사된 빛을 전방의 일 지점에 모이도록 할 수가 있다. 리플렉터를 타원으로 형성하고, 반도체 발광 소자를 타원 형상의 리플렉터의 일 초점에 위치하도록 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은 리플렉터에서 반사되어 다른 일 초점의 위치에 모일 수가 있다. 반사된 빛이 모이는 다른 일 초점의 위치에는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빛의 일부를 차단시키는 쉴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가 있다. 렌즈는 쉴드(미도시)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빛을 외부로 통과시킨다.
브라켓(10)에는 램프모듈(1)이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회동하며 차량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게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브라켓(10)에는 램프모듈(1)이 장착된 플레이트(50)가 고정된 프레임(20)이 설치된다.
프레임(20)은 브라켓(10)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프레임(20)은 제 1 프레임(20)과 제 2 프레임(20)이 구비되어 제 1프레임(20)이 브라켓(10)의 상측에서 가로로 길게 장착되고, 제 2프레임(40)은 브라켓(10)에서 세로로 수직되게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프레임(20)은 양측단에 플레이트(50)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홈 또는 홀 형태의 가이드 레일(23,26)이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홈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설명한다. 또, 제 2 프레임(20)은 플레이트(50)가 결합되어 좌, 우측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브라켓(10)에 설치된다. 제 1, 2 프레임(20)에는 각각 에이밍볼트가 설치된 에이밍브라켓(30)이 설치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 2프레임(40)은 에이밍볼트의 작동에 의해 플레이트(5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 제 1프레임(20)에는 에이밍볼트가 설치된 에이밍브라켓(30)이 설치된다.
에이밍볼트는 제 1 프레임(20)에 제 1에이밍볼트가 설치된 에이밍브라켓(30)이 되고, 제 2 프레임(20)에 제 2에이밍볼트(45)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 1프레임(2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23,26)의 일측에 제 1에이밍볼트(미도시)가 결합된다. 또, 제 2프레임(40)을 통하여 제 2에이밍볼트(45)가 결합되어 플레이트(50)를 회동시키게 되며, 이때, 가이드 레일(23,26)의 타측 즉, 제 1에이밍볼트가 설치된 일측의 반대측을 중심으로 플레이트(50)가 피봇되어 회동한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23,26)은 제 1프레임(20)의 양측에서 돌출부(53a,56a)가 끼워지는 가이드홈(23a,26a)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즉, 가이드 레일(23,26)은 일측의 제 1가이드 레일(23)과, 타측의 제 2가이드 레일(26)에는 후술할 플레이트(50)의 제 1돌출부(53a)와 제 2돌출부(56a)가 끼워진다.
또, 제 1가이드 레일(23)은 제 1에이밍볼트(미도시)가 설치된 에이밍브라켓(30)이 끼워지고, 제 2가이드 레일(26)은 볼트 또는 핀등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제 1프레임(20)에 고정되어, 제 2에이밍볼트(45)의 작동시 회전 중심으로 플레이트(50)가 피봇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프레임(20)의 가이드 레일(23,26)에는 플레이트(50)의 돌출부(53a,56a)가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결합된다.
가이드레일(23,26)에는 후술할 돌출부(53a,56a)가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된다. 가이드레일(23,26)은 돌출부(53a,56a)가 끼워져 지지되도록 개구된 일측의 단부가 돌출부(53a,56a)를 일부 감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레일(23,26)은 프레임(20)에 돌출부(53a,56a)가 전, 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끼워지고, 가이드레일(23,26)의 단부에는 돌출부(53a,56a)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방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50)에는 빛을 조사시키는 램프모듈(1)이 장착되어 프레임(20)에 설치된다. 이때, 플레이트(50)는 에이밍볼트의 회전 시 슬라이딩되도록 프레임(20)과 결합된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플레이트(50)에는 에이밍볼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결합부에는 각각 돌출부가 형성된다. 결합부는 플레이트(50)의 외둘레에서 돌출부가 가이드 레일(23,26)에 끼워지도록 복수개소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부는 에이밍브라켓(30)이 결합되는 제 1결합홀(53)과, 플레이트(50)가 회동할 수 있도록 피봇 중심이 되는 제 2결합홀(56)과, 제 2에이밍볼트(45)가 연결된 제 2프레임(40)이 결합되는 제 3결합홀(59)이 형성된다. 제 1결합홀(53)과, 제2 결합홀(56)에는 가이드레일(23,26)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돌출부(53a,56a)가 각각 형성된다.
돌출부(53a,56a)는 플레이트(50)가 가이드 레일(23,26)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홈(23a,26a)에 끼워져 에이밍볼트로 작동으로 슬라이딩된다. 돌출부(53a,56a)는 플레이트(50)가 에이밍볼트에 의해 고정시 가이드 레일(23,26)을 향하여 돌출된다. 따라서, 돌출부(53a,56a)는 제 1결합홀(53)의 외부에서 제 1가이드레일(23a)을 향하여 돌출되어 제 1가이드레일(23a)에 끼워지고, 제2 돌출부(56a)는 제 2가이드레일(26a)을 향하여 돌출되어 제 2가이드레일(26a)에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램프모듈(1)을 플레이트(50)에 고정시킨 뒤, 프레임(20)의 가이드 레일(23,26)에 맞춰 플레이트(50)의 돌출부(53a,56a)를 슬라이딩 삽입시키고, 제 2프레임(40)에 결합시켜, 제 2에이밍볼트(45)에 제 2프레임(40)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제 1프레임(20)을 브라켓(10)에 장착하여 고정시킨 뒤, 에이밍볼트를 브라켓(10)의 후측, 즉, 제 1, 2프레임(20)이 장착되는 반대편으로부터 제 1, 2프레임(20)이 장착되는 편으로 에이밍볼트를 통과시킨다.
즉, 에이밍브라켓(30)을 램프모듈(1)이 상,하 측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제 1프레임(20)의 제 1가이드레일(23a)과 근접하여 통과시킨 뒤, 제 1결합부(53)와 결합시킨다. 또, 제 2에이밍볼트(45)가 결합된 제 2프레임(40)을 제 3결합홀(59)에 결합시켜 램프모듈(1)이 좌, 우 측방으로 회동시키게 한다.
이때, 제 2가이드레일(26a)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제 2돌출부(56a)로부터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제 2결합부(56)가 제 2에이밍볼트(45)에 의해 램프모듈(1)의 회동시 좌, 우 측방으로 회동시 피봇될 수 있는 기준점이 된다. 여기서, 제 2결합홀(56)에는 볼트 또는 핀 등에 의해 피봇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고정이 된다.
따라서, 도 4의 (a)에서와 같이, 제 1에이밍볼트의 작동으로 에이밍브라켓(30)이 가이드 레일(23,26)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램프 모듈(1)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 하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다.
또, 도 4의 (b)에서와 같이, 제 2에이밍볼트(45)를 작동시켜 제 2프레임(40)이 플레이트(50)를 제 2결합홀(56)을 중심으로 플레이트(50)가 피봇되면서 램프모듈(1)에서의 빛이 좌, 우방향으로 조사된다.
이에 따라, 램프 모듈(1)의 작동에 따른 진동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램프모듈(1)에서 조사되는 빛의 떨림 및 회동시 발생하는 소음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브라켓
20: 프레임
30: 에이밍볼트 40: 플레이트
30: 에이밍볼트 40: 플레이트
Claims (10)
-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에이밍볼트로 결합되어 상기 에이밍볼트의 회전으로 상기 프레임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에이밍볼트의 회전 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및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소가 형성되어, 서로 슬라이딩되도록 끼워지는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복수개소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워진 상기 돌출부 중 적어도 한 개소를 기준으로 상기 램프모듈이 회전하는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상기 에이밍볼트의 회전으로 슬라이딩되는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 볼트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제 1에이밍볼트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를 상, 하로 회전시키고, 제 2에이밍볼트에 의해 슬라이딩되도록 회전하는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에이밍볼트의 작동시 회전시키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에이밍볼트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결합부에 형성된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8277A KR102339519B1 (ko) | 2015-02-27 | 2015-02-27 |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8277A KR102339519B1 (ko) | 2015-02-27 | 2015-02-27 |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5069A true KR20160105069A (ko) | 2016-09-06 |
KR102339519B1 KR102339519B1 (ko) | 2021-12-16 |
Family
ID=5694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8277A KR102339519B1 (ko) | 2015-02-27 | 2015-02-27 |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9519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19444A (ja) * | 1987-11-04 | 1989-05-11 | Koito Mfg Co Ltd | 車両灯具用ハウジング |
JP2011207252A (ja) * | 2010-03-29 | 2011-10-20 | Koito Mfg Co Ltd | 車輌用前照灯 |
KR20120115099A (ko) * | 2011-04-08 | 2012-10-17 |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 차량용 전조등 |
KR20140020654A (ko) * | 2012-08-10 | 2014-02-19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자동차의 조명장치 |
JP2014132546A (ja) * | 2012-12-04 | 2014-07-17 | Koito Mfg Co Ltd | 車両用照明装置 |
KR20160009377A (ko) * | 2014-07-16 | 2016-01-26 | 에스엘 주식회사 | 차량용 램프 |
-
2015
- 2015-02-27 KR KR1020150028277A patent/KR1023395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19444A (ja) * | 1987-11-04 | 1989-05-11 | Koito Mfg Co Ltd | 車両灯具用ハウジング |
JP2011207252A (ja) * | 2010-03-29 | 2011-10-20 | Koito Mfg Co Ltd | 車輌用前照灯 |
KR20120115099A (ko) * | 2011-04-08 | 2012-10-17 |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 차량용 전조등 |
KR20140020654A (ko) * | 2012-08-10 | 2014-02-19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자동차의 조명장치 |
JP2014132546A (ja) * | 2012-12-04 | 2014-07-17 | Koito Mfg Co Ltd | 車両用照明装置 |
KR20160009377A (ko) * | 2014-07-16 | 2016-01-26 | 에스엘 주식회사 | 차량용 램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9519B1 (ko) | 2021-1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338337B (zh) | 车辆用灯具 | |
JP3964089B2 (ja) | 車両用前照灯 | |
JP5345014B2 (ja) | 車両用灯具 | |
US11370351B2 (en) | Aiming adjustment method for vehicle headlamp, aiming adjustment mechanism for vehicle headlamp and vehicle headlamp | |
EP3181994A1 (en) | Vehicle headlight | |
US7575353B2 (en) | Drum-type movable light shielding plate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 |
US20170276312A1 (en) | Vehicle lamp and vehicle having the vehicle lamp | |
EP2543927B1 (en) | Vehicle headlamp | |
JP6506944B2 (ja) |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 |
KR20120063386A (ko) | 차량용 헤드램프 | |
JP2018032618A (ja) | 可撓性ブレーシング要素でピン留めされる光学素子を有する車両照明装置 | |
JP4257675B2 (ja) | 車両用前照灯 | |
JP2012162105A (ja) | 車両用前照灯装置 | |
US7600904B2 (en) | Vehicle headlamp | |
KR102414208B1 (ko) | 자동차의 조명장치 | |
KR20160105069A (ko) |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 |
US20160312971A1 (en) | Vehicle lighting fixture | |
JP6825308B2 (ja) | 車両用灯具 | |
KR200483426Y1 (ko) | 차량용 램프 | |
EP3705777B1 (en) | Vehicle lamp | |
KR20150107177A (ko) | 차량용 램프 | |
JP4341538B2 (ja) | ヘッドランプ | |
KR102393010B1 (ko) | 광학장치 | |
CN109073185B (zh) | 用于车辆的前照灯 | |
KR20160036318A (ko) | 헤드램프 에이밍 어셈블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