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609A -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 - Google Patents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0609A KR20160090609A KR1020150010622A KR20150010622A KR20160090609A KR 20160090609 A KR20160090609 A KR 20160090609A KR 1020150010622 A KR1020150010622 A KR 1020150010622A KR 20150010622 A KR20150010622 A KR 20150010622A KR 20160090609 A KR20160090609 A KR 201600906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block
- protrusion
- connection type
- block
- side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도용 바닥재로 사용되는 콘크리트블록에 있어서; 콘크리트블록의 상,하면을 제외한 네 측면 중 일측 장변에서 돌출 형성된 제1돌출부; 콘크리트블록의 상,하면을 제외한 네 측면 중 일측 단변에서 돌출 형성된 제2돌출부; 제1돌출부와 반대쪽 장변에서 요입되되 제1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 형성된 제1요입부; 제2돌출부와 반대쪽 단변에서 요입되되 제2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 형성된 제2요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들간의 간격유지가 정확하게 유지되므로 투수성이 우수하고, 인장강도를 높여 내구성이 향상되며, 강인한 결속력 때문에 평탄도 불량이 생기지 않아 보행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들간의 간격유지가 정확하게 유지되므로 투수성이 우수하고, 인장강도를 높여 내구성이 향상되며, 강인한 결속력 때문에 평탄도 불량이 생기지 않아 보행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를 위한 도로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블록을 개량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된 듯한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고 블록들간 간격유지를 통해 우수한 투수성도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된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장이나 공원, 도로 등에는 보행자를 위한 보도블록이 시공된다.
이러한 보도블록은 주로 콘크리트를 몰드에 채워 넣어 일정 형상을 갖도록 굳힌 다음 이들을 서로 배열하여 열과 행을 맞춤으로써 보행자가 편리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보도블록은 보통 측면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공뒤 지반 침하나 지반 다짐 부족으로 블록 빠짐 현상이 발생되고, 하나의 블록이 빠지게 되면 연속적으로 주위 블록들의 평탄도가 어긋나게 되는 도미노 현상이 유발된다.
그러면, 보행자가 보행에 불편을 느끼게 되며,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고, 우천시 고여있던 빗물이 튀어 올라 보행자의 의복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초래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콘크리트 전면 포장이나 혹은 투스콘/아스콘 등으로 전면 포장하여 보도블록을 대체하는 예가 있는데, 이는 비용도 많이 들고 자동차 전용도로가 아닌 이상 합리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형태로 보도를 전면 포장할 경우 장마철이나 태풍, 또는 집중호우로 인해 빗물이 급증할 때 하수관이나 하천으로 곧바로 유입되기 때문에 순간 처리용량이 부족하여 역류가 발생됨은 물론 소중한 물 자원을 그대로 방류하여 버리게 되므로 지하수 고갈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보통, 우천시 빗물의 일부는 지반으로 흡수되어 나무뿌리 등이 머금고 있다가 이를 뱉어내는 형태를 갖는 자연생태적 구조가 홍수 예방에도 매우 효율적임은 입증된 사실이나 포장방식은 이와 정반대되는 개념이므로 환경측면에서도 매우 불리하다.
당해 분야는 아니지만, 관련 기술로 등록특허 제0261878호, 공개실용 제2010-0011802호가 있다.
상기 개시 기술들은 블록을 상호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사면이나 절토면 보호 혹은 벽체 형성을 용이하게 한 예이다.
그러나, 용도 자체가 보도블록용이 아니기 때문에 비록 블록간 상호조립성을 갖추고 있기는 하지만 배수성(투수성)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지반 침하시 평탄도(수평도) 유지 기능 등이 결여되어 있어 이러한 형태를 보도블록에 곧바로 적용하기는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효과있게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보행자의 보행을 돕기 위해 설치되는 보도블록과 같은 재료로 활용되는 콘크리트블록을 상호 조립 가능하게 구성하여 지반 침하나 장마철 등에 의한 블록 쓸림 현상을 막고, 평탄도 불량이 유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투수성을 좋게 하여 빗물 비산 등의 문제도 일거에 해소시킨 새로운 형태의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도용 바닥재로 사용되는 콘크리트블록에 있어서; 콘크리트블록의 상,하면을 제외한 네 측면 중 일측 장변에서 돌출 형성된 제1돌출부; 콘크리트블록의 상,하면을 제외한 네 측면 중 일측 단변에서 돌출 형성된 제2돌출부; 제1돌출부와 반대쪽 장변에서 요입되되 제1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 형성된 제1요입부; 제2돌출부와 반대쪽 단변에서 요입되되 제2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 형성된 제2요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돌출부에는 일정간격을 둔 다수의 제1줄눈이 더 돌출되고, 상기 제2돌출부에는 일정간격을 둔 다수의 제2줄눈이 더 돌출되되, 상기 제1,2줄눈의 돌출높이는 6-8mm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블록이 시공될 때, 제1줄눈과 제2줄눈에 의해 형성된 블록간 틈새에는 모래가 채워지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콘크리트블록은 상하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투수성이 우수한 몰탈이 채워지되, 상기 관통공은 상부보다 하부가 넓게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콘크리트블록은 블록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몰탈에 섬유질 하이바가 20-30%의 부피비로 더 첨가 혼합되어 인장강도를 높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들간의 간격유지가 정확하게 유지되므로 투수성이 우수하고, 인장강도를 높여 내구성이 향상되며, 강인한 결속력 때문에 평탄도 불량이 생기지 않아 보행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을 조립하는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을 조립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의 투수구조를 보인 여러가지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을 조립하는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을 조립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의 투수구조를 보인 여러가지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은 보행자의 보행로에 시공되어 보행편의를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은 상,하면을 제외한 4곳의 측면중 인접한 두 곳, 바람직하게는 가로방향 일측면과, 세로방향 일측면이 각각 꺽쇠형태로 돌출되고, 각 측면의 반대쪽 측면에는 동일한 형상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즉, 도 1의 (a)에서와 같이, 콘크리트블록(B)의 장변측 일면이 바깥쪽으로 대략 삼감형상을 갖도록 돌출되어 제1돌출부(110)를 이루고, 그 반대면은 도 1의 (b)와 같이 동일형상으로 요입되어 제1요입부(210)를 이룬다.
마찬가지로, 단변측 일면도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제2돌출부(120)를 이루고, 그 반대면은 동일형상으로 요입되어 제2요입부(220)를 이룬다.
그러면, 적어도 다수의 콘크리트블록(B)을 서로 조립할 때 콘크리트블록(B)의 장변측으로는 기준이 되는 콘크리트블록의 제1돌출부(110)가 인접하여 설치되는 콘크리트블록의 제1요입부(210)에 끼워지고, 단변측으로도 동일한 구조로 끼워지기 때문에 다수의 콘크리트블록(B)을 도 2와 같은 형태로 맞대고 끼우는 형태로 조립가능하게 된다.
이후, 조립을 완료하면 도 3과 같은 형태를 갖게 된다.
물론, 도 2에서와 같이, 최외각에 설치되는 마감용 콘크리트블록은 마감위치에 따라 장변측 및 단면측 일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시공을 위해 당연히 가져야 하는 구성이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투수성 향상을 위한 독특한 구조를 취하고 있는데, 이는 콘크리트블록(B)들 사이에 일정폭의 모래(S)를 채워 넣는다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보도블록 등에서 시공 후 공극을 메우기 위해 모래를 위에 뿌린 후 빗자루 등으로 쓸어 표면을 평탄화시키고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보도블록들 사이 사이를 일부러 간격을 두고 띠운 상태에서 모래를 채우는 것이 아니라 보도블록들을 촘촘하게 맞대어 배치한 다음 시공 후 부분적인 지반침하나 하중에 의해 보도블록 사이가 벌어지면서 틈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커버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따라서, 종래 구조에서는 모래가 단지 보도블록의 상단 일부에서의 벌어진 틈에만 존재하므로 투수성이 매우 희박하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블록(B)들을 서로 맞물리도록 조립 배치할 때 자동적으로 6~8mm의 간격, 가장 바람직하게는 7mm의 간격을 자동적으로 유지하게 하고, 그 사이의 공간으로 모래(S)를 인위적으로 채워 넣어 모래층이 별도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투수성을 극대화시키고 있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돌출부(110)와 제2돌출부(120)에 동일 형상을 갖되 폭 10mm정도, 두께 7mm(즉, 돌출높이가 6-8mm이면 됨) 정도의 제1줄눈(112)과 제2줄눈(122)을 다수개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조립시 제1줄눈(112)과 제2줄눈(122)의 두께, 즉 대략 7mm 정도만큼은 항상 간격을 유지한 채 콘크리트블록(B)이 시공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2줄눈(112,122)에 의해 생긴 공간 속으로 모래(S)를 채워 넣게 되면 도 3과 같이 자연스럽게 우수한 투수성을 갖는 친환경 콘크리트블록(B)이 시공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국부적인 지반 침하나 빗물에 의한 침하가 발생된다고 하더라도 중간에 채워진 모래(S)가 침하량만큼 하강하면서 보조할 뿐만 아니라, 제1,2줄눈(112,122) 서로 접하고 있기 때문에 블록 자체가 서로 비틀리거나 휘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악조건 하에서도 표면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을 높이고, 보행자가 편리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높이기 위해 콘크리트몰탈 배합시 섬유질 하이바(Hightention bar)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인장강도를 높이고,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섬유질 하이바의 첨가량은 굳이 한정할 필요가 없으나 부피비로 50%를 넘게 되면 콘크리트몰탈이라기 보다는 섬유질 하이바에 가깝기 때문에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최대 50%를 초과하지 말아야 하고, 10% 미만으로 첨가되면 효과가 미미하므로 적어도 10% 이상으로 첨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20~30%이다.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섬유질 하이바를 콘크리트블록 전체에 첨가하지 않고, 전체 두께 대비 상부로부터 5~7mm까지만 섬유질 하이바를 첨가시킴으로써 항상 접촉하중을 받는 상단부의 내구성을 더욱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섬유질 하이바 외에 황토, 게르마늄, 맥반석 등을 미분상태로 더 첨가 혼합하면 더욱 좋다.
제조하는 방법은, 상술한 혼합비로 조성된 콘크리트몰탈을 제1혼합물이라 하고, 일반 콘크리트몰탈을 제2혼합물이라 할 때 콘크리트블록 상단으로부터 5-7mm전까지는 제2혼합물로 채우고(몰드 안에서), 이후 나머지 두께는 제1혼합물로 채우면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투수성 향상을 위해 콘크리트블록(B) 제조시 블록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H)을 형성하되, 하부가 넓고 상부는 상대적으로 좁게 하여 배수성을 높인 상태에서 관통홀(H)에는 투수용몰탈로 주입성형하고 나머지는 일반몰탈로 성형하여 투수효과를 더욱 높이도록 제조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조를 도 5와 같이 넓은 면적에 걸쳐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도 6과 같이 다수개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블록은 투수성을 높이면서도 평탄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마친 콘크리트를 포장한 듯한 기능을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어 그 활용폭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110 : 제1돌출부 112 : 제1줄눈
120 : 제2돌출부 122 : 제2줄눈
210 : 제1요입부 220 : 제2요입부
120 : 제2돌출부 122 : 제2줄눈
210 : 제1요입부 220 : 제2요입부
Claims (5)
- 보도용 바닥재로 사용되는 콘크리트블록에 있어서;
콘크리트블록의 상,하면을 제외한 네 측면 중 일측 장변에서 돌출 형성된 제1돌출부;
콘크리트블록의 상,하면을 제외한 네 측면 중 일측 단변에서 돌출 형성된 제2돌출부;
제1돌출부와 반대쪽 장변에서 요입되되 제1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 형성된 제1요입부;
제2돌출부와 반대쪽 단변에서 요입되되 제2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 형성된 제2요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에는 일정간격을 둔 다수의 제1줄눈이 더 돌출되고, 상기 제2돌출부에는 일정간격을 둔 다수의 제2줄눈이 더 돌출되되, 상기 제1,2줄눈의 돌출높이는 6-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이 시공될 때, 제1줄눈과 제2줄눈에 의해 형성된 블록간 틈새에는 모래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은 상하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투수성이 우수한 몰탈이 채워지되, 상기 관통공은 상부보다 하부가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은 블록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몰탈에 섬유질 하이바가 20-30%의 부피비로 더 첨가 혼합되어 인장강도를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0622A KR20160090609A (ko) | 2015-01-22 | 2015-01-22 |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0622A KR20160090609A (ko) | 2015-01-22 | 2015-01-22 |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0609A true KR20160090609A (ko) | 2016-08-01 |
Family
ID=56706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0622A KR20160090609A (ko) | 2015-01-22 | 2015-01-22 |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9060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418909A (zh) * | 2022-10-11 | 2022-12-02 | 上海中冶环境工程科技有限公司 | 一种装配式路面基层砌块及其铺装方法 |
-
2015
- 2015-01-22 KR KR1020150010622A patent/KR20160090609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418909A (zh) * | 2022-10-11 | 2022-12-02 | 上海中冶环境工程科技有限公司 | 一种装配式路面基层砌块及其铺装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371705A1 (en) | Permeable surface covering units and permeable surface covering | |
KR101298008B1 (ko) | 스톤 바스켓을 이용한 도로포장 방법 | |
KR101019181B1 (ko) | 도로용 블록을 이용한 도로의 포장구조 | |
KR20160090609A (ko) |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 | |
KR20130037927A (ko) | 합성목재와 투수콘크리트가 일체화된 투수블록 | |
KR20120133802A (ko) |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 | |
CN111304989A (zh) | 一种稳固型生态透水路面及其制作方法 | |
KR101448335B1 (ko) | 조립식블록을 이용하여 저류조를 구비하는 도로의 시공방법 | |
KR100833688B1 (ko) | 부등침하가 방지되는 보도블럭을 사용한 도로의 구조 및도로의 시공방법 | |
CN211713548U (zh) | 一种稳固型生态透水路面 | |
CN107268368A (zh) | 锁扣缝隙透水砖 | |
KR100528051B1 (ko) | 저수공간을 구비하는 투수 블록 | |
KR101117741B1 (ko) | 저수저감 투수블럭 | |
CN214992775U (zh) | 市政铺路砖 | |
CN216663666U (zh) | 一种适合不同路面的基层透水工字砖 | |
KR200426439Y1 (ko) | 투수형 탄성 포장용 가이드 프레임 | |
CN221421567U (zh) | 一种组合式耐火砖 | |
KR200283005Y1 (ko) | 도로 비탈면의 유실방지용 합성골판 콘크리트블록 구조 | |
KR200385502Y1 (ko) | 잔디블럭 | |
KR101058438B1 (ko) | 투수블럭구조 | |
KR200385501Y1 (ko) | 잔디블럭 | |
JP3851473B2 (ja) | 舗装構造 | |
KR20110029695A (ko) | 도로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방법 | |
KR102258398B1 (ko) | 보도경계블록. | |
KR20090061532A (ko) |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