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580A - Vehicle compris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Vehicle compris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6580A KR20160096580A KR1020160099372A KR20160099372A KR20160096580A KR 20160096580 A KR20160096580 A KR 20160096580A KR 1020160099372 A KR1020160099372 A KR 1020160099372A KR 20160099372 A KR20160099372 A KR 20160099372A KR 20160096580 A KR20160096580 A KR 201600965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unit
- main display
- center panel
- vehicle
- display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3195 fascia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06 ci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3 conditio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24 eye m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37 neck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45 search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 B60K37/0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 B60K2350/35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어 탑승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ncluding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mounted on a vehicle and including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to an occupant.
차량의 운전석 주변에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A display device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may be installed around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발지에서 목적지로의 경로에 대한 정보나, 현재의 차량의 위치 등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악이나 동영상을 재생하거나 지상파 방송 또는 위성 방송을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으며, 또한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 날씨나 뉴스 등과 같은 같은 사용자 편의를 위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can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route from the departure location to the destinati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can reproduce music or moving images, receive terrestrial broadcasts or satellite broadcasts and display them on the screen, and can als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the vehicle, information for user convenience such as weather and news have.
종래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페시아에 단일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나타낼 수 있는 정보가 다양해 지고,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여 정보 입력이 가능해지면서 보다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Conventional vehicle display devices generally have a single display installed in the center pace. On the other hand, information tha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is diversified, and information input is possible by touching the display unit, so that a larger-sized display is required.
최근에는 이러한 요구에 응답하여 듀얼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페시아의 상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는 내비게이션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는 영상 및 음악 기능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recent years, a display device having a dual display unit has been introduced in response to such a demand. In such a display device, a display unit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enter fascia is used for navigation purposes, and a display unit located at a lower portion is generally used for an image and music function.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구조는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는 정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차량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데는 부족함이 있다. 또한, 서로 분리된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기 때문에 대화면에 정보를 표기하는 데 부족하다.However, such a display structure is limited in that information that can be displayed on each display unit is limited, so that it is not sufficient to display necessa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vehicle. Further, since the display is provided with areas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insufficient to display information on a large screen.
한편, 센터페시아 영역 대부분을 차지하는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장치도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주행 중 내비게이션을 표시할 때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서 벗어난 위치에 내비게이션이 표시되어 주행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센터페시아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외한 장치를 설치할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우선 순위가 높은 기능들을 부여할 수 있는 공간(예를 들어, 비상등 스위치나 공조기 스위치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데 제약이 크다. 뿐만 아니라, 차량의 인테리어를 조악하게 하여 미적 감각을 훼손시킨다.On the other hand, a device having a large display portion occupying most of the center fascia area is also presented. However, when navigation is displayed while driving, the navigation is displayed at a position deviating from the driver's gaze direction, thereby posing a problem of threatening the safety of driving.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t enough space in the center fascia to install a device other than the display device,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pace capable of giving priority functions (for example, a space for installing an emergency light switch or an air conditioner switch) The constraints are great. In addition, it damages the aesthetics by mak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rough.
따라서, 대화면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나타내면서도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while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using a large screen.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0328호에는 차량 내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60328 discloses an in-vehicle display and an operating device.
본 발명은 센터페시아에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부를 적용할 수 있으면서도 정차 시와 운행 시에 탄력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including a display unit which can be applied to a display unit on a large screen in a center fascia, and which can be flexibly used at the time of stopping and runn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센터페시아 전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너비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는 센터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센터페시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센터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센터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main display unit installed on a front face of a center fascia of a vehicle and displaying an image, and a center panel provided to cross the main display unit in a width direction and dividing a display area of the main display unit And the main display unit includes a display device that is ver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fascia, wherein the main display unit includes an upper display unit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panel, and a lower display unit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panel, And the display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vehicle including a display device capable of moving the main display part up and down to adjust a display area of the upper display part and the lower display part.
상기 센터 패널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The center panel may be provided with a vehicle including a display device which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djust a display area of the upper display part and the lower display part.
상기 센터 패널이 하강하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센터 패널에 의해 상부 디스플레이부와 하부 디스플레이부로 분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And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main display part is divided into the upper display part and the lower display part by the center panel while the center panel is lowered.
상기 센터 패널은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양 측부에 위치하는 레일에 가이드 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The center panel may be provided with a vehicle including a display device which is guided by a rail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main display portion and moves up and down.
운전석 전방의 대시보드에 설치되는 클러스터와, 조수석 전방의 대시보드에 설치되는 조수석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터 패널은 상기 클러스터와 상기 조수석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되는 레일에 가이드 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A cluster installed on a dashboar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and a passenger-seat display portion provided on a dashboard in front of the passenger's seat, wherein the center panel is guided by a rail provided on the cluster and the passenger- A vehicle including an apparatus can be provided.
상기 센터 패널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고,Wherein the center panel is positioned to be spaced forward of the main display unit,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하부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기 보다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기가 더 크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The main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that is provided such that the slop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larger when the main display unit is moved upward than the slop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main display unit is moved downward.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센터페시아의 상단부 보다 상향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The main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that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enter pacecaster while being moved upward.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터 패널은 하강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터 패널은 상승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The center panel may be lowered when the main display unit moves upward, and the display panel may be raised when the main display unit moves downward.
상기 센터 패널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센터 패널의 이동에 의해 다른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The center panel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with a vehicle including a display device provided to display other contents by movement of the center panel.
상기 센터 패널에는 하드 키 또는 물리 키가 마련되고, 상기 하드 키 또는 물리 키는 상기 센터 패널의 이동에 의해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The center panel may be provided with a hard key or a physical key, and the hard key or the physical key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a different function by the movement of the center pane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은 센터 패널을 이동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 크기를 조절하거나,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분할할 수 있다.The vehicle includ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of the main display part or divide the main display part by providing the center panel movably.
또한, 차량이 정지 중인 상태에서는 보다 큰 화면을 제공하고, 차량이 운행 중인 상태에서는 운전자의 전방 시선 방향에 가까운 방향에 내비게이션이 표시될 수 있는 영역을 분할하거나 보다 큰 화면에 내비게이션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larger screen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is stopped and to divide an area where navigation can be displayed in a direction close to the front sight direction of the driver when the vehicle is in operation or to display the navigation on a larger screen can do.
또한, 센터 패널에 우선 순위가 높은 기능이나 콘트롤을 표출할 수 있다.In addition, high priority functions and controls can be displayed on the center panel.
또한, 센터 패널의 이동과 함께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이동하는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면서도 물리적으로 디스플레이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분할 수 있고, 구분되는 영역에 각각 다른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in display unit moves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center panel, the display unit can be physically divided in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using one display unit, and different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divided regions, thereby increasing the usability.
도 1과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운전석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센터 패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동작하는 경우 운전자의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각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동작하는 경우 운전자의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각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과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9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보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하우징이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 and 3 show an internal structure of a vehicle having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operation state of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operation state of the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viewed from a driver's seat.
4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operation view of the main display device.
5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operation view of the main display device.
6 is a plan view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center panel.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driver's line of sight and the screen angle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main display apparatus is operated for the first time.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driver's gaze direction and the screen angle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main display apparatus performs the second operation.
9 and 10 show an operation of a mai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operation state of the main display device, and FIG.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operation state of the vehicular display devic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display device is viewed from behind.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ousing is tilably connected.
13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operation state of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operation state of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소개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형태로도 구체화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 등을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only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may omit the parts of the drawing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and the like may be somewhat exaggerat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도 1과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운전석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 and 5 show an internal structure of a vehicle having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as viewed from the driver's seat. 4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operation view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동차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vehicle. Hereinafter,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an automobi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여기서 차량은 인간, 물건 또는 동물 등과 같은 피운송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 하는 차량, 바다나 강 위로 이동하는 선박 및 공기의 작용을 이용하여 창공을 비행하는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vehicle refers to various devices that move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such as a person, an object, or an animal. Vehicles may include vehicles that run on roads or tracks, ships that move over the sea or river, and airplanes that fly through the sky using the action of air.
또한,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차륜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 건설기계, 이륜 자동차, 원동기 장치, 자전거, 및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 vehicle running on a road or a track can mov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at least one wheel, and can be used for driving a three- or four-wheeled vehicle, a construction machine, a two- wheeled vehicle, a prime mover, a bicycle, It can include trains.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차체의 전방 측 내부는 전방에 마련되는 전면 윈도우 글래스(50)와, 양 측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면 윈도우 글래스(51)와, 전면 윈도우 글래스(50)와 측면 윈도우 글래스(51)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필러(18)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하, 차량의 후방 측 내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1 and 2, the front inside of the vehicle body includes a
차체의 내장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0)와, 대시보드(20)와, 대시보드(20) 상에 배치되는 클러스터(21)와, 차량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24)과, 오디오 장치 또는 공조 장치의 조절판이 배치될 수 있는 센터페시아(30)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하는 기어 박스(40)와, 기어 박스(40) 후방에 위치하고 운전자가 팔을 거치할 수 있는 암 레스트(41)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ior of the vehicle body includes a
시트(21)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 동승자가 앉는 조수석, 차량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종류에 따라 조수석과 뒷자석의 유무 유무 및 뒷자석의 배치와 열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The
클러스터(21)는 운전자가 주행 중에 시선의 이동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상태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스티어링 휠(24)의 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클러스터(21)에는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및/또는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또한, 클러스터(21)는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식의 클러스터는 차량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The
스티어링휠(24)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 및 차량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에는 차량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버튼 등이 형성될 수 있다.The
센터페시아(30)는 대시보드(20) 중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하고, 오디오 장치, 공조 장치, 및 시트의 히터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센터페시아(30)에는 송풍구, 시거잭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터페시아(25)에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는 단말 장치,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장치와 내비게이션 장치는 AVN(Audio-Video-Navigation) 장치로서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The
오디오 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오디오 장치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의 조작패널에 형성된 버튼들은 라디오 모드의 수행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들과, 미디어 모드의 수행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들과, 두 모드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버튼들로 나뉠 수 있다.The audio apparatus includes an operation panel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The audio device may provide a radio mode for providing radio functions and a media mode for reproducing audio files of various storage media containing audio files. The buttons formed on the operation panel of the audio apparatus may be divided into buttons providing functions relating to the execution of the radio mode, buttons providing functions related to the execution of the media mode, and buttons commonly used in the two modes .
내비게이션 장치는 다수의 위성위치확인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을 통해 위성들로부터 위치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현재 차량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를 지도에 맵 매칭(Map Matching)시켜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경로탐색 알고리즘에 따라 계산된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탐색을 수행하고, 탐색된 경로를 지도에 매칭시켜 표시하고, 경로를 따라 사용자를 목적지까지 안내하는 장치로, 차량의 센터페시아(30)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는 대시보드(22) 상에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The navigation device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from satellites through a plurality of global positioning syste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GPS"), calculat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maps the calculated position to a map Matching), displays a destination, receives a destination from a user, performs a route search from a current location calcul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oute search algorithm to a destination, displays the search route by matching with the map, And can be embedded in the
공조 장치는 차량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로, 차량의 센터페시아(30)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조 장치는 공조된 바람을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maintain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comfortably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humidity, cleanliness of the air, and air flow inside the vehicle. The air conditioner may be embedded in the
기어 박스(40)는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도중에 조작할 필요가 있는 조작 장치들이 위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어 박스에는 차량의 변속을 위한 변속 레버와, 차량의 각종 장치들을 실행하거나, 차량의 제어모듈 또는 제어장치들의 실행여부를 조작할 수 있는 입력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입력장치는 버튼, 노브, 또는 터치 인식부 등의 다양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The
차량은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확인하고 확인된 동작 명령을 전자장치로 출력할 수 있는 제스처 인식부(61, 6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 인식부(61, 62)는 센터페시아(30)와 조수석 측 대시보드(20)에 위치하지만, 이와 다른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포함한다.The vehicle may include a gesture recognition unit (61, 62) capable of recognizing the user's gesture, confirming the ac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gesture, and outputting the confirmed action command to the electronic device. The
한편, 위에 설명한 장치들 이외에도 차량은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전후좌우 차륜 등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devices, the vehicle includes a power generating device, a power transmitting device, a traveling device, a steering device, a braking device, a suspension device, a transmission device, a fuel device,
또한, 차량은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안정장치는 차량 충돌 시 운전자 등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차량자세 안정 제어 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 여러 종류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various safety devices for the safety of the driver and the occupant. The stabilizer of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airbag control devices for the purpose of safety of the passengers such as the drive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nd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ESC) of the vehicle at the time of acceleration or cornering of the vehicle .
또한, 차량은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실내/외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전후좌우 휠의 속도를 감지하는 휠 속도 센서,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요 레이트를 감지하는 요레이트 센서, 차량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등의 검출부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vehicle includes a proximity sensor for detecting obstacles or other vehicles on the rear or side, a rain sensor for detecting precipitation and precipitation,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indoor / outdoor temperature, a wheel speed sensor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front, An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acceleration, a yaw rate sensor for detecting the yaw rate, and a gyro sensor for detecting the posture of the vehicle.
이러한 차량은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여러 가지 안전 장치 및 각종 센서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한다.Such a vehicle includes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that controls driving of a power generating device, a power transmitting device, a traveling device, a steering device, a braking device, a suspension device, a transmission, a fuel device, ).
또한, 차량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공조장치, 조명 장치, 내비게이션 장치, 시트의 히터(즉, 열선), 핸즈프리 장치, GPS, 오디오 장치 및 블루투스 장치, 후방 카메라, 외부 단말기의 충전 장치, 또는 하이패스 장치 등의 전자장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can be used as an air conditioner, a lighting device, a navigation device, a heater (i.e., a heating wire), a hands-free device, a GPS, an audio device and a Bluetooth device, a rear camera, Pass device, and the like.
또한, 차량은 선루프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선루프 개폐 장치,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어 개폐 장치, 또는 윈도우 글래스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윈도우 글래스 개폐 장치 등의 전자장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may optionally include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sunroof switching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sunroof, a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 closing the door, or a window glass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 closing the window glass .
이러한 차량은 시동모터(미도시)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시동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은 시동 버튼이 온 되면 시동모터(미도시)를 동작시키고 시동 모터의 동작을 통해 동력 발생장치인 엔진(미도시)을 구동시킨다.Such a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start button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to the start motor (not shown). That is, the vehicle operates a starter motor (not shown) when the starter button is turned on and drives an engine (not shown) that is a power generator through operation of the starter motor.
또한, 차량은 내비게이션 장치, 오디오 장치, 실내의 조명 장치, 시동 모터, 및 그 외 전자장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주행 중 자체 발전기 또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한다.Further, the vehicle further includes a battery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supply driving power to the navigation device, the audio device, the lighting device in the room, the starting motor,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Such a battery performs charging using power from the self-generator or the engine while driv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운전석(10) 전방에 마련되는 클러스터(21)와, 조수석 전방에 마련되는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와, 클러스터(21)와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 사이에 마련되는 센터 패널(23)과, 센터페시아(30)에 마련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클러스터(21)와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와 센터 패널(23)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또한, 클러스터(21)와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와 센터 패널(23)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 패널일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화면을 터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아이콘 등을 실행하거나 메뉴를 불러올 수 있다.The display panel used in at least one of the
또한, 클러스터(21)와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와 센터 패널(23)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주변에는 각종 조작장치들이 마련될 수 있다. 조작장치는 버튼, 노브, 터치패드, 또는 제스처 입력센서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버튼을 누르거나, 노브를 돌리거나, 터치패드에 터치 신호를 입력하거나, 손을 휘젓는 등의 제스처를 입력하는 등으로 조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Various operating devices may be provided around the
클러스터(21)에는 운전자가 주행 중에 확인할 필요가 있는 사항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또는 각종 경고등 등이 표시될 수 있다.The
또한, 클러스터(21)에는 지도 및 내비게이션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목적지를 향하는 예상 주행 경로를 방향 표시기호를 통해 간략하게 표시하여 운전자가 주행 중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lso, maps and navig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클러스터가 아날로그 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스터(21)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운행 정보 등을 표현할 수 있다. 일 예로, 타코미터의 바늘 및 게이지와 각종 경고등 아이콘은 디지털 신호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VN(Audio-Video-Navigation)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각종 영상을 표현하거나,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피커와 연결되어 음악을 재생하거나, 내비게이션을 통해 주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클러스터(21) 및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를 포함하여 차량에 설치되는 다양한 영상 및 오디오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차량의 ECU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상태 및 주행에 관련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확인하고, 차량의 기능을 실행하거나 정지하며, 차량의 주행에 관련된 각종 세팅값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공조장치를 실행하여 차량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타이어의 공기압 센서를 통해 측정된 공기압을 표시하거나, 현가장치의 세팅을 조절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nd the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는 조수석 시트 전방에 위치하는 대시보드(20)에 매립되는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passenger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조수석에 탑승한 사람은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해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동일한 영상을 확인하고,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를 조작함으로써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조작할 수 있다.The passenger
또는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별도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차량의 공조장치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에는 영상 또는 음악이 표시될 수 있다.Or the passenger
한편,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 정보가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로 이동하여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클러스터(21)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On the other hand, the passenger
클러스터(21)와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 사이에는 센터 패널(23)이 마련될 수 있다. 센터 패널(23)은 센터페시아(30)의 전방에 설치되고, 센터페시아(30)에 설치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너비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센터 패널(23)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부 영역을 가리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가리는 영역을 줄이기 위해 상하 폭이 좁은 띠 모양일 수 있다.A
탑승자가 바라보는 방향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영역은 센터 패널(23)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분할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별도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도록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센터 패널(23)에 의해 가져지면서 발생하는 분할을 의미한다.The screen area of the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센터 패널(23)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와 센터 패널(23)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플레이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와 하부 디스플레이부(112)에는 서로 다른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에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시되는 동안 하부 디스플레이부(112)에서 오디오, 비디오, 또는 차량 설정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는 운전자가 운전 중 전방을 바라보는 시야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 운행 중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는 대시보드(20)의 상면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및 각종 경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ince the
하부 디스플레이부(112)는 상부 디스플레이부(111) 보다 큰 화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에 관한 정보,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 지도에 관한 정보, 차량이 위치하는 주변에 관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The
한편,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와 하부 디스플레이부(112)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 다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차량의 상태는 정지 또는 주차 중, 정차 중, 및/또는 주행 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는 차량이 정지 또는 주차 중인 경우에는 목적지 설정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에는 현재 위치 주변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경로 안내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디스플레이부(112)는 차량이 정지 또는 주차 중인 경우에는 차량의 설정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에는 현재 위치 주변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공조 장치 및 미디어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센터 패널(23)은 센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패널(23)은 센터페시아(30)의 상부에 위치하고,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에 대하여 전방(운전석(10) 방향, 차량에 대하여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시인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센터 패널(23)은 우선 순위가 높은 정보를 표시하거나 우선 순위가 높은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센터 패널(23)은 운전자가 자주 사용하거나 긴급한 상황에 사용해야 하는 기능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시계, 비상등, 공조 장치, 또는 현재 재생중인 미디어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The
또는 센터 패널(23)에는 주행 중 알림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TbT(Turn by Turn)의 변화, 안전주행 내용, 또는 내비게이션의 경고 등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Or the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센터 패널(23)은 중앙에 비상등을 배치하였다. 비상등은 정차 중 및 운행 중에 모두 사용 빈도가 높기 때문에 시인성과 접근성이 우수한 센터 패널(23)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달리 비상등은 센터 패널(23)에 마련되는 하드 키 또는 물리 키로 제공될 수 있다.In the
또한, 센터 패널(23)에 표시되는 기능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표시되는 정보의 위치 설정을 달리 할 수도 있다.Further, the function displayed on the
도 6은 센터 패널(23)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센터 패널(23)에는 디지털 시계, 아날로그 시계, 및/또는 재생 중인 미디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위들의 정보는 동시에 표시되거나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번갈아 가며 표시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센터 패널(23)은 스톱 워치 기능을 제공하거나 오일 온도 또는 냉각수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한편, 센터 패널(23) 주변에는 하드키 또는 물리키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센터 패널(23)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마련되는 영역을 포함하여 클러스터(21)와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를 연결하는 패널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hard key or a physical key may be installed around the
한편, 센터 패널(23)은 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센터 패널(23)과 전후 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의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내용을 탑승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는 센터 패널(23)은 센터 패널(23)과 전후 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의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와 센터 패널(23)과 하부 디스플레이부(112)에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Or the
한편, 센터 패널(23)은 클러스터(21)와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의 사이에 배치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부 일 수 있다. 또는 클러스터(21)와 센터 패널(23) 또는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와 센터 패널(2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또는 클러스터(21)와 센터 패널(23)과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가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일체로 형성된다는 의미는 패널이 일체로 형성되고 패널 위에 각각의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는 것과, 패널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까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까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위치와 나타내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클러스터(21)와 센터 패널(23)과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를 구분할 수 있다.Or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센터페시아(3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센터페시아(30)와 리프트 구조, 암 구조, 또는 링크 구조로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그 밖에 관련 기술 분야에서 상하 방향 이동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이하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센터 패널(23)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센터 패널(23)을 생략하거나 센터 패널(23)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영역을 가리지 않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됨은 당연하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cluding both the
도 1, 도 3, 및 도 4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 때, 제1동작은 메인 디스플레이가 하향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Figs. 1, 3, and 4 show the first operation of the
제1동작 상태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분할되지 않고 센터 패널(23)의 하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센터 패널(23)에 가려지는 영역이 없을 정도로 하부로 이동하거나, 센터 패널(23)에 가려지지만 센터 패널(23)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없을 정도로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단이 센터 패널(23)에 가려질 정도로만 하향 이동한 모습을 도시하였다.In the first operating state, the
여기서 센터 패널(23)의 상측으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탑승자의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상측 일부가 센터 패널(23)의 상측에 노출되어 일부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색상이나 깜빡임 등으로 사용자에게 경고 또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또는 센터 패널(23)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영역에는 아무런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오프 상태와 마찬가지의 검은 화면이 나타나기 때문에 탑승자의 시선이 분산되지 않는다.Or may not display any information in the area of the
제1동작 상태는 전원이 켜졌지만 엔진 시동이 켜지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차량이 주차 중인 상태, 일 예로 운전자가 기어 레버를 P(Parking, 주차)에 놓은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차량이 정차 중인 상태, 일 예로 운전자가 기어 레버를 N(Neutral, 중립)에 놓거나 운전자가 기어 레버를 D(Driving, 운전)에 놓은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일정 시간 이상으로 작동시키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The first operating state may be a state in which the power is turned on but the engine is not turned on. Or the vehicle is parked, for example, the driver has put the gear lever in the parking (P) parking position. Or the vehicle is in a stopped state, for example, the driver is operating the brak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 the gear lever set to N (Neutral) or the driver's gear lever set to D (Driving) .
제1동작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을 주시해야 할 주의 정도가 낮다. 따라서 운전자의 집중을 요하는 상세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동작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 따라서 운전자의 입력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In the first operating state, the degree of caution that the driver should watch the front of the vehicle is low.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isplay detailed information requi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driver, and to provide a wide variety of information. In addition, in the first operating state, the driver does not have difficulty in touching and inputting the
예를 들어, 제1동작 상태에서 센터 패널(23)의 아래에 위치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 영역에는 차량의 설정에 관한 정보, 오디오 및 비디오를 포함하는 다양한 미디어 설정에 관한 정보, 지도 정보, 또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탑승자의 휴대 단말기와 연동되어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도 2와 도 5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 때, 제2동작은 메인 디스플레이가 상향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2 and 5 show a state in which the
제2동작 상태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센터 패널(23)에 의해 분할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메인 디스플레이부(110) 영역 중 센터 패널(23)의 상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라 하고, 센터 패널(23)의 하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하부 디스플레이부(112)라 함은 앞에서 설명한 바 있다.The
센터 패널(23)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와 하부 디스플레이부(112)에 각각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센터 패널(23)의 높이만큼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와 하부 디스플레이부(112)가 떨어져서 위치하기 때문에 시각적인 분리 효과가 탁월하다.The
제2동작 상태는 차량이 주행 중인 상태, 일 예로 운전자가 기어 레버를 D에 놓고 악셀레이터를 작동시키는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운전자가 기어 레버를 D에 놓고 브레이크를 일정 시간 미만으로 작동시키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The second operating state may be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for example, a state in which the driver places the gear lever at D and operates the accelerator. Or the driver is putting the gear lever in D and operating the brake for less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제2동작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을 주시해야 할 주의 정도가 매우 높다. 따라서 운행에 필요한 정보는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할 수 있다.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는 운전자의 전방 시선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안전 운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필요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In the second operating state, the driver is very careful to watch the front of the vehicle. Therefor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can be displayed on the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에는 운전자가 아주 짧은 시선 이동만으로 스캔할 수 있는 간략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심플하고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주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주행 중 알림 표지나 경고 표지를 표시할 수 있다.The
하부 디스플레이부(112)는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시선 이동 거리가 길다. 그러나 상부 디스플레이부(111) 보다 큰 화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동작 상태에서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운전자가 운행 조건을 설정하거나, 공조장치 등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The
또는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되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분기점에 근접하는 경우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되는 경로 표시로는 운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디스플레이부(112)에는 분기점의 확대도와 목표 경로가 표시되어 운전자에게 정확한 경로 정보 전달이 가능할 수 있다.Or the navig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또한, 제2동작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데 안전상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운전자는 제스처를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operating state, the driver tends to have difficulty in touching and inputting the
보통 체형의 운전자는 등을 운전석(10) 등받이에 붙인 상태에서 손을 뻗어도 센터페시아(30)에 닿지 않는다. 따라서 터치 입력을 사용하는 경우 운전자가 운행 중에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조작하기 위해 몸을 앞으로 기울이는 동작을 해야 하는데, 이는 안전 운행을 하는 데 방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운전자가 제스처를 이용하여 동작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등을 운전석(10) 등받이에 붙인 상태에서도 자연스럽게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동작시킬 수 있다.The driver of the normal body does not touch the center pacea 30 even when his / her hands are extended while the back is stuck on the back of the driver's
또한, 터치 입력을 사용하는 경우 운전자가 운행 중에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터치 목표가 되는 아이콘을 접촉할 때까지 주시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는 운전자가 전방 주시를 하지 않는 시간을 길게 하여 안전 운행을 하는 데 방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운전자가 제스처를 이용하여 동작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도 신호 입력이 가능해 진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touch input, in order to operate the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동작하기 위한 제스처 인식부(61)는 센터페시아(30)의 하부 또는 기어 박스(40)에 위치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30)의 하부 또는 기어 박스(40)는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자연스러운 손동작으로 제스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위치이다. 한편,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를 동작하기 위한 제스처 인식부(62)는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동작하기 위한 제스처 인식부(61)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노출되고,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하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가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제1동작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터치 입력만으로도 필요한 명령을 입력하는 데 충분하다. 그러나 제2동작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이기 때문에 제스처 입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제스처 인식부(61)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만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first operation state, since the driver does not have to look ahead, it is sufficient to input a necessary command by touch input alone. However, in the second operation state, since the driver is looking forward, a gesture input is required. For this reason, the
한편,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노출되는 영역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수납 공간이 마련되거나, 모바일 기기가 연결되는 슬롯이 마련되거나, SD 카드 등의 메모리 카드 또는 CD 등의 미디어 매체가 삽입되는 슬롯이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exposed area of the
다음으로 도 7과 도 8을 참고하여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도 변화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동작하는 경우 운전자의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각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동작하는 경우 운전자의 시선 방향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각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Next, an angle change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동작 시와 제2동작 시에 시야 각이 달라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수직 방향에 대하여 메인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의 각도가 달라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시야 각은 운전 자가 바라보는 시선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평면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The
시야 각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화질의 선명도 및 밝기, 즉 시인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평면 방향은 허용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시야 각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수직으로 마련되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에 반사되는 빛에 의해 오히려 시인성이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어느 정도 범위의 시야 각이 존재하도록 배치된다.If the viewing angle deviates from a certain range, the sharpness and brightness of the image quality, that is, the visibility may be deteriorat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and the direction of the plane of the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동작 상태에서의 수직 방향 각도보다 제2동작 상태에서의 수직 방향 각도가 더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동작 상태에서의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더 누운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The
제1동작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전방 주시를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운전자의 시선이 아래를 향하기 용이하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수직 방향 각도가 작은 경우(바닥에 누운 정도의 상태)에도 운전자의 시야 각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In the first operating state, the driver does not need to look forward. Therefore, the driver's gaze is easy to turn down. Therefore, even when the angle of the
다만, 제2동작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고개를 숙이지 않고 시선만 아래로 이동하여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를 주시하게 된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수직 방향 각도가 크게 마련되어야(수직에 가깝게 선 상태) 상부 디스플레이부(111)의 시인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 때, 상부 디스플레이부(111)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오히려 시인성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However, in the second operating state, the driver is looking down on the
한편, 제1동작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터치 입력을 하는 빈도가 많게 된다. 따라서 손목에 무리를 주지 않는 각도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누운 상태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사용자의 손목에 부담을 주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누운 상태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사용자가 시야 각을 맞추기 위하여 고개를 숙이는 정도가 크게 되어 목 근육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손목과 목의 부담을 모두 줄일 수 있는 각도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operation state,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driver inputs the touch is increas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제2동작 상태와 비교할 때 제1동작 상태에서의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운전자에게 가깝게 위치할 수 있어 운전자의 리치존 확보에 용이하다.Further, when compared with the second operating state,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정지, 정차, 또는 주차 중인 경우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용이하면서도 목을 가볍게 숙인 상태에서도 시인성이 좋은 정도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운행 중인 경우에 사용자의 전방 시선 방향에서도 시야 각 범위가 벗어나지 않도록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즉, 차량의 상황에 맞도록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도 9과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9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후방에서 바라보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9 and 10 show an operation of the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와,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지지하는 하우징(141)과, 하우징(14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130)와, 하우징(141)과 구동부(130)를 연결하는 연결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터페시아(30)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도시하였지만, 센터페시아(30)의 형상에 따라 너비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터치 입력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대화면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모서리와 하우징(141)의 모서리 사이의 베젤(Bezel)이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도면과 달리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외곽에 버튼 또는 노브 등의 조작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터치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 장치를 누르거나 돌려서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The
한편,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대화면 디스플레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7인치 내지 8인치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하우징(141)은 센터페시아(30)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41)의 뒷면이 센터페시아(30)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하우징(141)과 센터페시아(30)가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하우징(141)의 뒷면은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센터페시아(30)는 하우징(141)의 뒷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141)의 뒷면에 형성되는 곡면은 곡률이 일정한 원호 형상일 수 있다.The back surface of the
하우징(141)은 곡면 형상으로 마련되는 센터페시아(30)의 일 면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수직 방향에 대한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도면에는 하우징(141)이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수직 방향에 대한 각도가 점차 작아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Since the
한편, 도면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각도가 점차적으로 변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각도가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예로, 제1동작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1동작 상태의 각도를 유지하다가 어느 순간 제2동작 상태의 각도로 변하여 제2동작 상태에 이르는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제1동작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상부로 이동하는 동시에 제2동작 상태의 각도로 변한 후 각도를 유지한 채 상향 이동하여 제2동작 상태에 이르는 것을 포함한다.Meanwhile, although the angle of the
구동부(130)는 하우징(141)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The driving
구동부(130)는 모터(131)와, 모터(13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34)과, 회전축(134)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너트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또한, 구동부(130)는 모터(131)의 회전속도와 회전축(134)의 회전속도의 비를 조절할 수 있는 감속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큰 힘을 가지지만(토크가 크지만) 회전속도가 낮은 모터(131)를 사용하는 경우 감속비가 작은 감속부(132)를 사용하여 너트부재(135)가 병진 운동하는 속도를 빠르게 바꿀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변하는 동작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작은 힘을 가지지만(토크가 작지만) 회전속도가 큰 모터(131)를 사용하는 경우 감속비가 큰 감속부(132)를 사용하여 너트부재(135)에 가해지는 힘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크기가 커지면서 동시에 무게가 증가함에도 불과하고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상하 이동 시키기 위한 충분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The driving
또한, 사용자는 감속부(132)의 감속비를 변경함으로써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adjust the moving speed of the
또한, 구동부(130)의 모터(131) 또는 감속부(132)와 회전축(134) 사이에는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커플러(133)가 개재될 수 있다. 커플러(133)는 관련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제품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락하도록 한다.A
회전축(134)과 너트부재(135)는 볼스크류 결합할 수 있다. 즉, 회전축(134)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너트부재(135)의 내주면에는 이에 대응하는 나사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34)과 너트부재(135) 사이에는 다수의 볼이 개재되어 마찰을 줄임으로써 힘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너트부재(135)는 회전이 방지되도록 마련되어 회전축(134)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또한, 구동부(130)는 지지부(137: 137a, 137b, 137c)에 의해 센터페시아(30) 내부에 마련되는 고정 패널(7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137: 137a, 137b, 137c)는 일 측이 고정 패널(70)에 고정되고, 타 측이 구동부(130)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일 예로, 모터(131)와 감속부(132)는 제1지지부(137a)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축(134)의 양 단은 제2 및 제3지지부(137b, 137c)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커플러(133)는 제1지지부(137a)와 제2지지부(137b)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The driving
또한, 구동부(130)는 연결부(142)와 결합되는 연결블럭(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42)의 일 측은 하우징(141)과 결합하고 타 측은 연결블럭(136)과 결합할 수 있다. 즉, 하우징(141)은 연결부(142)와 연결블럭(136)을 매개로 구동부(130)에 결합하며, 구동부(130)의 구동에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The driving
그리고 연결블럭(136)은 너트부재(135)의 외측에 고정되어 너트부재(135)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블럭(136)은 너트부재(135)에 일체로 고정되고, 일 면이 고정 패널(70)과 마주보는 평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너트부재(135)가 회전축(134)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너트부재(135)가 상하 운동 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necting
한편, 너트부재(135)와 연결블럭(136)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42)가 너트부재(135)에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이상에서는 회전축(134)과 너트부재(135)가 볼 스크류 결합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는 모터(131)의 구동에 의해 하우징(141)을 상하 이동 시킬 수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웜과 웜기어를 이용하거나 스플라인을 이용하여 하우징(141)을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그리고 회전 운동을 상하 운동으로 변환하는 것 역시 하우징(141)을 상하 이동 시키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실린더를 이용하거나 자력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구동 방법에 의해 하우징(141)을 이동시킬 수 있다.Also,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into the up-down motion is also only one embodiment for moving the
다음으로 도 11을 참고하면, 하우징(141)의 뒷면에는 돌기 또는 홈으로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14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센터페시아(30)의 일 면에는 가이드 레일(144)과 대응되는 홈 또는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44)은 하우징(14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a
다음으로 도 9와 도 10을 참고하면, 하우징(141)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구동부(130)와의 거리가 달라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41)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구동부(130)와의 방향이 달라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41)의 뒷면이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하우징(141)이 센터페시아(30)의 일 면을 이동하면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과 구동부(130)가 이루는 각이 달라지게 된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그리고 일 예로, 연결부(142)의 일 측은 하우징(141)에 고정되고, 연결부(142)의 타 측은 연결블럭(136)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틸팅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연결부(142) 자체가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연결부(142)에 관절이 구비되어 틸팅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는 연결부(142)의 타 측이 연결블럭(136)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연결부(142)의 일 측이 하우징(141)과 힌지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One side of the
도 12는 하우징(141)이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도 11과 12를 참고하면, 연결부(142)는 하우징(141)에 결합되는 플레이트(142a)와, 플레이트(142a)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연결바(142b)를 포함할 수 있다.11 and 12, the
일 예로, 플레이트(142a)는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우징(141)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플레이트(142a)는 하우징(141)과 결합되는 면적을 넓게 하여 하우징(14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42a)는 두께가 얇게 마련되어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를 슬림하게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그리고 연결바(142b)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바(142b)는 하우징(141)의 연결부 삽입홀(143)을 통해 하우징(141)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바(142b)는 너트부재(135)를 사이에 두고 연결블럭(136)과 결합할 수 있다. 연결바(142b)는 연결블럭(136)에 형성되는 홀(136a)에 삽입될 수 있으며, 연결블럭(136)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하우징(141)과 구동부(13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짐을 허용할 수 있다.The connection bars 142b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provided in a pair. The
또한, 연결바(142b)는 연결블럭(136)과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바(142b)의 외경보다 연결블럭(136)에 형성되는 홀(136a)의 내경이 더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연결블럭(136)에 형성되는 홀(136a)은 장공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에 전방(운전석(10) 방향, 차량에 대하여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챙(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챙(120)은 하우징(141)과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141)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챙(120)은 하우징(141)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The
다음으로 도 13과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Next,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FIG.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operation view of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operation view of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터 패널(25)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센터 패널(25)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클러스터(21)와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에 마련되는 레일(21a, 22a)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센터 패널(25)의 구동 모습을 도시하였다.이와 달리, 센터 패널(25)은 클러스터(21) 또는 조수석 디스플레이부(22)와 분리되어 독자적으로 센터페시아(30)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센터 패널(25)은 센터페시아(30)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레일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양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The
또는 센터 패널(25)은 슬라이딩 이동 방식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센터페시아(30)에 설치되는 암 부재 또는 링크 부재에 지지되어 암 부재 또는 링크 부재의 변형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센터 패널(25)은 접히거나 뒤집히는 방법을 통해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영역을 달리 조절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구조에 의해 센터 패널(25)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포함한다.Or the
센터 패널(25)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위로 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에 의해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모터(131) 등의 구동부를 통해 자동으로 구동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으로 동작하거나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도 13을 참고하면, 센터 패널(25)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동작 상태에 있는 경우에 위로 이동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아래로 이동하고 센터 패널(25)은 위로 이동함으로써 센터 패널(25)의 하부에 노출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영역을 보다 넓게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그리고 도 14를 참고하면, 센터 패널(25)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동작 상태에 있는 경우에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위로 이동하고 센터 패널(25)은 아래로 이동함으로써 센터 패널(25)의 상부에 노출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영역, 즉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를 보다 넓게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한편, 도면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차량의 운행 또는 정지 상태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센터 패널(25)만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노출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센터페시아(30)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센터 패널(25)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여,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표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In the meantime, although the
일 예로, 센터 패널(25)은 차량이 정지, 주차, 또는 정차 상태에 있는 경우에 위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센터 패널(25)의 하부에 노출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영역을 보다 넓게 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그리고 센터 패널(25)은 차량이 운행 중인 상태에 있는 경우에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센터 패널(25)의 상부에 노출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영역, 즉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를 보다 넓게 할 수 있다.And th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 패널(25)의 동작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센터 패널(25)이 위로 이동하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부(110)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 등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센터 패널(25)이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는 내비게이션을 표시하고, 하부 디스플레이부(112)는 공조 장치 등 차량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ontents of the
또한, 센터 패널(25)이 위로 올라간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110)가 센터 패널(25)에 의해 분할되는 경우에도 센터 패널(25)의 동작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센터 패널(25)이 위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는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센터 패널(25)이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상부 디스플레이부(111)는 내비게이션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Even if the
센터 패널(25)에는 센터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센터 디스플레이부는 센터 패널(25)의 동작에 따라 표시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센터 패널(25)이 위로 이동하는 경우 센터 디스플레이부는 현재 재생 중인 미디어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센터 패널(25)이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센터 디스플레이부는 비상등과 시계 등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또한, 센터 패널(25)에는 하드 키 또는 물리 키가 제공될 수 있다. 하드 키 또는 물리 키는 특징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드 키 또는 물리 키는 비상등을 온/오프 하거나 공조 장치를 작동 시킬 수 있다.Further, the
한편, 센터 패널(25)에 마련되는 하드 키 또는 물리 키는 센터 패널(25)의 동작에 따라 수행 기능이 달라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센터 패널(25)이 위로 이동하는 경우 센터 패널(25)에 마련되는 하드 키 또는 물리 키는 미디어 재생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센터 패널(25)이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센터 패널(25)에 마련되는 하드 키 또는 물리 키는 비상등을 온/오프 하거나 공조 장치를 작동 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hard key or the physical key provided on th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You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 운전석,
20: 대시보드,
21: 클러스터,
22: 조수석 디스플레이부,
23: 센터 패널,
24: 스티어링 휠,
30: 센터페시아,
40: 기어 박스,
41: 암 레스트,
50: 전면 윈도우 글래스,
51: 측면 윈도우 글래스,
52: 필러,
61, 62: 제스처 인식부,
70: 고정 패널,
100: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
110: 메인 디스플레이부,
111: 상부 디스플레이부,
112: 하부 디스플레이부,
120: 챙,
130: 구동부,
131: 모터,
132: 감속부,
133: 커플러,
134: 회전축,
135: 너트부재,
136: 연결블럭,
137: 지지부,
141: 하우징,
142: 연결부,
143: 연결부 삽입홀,
144: 가이드 레일.10: driver's seat, 20: dashboard,
21: cluster, 22: passenger seat display unit,
23: center panel, 24: steering wheel,
30: center fascia, 40: gear box,
41: arm rest, 50: front window glass,
51: side window glass, 52: filler,
61, 62: gesture recognition unit, 70: fixed panel,
100: main display device, 110: main display part,
111: upper display unit, 112: lower display unit,
120: visor, 130: driving part,
131: motor, 132: decelerator,
133: coupler, 134: rotating shaft,
135: nut member, 136: connecting block,
137: support portion, 141: housing,
142: connecting portion, 143: connecting portion inserting hole,
144: Guide rail.
Claims (10)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센터페시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센터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센터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And a center panel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center fascia of the vehicle to display an image and a center panel provided to cross the main display unit in the width direction and to divide the display area of the main display unit,
Wherein the main display unit includes a display device that is ver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fascia,
Wherein the main display unit includes an upper display unit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panel and a lower display unit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panel,
Wherein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moving the main display part up and down to adjust a display area of the upper display part and the lower display part.
상기 센터 패널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하부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er panel include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moving in a vertical direction to adjust a display area of the upper display part and the lower display part.
상기 센터 패널이 하강하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센터 패널에 의해 상부 디스플레이부와 하부 디스플레이부로 분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main display part is divided into an upper display part and a lower display part by the center panel while the center panel is lowered.
상기 센터 패널은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양 측부에 위치하는 레일에 가이드 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center panel includes a display device that is guided by rail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main display portion and moves up and down.
운전석 전방의 대시보드에 설치되는 클러스터와, 조수석 전방의 대시보드에 설치되는 조수석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터 패널은 상기 클러스터와 상기 조수석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되는 레일에 가이드 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5. The method of claim 4,
A cluster installed on a dashboar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and a passenger-seat display portion provided on a dashboard in front of the passenger's seat,
Wherein the center panel includes a display device that is guided by the clusters and the rails provided on the passenger seat display portion and moves up and down.
상기 센터 패널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하부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기 보다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기가 더 크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er panel is positioned to be spaced forward of the main display unit,
Wherein the main display unit includes a display device such that the main display unit is provided such that the inclin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larger when the main display unit is moved upward than the inclin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main display unit is moved downward.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센터페시아의 상단부 보다 상향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display unit includes a display device that is protruded up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center fascia when the main display unit is moved upward.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터 패널은 하강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터 패널은 상승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main display unit moves upward, the center panel is lowered,
Wherein the center panel is configured to be raised when the main display unit moves downward.
상기 센터 패널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센터 패널의 이동에 의해 다른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center panel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display device arranged to display other contents by movement of the center panel.
상기 센터 패널에는 하드 키 또는 물리 키가 마련되고,
상기 하드 키 또는 물리 키는 상기 센터 패널의 이동에 의해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center panel is provided with a hard key or a physical key,
Wherein the hard key or physical key comprises a display device arranged to perform a different function by movement of the center pan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9372A KR101657656B1 (en) | 2016-08-04 | 2016-08-04 | Vehicle comprising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9372A KR101657656B1 (en) | 2016-08-04 | 2016-08-04 | Vehicle comprising display devic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0191A Division KR20160083721A (en) | 2015-01-02 | 2015-01-02 | Vehicle comprising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6580A true KR20160096580A (en) | 2016-08-16 |
KR101657656B1 KR101657656B1 (en) | 2016-09-19 |
Family
ID=5685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9372A KR101657656B1 (en) | 2016-08-04 | 2016-08-04 | Vehicle comprising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7656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8538A (en) * | 2018-11-27 | 2020-06-15 |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 System for supporting service basing network employing passenger of smart vehicle |
WO2021133021A1 (en) * | 2019-12-24 | 2021-07-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20220121303A (en) * | 2021-02-24 | 2022-09-01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enter fascia of vehicl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4366B1 (en) | 2017-12-12 | 2021-11-1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Handling apparatus for display-based center-fascia and method thereof |
KR102035341B1 (en) * | 2018-09-03 | 2019-10-22 | 최문규 | Handle switching system of autonomous vehicle |
KR20240094200A (en) | 2022-12-15 | 2024-06-25 | 덕양산업 주식회사 | Movable display device for vehicle infotainment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3924U (en) * | 1997-12-09 | 1999-07-05 | 정몽규 | Vehicle monitor mounting structure |
KR20130060328A (en) | 2010-09-18 | 2013-06-07 |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 Display and operator control apparatus in a motor vehicle |
JP2013220736A (en) * | 2012-04-17 | 2013-10-28 | Calsonic Kansei Corp | On-vehicle operation display device |
US20140320382A1 (en) * | 2011-11-28 | 2014-10-30 | Delphi Technologies, Inc. | Head-up display device with retractable combiner |
-
2016
- 2016-08-04 KR KR1020160099372A patent/KR10165765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3924U (en) * | 1997-12-09 | 1999-07-05 | 정몽규 | Vehicle monitor mounting structure |
KR20130060328A (en) | 2010-09-18 | 2013-06-07 |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 Display and operator control apparatus in a motor vehicle |
US20140320382A1 (en) * | 2011-11-28 | 2014-10-30 | Delphi Technologies, Inc. | Head-up display device with retractable combiner |
JP2013220736A (en) * | 2012-04-17 | 2013-10-28 | Calsonic Kansei Corp | On-vehicle operation display devic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8538A (en) * | 2018-11-27 | 2020-06-15 |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 System for supporting service basing network employing passenger of smart vehicle |
WO2021133021A1 (en) * | 2019-12-24 | 2021-07-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US11325473B2 (en) | 2019-12-24 | 2022-05-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20220121303A (en) * | 2021-02-24 | 2022-09-01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enter fascia of vehic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7656B1 (en) | 2016-09-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0053B1 (en) | 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
KR20160083721A (en) | Vehicle comprising display device | |
KR101657656B1 (en) | Vehicle comprising display device | |
US11040620B2 (en) |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 |
KR102387613B1 (en) | Interface system for vehicle | |
KR102309412B1 (en) |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 |
US9126483B2 (en) | Vehicular display system | |
US9688145B2 (en) | Terminal,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US20110006892A1 (en) | Bendable on-demand display | |
KR101973995B1 (en) | Display device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
KR102015497B1 (en) | Display device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
US10983691B2 (en) | Terminal, vehicle having th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 |
KR20190072235A (en) |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 |
KR20220064361A (en) | Dashboard display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
JP2008107238A (en) | Navigation device for vehicle | |
JP4725259B2 (en) |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 |
US20230401025A1 (en) | Vehicle infotainment system | |
JP4682760B2 (en) |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 |
JP2007076383A (en) |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vehicle | |
JP2005271902A (en) | In-vehicle display control device | |
KR20220135105A (en) | Display device and instrument panel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