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431A -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60431A KR20160060431A KR1020140162744A KR20140162744A KR20160060431A KR 20160060431 A KR20160060431 A KR 20160060431A KR 1020140162744 A KR1020140162744 A KR 1020140162744A KR 20140162744 A KR20140162744 A KR 20140162744A KR 20160060431 A KR20160060431 A KR 201600604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tower
- flange portion
- foundation
- anchor bolt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5242 fo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grav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앵커볼트가 1열로 시공되며 상부에 타워가 결합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중공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스트링거를 마련하여 풍력발전기의 기초구조물을 임베디드 형식으로 형성하여 타워의 플랜지부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기초구조물과 플랜지부 사이에 1열의 앵커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앵커 볼트의 설치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을 줄일 뿐만 아니라 앵커 볼트의 수량을 줄여 앵커 볼트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T 플랜지와 대비하여 경제성 및 강도 측면에서 우수한 L 플랜지을 적용함에 따라 타워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중공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됨에 따라 더욱 높은 허브(hub) 높이를 얻을 수 있어 에너지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초구조물에 시공되는 풍력발전기 타워의 높이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기초구조물과 풍력발전기 타워를 보다 안정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는 다양한 형태의 풍차를 이용하여 바람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 기계적 에너지로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력을 얻어내는 장치를 말한다.
풍력발전기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풍력발전기는 바람이 가진 에너지를 회전력으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인 회전체(rotor), 회전체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블레이드(blade), 터빈 및 기계 브레이크 시스템에 발생되는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 블레이드 주 코드 방향이 회전면과 수직이 되도록 피치각을 90°로 회전시켜 최대의 공력저항으로 로터를 제동시키는 원리로 작동되는 브레이크 시스템, 바람의 세기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력을 생산하도록 하는 운전시스템, 회전체를 지지하는 타워(Tower)로 구성된다.
상기 풍력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타워가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지면에 일정 높이를 가지면서 타워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구조물이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기초구조물은 타워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기초구조물에 앵커 볼트가 설치되고 있으며, 기초구조물은 앵커볼트 및 T 플랜지가 결합되는 앵커 케이지(anchor cage) 형식과 기초구조물과 타워 사이에 "L" 플랜지가 결합되는 임베디드(embeded) 형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앵커 케이지 형식의 기초구조물은 풍력발전기의 타워와 기초구조물 간의 결합력이 높아 구조적으로 강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임베디드 형식의 기초구조물은 기초구조물과 풍력발전기의 타워 사이에 임베디드 서포트(embeded support)를 설치하므로, 풍력발전기 타워의 설치 공정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초구조물에 타워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발전기의 타워는 일정 높이를 갖는 콘크리트 기초구조물(1)에 설치되며, 이러한 콘크리트의 기초구조물(1)에는 앵커 볼트(2)가 다수개 시공된다.
상기 앵커볼트(2)는 타워의 플랜지부(4)에 결합되도록 2열로 배치되어 시공되고, 기초구조물(1)의 상면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앵커 링(3)이 고정되며, 앵커 링(3)의 상면에는 타워의 최하단 플랜지부(4)가 안착된 상태에서 앵커 볼트(2)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타워를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타워의 플랜지(4)는 그 형상이 대략 "T"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T" 형상의 플랜지(4)는 타워가 설치되는 높이 기준점으로 적용되는 앵커 링(3)의 상면에 설치되므로, 타워의 설치 높이를 조정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앵커 볼트(2), 앵커 링(3) 및 T 플랜지(4)는 기초구조물(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도장 처리를 해야 됨은 물론 도장의 손상에 따른 수분의 침투로 인하여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앵커 케이지 형식의 기초구조물은 T 플랜지의 내부 및 외부에 대응되도록 2열의 앵커 볼트를 시공해야 되므로, 기초구조물의 시공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아울러 T 플랜지는 모재의 표면을 두드려 성형하는 단조로 이루어지는데, 일정 크기 및 두께를 갖는 모재는 단조 과정에서 모재의 가장자리에 중심부는 조직의 치밀한 정도가 달라 강도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도 2는 T 플랜지(4)를 형성하는 모재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모재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T 플랜지의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크기를 갖는 T 플랜지의 모재 일부분을 확대한 평면도로써, 모재(6)의 가장자리는 단조에 의해 치밀한 조직으로 형성되어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도 2(a)의 모재(6)를 확대한 도면부호 6a와 같이, 단조에 의해 모재(6)의 가장자리는 금속의 조직이 매우 치밀하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은선으로 표시된 모재(6)의 중간부분은 모재(6)를 확대한 도면부호 6b와 같이, 단조가 이루어지더라도 비교적 조직이 치밀하지 않은 조직으로 형성되어 그 강도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6)를 이용하여 T 플랜지를 형성하게 되는데, 좌측과 우측에 각각 2열의 앵커 볼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모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면에서부터 일정 높이로 모재의 일부분을 제거하게 된다.
즉, 도 2(b)에 도시된 도면부호 6c는 모재(6)에서 T 플랜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거되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제거되는 부분인 도면부호 6c를 제외하면 그 형상이 대략 "T"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재의 강도가 약한 중심 부위를 제외한 좌우 양측을 제거함에 따라 모재의 폭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게 되어 과다한 모재를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 T 플랜지의 형성에 따른 제조 비용이 높아지게 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풍력발전탑 지지용 기부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풍력발전탑 지지용 기부구조체는 풍력발전탑 및 상기 풍력발전탑의 상단에 고정되는 풍력발전터빈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풍력발전기의 상기 풍력발전탑을 지지하기 위한 기부구조체로서, 상기 기부구조체가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측면 상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원통형의 중공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공몸체의 상단에 다수의 앵커볼트들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풍력발전기의 조립식 내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조립식 내진장치에는 풍력발전기의 조립식 내진장치로서, 상기 내진장치는 풍력발전기나 태양전지판이 결합되는 기둥과 지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초물 사이에 형성되는 내진결합구를 포함하며, 상기 내진결합구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물에 결합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과 일정거리 떨어져 설치되며 체결부재에 의해 플랜지와 고정 결합되는 상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에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장치가 형성되어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의 거리가 지진에 의한 충격에 의해 가변되면서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상기 탄성장치는 상부판과 고정되며 기둥 내부에 일부 또는 전부가 수납되는 파이프와 상기 상부판을 관통하여 하부판과 맞닿아 있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일정거리 떨어져 있으며 나사가 형성되어 파이프와 나사 결합되는 렌치볼트와 상기 렌치볼트와 샤프트 사이에 형성된 스프링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풍력발전탑 지지용 기부구조체는 일정 높이를 갖는 기초구조물의 상면이 타워 설치의 기준 높이이므로 타워의 설치 높이를 조정할 수 없고, 기초구조물의 외부로 노출된 앵커 볼트, 앵커 링 및 T 플랜지를 도장 처리해야 되는 번거로움 및 도장의 손상에 따른 수분의 침투로 인하여 부식이 발생되며, 2열의 앵커 볼트를 시공해야 되므로, 기초구조물의 시공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초구조물과 타워를 강한 결합력으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기초구조물의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워의 하부 측면을 기초구조물로 지지함으로써, 타워의 플랜지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는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초구조물 중 임베디드 형식의 구조물과 타워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은 다수의 앵커볼트가 1열로 시공되며 상부에 타워가 결합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중공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스트링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상기 플랜지부에서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기는 일래스토머릭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부 저면에는 상기 플랜지부를 지지하는 앵커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고강도 모르타르층이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부는 L 플랜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의 사공방법은 (a) 일정 깊이를 갖는 중공부 및 1열로 이루어진 앵커 볼트를 일체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 (b) 상기 중공부의 바닥면 및 상기 앵커 볼트에 앵커 링을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중공부의 내측에 플랜지부를 끼워 결합하는 단계, (d)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기초구조물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스트링거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상기 중공부의 내면에 소정 두께로 고강도 모르타르를 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고강도 모르타르의 내면에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기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에 의하면, 풍력발전기의 기초구조물을 임베디드 형식으로 형성하여 타워의 플랜지부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기초구조물과 플랜지부 사이에 1열의 앵커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앵커 볼트의 설치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을 줄일 뿐만 아니라 앵커 볼트의 수량을 줄여 앵커 볼트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T 플랜지와 대비하여 경제성 및 강도 측면에서 우수한 L 플랜지을 적용함에 따라 타워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중공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됨에 따라 더욱 높은 허브(hub) 높이를 얻을 수 있어 에너지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에 고강도 모르타르층을 형성하여 기초구조물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L 플랜지를 사용함에 따라 가공부의 감소로 인한 재료비의 절감 및 플랜지부의 고정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타워의 플랜지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이나 진동을 완층기에 의해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기초구조물에 타워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T 플랜지를 형성하는 모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타워가 설치된 상태의 풍력발전기용 기초구물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타워의 플랜지부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기조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
도 2는 T 플랜지를 형성하는 모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타워가 설치된 상태의 풍력발전기용 기초구물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타워의 플랜지부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기조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타워가 설치된 상태의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은 다수의 앵커볼트(11)가 1열로 시공되며 상부에 타워가 결합되도록 중공부(12)가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10), 상기 중공부(12)에 끼워져 결합되는 플랜지부(20), 상기 플랜지부(20) 사이에 설치되는 스트링거(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은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임베디드 형식으로 시공하여 타워를 간편하게 설치함은 물론 콘크리트 구조물(10)에 타워(미도시)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은 지면을 일정 깊이로 파낸 다음 이에 모래, 자갈, 시멘트 등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시공 시 일정 길이를 갖는 앵커 볼트(11)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앵커 볼트(11)는 1열로 배치될 수 있다.
또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상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중공부(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부(12)는 타워를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에 따라 적정 깊이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중공부(12)는 타워의 높이를 고려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상면으로부터 높이를 깊게 형성하거나 낮게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중공부(12)의 내면과 바닥면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고강도 모르타르층(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강도 모르타르층(13)은 시멘트, 잔골재, 물, 혼화재료 등을 적절히 혼합하는 것으로, 물과 시멘트가 혼합된 모르타르 12~40중량%와 잔골재 60~8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잔골재에 굵은 골재를 적절하게 혼합할 수도 있으며, 추가로 혼화재를 혼합할 수도 있다.
상기 모르타르층(13)은 중공부(12)의 내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부(12)의 바닥면에는 앵커 링(14)보다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르타르층(13)의 상면에는 일정 두께 및 폭으로 이루어진 앵커 링(14)이 고정될 수 있으며, 앵커 링(14)의 상면, 즉 모르타르층(13)의 내면에는 타워(미도시)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기(15)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기(15)는 일정 두께를 갖는 스프링 및 스프링과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진 금속 심(shim)을 다수로 겹친 일래스토머릭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완충기(15)의 내면에는 타워, 즉 타워의 최하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부(2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20)는 L 플랜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콘크리트 구조물(10)에 1열로 설치되는 앵커 볼트(11)와 대응되도록 하면서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타워의 플랜지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의 플랜지부(20)는 L 플랜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L 플랜지는 일정 크기 및 두께를 갖는 모재를 단조한 다음 플랜지 면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분만큼 모재의 일부를 제거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 플랜지는 1열의 앵커 볼트(11)가 결합되므로 플랜지의 폭이 T 플랜지에 비하여 좁으므로, 모재가 적게 소요된다. 도 4에 도시된 도면부호 20a는 L 플랜지를 형성하는 모재의 제거 부분을 도시한 것으로, 제거 부분(6a)을 제외하면 플랜지부(20)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플랜지부(20)는 T 플랜지에 비하여 그 폭이 작으므로, L 플랜지 형성에 따른 모재의 사용을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 단조에 의해 조직이 치밀한 부위가 타워의 플랜지부(20)를 형성할 수 있어 타워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랜지부(20)의 내면에는 플랜지부(20)를 중공부(11) 쪽으로 가압하여 플랜지부(20)가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은 지면을 적정 깊이로 파낸 다음 콘크리트를 부어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시공한다. 이때 콘크리트 구조물(10)은 상부에 일정 깊이를 갖는 중공부(12)를 형성한다.
이는 타워(미도시)의 플랜지부(20)가 임베디드 형식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타워의 설치에 따른 설치 공정을 간단하게 함은 물론 타워 설치에 따른 공정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시공 시에 콘크리트 구조물(10)에는 앵커 볼트(11)를 1일로 배치하며, 앵커 볼트(11)의 상단은 중공부(12)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시공한다. 이는 앵커 볼트(11)에 타워의 플랜지부(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중공부(12)의 깊이를 설치하고자 하는 타워의 높이에 따라 중공부(12)의 깊이를 달리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깊이(h) 만큼 중공부(12)의 깊이를 달리 형성함으로써, 설치하고자 하는 타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20)의 내부에는 플랜지부(20)가 중공부(12)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트링거(30)를 설치할 수 있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기조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타워의 시공방법은 (a) 일정 깊이를 갖는 중공부 및 1열로 이루어진 앵커 볼트를 일체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S10), (b) 상기 중공부의 바닥면 및 상기 앵커 볼트에 앵커 링을 고정하는 단계(S20), (c) 상기 중공부의 내측에 플랜지부를 끼워 결합하는 단계(S30), (d)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기초구조물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스트링거를 설치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풍력발전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지면을 일정 깊이로 파낸 다음 콘크리트를 부어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시공한다(S10).
이때 콘크리트 구조물(10)에는 1열로 다수의 앵커 볼트(11)를 함께 매립시켜 고정되게 한다. 아울러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상부에는 타워의 플랜지부(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중공부(1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10)이 시공된 다음 중공부(12)에는 모르타르와 잔골재를 혼합한 고강도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적정 두께로 모르타르층(13)을 형성한다(S15). 이러한 모르타르층(13)은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중공부(1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또 중공부(12)의 상면에는 일정 두께와 폭을 갖는 앵커 링(14)을 고정한다(S20). 상기 앵커 링(14)은 중공부(12)의 상측으로 돌출된 앵커 볼트(11)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아울러 모르타르층(13)의 내면에는 타워의 플랜지부(20)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이나 진동으로부터 콘크리트 구조물(10)을 보호하기 위하여 완충기(15)를 설치한다(S25).
이러한 완충기(15)는 일정 두께를 갖는 스프링(미도시)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금속 심을 다수로 겹친 일래스토머릭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기(15)가 설치된 상태에서 타워의 최하단에 있는 플랜지부(20)를 앵커 볼트(11)에 끼운 다음 너트(미도시)를 체결하여 타워를 견고하게 설치한다(S30).
상기 플랜지부(20)의 내부에는 플랜지부(20)가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트링거(30)를 설치한다(S40). 상기 스트링거(30)는 플랜지부(20)의 내면에 설치되어 플랜지부(20)가 중공부(11)에 강하게 밀착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콘크리트 구조물 11: 앵커 볼트
12: 중공부 13: 모르타르층
14: 앵커 링 15: 완충기
20: 플랜지부 30: 스트링거
12: 중공부 13: 모르타르층
14: 앵커 링 15: 완충기
20: 플랜지부 30: 스트링거
Claims (9)
- 다수의 앵커볼트가 1열로 시공되며 상부에 타워가 결합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중공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스트링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상기 플랜지부에서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는 일래스토머릭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 저면에는 상기 플랜지부를 지지하는 앵커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드 구조물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고강도 모르타르층이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L 플랜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 - (a) 일정 깊이를 갖는 중공부 및 1열로 이루어진 앵커 볼트를 일체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
(b) 상기 중공부의 바닥면 및 상기 앵커 볼트에 앵커 링을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중공부의 내측에 플랜지부를 끼워 결합하는 단계,
(d)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기초구조물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스트링거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상기 중공부의 내면에 소정 두께로 고강도 모르타르를 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고강도 모르타르의 내면에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기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2744A KR101687972B1 (ko) | 2014-11-20 | 2014-11-20 |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2744A KR101687972B1 (ko) | 2014-11-20 | 2014-11-20 |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0431A true KR20160060431A (ko) | 2016-05-30 |
KR101687972B1 KR101687972B1 (ko) | 2017-01-02 |
Family
ID=57124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2744A KR101687972B1 (ko) | 2014-11-20 | 2014-11-20 |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797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38733A (zh) * | 2017-03-07 | 2017-05-10 | 长安大学 | 一种增设水平钢筋的风机基础加固方法 |
CN109518708A (zh) * | 2018-12-12 | 2019-03-26 | 北京惠鑫恒丰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重力岩石锚杆基础 |
US10815969B2 (en) | 2016-11-10 | 2020-10-27 | General Electric Company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furbishing wind turbine foundations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97416A (ja) * | 2001-09-25 | 2003-04-03 | Fujin Corporation:Kk | 風力発電装置集合体 |
KR20060130755A (ko) * | 2004-04-02 | 2006-12-19 | 알로이즈 우벤 | 타워를 건설하는 방법 |
KR20100109458A (ko) * | 2009-03-31 | 2010-10-08 |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 탑상 구조물의 기초 구조 |
KR20110092208A (ko) * | 2009-12-25 | 2011-08-17 |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모노폴식 타워 및 모노폴식 타워를 구비하는 풍력 발전 장치 |
KR20120069197A (ko) | 2010-12-20 | 2012-06-28 | 주식회사 포스코 | 풍력발전탑 지지용 기부구조체 |
KR101333882B1 (ko) | 2013-10-08 | 2013-11-27 | 신중호 | 풍력발전기의 조립식 내진장치 |
-
2014
- 2014-11-20 KR KR1020140162744A patent/KR1016879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97416A (ja) * | 2001-09-25 | 2003-04-03 | Fujin Corporation:Kk | 風力発電装置集合体 |
KR20060130755A (ko) * | 2004-04-02 | 2006-12-19 | 알로이즈 우벤 | 타워를 건설하는 방법 |
KR20100109458A (ko) * | 2009-03-31 | 2010-10-08 |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 탑상 구조물의 기초 구조 |
KR20110092208A (ko) * | 2009-12-25 | 2011-08-17 |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모노폴식 타워 및 모노폴식 타워를 구비하는 풍력 발전 장치 |
KR20120069197A (ko) | 2010-12-20 | 2012-06-28 | 주식회사 포스코 | 풍력발전탑 지지용 기부구조체 |
KR101333882B1 (ko) | 2013-10-08 | 2013-11-27 | 신중호 | 풍력발전기의 조립식 내진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15969B2 (en) | 2016-11-10 | 2020-10-27 | General Electric Company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furbishing wind turbine foundations |
CN106638733A (zh) * | 2017-03-07 | 2017-05-10 | 长安大学 | 一种增设水平钢筋的风机基础加固方法 |
CN109518708A (zh) * | 2018-12-12 | 2019-03-26 | 北京惠鑫恒丰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重力岩石锚杆基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87972B1 (ko) | 2017-0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31116B2 (ja) | 特に風車のための基礎及び風車 | |
EP2444663B1 (en) | Onshore wind turbine with tower support system | |
US20120023860A1 (en) | Adapter Configuration for a Wind Tower Lattice Structure | |
US9243418B2 (en) | Tower comprising an adapter pie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tower comprising an adapter piece | |
RU2611086C2 (ru) | Секция башенного основания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 |
DK2570555T3 (en) | A tower base section of a wind turbine, a wind turbine and a system for mounting a tower | |
US2011013189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crete foundation | |
US20110138704A1 (en) | Tower with tensioning cables | |
US12085057B2 (en) | Support structure for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and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 |
JP5993756B2 (ja) | 洋上構造物、及び洋上構造物の設置方法 | |
KR101687972B1 (ko) | 풍력발전기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US8220214B1 (en) | Prefabricated weight distribution element | |
US9175492B2 (en) | Wind generator tower and process for assembly thereof | |
EP3290692B1 (en) | Wind-turbine tower, wind turbine, and method of assembling wind-turbine tower | |
US20180320400A1 (en) | Joining device of a metal segment to a concrete segment in a hybrid hollow tower | |
KR101536532B1 (ko) | 구조물의 수평, 수직도 조절 위한 트랜지션 피스 | |
KR101613844B1 (ko) | 해상 풍력발전 중간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 구조물 | |
EP2697455B1 (en) | A method of obtaining vertical alignment of a tower | |
JP2020186522A (ja) | 塔状構造体の基礎構造 | |
KR101888231B1 (ko) | 수직도 오차 보정이 가능한 콘크리트 기초-타워 연결구조 | |
KR100999723B1 (ko) | 풍력터빈설비의 타워지지구조체 | |
NZ624309B2 (en) | Foundation for a wind turb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