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795U - A support device of the cup - Google Patents
A support device of the cu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2795U KR20160002795U KR2020150000786U KR20150000786U KR20160002795U KR 20160002795 U KR20160002795 U KR 20160002795U KR 2020150000786 U KR2020150000786 U KR 2020150000786U KR 20150000786 U KR20150000786 U KR 20150000786U KR 20160002795 U KR20160002795 U KR 2016000279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air chamber
- present
- air
- valve ro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1—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integral means to prevent the glass from slipping or tipping-over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수를 마실 때 사용하는 컵 또는 용기의 하부에 결합 되어 진공흡입력을 통해 바닥면과의 밀착성을 증대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무단으로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직 상으로 들어올렸을 때에는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컵(2)의 하부에 결합 되어 컵(2)을 바닥면에 대해 지지하도록 된 컵 받침장치(1)에 있어서;
상부에 컵(2)의 하부가 수용되어 결합 되는 개 구가 형성된 공간 부를 가지는 받침 본체(3)와; 상기 받침 본체(3)의 저 면에 결합 되며 바닥면에 대하여 개방된 공기 실(5)을 가지고 상기 받침 본체(3)의 저 면을 통해 상기 공기 실(5)의 공기가 외부와 유통되거나 폐쇄되도록 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진공 압력을 형성하거나 해제하도록 된 바닥 부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컵 받침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a drop or falling of a container by a pressure externally applied to a bottom surface of a cup or a container used for drinking a beverage, So that it can be lifted in a stable manner;
A cup-supporting device (1)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a cup (2) to support the cup (2) against a floor surface, the cup-supporting device
(3) having a space portion formed with an opening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cup (2) is received and engaged; The air in the air chamber 5 is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3 and the air chamber 5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3, And a bottom member (4) adapted to form or release a vacuum pressure against the floor surface.
Description
본 고안은, 컵의 하부에 구비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된 컵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수를 마실 때 사용하는 컵 또는 용기의 하부에 결합 되어 진공흡입력을 통해 바닥면과의 밀착성을 증대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무단으로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직 상으로 들어올렸을 때에는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되어 사용상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컵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resting devic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cup to prevent slipp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resting device which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a cup or a container used for drinking beverage, Thereby preventing the player from falling or falling by the pressure externally applied, and being able to lift the cup vertically when the cup is lifted up to a vertical position, thereby realizing safety and convenience in use. .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손님에게 커피나 주스 등과 같은 음료를 제공하고자 할 때에는,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찻잔이나 컵 등과 같은 용기를 통해 제공하게 된다.
Generally, when a drink such as coffee or juice is to be served to a guest in a home or a restaurant, the drink is provided through a container such as a cup or a teacup.
이때, 음료가 담긴 용기를 쟁반 또는 탁자 올려놓고 운반하거나 마시게 되는바. 쟁반 또는 탁자에 놓인 용기가 운반 및 시식 중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가압되어 측 방향으로 넘어지거나 바닥으로 떨어지는 비 안정한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At this time,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drink is placed on a tray or table, and it is transported or drunk. Unstable problems often arise where containers placed on trays or tables are pressed by external impacts during transport and tasting and laterally fall or fall to the floor.
이에 근자에는, 컵 등과 같은 용기가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되어 안전성을 도모하도록 된 장치 및 기구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로,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66157호(명칭: 컵 미끄럼방지 자화 접시)가 있으며, 상기 자화 접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음료 컵 등을 받침 하기 적당한 형태의 컵 받침 접시 부와, 이 컵 받침 접시 부 중앙에 부착되며 컵을 얹기 적합한 크기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자석을 조립 부착하기 위한 자석 홈을 갖고 있는 컵 지지 부와, 이 컵 지지 부 중앙에 자석 홈을 이용하여 설치한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져 있어, 자력에 의해 컵의 고정이 향상되어 쉽게 넘어지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proposed apparatuses and apparatuses for preventing the containers such as cups from easily falling down and thereby achieving safety. One of them i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66157 (name: cup anti-slip magnetizing plate) And the magnetizing plat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ize suitable for placing the cup on the center of the cup-receiving plate portion and having a shape suitable for receiving a beverage cup or the like as described in the publication, A cup supporting portion having a magnet groove for assembling and attaching a magnet and a permanent magnet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up supporting portion by using a magnet groove so that the fixing of the cup is improved by the magnetic force so that the cup easily falls or falls .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컵 미끄럼 방지 장치들은, 자력을 이용하여 컵의 고정을 증대하도록 되어 있어, 유리 등과 같은 비 자성체로 이루어진 용기에는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up non-slip devices as described above are adapted to increase the fixation of the cup by using magnetic force, and thus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a container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such as glass.
즉, 사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 efficiency is low.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음료수를 마실 때 사용하는 컵 또는 용기의 하부에 결합 되어 진공흡입력을 통해 바닥면과의 밀착성을 증대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무단으로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직 상으로 들어올렸을 때에는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되어 사용상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컵 받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p or a container for use in drinking beverage, And it is possible to stably lift the cup when lifted up to a vertical position, thereby realizing safety and convenience in use.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컵 받침장치는, 컵의 하부에 결합 되어 컵을 바닥면에 대해 지지하도록 된 컵 받침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컵의 하부가 수용되어 결합 되는 개 구가 형성된 공간 부를 가지는 받침 본체와; 상기 받침 본체의 저 면에 결합 되며 바닥면에 대하여 개방된 공기 실을 가지고 상기 받침 본체의 저 면을 통해 상기 공기 실의 공기가 외부와 유통되거나 폐쇄되도록 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진공 압력을 형성하거나 해제하도록 된 바닥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asters for supporting a cup on a bottom surface of a cup, the cup being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up, A support body having an upper portion formed with a space through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cup is received and coupled; And an air chamber which is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s an air chamber which is opened to the bottom surface to allow the air in the air chamber to flow or be cl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bottom member adapted to be attached to the base.
상기한 바닥 부재는, 중앙에 상기 공기 실을 가지며, 상기 공기 실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의 진공 판 체를 가지며; 상기 공기 실에서 상기 받침 본체와 접하는 부위에는, 상기 받침 본체의 저 면에서 상기 공기 실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종단이 상기 공기 실의 내부에 끼움 결합 되는 밸브 봉이 관통 배치되며 공기가 외부와 유통되는 공기 유통 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ottom member has a plate-shaped vacuum plate having an air chamber at the center and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hamber while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chamber is opened; A valve rod extending and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air chamber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air chamber is disposed in a portion of the air chambe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An air flow hole is forme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컵 받침장치는, 컵의 하부에 결합 되어 바닥면에 놓일 때에는, 상기 받침 본체의 자체 하중으로 상기 공기 실의 공기 유통 공을 폐쇄하여 상기 공기 실을 외부에 대한 진공 압력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바닥면과의 진공 밀착을 구현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인가되어도 쉽게 넘어지거나 떨어지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컵을 수직 상으로 들어올릴 때에는, 상기 받침 본체가 상기 바닥 부재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공기 유통 공을 개방하여 상기 공기 실의 진공 압력을 해제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컵을 들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효과를 가진다.When the cup-supp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up and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the air distribution hole of the air chamber is closed by the self-load of the support body, So that it can be used safely because it is easily fall off or does not fall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when the cup is lifted up to the vertical phase, the support body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member The air circulation hole is opened to release the vacuum pressure of the air chamber, so that the cup can be stably inserted and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이와 더불어, 바닥면과의 고정을 진공압력을 통해 구현함으로써, 비 자성체로 이루어진 컵(용기)에도 적용 가능하여 범용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cup (container)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by implementing the fixation with the bottom surface through the vacuum pressure, thereby securing versatilit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컵 받침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컵 받침장치에 적용되는 받침 본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개략 저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컵 받침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컵 받침장치의 작용 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as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bottom view showing an enlarged part of a base body applied to the coas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coas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Fig. 4 and Fig. 5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oas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 의한 쌀 세척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ric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컵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컵 받침장치(1)는, 컵(2)의 하부에 결합 되어 컵(2)을 바닥면에 대해 지지하는 것에 적용되며, 음료가 담기는 찾잔, 텀블러, 병 등과 같은 용기에 적용될 수 있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beverage can be applied to a container such as a locator, a tumbler, a bottle, and the like.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컵 받침장치(1)는, 상부에 컵(2)의 하부가 수용되어 결합 되는 받침 본체(3)와, 상기 받침 본체(3)의 하부에 결합 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된 바닥 부재(4)를 가진다.The cup-receiving
즉, 컵(2)의 하부가 결합 되는 부위와 바닥면을 지지하는 부위로 이루어진다.
That is, a portion w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컵 받침장치(1)에서, 상기한 받침 본체(3)는, 상부에 컵의 하부가 수용되게 끼움 결합하는 개 구가 형성된 공간 부를 가진다.In the above-described cup-receiving
즉, 상기 공간 부에 컵의 하부를 수용한 상태로 결합하게 된다.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cup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portion.
상기에서, 상기 받침 본체(3)는 컵(2)의 하부에 일체로 성형 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컵 받침장치(1)에서, 상기 바닥 부재(4)는, 상기 받침 본체(3)의 저 면에 결합 되며 바닥면에 대하여 개방된 공기 실(5)을 가지고 상기 받침 본체(3)의 저 면을 통해 상기 공기 실(5)의 공기가 외부와 유통되거나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In the cup-receiving
즉, 상기 받침 본체(3)에 대한 공기 실(5)의 개폐에 따라 공기 실(5)의 공기압이 조절되어 바닥면에 대한 진공 압력을 형성하거나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That is, the air pressure of the
이에 따라, 바닥면에 대하여 진공 밀착을 구현하여 외부에 충격이 인가되어도 쉽게 넘어지거나 떨어지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vacuum tightness against the bottom surface, so that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to the outside, it does not easily fall down or can be used safely.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컵 받침장치(1)에서, 상기 바닥 부재(4)는, 중앙에 상기 공기 실(5)을 가지며, 상기 공기 실(5)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의 진공 판 체(6)를 가진다.In the thus configured cup-receiving
즉, 바닥면에 대하여 탄성 재질의 진공 판 체(6)가 면 접촉하면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That is, the
이에 따라, 상기 진공 판 체(6)가 바닥면에 지지 될 때에는,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공기 실(5)이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Accordingly, when the
그리고, 상기한 바닥 부재(4)의 상기 공기 실(5)에서 상기 받침 본체(3)와 접하는 부위에는, 상기 받침 본체(3)의 저 면에서 상기 공기 실(5)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종단이 상기 공기 실(5)의 내부에 끼움 결합 되는 밸브 봉(7)이 관통 배치되며 공기가 외부와 유통되는 공기 유통 공(8)이 형성된다.A portion of the
즉, 상기 받침 본체(3)에 대한 상기 공기 실(5)의 공기 유통 공(8)이 상기 밸브 봉(7)의 상하 왕복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That is, the
상기에서, 상기 밸브 봉(7)은, 내부에 상기 공기 유통 공(8)과 연통 되는 공간을 가지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 면에 내부와 외부가 연통 되는 연통 공(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즉, 상기 밸브 봉(7)이 상기 공기 실(5) 측으로 가압 되어 상기 연통 공(9)이 상기 공기 유통 공(8)의 내면에 위치될 때에는, 상기 공기 실(5)이 폐쇄됨에 따라 진공 압력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밸브 봉(7)이 상승하여 상기 공기 실(5)에서 상승할 경우에는, 상기 연통 공(9)이 상기 공기 실(5)의 외부에 위치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밸브 봉(7)의 내부를 통해 상기 공기 유통 공(8)을 경유하여 공기 실(5)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공기 실(5)의 진공 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That is, when the
이에 따라, 바닥면에 대한 상기 바닥 부재(4)의 진공 밀착이 해제되어, 안정적으로 컵(2)을 들어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vacuum contact of the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컵 받침장치(1)에서 상기한 밸브 봉(7)의 종단은 수직 상으로 다수의 절개 홈(10)이 형성되고, 종단에 외 측으로 연장형성된 걸림 단 턱(11)이 구비되어 상기 공기 유통 공(8)의 내 측면에 걸림 됨에 따라, 상기 밸브 봉(7)이 상기 공기 유통 공(8)에 끼움 결합하는 것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외부로 완전 분리되는 것은 방지하여 간편한 결합과 안정적인 상하왕복이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up-receiving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컵 받침장치(1)에서, 상기 공기 실(5)에는, 상기 공기 유통 공(8)과 통일한 내 경의 구멍이 형성되며 내구성이 상기 진공 판 체(6)보다 큰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판(12)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즉, 상기 밸브 봉(7)과의 접촉을 상기 보강판(12)을 통해 구현하여 상기 밸브 봉(7)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인가되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공기 유통 공(8)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at is, the contact with the
상기에서, 상기 공기 실(5)의 내측 면에는, 상기 보강판(12)의 외주 면이 억지 끼움 결합하는 끼움 홈(13)이 형성되어, 상기 진공 판 체(6)와 상기 보강판(12)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ner surface of th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컵 받침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coas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적용하고자 하는 컵(2)의 하부에 상기 받침 본체(3)를 결합하고, 상기 컵(2)에 음료를 담아 마시는 중에, 바닥면에 놓는 경우에는, 상기 바닥 부재(4)의 진공 판 체(6)가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놓여 지게 되고, 이때, 상기 받침 본체(3)의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밸브 봉(7)이 상기 공기 실(5)로 더욱 진입하면서 상기 공기 유통 공(8)을 폐쇄하여 상기 공기 실(5)의 외부에 대한 진공 압력을 형성하게 된다.When the
이에 따라, 상기 진공 판 체(6)와 바닥면이 진공 흡착되어 고정이 확고히 됨에 따라, 외부에서 충격이 인가되어도 쉽게 넘어지거나 떨어지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the
그리고, 음료를 마시고자 컵(2)을 수직 상으로 들어올릴 때에는, 상기 받침 본체(3)가 상기 바닥 부재(4)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밸브 봉(7)이 공기 유통 공(8)을 개방하여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 실(5)로 유도하여 공급함으로써 진공 압력을 해제한다.When the
이에 따라, 바닥면과 상기 진공 판 체(6)와의 진공 밀착이 해제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컵(2)을 들어 음료를 마실 수 있다.
As a result, the vacuum contact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컵 받침장치(1)는, 음료수를 마실 때에는 진공흡입력을 통해 바닥면과의 밀착성을 증대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무단으로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들어올렸을 때에는 진공흡입력을 해제하여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되어 사용상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구현하도록 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up-receiving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described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is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all such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받침장치
2 : 컵
3 : 받침 본체
4 : 바닥 부재
5 : 공기 실
6 : 진공 판 체
7 : 밸브 봉
8 : 공기 유통 공
9 : 연통 공
10 : 절개 홈
11 : 걸림 단 턱
12 : 보강판
13 : 끼움 홈1: Base 2: Cup
3: base body 4: bottom member
5: air chamber 6: vacuum plate
7: Valve rod 8: Air distribution hole
9: communicating hole 10: incision groove
11: fastening jaw 12: reinforcing plate
13: Fitting groove
Claims (2)
상부에 컵(2)의 하부가 수용되어 결합 되는 개 구가 형성된 공간 부를 가지는 받침 본체(3)와;
상기 받침 본체(3)의 저 면에 결합 되며 바닥면에 대하여 개방된 공기 실(5)을 가지고 상기 받침 본체(3)의 저 면을 통해 상기 공기 실(5)의 공기가 외부와 유통되거나 폐쇄되도록 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진공 압력을 형성하거나 해제하도록 된 바닥 부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받침장치.A cup-supporting device (1)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a cup (2) to support the cup (2) against a floor surface, the cup-supporting device
(3) having a space portion formed with an opening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cup (2) is received and engaged;
The air in the air chamber 5 is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3 and the air chamber 5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3, And a bottom member (4) adapted to form or release a vacuum pressure against the floor surface.
상기한 바닥 부재(4)는,
중앙에 상기 공기 실(5)을 가지고 상기 공기 실(5)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의 진공 판 체(6)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실(5)에서 상기 받침 본체(3)와 접하는 부위에는,
상기 받침 본체(3)의 저 면에서 상기 공기 실(5)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종단이 상기 공기 실의 내부에 끼움 결합 되는 밸브 봉(7)이 관통 배치되며 공기가 외부와 유통되는 공기 유통 공(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받침장치.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bottom member (4)
And a 'plate' shaped vacuum plate (6) having an air chamber (5) at the center and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hamber (5) in an open state;
At a portion of the air chamber (5)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body (3)
And a valve rod (7) extending in the direction toward the air chamber (5)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3) and having a terminating end inserted into the air chamber, Wherein a hole (8) is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0786U KR20160002795U (en) | 2015-02-03 | 2015-02-03 | A support device of the cu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0786U KR20160002795U (en) | 2015-02-03 | 2015-02-03 | A support device of the cu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2795U true KR20160002795U (en) | 2016-08-11 |
Family
ID=56719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0786U KR20160002795U (en) | 2015-02-03 | 2015-02-03 | A support device of the cu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02795U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4982A (en) * | 2017-07-05 | 2019-01-15 | 박규섭 | Tumbler holder |
CN109875342A (en) * | 2019-02-28 | 2019-06-14 | 临海盛志杯业有限公司 | A kind of Portable water cup that will not be toppled over |
CN111184413A (en) * | 2020-03-23 | 2020-05-22 | 凌卫东 | Anti-toppling cup sleeve |
-
2015
- 2015-02-03 KR KR2020150000786U patent/KR20160002795U/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4982A (en) * | 2017-07-05 | 2019-01-15 | 박규섭 | Tumbler holder |
CN109875342A (en) * | 2019-02-28 | 2019-06-14 | 临海盛志杯业有限公司 | A kind of Portable water cup that will not be toppled over |
CN109875342B (en) * | 2019-02-28 | 2020-08-28 | 永康市日丰工具厂 | Portable cup capable of preventing water from falling |
CN111184413A (en) * | 2020-03-23 | 2020-05-22 | 凌卫东 | Anti-toppling cup sleev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914504B1 (en) | Self-anchoring low-profile container anchor with directional release and attachment capability | |
US9521919B1 (en) | Self-stabilizing article holder | |
CN107105915B (en) | Beverage machine with slidably connected cup support | |
JP2015526122A (en) | Beverage machine with vibration suppression device | |
CA2797721A1 (en) | Cup carrier with thumb holds and curved stabilizing walls | |
US5109995A (en) | Beverage drinking set with straw holder | |
KR20160002795U (en) | A support device of the cup | |
US10493640B2 (en) | Portable food service assembly | |
KR102130913B1 (en) | Container with a fixing device | |
US20130001392A1 (en) | Pad with Sucking Discs | |
KR20080006233A (en) | Non sleep cup dish deviceof magne | |
US20130075554A1 (en) | Suction Disc Device | |
US20100037781A1 (en) | Attachment for a cup | |
KR20160002035U (en) | Cup for easy absorption | |
US8104629B1 (en) | Device for dropping a first drinking vessel into a second drinking vessel and method of use | |
ITMI20040371U1 (en) | FOAMING DEVICE ADAPTABLE FOR THE PREPARATION OF CAPPUCCINI COFFEE-MILK OR SIMILAR DRINKS WHICH CAN BE MOUNTED ALSO AT HOME | |
CN210871086U (en) | Solid-liquid separation type brewing liner device and brewing device | |
KR200486146Y1 (en) | Double container | |
KR200432604Y1 (en) | Non sleep cup dish device of magnet | |
JP3171819U (en) | Suction cup device | |
KR20150000492U (en) | A dish comprising a insert hole for vessel | |
JP3170118U (en) | Pad body with suction cup | |
US11696656B2 (en) | Magnetic utensil holding device | |
WO2015190681A1 (en) | Takeout beverage receptacle | |
KR200366157Y1 (en) | Non sleep cup dish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