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209A - 레일 차량용 레일을 기초부에 고정하기 위한 중간 부재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일 차량용 레일을 기초부에 고정하기 위한 중간 부재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64209A KR20160064209A KR1020167011401A KR20167011401A KR20160064209A KR 20160064209 A KR20160064209 A KR 20160064209A KR 1020167011401 A KR1020167011401 A KR 1020167011401A KR 20167011401 A KR20167011401 A KR 20167011401A KR 20160064209 A KR20160064209 A KR 201600642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intermediate member
- dimensionally stable
- spring
- sectio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 E01B9/30—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 E01B9/303—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the clip being a shaped bar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0—Rail fastenings making use of clamps or braces supporting the side of the rail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6/00—Tracks or track components not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5/00—Electrical insulation of railway track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Railway Tracks (AREA)
- Spring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차량용 레일(S)을 기초부(U) 위에 고정하는 시스템(1, 1')용 중간 부재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중간 부재(12, 12')는 스프링 부재(3, 3')의 단부 섹션(7, 8)과 레일(S) 사이에 배치되되, 스프링 부재(4, 4')가 중간 부재(12, 12')를 통해 레일(S) 상에 유지력(N, N')을 가하도록 배치된다. 중간 부재(12, 12')는, 사용하는 중에, 위쪽에 스프링 부재(3, 3')의 단부 섹션(7, 8)이 안착하는 지지면(14)과, 사용하는 중에, 중간 부재가 레일(S) 위에 안착하는 접촉면(22)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 부재(12, 12')는 지지면(14)으로부터 접촉면(22)을 향해 능동 방향(W)으로 탄성적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라 레일 고정 시스템에 중간 부재(12, 12')를 설치하면, 레일 고정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프링 부재(3, 3')가 단속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사용 수명이 단축될 위험을 최소화 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레일 차량용 레일을 기초부 위에 고정하기 위한 중간 부재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중간 부재는 스프링 부재의 단부 섹션과 레일 차량용 레일 사이에 배치되되, 실제 사용 시에 중간 부재가 레일에 유지력(retaining force)을 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간 부재는, 사용 중에 위쪽에 스프링 부재의 단부 섹션이 자리 잡는 지지면과, 사용 중에 레일 상에 안착하는 접촉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기초부 위에 레일 차량용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위와 같은 중간 부재를 구비하는 시스템에도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중간 부재와 시스템이, 일 예로 DE 20 2007 018 500 UI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공지 시스템에서, 소위 '텐션 클램프(tensioning clamp)'는 중간 벤드와 이 중간 벤드로부터 연장하는 2개의 스프링 암을 구비하는 'W' 형상의 스프링 부재로 사용된다.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암들의 자유 단부 섹션 각각은 중간 부재의 지지면 내에 몰딩되어 있는 리테이너 안쪽에 안착되어 있다. 비-전도성 합성 재료로 제작된 중간 부재는 상기 시스템을 사용하여 고정된 레일의 레일 풋의 상단부에 안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간 부재가 레일과 스프링 부재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동시에, 레일 풋 상에 유지력이 강하게 가해지도록 한다.
논의가 되고 있는 형태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치된 고정 부위 위를 레일 차량이 주행할 때, 여러 개의 레일 차량으로 구성된 레일 차량 혹은 열차의 중량에 의해, 중량-부하에 의해 촉발되는 저-주파 움직임이 발생되고, 열차의 보기(bogey) 혹은 액슬의 사중(dead weight) 및 분산에 의해 촉발되는 중-주파 움직임 혹은 상기 레일 고정 부위 위를 각 레일 차량이 주행할 때, 레일 차량 휠들의 형상적 편차나 고정된 각 레일의 활주면 상의 손상에 의해 촉발되는 고-주파 레일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들 모든 형태의 움직임이 레일을 고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스프링 부재 상에 매우 큰 동적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 심지어 이들은 스프링 부재에 공명을 일으킬 수도 있다. 사용되는 중에, 스프링 부재는 그 스프링 부재의 고유 진동수로 여기되며, 그 결과 레일이 최소한으로 움직임에도 매우 높은 동적 스트레스가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스트레스는 조기에 재료에 피로(fatigue)를 야기하거나 혹은 조기에 교체해야 하는 심각한 마멸이나 찢김(tear)을 일으키게 된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을 기초부에 고정하는 시스템에서 레일을 유지하는 스프링 부재에 아래의 단속적 움직임을 일으켜 스프링 부재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레일 고정 시스템에서 레일을 각 기초부 위로 눌러 유지하는 스프링 부재의 조기 마모와 찢김을 방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간단한 수단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시스템이 언급된다.
이러한 수단과 관련하여 위에 언급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되어 있는 특징들을 구비하는 중간 부재를 제공한다.
레일 고정 시스템과 관련하여 위에 언급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중간 부재의 용도를 규정하고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들이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고,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초부 위에 레일 차량용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용 중간 부재로, 이러한 중간 부재를 통해 스프링 부재가 레일 상에 유지력을 가하도록 스프링 부재의 단부 섹션과 고정할 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중간 부재가 제공된다. 이 중간 부재는, 사용하는 중에 위쪽에 스프링 부재의 단부 섹션이 안착되는 지지면과, 사용하는 중에 레일 상에 안착되는 접촉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면으로부터 접촉면을 향하는 능동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순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기초부(foundation) 위에 레일 차량용 레일을 고정하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시스템에서, 레일은 레일 풋을 구비하고, 레일 풋이 기초부 위에 지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시스템은,
- 텐션 부재에 의해 상기 기초부에 대해 지탱되는 스프링 부재로, 스프링 부재의 자유 단부 상에 구성되는 단부 섹션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암을 구비하는, 스프링 부재, 및
-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중간 부재로, 중간 부재의 접촉면이 레일 풋 상에 안착되고,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암의 단부 섹션은 중간 부재의 지지면 위에 안착하는 중간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 부재는 고정 대상인 각각의 레일과 상기 레일 상에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의 단부 사이에 삽입된다. 공지의 레일 고정 시스템에 사용되는 절연성 중간 부재들에 비해, 상기 중간 부재의 탄성 복원력(elastic resilience)이 상당히 크며, 이에 따라 덜 딱딱하여(rigid) 완충 효과(cushion effect)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 부재는, 통상적인 레일 고정 시스템에서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각 스프링 부재와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성 부재에 비해 상당히 우수한 충격-흡수 특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정 탄성 복원력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 부재는, 사용하는 중에, 레일에 의해 발생되는 움직임으로부터 유지력을 가하는 스프링 부재가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스프링 부재의 단부들과 레일 사이에 탄성 중간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스프링 암들의 진동이 최소로 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쿠션 효과가 발생하여 스프링 부재의 고유 진동수에 있어서 소멸 시간(fading time)을 줄여주게 된다. 이에 따라, 과도한 스트레스로부터 스프링 부재가 보호되어, 그 사용 수명이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폴트 탄성(default elasticity)과 중간 부재의 쿠션 효과는 적당한 디자인을 선택하고, 적당한 재료를 선정함으로써 보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 부재를 고형 재료(solid material)로 제작하되, 그 형상을 중간 부재가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당한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중간 부재는 탄성 혹은 쿠션이 있는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며, 중간 부재는 요구되는 탄성 혹은 감쇠 특성(attenuating characteristics)을 가지는 동시에, 사용 중에 노출되는 마멸 스트레스를 견뎌낼 수 있는 내마모성을 구비한다. 중력 방향으로 레일에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이러한 재료들이 각 기초부와 그 기초부 위에 안착하는 레일 사이의 고정 부위에 위치에, 중간판으로 레일 시스템에 사용된다.
사용하는 중에, 중간 부재가 각 스프링 부재에 의해 가해지는 유지력을 영구히 안전한 방식으로 레일로 전달하기 위해, 중간 부재가, 상단부 위에 지지면이 구성되어 있고, 그 위로 스프링 암의 각 단부 섹션을 사용하여 스프링 부재가 작용하는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을 구비하는 것이 적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레일과 접촉하는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의 밑면 위에 탄성 부재가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하는 중에 스프링 부재에 의해 가해지는 유지력이 탄성 부재의 넓은 면적에 걸쳐 분산되게 되며, 탄성 부재가 탄성 부재 위에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의 예리한-에지의 단부 섹션에 의해 잠재적으로 손상될 위험을 방지하게 되며, 혹은 스프링 부재와 탄성 부재 사이의 접촉면이 너무 작음에 따라, 조기 마모 및 찢김이 발생할 수 있는 지나치게 중한 국소적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혹은 이에 부가하여, 중간 부재가, 밑면 상에 접촉면이 구성되고, 접촉면 반대편을 향하는 상단부 위에 탄성 부재가 안착하는,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을 구비할 수 있다. 탄성 부재와 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은, 사용하는 중에, 탄성 부재를, 일반적으로 상당히 거친 레일 면과 탄성 부재 사이의 접촉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특히 연마 마모와 찢김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탄성 부재가 2개의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들 사이에 즉, 탄성 부재가 스프링 부재의 각 단부 섹션에 할당되는 양 상단부 위에, 그리고 전술한 형태의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에 의해 레일에 할당된 밑면 위에 배치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중간 부재는 최적의 효과와 내구성을 가진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을 필요로 하는 중간 부재의 실시형태들은, 탄성 부재가 탄성재, 특히 점탄성재(visco-elastic material)로 된 층으로 각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으로 둘러싸인 탄성 부재인 경우 인 경우, 특히 실용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탄성 부재가 각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에 연결되어 있는 개별의 사전-조립된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실제로,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 각각은 사용 중에 발생하는 변형(strain)을 흡수하고, 각 섹션에 적당한 치수 안정성을 보증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강성을 갖는 경질 재료, 내마모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들은 예컨대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들의 마모 거동과 제조 비용을 고려하면, 합성 재료(synthetic material)로 제작되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서 고려하고 있는 합성 재료는 그 자체가 서두에 언급되어 있는 형태의 절연성 중간 부재들의 제조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충분한 내마모성, 내찢김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도 절연성이 있다.
실용적인 사용을 위해, 중간 부재가 진동 혹은 전압 절연체로 작용하며, 레일 혹은 텐션 클램프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마모성 경질 부품과 감쇠기로 작용하는 탄성의 연질 부품으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조 공정에서 견고한 접착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연질 부품이 경질 부품 즉, 이용가능한 각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에 접합될 수 있다. 이는 사출 몰딩(injection molding) 혹은 주조(casting) 공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각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들과 탄성 부품을 별개로 사전-제작한 후, 이들을 중간 부재로 조립할 수도 있다. 탄성 부재는 각 치수적으로 안정된 부재에 예를 들어 특히 접착제로 혹은 몰딩 방식으로 견고하게 접착되거나, 혹은 다른 방식 예를 들어 형-맞춤 연결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탄성 부재가 2개의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들 사이에 중간층으로 배치되고, 그 탄성 부재보다 탄성이 덜한 소재 서포트에 의해 2개의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들을 연결하는 것이, 제조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들과 서포트가, 들들의 상단부, 하단부 그리고 장 측부 상에 리테이너(retainer)를 획정하며, 리테이너 안쪽에 탄성 부재가 안착된다. 이 실시형태는, 서포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들이, 예를 들어 적당한, 경질 합성 재료를 사용하여 하나의 공정으로 단일 부품(single piece)으로 제작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서포트는, 서포트가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들 사이에 안착되는 탄성 부재의 필수적 탄성 복원력을 훼손하지 않는 방식으로 그 벽 두께를 적당하게 줄여 쉽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 부재의 특히 적당한 실시형태, 특히 스프링 부재로서 W-형 텐션 클램프가 사용되는 레일 고정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간 부재의 실시형태는 중간 부재가 세장형의 사각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러한 텐션 클램프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암들의 단부 섹션들이 단일 중간 부재에 의해 함께 레일에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개별 중간 부재들이 스프링 암들 각각에 할당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 부재의 지지면 상에서 각각 할당된 단부 섹션을 특히 견고하게 지탱하기 위해, 사용하는 중에 중간 부재의 지지면 상에 몰딩 부재들이 스프링 부재의 대응 단부 섹션에 대해 지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레일의 장 측부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바라본 레일의 고정 부위(fixing point)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레일 고정용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레일의 장 측부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바라본 레일의 고정 부위(fixing point)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레일 고정용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고정 부위(B)는, 예컨대 콘크리트 침목 혹은 콘크리트 슬래브로 형성되는 고정 기초부(U) 상에 통상적인 방식으로 구성되는 레일(S)을 고정하기 위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는 2개의 시스템(1, 1')을 포함한다. 시스템(1, 1')은 레일(S)의 각 장 측부(long side) 위에 배치되어 있다. 레일(S)은 레일 차량들이 지나가는 트랙의 일부로(레일의 나머지 부분은 도시하지 않음), 레일 풋(F), 레일 상단부 위에 안착되는 서포트 및 레일 차량 휠들을 위한 연장 면이 구성되어 있는 자유 상측부 상의 지지부인 레일 헤드를 구비한다.
각 시스템(1, 1')은 안내판(2, 2')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W-형 텐션 클램프로 구성되는 스프링 부재(3, 3')가 상기 각각의 안내판들 위에 놓여진다. 각 스프링 부재(3, 3')는 통상적인 침목 나사로 구성되는 텐션 부재(4, 4')에 의해 기초부(U)에 대해 지지된다. 텐션 부재는 각 안내판(2, 2')의 상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안내판(2, 2')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홀 내로 그리고 기초부(U) 내에 매립되어 있는 플라스틱 핀(5, 5') 내로 나사 체결된다.
안내판(2, 2')은 통상적으로 경사진 안내판의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판은 기초부(U)에 할당되는 안내판의 밑면 위에 힐(heel)을 구비한다. 힐은, 레일(S)을 따라 연장하며 기초부 내부에 성형되어 있는 협 채널(6, 6') 내에 접착되는 방식으로 안착되어 있다. 레일(S)의 풋(F)을 향하는 각 안내판(2, 2')의 지지면은 그 지지면에 할당되는 각 레일 풋(F)의 장 측부와 인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레일(S)이 안내판(2, 2')에 의해 레일의 각 장 측부 상에 측 방향으로 지지되게 된다. 안내판(2, 2')은, 레일 차량이 고정 부위(B) 위를 주행할 때 발생하는 전단력(Q)을 기초부로 우회시킨다.
고정 부위(B)에서 레일(S)에 대해 중력 방향(K)으로 소정의 탄성력(resilence)을 부여하기 위해, 이러한 목적을 위해 탄성의 복원력이 있는 소재로 제작되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간층(Z)이 레일 풋(F)과 기초부(U) 사이에 위치한다.
시스템(1, 1') 내에서 각 스프링 부재(3, 3')는 유지력(N, N')을 스프링 부재(3, 3')의 중간 벤드(9)로부터 연장하며 각각이 탄성의 복원력이 있는 스프링 암(10, 11)의 단부 섹션(7, 8)에 의해 레일(S)의 레일 풋(F)에 가한다. 이에 의해 레일(S)이 기초부(U)에 대해 압박되며 유지된다.
레일(S)의 레일 풋(F)과 스프링 부재(3, 3')의 각 단부 섹션(7, 8) 사이에, 중간 부재(12, 12')가 위치한다.
세장형의 사각형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는 중간 부재(12, 12') 각각은 중간 부재의 전장(LZ)과 폭(BZ)에 걸쳐 연장하는 치수가 안정적인 제1의 판-형 섹션(13)을 구비한다. 판-형 섹션의 상단부 위에, 각각이 스프링 부재(3, 3')의 단부 섹션(7, 8)에 할당되기 위한 지지면(14)이 구성되어 있다. 중간 부재(12, 12')의 전방 측부(15, 16)에 인접하는 지지면(14)의 단부 섹션 위쪽에 몰딩부(17, 18)가 몰딩되어 있다. 몰딩부 각각은 중간 부재(12, 12')의 종 방향(L)으로 연장하는 캐비티 같은 리테이너(19, 20)를 획정한다. 사용하는 중에, 상기 리테이너(19, 20) 내에 스프링 부재(3, 3')의 곧은 단부 섹션(7, 8) 각각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 부재(3, 3')와 레일(S) 사이에 상대적으로 큰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도, 각 중간 부재(12, 12') 상에서 그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방식으로 단부 섹션(7, 8)이 이들의 장 측부 상에 안내되게 된다.
중간 부재(12, 12')는 각 중간 부재의 전장(LZ)과 폭(BZ)에 걸쳐 연장하며, 상기 제1 섹션(13)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지지면(14)을 향하며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되어 있는, 치수가 안정적인 제2의 판-형 섹션(21)도 구비한다. 레일 풋(F)에 할당되는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제2 섹션(21)의 밑면에 편평한 접촉면(22)이 형성되며, 사용하는 중에, 이 접촉면에 의해 중간 부재(12, 12')에 할당되는 레일 풋(F)의 상면 위에 중간 부재(12, 12')가 안착되게 된다.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섹션들(13, 21)이 서포트(2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서포트는 중간 부재(12, 12')의 일 장 측부(24)를 따라 연장하고 있다. 중간 부재(12, 12')의 장 측부(L)의 단면을 바라보면,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섹션들(13, 21)과 서포트(23)는 'C' 모양의 슬롯-형 리테이너(25)를 포함하고 있으며, 리테이너는 사용 위치에서 각 스프링 부재(3, 3')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중간 부재(12, 12')의 전장을 따라 연장한다.
중간 부재(12, 12')를 위한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섹션들(13, 21)과 서포트(23)는, 필요에 따라서는 파이버 혹은 입자-강화 폴리아미드 같이 치수적으로 안정된 합성 재료로 고형(solid)의 단일-편(single-piece)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폴리우레탄 혹은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인 혼합 혹은 밀폐-기포(closed-cell) 재료 같은 점탄성 탄성이 있는 합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탄성 부재(26)가, 중간 부재(12, 12')의 리테이너(25) 내에 안착되어 있다.
중간 부재(12, 12')의 높이(H) 상에 연장하는 원형 리세스(27)가, 중간 부재(12, 12')의 중앙부에 장 측부로부터 시작하여 형성되어 있다. 원형 리세스는 사용 중에 각 스프링 부재(3, 3')에 할당된다. 리세스에 의해, 각 스프링 부재(3, 3')의 U-형 중앙 벤드(9)의 아크가 조립 준비가 된 시스템(1, 1')에 체결된다.
중간 부재(12, 12')를 제조하는 중에, 한편으로 서포트(23)와 다른 한편으로 탄성 부재(26)와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섹션들(13, 21) 사이에, 견고하면서도 분리되지 않는 결합이 형성되도록, 탄성 부재(26)를 이루는 재료가 리테이너(25) 내로 주입된다.
리테이너(25) 내에 탄성 부재(26)가 배치됨에 따라, 먼저 적당한 치수 안정성이 보장되고, 두 번째로 유지력(N)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W)으로 중간 부재(12, 12')에 대해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보장한다. 유지력이 작용하는 방향은 지지면(14)으로부터 접촉면(22)을 향하는 방향이다.
탄성 부재(26)에 의해 각 중간 부재(12, 12')가 점탄성 특성을 가짐에 따라, 레일 차량이 고정 부위(B) 위를 주행할 때 발생하는 특히 레일(S)의 고주파 및 중주파 움직임이 감쇠되어 각 스프링 부재(3, 3')에 전달된다. 이는 각 스프링 부재(3, 3')가 공명되어 너무 이르게 마모되는 위험성을 최소로 만든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으로 인해, 능동 방향(W)으로의 고 탄성 및 관련 감쇠 효과 외에도, 중간 부재(12, 12')는 능동 방향(W)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매우 강건(rigid)하게 된다. 이는, 중간 부재(12, 12')와 대응되는 스프링 부재(3, 3') 사이에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한 내크리프성이 커지는 것을 보증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실시형태에 의하면, 치수적으로 안정된 제2의 섹션(21)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립된 상태에서, 탄성 부재(26)가 레일 풋(F)의 상부면 상에 직접 안착되게 된다. 적당한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 탄성 부재(26) 자체가 중간 부재로 사용되거나 혹은 2개의 치수적으로 안정된 층들 사이에 샌드위치-스타일로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탄성 부재 상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키게 된다. 탄성 부재는 튼튼한 재료(robust material)로 둘러싸일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인클로저는 이 전과 같이 탄성 부재의 감쇠 효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만 한다.
1, 1'
레일(S) 고정용 시스템
2, 2' 안내판(guide plate)
3, 3' 스프링 부재(spring element)
4, 4' 클램핑 나사(clamping screw)
5, 5' 플라스틱 핀(plastic pin)
6, 6' 협 채널(narrow channel)
7, 8 스프링 부재(3, 3')의 단부 섹션(end section)
9 스프링 부재(3, 3')의 중간 벤드(middle bend)
10, 11 스프링 암(spring arm)
12, 12' 중간 부재(intermediate element)
13 중간 부재(12, 12')의 제1 치수적 안정 섹션
14 중간 부재(12, 12')의 지지면(supporting surface)
15, 16 중간 부재(12, 12')의 전방 측부(front side)
17, 18 몰딩부(molded part)
19, 20 지지면(14) 상의 리테이너(retainer)
21 중간 부재(12, 12')의 제2 치수적 안정 섹션
22 중간 부재(12, 12')의 접촉면(contact surface)
23 중간 부재(12, 12')를 위한 서포트(support)
24 중간 부재(12, 12')의 장 측부(long side)
25 중간 부재(12, 12')용 슬롯-형 리테이너(slot-shaped retainer)
26 중간 부재(12, 12')의 탄성 부재(elastic element)
27 중간 부재(12, 12')용 리세스(recess)
B 고정 부위(fixing point)
BZ 중간 부재(12, 12')의 폭(width)
F 레일 풋(rail foot)
H 중간 부재(12, 12')의 높이(height)
K 중력 방향(direction of gravity)
L 중간 부재(12, 12')의 종 방향(longitudinal direction)
LZ 중간 부재(12, 12')의 전장(length)
N, N' 유지력(retaining force)
Q 전단력(shearing force)
S 레일(rail)
U 기초부(foundation)(침목 혹은 콘크리트 슬래브)
W 탄성 부재(25)의 탄성 회복력 작용 방향
Z 중간층(intermediate layer)
2, 2' 안내판(guide plate)
3, 3' 스프링 부재(spring element)
4, 4' 클램핑 나사(clamping screw)
5, 5' 플라스틱 핀(plastic pin)
6, 6' 협 채널(narrow channel)
7, 8 스프링 부재(3, 3')의 단부 섹션(end section)
9 스프링 부재(3, 3')의 중간 벤드(middle bend)
10, 11 스프링 암(spring arm)
12, 12' 중간 부재(intermediate element)
13 중간 부재(12, 12')의 제1 치수적 안정 섹션
14 중간 부재(12, 12')의 지지면(supporting surface)
15, 16 중간 부재(12, 12')의 전방 측부(front side)
17, 18 몰딩부(molded part)
19, 20 지지면(14) 상의 리테이너(retainer)
21 중간 부재(12, 12')의 제2 치수적 안정 섹션
22 중간 부재(12, 12')의 접촉면(contact surface)
23 중간 부재(12, 12')를 위한 서포트(support)
24 중간 부재(12, 12')의 장 측부(long side)
25 중간 부재(12, 12')용 슬롯-형 리테이너(slot-shaped retainer)
26 중간 부재(12, 12')의 탄성 부재(elastic element)
27 중간 부재(12, 12')용 리세스(recess)
B 고정 부위(fixing point)
BZ 중간 부재(12, 12')의 폭(width)
F 레일 풋(rail foot)
H 중간 부재(12, 12')의 높이(height)
K 중력 방향(direction of gravity)
L 중간 부재(12, 12')의 종 방향(longitudinal direction)
LZ 중간 부재(12, 12')의 전장(length)
N, N' 유지력(retaining force)
Q 전단력(shearing force)
S 레일(rail)
U 기초부(foundation)(침목 혹은 콘크리트 슬래브)
W 탄성 부재(25)의 탄성 회복력 작용 방향
Z 중간층(intermediate layer)
Claims (15)
- 기초부(U) 위에 레일 차량용 레일(S)을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1, 1')용 중간 부재로, 중간 부재(12, 12')가 스프링 부재(3, 3')의 단부 섹션(7, 8)과 레일(S) 사이에 배치되되, 중간 부재(12, 12')에 의해 스프링 부재(4, 4')가 레일(S) 상에 유지력(N, N')을 가하도록 중간 부재(12, 12')가 배치되고, 중간 부재(12, 12')는 지지면(14)과 접촉면(22)을 포함하되, 사용하는 중에, 지지면(14) 위에 스프링 부재(3, 3')의 단부 섹션(7, 8)이 안착되고, 사용하는 중에, 접촉면(22)에 의해 중간 부재(12, 12')가 레일(S) 상에 안착되는, 중간 부재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12, 12')가 상기 지지면(14)으로부터 접촉면(22)을 향하는 능동 방향(W)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지지면(14)과 접촉면(22) 사이에 탄성 부재(26)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부재. -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26)가 합성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부재. -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면(14)의 자유 상단부 위에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13)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부재. -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면(22)의 밑면 상에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21)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부재. - 제2항 또는 제3항 및 제4항 및 제5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26)가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들(13, 2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부재. - 제6항에 있어서,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들(13, 21)이 상기 탄성 부재(26)보다 탄성이 작은 재료로 제작되는 서포트(23)에 의해 연결되고,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들(13, 21)과 서포트(23)가 장 측부, 상 측부 및 밑면에 리테이너(25)를 획정하되, 리테이너 내에 탄성 부재(26)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부재. - 제7항에 있어서,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들(13, 21)과 서포트(23)가 단일 부품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부재. -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들(13, 21) 각각이 합성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부재. -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26)각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들(13, 21) 각각에 견고하게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부재. - 제10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26)가 치수적으로 안정된 섹션들(13, 21) 각각 위에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부재. -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가 세장형 사각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부재. -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부재가 장 측부를 구비하고, 사용하는 중에, 상기 장 측부 내에 스프링 부재(3, 3')의 섹션(9)이 체결되는 리세스(27)가 형성되며, 사용하는 중에, 스프링 부재(3, 3')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섹션(7, 8)이 중간 부재(12, 12')의 지지면(14) 위에 지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부재. -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면(14) 위에 몰딩부(17, 18)가 형성되어 있고, 사용하는 중에 스프링 부재(3, 3')의 대응 단부 섹션(7, 8)이 몰딩부에 대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부재. - 레일 풋(F)이 지지되어 있는 레일 차량용 레일(S)을 기초부(U)에 고정하는 시스템으로,
- 스프링 부재(3, 3')로, 텐션 부재(4, 4')에 의해 기초부(U)에 대해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부재(3, 3')의 자유 단부 위에 구성되어 있는 단부 섹션(7, 8)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암을 구비하는, 스프링 부재(3, 3')와,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되어 있는 중간 부재(12, 12')로, 레일(S)의 레일 풋(F) 위에 안착하는 접촉면(22)과, 스프링 부재(3, 3')의 스프링 암의 단부 섹션(7, 8)이 안착하는 지지면(14)을 구비하는 중간 부재(12, 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EP2013/071099 WO2015051841A1 (de) | 2013-10-09 | 2013-10-09 | Elastisches zwischentück zum klemmen eines schienenfuss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4209A true KR20160064209A (ko) | 2016-06-07 |
Family
ID=49385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11401A KR20160064209A (ko) | 2013-10-09 | 2013-10-09 | 레일 차량용 레일을 기초부에 고정하기 위한 중간 부재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160244919A1 (ko) |
EP (1) | EP3055459B1 (ko) |
KR (1) | KR20160064209A (ko) |
CN (1) | CN105658871A (ko) |
ES (1) | ES2741152T3 (ko) |
RU (1) | RU2016117880A (ko) |
WO (1) | WO201505184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7111781A1 (de) | 2017-05-30 | 2018-12-06 | Vossloh-Werke Gmbh | Spannklemme und Befestigungspunkt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auf einem Untergrund |
CA3042122C (en) | 2016-11-16 | 2021-05-04 | Vossloh-Werke Gmbh | Tension clamp and fastening point for the fastening of a rail to the ground |
DE102016122062A1 (de) | 2016-11-16 | 2018-05-17 | Vossloh-Werke Gmbh | Spannklemme, Führungsplatte und Befestigungspunkt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auf einem Untergrund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079870A6 (ko) * | 1970-02-16 | 1971-11-12 | Sonneville Roger | |
CH561822A5 (ko) * | 1971-07-30 | 1975-05-15 | Vagneux Traverses Beton | |
EA010041B1 (ru) * | 2004-07-01 | 2008-06-30 | Фоссло-Верке Гмбх | Упорный вкладыш и система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
DE202007018500U1 (de) | 2007-02-19 | 2008-08-14 | Vossloh-Werke Gmbh | Isolier-Clip sowie System zum Befestigung einer Schiene für Schienenfahrzeuge |
WO2009103349A1 (de) * | 2008-02-22 | 2009-08-27 | Vossloh-Werke Gmbh |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auf einem untergrund |
DE202008014249U1 (de) * | 2008-07-09 | 2008-12-24 | Vossloh-Werke Gmbh |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auf einem Untergrund |
DE102009041112B4 (de) * | 2009-09-15 | 2014-10-30 | Vossloh-Werke Gmbh |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und Befestigung einer Schiene |
EP2386687B1 (de) * | 2010-05-10 | 2013-11-20 | Vossloh-Werke GmbH | Führungsplatte zum seitlichen Führen einer Schiene und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auf einem Untergrund |
DE102010060745A1 (de) * | 2010-11-23 | 2012-05-24 | Vossloh-Werke Gmbh | Führungsplatte zum seitlichen Führen einer Schiene und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
-
2013
- 2013-10-09 EP EP13779172.9A patent/EP3055459B1/de not_active Not-in-force
- 2013-10-09 US US15/027,549 patent/US2016024491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10-09 ES ES13779172T patent/ES2741152T3/es active Active
- 2013-10-09 KR KR1020167011401A patent/KR2016006420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10-09 WO PCT/EP2013/071099 patent/WO2015051841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0-09 CN CN201380080149.9A patent/CN105658871A/zh active Pending
- 2013-10-09 RU RU2016117880A patent/RU2016117880A/ru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S2741152T3 (es) | 2020-02-10 |
CN105658871A (zh) | 2016-06-08 |
US20160244919A1 (en) | 2016-08-25 |
WO2015051841A1 (de) | 2015-04-16 |
RU2016117880A (ru) | 2017-11-13 |
EP3055459A1 (de) | 2016-08-17 |
EP3055459B1 (de) | 2019-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1601B1 (ko) | 레일 고정 시스템 | |
CN109312544B (zh) | 用于轨道车辆轨道固定点的弹性元件和固定点 | |
KR102393149B1 (ko) | 레일 체결 시스템 | |
CA2640845C (en) | Suspended rail fastening apparatus | |
JP6712156B2 (ja) | 鉄道レール締結組立体の高さ適合 | |
KR20160064209A (ko) | 레일 차량용 레일을 기초부에 고정하기 위한 중간 부재 및 시스템 | |
US10174460B2 (en) | Rail fastening arrangement and shim for such a rail fastening arrangement | |
US10294615B2 (en) | Rubber pad for rails | |
AU2004321203A1 (en) | Angled guide plate and system for fixing rails for rail vehicles | |
KR101067832B1 (ko) |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 |
EA028810B1 (ru) | Роли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становки остряка стрелки | |
US6325301B1 (en) | Track support system | |
AU2017336570B2 (en) | A pad for a railway rail fastening assembly | |
KR101305455B1 (ko) | 레일체결장치 | |
JP2013174087A (ja) | タイプレート式レール締結装置 | |
KR101094876B1 (ko) | 레일용 절연패드의 이탈방지 장치 | |
RU2306377C2 (ru) |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бучко, кацберг рельса к шпале | |
CN107366202B (zh) | 钢轨紧固件 | |
KR101480069B1 (ko) | 도상직결 침목 | |
CN216615335U (zh) | 铁轨安装结构及轨下垫板 | |
JP3853202B2 (ja) | Pcまくらぎ直結軌道 | |
CN110670421A (zh) | 一种嵌入式混凝土轨道座椅组件 | |
KR20130003996U (ko) | 철도 차량용 레일 체결장치 | |
JP2019094617A (ja) | 防振まくらぎ及び防振まくらぎ構造 | |
EP3418448A1 (en) | Moun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