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666A - Alerting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 Google Patents
Alerting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2666A KR20160082666A KR1020140194712A KR20140194712A KR20160082666A KR 20160082666 A KR20160082666 A KR 20160082666A KR 1020140194712 A KR1020140194712 A KR 1020140194712A KR 20140194712 A KR20140194712 A KR 20140194712A KR 20160082666 A KR20160082666 A KR 201600826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ise
- communication module
- degree
- sound
- vib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8000032041 Hearing impaired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은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 바닥에 설치되어, 진동의 정도와 소리의 정도를 감지하고, 상기 진동의 정도가 제1 기준 이상인 경우 또는 상기 소리의 정도가 제2 기준 이상인 경우, 소음 발생 신호를 송신하는 소음 감지 장치; 및 상기 소음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소음 발생을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소음 경고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ayer noise warning system for a tire, and an interlayer noise w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floor of a floor of a multi-story building to detect the degree of vibration and the degree of sound, A noise detection device for transmitting a noise generation signal when the nois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reference or when the soun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reference; And a noise warning device for visually warning the generation of noise when the noise generation signal is recei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층간 소음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ayer noise preven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layer noise warning system.
일반적으로 공동 주택 및 아파트와 같은 다층 건물의 층과 층을 구획하는 슬래브(slab)는 콘크리트로 시공된다.Generally, slabs that divide the layers and layers of multi-storey buildings such as apartment houses and apartments are constructed with concrete.
한편, 다층 건물의 위층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은 슬래브를 통하여 바로 아래층으로 전달된다. 이렇게 위층에서 발생되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층간 소음은 아래층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에게 상당한 불편함을 준다. 이러한 층간 소음은 단순히 소음 제거나 방지에 대한 기술적인 문제를 넘어 이미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ibration and noise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of the multi-story building are transmitted directly to the lower layer through the slab. The interlayer noise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and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gives a considerable inconvenience to the person who lives in the lower layer. This interlayer noise is already causing social problems beyond the technical problem of noise reduction or prevention.
이와 같은 층간 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1139호와 한국등록특허 제10-0770615호에 층간 소음 방지하기 위한 층간 소음 방지 장치의 예들이 공개되어 있다. 위의 공보들에서 공개된 층간 소음 방지 장치는 위층에서 발생된 층간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구 또는 구조물이다.In order to solve such an interlayer noise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Nos. 10-2006-0031139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70615 disclose examples of an interlayer noise preventing device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The interlayer noise suppression apparatus disclosed in the above publications is a mechanism or structure that blocks the interlayer noise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그런데 위의 공보들에서 공개된 층간 소음 방지 장치들을 다층 건물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뛰어 노는 아이들이나 부주의한 이웃이 있는 경우에는 층간 소음이 충분히 방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even when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devices disclosed in the above publications are applied to a multi-story building, there is a problem that interlayer noise is not sufficiently prevented when there are children running or careless neighbors.
한편, 층간 소음을 유발하는 사람은 본인에 의해 발생된 층간 소음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 더욱 더 큰 문제점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a bigger problem that the person who causes the interlayer noise does not recognize the interlayer noise generated by the person himself.
따라서 층간 소음을 유발하는 사람에 의해 층간 소음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층간 소음을 유발하는 사람이 본인에 의해 층간 소음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실시간으로 인식시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in real time the fact that the person causing the interlayer noise generates the interlayer noise when the interlayer noise is generated by the person causing the interlayer nois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층간 소음을 유발하는 사람에 의해 층간 소음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층간 소음을 유발하는 사람이 본인에 의해 층간 소음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시킬 수 있는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layer noise generating apparatus, And an interlayer noise warning system capable of recognizing that interlayer noise is occurrin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 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은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 바닥에 설치되어, 진동의 정도와 소리의 정도를 감지하고, 상기 진동의 정도가 제1 기준 이상인 경우 또는 상기 소리의 정도가 제2 기준 이상인 경우, 소음 발생 신호를 송신하는 소음 감지 장치; 및 상기 소음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소음 발생을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소음 경고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rlayer noise warning system, which is installed on a floor of a floor of a multi-story building to detect the degree of vibration and the degree of sound, A noise detection device for transmitting a noise generation signal when the degree of the soun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reference or when the degree of the soun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reference; And a noise warning device for visually warning the generation of noise when the noise generation signal is received.
여기서, 상기 소음 감지 장치는, 상기 진동의 정도를 감지하는 진동센서; 상기 소리의 정도를 감지하는 사운드 센서; 상기 소음 경고 장치와 무선 통신을 위한 소음 감지 장치 통신 모듈; 및 상기 진동의 정도가 제1 기준 이상인 경우 또는 상기 소리 정도가 제2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소음 감지 장치 통신 모듈이 상기 소음 발생 신호를 송신하게 하는 소음 감지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소음 감지 장치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noise sensing apparatus may include: a vibration sensor that senses a degree of the vibration; A sound sensor for sensing the degree of the sound; A noise sensor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noise warning device; And a noise sensing device control unit for allowing the noise sensing device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the noise generating signal when the degree of vibration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first reference level or when the sound level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second reference level. In this case, the noise sensing device communication module is preferably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또한, 상기 소음 경고 장치는, 상기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를 비추는 조명 장치; 상기 소음 감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위한 소음 경고 장치 통신 모듈; 및 상기 소음 경고 장치 통신 모듈이 상기 소음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조명 장치의 점멸, 밝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소음 경고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소음 경고 장치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를 비추는 광원; 및 상기 소음 경고 장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광원의 점멸, 상기 광원의 밝기 및 상기 광원이 방출하는 광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조명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 상기 광원은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엘이디 모듈들로 이루어진 엘이디 조명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noise warn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ting device for illuminating a floor room of the multi-storey building; A noise alarm device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noise detection device; And a noise warning device control unit for changing at least one of blinking, brightness and hue of the illumination device when the noise warning devic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the noise generation signal. At this time, the noise warning device communication module is preferably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ligh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light source for illuminating the interior of one of the multi-storey buildings; And a lighting device control unit controlled by the noise warning device control unit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blinking of the light source,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and the hue of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Furthermore, the light source is preferably an LED illumination device including LED modules emit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또한, 상기 소음 경고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소음 감지 장치와 통신을 위한 이동 단말기 통신 모듈; 및 상기 이동 단말기 통신 모듈이 상기 소음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소음 발생과 소음의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게 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소음 감지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noise warning device may further comprise: a display; A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noise sensing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controller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noise generation and noise leve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the noise generation signal. Here, the noise sensing device may includ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에 의하면, 층간 소음을 유발하는 사람에 의해 층간 소음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층간 소음을 유발하는 사람이 본인에 의해 층간 소음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interlayer noise war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an interlayer noise is generated by a person who causes interlayer noise, a person who causes interlayer noise recognizes that interlayer noise is generated by the person himself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layer noise warning syste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layer noise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 And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inter-tire noise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layer noise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100)은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 바닥에 설치되어 진동의 정도와 소리의 정도를 감지하고, 진동의 정도가 제1 기준 이상인 경우 또는 소리의 정도가 제2 기준 이상인 경우, 소음 발생 신호를 송신하는 소음 감지 장치(200) 및 소음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소음 발생을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소음 경고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inter-layer noise war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floor of a floor of a multi-story building to detect the degree of vibration and the degree of sound, (200) for transmitting a noise generation signal and a noise warning device (300) for visually warning noise generation when a noise generation signal is received when the noise level is equal to or higher than one reference level or the degree of sound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second reference level .
여기서, 진동의 정도는 진동의 세기, 진동의 크기, 진동의 진폭, 진동의 주파수를 포함하고, 소리의 정도는 소리의 세기, 소리의 크기, 소리의 진폭, 소리의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egree of vibration includes the intensity of vibration, the magnitude of vibration, the amplitude of vibration, and the frequency of vibration, and the degree of sound may include intensity of sound, amplitude of sound, amplitude of sound, and frequency of sound.
소음 감지 장치는(200)는 진동의 정도를 감지하는 진동 센서(210), 소리의 정도를 감지하는 소리 센서(220), 소음 경고 장치(300)와 통신을 위한 소음 감지 장치 통신 모듈(230) 및 진동의 정도가 제1 기준 이상인 경우 또는 소리의 정도가 제2 기준 이상인 경우, 소음 감지 장치 통신 모듈(230)이 소음 발생 신호를 송신하게 하는 소음 감지 장치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진동 센서(210)는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 바닥에 설치되어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 바닥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정도를 감지하여 소음 감지 장치 제어부(240)로 전송한다. 여기서,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 바닥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 사람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외에 있는 사람은 방문객일 수 있다. 그리고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에 있는 세탁기와 같은 기기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도 포함할 수 있다.The
소리 센서(220)는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 바닥에 설치되어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정도를 감지하여 소음 감지 장치 제어부(240)로 전송한다. 여기서,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 사람에 의해 유발되는 소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외에 있는 사람은 방문객일 수 있다. 그리고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에 있는 음향 기기, 초인종과 같은 기기에 의해 유발되는 소리도 포함할 수 있다. The
한편, 진동 센서(210)와 소리 센서(220)는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 바닥에 설치된다. 따라서 진동 센서(210)와 소리 센서(220)는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 바닥을 통하여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의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정도와 소리의 정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소음 감지 장치 통신 모듈(230)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The noise sensing
소음 감지 장치 제어부(240)는 진동 센서(210)로부터 수신된 진동의 정도와 제1 기준을 비교하여 진동의 정도가 제1 기준 이상이면, 소음 감지 장치 통신 모듈(230)이 소음 발생 신호를 송신하게 한다. 여기서, 제1 기준은 다층 건물의 위층 실내에서 발생하여 다층 건물의 아래층 실내로 전달되는 진동의 정도가 다층 건물의 아래층 실내에 있는 사람이 통상적으로 수인(受忍)할 수 있는 한계를 막 넘은 경우의 다층 건물의 위층 실내 바닥을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의 정도이다. 그리고 소음 감지 장치 제어부(240)는 소리 센서(220)로부터 수신된 소리의 정도와 제2 기준을 비교하여 소리의 정도가 제2 기준 이상이면, 소음 감지 장치 통신 모듈(230)이 소음 발생 신호를 송신하게 한다. 여기서, 제2 기준은 다층 건물의 위층 실내에서 발생하여 다층 건물의 아래층 실내로 전달되는 소리의 정도가 다층 건물의 아래층 실내에 있는 사람이 통상적으로 수인(受忍)할 수 있는 한계를 막 넘은 경우의 다층 건물의 위층 실내 바닥을 통하여 전달되는 소리의 정도이다.The noise sensing
소음 경고 장치(300)는 소음 감지 장치(200)와 통신을 위한 소음 경고 장치 통신 모듈(310),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를 비추는 조명 장치(320) 및 소음 경고 장치 통신 모듈(310)이 소음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조명 장치(320)의 점멸, 조명 장치(320)가 방출하는 광의 밝기 및 조명 장치(320)가 방출하는 광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소음 경고 장치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소음 경고 장치 통신 모듈(310)은 블루투스(bluetooth)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The noise warning device communication module 310 may be implemented as a bluetooth module.
조명 장치(320)는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를 비추는 형광등, 백열등과 같은 광원(321) 및 소음 경고 장치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어 광원(321)의 점멸, 광원(321)의 밝기 및 광원(321)이 방출하는 광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조명 장치 제어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광원(321)은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엘이디 모듈들로 이루어진 엘이디 조명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소음 경고 장치 제어부(320)는 소음 경고 장치 통신 모듈(310)이 소음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조명 장치(320)가 방출하는 광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Specifically, the light source 321 may be an LED illumination device including LED modules emit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ly, the noise warning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100)에 의해, 층간 소음을 유발하는 사람에 의해 층간 소음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층간 소음을 유발하는 사람이 본인에 의해 층간 소음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When the interlayer noise is generated by the person causing the interlayer noise by the interlayer noise warn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And recognizes that interlayer noise is occurring.
다시 말하면,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에서 제1 기준 이상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제2 기준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조명 장치(320)의 점멸, 조명 장치(320)의 밝기 및 조명 장치(320)에서 방출하는 광의 색상이 변경되어, 층간 소음을 유발하는 사람이 본인에 의해 층간 소음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a vibration above a first reference occurs in any one of the layers of the multi-story building, or when a noise above the second reference occurs, the brightness of the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100)에 의해,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에 있는 청각 장애자가 방문객의 방문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terlayer noise war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hearing impaired person in any floor of a multi-story building to recognize a visitor's visit.
다시 말하면,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100)은 방문객이 초인종을 누르거나 대문을 두드린 경우에도 소음 발생을 시각적으로 경고한다. 따라서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에 있는 청각 장애자는 시각적인 경고에 의해 방문객이 방문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inter-story noise warning system 100 visually warns the user of the occurrence of noise even when the visitor presses the buzzer or knocks on the door. Thus, a hearing-impaired person in one of the floors of the multi-story building will be able to recognize that the visitor has been visited by a visual warning.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interlayer noise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only the other parts than the interlayer noise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layer noise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350)은 이동 단말기(400)가 소음 경고 장치(300)를 대신하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100)과 다른 부분이다.Referring to FIG. 2, the interlayer
이동 단말기(400)는 스마트 폰, 피디에이, 아이패드 및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이러한 이동 단말기(400)는 디스플레이(420), 소음 감지 장치(200)와 통신을 위한 이동 단말기 통신 모듈(410) 및 이동 단말기 통신 모듈(410)이 소음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420)가 소음 발생 및 소음의 정도를 표시하게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350)에 의해, 이동 단말기(400)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는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외에서도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에서 소음의 발생 여부 및 소음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inter-laye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will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350: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 200: 소음 감지 장치
300: 소음 경고 장치 400: 이동 단말기100, 350: Interlayer noise warning system 200: Noise sensor
300: Noise warning device 400: Mobile terminal
Claims (9)
상기 소음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소음 발생을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소음 경고 장치를 포함하는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And a controller for detecting the degree of the vibration and the degree of the sound, and when the degree of the vibration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level or if the degree of the sound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cond reference level, A transmitting noise sensor; And
And a noise warning device for visually warning the generation of noise when the noise generation signal is received.
상기 소음 감지 장치는,
상기 진동의 정도를 감지하는 진동센서;
상기 소리의 정도를 감지하는 사운드 센서;
상기 소음 경고 장치와 무선 통신을 위한 소음 감지 장치 통신 모듈; 및
상기 진동의 정도가 제1 기준 이상인 경우 또는 상기 소리 정도가 제2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소음 감지 장치 통신 모듈이 상기 소음 발생 신호를 송신하게 하는 소음 감지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ise sensing device includes:
A vibration sensor for sensing a degree of the vibration;
A sound sensor for sensing the degree of the sound;
A noise sensor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noise warning device; And
And a noise sensing device control unit for allowing the noise sensing device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the noise generating signal when the degree of vibration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first reference level or when the sound level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second reference level. system.
상기 소음 감지 장치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noise sensing device communication module is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소음 경고 장치는,
상기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를 비추는 조명 장치;
상기 소음 감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위한 소음 경고 장치 통신 모듈; 및
상기 소음 경고 장치 통신 모듈이 상기 소음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조명 장치의 점멸, 상기 조명 장치가 방출하는 광의 밝기 및 상기 조명 장치가 방출하는 광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소음 경고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ise warning device includes:
An illuminating device for illuminating the interior of any one of the multi-storey buildings;
A noise alarm device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noise detection device; And
And a noise warning device control unit for changing at least one of blinking of the illumination device, brightness of light emitted by the illumination device, and color of light emitted by the illumination device when the noise warning devic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the noise generation signal Wherein the intermittent noise warning system comprises:
상기 소음 경고 장치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noise warning device communication module is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다층 건물의 어느 하나의 층 실내를 비추는 광원; 및
상기 소음 경고 장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광원의 점멸, 상기 광원의 밝기 및 상기 광원이 방출하는 광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조명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5. The method of claim 4,
The illumination device includes:
A light source for illuminating one of the multi-story buildings; And
And a lighting devic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flashing of the light source,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and the color of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the control being controlled by the noise warning device control unit.
상기 광원은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엘이디 모듈들로 이루어진 엘이디 조명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발생 경고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ight source is an LED lighting device comprising LED modules emit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상기 소음 경고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소음 감지 장치와 통신을 위한 이동 단말기 통신 모듈; 및
상기 이동 단말기 통신 모듈이 상기 소음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소음 발생과 소음의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게 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ise warning device includes:
display;
A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noise sensing device; And
Wherein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having a mobile terminal control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noise and nois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the noise generation signal.
상기 소음 감지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경고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noise sensing device includes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is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4712A KR20160082666A (en) | 2014-12-31 | 2014-12-31 | Alerting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4712A KR20160082666A (en) | 2014-12-31 | 2014-12-31 | Alerting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2666A true KR20160082666A (en) | 2016-07-08 |
Family
ID=56504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4712A Ceased KR20160082666A (en) | 2014-12-31 | 2014-12-31 | Alerting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82666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6623A (en) * | 2016-12-28 | 2018-07-06 | 이재수 | Apparatus for managing interformational nois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1139A (en) | 2004-10-07 | 2006-04-12 | 주식회사 포스코 | Floor mechanism for noise reduction between floors |
KR100770615B1 (en) | 2006-08-12 | 2007-10-26 |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 Interlayer noise prevention structure |
-
2014
- 2014-12-31 KR KR1020140194712A patent/KR20160082666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1139A (en) | 2004-10-07 | 2006-04-12 | 주식회사 포스코 | Floor mechanism for noise reduction between floors |
KR100770615B1 (en) | 2006-08-12 | 2007-10-26 |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 Interlayer noise prevention structur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6623A (en) * | 2016-12-28 | 2018-07-06 | 이재수 | Apparatus for managing interformational nois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667394B (en) | Method for operating a self-propelled cleaning device | |
KR101573597B1 (en) | Apparatus for detecting and alarming fire | |
KR102100411B1 (en) | Using image monitoring system, such as emergency call button and fire detection sensor and park display | |
JP2008204393A (en) | Lighting system | |
KR20120081611A (en) |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 |
CN113825715A (en) |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elevator | |
KR101255657B1 (en) | Fire alarm system for hearing-impaired person | |
US8547235B2 (en) | Security device and security system determining if the user can hear an audible alarm | |
WO2010105825A1 (en) | Escape guidance apparatus | |
KR20160082666A (en) | Alerting system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 |
KR101475261B1 (en) | System for warning floor noise | |
JP2006277140A (en) | Lighting control system | |
KR100945857B1 (en) | Multi firefighting evacuation guidance device | |
KR101685481B1 (en) | Observation method for housing entrance and method thereof | |
JP2013042389A (en) | Intercom system | |
EP2902983A1 (en) | Wireless system | |
KR20150086940A (en) | Apparatus for informing of noise between floors | |
KR20170111860A (en) | Floor Noise Measurement and Notification System | |
KR101668014B1 (en) | Guide device for Emergency exit induction | |
KR20130002101U (en) | Wireless fire sensing system of apartment house for the deaf | |
JP2006157180A (en) | Intercom system | |
KR20180005165A (en) | A system for dynamically operating an environment within a station or any other public place | |
JP2014178884A (en) | Security system | |
KR20190096611A (en) | System of crime prevention | |
KR20050070655A (en) | Emergency exit guide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9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5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