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136A -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마그네슘 합금 부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마그네슘 합금 부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11136A KR20160011136A KR1020150041178A KR20150041178A KR20160011136A KR 20160011136 A KR20160011136 A KR 20160011136A KR 1020150041178 A KR1020150041178 A KR 1020150041178A KR 20150041178 A KR20150041178 A KR 20150041178A KR 20160011136 A KR20160011136 A KR 201600111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sium alloy
- corrosion resistance
- content
- magnesium
- yttriu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29910000861 Mg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JBQYATWDVHIOAR-UHFFFAOYSA-N tellanylidenegermanium Chemical compound [Te]=[Ge] JBQYATWDVHIOA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663 powder metallurg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27
- 229910052727 ytt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VWQVUPCCIRVNHF-UHFFFAOYSA-N yttrium atom Chemical compound [Y] VWQVUPCCIRVNHF-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18137 Al-Z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10018573 Al—Z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75 allo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2 die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57 Nb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RAHZWNYVWXNFOC-UHFFFAOYSA-N Sulphur dioxide Chemical compound O=S=O RAHZWNYVWXNFO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YOZFGWYYZDOQH-UHFFFAOYSA-N [Mg].[Nb] Chemical compound [Mg].[Nb] FYOZFGWYYZDO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49 continuous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265 homogen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95 investment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IWVEOZUMHYXCS-UHFFFAOYSA-N oxo(oxoyttriooxy)yttrium Chemical compound O=[Y]O[Y]=O SIWVEOZUMHYXC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28 sand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YPFNIPKMNMDDDB-UHFFFAOYSA-K 2-[2-[bis(carboxylatomethyl)amino]ethyl-(2-hydroxyethyl)amino]acetate;iron(3+) Chemical compound [Fe+3].OCCN(CC([O-])=O)CCN(CC([O-])=O)CC([O-])=O YPFNIPKMNMDDDB-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 CaO compound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GCDHPDIERKJPT-UHFFFAOYSA-N [F].[S] Chemical compound [F].[S] XGCDHPDIERKJP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2 fo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86 hydrostatic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765 intermetalli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62 lightweigh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04 se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19 thixomo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UDFQVOCFDJEEF-UHFFFAOYSA-N yttrium(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Y+3].[Y+3] RUDFQVOCFDJEE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1/00—Casting non-ferrous metals or metallic compounds so far as their metallurgical properties are of importance for the casting procedure; Selection of compositions therefor
- B22D21/02—Casting exceedingly oxidisable non-ferrous metals, e.g. in inert atmosphere
- B22D21/04—Casting aluminium or magnesi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22C23/02—Alloys based on magnesium with alumin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6—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magnesium or alloys based there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Of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0 중량% 이상 10.0 중량% 미만의 알루미늄(Al), 0 중량% 초과 3.0 중량% 이하의 아연(Zn), 0.1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의 칼슘(Ca), 0.05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의 이트륨(Y) 및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의 망간(Mn)을 포함하는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은 칼슘(Ca) 및 이트륨(Y)을 특정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상용 Mg-Al-Zn계 마그네슘 합금에 준하는 연신율을 가지면서도 내식성은 현저히 향상되어, 고내식성 및 고연신율 특성을 요구하는 차세대 자동차용 소재 등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마그네슘 합금 부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그네슘 합금(Magnesium alloy)은 높은 비강도를 갖는 최경량의 합금으로서 다양한 주조 및 가공 공정에 적용이 가능하며, 경량화가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고, 응용범위 또한 넓다.
특히, 마그네슘 합금은 연비향상의 증대를 꾀하는 자동차 산업의 경량화소재로 주목받고 있는데, 이와 같이 자동차 부품에 사용되는 마그네슘 합금은, 자동차의 작동환경이 부식환경 등의 가혹조건을 포함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조재로서의 일정 수준 이상의 내식성을 가져야 한다.
마그네슘 합금은 마그네슘 기지와 석출상 또는 불순물에 의하여 형성된 금속간 화합물 사이의 갈바닉 전지를 형성하여 양극으로 작용하는 부분에서 부식이 일어나기 때문에, 마그네슘 합금에 철(Fe), 니켈(Ni) 및 구리(Cu)와 같은 불순물이 존재하면, 마그네슘 합금의 내식성이 크게 떨어진다. 이들 불순물의 함량은, 특정 한계치 이상일 때 부식속도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지만, 그 이하일 때에는 부식속도에 큰 영향이 없어, 각 불순물에 대한 허용치가 존재한다.
지금까지 마그네슘 합금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도는, 주로 마그네슘 합금 제조단계에서 불순물을 허용치 이하로 엄격히 제한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내식성에 가장 치명적인 역할을 하는 철의 경우에는, 마그네슘 합금을 용해하여 제조하는 단계에서, 강(steel)재 도가니와 주형으로부터 철이 불순물로 함유되기 때문에, 그 제어에 어려움이 있었는데, 철의 악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망간을 합금원소로 첨가하고, 용탕 중에 첨가된 망간은 철과 결합하여 용탕 바닥에 침전되거나 용탕 중에 있는 철을 감싸줌으로써, 국부적인 음극으로 작용하는 철의 기능을 저하시켜, 마그네슘 합금의 내식성을 다소 향상시키는 방법 등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기존 기술에 따르면 마그네슘 합금에 내식성을 향상시키면 연신율이 떨어져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Mg-Al-Zn계 마그네슘 합금에 특정 합금 원소를 특정 함량으로 첨가함으로써 연신율의 저하가 최소화되면서 내식성이 현저히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 및 이를 이용한 마그네슘 합금 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2.0 중량% 이상 10.0 중량% 미만의 알루미늄(Al), 0 중량% 초과 3.0 중량% 이하의 아연(Zn), 0.1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의 칼슘(Ca), 0.05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의 이트륨(Y) 및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의 망간(Mn)을 포함하는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Al)의 함량이 2.0 중량% 이상 5.5 중량% 이하일 때 상기 칼슘(Ca)과 상기 이트륨(Y)의 함량은 아래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을 제안한다:
1/(1+WAl) ≤ (WCa+WY) ≤ 1/(WAl-0.5)+1.0
(상기 식에서 WCa는 Ca의 함량(중량%)이고, WY는 Y의 함량(중량%)이고, WAl은 Al의 함량(중량%)임).
또한, 상기 알루미늄(Al)의 함량이 5.5 중량% 초과 10.0 중량% 미만일 때 상기 칼슘(Ca)과 상기 이트륨(Y)의 함량은 아래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을 제안한다:
1/WAl+0.05 ≤ (WCa+WY) ≤ 1/WAl+1.0
(상기 식에서 WCa는 Ca의 함량(중량%)이고, WY는 Y의 함량(중량%)이며, WAl은 Al의 함량(중량%)임).
또한, 본 발명은 (a)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마그네슘 합금을 준비하는 단계 및 (b) 주조 공정, 반용융/반응고 성형 공정, 소성 가공 공정 또는 분말 야금 공정을 통해 상기 마그네슘 합금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 부재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단계 (a)는, (ⅰ) 마그네슘(Mg), 2.0 중량% 이상 10.0 중량% 미만의 알루미늄(Al), 0 중량% 초과 3.0 중량% 이하의 아연(Zn) 및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의 망간(Mn)을 포함하는 마그네슘 합금을 준비하는 단계 및 (ⅱ) 상기 마그네슘 합금에 칼슘(Ca) 및 이트륨(Y)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 (ⅱ)에서, 상기 칼슘(Ca) 및 이트륨(Y)의 함량은 상기 알루미늄(Al)의 함량이 2.0 중량% 이상 5.5 중량% 이하일 때 아래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WAl) ≤ (WCa+WY) ≤ 1/(WAl-0.5)+1.0
(상기 식에서 WCa는 Ca의 함량(중량%)이고, WY는 Y의 함량(중량%)이며, WAl은 Al의 함량(중량%)임).
또한, 상기 단계 (ⅱ)에서, 상기 칼슘(Ca) 및 이트륨(Y)의 함량은 상기 알루미늄(Al)의 함량이 5.5 중량% 초과 10 중량% 미만일 때 아래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WAl+0.05 ≤ (WCa+WY) ≤ 1/WAl+1.0
(상기 식에서 WCa는 Ca의 함량(중량%)이고, WY는 Y의 함량(중량%)이며, WAl은 Al의 함량(중량%)임).
또한, 상기 주조 공정은, 금형 주조 공정, 사형 주조 공정, 중력 주조 공정, 가압 주조 공정, 연속 주조 공정, 박판 주조 공정, 다이 캐스팅법, 정밀 주조 공정, 소실 모형 주조 공정, 분무 주조 공정 및 반응고 주조 공정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방법으로 상기 마그네슘 합금을 성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마그네슘 합금으로 이루어진 빌렛(billet)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균질화 열처리(homogenizaton heat treatment)하는 단계 및 (c) 상기 균질화 열처리된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압출하여 압출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의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압출재는 봉상(rod) 형태, 파이프(pipe), 각재, 판재 또는 이형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은 칼슘(Ca) 및 이트륨(Y)을 특정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상용 Mg-Al-Zn계 마그네슘 합금에 버금가는 연신율을 가지면서도 내식성은 현저히 향상되어, 고내식성 및 고연신율 특성을 요구하는 차세대 자동차용 소재 등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2는 본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의 합금 조성별 부식속도 및 연신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의 합금 조성별 부식속도 및 연신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은 필수 합금 원소로서 알루미늄(Al), 아연(Zn), 칼슘(Ca), 이트륨(Y) 및 망간(Mn)을 동시에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중량% 이상 10.0 중량% 미만의 알루미늄(Al), 0 중량% 초과 3.0 중량% 이하의 아연(Zn), 0.1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의 칼슘(Ca), 0.05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의 이트륨(Y) 및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의 망간(Mn)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에서 알루미늄(Al)은 마그네슘 합금 표면에 안정한 산화알루미늄(Al2O3) 화합물을 형성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내식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정도의 산화알루미늄 화합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2.0 중량% 이상의 알루미늄이 첨가되되, 알루미늄(Al) 함량이 10.0 중량% 이상인 경우 경질의 조대한 마그네슘 합금(Mg17Al12) 상이 과다하게 형성되어 연성이 크게 저하되므로 알루미늄(Al)을 10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에서 아연(Zn)은 알루미늄(Al)과 함께 첨가될 때 마그네슘 합금의 결정립을 미세화하고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연 함량이 증가할수록 주조시 열간균열(hot tearing)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하여, 주조재 내에 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함은 마그네슘 합금의 내식성 및 기계적 특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데, 소량의 이트륨과 함께 첨가될 경우에는 3 중량%까지 첨가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에서 망간(Mn)은 내식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철과 반응하여 마그네슘 합금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망간이 1.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된 경우 조대한 β-Mn 상 혹은 Al8Mn5 상의 형성으로 인해 마그네슘 합금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어, 1.0 중량%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에서 칼슘(Ca)은 마그네슘 합금에 첨가되었을 때, 알루미늄과 함께 (Al,Mg)2Ca 상을 형성하여 강도 및 내열 특성을 향상시키고, CaO 산화층을 형성시켜 내식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내식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정도의 CaO 화합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0.1 중량% 이상의 칼슘이 첨가하되, 칼슘이 1.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된 경우 마그네슘 합금의 내식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상이 과다하게 형성되어 내식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어 1.0 중량%를 상한으로 해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에서 이트륨(Y)은 산화이트륨(Y2O3)을 형성시켜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내식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정도의 산화이트륨(Y2O3) 화합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0.05 중량% 이상의 이트륨이 첨가되어야 하나, 이트륨의 첨가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합금의 가격이 상승하고 (Al,Mg)2Y 입자가 조대하게 형성되어 연성이 감소할 수 있어, 마그네슘 합금에서 이트륨 첨가량의 상한은 1.0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에 칼슘 및 이트륨을 첨가할 경우 각각 (Al,Mg)2Ca 및 (Al,Mg)2Y 상을 형성시키며 일부는 마그네슘 합금 내로 고용된다. 고용된 칼슘 및 이트륨은 마그네슘 합금의 내식성 및 연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반면에 (Al,Mg)2Ca 및 (Al,Mg)2Y 상은 연성을 저해한다. 이와 같이, 기지 내로 고용되는 칼슘(Ca) 및 이트륨(Y)의 양과 칼슘(Ca)과 이트륨(Y) 첨가에 의해 형성되는 (Al,Mg)2Ca 및 (Al,Mg)2Y 상의 분율은 알루미늄(Al) 함량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내식성 및 연성이 우수한 마그네슘합금의 경우 칼슘과 이트륨의 함량은 알루미늄의 함량이 2.0 중량% 이상 5.5 중량% 이하일 때에는 아래 식 1에 따르는 범위 내에서 칼슘과 이트륨의 함량을 첨가하고, 알루미늄의 함량이 5.5 중량% 초과 10 중량% 미만일 때에는 아래 식 2에 따르는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1]
1/(1+WAl) ≤ (WCa+WY) ≤ 1/(WAl-0.5)+1.0
(상기 식에서 WCa는 Ca의 함량(중량%)이고, WY는 Y의 함량(중량%)이고, WAl은 Al의 함량(중량%)임).
[식 2]
1/WAl+0.05 ≤ (WCa+WY) ≤ 1/WAl+1.0
(상기 식에서 WCa는 Ca의 함량(중량%)이고, WY는 Y의 함량(중량%)이며, WAl은 Al의 함량(중량%)임).
다음으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으로 이루어진 마그네슘 합금 부재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 부재 제조방법은 (a) 전술한 조성을 가지는 마그네슘 합금을 준비하는 단계 및 (b) 주조 공정, 반용융/반응고 성형 공정, 소성 가공 공정 또는 분말 야금 공정을 통해 상기 마그네슘 합금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는, (ⅰ) 2.0 중량% 이상 10.0 중량% 미만의 알루미늄(Al), 0 중량% 초과 3.0 중량% 이하의 아연(Zn) 및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의 망간(Mn) 및 마그네슘(Mg) 잔부를 포함하는 용탕을 준비하는 단계 및 (ⅱ) 상기 용탕에 칼슘(Ca) 및 이트륨(Y)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단계 (ⅱ)에서, 용탕에 첨가되는 칼슘(Ca) 및 이트륨(Y)의 함량은, 상기 알루미늄(Al)의 함량이 2.0 중량% 이상 5.5 중량% 이하일 때, 전술한 식 1을 만족시키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알루미늄(Al)의 함량이 5.5 중량% 초과 10 중량% 미만일 때 전술한 식 2를 만족시키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단계 (a)를 통해 형성되는 용탕 또는 잉곳(ingot)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합금 조성을 가지며, 이는 후속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성형에 제공된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b)에서는 전 단계에서 준비된 마그네슘 합금을 최종적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부재 또는 부품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로서,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성형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주조(다이캐스팅법, 사형·금형 주조법, 정밀주조법 등), 반용융/반응고 성형(틱소몰딩법 등), 소성 가공(압출, 단조, 압연 등) 및 분말 야금 공정 등에 의해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조 공정은, 금형 주조 공정, 사형 주조 공정, 중력 주조 공정, 가압 주조 공정, 연속 주조 공정, 박판 주조 공정, 다이 캐스팅법, 정밀 주조 공정, 소실 모형 주조 공정, 분무 주조 공정 및 반응고 주조 공정등의 방법으로 상기 마그네슘 합금을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식성이 우수한 마그네슘 합금으로 이루어진 압출재를 제조할 경우에는, (가) 전술한 조성을 가지는 마그네슘 합금으로 이루어진 빌렛(billet)을 준비하는 단계, (나) 상기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균질화 열처리(homogenizaton heat treatment)하는 단계 및 (다) 상기 균질화 열처리된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압출하여 압출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계 (가)의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준비하는 단계는 압출 공정에 제공되는 빌렛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1) 마그네슘 및 합금원소 들을 포함하는 용탕을 준비하는 단계 및 2) 상기 용탕을 금속 몰드에 주입하여 빌렛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1)은 빌렛을 이루는 마그네슘 합금의 용탕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용탕을 제조할 수 있는 공지의 방법이기만 하면 본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주성분인 마그네슘(Mg)을 도가니에 장입한 후 마그네슘 합금의 발화를 방지하기 위해 이산화탄소(CO2), 육플루오린화황(SF6), 이산화황(SO2), 프레온 가스, 냉매(NovecTM612) 또는 이들의 혼합 가스 등을 보호 가스나 용제(Flux)를 투입한 상태에서 가열하여 마그네슘을 용해시킨 후, 상기한 합금원소 들을 첨가하여 용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계 2)는, 예열된 스틸몰드(steel mould) 등의 금속몰드에 상기 용탕을 주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금속몰드 내의 습기 제거 달성 및 지나친 예열에 따른 경제성 저하 등을 모두 고려하여 적절한 온도로 예열된 금속몰드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 용탕을 주입함으로써 본 단계가 완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나)의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균질화 열처리(homogenization heat treatment)하는 단계는, 전 단계에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 빌렛의 마그네슘 기지 내에 존재하는 조성적 편석을 균질화하기 위해 열처리하는 단계로서, 마그네슘 기지 내에 분산되어 내식성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Mg17Al12 등과 같은 이차상이 마그네슘 기지 내로 충분히 고용될 수 있는 한편, 열처리 온도의 지나친 증가에 따른 경제성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열처리 온도 및 시간을 적절히 설정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 (다)에서는 전 단계에서 균질화 처리가 완료된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압출을 통해 성형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인 압출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단계에 있어서 압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간접 압출법(indirect extrusion process), 직접 압출법(direct extrusion process), 정수압 압출법(hydrostatic extrusion process) 또는 충격 압출법(impact extrusion process)을 이용해 본 단계의 압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으로 제조된 압출재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봉재(rod), 파이프(pipe), 각재, 판재, 이형류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12>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는, 출발 원료 물질로서 아래 표 1의 실시예 1 내지 12에 기재된 함량으로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 및 망간(Mn)으로 이루어지는 잉곳를 가열한 후 유도 용해하여 마그네슘 합금 용탕을 제조하고, 칼슘(Ca) 및 이트륨(Y)를 추가로 첨가한 후, 700 ℃에서 주조하여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제조하고, 이와 같이 제조된 빌렛을 400 ℃에서 24 시간 동안 유지하여 빌렛의 미세조직을 균질화한 후, 300 ℃에서 3 시간 동안 예열시키고, 300 ℃에서 램 속도를 1mm/s, 압출비를 30 : 1로 설정한 후 압출하여 아래 표 1의 조성을 가지는 실시예 1 내지 12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압출재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 6>
출발 원료 물질로서 아래 표 1의 비교예 1 내지 6에 기재된 함량으로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 및 망간(Mn)을 포함하는 잉곳을 가열한 후 유도 용해하여 마그네슘 합금 용탕을 제조하고, 여기에 칼슘(Ca)을 첨가 또는 미첨가한 후, 700 ℃에서 주조하여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빌렛을 400 ℃에서 24 시간 동안 유지하여 빌렛의 미세조직을 균질화한 후, 300 ℃에서 3 시간 동안 예열시키고, 300 ℃에서 램 속도를 1mm/s, 압출비를 30 : 1로 설정한 후 압출하여 아래 표 1의 조성을 가지는 비교예 1 내지 6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를 제조하였다.
[표 1]
< 실험예 >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에 대한 내부식 성 및 연신율 측정
본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마금네슘 합금 압출재의 부식속도(corrosion rate)를 측정하기 위하여 표면을 연마한 마그네슘 합금 시험편을 염수분무시험기에 장입한 후 ASTM B 117 규정에 따라 72 시간 동안 염수분무시험을 실시하였다. 염수분무시험을 종료한 후 표면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하고 염수분무시험 전후의 무게변화를 측정하여 각 시편의 평균부식속도를 계산하여 내식성을 평가하였고, 이와 함께 내식성의 변화에 따른 성형성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본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마금네슘 합금 압출재에 대한 연신율(elongation rate)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냈다.
도 2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은 비교예에 따른 모재 합금(상용합금) 또는 모재 합금에 칼슘만이 첨가된 합금에 비해 내식성이 현저히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원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은 조성에 따라 모재 합금에 비해 다소 연신율이 감소한 경우도 있지만 특정 조성에서는 오히려 연신율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3)
- 6.0 중량% 이상 10.0 중량% 미만의 알루미늄(Al), 0 중량% 초과 3.0 중량% 이하의 아연(Zn), 0.1 중량% 이상 0.75 중량% 이하의 칼슘(Ca), 0.05 중량% 이상 0.25 중량% 이하의 이트륨(Y), 0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의 망간(Mn), 마그네슘(Mg) 잔부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
- (a) 제1항에 기재된 마그네슘 합금을 준비하는 단계; 및
(b) 주조 공정, 반용융/반응고 성형 공정, 소성 가공 공정 및 분말 야금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공정을 통해 상기 마그네슘 합금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 부재 제조방법. - (가) 제1항에 기재된 마그네슘 합금으로 이루어진 빌렛(billet)을 준비하는 단계;
(나) 상기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균질화 열처리(homogenizaton heat treatment)하는 단계; 및
(다) 상기 균질화 열처리된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압출하여 압출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1178A KR20160011136A (ko) | 2015-03-25 | 2015-03-25 |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마그네슘 합금 부재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1178A KR20160011136A (ko) | 2015-03-25 | 2015-03-25 |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마그네슘 합금 부재의 제조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2047 Division | 2014-07-2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1136A true KR20160011136A (ko) | 2016-01-29 |
Family
ID=5531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1178A Withdrawn KR20160011136A (ko) | 2015-03-25 | 2015-03-25 |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마그네슘 합금 부재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11136A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17762A1 (ko) * | 2016-12-22 | 2018-06-28 | 주식회사 포스코 | 내식성이 우수한 마그네슘 합금 판재 및 그 제조방법 |
JP2020510750A (ja) * | 2016-12-23 | 2020-04-09 | ポスコPosco | マグネシウム合金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N112322949A (zh) * | 2020-11-04 | 2021-02-05 | 长沙新材料产业研究院有限公司 | 一种镁合金材料及包含该材料的部件和装置 |
CN112481534A (zh) * | 2020-11-04 | 2021-03-12 | 长沙新材料产业研究院有限公司 | 一种镁合金薄板及其制备方法 |
KR20210028682A (ko) * | 2018-10-26 | 2021-03-12 | 바오샨 아이론 앤 스틸 유한공사 | 고강도 및 내부식성 마그네슘 합금 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
CN112481535A (zh) * | 2020-11-04 | 2021-03-12 | 长沙新材料产业研究院有限公司 | 一种镁合金铸锭及其制备方法 |
EP3825429A4 (en) * | 2018-07-18 | 2021-10-27 | Posco | MAGNESIUM ALLOY SHEET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
KR20210158244A (ko) * | 2020-06-23 | 2021-12-30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속압출용 마그네슘 합금 및 이를 이용한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의 제조방법 |
EP3987070A4 (en) * | 2019-08-29 | 2022-08-31 | Mag Specialties, Inc. | HIGH STRENGTH, COMBUSTION RESISTANT, IMPACT STRONG, AIR BREAKABLE MAGNESIUM ALLOY |
WO2023079027A1 (de) * | 2021-11-03 | 2023-05-11 | Lighter Geometries Gmbh | MISCHFÖRDERER FÜR EINE SPRITZGIEßANLAGE, SPRITZGIEßANLAG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GEGENSTANDES SOWIE FORMGEGENSTAN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80006292A (ko) | 1996-06-14 | 1998-03-30 | 사와무라 시코우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20030084913A (ko) | 2001-01-23 | 2003-11-01 | 아벤티스 파스퇴르 | 다가 수막구균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결합 백신 |
KR20030096890A (ko) | 2002-06-18 | 2003-12-3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내식성이 향상된 고강도 마그네슘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5
- 2015-03-25 KR KR1020150041178A patent/KR20160011136A/ko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80006292A (ko) | 1996-06-14 | 1998-03-30 | 사와무라 시코우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20030084913A (ko) | 2001-01-23 | 2003-11-01 | 아벤티스 파스퇴르 | 다가 수막구균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결합 백신 |
KR20030096890A (ko) | 2002-06-18 | 2003-12-3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내식성이 향상된 고강도 마그네슘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17762A1 (ko) * | 2016-12-22 | 2018-06-28 | 주식회사 포스코 | 내식성이 우수한 마그네슘 합금 판재 및 그 제조방법 |
US11091823B2 (en) | 2016-12-23 | 2021-08-17 | Posco | Magnesium alloy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2020510750A (ja) * | 2016-12-23 | 2020-04-09 | ポスコPosco | マグネシウム合金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11542577B2 (en) | 2018-07-18 | 2023-01-03 | Posco Holdings Inc. | Magnesium alloy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EP3825429A4 (en) * | 2018-07-18 | 2021-10-27 | Posco | MAGNESIUM ALLOY SHEET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
KR20210028682A (ko) * | 2018-10-26 | 2021-03-12 | 바오샨 아이론 앤 스틸 유한공사 | 고강도 및 내부식성 마그네슘 합금 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
EP3987070A4 (en) * | 2019-08-29 | 2022-08-31 | Mag Specialties, Inc. | HIGH STRENGTH, COMBUSTION RESISTANT, IMPACT STRONG, AIR BREAKABLE MAGNESIUM ALLOY |
KR20210158244A (ko) * | 2020-06-23 | 2021-12-30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속압출용 마그네슘 합금 및 이를 이용한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의 제조방법 |
CN112481535A (zh) * | 2020-11-04 | 2021-03-12 | 长沙新材料产业研究院有限公司 | 一种镁合金铸锭及其制备方法 |
CN112481534A (zh) * | 2020-11-04 | 2021-03-12 | 长沙新材料产业研究院有限公司 | 一种镁合金薄板及其制备方法 |
CN112322949A (zh) * | 2020-11-04 | 2021-02-05 | 长沙新材料产业研究院有限公司 | 一种镁合金材料及包含该材料的部件和装置 |
WO2023079027A1 (de) * | 2021-11-03 | 2023-05-11 | Lighter Geometries Gmbh | MISCHFÖRDERER FÜR EINE SPRITZGIEßANLAGE, SPRITZGIEßANLAG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GEGENSTANDES SOWIE FORMGEGENSTAND |
WO2023078544A1 (de) * | 2021-11-03 | 2023-05-11 | Lighter Geometries Gmbh | Mischförderer für eine spritzgiessanlage, spritzgiessanlag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gegenstandes sowie formgegenstan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11136A (ko) | 내식성이 향상된 마그네슘 합금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마그네슘 합금 부재의 제조방법 | |
CN102712969B (zh) | 具有出色机械性能的不可燃镁合金及其制备方法 | |
CN102753715B (zh) | 具有出色的抗引燃性和机械性能的镁合金及其制造方法 | |
CN103667825B (zh) | 一种超高强高韧耐蚀铝合金及其制造方法 | |
KR101258470B1 (ko) | 고강도 고연성 난연성 마그네슘 합금 | |
CN109652685B (zh) | 一种高导热高耐蚀铸造铝合金及其制备方法 | |
KR101931672B1 (ko) | 고속압출용 난연성 마그네슘 합금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의 제조방법 | |
CN106148792A (zh) | 高强度高Gd含量的变形镁合金及其制备方法 | |
CN102676887A (zh) | 加压铸造用铝合金及该铝合金的铸件 | |
KR101276665B1 (ko) | 고온열처리 가능한 가공용 마그네슘 합금 | |
WO2010055897A1 (ja) | マグネシウム合金およびマグネシウム合金鋳物 | |
KR20210130455A (ko) | 고물성 마그네슘 합금 가공재 및 그 제조방법 | |
CN112981190A (zh) | 用于模铸的铝合金和使用该用于模铸的铝合金制造铸造铝合金的方法 | |
JP4145242B2 (ja) | 鋳物用アルミニウム合金、アルミニウム合金製鋳物およびアルミニウム合金製鋳物の製造方法 | |
EP2692883B1 (en) | Mg-al-ca-based master alloy for mg alloys,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 |
JP4994734B2 (ja) | 鋳造用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同アルミニウム合金鋳物 | |
JP2001316752A (ja) | ダイカスト用マグネシウム合金 | |
KR102407828B1 (ko) | 고물성 마그네슘 합금 가공재 및 그 제조방법 | |
CN109161767A (zh) | 一种含w相的抗蠕变性能镁合金及其制备方法 | |
CN104694782B (zh) | 一种高强高韧耐磨挤压锌合金的制备方法 | |
KR102374306B1 (ko) |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방열핀의 제조방법 | |
US12325905B2 (en) | Method for producing high-toughness, high-strength aluminum alloy extruded material with good hardenability | |
JP2006316341A (ja) | 鋳造用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同アルミニウム合金鋳物 | |
CN117778840A (zh) | 一种具有高抗蠕变性能的铸造镁合金及其制造方法 | |
KR20150090379A (ko) | 고성형성을 갖는 고강도 마그네슘 합금 및 그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32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4072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4009204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