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60020135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135A
KR20160020135A KR1020140105098A KR20140105098A KR20160020135A KR 20160020135 A KR20160020135 A KR 20160020135A KR 1020140105098 A KR1020140105098 A KR 1020140105098A KR 20140105098 A KR20140105098 A KR 20140105098A KR 20160020135 A KR20160020135 A KR 20160020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tructure
arm
light source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1836B1 (ko
Inventor
하정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5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8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빛을 발광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결합되는 수구조부, 상기 광원이 삽입되며 상기 수구조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암구조부, 상기 암구조부로부터 상기 수구조부의 탈거를 감지하는 접촉센서, 상기 접촉센서에서 암구조부에서 수구조부가 탈거된 것을 감지하면 운전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이 결합되는 수구조부와 수구조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암구조부가 있으며, 암구조부로부터 수구조부가 탈거되면 접촉센서가 탈거를 감지하여 제어부가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차량 램프 벌브(bulb)가 연결된 벌브 브라켓(bulb bracket)을 리플렉터(reflector)에 고정시키기 위해 리플렉터에 세트 브라켓(set bracket)을 설치하고 세트 브라켓에 벌브브라켓을 결합시키고 회전시켜 체결한 후에, 복수의 나사, 즉 3개의 나사로 고정시켰다.
3 개의 나사로 정삼각형의 꼭지를 고정시키는 조립구조는 조립 후에 램프벌브와 벌브 브라켓이 안정적으로 체결되는 장점이 있으나, 그 만큼 주의깊게 조립해야하므로 벌브 브라켓을 리플렉터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오조립 사례가 발생한다.
또한 복수의 나사로 고정하므로 벌브와 벌브브라켓이 조금 틀어진 채로 조립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이를 확인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수리 시에는 다시 복수의 나사를 풀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을 야기한다.
최근에는 나사로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가 아닌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차량용램프가 연구되고 있다.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를 사용하면서도 결합이 견고하도록하는 방법과 유사시에 벌브와 벌브브라켓이 헐거워질 경우나 완전히 분리되는 경우를 어떻게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빛을 발광하는 광원, 광원이 결합되는 수구조부, 광원이 삽입되며 상기 수구조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암구조부, 암구조부로부터 상기 수구조부의 탈거를 감지하는 접촉센서, 접촉센서에서 암구조부에서 수구조부가 탈거된 것을 감지하면 운전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빛을 발광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결합되는 수구조부, 상기 광원이 삽입되며 상기 수구조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암구조부, 상기 암구조부로부터 상기 수구조부의 탈거를 감지하는 접촉센서, 상기 접촉센서에서 암구조부에서 수구조부가 탈거된 것을 감지하면 운전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암구조부에 상기 수구조부의 돌출 가이드 형상과 맞물려 결합되는 가이드 형상이 형성된다.
상기 수구조부는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수구조와 상기 암구조부에 상기 제1 수구조가 결합되도록하는 제2 수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구조와 상기 제2 수구조는 서로 암수로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수구조의 외주에 방사 방향으로 상기 암구조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돌출된 가이드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수구조의 하단 외주의 전 둘레에 탄성체가 지지되어 상기 제1 수구조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수구조의 원주면 양쪽에 상기 암구조부와 상기 수구조부의 분리를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램프체결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차량용 램프 결합 방식을 스냅식으로 만듦으로써 조립시에 발생하는 오조립을 방지하고, 수리 시에 분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접촉센서를 둠으로써 조립 후에 램프체결이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쉽게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셋째, 수구조부를 스프링을 통해 구조의 전둘레에 압력을 주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단단히 체결되도록하는 장점도 있다.
넷째, 분리를 위한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수리시에 용이하게 분리시킬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암구조부의 가이드 형상과 이에 맞물리는 수구조부의 가이드 돌출 형상을 둠으로써, 조립시에 별도 매뉴얼 없이 용이하게 암구조부와 수구조부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암구조부와 수구조부의 제1구조와 제2구조가 결합된 모양을 더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1 수구조와 제2 수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암구조부와 수구조부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램프체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면,
도 1은 일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인데, 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은 광원(5), 암구조부(1), 제1 수구조(2)와 제2 수구조(3)로 구성된 수구조부(23), 접촉센서(6), 제어부(7)를 포함한다.
수구조부(23)는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수구조(2) 및 암구조부(1)와 직접 결합되는 제2 수구조(3)를 포함한다.
수구조부(23)는 외주에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한 돌출 가이드 형상(8)이 암구조부(1)의 외주에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한 가이드 형상(9)에 대응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구조(2)와 제2 수구조(3)는 제 1 수구조(2)가 제2 수구조(3) 안으로 삽입되도록 암수 상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구조(2)에 빛을 발광하는 광원(5)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구조(2)에 광원(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와이어와 연결되는 소켓이 있을 수 있다. 제1 수구조(2)와 제2 수구조(1)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2 수구조(3)는 제1 수구조(1)와 암수로 결합되어 제1 수구조(2)를 암구조부(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수구조(3)에는 제2 수구조(3) 외주에 방사 방향으로 돌출 가이드 형상(8)이 형성된다. 돌출 가이드 형상(8)은 암구조부(1)의 외주에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형상(9)과 맞물려 결합된다.
제2 수구조(3)에는 손잡이(10)가 형성된다. 손잡이(10)는 암구조부(10)와 제2 수구조(3)를 분리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손잡이(10)의 양쪽을 눌러 암구조부(1)와 제2 수구조(3)가 탈거될 수 있다.
암구조부(1)는 광원(5)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refl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암구조부(1)는 수구조부(23)와 결합되기 위해 암구조부(1)의 외주에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형상(9)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4)는 제2 수구조부(3)의 전 둘레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탄성체(4)는 제1 수구조(2)와 제2 수구조(3)에 결합되지 않은 독립된 상태일 수도 있다.
탄성체(4)는 원형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체(4)는 제1 수구조부(2)의 전 둘레를 지지하여 단단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접촉센서(6)는 제1 수구조(2) 또는 제2 수구조(3)에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서는 수구조(2)에 위치할 수 있다.
접촉센서(6)는 제1 수구조(2) 및 제2 수구조(3)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암구조부(1)와 탈거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7)는 암구조부(1), 제1 수구조부(2) 및 제2 수구조부(3)의 탈착에 방해되지 않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는 제1 수구조부(2)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7)은 접촉센서(6)에서 암구조부(1)에서 수구조부(23)가 탈거된 것을 감지하면, 운전자에게 이를 차량 내에 있는 화면장치나 음향장치를 통해서 알려줄 수 있다.
도 2는 암구조부(1)와 제1 수구조(2) 및 제2 수구조(3)가 결합된 모양을 더욱 자세히 도시한 것인데,
암구조부(1)에는 수구조부(23)의 외주에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 가이드 형상(8)과 맞물려 결합되는 외주에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형상(7)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 가이드 형상(8)과 가이드 형상(7)은 수구조부(4)와 제2 수구조(3)가 정확히 체결되도록 해줄 수 있다
제2 수구조(3)의 외주에 암구조부(1)의 가이드 형상의 모양에 대응되는 돌출 가이드 형상(8)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형상(7) 및 돌출 가이드 형상(8)의 모양은 서로 대응되도록하는 동일한 모양이면 되고, 특정 모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이드 형상(7) 및 돌출 가이드 형상(8)의 모양은 사각형의 각진 모양일 수 있다.
가이드 형상(7)과 돌출 가이드 형상(8)은 이들을 결합하는 자가 별도의 매뉴얼 없이 결합 방향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이드 형상(7)과 돌출 가이드 형상(8)은 복수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결합 방향이 일정하도록 가이드 형상(7)과 돌출 가이드 형상(8)의 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결합 방향이 일정하지 않으면 조립이 정확히 되지 않을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례로 2쌍의 가이드 형상(7) 및 돌출 가이드 형상(8)이 각각의 외주 상에 서로 180도 각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면 결합 방향이 일정할 수 있다.
암구조부(1)는 암구조부(1) 원주면에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암구조부(1)와 연결되는 제2 수구조(3)의 원주면에 180도 방향으로 두 개의 체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암구조부(1)와 제2 수구조(2)는 체결시에 위에서 아래도 누르면 제2 수구조(3)의 체결돌기가 암구조부(1)의 체결홈에 걸리면서 스냅식으로 결합된다.
제2 수구조(3)에는 암구조부(1)에서 탈거를 위해 제2 수구조(3) 원주면 상의 양쪽에 180도 방향으로 손잡이(10)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0)는 일실시례에 따라 원주면의 한 부분에서 수직 윗 방향으로 외주를 조금 지나서까지 절단되고, 절단된 선에서 소정의 간격을 둔 원주면의 또 다른 부분에서 수직 윗 방향으로 외주를 조금 지나서까지 절단되며, 외주를 조금 지나 절단된 양 부분의 끝을 잇는 선을 다시 절단하여 만들어 질 수 있다.
손잡이(10)는 제2 수구조(3)의 체결돌기가 형성된 원주면 부분에 서로 마주친 모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구조(3)와 암구조부(1)를 분리할 때 손잡이(10)의 좌우부분을 눌러 제2 수구조(3)와 암구조부(1)를 분리할 수 있다.
도 3(a)는 제1 수구조(2)의 사시도인데,
일 실시례에 따라 제 1 수구조(2)는 원통형의 모양이며 중앙에 기둥형의 전원 와이어가 연결되는 소켓(1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와이어가 연결되는 소켓(11)은 제2 수구조(3)의 상단의 구멍과 서로 모양에 맞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일실시례에 따라 제1 수구조(2)의 최하단에는 제1 수구조(2)의 외주에 모든 방사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둘레(12)가 형성된다. 제1 수구조(2)에 형성된 둘레(12)는 제2 수구조(3)에 포함된 탄성체(4)의 전 둘레를 지지한다. 제1 수구조(2)의 둘레(12)와 탄성체(4)의 전둘레가 정확히 맞물리게 하여 암구조부(1), 제1 수구조(2) 및 제2 수구조(3)가 단단히 결합되도록 한다.
일 실시례에 따라 제1 수구조(2) 및 제2 수구조(3)가 암구조부(1)에 결합 시, 전원 와이어가 연결되는 소켓(11)이 약간 튀어나온 상태가 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전원 와이어가 연결되는 소켓(11)이 약간 튀어나온 상태가 되도록 만드는 것이 전원 와이어를 연결하는데 더 용이하기 때문이다.
도 3(b)는 제2 수구조(3)의 사시도이며, 제1 수구조(2)가 암구조부(1)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탄성체(4)를 포함한다.
일실시례에 따라 제 2 수구조(3)는 한쪽면이 개방된 원통형 모양이며, 폐쇄된 쪽의 면에는 제1 수구조(2)의 전원 와이어가 연결되는 소켓(11)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있다. 폐쇄된 쪽에 뚫린 구멍은 전원 와이어가 연결되는 소켓(11)의 모양과 대응되는 모양일 수 있다.
제2 수구조(3)의 외주에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가이드 형상(8)이 형성된다.
제2 수구조(3)에는 암구조부(1)와 분리를 위한 손잡이(10)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0)는 일실시례에 따라 원주면의 한 부분에서 수직 윗 방향으로 외주를 조금 지나서까지 절단되고, 절단된 선에서 소정의 간격 둔 원주면의 또 다른 부분에서 수직 윗 방향으로 외주를 조금 지나서까지 절단되며, 외주를 조금 지나 절단된 양 부분의 끝을 잇는 선을 다시 절단하여 만들어 질 수 있다.
제2 수구조(3)는 제1 수구조(1)에 씌우는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분리가 가능하다.
제2 수구조(3)가 암구조부(1)에 결합되면, 탄성체(4)가 제1 수구조(2)의 하단에 형성된 모든 둘레를 누르면서 제1 수구조(2) 및 제2 수구조(3)와 암구조부(1)가 결합 될 수 있다.
도 4는 암구조부(1)와 제1 수구조(2) 및 제2 수구조(3)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인데,
접촉센서(6)은 제1 수구조(2), 제2 수구조(3) 및 암구조부(1) 중 어느 하나에위치될 수 있다. 일실시례에 따라, 제2 수구조부(3)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수구조(2) 또는 제2 수구조(3)는 접촉센서(6)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제2 수구조(2)는 접촉센서(6)와 접촉센서(6)에 맞닿는 지점에 접촉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13)는 접촉센서(6)가 감지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접촉센서(6)가 금속을 감지하는 센서이면 접촉부(13)은 금속재질 일 수 있으며, 접촉센서(6)가 플라스틱을 감지하는 센서이면 접촉부(13)은 플라스틱 재질일 수도 있다. 접촉센서(6)가 별도의 접촉부(13) 없이 제1 수구조(2)의 재질을 감지하여 접촉여부를 알 수 있으면, 접촉부(13)는 생략될 수 있다.
접촉센서(6)는 접촉부(13)과 닿지 않게 되는 경우에 이를 제어부(7)에 이를 알려줄 수 있다. 즉 암구조부(1)와 수구조부(23)가 서로 탈거되는 경우 또는 제1 수구조(2)와 제2 수구조(3)가 서로 탈거되는 경우 탈거된 것을 제어부(7)에 탈거 신호를 출력하여 이를 알려줄 수 있다.
접촉센서(6)와 제어부(7)는 차량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접촉센서(6)와 제어부(7)는 직접적으로 와이어나 자체 무선 통신으로 연결 될 수도 있다.
제어부(7)는 일실시례에 따라 제1 수구조(2)에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7)는접촉센서(6)이 출력한 탈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7)는 전기적으로 차량 내부의 점등장치나 음향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7)는 차량 내부의 계기판에 탈거여부를 알리는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거나 경고음을 내어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제어부(7)와 차량 내부의 점등장치 및 음향장치는 차량의 CAN 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부(7)은 CAN 통신에 의해 수신한 탈거 신호를 차량 내부의 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례에 따라, 제어부(7) 자체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차량 내부에 경고화면을 보여주거나, 경고 음향을 통해 운전자가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어부(7) 자체에 정상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정상 작동 신호는 CAN통신을 통해 차량 내부의 장치에 출력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암구조부
2 : 제1 수구조
3 : 제2 수구조
4 : 탄성체
5 : 광원
6 : 접촉센서
7 : 제어부
8 : 돌출 가이드 형상
9 : 가이드 형상

Claims (7)

  1. 빛을 발광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결합되는 수구조부;
    상기 광원이 삽입되며 상기 수구조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암구조부;
    상기 암구조부에서 상기 수구조부가 탈거된 것을 감지하는 접촉센서;
    상기 접촉센서가 상기 암구조부에서 수구조부가 탈거된 것을 감지하면 운전자에게 이를 전기적으로 알려주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구조부에 상기 수구조부에 형성된 돌출 가이드 형상과 맞물려 결합되는 가이드 형상이 형성된 차량용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구조부는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수구조와 상기 암구조부에 상기 제1 수구조가 결합되도록하는 제2 수구조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구조와 상기 제2 수구조는 서로 암수로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구조의 외주에 방사 방향으로 상기 암구조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돌출된 가이드가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6. 제 5 항에 있어
    상기 제2 수구조의 하단 외주의 전 둘레에 탄성체가 지지되어 상기 제1 수구조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구조의 원주면 양쪽에 상기 암구조부와 상기 수구조부의 분리를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40105098A 2014-08-13 2014-08-13 차량용 램프 KR102221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098A KR102221836B1 (ko) 2014-08-13 2014-08-13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098A KR102221836B1 (ko) 2014-08-13 2014-08-13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135A true KR20160020135A (ko) 2016-02-23
KR102221836B1 KR102221836B1 (ko) 2021-03-03

Family

ID=5544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098A KR102221836B1 (ko) 2014-08-13 2014-08-13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8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4039A (ja) * 2008-03-31 2009-10-22 Mikuni Corp 回転位置センサ
KR20130001602U (ko) * 2011-08-30 2013-03-0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4039A (ja) * 2008-03-31 2009-10-22 Mikuni Corp 回転位置センサ
KR20130001602U (ko) * 2011-08-30 2013-03-0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836B1 (ko)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4761U (ja) 修理可能な環境保全多機能モジュール式led灯具
US10825313B2 (en) Hazard detector with optical status indicator
KR101711395B1 (ko) 다용도 재난안전용 랜턴
CN101315150A (zh) 用于便携式光源的模块适配器
US8350479B1 (en) Emergency light bulb
KR20160020135A (ko) 차량용 램프
JP6486101B2 (ja) 表示灯一体型発信機、表示灯
KR101761158B1 (ko) 파워 카세트 등기구
KR20160000790U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CN210526383U (zh) 照明装置和汽车
KR100989957B1 (ko) 자전거 안전등
CN204201665U (zh) 一种led三防灯
KR101209368B1 (ko) 탈부착식 자전거용 방향지시장치
CN107816650B (zh) 灯串用模块化led灯及易于拆装更换的led灯串
CN210688040U (zh) 太阳能照明装置
KR101709913B1 (ko) 자동 발광 방식의 오작동 탐지 디바이스
KR101216609B1 (ko)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
US9993043B1 (en) Illuminated safety helmet
KR20120136664A (ko) 거울 조립체를 포함하는 스크류 드라이버
KR20170083675A (ko) 리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CN210291738U (zh) 便于组装的led灯头
CN201443715U (zh) 一种使用双透镜的led应急射灯的结构
JP3134384U (ja) 車内天井灯の照明装置
CN220892050U (zh) 一种安装定位准确的警示灯
KR20110011204U (ko)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