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518A - 시멘트 및 콘크리트 2차제품용 백색 결합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멘트 및 콘크리트 2차제품용 백색 결합재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1518A KR20160021518A KR1020140106863A KR20140106863A KR20160021518A KR 20160021518 A KR20160021518 A KR 20160021518A KR 1020140106863 A KR1020140106863 A KR 1020140106863A KR 20140106863 A KR20140106863 A KR 20140106863A KR 20160021518 A KR20160021518 A KR 201600215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cement
- white
- furnace sla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6—Oxides, Hydrox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6—Aluminous ce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04B28/16—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containing anhydrite, e.g. Keene's ce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색 결합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멘트나 콘크리트 2차제품 제조시 백색이나 유색 등의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가의 백색 포틀랜드시멘트의 사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을 다량 이용하고, 조강제를 이용하여 초기강도 확보가 가능한 백색 결합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백색결합재 조성물은 비표면적이 3,000~10,000cm2/g이며 Fe2O3 함량이 2중량% 미만인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표면적이 3,000~7,000cm2/g인 백색포틀랜드시멘트 5~150중량부, 초기 강도 확보를 위한 조강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강제는 CSA(Calcium Sulfur Aluminate), 알루미나 시멘트, 초속경 시멘트, 초조강 시멘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백색결합재 조성물은 비표면적이 3,000~10,000cm2/g이며 Fe2O3 함량이 2중량% 미만인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표면적이 3,000~7,000cm2/g인 백색포틀랜드시멘트 5~150중량부, 초기 강도 확보를 위한 조강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강제는 CSA(Calcium Sulfur Aluminate), 알루미나 시멘트, 초속경 시멘트, 초조강 시멘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백색 결합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멘트나 콘크리트 2차제품 제조시 백색이나 유색 등의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가의 백색 포틀랜드시멘트의 사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을 다량 이용하고, 조강제를 이용하여 초기강도 확보가 가능한 백색 결합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백색포틀랜드시멘트는 1종 보통시멘트와 달리 백색도에 영향을 미치는 Fe2O3 성분을 배제한 고순도 원료로 제조된 시멘트로써 백색 그 자체의 색상을 살리거나 안료첨가로 다양한 색상을 발현할 수 있어 물갈기 시공 이외에도 인조대리석, 각종 건축마감재 등의 2차 제품용으로 그 사용량이 증가추세에 있다.
백색포틀랜드시멘트의 제조 공정은 주성분인 실리카, 알루미나 및 석회를 함유하는 원료를 적당한 비율로 충분히 혼합한 후 1,450℃ 이상의 용융, 소결의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러한 백색포틀랜드시멘트는 1종 보통시멘트와 제조 공정은 같으나 원재료에 대한 요구가 까다로워 1종 보통시멘트를 제조할 때보다 원가가 2.5배 정도 높으며, 국내 백색포틀랜드시멘트 생산업체의 독점과 해외 백색포틀랜드시멘트 업체들의 덤핑수입으로 인한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 현상이 우려되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고로 슬래그는 물을 이용하여 급냉할 경우 천연 모래와 같은 색상을 나타내나 비표면적 3,000㎠/g 이상으로 미분쇄할 경우 백색도가 높은 미분말이 된다.
따라서, 고가의 백색포틀랜드시멘트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철강 산업부산물인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을 활성화시켜 강도를 발현할 수 있다면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방향이다.
최근 포틀랜트 시멘트의 사용을 줄이기 위해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를 이용한 기술이 최근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NaOH, KOH, Na2CO3, Na2SiO3 같은 강알칼리 약품으로 자극하여 시멘트와 같은 특성을 발휘하며, 수밀성과 내열성이 높은 결합재를 만들 수 있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는 자극제로 사용되는 약품이 너무 고가이기에 경제성이 취약하고, 그 강도발현 메카니즘의 특성상 탄산화 되기 쉬워 내구성이 취약하며, 또한 자극제의 pH가 13을 초과할 정도로 자극성이 강한 강알칼리를 띠고 있기 때문에 대기 중에 노출되면 쉽게 용해되는 조해성이 큰 원료들로서, 분체로서의 취급이 곤란하기 때문에 액상화하여 사용해야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한편, 백색결합재와 관련된 기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76084호 "백시멘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1종 보통시멘트에 슬래그, 석고, 소석회, 알칼리 자극제, 백색안료, 백시멘트를 이용한 백시멘트 제조방법으로 1종 보통시멘트를 주재료로하고 슬래그, 석고, 소석회, 백색시멘트를 소량 혼합하여 1종 보통포틀랜드 시멘트가 강도 저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나, 1종 보통시멘트의 다량 사용으로 백색도가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슬래그의 다량 혼입에 따른 초기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를 보상할 수 있는 재료의 혼입이 필수적이나 상기 특허와 같이 1종 보통시멘트의 혼입량이 많아지면 백색도를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을 다량 이용하고 이를 활성화시켜 강도를 발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시멘트 및 콘크리트 2차제품 제조 시 백색이나 유색 등의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가의 백색포틀랜드시멘트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백색결합재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강제를 활용함으로써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의 다량 혼입에 따른 초기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백색이나 유색을 띄는 시멘트 및 콘크리트 2차제품 제조시 양생시간을 단축시킴으로서 몰드 회전율을 증가 시킬 수 있는 백색결합재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백색결합재 조성물은 비표면적이 3,000~10,000cm2/g이며 Fe2O3 함량이 2중량% 미만인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표면적이 3,000~7,000cm2/g인 백색포틀랜드시멘트 5~150중량부, 초기 강도 확보를 위한 조강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강제는 CSA(Calcium Sulfur Aluminate), 알루미나 시멘트, 초속경 시멘트, 초조강 시멘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의 수축저감 및 황산염 자극을 위한 황산염 자극제 1~3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황산염 자극제는 비표면적이 2,500~7,000cm2/g이며 Fe2O3 함량이 2중% 미만인 이수석고, 반수석고, 무수석고, 무수망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증진을 위한 증진제 1~3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진제는 비표면적이 2,500~7,000cm2/g이며 Fe2O3 함량이 2중량% 미만인 생석회, 경소백운석, 백운석, 석회석 미분말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백색도 향상을 위한 산화티탄계 백색안료 1~1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로수재 슬래그를 활성화시켜 강도를 발현함으로써 고가의 백색 포틀랜드시멘트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조강제를 활용함으로써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의 다량 혼입에 따른 초기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백색이나 유색을 띄는 시멘트 및 콘크리트 2차제품 제조시 양생시간을 단축시킴으로서 몰드 회전율을 증가 시킬 수 있는 백색결합재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백색결합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백색결합재는 비표면적이 3,000~10,000cm2/g이며 Fe2O3 함량이 2중량% 미만인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표면적이 3,000~7,000cm2/g인 백색포틀랜드시멘트 10~150중량부, 조강제로서 비표면적이 2,500~7,000cm2/g인 CSA(Calcium Sulfur Aluminate), 알루미나 시멘트, 초속경 시멘트, 초조강 시멘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혼합물 1~10중량부를 포함한다.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은 제철 고로 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고온 용융상태의 슬래그를 물로 급냉 처리한 부산물로서 비표면적이 3,000~10,000cm2/g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표면적이 3,000cm2/g 미만이면 활성도가 저하되어 초기 강도가 백색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하여 크게 저하되며 10,000cm2/g을 초과할 경우 활성도는 우수하여 강도는 증진되나 초미립분을 얻기 위한 분쇄, 집진 공정에서 생산량이 크게 저하된다.
통상의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에 물을 투입하게 되면, 표면에 비결정질 피막이 형성되어, 내부의 Ca2 +, Al3 + 등의 용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OH-나 SO4 2 -이 존재할 경우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의 비결정질 피막을 파괴하여 Ca2+, Al3+ 등의 용출이 용이하게 되고, 용출 이온들이 CaO-SiO2-H2O계 수화물 등을 생성하게 됨으로써 경화를 빠르게 촉진하고, 잉여 황산화물은 침상형의 구조를 가지는 에트린가이트 수화생성물(3CaO·Al2O3·3CaSO4·32H2O)을 생성시킴으로써 수화체 내부의 조직을 치밀화하여 경화체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은 Fe2O3 함량이 2중량% 미만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e2O3 함량이 2중량% 이상일 경우 백색도가 저하되어 회색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KS L 5405 백색도(헌터식) 89.0 이상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백색포틀랜드시멘트는 KS L 5204 규준을 만족하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입품의 경우에도 국내 제품 동등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색포틀랜드시멘트는 자체 수경성에 의해 강도 발현 역할을 수행하며 물과 반응하여 칼슘실리케이트(CaO-SiO2-H2O)계 수화물을 생성한 후 부산되는 수산화칼슘 성분에 의해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이 활성화 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백색포틀랜드시멘트는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5~150중량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5중량부 미만이면 강도 발현 효과가 미비하며 150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강도 발현에는 유리하나 경제성이 부족하다.
초기강도 확보를 위한 조강제로서 CSA(Calcium Sulfur Aluminate), 알루미나 시멘트, 초속경 시멘트, 초조강 시멘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강제는 잠재수경성 물질인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의 혼입에 의해 초기 강도가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 크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백색포틀랜드시멘트가 28일에 걸려 발현할 수 있는 강도를 조강제는 수시간 또는 길어야 3일 이내에 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의 다량 혼입에 따른 초기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를 보상할 수 있는 재료의 혼입이 필수적이나 종래기술(등록특허 제10-1276084호)과 같이 1종 보통시멘트의 혼입량이 많아지면 백색도를 크게 저하시키기 때문에 그 혼입량이 적으면서도 1종 시멘트에 비해 3~5배 정도 초기 강도를 빨리 낼 수 있는 재료로서 CSA(Calcium Sulfur Aluminate), 알루미나 시멘트, 초속경 시멘트, 초조강 시멘트 등의 조강제의 혼입이 매우 효과적이다 할 수 있다.
초기 강도가 저하될 경우 양생 시간이 길어져 후속 공정이 길어지거나 시멘트 및 콘크리트 2차제품 제조시 몰드 회전율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조강제는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중량부 미만이면 초기 강도 보상 효과가 미비하며 10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백색도가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60만원/톤 이상인 고가 제품의 과다 투입으로 경제성이 부족하다.
또한 황산염 자극제로서 비표면적이 2,500cm2/g 이상, Fe2O3 함량이 2중량% 미만인 이수석고, 반수석고, 무수석고, 무수망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산염 자극제는 비표면적이 2,500~7,000cm2/g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표면적이 2,500cm2/g 미만이면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의 황산염 자극제로서의 역할을 수행이 어려우며 비표면적이 7,000cm2/g을 초과할 경우 입자가 미립화되어 그 효과는 증진되나 초미립분을 얻기 위한 분쇄, 집진 공정에서 생산량이 크게 저하된다.
또한 황산염 자극제는 Fe2O3 함량이 2중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Fe2O3 함량이 2중량% 이상일 경우 백색도가 저하되어 회색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KS L 5405 백색도(헌터식) 89.0 이상을 발휘하기 어렵다. 시중에서 공업용으로 유통되는 이수석고, 반수석고, 무수석고, 무수망초는 Fe2O3 함량이 2중량%를 초과하는 제품이 많으므로 반드시 원료 입고 전 화학적 정량 분석이나 백색도 실험을 통하여 Fe2O3 함량이 2중량% 미만인 것을 사용해야 한다.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을 다량 사용할 경우 단기적으로 문제 우려는 없으나 장기적으로 수축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황산염 자극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산염 자극제 중의 SO4 2 -이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의 비결정질 피막을 파괴하여 Ca2 +, Al3 + 등의 용출이 용이하게 되고, 용출 이온들이 CaO-SiO2-H2O계 수화물 등을 생성하게 됨으로써 경화를 빠르게 촉진하고, 잉여 황산화물은 팽창성 광물인 에트린가이트 수화생성물(3CaO·Al2O3·3CaSO4·32H2O)을 생성시킴으로써 수축을 저감하고 수화체 내부의 조직을 치밀화하여 경화체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황산염 자극제는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3~3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비하고 3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체적 팽창압에 의하여 균열을 발생시키거나 고로수재 슬래그와 반응하지 못한 잉여 성분이 수화생성물 사이에 응집상태로 존재하면서 이들의 결합력을 약화시킨다.
또한 상기 황산염 자극제는 천연석고, 배연 탈황석고, 화학 부산석고, 공업용 무수망초, 제철공장에서 부산되는 무수망초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도 증진을 위한 강도 증진제로서 비표면적이 2,500~7,000cm2/g이며 Fe2O3 함량이 2중량% 미만인 생석회, 경소백운석, 백운석, 석회석 미분말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도 증진제로 사용되는 생석회, 경소백운석, 백운석, 석회석 미분말은 시중에서 유통되는 제품으로 비표면적이 2,500~7,000cm2/g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표면적이 2,500cm2/g 미만이면 고로수재 슬래그의 자극제 및 충진재로서의 역할을 수행이 어려우며 비표면적이 7,000cm2/g을 초과할 경우 입자가 미립화되어 자극제 및 충진재로서의 역할이 향상되어 강도는 증진되나 초미립분을 얻기 위한 분쇄, 집진 공정에서 생산량이 크게 저하된다.
상기 강도 증진제는 Fe2O3 함량이 2중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Fe2O3 함량이 2중량% 이상일 경우 백색도가 저하되어 회색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KS L 5405 백색도(헌터식) 89.0 이상을 발휘하기 어렵다. 시중에서 공업용으로 유통되는 생석회, 경소백운석, 백운석, 석회석 미분말은 Fe2O3 함량이 2중량%를 초과하는 제품이 많으므로 반드시 원료 입고 전 화학적 정량 분석이나 백색도 실험을 통하여 Fe2O3 함량이 2중량% 미만인 것을 사용해야 한다.
상기 강도 증진제는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1~20중량부 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비하고 20중량부 초과이면 오히려 강도가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백색도 향상을 위해 산화티탄계 백색안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티탄계 백색안료는 백색도를 더욱 증가시켜 백색도(헌터법) 90 이상을 안정적으로 확보해 주며 유색 안료 혼입시 색상을 더욱 선명하게 해준다.
상기 백색안료는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1~15중량부 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중량부 미만이면 백색도 증진 효과가 미비하며 15중량부 초과이면 혼입량 대비 백색도 향상 정도가 미비하며 경제성 측면에서도 크게 불리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된다.
비교예
백색포틀랜드시멘트 100중량부에 물 50중량부 ISO 표준사 300중량부를 혼합하여 시멘트 성형체를 제조하고 얻어진 성형체의 압축강도를 양생 시간에 따라 측정하여 표1에 나타내었다. 이때, 백색포틀랜드시멘트의 백색도는 헌터법을 이용하여 실험 전에 측정하였으며 상기 성형체 제작 및 강도평가 방법은 KS L ISO 679 "시멘트의 강도시험방법"에 준하여 평가하였다. 압축강도는 3일, 7일 및 28일, 90일에 측정하였으며, 각 측정일에 시험체를 3개씩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압축강도 값으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표면적이 4,340cm2/g인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표면적이 3,720cm2/g인 백색포틀랜드시멘트 100중량부, 초조강 시멘트 3중량부를 균질하게 혼합하여 백색결합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백색결합재의 백색도는 헌터법을 이용하여 실험 전에 측정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결합재 100중량부에 물 50중량부 ISO 표준사 300중량부를 혼합하여 시멘트 성형체를 제조하고 얻어진 성형체의 압축강도를 양생 시간에 따라 측정하여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비표면적이 4,340cm2/g인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표면적이 3,720cm2/g인 백색포틀랜드시멘트 40중량부, CSA 5중량부, 천연 무수석고 8중량부, 생석회 2중량부, 산화티탄계 백색안료 2중량부를 균질하게 혼합하여 백색결합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백색결합재의 백색도는 헌터법을 이용하여 실험 전에 측정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결합재 100중량부에 물 50중량부 ISO 표준사 300중량부를 혼합하여 시멘트 성형체를 제조하고 얻어진 성형체의 압축강도를 양생 시간에 따라 측정하여 표1에 나타내었다.
구분 | 백색도 | 압축강도 3일 (MPa) |
압축강도 7일 (MPa) |
압축강도 28일 (MPa) |
압축강도 90일 (MPa) |
비교예 | 90.1 | 21.6 | 32.1 | 45.3 | 50.2 |
실시예1 | 89.2 | 18.4 | 31.2 | 46.4 | 57.2 |
실시예2 | 90.4 | 20.3 | 32.8 | 50.3 | 60.5 |
비교예 1은 백색포틀랜드시멘트이고 실시예 1,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백색결합재이다.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백색도는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에 비하여 백색도가 다소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KS L 5204 규준에는 만족하는 값을 보였다. 실시예 2의 경우 비교예 1에 비해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백색안료가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백색결합재를 시멘트 및 콘크리트 2차제품 제조 시 사용하여도 백색도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압축강도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의 경우 3일 재령에서의 압축강도는 백색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한 비교예에 비해 압축강도가 약 85%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7일 재령에서는 거의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28일의 재령에서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 오히려 약간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특히 장기재령인 90일에서는 백색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해 약 14% 정도 더 높은 강도를 발현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는 비교예 1과 비교해보면 3일 재령에서의 압축강도는 백색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해 압축강도가 약 94%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7일재령에서는 거의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28일과 90일 재령에서는 더 높은 강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비교예의 경우 90일 재령에서 압축강도는 28일 재령에 비해 압축강도가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나 실시예 1과 2의 경우 28일 이후의 지속적인 강도 발현이 가능하여 장기재령에서의 압축강도 발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을 갖는 경우, 높은 함량으로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을 함유하더라도 백색포틀랜드시멘트와 동등 이상의 압축강도 발현이 가능하여, 시멘트 제조시에 발생하는 CO2 발생량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저렴한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의 사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고가의 백색포틀랜드시멘트의 사용량 저감에 따른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백색결합재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백색결합재가 경제성을 가지면서 백색포틀랜드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는 성능 발휘가 가능하여 시멘트 및 콘크리트 2차제품 제조 공장 및 건축현장에서 활용이 기대된다.
Claims (6)
- 비표면적이 3,000~10,000cm2/g이며 Fe2O3 함량이 2중량% 미만인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표면적이 3,000~7,000cm2/g인 백색포틀랜드시멘트 5~150중량부,
초기 강도 확보를 위한 조강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강제는 CSA(Calcium Sulfur Aluminate), 알루미나 시멘트, 초속경 시멘트, 초조강 시멘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결합재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의 수축저감 및 황산염 자극을 위한 황산염 자극제 1~3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재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염 자극제는 비표면적이 2,500~7,000cm2/g이며 Fe2O3 함량이 2중% 미만인 이수석고, 반수석고, 무수석고, 무수망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결합재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증진을 위한 증진제 1~3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재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진제는 비표면적이 2,500~7,000cm2/g이며 Fe2O3 함량이 2중량% 미만인 생석회, 경소백운석, 백운석, 석회석 미분말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결합재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백색도 향상을 위한 산화티탄계 백색안료 1~1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재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6863A KR20160021518A (ko) | 2014-08-18 | 2014-08-18 | 시멘트 및 콘크리트 2차제품용 백색 결합재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6863A KR20160021518A (ko) | 2014-08-18 | 2014-08-18 | 시멘트 및 콘크리트 2차제품용 백색 결합재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1518A true KR20160021518A (ko) | 2016-02-26 |
Family
ID=5544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6863A KR20160021518A (ko) | 2014-08-18 | 2014-08-18 | 시멘트 및 콘크리트 2차제품용 백색 결합재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21518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63418A (zh) * | 2019-10-30 | 2019-12-13 | 安徽海螺建材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 一种免蒸养超高性能混凝土及其制备方法 |
KR20200144243A (ko) * | 2019-06-18 | 2020-12-29 | 아세아시멘트(주) | 칼라 견출시멘트 조성물 및 견출면을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 방법 |
-
2014
- 2014-08-18 KR KR1020140106863A patent/KR2016002151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44243A (ko) * | 2019-06-18 | 2020-12-29 | 아세아시멘트(주) | 칼라 견출시멘트 조성물 및 견출면을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 방법 |
CN110563418A (zh) * | 2019-10-30 | 2019-12-13 | 安徽海螺建材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 一种免蒸养超高性能混凝土及其制备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3888B1 (ko) | 활성도가 향상된 고로슬래그 미분말 조성물 | |
KR101567851B1 (ko) | Kr파우더가 혼입된 친환경 폴리머 모르터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 보강방법 | |
KR101201924B1 (ko) | 조강 특성을 발휘하는 이산화탄소 저감형 고기능성 결합재 조성물 | |
KR20080102114A (ko) |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혼합시멘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530246B1 (ko) | 초기강도와 중성화 저항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혼화재 조성물 | |
KR20180099598A (ko) | 조강성이 향상된 콘크리트 2차제품용 결합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2차제품 제조방법 | |
KR101468899B1 (ko) | 시멘트 조성물 및 콘크리트 조성물 | |
KR101395034B1 (ko) | 고로슬래그를 다량 함유한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 | |
KR101499678B1 (ko) | 실리콘망간 슬래그 분말을 이용한 지오폴리머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52401B1 (ko) | 슬래그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시멘트 혼입 모르타르 | |
KR20130113190A (ko) | 친환경 콘크리트용 결합재 조성물 | |
KR101790542B1 (ko) | 순환자원을 이용한 저시멘트계 결합재 조성물 | |
KR20110091170A (ko) | 철강슬러지와 생활폐기물 소각 비산재를 이용한 클링커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39908B1 (ko) | 바닥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 |
KR20160021518A (ko) | 시멘트 및 콘크리트 2차제품용 백색 결합재 조성물 | |
KR20200053895A (ko) |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경화촉진형 콘크리트 2차 제품용 시멘트 조성물 | |
KR101345203B1 (ko) | 탄닌을 이용한 저알칼리 비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 | |
KR101183535B1 (ko) | 나노필러 효과 및 포졸란 반응성을 높인 건조수축 저감형 고강도 무기질 조성물 | |
KR101859214B1 (ko) | 석탄가스화 복합 사이클 발전 슬래그를 포함하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조성물 | |
KR20170038135A (ko) |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콘크리트용 결합재 조성물 | |
KR101409784B1 (ko) | 고칼슘애시와 플라이애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콘크리트 혼합재 | |
KR101111635B1 (ko) | 탄닌을 이용한 저알칼리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 | |
KR20180075747A (ko) | 백색 시멘트 조성물 | |
KR100404330B1 (ko) | 클링커를 사용하지 않은 고로슬래그 백색시멘트 조성물 | |
KR101162027B1 (ko) | 친환경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