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2560A - Decision menu generation method using gesture input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cision menu generation method using gesture input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62560A KR20160062560A KR1020140165488A KR20140165488A KR20160062560A KR 20160062560 A KR20160062560 A KR 20160062560A KR 1020140165488 A KR1020140165488 A KR 1020140165488A KR 20140165488 A KR20140165488 A KR 20140165488A KR 20160062560 A KR20160062560 A KR 201600625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sture
- input
- mouse
- user
- tou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rected to a method of generating a decision menu through input of a gestur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is recorded.
입력장치(input devices)가 다양화되고,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대한 분석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사람의 특정 행동을 인식하여 전자장치에 대한 특정 명령으로 변환하는 기술 또한,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As input devices are diversified and analysis techniques for signals input through input devices are developed, techniques for recognizing certain behaviors of a person and converting them into specific instructions for an electronic device, .
나날이 개선되어 가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의해 전자장치를 동작시키거나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이 아닌 직관적인 이해력이 보다 중요하므로,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는, 어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에 있어서 조금이라도 더 사용자 친화적인 요소를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Since intuitive comprehension rather than expert knowledge is more important to operate or utilize an electronic device by GUI (Graphic User Interface), which is being improved day by day, a person who provides a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is required to provide a service It is necessary to have even a little more user-friendly elements in mind.
인터넷, GUI, 상품의 유통판매업을 결합한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접근 및 이용은, 다양한 입력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PC나 태블릿 PC, 스마트폰을 통해 이루어지는 만큼, 사용자 친화적인 요소를 구비하기가 용이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사용자는 오직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의 운영자가 제공하는 쇼핑몰 사이트의 레이아웃(Layout)에 구속되어 쇼핑을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Access to and use of an online shopping mall that combines the Internet, GUI, and merchandise distribution business is achieved through a PC, a tablet PC, or a smart phone capable of connecting various input devices, so that it is easy to provide user- , And conventional users are constrained to the layout of the shopping mall site provided only by the operator of the online shopping mall site, and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to proceed with the shopp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파악하여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되는 아이템의 구매를 진행시키기 위한 결정메뉴를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정보 화면에 출력시킬 수 있는,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decision menu for advancing a purchase of an item to be sold in an online shopping mall,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is recorded.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방법은, 온라인 쇼핑몰의 아이템의 판매정보 화면에 출력되는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방법에 있어서, 기설정된 시간동안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상기 입력장치에 대해 실행한 입력 제스처를 산출하고, 상기 입력 제스처와 상기 입력장치에 대응되는 기준 제스처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스처 일치 판단 단계; 및 상기 입력 제스처와 상기 기준 제스처가 서로 일치하면, 상기 화면에 상기 입력 제스처가 발생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아이템의 구매를 진행시키기 위한 결정메뉴를 출력시키는 결정메뉴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generating a decision menu through input of a gesture,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 decision menu by inputting a gesture output on a sales information screen of an item of an online shopping mall,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is analyzed to calculate an input gesture performed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input device and whether or not the input gesture matches the reference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input device Gesture match determination step; And a decision menu output step of outputting a decision menu for advancing the purchase of the item around the part where the input gesture occurs, when the input gesture and the reference gesture coincide with each other.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the method, the input device may be a mouse or a touch screen.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마우스이고, 상기 제스처 일치 판단 단계는, 상기 마우스의 버튼이 상기 기설정된 시간동안 클릭된 횟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마우스 클릭 횟수 측정 단계; 및 상기 마우스의 버튼이 상기 기설정된 시간동안 클릭된 횟수가 일정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입력 제스처가 상기 기준 제스처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마우스 제스처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input device is a mouse, and the gesture coincidence determination step includes: a mouse click count measurement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number of times the button of the mouse is clicked for the preset time; And a mouse gesture judging step of judging that the input gesture is in agreement with the reference gesture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button of the mouse is clicked for the preset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마우스이고, 상기 제스처 일치 판단 단계는, 상기 마우스의 버튼이 눌려있던 클릭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클릭 유지시간 측정 단계; 및 상기 클릭 유지시간이 기설정된 유지시간를 초과하면, 상기 입력 제스처가 상기 기준 제스처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마우스 제스처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the input device may be a mouse, and the gesture matching step may include: measuring a click holding time at which the button of the mouse is pressed; And a mouse gesture judging step of judging that the input gesture is in agreement with the reference gesture when the click retention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holding time.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터치 스크린이고, 상기 제스처 일치 판단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감지된 터치의 횟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터치 횟수 측정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감지된 터치의 횟수가 일정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입력 제스처가 상기 기준 제스처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터치 제스처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the input device is a touch screen, and the gesture coincidence determination step includes: a touch count measurement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number of touches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And a touch gesture judging step of judging that the input gesture is in agreement with the reference gesture when the number of touches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터치 스크린이고, 상기 제스처 일치 판단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유지된 시간을 측정하는 터치 유지시간 측정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유지된 시간이 기설정된 유지시간를 초과하면, 상기 입력 제스처가 상기 기준 제스처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터치 제스처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the input device may be a touch screen, and the gesture match determination step may include: measuring a touch holding time of the touch screen; And a touch gesture judging step of judging that the input gesture is in agreement with the reference gesture when the time for which the touch is held on the touch screen exceeds a preset holding time.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정메뉴 출력 단계는, 상기 입력 제스처가 발생한 위치에 상기 결정메뉴의 중심 또는 일 모서리가 위치하도록 상기 결정메뉴를 출력시킬 수 있다.In the method, the decision menu output step may output the decision menu such that the center or one corner of the decision menu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input gesture occurs.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정메뉴 출력 단계는, 상기 입력 제스처가 발생한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 상기 결정메뉴를 출력시킬 수 있다.In the method, the determination menu output step may output the determination menu to an area including a position where the input gesture occurs.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generate a decision menu through input of a gesture.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방법, 및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의하면,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의 레이아웃에 구속되지 않고, 간단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통해서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아이템을 구매에 대한 결정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method for generating a decision menu through input of a ge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generating a decision menu through input of a gesture are recorded, a user who uses the online shopping mall, It is possible to make a decision on purchasing an item sold in an online shopping mall through a simple user's gesture without being bound to the layout of the online shopping mal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스처 일치 판단부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를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에 구현된 경우, 아이템의 구매를 진행시키기 위한 결정메뉴가 출력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를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이 스마트폰에 구현된 경우, 아이템의 구매를 진행시키기 위한 결정메뉴가 출력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를 통한 결정메뉴 생성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decision menu generation system based on input of a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decision menu generation system through input of a ges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gesture match determination unit included in a decision menu generation system through input of a ges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through 4C illustrate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a decision menu for proceeding with purchase of an item is output when a decision menu generation system through a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user terminal.
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when a decision menu generation system through a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smart phone, Fig.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decision menu through a ges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Hereinafter,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in Figs. 1 and 2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f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ign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on different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한편,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그 특정한 실시 예에 대한 것으로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기재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The singular forms " a "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붙이는 용어일 뿐이므로, 별도로 명시적인 한정의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한 구성요소가 제1, 제2와 같은 용어에 의해 한정해석되지 않는 것으로 본다.The terms first, second, and so on are merely terms that are used to clearly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so unless the element has the meaning of an explicit limitation, It is assumed that it is not construed as limited by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쇼핑을 진행하면서 상품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상품에 대한 결제까지 가능하도록 해주는 사용자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PC, 노트북, 넷북, 스마트폰 등을 모두 포함하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A user terminal such as a PC, a notebook, a netbook, a smart phone, or the like including a user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It is considered to mean all-inclusive device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t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decision menu generation system based on input of a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100)은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와 결정메뉴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decision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입력장치를 통해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로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입력장치에 대해 실행한 입력 제스처를 산출하고, 입력 제스처와 입력장치에 대응되는 기준 제스처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gesture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에 신호를 전송하는 입력장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아이템를 사용자가 구매하기 위해 취하는 일련의 행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및 터치 스크린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의 특정 행동을 신호로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n input device that transmits a signal to the gesture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의 기설정된 시간은 신호분석을 위해서,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에 입력되는 신호를 적절하게 잘라내기 위한 시간개념으로, 기설정된 시간의 구체적인 값은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time of the gesture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가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산출하는 입력 제스처는, 사용자가 입력장치에 대해 물리적으로 수행한 구체적인 내용이 될 수 있다. The input gesture that the gesture
예를 들어, 500ms(밀리세컨드)내에 마우스의 좌측 버튼이 두 번 눌렸을 때,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는 마우스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마우스 좌측 버튼을 더블클릭하였다”라는 내용의 입력 제스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500ms는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에 있어서 사용자의 더블클릭제스처를 판단하는 기설정된 시간이 되며, 사용자의 다른 제스처를 판단하기 위한 기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의 더블클릭 제스처를 판단하기 위한 기설정된 시간과 다를 수 있다.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에 기설정된 시간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의 관리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eft button of the mouse is pressed twice within 500 ms (milliseconds), the gesture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입력장치에 대해 물리적으로 수행한 구체적인 내용(입력 제스처)을 산출하기 위한 실시 예로서,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에 입력된 신호는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 라이브러리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The gesture
입력 제스처를 산출한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는 입력 제스처가 입력장치에 대응되는 기준 제스처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 제스처는 입력 제스처와 비교되기 위해서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 또는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기준 제스처는 입력 제스처처럼 사람이 입력장치에 물리적으로 수행한 구체적인 내용으로 저장되며, 그 가지 수에 제한이 없고, 입력장치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특성을 갖는다.The gesture
예를 들어, 입력장치가 마우스인 경우, 마우스에 대응되는 기준 제스처는, 사용자가 마우스의 좌측 버튼을 한번 클릭하는 제스처, 사용자가 마우스의 우측 버튼을 1초내에 3번이상 클릭하는 제스처, 또는 사용자가 마우스의 휠 버튼을 2초이상 누르고 있는 제스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nput device is a mouse, the reference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mouse may be a gesture in which the user clicks the left button of the mouse once, a gesture in which the user clicks the right button of the mouse three or more times in one second, A gesture in which the mouse wheel button is pressed for 2 seconds or more, and the like.
또 다른 예로서, 입력장치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터치 스크린에 대응되는 기준 제스처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1초동안 터치하는 제스처,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500ms동안 2회 이상 터치하는 제스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input device is a touch screen, the reference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includes a gesture in which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for one second, a gesture in which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more than twice for 500 ms, can do.
입력 제스처 및 기준 제스처가, 사용자가 입력장치에 대해 물리적으로 수행한 구체적인 내용으로 저장됨으로써,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100)의 관리자가 기준 제스처를 추가, 삭제 등과 같은 변경작업을 하기 위해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제스처를 열람할 때, 각각의 제스처가 무슨 의미인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The input gesture and the reference gesture are stored in the specific contents physically performed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input device so that the administrator of the decision
선택적 실시 예로서,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패턴을 검출하고, 검출된 패턴 자체를 입력 제스처로 간주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 따르면, 기준 제스처도 특정한 신호의 패턴형태로 구성되기만 할 뿐, 그 패턴만으로 사용자가 마우스의 좌측 버튼을 1초동안 몇 번 클릭했는지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지는 않지만, 입력 제스처와 기준 제스처가 모두 신호의 패턴형태로 표현되므로 서로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것은 가능하다.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gesture match determiner 110 may analyze a signal inputted through the input device for a preset time period, detect a specific pattern, and regard the detected pattern itself as an input ges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reference gesture is also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attern of a specific signal, and does not include information such as how many times the user has clicked the left button of the mouse for one second in the pattern alone, but the input gesture and the reference gesture Are expressed in the form of a pattern of signals,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m to each other.
이 선택적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100)은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에 입력된 신호를 사용자가 입력장치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입력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변환할 필요 없이, 신호의 패턴 검출과 비교로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전술한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100)보다 더 적은 연산처리량을 기대할 수 있다.The decision
결정메뉴 출력부(130)는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가 입력 제스처와 기준 제스처가 서로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그 판단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온라인 쇼핑몰의 특정 아이템의 판매정보 화면에 입력 제스처가 발생한 부분을 중심으로 그 특정 아이템의 구매를 진행시키기 위한 결정메뉴를 출력시킨다. 결정메뉴 출력부(130)는 사용자가 입력 제스처를 입력한 후 용이하게 결정메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입력 제스처가 발생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결정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결정메뉴 출력부(130)는 입력 제스처가 발생한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메뉴를 출력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메뉴 출력부(130)는 입력 제스처가 발생한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 결정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결정메뉴 출력부(130)는 입력 제스처가 발생한 위치에 결정메뉴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결정메뉴를 출력시킬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결정메뉴 출력부(130)는 입력 제스처가 발생한 위치에 결정메뉴의 일 모서리가 위치하도록 결정메뉴를 출력시킬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결정메뉴 출력부(130)는 입력 제스처가 발생한 위치에 결정메뉴의 기설정된 특정 지점이 위치하도록 결정메뉴를 출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When the gesture
결정메뉴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디스플레이부)을 통해 출력되는 온라인 쇼핑몰의 특정 아이템의 판매정보 화면에서, 그 특정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해 사용자가 결제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로 진행하거나, 현재 입력되어 있는 아이템의 구매옵션을 변경하는 단계로 진행하거나, 또는 현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의 초기 화면으로 돌아가는 단계로 진행할 수 있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cision menu, the user proceeds to the step of inputting the payment information in order to purchase the specific item on the sales information screen of the specific item of the online shopping mall outputted through the screen (display por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user can proceed to the step of changing the purchase option of the online shopping mall site or to return to the initial screen of the online shopping mall site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current user terminal.
온라인 쇼핑몰의 특정 아이템의 판매정보 화면에 결정메뉴가 출력되는 위치는, 사용자의 입력 제스처가 발생한 부분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메뉴 출력부(130)는 입력 제스처가 발생한 부분을 중심으로 결정메뉴를 출력시키기 되며, 이는 온라인 쇼핑몰의 아이템에 대한 구매를 결정하는 것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더 나은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아이템에 대한 최종 결제를 수행하는 확률을 더 높이기 위함이다. The position at which the decision menu is output on the sales information screen of the specific item of the online shopping mall is the portion where the user's input gesture occurs. More specifically, the decision
종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사용자가 특정 아이템에 대한 구매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아이템의 판매정보 화면에서 입력장치를 통해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버튼을 찾아서 스크롤을 내리거나, 새로운 결제 창을 직접 띄워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입력장치를 통해 간단한 사용자의 제스처가 입력함으로써 출력되는 결정메뉴를 통해, 빠르게 사용자가 구매하려고 하는 아이템에 대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데에 큰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purchase of a specific item in the conventional online shopping mall,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purchase of a specific item, the user must scroll through the input device to find a button that can be moved to the next step and scroll dow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quickly settle an item to be purchased through a decision menu, which is output by inputting a gesture of a simple user through an input device, so that the user can enjoy a great convenience in using the online shopping mall .
특히, 사용자 단말기가 스마트폰이고, 사용자가 쇼핑 아이템의 가격을 지불하는 데에 이용하는 신용카드의 앱카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라면,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몰의 특정 아이템을 선택하고 구매옵션을 설정한 후, 바로 제스처를 통해 결정메뉴를 출력시켜 결제 단계로 넘어가서 비밀번호 입력만으로 사용자가 구매하려는 아이템에 대한 결제가 완료될 수 있으므로, 그 활용의 여지가 크다고 볼 수 있다.In particular, if the user terminal is a smart phone and the app card application of the credit card used by the user to pay the price of the shopping item is installed, the user selects a specific item in the online shopping mall, sets a purchase option, The decision menu is outputted through the gesture, and the user goes to the settlement step and the settlement of the item that the user wants to purchase can be completed only by inputting the password.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decision menu generation system through input of a ges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100)은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 및 결정메뉴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ecision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입력장치를 통해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로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입력장치에 대해 실행한 입력 제스처를 산출하고, 입력 제스처와 입력장치에 대응되는 기준 제스처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제스처 종류 판단부(111), 마우스 클릭 횟수 측정부(112), 마우스 대기시간 측정부(113), 터치 횟수 측정부(114), 터치 유지시간 측정부(115), 마우스 제스처 판단부(116), 및 터치 제스처 판단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sture
제스처 종류 판단부(111)는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입력장치가 무엇인지 판단한다. 입력장치의 종류에 따라 산출될 수 있는 입력 제스처의 종류도 달라지게 되며, 입력 제스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제스처 또한, 입력장치에 대응되어 있기 때문에 제스처 종류 판단부(111)에 의해 입력장치가 무엇인지 판단하는 것은 가장 선행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도 2에 도시된 제스처 종류 판단부(111)가 판단할 수 있는 입력장치는 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이다.The gesture
제스처 종류 판단부(111)는 입력장치가 무엇인지 판단되면,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특성을 파악한다.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사용자가 마우스 버튼을 클릭한 횟수에 대한 신호, 사용자가 마우스 버튼을 누른 채 대기한 시간에 대한 신호,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한 횟수에 대한 신호, 및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터치를 유지한 시간에 대한 신호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If the gesture
입력장치를 통해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로 입력되는 신호의 패턴은 다양하므로, 상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른 실시 예가 있을 수 있으며, 그런 경우에도 본 발명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Since the pattern of the signal input to the
즉, 제스처 종류 판단부(111)는 사용자가 입력장치에 대해 실행한 입력 제스처에 따라 입력장치를 통해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에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입력장치가 마우스와 터치 스크린 중 무엇인지 먼저 판단하고, 입력장치가 특정된 후 신호가 어떠한 입력 제스처를 포함하고 있는지 대략적으로 판단하여, 입력된 신호를 마우스 클릭 횟수 측정부(112), 마우스 대기시간 측정부(113), 터치 횟수 측정부(114), 및 터치 유지시간 측정부(115) 중 어느 곳에 보낼지 결정한다.That is, the gesture
마우스 클릭 횟수 측정부(112)는 제스처 종류 판단부(111)로부터 신호를 받아, 사용자가 마우스의 버튼을 몇 번 클릭했는지 판단하고, 사용자가 마우스의 버튼을 클릭한 횟수인 마우스 클릭 횟수를 저장한다.The mouse click
마우스 클릭 횟수 측정부(112)는 사용자가 사용한 입력장치는 마우스고, 사용자의 마우스에 대한 입력형태도 기설정된 시간동안 일정횟수의 클릭을 한 것이라는 내용을 포함하는 신호를 제스처 종류 판단부(111)로부터 수신하므로, 마우스 클릭 횟수 측정부(112)는 사용자가 마우스의 어떤 버튼을 몇 번 클릭했는지만 측정하면 된다. The mouse click
마우스 클릭 횟수 측정부(112)가 판단하는 사용자가 클릭한 마우스의 버튼은, 마우스의 좌측 버튼, 마우스의 우측 버튼, 및 마우스의 휠 버튼(가운데 버튼)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추가적인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전술한 3가지 버튼 외에 기존 버튼과 다른 위치에 버튼이 추가된 마우스를 사용했다면, 그 추가된 버튼도 사용자가 클릭한 마우스의 버튼에 포함될 수 있다.The button of the mouse clicked by the user judged by the mouse click
클릭 유지시간 측정부(113)는 사용자에 의해 마우스의 버튼이 눌려있던 시간인, 클릭 유지시간을 측정하여 저장한다.The click retention
클릭 유지시간 측정부(113)는 사용자가 사용한 입력장치는 마우스였고, 사용자의 마우스에 대한 입력형태도 마우스의 버튼을 누른 상태를 유지한 것이라는 내용을 포함하는 신호를 제스처 종류 판단부(111)로부터 수신하므로, 클릭 유지시간 측정부(113)는 사용자가 마우스의 어떤 버튼을 클릭 상태로 유지했는지만 측정하면 된다. The click holding
클릭 유지시간 측정부(113)가 판단하는 사용자가 클릭 상태를 유지하는 마우스의 버튼은, 마우스의 좌측 버튼, 마우스의 우측 버튼, 및 마우스의 휠 버튼(가운데 버튼)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추가적인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전술한 3가지 버튼 외에 기존 버튼과 다른 위치에 버튼이 추가된 마우스를 사용했다면, 그 추가된 버튼도 사용자가 누른 상태를 유지하는 마우스의 버튼에 포함될 수 있다.The button of the mouse, which the user judged by the click-holding
터치 횟수 측정부(114)는 제스처 종류 판단부(111)로부터 신호를 받아,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터치를 몇 번 했는지 판단하고,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터치를 한 횟수인 터치 횟수를 저장한다.The touch
터치 횟수 측정부(114)는 사용자가 사용한 입력장치는 터치 스크린이었고,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에 대한 입력형태도 기설정된 시간동안 일정횟수의 터치를 한 것이라는 내용을 포함하는 신호를 제스처 종류 판단부(111)로부터 수신하므로, 터치 횟수 측정부(114)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몇 번 터치했는지만 측정하면 된다.The touch
터치 유지시간 측정부(115)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터치한 채로 유지한 시간인, 터치 유지시간을 측정하여 저장한다.The touch holding
터치 유지시간 측정부(115)는 사용자가 사용한 입력장치는 터치 스크린이었고,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에 대한 입력형태도 터치 스크린에 터치를 유지한 것이라는 내용을 포함하는 신호를 제스처 종류 판단부(111)로부터 수신하므로, 터치 유지시간 측정부(115)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한 채로 얼마나 유지했는지만 측정하면 된다.The touch holding
마우스 제스처 판단부(116)는 마우스 클릭 횟수 측정부(112) 및 클릭 유지시간 측정부(113)로부터, 마우스 클릭 횟수 또는 클릭 유지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마우스 클릭 횟수가 일정횟수를 초과하거나, 클릭 유지시간이 기설정된 유지시간을 초과하면, 입력 제스처와 기준 제스처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The mouse
기설정된 유지시간은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기설정된 시간과 구별되는 개념으로서, 기설정된 시간이 신호분석을 위해서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에 입력된 신호를 일정단위로 나누기 위한 시간이라면, 마우스 제스처 판단부(116)의 기설정된 유지시간은 클릭 유지시간과 비교하기 위해 저장되는 시간이다.The predetermined holding time is a concept distinguished from the predetermined tim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gesture
예를 들어,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에 입력된 신호에 마우스 버튼이 클릭된 채 유지된 시간이 1.5초, 기설정된 시간이 2초, 기설정된 유지시간이 1.25초라면, 마우스 제스처 판단부(116)는 입력된 신호 분석 결과 마우스 버튼이 클릭된 채 유지된 시간이 기설정된 유지시간인 1.25초를 초과하므로, 입력 제스처와 기준 제스처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ignal inputted to the gesture
터치 제스처 판단부(117)는 터치 횟수 측정부(114) 및 터치 유지시간 측정부(115)로부터, 터치 횟수 및 터치 유지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터치 횟수가 일정횟수를 초과하거나 터치 유지시간이 기설정된 유지시간을 초과하면, 입력 제스처와 기준 제스처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터치 제스처 판단부(117)의 기설정된 유지시간은 마우스 제스처 판단부(116)의 기설정된 유지시간과 동일한 맥락으로 설명이 가능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ouch
결정메뉴 출력부(130)는 제스처 일치 판단부(110)가 입력 제스처와 기준 제스처가 서로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그 판단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온라인 쇼핑몰의 특정 아이템의 판매정보 화면에 입력 제스처가 발생한 부분을 중심으로 그 특정 아이템의 구매를 진행시키기 위한 결정메뉴를 출력시킨다.When the gesture matching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스처 일치 판단부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gesture match determination unit included in a decision menu generation system through input of a ges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스처 일치 판단부(310)는 제스처 종류 판단부(311), 제스처 횟수 측정부(313), 제스처 시간 측정부(315), 마우스 제스처 판단부(317), 터치 제스처 판단부(319)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gesture
제스처 종류 판단부(311)는 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스처 일치 판단부(310)에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신호가 불연속적인 특성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스처 종류 판단부(311)는 신호가 불연속적인 특성을 갖는다면, 신호를 제스처 횟수 측정부(313)로 송신하고, 신호가 연속적인 특성을 갖는다면, 신호를 제스처 시간 측정부(315)로 송신한다.The gesture
제스처 종류 판단부(311)가 분석한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한번 불연속이 발생한 것으로 판명되더라도, 제스처 종류 판단부(311)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신호가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특성을 갖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Even if the signal analyzed by the gesture
제스처 종류 판단부(311)가 신호를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기 위해 제스처 종류 판단부(311)에 미리 설정된 기준은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의 관리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gesture
제스처 횟수 측정부(313)는 제스처 종류 판단부(311)로부터 불연속적인 특성을 갖는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장치의 종류가 마우스와 터치 스크린 중 어느 것인지 판별한 후 마우스의 클릭 횟수 또는 터치 횟수 중 어느 하나의 값을 측정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제스처 횟수 측정부(313)는 도 2에 도시된 마우스 클릭 횟수 측정부(112)와 터치 횟수 측정부(114)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모두 포함한다.The gesture
제스처 시간 측정부(315)는 제스처 종류 판단부(311)로부터 연속적인 특성을 갖는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장치의 종류가 마우스와 터치 스크린 중 어느 것인지 판별한 후 클릭 유지시간 또는 터치 유지시간 중 어느 하나의 값을 측정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제스처 시간 측정부(315)는 도 2에 도시된 클릭 유지시간 측정부(113)과 터치 유지시간 측정부(115)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모두 포함한다.The gesture
마우스 제스처 판단부(317)는 제스처 횟수 측정부(313) 및 제스처 시간 측정부(315)로부터 각각 마우스 클릭 횟수 및 클릭 유지시간을 수신하여, 마우스 클릭 횟수가 일정횟수를 초과하거나, 클릭 유지시간이 기설정된 유지시간을 초과하면, 입력 제스처와 기준 제스처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The mouse
터치 제스처 판단부(319)는 제스처 횟수 측정부(313) 및 제스처 시간 측정부(315)로부터 각각 터치 횟수 및 터치 유지시간을 수신하여, 터치 횟수가 일정횟수를 초과하거나, 터치 유지시간이 기설정된 유지시간을 초과하면, 입력 제스처와 기준 제스처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The touch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를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에 구현된 경우, 아이템의 구매를 진행시키기 위한 결정메뉴가 출력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S. 4A through 4C illustrate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a decision menu for proceeding with purchase of an item is output when a decision menu generation system through a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user terminal.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아이템에 대한 판매정보 중 최상단 위치에 놓인 정보가 출력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도 4a에 도시된 내용을 통해서 아이템의 정보를 습득할 수 있지만, 해당 아이템의 구매를 진행하기 위한 메뉴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Referring to FIG. 4A,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placed at the uppermost position of the sales information about items sold in the online shopping mall is outputted, and the user can acquire the information of the item through the contents shown in FIG. 4A , A menu for proceeding with the purchase of the item is not displayed.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아이템에 대한 판매정보 중 최하단 위치에 놓인 정보가 출력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도 4a에 도시된 아이템(프라이팬)을 구매하기 위해 도 4b에 도시된 바로 구매버튼(410a)을 눌러서 결제를 바로 진행하거나, 장바구니 담기버튼(430b)을 눌러서 차후에 장바구니에 모인 아이템과 일괄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the information on the bottom of the sales information about the items sold in the online shopping mall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selects the item (frying pan) The user can press the purchase button 410a immediately to proceed with settlement or press the shopping basket add
도 4a 및 도 4b를 참조했을 때,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특정 아이템(프라이팬)을 구매하려고 하더라도, 판매되는 아이템에 대한 판매정보 중 최하단 위치에 놓인 정보가 출력될 정도로,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를 보여주는 브라우저의 스크롤바를 이동시켜야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4A and 4B, even if a user who uses the online shopping mall tries to purchase a specific item (frying pan), a browser showing the online shopping mall site is displayed in such a manner that the information at the bottom- It is necessary to move the scroll bar of the screen.
도 4c에는 사용자의 입력 제스처가 발생하여 이에 따른 결정메뉴(400c)가 표시된 예가 도시되었다. 도 4c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아이템에 대한 판매정보 중 최상단 위치에 놓인 정보가 출력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도 4c에 도시된 내용을 통해서 아이템의 정보를 습득하면서, 결정메뉴(400c)를 통해서 구매를 위한 절차를 진행시킬 수 있다.FIG. 4C shows an example in which a
결정메뉴(400c)는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수행한 제스처(입력 제스처)가 기준 제스처와 서로 일치하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아이템을 구매를 진행할 수 있게 해준다. 결정메뉴(400c)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의 아이템의 판매정보 화면 중 사용자의 입력 제스처가 발생한 부분을 중심으로 출력하게 되며, 도 4c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입력 제스처가 발생한 검은색 화살표를 중심으로 결정메뉴(400c)가 출력된 것을 알 수 있다.If the gesture (input gesture) perform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device coincides with the reference gesture, the
결정메뉴(400c)는 현재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고 있는 아이템에 대한 결제를 위한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바로구매부(410c), 현재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고 있는 아이템의 구매옵션을 변경하는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옵션변경부(430c), 현재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고 있는 아이템이 장바구니에 담긴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장바구니담기부(450c), 및 현재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기 전의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뒤로가기부(470c)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를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이 스마트폰에 구현된 경우, 아이템의 구매를 진행시키기 위한 결정메뉴가 출력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when a decision menu generation system through a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smart phone, Fig.
도 5(a)는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의 특정 위치에서 입력 제스처를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입력 제스처를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의 위치는, 터치 스크린이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기만 하면 되므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화면에서 그림이나 글자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에 검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 제스처를 수행하려고 한다. 5 (a) illustrates a user performing an input gesture at a specific location on a touch screen of a smartphone. The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on which the user performs the input ges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touch screen can receive the touch input from the user. Referring to FIG. 5A, The user attempts to perform the input gesture using the index finger at the portion where the finger is not displayed.
도 5(b)는 사용자의 입력 제스처에 의해 스마트폰의 화면에 결정메뉴(500b)가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에 도시된 스마트폰의 화면 중, 결정메뉴가 출력되는 위치는 도 5(a)에서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에 의해 입력 제스처가 입력된 위치가 된다. 5B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도 5(b)에 도시된 결정메뉴(500b)는 도 4c에 도시된 결정메뉴(400c)와 다르게 직관적이고 간단한 그림으로 메뉴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스마트폰의 화면이 다른 사용자 단말기 종류인 PC나 노트북의 화면보다 현저히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자 대신 그림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 5의 결정메뉴(500b)에 포함된 바로구매부(510b), 옵션변경부(530b), 장바구니담기부(550b), 및 뒤로가기부(570b)가 각각 수행하는 기능은 도 4의 결정메뉴(400c)에 포함된 바로구매부(410c), 옵션변경부(430c), 장바구니담기부(450c), 뒤로가기부(470c)가 수행하는 기능과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스처를 통한 결정메뉴 생성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decision menu through a ges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Hereinafter,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in Figs. 1 and 2 will be omitted.
제스처 일치 판단부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입력장치에 대해 실행한 입력 제스처를 산출하고, 입력 제스처와 입력장치에 대응되는 기준 제스처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10).The gesture coincidence judging unit analyzes a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for a preset time period to calculate an input gesture performed by the user on the input device and judges whether or not the input gesture matches the reference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input device (S610).
선택적 실시 예로서, 단계 610에서, 입력장치는 마우스 또는 터치스크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in step 610, the input device may be either a mouse or a touch screen.
선택적 실시 예로서, 단계 610은, 마우스 클릭 횟수 측정부가 마우스의 버튼이 기설정된 시간동안 클릭된 횟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마우스 제스처 판단부가 마우스의 버튼이 기설정된 시간동안 클릭된 횟수가 일정횟수를 초과하면, 입력 제스처가 기준 제스처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optional embodiment, step 610 includes steps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number of times the mouse click counting unit has clicked the button of the mouse for a preset time, and storing the number of times the button of the mouse has been clicked for a preset time,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input gesture is in agreement with the reference gesture.
선택적 실시 예로서, 단계 610은, 클릭 유지시간 측정부가 마우스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있던 클릭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마우스 제스처 판단부가 클릭 유지시간이 기설정된 유지시간을 초과하면, 입력 제스처가 기준 제스처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step 610 may include a step of measuring the click holding time when the mouse button is pressed by the user and the mouse gesture judging unit exceeding the predetermined holding time, And determining that the gestures match with each other.
선택적 실시 예로서, 단계 610은, 터치 횟수 측정부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터치 스크린에 감지된 터치의 횟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터치 제스처 판단부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터치 스크린에 감지된 터치의 횟수가 일정횟수를 초과하면, 입력 제스처가 기준 제스처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step 610 may include receiving and storing the number of touches sensed on the touch screen for a preset time, and storing the number of touches sensed on the touch screen for a pre- If the number of times is exceed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input gesture agrees with the reference gesture.
선택적 실시 예로서, 단계 610은, 터치 유지시간 측정부가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유지된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터치 제스처 판단부가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유지된 시간이 기설정된 유지시간을 초과하면, 입력 제스처가 기준 제스처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step 610 may include measuring a time at which the touch is maintained on the touch screen, and if the touch gesture determination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hold time, May be determined to be coincident with the reference gesture.
결정메뉴 출력부는 입력 제스처와 기준 제스처가 서로 일치하면, 온라인 쇼핑몰의 아이템의 판매정보 화면에 입력 제스처가 발생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아이템의 구매를 진행시키기 위한 결정메뉴를 출력시킨다(S630).If the input gesture and the reference gesture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decision menu output unit outputs a decision menu for advancing the purchase of the item around the portion where the input gesture occurs, on the item sales information screen of the online shopping mall (S63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of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at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100 :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시스템
110 : 제스처 일치 판단부 115 : 터치 유지시간 측정부
111 : 제스처 종류 판단부 116 : 마우스 제스처 판단부
112 : 마우스 클릭 횟수 측정부 117 : 터치 제스처 판단부
113 : 클릭 유지시간 측정부 130 : 결정메뉴 출력부
114 : 터치 횟수 측정부100: Decision menu creation system through input of gesture
110: gesture coincidence judging unit 115: touch holding time measuring unit
111: Gesture type determination unit 116: Mouse gesture determination unit
112: mouse click count measuring unit 117: touch gesture judging unit
113: Click holding time measuring unit 130: Decision menu output unit
114: touch frequency measuring section
Claims (9)
상기 입력 제스처와 상기 기준 제스처가 서로 일치하면, 상기 화면에 상기 입력 제스처가 발생한 위치에 상기 아이템의 구매를 진행시키기 위한 결정메뉴를 출력시키는 결정메뉴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방법.A gesture coincidence determination step of calculating an input gesture from a signal inputted through an input device with respect to an item sales information screen of an online shopping mall and judging whether or not the input gesture and the reference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input device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And a decision menu output step of outputting a decision menu for advancing the purchase of the item to a position where the input gesture is generated when the input gesture and the reference gesture coincide with each other, Generation method.
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방법.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esture input is one of a mouse and a touch screen.
상기 제스처 일치 판단 단계는,
상기 마우스의 버튼이 기설정된 시간동안 클릭된 횟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마우스 클릭 횟수 측정 단계; 및
상기 마우스의 버튼이 상기 기설정된 시간동안 클릭된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입력 제스처가 상기 기준 제스처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마우스 제스처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방법.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device is a mouse,
The gesture matching determination step may include:
A mouse click counting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number of times the button of the mouse is clicked for a preset time; And
And a mouse gesture judging step of judging that the input gesture is in agreement with the reference gesture whe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mouse button is clicked for the preset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ay.
상기 제스처 일치 판단 단계는,
상기 마우스의 버튼이 눌려있던 클릭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클릭 유지시간 측정 단계; 및
상기 클릭 유지시간이 기설정된 유지시간를 초과하면, 상기 입력 제스처가 상기 기준 제스처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마우스 제스처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방법.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device is a mouse,
The gesture matching determination step may include:
A click holding tim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 click holding time when the button of the mouse is pressed; And
And a mouse gesture judging step of judging that the input gesture is in agreement with the reference gesture when the click holding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holding time.
상기 제스처 일치 판단 단계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감지된 터치의 횟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터치 횟수 측정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감지된 터치의 횟수가 일정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입력 제스처가 상기 기준 제스처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터치 제스처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device is a touch screen,
The gesture matching determination step may include:
A touch count measuring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number of touches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for a preset time; And
And a touch gesture judging step of judging that the input gesture is in agreement with the reference gesture when the number of touches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uring the preset time Way.
상기 제스처 일치 판단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유지된 시간을 측정하는 터치 유지시간 측정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유지된 시간이 기설정된 유지시간를 초과하면, 상기 입력 제스처가 상기 기준 제스처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터치 제스처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device is a touch screen,
The gesture matching determination step may include:
Measuring a touch holding time of the touch screen; And
And a touch gesture judging step of judging that the input gesture is in agreement with the reference gesture when the time for which the touch is held on the touch screen exceeds a predetermined holding time.
상기 입력 제스처가 발생한 위치에 상기 결정메뉴의 중심 또는 일 모서리가 위치하도록 상기 결정메뉴를 출력시키는,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outputting the decision menu such that the center or one corner of the decision menu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input gesture occurs.
상기 입력 제스처가 발생한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 상기 결정메뉴를 출력시키는 제스처의 입력을 통한 결정메뉴 생성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inputting a gesture for outputting the determination menu to an area including a position where the input gesture occurr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is record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5488A KR101640060B1 (en) | 2014-11-25 | 2014-11-25 | Decision menu generation method using gesture input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5488A KR101640060B1 (en) | 2014-11-25 | 2014-11-25 | Decision menu generation method using gesture input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2560A true KR20160062560A (en) | 2016-06-02 |
KR101640060B1 KR101640060B1 (en) | 2016-07-15 |
Family
ID=5613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5488A KR101640060B1 (en) | 2014-11-25 | 2014-11-25 | Decision menu generation method using gesture input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006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90639A1 (en) * | 2022-10-28 | 2024-05-02 | 쿠팡 주식회사 |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42301A (en) | 2012-06-19 | 2013-12-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 in terminal |
KR20140063816A (en) * | 2011-09-18 | 2014-05-27 |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 One-click offline buying |
KR20140075882A (en) * | 2012-12-11 | 2014-06-20 | (주)디스트릭트홀딩스 | Smart digital signage of providing display according to gesture or motion of user |
-
2014
- 2014-11-25 KR KR1020140165488A patent/KR10164006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63816A (en) * | 2011-09-18 | 2014-05-27 |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 One-click offline buying |
KR20130142301A (en) | 2012-06-19 | 2013-12-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 in terminal |
KR20140075882A (en) * | 2012-12-11 | 2014-06-20 | (주)디스트릭트홀딩스 | Smart digital signage of providing display according to gesture or motion of us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90639A1 (en) * | 2022-10-28 | 2024-05-02 | 쿠팡 주식회사 |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0060B1 (en) | 2016-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04085B2 (en) | Augmented reality quick-start and user guide | |
KR102372872B1 (en) |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for a wearable device | |
US11907998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upling a user computing device and a point of sale device | |
US9965116B1 (en) | Tactile overlay for touchscreen device | |
CN107329688B (en) | Fingerprint acquisition method and terminal | |
US20130050118A1 (en) | Gesture-driven feedback mechanism | |
US20150215674A1 (en) | Interactive streaming video | |
CN107665434B (en) | Payment method and mobile terminal | |
US20140081801A1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network server apparatus for providing evaluation information and methods thereof | |
WO2017092353A1 (en) | Two-dimensional code genera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system | |
JP5795869B2 (en) | Intent confirmation system and method | |
JP2023041760A (en) | Registration device, registration method, and program | |
KR101640060B1 (en) | Decision menu generation method using gesture input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same | |
JP2011145996A (en) | Reviewer evaluation apparatus, reviewer evaluation method and program | |
CN107436869A (en) | A kind of impression comment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 |
US11587103B2 (en) | Object detection system using image recognition, object detection device using image recognition, object detection method using image recognition,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 |
US11922393B2 (en) | Payment system, pay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 |
CN109685582B (en) | Price information acquisition and output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 |
JP6087459B1 (en) | Sales analysis apparatus, sales analysis method, and sales analysis program | |
KR20160140501A (en) | User terminal apparatus, payment terminal device, payment methods and system using them | |
KR20120051873A (en) | Order system for using touch pannel | |
CN102902475B (en) | Numerical value input method and device | |
KR20180019939A (en) | Method and apparaturs for purchasing goods in online | |
CN106933870A (en) | The record list method and system of data of insuring | |
US20150248273A1 (en) | Providing audio feedback for touch ev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