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60037149A -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로 구성된 복합 금속산화물 감지소재, 이를 이용한 가스센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로 구성된 복합 금속산화물 감지소재, 이를 이용한 가스센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149A
KR20160037149A KR1020160033560A KR20160033560A KR20160037149A KR 20160037149 A KR20160037149 A KR 20160037149A KR 1020160033560 A KR1020160033560 A KR 1020160033560A KR 20160033560 A KR20160033560 A KR 20160033560A KR 20160037149 A KR20160037149 A KR 20160037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oxide
microparticles
nanoparticles
nanofibers
polycrystal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911B1 (ko
Inventor
김일두
조희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33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9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7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5Composition of the body, e.g. the composition of its sensitive layer
    • G01N27/127Composition of the body, e.g. the composition of its sensitive layer comprising nanoparticl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8Micro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n electrically-heated body in dependence upon change of temperature
    • G01N27/1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n electrically-heated body in dependence upon change of temperature caused by burning or catalytic oxidation of surrounding material to be tested, e.g. of g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5Sensing specific biomolecules, e.g. nucleic acid strands, based on an electrode surface reaction
    • G01N27/3278Sensing specific biomolecules, e.g. nucleic acid strands, based on an electrode surface reaction involving nanosized elements, e.g. nanogaps or nano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산화물 반도체 다결정 나노섬유와 마이크로입자, 나노입자 형상의 복합구조를 갖는 감지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센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섬유와 마이크로입자 복합체,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섬유와 나노입자 복합체,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섬유와 마이크로입자, 나노입자 복합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복합체를 이룸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유도하고, 기계적, 열적 안정성도 제공하여 장수명 안정성을 꾀할 수 있다. 나노섬유로 구성된 감지소재의 경우 가스와의 반응 감도가 높은 반면, 기본 저항이 높아서, 소재의 선정에 제약이 따르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나노입자 또는 마이크로입자가 거대한 기공들을 채워주어 안정적인 기본저항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그와 동시에 나노입자 또는 마이크로입자가 나노섬유에 잘 결착되어 전자 혹은 정공의 전달을 용이하도록 만들어 빠른 반응/회복 속도를 갖도록 한다. 또한 마이크로입자나 나노입자가 추가적인 표면적도 제공하여, 치밀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가스들의 침투와 확산을 용이하게 하여 가스 감지에 대한 우수한 반응성도 유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로 구성된 복합 금속산화물 감지소재, 이를 이용한 가스센서 및 그 제조 방법{Composite metal oxide sensing materials composed of polycrystalline nanofibers, nanoparticles and microparticles, gas sensors using the composite metal oxide sensing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 형상의 복합 금속산화물 감지소재, 이를 이용한 가스센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높은 장단축비(aspect ratio)를 갖는 다결정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를 합성하고, 이를 마이크로입자와 나노입자 크기를 갖는 동일 종의 금속산화물 감지소재와 함께 혼합하여, 다른 형상과 크기 분포, 그리고 넓은 기공 분포를 갖는 감지소재를 제공하여, 센서 전극 위에 코팅된 감지소재의 기계적, 열적, 전기적 안정성이 높은 가스센서를 제공한다. 특히 나노섬유 형상으로만 구성된 가스센서의 경우 높은 기본저항(base resistance)을 갖게 되는데, 나노섬유들 사이에 존재하는 거대기공들을 나노입자와 마이크로입자가 채워주고, 나노섬유들과 서로 효과적으로 접촉이 되어, 센서의 기본저항(base resistance)을 보다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 기반 감지소재에서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의 상대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기본저항을 조절할 수 있다.
최근 유해환경 가스를 조기에 검출하고, 인체의 날숨에서 배출되는 극미량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들을 정밀하게 검출하기 위한 초고감도 가스센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저항 변화식 가스센서들은 대부분, 마이크로입자(센서를 구성하는 감지물질의 입자 크기가 수백 나노미터(nm)에서 수 마이크로미터(μm) 크기에 이름) 크기 분포를 갖는 금속산화물이 사용이 된다.
이와 같은 저항 변화식 기반 가스센서는, 감지물질을 구성하는 금속산화물 반도체의 표면에서 산소의 흡착에 의해 형성된 전자공핍층(electron depletion layer)의 두께 변조(modulation)를 통해 동작된다. 산화가스 내지는 환원가스와의 반응에 따라 전자공핍층의 두께가 변화되는데, 감지물질이 타겟 가스(target gas)에 노출이 되는 경우, 전자공핍층의 두께가 커지게 되면 저항이 증가하고 전자공핍층의 두께가 얇아지면 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이때, 센서에 사용되는 감지물질이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큰 입자들로 형성이 되는 경우, 마이크로입자의 표면에 형성되는 전자공핍층의 면적이 넓게 형성되기 어렵다.
마이크로입자가 아닌 나노입자를 이용하는 경우, 개별 나노입자들 하나하나마다 전자공핍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감지소재 전체에 걸친 전자공핍층의 면적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 가스와의 반응에 의해 나노입자 표면에 형성된 전자공핍층의 두께 변조가 크게 생겨, 저항의 변화가 크게 일어나게 된다. 이는 가스센서의 감도 증가와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나노입자 기반 가스센서들이 높은 고감도 특성을 보인다는 것이 증명이 되어, 다양한 논문 보고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실질적인 실용화에 있어서는 여전히 서브마이크로입자 내지는 마이크로입자들이 주로 사용이 되고 있다.
가스센서는 높은 감도뿐만 아니라, 장수명 신뢰성도 무척 중요한데, 나노입자들 단독으로 감지소재가 구성되는 경우, 장시간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거나, 일반적인 가스센서의 동작 온도인 300 ~ 400 oC 근처의 고온에서 오랜 시간 동안 노출되는 경우, 나노입자들 사이에 반응이 생겨서, 감지소재의 열적 수축이나 균열과 같은 형상의 변형이 초래될 수도 있다. 또한 금속산화물 나노입자 분산용액을 센서 기판(센서 전극) 위에 코팅하는 경우, 입자들끼리 서로 응집이 생겨, 전체적인 입자 크기가 증가되기 때문에 우수한 센서 특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이에 비하여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입자들로 구성된 가스센서의 경우 이미 입자의 조대화가 이루어진 마이크로입자가 사용이 되기 때문에, 열적 안정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나노입자와 비교하여, 비표면적이 적게는 수십 배에서부터 많게는 수백 배 가까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마이크로입자 단독으로 사용된 센서의 경우 높은 초고감도 특성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마이크로입자 기반의 감지소재로는 인체의 날숨에서 배출되는 수십 ppb ~ 1 ppm 의 분포를 갖는 극미량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들의 검출이 불가능하다. 나노입자와 마이크로입자를 서로 혼합하여, 감지소재를 구성하는 경우도 가능하지만, 미세한 나노입자들이 마이크로입자들 표면에 붙게 되고, 센서전극 표면 위에 코팅 후에 고온 열처리 과정에서 나노입자-마이크로입자간 반응으로 인하여, 여전히 치밀한 감지소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특성의 개선은 1 ppm 이하의 극미량의 가스농도를 검출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하지 못하게 된다.
최근 들어 1차원 나노와이어, 나노섬유를 이용한 가스센서 응용 연구도 활발히 진행이 되고 있다. 표면적이 넓고, 기공구조가 잘 발달이 되어 있어서, 우수한 고감도 특성이 얻어지는 반면, 나노와이어들 내지는 나노섬유들 사이에서 얻어지는 접촉(contact)을 통해서만 전류가 흐르게 되기 때문에, 공기 중에서 측정된 기본저항(base resistance)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물질의 고유한 저항이 낮은 소재들(일례로, ZnO 또는 SnO2)이 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물질의 고유한 저항이 다소 높은 소재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고저항 분석이 가능한 정밀한 계측기가 요구된다.
따라서 마이크로입자-마이크로입자간의 접촉에 의해 구성된 센서의 경우 가스들의 침투와 확산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는 기공구조를 더욱 포함시켜 주거나, 나노섬유-나노섬유 간의 접촉에 의해 구성된 센서의 경우, 접촉점을 더욱 높여주어, 상대적으로 치밀한 구조를 가지면서, 열린 구조를 동시에 갖는 감지소재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150 nm ~ 1 μm 사이의 평균 직경 분포를 갖는 다결정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섬유, 200 nm ~ 3 μm 사이의 평균 직경 분포를 갖는 금속산화물 반도체 마이크로입자, 10 nm ~ 100 nm사이의 평균 직경 분포를 갖는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입자를 함께 복합화하여, 3개의 각기 다른 형상과 크기 분포를 갖는 감지물질들이 복합 감지소재를 구성함으로써, 열린 기공구조의 형성으로 인한 고감도 특성과 동시에 빠른 반응속도와 장수명 안정성을 갖는 가스센서, 특히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 기반 감지소재의 각각의 상대 함량을 조절하여 센서의 기본저항(base resistance)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복합 감지소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 형상의 복합 금속산화물 감지소재, 이를 이용한 가스센서 및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는 전기방사 방법으로 합성된 것으로 150 nm ~ 1 μm 사이의 평균 직경 분포를 갖는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섬유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섬유의 길이는 2 μm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섬유의 길이는 5 μm이상인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금속산화물 반도체 마이크로입자의 크기는 평균입자 직경 기준으로 200 nm ~ 3 μ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입자의 크기는 평균입자 직경 기준으로 10 nm ~ 100 n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 나노입자 및 마이크로입자 복합 감지소재를 이용한 가스센서에 있어서, (다결정 나노섬유) X (마이크로입자) Y (나노입자) Z 의 X, Y, Z의 상대 비율은, 복합 감지소재에 있어서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나노입자 각각의 무게 함량 비율일 수 있으며, X = 20 ~ 95 %, Y = 0 ~ 80 %, Z = 0 ~ 30 %의 wt%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X+Y+Z의 합은 항상 100 %의 무게 함량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나노입자 형상의 복합 금속산화물 감지소재 및 이를 이용한 가스센서의 제조 방법은, 전구체 염(열처리 후에, 금속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는 금속염)을 포함하는 고분자 분산용액(전기방사 용액)을 전기방사한 후 고온 열처리하여 고분자 섬유가 분해되거나 타서 제거가 되고, 그 안에 용해되어 있던 전구체 염으로부터 금속산화물이 형성되어 다결정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를 합성하는 (a) 단계; 금속산화물 마이크로입자를 합성하는 (b) 단계; 금속산화물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c) 단계; 상기의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나노입자를 (다결정 나노섬유) X (마이크로입자) Y (나노입자) Z 에서 X = 20 ~ 95 %, Y = 0 ~ 80 %, Z = 0 ~ 30 % 의 wt% 범위 (X+Y+Z는 100 %의 무게 함량 비율을 가질 수 있음)가 되도록 혼합(mixing)하여,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 분산 용액(잉크)을 합성하는 (d) 단계;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 분산 용액(잉크)을 센서 전극 위에 코팅하는 (e) 단계; 고온 열처리를 하여, 다결정 나노섬유-나노입자-마이크로입자 복합 센서를 제조하는 (f) 단계; 및 상기 복합 센서를 적어도 2종 이상 제조하여 센서 어레이를 제조하는 (g)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감도의 추가적인 개선과 가스들에 대한 반응 선택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Pt, Pd, Ag, Au, IrO2, RuO2, Rh2O3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나노입자 촉매를 (e) 단계 과정 중에 더 포함시켜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촉매 복합 센서를 제조하는 (h)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스센서의 기본저항을 더 낮추고, 반응속도 및 회복속도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그래핀을 추가적으로 (e) 단계 중에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 분산 용액과 그래핀 분산 용액을 혼합한 후 센서 기판(또는 센서 전극) 위에 코팅하여,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그래핀 복합 센서를 제조하는 (i)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나노입자 촉매 분산 용액과 그래핀 분산 용액을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 분산 용액과 동시에 복합화하여,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촉매-그래핀이 혼합된 복합 센서를 제조하는 (j)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 단계는 전기방사가 가능한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이 혼합된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SnO2, ZnO, TiO2, In2O3, Zn2SnO4, WO3, Co3O4, NiO, V2O5, CuO를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를 형성할 수 있는 전구체염,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금속염들이 포함된 아세테이트, 클로라이드,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나이트레이트, 메톡시드, 에톡시드, 부톡시드, 이소프로폭시드, 설파이드, 옥시트리이소프로폭시드, (에틸 또는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부타노에이트, 에틸아미드, 아미드 등의 형태를 포함하는 방사용액을 전기방사 후에, 고온 열처리를 거쳐 제조되는 다결정성 금속산화물 섬유이거나, 상기 금속산화물(SnO2, ZnO, TiO2, In2O3, Zn2SnO4, WO3, Co3O4, NiO, V2O5, CuO)들은 Pt, Pd, Ag, Au, IrO2, RuO2, Rh2O3 와 같은 촉매를 금속산화물의 내부 내지는 표면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가 첨가된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섬유일 수 있다. 이때 열처리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내지는 촉매가 첨가된 금속산화물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은 150 nm ~ 1 μm 사이의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 단계에서 금속산화물 마이크로입자 합성은 일반적인 고상반응법(solid state reaction)으로 합성된 200 nm ~ 3 μm의 평균 입자 직경 범위를 갖는 마이크로입자로, 상기의 평균 직경 크기를 갖는 금속산화물 마이크로입자 합성 방법이면, 특정 합성 방법에 제약을 두지는 않는다. 고상반응법으로 제조된 조대한 금속산화물 입자는 일반적인 볼 밀링 과정을 통해, 입자의 크기와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 단계에서 금속산화물 나노입자 합성은 수열합성법으로 합성되거나, 상기 (a) 단계에서 얻어진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를 초미분쇄(마이크로 비드 볼 밀링)하여, 10 nm ~ 100 nm의 범위의 평균직경 크기를 갖는 금속산화물 나노입자 합성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다결정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는 수 ~ 수십 nm 크기의 미세한 나노입자들로 구성이 되어 있는 다결정 나노섬유이기 때문에, 0.01 ~ 0.1 mm 크기의 미세한 지르코니아 볼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비드 볼 밀링을 하는 경우, 다결정 나노섬유를 분쇄하여 나노입자 분산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10 nm ~ 100 nm의 평균 직경 크기를 갖는 금속산화물 나노입자 합성방법이면, 특정 합성방법에 제약을 두지는 않는다.
여기서, 상기 (d) 단계는, 각각의 (a), (b), (c) 단계에서 합성된 금속산화물 반도체 다결정 나노섬유, 금속산화물 마이크로입자, 금속산화물 나노입자를 물, 에탄올, 아세톤, DMF 등과 같은 용매에 분산시키고, 고분자 바인더(분산제)를 소량 첨가하여, 3차원 믹서기 내지는 볼 밀링 방법을 이용한 혼합(mixing)법을 이용한다. 이때3가지의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나노입자들이 서로 복합화된 분산용액(분산잉크)이 얻어진다. 혼합 과정에서 (a) 단계에서 얻어진,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 내지는 촉매입자를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는 단섬유의 형상으로 끊어져서, 장단축비(aspect ratio)가 2 ~ 5000 의 범위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d) 단계에서 얻어진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나노입자가 복합화된 분산용액(분산잉크)을 미리 준비된 센서 전극(전기저항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평형 전극이 형성된 절연체 기판) 위에,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드랍 코팅(drop-coating), 스핀 코팅(spin-coating), 잉크젯 프린팅, EHD(Electrohydrodynamic Deposition), 디스펜싱(dispensing) 등과 같은 코팅 공정 방법을 이용하여, 코팅하는 단계일 수 있다. 3종류의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나노입자 혼합 감지소재를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정 코팅법에 제약을 두지는 않는다.
상기 (f) 단계는 감지소재가 기판에 잘 결착이 되고,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가 서로 잘 접촉(contact)이 되어, 안정적인 저항변화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온에서 열처리하는 단계이다. 열처리 온도는 400 ~ 800 oC의 범위에서 진행할 수 있다. 고온 열처리 과정을 통해 고분자 바인더는 분해되거나 타서 제거되어, 잔류 카본이 없는 순수한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 복합 금속산화물 반도체 소재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e) 단계에서 얻어진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나노입자가 복합화된 센서에서 (다결정 나노섬유) X (마이크로입자) Y (나노입자) Z 를 구성하는 X, Y, Z의 비율을 각각 다르게 조절하여 형성된 다종 센서들의 어레이(array) 이거나, 다른 감지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다종 센서들의 어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h) 단계는,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로 구성된 복합 감지소재를 구성하는 각각의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내지는 나노입자의 표면 또는 내부에 Pt, Pd, Ag, Au, IrO2, RuO2, Rh2O3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나노입자 촉매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촉매입자의 크기는 1 nm ~ 10 nm 의 크기 범위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5 nm 이하의 촉매입자를 가지는 것이 센서 성능 개선에 유리하다. Pt, Pd, Ag, Au, Ir, Ru, Rh의 나노입자를 폴리올(polyol) 공정을 이용하여 합성하고, 촉매입자 분산용액을 (d) 단계에서 얻어진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 분산용액과 함께 혼합하여, (e) 단계의 코팅과정을 통해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촉매 복합 감지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가장 작은 크기를 갖는 촉매입자들은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 입자 내지는 나노입자의 표면에 고르게 결착이 되어 센서의 감도와 선택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 단계는,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로 구성된 복합 감지소재를 구성하는 각각의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내지는 나노입자의 표면에 그래핀을 추가적으로 더 결착시켜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그래핀 복합 감지소재를 제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래핀은 비산화 그래핀(non-oxidized graphene), 산화 그래핀(oxidized graphene), 환원된 그래핀 산화물(reduced graphene oxide), 내지는 얇은 그래파이트(thin graphi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1 ~ 2 wt%의 범위에서 선택된 우수한 전기전도 특성을 갖는 그래핀의 첨가를 통해, 기본저항의 조절 및 반응속도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j) 단계는, 앞에 언급한 (h) 단계에서 얻어진 촉매가 결착된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촉매 복합 감지 소재에 그래핀을 더 기능화하는 단계로,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 분산용액과 촉매입자 분산용액 및 그래핀 분산용액을 서로 혼합하여, 코팅하여 줌으로써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촉매-그래핀 복합 감지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다결정 나노섬유) X (마이크로입자) Y (나노입자) Z 가스센서는 X = 20 ~ 95 %, Y = 0 ~ 80 %, Z = 0 ~ 30 %의 wt% 범위 (X+Y+Z는 100 %의 무게 함량 비율을 가질 수 있음)가 되도록 복합화된 센서 또는 다종의 복합 감지 소재로 구성된 어레이 구조를 더 포함하는 가스센서로 유해환경 가스를 검출하거나, 인체의 날숨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들을 검출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센서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센서를 구성하는 감지물질이,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나노입자의 각기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갖는 감지소재들이 서로 복합화되어 형성이 됨으로써, 마이크로입자보다 높은 비표면적을 가지며, 나노입자가 갖는 구조적, 열적 문제점을 해결하고, 장수명 신뢰성을 가지며, 나노입자만으로 구성된 센서에서 관찰이 되는 높은 기본저항(base resistance) 문제를 해결하여, 절대적으로 안정한 전기저항 변화 신호를 가스 검출 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다결정 나노섬유) X (마이크로입자) Y (나노입자) Z 에서X, Y. Z의 비율을X = 20 ~ 95 %, Y = 0 ~ 80 %, Z = 0 ~ 30 %의 wt% 범위 (X+Y+Z=100 %)에서 자유롭게 변경 할 수 있으므로, 상기3종류의 감지 소재의 비율을 다르게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다종 가스들에 대하여, 선택성을 갖는 센서 어레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나노입자 형상의 금속산화물 반도체 소재들이 서로 복합화된 감지소재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결정 나노섬유와 마이크로입자 형상의 금속산화물 반도체가 복합화된 감지소재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전기방사법으로 제조된 주석산화물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주석산화물 나노입자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주석산화물 나노섬유와 주석산화물 나노입자가 서로 혼합된 복합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 따른 아연주석산화물(Zn2SnO4)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 따른 고상반응법으로 제조된 아연주석산화물 마이크로입자의 X-선 회절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 따른 고상반응법으로 제조된 아연주석산화물 마이크로입자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아연주석산화물(Zn2SnO4) 나노섬유와 아연주석산화물(Zn2SnO4) 마이크로입자 복합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센서 제작 시 사용되는 알루미나 기판 전극과 히터, 감지물질이 도포된 기판의 광학현미경(OM) 사진 (a)~(c)와, 완성된 센서 사진 (d)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2에 따라 제조된 주석산화물 나노섬유, 주석산화물 나노입자, 주석산화물 나노섬유-나노입자 복합체의 300 oC에서 황화수소(H2S) 가스에 대한 가스센서 반응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2에 따라 제조된 주석산화물 감지소재들(나노섬유, 나노입자, 나노섬유-나노입자 복합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톨루엔(toluene) 가스에 대한 반응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4, 5에 따라 제조된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 아연주석산화물 마이크로입자,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와 마이크로입자의 복합체의 450 oC 에서 아세톤(acetone) 가스에 대한 가스센서 반응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제안된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나노입자, 형상의 금속산화물 반도체로 각각 개별적으로 구성된 센서에서 발생하는, 낮은 안정성(나노입자 기반 센서), 낮은 감도(마이크로입자 기반 센서), 및 높은 기본저항(base resistance, 나노섬유 기반 센서) 등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하여,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나노입자 감지소재들을 서로 혼합하고 복합화하여, 고감도, 고속반응, 고신뢰성을 갖는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산화물 나노입자(100), 금속산화물 마이크로입자(200),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 형상의 복합 금속산화물 감지소재(금속산화물 나노섬유-나노입자-마이크로입자 복합 구조체(50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는 높은 장단축비를 가지고 있으며, 서로 네트워크화되어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들 사이에 거대한 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들 사이에 존재하는 거대한 기공은 수 마이크로부터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크기이며, 가스의 확산 및 침투 관점에서는 매우 큰 장점이 될 수 있지만, 섬유들이 듬성듬성 분포되게 됨에 따라 섬유들 간의 점접촉에 의하여 센서의 기본저항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금속산화물 마이크로입자(200)는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 사이에 존재하는 거대 기공들 사이에 분포될 수 있으며,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와 서로 결착이 되어,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들로 구성된 감지소재보다 치밀한 감지소재를 구성할 수 있다.
금속산화물 나노입자(100)들은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 내지는 금속산화물 마이크로입자(200)의 표면에 개별적으로 붙어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 내지는 금속산화물 마이크로입자(200)의 표면적을 추가적으로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금속산화물 나노입자(100)들간에 서로 응집(금속산화물 나노입자 응집체(400))이 되어, 금속산화물 마이크로입자(200)와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들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기공을 추가적으로 더 채우며 존재할 수도 있다.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 금속산화물 나노입자(100), 금속산화물 마이크로입자(200)가 서로 복합화된 복합 감지소재(금속산화물 나노섬유-나노입자-마이크로입자 복합 구조체(500))는 감지물질의 치밀도가 높으면서도 여전히 미세한 기공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 안정적인 저항변화 인식이 가능하며, 무엇보다 반복적인 테스트(센서 동작을 위해서는 센서를 상온에서부터 300 oC이상으로 가열을 해야 함)에서도 우수한 열적 안정성을 보일 수 있다.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들 사이에 존재하는 기공을 금속산화물 마이크로입자(200)와 금속산화물 나노입자(100)들로 채우더라도, 금속산화물 나노입자(100) 사이에 존재하는 기공과, 금속산화물 마이크로입자(200) 사이에 존재하는 기공이 포함되게 되며,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와 금속산화물 마이크로입자(200) 또는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와 금속산화물 나노입자(100) 사이에 존재하는 기공이 포함됨으로 인하여, 0.1 nm ~ 수십 μm 크기 수준의 기공이 여전히 존재하여 매우 넓은 분포의 기공들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생긴다.
특히 (다결정 나노섬유) X (마이크로입자) Y (나노입자) Z 를 포함하는 복합 감지소재(금속산화물 나노섬유-나노입자-마이크로입자 복합 구조체(500))에 있어서, X, Y, Z의 비율 (X+Y+Z=100 wt%를 만족)을 X = 20 ~ 95 %, Y = 0 ~ 80 %, Z = 0 ~ 30 %의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 각기 다른 형상과 직경 크기를 가지는 3 종류의 동일 감지물질의 함유량을 바꾸어줌으로써, 감지물질의 감도와 선택성을 조절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 보여지듯이 금속산화물 나노입자(100)는 응집(금속산화물 나노입자 응집체(400))이 잘 일어나고, 가격이 비싼 편이기 때문에, 금속산화물 나노입자(100)를 제외하고, 도2에서 보여지는 모식도와 같이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와 금속산화물 마이크로입자(200)로 복합 감지소재(금속산화물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 복합구조체(60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의 네트워크 사이사이에 금속산화물 마이크로입자(200)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금속산화물 마이크로입자(200)들은 강하게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와 결착이 되어, 전자 내지는 정공의 흐름을 빠르게 할 수 있어 가스 감지 시 빠른 반응/회복속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구조적 안정성이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만으로 구성된 경우보다 높아져서, 장수명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다결정 나노섬유) X (마이크로입자) Y 의 복합 감지소재(금속산화물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 복합구조체(600))에서 X와 Y는 각각 X = 10 ~ 90 %, Y = 10 ~ 90 %의 범위에서 선택(X+Y=100 wt%를 만족)될 수 있으며, 금속산화물 마이크로입자(200)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구조적 안정성과 장수명 신뢰성이 높아지지만, 비표면적이 작아서 감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들이 최소한 10 % 이상은 포함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와 금속산화물 마이크로입자(200)가 서로 복합화된 복합 감지소재(금속산화물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 복합구조체(600))는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만으로 구성된 감지소재가 갖는 높은 기본저항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전기전도도가 낮은 감지물질인 Zn2SnO4와 같은 소재를 이용하는 경우,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만으로 구성된 감지소재는 기본저항(공기에서의 감지소재의 저항값)이 너무 높아서, 가스센서 감지 특성이 450 oC이상의 매우 높은 고온에서 감지가 되는데, 이는 전력소모 관점에서도 불리하며, 매우 높은 고온에서는 가스의 흡착/탈착 과정이 안정적이지 못해, 안정한 센서를 구현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다결정 나노섬유) X (마이크로입자) Y 로 구성된 복합 감지소재에서 마이크로입자의 함량이 최소 10 % 이상 포함되고, 감지 성능 개선을 위해 마이크로입자의 함유량이90 %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상대 함유량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와 달리 선택적으로,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300)와 금속산화물 나노입자(100)로 복합 감지소재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결정 나노섬유) X (나노입자) Z 의 복합 감지소재에서 X와 Z는 각각 X = 10 ~ 90 %, Z = 10 ~ 90 %의 범위에서 선택(X+Z=100 wt%를 만족)될 수 있다.
이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들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주석산화물 나노섬유의 합성
분자량 1,300,000 g/mol의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PVP, Aldrich) 0.200 g과 분자량 350,000 g/mol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Aldrich) 0.200 g을 함께 섞어 주석산화물 전구체인 Tin acetate(IV), Aldrich 0.4 g과 함께 아세트산 0.110 g (Junsei Chemical)이 포함된 N,N-dimethylformamide(DMF) 용액 2.831 g에 넣고 25 oC에서 섞으며, 약 48시간 동안 500 RPM의 속도로 교반을 통하여 전기방사 용액을 제조하였다. 교반을 마친 상기의 주석산화물 전구체/PVP-PMMA 복합 고분자 혼합 방사용액을 주사기에 담아 실린지 펌프(Henke-Sass Wolf, 10 ml NORM-JECT)에 연결하여, 분당 10 μm의 토출 속도로 방사하였다. 방사용액이 토출되는 주사바늘(needle, 25 gauge)과 나노섬유 웹을 수득하는 집전체 기판 사이에 15 kV의 전압을 인가하여 주석산화물 전구체/PVP-PMMA 복합 고분자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제조된 주석산화물 전구체/PVP-PMMA 복합 고분자 나노섬유 웹을 대기(air) 분위기에서, Ney사의 Vulcan 3-550 소형 전기로를 이용하여 500 oC에서 30시간 동안 고온에서 열처리를 진행하였다. 이때 승온 및 하강 온도는 4 oC/min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높은 열처리 온도로 인하여 주석산화물 전구체/PVP-PMMA 복합 고분자 나노섬유 웹을 구성하는 PVP-PMMA 고분자는 분해되거나, 타서 제거되고, 고분자 섬유 내부에 용해되어 있는 주석산화물 전구체들이 산화가 되어 주석산화물 나노섬유를 형성하게 된다. 도 3 은 실시예 1에 따라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주석산화물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SEM)을 보여주고 있다. 주석산화물 나노섬유의 표면 형상 관찰 결과 주석산화물 나노섬유는 약 360 nm 의 직경 분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결정성 나노입자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나노섬유 형상을 잘 유지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다. 균일한 직경 분포를 갖는 주석산화물 나노섬유가 전기방사 기법으로 손쉽게 제조됨을 확인 할 수 있다.
실시예 2: 주석산화물 나노섬유와 주석산화물 나노입자 복합소재 합성
주석산화물 나노섬유와 주석산화물 나노입자가 함께 혼합된 복합 감지소재를 합성하기 위하여, 평균 크기 100 nm 이하의 Aldrich에서 구매한 주석산화물 나노입자를 이용하였다. 도 4는 Aldrich 회사를 통하여 구입한 주석산화물 나노입자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다수의 입자들은 40 ~ 60 nm의 크기 분포를 보여주었으며, 일부 입자들이 200 nm 정도 크기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노입자를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나, 10 nm ~ 100 nm의 크기 분포를 갖는 나노입자이면 특정합성 방법에 제약을 두지는 않는다.
상기된 바와 같이 주석산화물 나노섬유-나노입자 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주석산화물 나노섬유와 함Aldrich에서 구매한 주석산화물 나노입자를 함께 하나의 바이알(Vial) 용기에 담아 에탄올(ethanol)에 혼합하여 복합체를 이루도록 하였다. 혼합된 바이알은 약 30분간 초음파 세척기를 통하여 균일하게 섞이도록 하였다. 주석산화물 나노섬유와 주석산화물 나노입자의 상대 무게 비율은 각각 8:2 비율로 혼합하여 주석산화물 나노섬유-나노입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도 5 는 실시예 2에 따라 얻어진 주석산화물 나노섬유-나노입자 복합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석산화물 나노섬유-나노입자 복합체에서는 주석산화물 나노입자가 주석산화물 나노섬유 사이사이 분포되어 나노섬유와 비교적 잘 결착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나노입자가 응집된 현상도 발견할 수 있으며, 나노섬유만으로 이루어졌을 때보다 더욱 치밀하고 안정된 구조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더욱 치밀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반응 할 수 있는 표면적 또한 넓어졌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나노입자가 과량 뭉치는 현상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균일하게 분산되어 주석산화물 나노섬유 전면에 고루 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아연주석산화물(Zn 2 SnO 4 ) 나노섬유의 합성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를 형성하기 위하여 아연 전구체, 주석 전구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를 제작하였으며 열처리 과정을 거쳐 합성하였다. 주석 전구체는 Tin acetate (IV), Aldrich 0.355 g을 사용하였으며, 아연 전구체는 Zinc acetate, Aldrich 0.414 g을, 고분자는 분자량 500,000 g/mol 의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PVAc) 0.626 g을 함께 섞었다. 상기의 주석, 아연 전구체와 섞인 고분자를 N,N-dimethylformamide (DMF) 용액 3.747 g 에 넣고 25 oC에서 약 24시간 동안 500 RPM의 속도로 교반을 통하여 전기방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아연, 주석 전구체를 포함하는 PVAc 고분자 나노섬유는 대기 (air) 분위기에서 열처리를 통하여 아연주석산화물(Zn2SnO4) 나노섬유로 합성된다. 열처리는 Ney사의 Vulcan 3-550 소형 전기로에서 분당 5 oC 의 상승 하여 700 oC 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였으며, 다시 분당 5 oC 의 속도로 온도를 감소시켜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이때, 높은 열처리 온도로 인하여 나노섬유 내부의 고분자는 분해되거나, 타서 제거되고, 내부에 용해되어있는 아연, 주석 전구체들이 산화되어 아연주석산화물을 형성하게 된다. 도 6 는 상기 실시예 3에서 전기방사를 통하여 제조된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는 150 ~ 200 nm 의 평균 직경 분포를 가지며, 기공을 많이 포함한 구조체면서 네트워크화가 잘 된 나노섬유 형상을 유지하고 있음을 관찰 할 수 있다.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 제조 시 사용된 고분자인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PVAc)와 아연과 주석 전구체와의 혼합되지 않는 성질에 의하여 전기방사 초기 단계에서 일어나는 상 분리(phase separation)현상으로 인하여 나노섬유 내부에 기공이 많은 구조체가 형성된다. 용매가 증발함에 따라 빠른 상 분리와 고체화가 일어나 고분자가 많은 부분과 주석 전구체, 아연 전구체가 많은 부분으로 상 분리 되면서 고분자-rich 영역과 전구체-rich 영역으로 국소적으로 상 분리된 나노섬유가 형성된다. 이는 열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고분자-rich 영역은 제거되면서 기공으로 변하고, 전구체-rich 영역은 아연주석산화물로 바뀌면서, 기공구조가 잘 발달된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 구조체를 갖게 된다.
실시예 4: 아연주석산화물(Zn 2 SnO 4 ) 마이크로입자의 합성
아연주석산화물 마이크로입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고상 반응법을 이용하여 단일상의 아연주석산화물(Zn2SnO4) 벌크입자를 합성하고, 추가적인 볼 밀링(ball-milling) 과정을 거쳐 마이크로입자의 크기를 조절하였다. 아연주석산화물 마이크로입자를 합성하기 위하여 아연산화물(ZnO) 분말 가루(powder), Aldrich 99.9 %, 10.851 g 와 주석산화물(SnO2) 분말 가루, Aldrich 99.99 %, 10.047 g 를 2:1 몰 (mol) 비율로 용매 에탄올에 섞어 용액을 만든다. 상기 만들어진 용액에 지르코니아 볼(zirconia ball)을 넣어 약 분당 200 타코 미터(tacho meter) 속도로 24 시간 동안 볼 밀링 시킨다.
상기 제조된 용액을 비커로 옮겨 담아 120 RPM 의 속도로 200 oC에서 교반시키면서 에탄올을 모두 증발 시킨 뒤, 1200 oC에서 3시간 동안 열처리 (하소공정)를 진행하였다. 이때 온도는 분당 4 oC속도로 승온시키고, 전기로에서 공기중에서 냉각시켰다. 높은 열처리 온도로 인하여 아연산화물이나 주석산화물이 생기지 않고 단일상의 아연주석산화물(Zn2SnO4) 마이크로입자가 잘 형성이 되었음을 X-ray 회절분석법 (X-ray diffraction, XRD)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도7은 실시예 4에 따라 고상반응법으로 제조된 아연주석산화물 마이크로분말의 X-선 회절 결과로, 역스피넬(inverse spinnel) 구조를 갖는 아연주석산화물(징크 스테네이트, Zn2SnO4) 의 (311), (440), (511), (400), (220), (222) 면이 명확하게 관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 은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아연주석산화물 마이크로입자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센서에 도포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에탄올에 분산시킨 뒤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 도포하여 관찰한 결과로, 아연주석산화물 마이크로입자는 0.5 ~ 1.8 μm 의 넓은 평균 직경 분포를 갖고 있으며, 이는 열처리 과정 중 일부 입자 조대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마이크로입자만 있는 경우, 응집 정도도 심하여 매우 치밀한 구조를 갖게 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아연주석산화물(Zn 2 SnO 4 )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 복합소재 합성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 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실시예3에서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와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아연주석산화물 마이크로입자를 함께 하나의 바이알(Vial) 용기에 담아 에탄올에 혼합하여 복합체를 이루도록 하였다. 혼합한 바이알은 30분간 초음파 세척기를 통하여 균일하게 섞이도록 하였고,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와 아연주석산화물 마이크로입자의 상대 무게 비율은 각각 6:4 로 혼합하여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도 9는 상기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 복합체를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대로 마이크로입자가 나노섬유 사이사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존재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마이크로입자들이 과도하게 서로 응집이 되어 존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초음파 진동기 내지는 추가적인 볼 밀링 내지는 3차원 믹서기를 이용한 혼합 과정을 통해 더욱 균일한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 혼합 과정 중에 도 6에서 관찰된 Zn2SnO4 장섬유는 짧게 커팅(cutting, chopping)되어 도 9에서 보여지듯이 단섬유로 분포됨을 알 수 있다. 단섬유로 형상이 바뀜에 따라 비표면적이 추가적으로 증대되고, 마이크로 분말과의 결착/연결 특성이 더욱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가스센서 감도, 반응속도/회복속도 성능 평가
상기에서 실시예 1과 2를 거쳐 제작된 주석산화물 나노섬유, 주석산화물 나노입자, 주석산화물 나노섬유-나노입자 복합 감시 소재와, 실시예 3, 4, 5를 거쳐 제조된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 아연주석산화물 마이크로입자,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 복합 감지소재 센서들의 센서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황화수소(H2S), 아세톤(CH3COCH3), 톨루엔(C7H8) 가스에 대한 감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센서의 감도는 특정 가스를 흘려줄 때 변하는 저항을 Agilent 사의 34972A 모델을 이용하여 감지하며, 각각의 가스에 대한 반응(Response: Ra/Rg 저항의 변화, Ra: 공기 중에서의 저항, Rg: 측정 가스를 흘려줄 때의 저항)정도로 감도를 나타낸다. 가스 농도에 따른 특성평가를 위하여 흘려주는 가스의 농도를 차례로 5 ppm, 4 ppm, 3 ppm, 2 ppm, 1 ppm 으로 변화시켜가면서 저항을 기록하였다.
상기 실시예 2 와 실시예 5의 감지물질을 센서로 제작하기 위하여, 에탄올에 분산된 주석산화물 나노입자-나노섬유 복합체와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 복합소재를 드랍 코팅(Drop coating) 방법을 통하여 알루미나 기판에 코팅한 후 센서 베이스(base)와 와이어 본딩(wire bonding)을 하여 하나의 센서로 제작하였다. 도 10-(c), (d) 는 알루미나 기판에 드랍 코팅된 감지소재와 와이어 본딩 후 제작된 센서를 보여주고 있다. 가스센서 테스트용 기판으로는 도 10의 알루미나(Al2O3) 기판을 이용하였으며, 도 10-(b) 에서 볼 수 있듯이2 mm X 2 mm 의 크기에 뒷면에서는 마이크로 히터가 있다. 뒷면 마이크로 히터에 DC 인가 전압(Agilent 사의 DC 전압 생성기인 E3647A 모델)을 가하여 기판의 온도를 200 ~ 450 oC로 가변적으로 변화시켜 온도 별로 가스에 대한 감도를 측정하였다. 도10-(a) 에 나타나듯 알루미나 기판의 상부에는 간격 150 μm 크기의 Au 평행 전극(parallel electrode)을 형성하여 저항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Au 전극의 폭은 100 μm 였다. 가스센서 테스트는 인체의 호흡기를 통해서 배출되는 가스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대습도 85-95 %를 유지하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11은 실시예 1과 2에 따라 제조된 주석산화물 나노섬유, 주석산화물 나노입자, 주석산화물 나노섬유-주석산화물 나노입자 복합체 기반 센서의 300 oC에서 황하수소(H2S) 가스에 대한 반응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순수한 주석산화물 나노섬유로만 구성된 감지소재의 반응성(Ra/Rg)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ppm의 H2S 가스에 대하여 주석산화물 나노섬유는 (Ra/Rg =29.778으로, 주석산화물 나노입자(Ra/Rg=9.615) 보다 약3배 더 높은 반응 감도를 보여주었으며, 주석산화물 나노섬유-나노입자 복합센서에는 (Ra/Rg =17.859정도 수준으로 나노섬유와 나노입자 기반 센서의 중간 정도의 반응 감도를 보여주었다. 나노섬유-나노입자로 구성된 복합감지소재는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감지소재보다 반응성은 다소 감소하나, 나노섬유 사이사이 나노입자들이 채워줌으로써 효과적으로 접촉하여 가스에 노출되었을 경우 반응 속도도 빨라졌으며, 좀더 안정적으로 300 oC 에서 황화수소 가스와 반응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나노입자 단독으로 구성된 경우보다 나노섬유의 기공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열린 구조를 갖게 되어 높은 반응성을 가지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도 12 는 실시예 1과 2에 따라 제조된 주석산화물 나노섬유, 주석산화물 나노입자, 주석산화물 나노섬유-주석산화물 나노입자 복합체 기반 센서의 톨루엔 가스(toluene) 에 대한 온도별 반응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에서 보여진 아세톤 가스에 대한 반응성뿐만 아니라 톨루엔 가스의 경우에도 250 ~ 450 oC 사이의 모든 온도에서 나노섬유 단독으로 구성된 센서에서 가장 높은 반응성을 보이고, 나노입자만으로 이루어진 센서에서 경우가 가장 낮은 반응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나노섬유 기반 센서의 우수한 반응 감도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결과이다. 나노섬유-나노입자 복합체의 경우 나노섬유와 나노입자 사이의 반응성을 가짐을 알 수 있으며, 나노섬유 단독으로 구성된 센서와 비교하여도 반응성에서 큰 감소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1과 비교하였을 때, 앞선 발명에서도 보여주듯이 300 oC의 반응을 참조하여, 주석산화물 나노섬유-나노입자 복합 감지소재는 3 ppm의 톨루엔 가스에 대한 반응이 (Ra/Rg =2.141 정도 수준으로 낮으며, 동일 온도와 농도 조건에서 H2S 가스에 대해서는 (Ra/Rg =13.253 정도 수준으로 선택적인 H2S 센서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실시예 3, 4, 5 에 따라 제조된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 아연주석산화물 마이크로입자, 그리고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아연주석산화물 마이크로입자 복합체를 이용한 센서의 아세톤 반응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아세톤의 농도를 5, 4, 3, 2, 1 ppm 으로 450 oC에서 변화시켰을 때, 아세톤 가스에 대한 저항변화 반응성 (Ra/Rg)을 측정하였다. 도 13에서 관찰할 수 있듯이 도 11의 주석산화물 기반 가스센서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노섬유로 구성된 아연주석산화물 감지소재의 아세톤 반응성(Ra/Rg=31.526, 5 ppm)이 가장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비교하여 아연주석산화물 마이크로입자로 구성된 센서의 경우 5 ppm의 아세톤 농도에서 반응성(Ra/Rg)이 7.906 정도 값으로 나노섬유 센서와 비교하여 4배 이상 작은 반응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나노섬유 형상의 센서가 높은 비표면적과 빠른 가스 확산/침투가 가능한 다공성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특이한 점은 마이크로 입자의 우수한 반응속도와 회복속도를 들 수 있다. 반응속도는 저항변화가 90 %에 도달하였을 때의 시간으로 정의하는데, 아세톤 가스가 주입됨과 동시에, 매우 빠른 속도로 반응이 포화(saturation)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 복합체 센서의 경우 5 ppm의 아세톤 농도에서 Ra/Rg 값이 19.786 정도 수준으로 상당히 높은 반응성을 가짐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반응속도와 회복속도가 빠르게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 복합체의 경우 반응성은 나노섬유 단독일 때 보다 낮은 감도를 갖지만, 마이크로입자 단독으로 구성된 센서보다 높은 감도를 가지면서도 안정적으로 반응함을 알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4, 5에 따라 아연주석산화물 감지소재들(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 복합체)의 아세톤 가스 5 ppm 에 노출 시 반응성 감도와 반응 시간, 회복 시간을 나타낸 표이다.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 센서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 복합 센서 아연주석산화물
마이크로입자 센서
반응성@5 ppm 31.5 19.8 7.9
반응시간(초) 80.0 10.0 6.0
회복시간(초) 99.2 34.0 29.6
표 1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 아연주석산화물 마이크로입자, 아연주석산화물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 복합체 기반 센서들이 각각 아세톤 5 ppm 에 노출되었을 때의 감도와 반응속도, 회복속도를 비교한 표이다. 도 13의 그래프에서도 확인 하였듯이,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 복합체로 구성된 센서의 경우 반응성은 나노섬유 단독으로 구성된 센서에 비하여 다소 감소하였지만, 반응속도면에서 보면 80 초 에서 10초로 약 8배 빨라졌으며, 회복속도 또한 99 초에서 34초로 약 2.9배 빨라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입자(Ra/Rg=7.906) 단독으로 구성되었을 경우보다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 복합 센서의 감도(Ra/Rg =19.786)는 2.5배 이상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표 1에서 정리된 결과를 바탕으로 나노섬유와 마이크로입자가 서로 복합화 되는 경우, 나노섬유로 구성된 센서 보다 감도가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고감도 특성을 가지며, 가스에 노출 시 좀 더 빠르고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반응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열적 안정성, 구조적 안정성으로 인하여 장수명을 기대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주석산화물(SnO2)과 아연주석산화물(Zn2SnO4)을 한 예로 들었지만, 전기방사를 통하여 제작할 수 있는 금속산화물 반도체와, 나노입자, 마이크로입자 크기를 구성할 수 있는 금속산화물 반도체이면 어떤 것이든 가능하며, SnO2, ZnO, TiO2, In2O3, Zn2SnO4, WO3, Co3O4, NiO, V2O5, CuO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의 복합체일 수 있다. 상기의 어느 금속산화물 나노섬유와 그 마이크로입자의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Pt, Pd, Ag, Au, IrO2, RuO2, Rh2O3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나노입자 촉매 또는 그래핀으로 상기의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 복합 감지소재를 더 기능화하여, 감도, 선택성, 기본저항 안정성 특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도 있다.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 복합체 기반 센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소개된 H2S, 톨루엔, 아세톤 가스 이외에도, 대표적인 유해환경 가스인 CO, NOx, SOx와 새집증후군의 원인으로 꼽히는 자일렌(xylene), 벤젠(benzene), 포름할데히드(HCHO)와 암석이나 토양, 건축자재 등에서 방출되는 방사능 물질인 라돈(Radon), 수용성 맹독의 무색 기체인 시안화수소(Hydrogen cyanide, HCN) 등의 유해환경가스에 대하여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질병진단을 위한 날숨 가스(H2S, Ethanol, NO, NH3, Isoprene, Toluene, Acetone 등) 등 다양한 가스에 대하여 응용 할 수 있다.
100 : 금속산화물 나노입자
200 : 금속산화물 마이크로입자
300 : 금속산화물 다결정 나노섬유
400 : 금속산화물 나노입자 응집체
500 :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나노입자-마이크로입자 복합 구조체
600 :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 복합구조체

Claims (13)

  1. 다결정 나노섬유의 형상의 금속산화물 소재를 포함하고,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산화물 소재를 더 포함하는 복합체
    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체는,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의 형상의 금속산화물 소재와 상기 마이크로입자 및 상기 나노입자 중에서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산화물 소재가 서로 동일 성분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감지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 상기 마이크로입자 및 상기 나노입자가 공존하는 경우,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 상기 마이크로입자 및 상기 나노입자 각각의 무게 함량 비율을 나타내는 X, Y, Z에서, X는 20 % 이상 95 % 이하, Y는 0 % 초과 80 % 이하, Z는 0 % 초과 30 % 이하의 wt% 범위(X+Y+Z는 100 % 무게 함량 비율을 가짐)를 가지며,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가 상기 마이크로입자(또는 상기 나노입자)와 공존하는 경우, X, Y(또는 Z)에서 X는 10 % 이상 90 % 이하, Y(또는 Z)는 10 % 이상 90 % 이하의 wt% 범위(X+Y(또는 Z)는 100 % 무게 함량 비율을 가짐)를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감지소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입자 또는 상기 나노입자는,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 사이에 존재하는 기공을 채우며,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와 결착되어,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 단독으로 구성된 감지소재보다 치밀한 구조를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감지소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의 형상의 금속산화물 소재 또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일 성분의 금속산화물 소재는,
    SnO2, ZnO, TiO2, In2O3, Zn2SnO4, WO3, Co3O4, NiO, V2O5, CuO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선택된 둘 이상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감지소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는, 100 nm ~ 1 μm의 직경 범위와, 2 ~ 5000 의 범위에 포함되는 장단축비를 가지며,
    상기 마이크로입자는, 200 nm ~ 3 μm의 크기 범위를 갖고,
    상기 나노입자는, 10 nm ~ 100 nm의 크기 범위를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감지소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 상기 마이크로입자 및 상기 나노입자가 공존하는 복합체에서,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 사이에 존재하는 수백 nm ~ 수십 μm 의 거대기공, 상기 마이크로입자 사이에 존재하는 수십 ~ 수 μm 의 기공, 및 상기 나노입자 사이에 존재하는 100 n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갖는 미세기공이 공존함에 따라, 수 nm ~ 수십 μm의 크기 범위의 기공들이 분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감지소재.
  7. 제1항에 있어서,
    1-10 nm 의 크기 범위를 갖는Pt, Pd, Ag, Au, IrO2, RuO2, Rh2O3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촉매입자가 0.01 ~ 5 wt%의 범위에서 상기 복합체에 추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감지소재.
  8. 제1항에 있어서,
    그래핀(비산화 그래핀, 산화 그래핀 및 환원된 산화 그래핀 중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이 0.01 ~ 2 wt%의 범위로 상기 복합체에 추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감지소재.
  9. 제1항에 있어서,
    1-10 nm 의 크기 범위를 갖는Pt, Pd, Ag, Au, IrO2, RuO2, Rh2O3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촉매입자가 0.01 ~ 5 wt%의 범위에서 상기 복합체에 추가되고, 그래핀(비산화 그래핀, 산화 그래핀 및 환원된 산화 그래핀 중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이 0.01 ~ 2 wt%의 범위로 상기 복합체에 더 추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감지소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복합 감지소재를 포함하는 가스센서.
  11. 제10항의 가스센서를 포함하는 가스센서 어레이.
  12. (a) 전구체 염(열처리 후에, 금속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는 금속염)을 포함하는 고분자 분산용액(전기방사 용액)을 전기방사한 후 고온 열처리하여 금속산화물 소재로서 다결정 나노섬유를 합성하는 단계;
    (b) 상기 금속산화물 소재와 동일한 성분의 금속산화물 소재로서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합성하는 단계;
    (c) 상기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와 혼합(mixing)하여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 분산 용액(잉크) 또는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또는 나노입자) 분산 용액(잉크)을 합성하는 단계
    (d)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 분산 용액(잉크) 또는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또는 나노입자) 분산 용액(잉크)을 센서 전극 위에 코팅하는 단계;
    (e) 상기 센서 전극을 고온 열처리를 하여,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나노입자 기반 복합 센서 또는 다결정 나노섬유-마이크로입자(또는 나노입자) 기반 복합 센서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 센서 제조공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 상기 마이크로입자 및 상기 나노입자가 공존하는 경우,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 상기 마이크로입자 및 상기 나노입자 각각의 무게 함량 비율을 나타내는 X, Y, Z에서, X는 20 % 이상 95 % 이하, Y는 0 % 초과 80 % 이하, Z는 0 % 초과 30 % 이하의 wt% 범위(X+Y+Z는 100 % 무게 함량 비율을 가짐)를 가지며,
    상기 다결정 나노섬유가 상기 마이크로입자(또는 상기 나노입자)와 공존하는 경우, X, Y(또는 Z)에서 X는 10 % 이상 90 % 이하, Y(또는 Z)는 10 % 이상 90 % 이하의 wt% 범위(X+Y(또는 Z)는 100 % 무게 함량 비율을 가짐)를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센서 제조공정.
KR1020160033560A 2016-03-21 2016-03-21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로 구성된 복합 금속산화물 감지소재, 이를 이용한 가스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5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560A KR101665911B1 (ko) 2016-03-21 2016-03-21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로 구성된 복합 금속산화물 감지소재, 이를 이용한 가스센서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560A KR101665911B1 (ko) 2016-03-21 2016-03-21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로 구성된 복합 금속산화물 감지소재, 이를 이용한 가스센서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055A Division KR101633549B1 (ko) 2014-08-06 2014-08-06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로 구성된 복합 금속산화물 감지소재, 이를 이용한 가스센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149A true KR20160037149A (ko) 2016-04-05
KR101665911B1 KR101665911B1 (ko) 2016-10-13

Family

ID=55800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560A KR101665911B1 (ko) 2016-03-21 2016-03-21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로 구성된 복합 금속산화물 감지소재, 이를 이용한 가스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91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597A (ko) * 2016-12-01 2018-06-11 한국세라믹기술원 상온 구동형 가스센서의 제조방법
WO2018174394A1 (ko) * 2017-03-22 2018-09-27 한양대학교에리카산학협력단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944346B1 (ko) * 2017-09-20 2019-01-31 한양대학교에리카산학협력단 나노 갭을 갖는 복합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41034A (ko) * 2018-10-11 2020-04-21 한국과학기술원 2차원 금속산화물 나노쉬트로 구성된 다공성 1차원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를 이용한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12353780A (zh) * 2020-11-12 2021-02-12 盐城工学院 一种具有双重纳米复合结构的药物缓控释平台系统
KR20220159163A (ko) 2021-05-25 2022-12-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하 저장 엔지니어링 효과를 이용한 fet형 가스 센서의 구동 방법
KR20230045435A (ko) 2021-09-28 2023-04-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상보형 센서 일체형 인터페이스 회로 및 상보형 센서 일체형 차동 인터페이스 회로
CN117164870A (zh) * 2023-08-01 2023-12-05 东北林业大学 一种通过mof衍生制备均匀分散铜掺杂锡酸锌no2传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403B1 (ko) * 2012-07-20 2014-02-11 한국과학기술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KR20140021745A (ko) * 2012-08-09 2014-02-20 한국과학기술원 금속산화물 나노로드와 그래핀 복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KR20140030424A (ko) * 2012-08-28 2014-03-12 한국과학기술원 그래핀, 나노입자 및 금속산화물 나노로드의 복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KR101400605B1 (ko) * 2013-04-29 2014-05-27 한국과학기술원 광소결을 이용한 금속산화물-촉매 복합 소재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날숨 진단 및 유해환경 모니터링 센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403B1 (ko) * 2012-07-20 2014-02-11 한국과학기술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KR20140021745A (ko) * 2012-08-09 2014-02-20 한국과학기술원 금속산화물 나노로드와 그래핀 복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KR20140030424A (ko) * 2012-08-28 2014-03-12 한국과학기술원 그래핀, 나노입자 및 금속산화물 나노로드의 복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KR101400605B1 (ko) * 2013-04-29 2014-05-27 한국과학기술원 광소결을 이용한 금속산화물-촉매 복합 소재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날숨 진단 및 유해환경 모니터링 센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597A (ko) * 2016-12-01 2018-06-11 한국세라믹기술원 상온 구동형 가스센서의 제조방법
US11761916B2 (en) 2017-03-22 2023-09-19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Gas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8174394A1 (ko) * 2017-03-22 2018-09-27 한양대학교에리카산학협력단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07476A (ko) * 2017-03-22 2018-10-0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944346B1 (ko) * 2017-09-20 2019-01-31 한양대학교에리카산학협력단 나노 갭을 갖는 복합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WO2019059663A1 (ko) * 2017-09-20 2019-03-28 한양대학교에리카산학협력단 나노 갭을 갖는 복합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287385B2 (en) 2017-09-20 2022-03-29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Composite particles having nanogap,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200041034A (ko) * 2018-10-11 2020-04-21 한국과학기술원 2차원 금속산화물 나노쉬트로 구성된 다공성 1차원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를 이용한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12353780A (zh) * 2020-11-12 2021-02-12 盐城工学院 一种具有双重纳米复合结构的药物缓控释平台系统
KR20220159163A (ko) 2021-05-25 2022-12-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하 저장 엔지니어링 효과를 이용한 fet형 가스 센서의 구동 방법
KR20230045435A (ko) 2021-09-28 2023-04-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상보형 센서 일체형 인터페이스 회로 및 상보형 센서 일체형 차동 인터페이스 회로
CN117164870A (zh) * 2023-08-01 2023-12-05 东北林业大学 一种通过mof衍生制备均匀分散铜掺杂锡酸锌no2传感器
CN117164870B (zh) * 2023-08-01 2024-05-10 东北林业大学 一种通过mof衍生制备均匀分散铜掺杂锡酸锌no2传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911B1 (ko)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549B1 (ko)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로 구성된 복합 금속산화물 감지소재, 이를 이용한 가스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5911B1 (ko) 다결정 나노섬유,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로 구성된 복합 금속산화물 감지소재, 이를 이용한 가스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633554B1 (ko) 아포페리틴 내부에 포함된 이종의 나노입자 촉매로부터 기능화된 나노입자 촉매를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섬유 및 이를 이용한 가스센서용 부재,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11099147B2 (en) Member for gas sensor, having a metal oxide semiconductor tube wall with micropores and macropores, gas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787190B1 (ko) 나노입자 촉매가 포함된 금속유기구조체를 이용하여 기능화된, 다공성 금속산화물 복합체 나노섬유 및 이를 이용한 가스센서용 부재,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5493A (ko) 다공성 금속유기구조체를 이용하여 나노 크기의 이종 촉매가 결착된 금속산화물 나노튜브 및 이를 이용한 가스센서용 부재,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4523582B2 (ja) 金属酸化物ガスセンサの製造方法
KR101400605B1 (ko) 광소결을 이용한 금속산화물-촉매 복합 소재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날숨 진단 및 유해환경 모니터링 센서
KR101552323B1 (ko) 페리틴을 이용한 나노 촉매를 포함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 구조체를 이용한 가스 센서용 부재,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837287B1 (ko) 다공성 중공 구조의 촉매가 결착된 금속산화물 복합 나노스피어 및 이를 이용한 가스센서용 부재,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11428660B2 (en) Metal oxide nanofibers including functionalized catalyst using chitosan-metal complexes, and member for gas sensor, and gas sensor using the metal oxide nanofiber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980442B1 (ko) 셀룰로오스 및 아포페리틴의 복합적 바이오 템플릿을 활용한1차원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튜브 및 나노입자 촉매가 기능화된 가스센서용 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52326B1 (ko)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섬유와 이중 촉매를 이용한 가스 센서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559465B1 (ko) 입자 성장된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 구조체를 이용한 가스 센서용 부재,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714961B1 (ko) 촉매가 결착된 희생층 템플레이트로부터 전사되어 얻어진 촉매를 포함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섬유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스 센서
KR101893267B1 (ko) 나노입자 촉매로부터 기능화된 상호 연결된 다차원 기공 구조를 가지는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섬유 기반 가스센서용 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84738B1 (ko) 촉매가 결착된 희생층 템플레이트로부터 전사되어 얻어진 촉매를 포함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섬유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스 센서
KR20170020121A (ko) 나노입자가 분산된 에멀전 용액으로부터 기능화된 촉매를 포함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복합체 나노섬유 및 이를 이용한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71991A (ko) 나노입자 촉매로부터 기능화된 상호 연결된 다차원 기공 구조를 가지는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섬유 기반 가스센서용 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29120B1 (ko) 나노 금속 촉매가 결착된 다공성 3차원 계층구조 촉매-금속산화물 복합 나노응집체, 이를 이용한 가스 센서용 부재 및 가스 센서용 부재의 제조 방법
KR20190046320A (ko) 금속산화물 다공성 나노튜브 및 이를 이용한 가스센서 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38774B1 (ko) 다중 기공과 나노촉매를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복합 나노튜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센서
KR102092452B1 (ko) 나노입자 촉매와 다중채널 기공이 포함된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를 이용한 가스센서용 부재,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832110B1 (ko) 촉매가 기능화된 폴리머 콜로이드를 템플레이트로 이용한 촉매가 전사된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제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센서
KR101817015B1 (ko) 촉매가 기능화된 폴리머 콜로이드를 템플레이트로 이용한 촉매가 전사된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제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