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60075976A - 컨텐츠 공유를 위한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공유를 위한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976A
KR20160075976A KR1020140184784A KR20140184784A KR20160075976A KR 20160075976 A KR20160075976 A KR 20160075976A KR 1020140184784 A KR1020140184784 A KR 1020140184784A KR 20140184784 A KR20140184784 A KR 20140184784A KR 20160075976 A KR20160075976 A KR 20160075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ent
content data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홍석
아지훈
홍종철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4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5976A/ko
Priority to US14/933,802 priority patent/US9668111B2/en
Publication of KR20160075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로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타 단말기의 단말정보를 수집하는 단말정보 수집부; 상기 타 단말기에서 송신된 컨텐츠 데이터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단말정보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 재생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컨텐츠 인터페이스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데이터 중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공유를 위한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SHARING CONTENT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에 제공되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와 복수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를 통해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네비게이션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현대에 들어서 스마트폰의 보급율이 높아짐에 따라, 차량에 제공되는 통상적인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예를 들어, AVN 시스템: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에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유, 무선으로 연결하여, 차량정보 제공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을 제어하는 기술이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는 스마트폰이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야만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컨텐츠(동영상, 음악, 게임, 방송의 수신)등을 출력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타 단말기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으려면 기존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스마트폰을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와 분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와 연결된 스마트폰이 대용량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경우, 오랜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차량내의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에 연결된 단말기가 타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요청신호를 수신 시, 근거리에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로 상기 타 단말기의 컨텐츠 데이터를 출력하는 컨텐츠 공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로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는 컨텐츠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타 단말기의 단말정보를 수집하는 단말정보 수집부; 상기 타 단말기에서 송신된 컨텐츠 데이터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단말정보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 재생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컨텐츠 인터페이스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데이터 중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을 운전중인 운전자가 본인의 제1 단말기를 차량의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에 유/무선으로 연결했을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는 차량 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가 제공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가 제공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로 전달함으로써, 차량 내 구비된 제2 단말기의 컨텐츠 데이터를 간편하게 공유할 수 있고, 제1 단말기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를 분리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운전자뿐만 아니라 차량에 탑승한 타인이 손쉽게 컨텐츠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단말기가 대용량 컨텐츠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통해 다운로드를 수행할 경우, 차량 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를 통해 분할 다운로드하여, 제1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제1 단말기가 대용량 컨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시간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부에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와 복수의 단말기가 유/무선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2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채널을 개통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 제2 단말기 및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원격 통신을 개통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원격 통신을 개통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 제2 단말기 및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 제2 단말기 및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부에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와 복수의 단말기가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단말기(100),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 및 제2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차량에 구비되거나 장착되는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특정 지점까지의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차량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블랙 박스,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차량용 블랙박스로 구현되는 경우, 그 자체 혹은 내비게이션과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차량용 내비게이션이거나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증강 현실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차량용 내비게이션이나 증강 현실 시스템인 경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차량의 운행, 유지 등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차량의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그 자체일 수 있으며,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 단말기(100)와 유무선으로 연동되어 작동하는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제1 단말기(100)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기능을 제공, 보완, 증대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통합된 시스템을 구성할수 있다. 전체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1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유/무선으로 제1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차량의 내부에 제공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를 통해 제1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100)는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단말기(100)의 기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를 자체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1 단말기(100)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기능과 관계 없이, 기본적으로 제1 단말기(100)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기능은 통화 기능, 문자 기능, 인터넷 기능, 메모 기능 또는 스케쥴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기(100)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로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2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단말기(100)는 상기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내부에는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 및 제1 단말기(10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100)는 기지국(10)과 이동통신망(20)을 통하여 호신호 또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300)는 통상의 휴대 단말기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단말기(300)는 복수의 개수로 차량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1 단말기(100)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제1 단말기(100)는 제어부(105), 무선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출력부(125), 차량 시스템 연결부(130), 전원 공급부(135), 저장부(140), 컨텐츠 인터페이스 생성부(150), 컨텐츠 데이터 중계부(155) 및 단말정보 수집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제1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는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단말기(300) 또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영상 신호,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제1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25)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26), 음향 출력 모듈(12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6)는 제1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가 컨텐츠 인터페이스 제공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제1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가 차량인터페이스 제공 모드인 경우 차량인터페이스 제공과 관련된 UI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6)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27)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27)은 제1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27)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05)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차량 시스템 연결부(130)는 제1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차량 시스템과의 통로 역할을 한다. 차량 시스템 연결부(130)는 차량 시스템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제1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제1 단말기(100) 내부의 컨텐츠 인터페이스 및 이에 관한 데이터가 차량 시스템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차량 시스템 연결부(13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05)는 통상적으로 제1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5)는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35)는 제어부(105)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컨텐츠 인터페이스 생성부(150)는 미리 결정된 방식에 따라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차량 시스템 연결부(130)를 통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로 전달한다. 컨텐츠 인터페이스는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의 조합이거나, 차량정보 단말기(200)에서 출력 가능한 제어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되어 전송될 수 있다.
컨텐츠 인터페이스는 영상 재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인터페이스는, 차량정보 제공 단말기(200)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GUI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05)는 컨텐츠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하여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고,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 및 복호화 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영상 또는 음성 컨텐츠를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에서 출력하기 위한 다양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인터페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수신되고 컨텐츠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데이터 수신을 위해 선택 가능한 제2 단말기(300)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인터페이스 생성부(150)는 운전상태 판단부(151), UI결정부(15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상태 판단부(151)는 운전중인 차량의 운전 상태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운전상태 판단부(151)는 차량의 현재 속도, 교차로 여부 및 차량 정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운전상태 판단부(151)는 운전자가 제1 단말기를 통해 컨텐츠를 제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상태 판단부(151)는 판단 결과에 따라 운전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UI 결정부(152)로 제공할 수 있다.
UI 결정부(152)는 상기 운전상태 판단부(151)를 통해 제공되는 운전상태 정보를 기초로하여 컨텐츠 인터페이스의 UI 입력방식 및 UI 기능을 결정한다. 컨텐츠 인터페이스는 터치, 음성인식, 모션인식 등의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라 제어될 수 있으며, 운전상태에 따라 UI 기능이 일부 제한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 중계부(155)는 제2 단말기(300)가 선택되고 제2 단말기(300)가 컨텐츠 데이터를 제1 단말기(100)로 전송하면 제1 단말기(100)는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로 전달되도록 중계한다.
단말정보 수집부(160)는 컨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가능한 제2 단말기(300)를 검색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가능한 제2 단말기(300)의 단말정보를 수집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단말정보 수집부(160)는 컨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가능한 제2 단말기(300)를 검색하기 위해 컨텐츠 다운로드 가능 여부 요청신호를 주변에 위치한 제2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속도측정부(165)는 각 제2 단말기(300)의 무선데이터 전송속도를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저장해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경우, 제1 단말기(100)가 제2 단말기(300)로부터 원격 통신을 통해 컨텐츠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제1 단말기(100)의 단말정보 수집부(160)는 컨텐츠 데이터 다운로드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300)를 검색하고 수집된 단말정보를 컨텐츠 인터페이스 생성부(15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집된 단말정보는 컨텐츠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전술한 제1 단말기(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제1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입력 받아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차량 정보를 검출하고, 컨텐츠 인터페이스에 부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A/V 입력부(210), 사용자 입력부(215), 차량정보 검출부(220), 출력부(225), 인터페이스부(230), 전원 공급부(2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에 구비되어 있는 A/V 입력부(210)는 카메라(211), 마이크(212)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21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26)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5)는 카메라(211)를 통해 운전자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205)는 모션 인식에 따라 출력부(225)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21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제어부(205)는 음성 데이터에 따라 출력부(225)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거나, 제어 신호가 제1 단말기(100)로 전달되도록 제어하거나, 통화 음성이 제1 단말기(100)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15)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215)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정보 검출부(220)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부착되어 있는 차량의 차량정보를 검출한다. 검출하는 차량의 정보는 차량의 주행속도, 운전자의 운전 정보, 차량의 주행가능여부 및 주위상황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검출한 차량의 정보는 출력부(225)를 통하여 컨텐츠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차량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로인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차량의 주행속도, 운전자의 운전 정보 및 차량 주위상황정보 등에 따라 UI 차단 또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제어 불가 등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30)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230)는 제1 단말기(100) 로부터 컨텐츠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외부 전원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인터페이스부(23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제1 단말기(100)등의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다음은 도 4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기(3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2 단말기(300)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제2 단말기(300)는 제어부(305), 무선 통신부(310), A/V 입력부(315), 출력부(320), 저장부(325), 사용자 입력부(330), 전원 공급부(335), 인터페이스부(340), 단말정보 제공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제2 단말기(3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보며, 도 2에서 설명한 제1 단말기(100)의 구조와 유사한 구성요소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말정보 제공부(350)는 제1 단말기(100)의 단말정보 수집부(160)에서 전송되는 컨텐츠 다운로드 가능 여부 요청신호가 제2 단말기(300)의 근거리 통신 모듈(313)로 수신되면, 단말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313)을 통해, 제1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상기 단말정보는 통화가능여부 정보, 컨텐츠 다운로드 가능여부 및 단말 식별 정보(전화번호 또는 단말기 일련번호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가능여부 정보 및 컨텐츠 다운로드 가능여부는 제2 단말기(300)의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21)는 제1 단말기(100)로 원격 통신 요청을 발신하면, 컨텐츠 실행 설정여부와 컨텐츠 실행 중인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21)는 제2 단말기(300)가 제1 단말기(100)와 원격 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21)는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300)가 원격 통신을 수행중임을 알리는 문구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00)는 상기 제1 단말기(100)로부터 원격 통신 요청이 수신되면 원격 통신 요청 수락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300)는 제2단말기(300)와 제1 단말기(100)가 원격 통신을 수행 중일 경우에도 원격 통화 종료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제 2 단말기(300)의 제어부(305)는 통화가 선택되면 근거리 통신 모듈(313), 출력부(320), 마이크(316) 등을 제어해서 제1 단말기(100)에서 수신되는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마이크(316)로부터 입력 받은 음성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송출되도록 제어한다.
무선 통신부(310)는 제1 단말기(100)에서 중계하는 원격 통신이 시작되면, 제1 단말기(100)로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제2 단말기(300)의 단말기 정보도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300)가 채널을 개통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300) 및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0)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 주행 시 제1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기(100)는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제2 단말기(300)로부터 컨텐츠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300)로부터 원격 통신 요청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로 전송한다.
그 후 사용자가 컨텐츠 요청신호를 수락하면,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300)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간의 컨텐츠 데이터를 중계한다.
즉, 제2 단말기(300)는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1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 제1 단말기(100)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출력부(225)로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300) 및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동작을 보여준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0)는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제2 단말기(300)로부터 컨텐츠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일측에 제2 단말기(300)의 요청신호 수락 선택영역이 출력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300)가 제1 단말기(100)로 동영상 재생을 요청하면, 제2 단말기(300)의 상부에는 컨텐츠 공유 요청 문자가 제공될 수 있으며, 그 하부에는 동영상 재생 요청 중임을 알리는 문자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300)는 하부에는 정지 선택영역(405)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상기 정지 선택영역(405)을 선택할 경우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300)간의 원격 통신을 중지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300)로부터 동영상 재생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문자와 요청 수신 문자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정지 선택영역(405)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정지 선택영역(405)을 선택할 경우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300)간의 원격 통신을 중지할 수 있다.
도 6의 (b)는 사용자(400)가 제2 단말기(300)의 동영상 재생 요청을 수락한 이후의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동작을 보여준다.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226)의 일측에 재생할 동영상의 재생위치 선택 영역(401)과 재생 방법 선택 영역(402)을 출력할 수 있다.
먼저, 재생위치 선택 영역(401)은 차량의 전면부에 위치한 복수의 차량정보 제공장치 중 어느 위치에 수신한 컨텐츠의 동영상을 출력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영역이다. 그리고 재생 방법 선택 영역(402)은 상기 컨텐츠의 동영상을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를 통해 어떻게 출력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영역이며, 화면 분할 재생, 팝업 재생 및 전체화면 재생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2 단말기(100, 300)는 동영상 재생 설정 중임을 알리는 문자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정지 선택영역(405)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의 (c)는 사용자(400)가 동영상 재생 위치 및 동영상 재생 방법을 선택한 이후의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동작을 보여준다.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300)의 일측에 제2 단말기(300)의 저장부(325)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먼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226)의 일측에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의 하부에는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을 제어할 수 있는 동영상 제어수단(403)이 제공된다.
이때, 제1,2 단말기(100, 300)는 동영상이 재생 중임을 알리는 문자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전술한 동영상 제어수단(403)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400)는 제1,2 단말기(100, 300)와 차량정보 제공장치(200) 중 어느 하나의 동영상 제어수단(403)을 선택하여 재생 중인 동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 및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300)가 원격 통신을 개통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0)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 주행 시 제1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차량의 전면과 차량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먼저, 어느 하나의 제2 단말기(300)는 원격 통신을 통해 제1 단말기(100)로 컨텐츠 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 후 제2 단말기(300)가 요청하는 컨텐츠가 제2 단말기(300)의 저장부(325)에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무선통신을 통해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해야 하는 컨텐츠일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차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300)를 통해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300)로부터 컨텐츠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될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차량내의 컨텐츠 다운로드가 가능한 주변의 제2 단말기(300)를 검색한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다운로드가 가능한 주변의 제2 단말기(300)가 검색될 경우, 차량 내에 구비된 제2 단말기(300)의 선택 목록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로 출력된다. 그 후 사용자는 출력된 제2 단말기(300)의 선택 목록에 기초하여 각 단말기 별로 컨텐츠 다운로드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제2 단말기(300)가 제1 단말기(100)로 요청한 컨텐츠를 차량 내에 구비되어 검색된 모든 단말기를 통해 분할하여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도 8의 (a)는 복수의 제2 단말기(300)가 컨텐츠 데이터를 분할하여 다운로드 하는 상황을 보여준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제2 단말기(300)가 요청한 컨텐츠 데이터를 차량 내에 구비된 복수의 제2 단말기를 통해 분할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운로드를 받은 복수의 제2 단말기는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 데이터를 원격 통신을 통해 제1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의 (b)는 제2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를 제어하는 상황을 보여준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300)는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 데이터를 원격 통신을 통해 제1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 단말기(100)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6)로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최초 컨텐츠를 요청했던 어느 하나의 제2 단말기(300)는 제1 단말기(100)와 원격 통신을 하여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 및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300) 및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동작을 보여준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0)는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제2 단말기(300)로부터 컨텐츠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일측에 제2 단말기(300)의 요청신호 수락영역이 출력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제2 단말기(300)는 원격 통신을 통해 제1 단말기(100)로 컨텐츠 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 후 제2 단말기(300)가 요청하는 컨텐츠가 제2 단말기(300)의 저장부(325)에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무선통신을 통해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해야 하는 컨텐츠일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차내에 구비된 제2 단말기(300)를 통해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9의 (b)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제2 단말기(300)를 검색한 후, 컨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를 수행할 단말기를 선택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400)는 다운로드를 진행할 복수의 제2 단말기(300)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기(100)는 단말기를 선택하라는 문자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2 단말기(300)는 동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 중임을 알리는 문자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의 (a)는 전술한 다운로드를 진행할 복수의 제2 단말기(300) 목록이 출력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400)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에 출력된 비율설정 바(406)를 상하로 컨트롤하여 각 제2 단말기별로 컨텐츠 다운로드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400)는 시작 선택영역(407)을 선택하여 분할 다운로드를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제1,2 단말기(100, 300)는 다운로드 비율을 설정 중임을 알리는 문자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정지 선택영역(405)을 선택하여 다운로드 비율 설정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제2 단말기(300)는 다운로드를 완료하면 제1 단말기(100)로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제1 단말기(100)는 각 제2 단말기(300)가 전송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0의 (b)는 컨텐츠 데이터 다운로드가 완료되어, 사용자(400)가 동영상 재생을 수락할 수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400)는 제1,2 단말기(100, 300) 및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의 ‘Y’,’N’선택영역을 선택하여, 컨텐츠를 실행, 정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써, 제2 단말기(300)의 저장부(325)에 제1 단말기(100)로 요청한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제1 단말기(100)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차량 내부에 유/무선으로 연결된다(S101).
그 후, 제1 단말기(100)는 차량정보 제공모드로 변경된다(S103). 그리고,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S105).
그 후,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제2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100)로 컨텐츠 요청신호를 송신한다(S107). 그리고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3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요청신호를 수신한다(S109).
그 후,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0)에 출력된 컨텐츠 요청신호의 수락여부를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를 통하여 결정한다(S111).
그리고 제2 단말기(300)는 저장부(325)에 저장한 컨텐츠 데이터를 제1 단말기(100)로 원격 통신하여 전송한다(S113). 또한 제1 단말기(100)는 원격 통신을 통해 제2 단말기(300)가 전송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 후,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수신한 컨텐츠의 재생 위치 선택영역(401)과 재생 방법 선택영역(402)을 출력하고(S115), 사용자는 상기 재생 위치 선택영역(401) 및 방법 선택영역(402)을 사용자가 선택한다(S117).
그리고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상기 재생 위치 선택영역(401)과 재생 방법 선택영역(402)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출력한다(S119).
그 후, 사용자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 및 제1, 2 단말기(100, 300)의 정지 선택영역(405)을 선택하여, 차량 내부에 제공되는 컨텐츠의 제공을 종료할 수 있다(S121).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써, 제2 단말기(300)의 저장부(325)에 제1 단말기(100)로 요청한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무선통신 다운로드가 필요할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제1 단말기(100)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가 차량의 내부에 유/무선으로 연결된다(S201).
그 후, 제1 단말기(100)는 차량정보제공 모드로 변경된다(S203).
그리고,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S205).
그 후,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제2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100)로 컨텐츠 요청신호를 송신한다(S207). 그리고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3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요청신호를 수신한다(S209).
그 후,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0)에 출력된 컨텐츠 요청신호의 수락여부를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를 통하여 결정한다(S211). 그리고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300)로부터 요청된 신호를 수신한다(S213).
그 후, 제1 단말기(100)가 차량 내에 구비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 다운로드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300)를 검색한다(S215). 그리고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컨텐츠 데이터 다운로드가 가능한 제2 단말기(300)의 목록을 출력한다(S217).
사용자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6)에 출력되어 있는 비율설정 바(406)를 제어하여 각 제2 단말기(300)의 컨텐츠 다운로드 비율을 설정한다(S219). 그 후, 상기 각 제2 단말기(300)들이 설정된 컨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고(S221), 상기 분할 다운로드가 완료된 컨텐츠 데이터를 제1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23).
그리고, 제1 단말기(100)는 각 제2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의 출력부(225)로 전송하며(S225),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수신한 컨텐츠의 출력 위치와 방법 선택영역을 출력한다(S227).
그 후, 사용자는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로 출력된 컨텐츠의 출력 위치와 방법 선택영역을 선택한다(S229). 그리고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는 상기 출력 위치 및 방법 선택영역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출력한다(S231).
그 후, 사용자가 제1, 2 단말기(100, 300) 및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의 종료 선택영역을 선택하여 단말기의 컨텐츠 제공을 종료할 수 있다(S233).
상기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차량을 운전중인 운전자가 본인의 제1 단말기(100)를 차량 내부의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에 유/무선으로 연결했을 경우, 상기 제1 단말기(100)는 차량 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300)가 제공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300)가 제공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로 전달함으로써, 차량 내 구비된 제2 단말기(300)의 컨텐츠 데이터를 간편하게 공유할 수 있고, 제1 단말기(100)와 차량정보 제공단말기(200)를 분리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운전자뿐만 아니라 차량에 탑승한 타인이 손쉽게 컨텐츠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단말기(100)가 대용량 컨텐츠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통해 다운로드를 수행할 경우, 차량 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300)를 통해 분할 다운로드하여, 제1 단말기(100)로 전송함으로써, 제1 단말기(100)가 대용량 컨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시간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제1 단말기 105 : 제어부
110 : 무선 통신부 115 : A/V 입력부
120 : 사용자 입력부 125 : 출력부
130 : 인터페이스부 135 : 전원공급부
140 : 저장부 150 : 컨텐츠 인터페이스 생성부
155 : 컨텐츠 데이터 중계부 160 : 단말정보 수집부
200 : 차량정보 제공단말기 205 : 제어부
210 : A/V 입력부 215 : 사용자 입력부
220 : 차량 정보 검출부 225 : 출력부
230 : 인터페이스부 235 : 전원 공급부
300 : 제2 단말기 305 : 제어부
310 : 무선통신부 315 : A/V 입력부
320 : 출력부 325 : 저장부
330 : 사용자 입력부 335 : 전원 공급부
340 : 인터페이스부 350 : 단말정보 제공부

Claims (9)

  1.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로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타 단말기의 단말정보를 수집하는 단말정보 수집부;
    상기 타 단말기에서 송신된 컨텐츠 데이터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단말정보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 재생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컨텐츠 인터페이스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데이터 중계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운전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운전상태 판단부; 및
    상기 운전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인터페이스의 UI 제공방식을 결정하는 UI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I 결정부는,
    상기 컨텐츠 인터페이스의 UI 제공방식을 터치, 음성인식 및 모션인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결정하되, 상기 운전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인터페이스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는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정보 수집부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가능한 상기 타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 단말기 네트워크 속도 정보를 수집하는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 중계부는
    상기 타 단말기가 송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선택 입력신호를 상기 타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말기.
  6. 차량 내 위치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
    상기 차량의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로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 단말기와 통신하고 기지국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 전송 가능 여부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단말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 제공 요청을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의 수락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의 상기 컨텐츠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정보 제공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단말정보는 외부로부터의 상기 컨텐츠 데이터 다운로드 가능 정보 및 단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컨텐츠 데이터 재생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말기.
  9. 차량정보 제공단말기 및 이와 연결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가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가 상기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로 컨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 재생 요청신호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차량 내 위치하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 가능한 단말기 목록을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를 통해 상기 단말기 목록에서 컨텐츠 다운로드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목록에서 설정된 각 비율에 따라 상기 차량 내 위치한 컨텐츠 데이터 다운로드 가능 단말기들이 상기 컨텐츠를 분할 다운로드 받아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차량정보 제공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제공단말기 및 이와 연결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20140184784A 2014-12-19 2014-12-19 컨텐츠 공유를 위한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75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784A KR20160075976A (ko) 2014-12-19 2014-12-19 컨텐츠 공유를 위한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14/933,802 US9668111B2 (en) 2014-12-19 2015-11-05 Terminal for contents sharing,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a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784A KR20160075976A (ko) 2014-12-19 2014-12-19 컨텐츠 공유를 위한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976A true KR20160075976A (ko) 2016-06-30

Family

ID=56352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784A KR20160075976A (ko) 2014-12-19 2014-12-19 컨텐츠 공유를 위한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59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170A (ko) * 2018-01-16 2019-07-24 엠피온 주식회사 휴대단말과의 연동을 이용한 블랙박스 정보 전달 시스템 및 그 전달방법
KR20220052518A (ko) 2020-10-21 2022-04-28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메시지 전달 시스템
KR102697376B1 (ko) * 2024-03-15 2024-08-21 (주)메이튼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중계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170A (ko) * 2018-01-16 2019-07-24 엠피온 주식회사 휴대단말과의 연동을 이용한 블랙박스 정보 전달 시스템 및 그 전달방법
KR20220052518A (ko) 2020-10-21 2022-04-28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메시지 전달 시스템
KR102697376B1 (ko) * 2024-03-15 2024-08-21 (주)메이튼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 중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003B1 (ko)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676270B2 (en) Display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 system
CN103373292B (zh) 车载信息系统、信息终端、应用程序执行方法
US20110306389A1 (en) Image display control system for multiple apparatuses
CN110618800A (zh) 一种界面显示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04205038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程序和终端设备
CN110996305B (zh) 连接蓝牙设备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09353297B (zh) 音量调节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3814546A (zh) 移动终端、被安装到车辆上的图像显示装置及其数据处理方法
US9668111B2 (en) Terminal for contents sharing,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a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CN105635460A (zh) 一种用于信息输出的控制方法、移动终端及穿戴式设备
KR20160075976A (ko) 컨텐츠 공유를 위한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30219309A1 (en) Task performing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10076520A (ko) 차량용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174650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674332B2 (en)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9012964A (ja) 機器設定システム、共用機器、機器設定方法および機器設定プログラム
JP2016178662A (ja) 車載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562272B1 (ko) 오디오 출력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37695B1 (ko)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75979A (ko) 차량정보 제공 단말기
JP2013250132A (ja) 車載装置、車載情報システム
KR101513633B1 (ko)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618457B1 (ko) 인터넷 라디오 청취가 가능한 차량용 오디오 장치
KR20160075969A (ko) 차량정보 제공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