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842A - 투명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0842A KR20160020842A KR1020140106081A KR20140106081A KR20160020842A KR 20160020842 A KR20160020842 A KR 20160020842A KR 1020140106081 A KR1020140106081 A KR 1020140106081A KR 20140106081 A KR20140106081 A KR 20140106081A KR 20160020842 A KR20160020842 A KR 201600208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ally conductive
- conductive film
- conductive layer
- transparent conductive
- le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02B1/116—Multilayers including electrically conducting lay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표면 경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표면 스크래치를 형성한 후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표면 경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표면 스크래치를 형성한 후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표면 경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표면 스크래치를 형성한 후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표면 경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표면 스크래치를 형성한 후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표면 경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표면 스크래치를 형성한 후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은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표면 경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표면 스크래치를 형성한 후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표면 경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표면 스크래치를 형성한 후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비교예 5에 따라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비교예 5에 따라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표면 경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표면 스크래치를 형성한 후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비교예 6에 따라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비교예 6에 따라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표면 경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표면 스크래치를 형성한 후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24)
- 투명 기판 및 상기 투명 기판 상에 구비된 전기 전도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전도성층은 PVA(poly vinyl alcohol)계 고분자 및 3차원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전기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 전도성층의 광투과도는 550 ㎚ 파장의 빛에서 85 % 이상의 광투과도를 가지고,
상기 전기 전도성층의 표면 경도는 연필 경도 H 이상인 투명 전도성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VA계 고분자의 검화도는 80 % 이상 90 % 이하인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VA계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0 이상 500,000 이하인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VA계 고분자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에 의하여 교차 결합된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VA계 고분자의 함량은 상기 전기 전도성층에 대하여 0.5 중량% 이상 15 중량% 이하인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층은 PVA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PVA계 고분자의 계면에 구비되어 3차원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전기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층의 표면 거칠기 값(Ra)은 3 ㎛ 이하인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층의 헤이즈 값은 3 이하인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층의 면저항은 300 Ω/□ 이하인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물질은 금속 나노와이어, 전도성 금속 산화물 및 전도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물질은 금속 나노와이어 및 전도성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는 3차원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전도성 금속 산화물은 적어도 2개의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층은 단일층 구조인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층의 두께는 300 ㎚ 이상 2 ㎛ 이하인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은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인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층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기판에 대한 부착력은 4B 이상 5B 이하이고,
상기 부착력 값은 부착력 테트스인 ASTM D3359-02에 의한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도성 필름은 플렉서블한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 - 청구항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투명 전도성 필름을 포함하는 투명 전극.
- 청구항 17에 따른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 투명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용매, PVA계 고분자, 및 전기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전기 전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를 더 포함하는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PVA계 고분자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인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열개시제, 광개시제, 분산제 및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물질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5 중량% 이상 1 중량% 이하인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조성물을 상기 투명 기판 상에 도포한 후, 경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6081A KR20160020842A (ko) | 2014-08-14 | 2014-08-14 | 투명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6081A KR20160020842A (ko) | 2014-08-14 | 2014-08-14 | 투명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0842A true KR20160020842A (ko) | 2016-02-24 |
Family
ID=5544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6081A Ceased KR20160020842A (ko) | 2014-08-14 | 2014-08-14 | 투명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2084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9067A (ko) * | 2017-04-24 | 2018-11-01 | (주)에버켐텍 | Cvd 그래핀을 포함하는 그래핀 적층체,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전극 재료 및 전자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66544A (ko) | 2010-12-14 | 2012-06-2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나노 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
-
2014
- 2014-08-14 KR KR1020140106081A patent/KR20160020842A/ko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66544A (ko) | 2010-12-14 | 2012-06-2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나노 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9067A (ko) * | 2017-04-24 | 2018-11-01 | (주)에버켐텍 | Cvd 그래핀을 포함하는 그래핀 적층체, 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전극 재료 및 전자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73158B2 (ja) | フレキシブル透明導電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機能性素子 | |
JP5339089B2 (ja) | フレキシブル透明導電フィルムとフレキシブル機能性素子およびこれ等の製造方法 | |
KR101812962B1 (ko) | 광학용 시트 및 도전성 시트 및 상기 광학용 시트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 |
KR102581899B1 (ko) | 투명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자 | |
US20120104374A1 (en) | Coating compositions for forming nanocomposite films | |
JP6601199B2 (ja) | 透明導電体 | |
CN103730193B (zh) | 透明导电性薄膜及其用途 | |
US9685253B2 (en) | Conductive film composition, conductive film fabricated u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JP5861719B2 (ja) | 透明導電体及びタッチパネル | |
JP2009059666A (ja) | 透明導電層付フィルムとフレキシブル機能性素子、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 |
KR102375891B1 (ko) | 투명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 |
US10527873B2 (en) | Transparent conductor and touch panel | |
KR102207876B1 (ko) | 권취 가능한 광학 다층필름 | |
JP2021165840A (ja) |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インセル型液晶パネル用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インセル型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 |
US9640762B2 (en) | Method for producing transparent electrode and organic EL element | |
JP6390395B2 (ja) | 透明導電体及びタッチパネル | |
JP2009135099A (ja) | フレキシブル透明導電フィルムとフレキシブル機能性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
TW201633090A (zh) | 透明導電體及觸控面板 | |
KR20160020842A (ko) | 투명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50024184A (ko) | 투명 도전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 장치 | |
KR20150118449A (ko) | 자외선차단과 산화방지 기능을 갖고 있는 투명 전극 필름 오버 코팅용 광경화 코팅 조성물 | |
KR101733842B1 (ko) | 전도성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05642B1 (ko) | 투명 도전성 필름 | |
KR101742853B1 (ko) |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60038444A (ko) | 아크릴 모노머와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및 그에 의하여 코팅된 전도성 필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8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2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