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60002502U -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502U
KR20160002502U KR2020160003343U KR20160003343U KR20160002502U KR 20160002502 U KR20160002502 U KR 20160002502U KR 2020160003343 U KR2020160003343 U KR 2020160003343U KR 20160003343 U KR20160003343 U KR 20160003343U KR 20160002502 U KR20160002502 U KR 201600025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orting
region
rod
discrimin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561Y1 (ko
Inventor
권승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동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동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동이엔티
Priority to KR2020160003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561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5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5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5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1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gravity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한 경사를 갖는 다수의 선별 봉에 의하여 일정한 폭 이하의 재활용품은 선별 봉 사이로 낙하되어 선별되도록 하고, 그 이상의 재활용품은 선별 봉의 상단으로 미끄러져 다음 공정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나열된 다수의 원통형의 선별 봉으로 구성되고, 지면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된 선별부, 상기 선별 봉의 일단을 체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체결 지지부, 및 상기 체결 지지부를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 봉은 상기 체결 지지부와의 체결을 위한 상부 말단의 체결 영역, 및 재활용품의 선별을 담당하는 나머지 영역의 선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지지부는 상기 선별 봉의 상기 체결 영역 내의 서로 이격된 두 지점을 체결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체결 지지부 및 제2 체결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Recycling Items Sorting Apparatus with the Structure of Several Pipes}
본 고안은 재활용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한 경사를 갖는 다수의 선별 봉에 의하여 일정한 폭 이하의 재활용품은 선별 봉 사이로 낙하되어 선별되도록 하고, 그 이상의 재활용품은 선별 봉의 상단으로 미끄러져 다음 공정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객업소에서 분리 수거되는 재활용 플라스틱은 재활용센터 등 업체에서 수거하여 재질별로 선별하고 세척 및 분쇄 과정을 거친 후에 최종적으로 사출용 펠릿(pellet)을 생산하기 위한 원료로 사용된다.
이러한 수거되는 재활용 플라스틱 중에서 PS(Polystyrene)는 일반적으로 둥글고 길이와 폭이 작은 소형 요구르트병에 많이 사용되고, PP(Polypropylene)는 고추장이나 된장 등을 담는 보통 평평하고 각진 식품용기 류에 많이 사용되며, PE(Polyethylene)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는 보통 둥글고 길이가 긴 음료수 병, 생수병, 또는 술병 같은 둥근 형태의 병류에 많이 사용된다. 이들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재활용품은 몇 개의 선별 단계를 거치면서 선별되는데, 일반적으로 1차로 모든 종류가 섞여 있는 재활용품들 중에서 PS 제품의 재활용품을 선별하고, PS가 선별되고 남은 재활용품들 중에서 2차로 PE 또는 PET 제품 및 PP 제품을 분리하여 선별하는 과정을 통하여 4 분류로 재활용품을 선별하여 재활용 원료로 제공된다.
여기에서 1차 재활용품 선별과정의 초기 방식은 수거된 재활용품들을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하면서 컨베이어의 양측에 배치된 작업자들이 제품의 모양 및 크기를 고려하여 재활용 플라스틱을 수작업으로 선별했었다. 이러한 방식은 처리 속도, 작업자의 인건비를 증가시키는 등의 단점이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선별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 중에서 물체가 반사하는 고유 스펙트럼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적인 센서 방식으로 재활용품을 재질별로 선별하는 장치는 다수의 재질이 혼재된 상태에서는 정확하게 원하는 재질을 선별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최근에는 경사판에 다수의 롤러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롤러 사이로 떨어지는 재활용품과 롤러의 상단을 미끄러져 내려가는 재활용품으로 자동으로 선별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장치는 롤러의 양 끝단이 지지부에 걸려있어 롤러 사이로 낙하되어야 할 크기의 재활용품들이 롤러 사이에 끼이거나, 롤러의 상면을 미끄러져 내려가다가 롤러의 끝 부분에서 서로 엉키어 롤러 사이로 낙하하지 못하고 그대로 대형 재활용품과 함께 다음 공정으로 진행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여 선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20-0181247호 (2000. 05. 15 공개) 공개특허 제10-2012-0051509호 (2012. 05. 22 공개)
본 고안의 목적은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선별 봉의 일단만을 체결 고정한 방식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선별 봉의 외주에 나선 형의 돌출부를 형성한 방식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는 지면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된 원통형의 다수 개의 선별 봉(110)이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되어 구성된 선별부(100); 상기 선별 봉(110)의 상단을 체결하여 상기 선별 봉(110)이 지면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 지지부(200); 및 상기 체결 지지부를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 봉은 상기 체결 지지부와의 체결을 위한 상부 말단의 체결 영역, 및 재활용품의 선별을 담당하는 나머지 영역의 선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지지부는 상기 선별 봉의 상기 체결 영역 내의 서로 이격된 두 지점을 체결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체결 지지부 및 제2 체결 지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선별 봉(110)은 선별 영역(114)의 반경이 작은 선별 봉(110a)과 선별 영역(114)의 반경이 큰 선별 봉(110b)이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별부의 상기 선별 봉과 상기 제1 및 제2 체결 지지부 사이의 결합은 베어링에 의한 회전가능한 결합으로 구성되어, 상기 선별 봉에 무게를 갖는 재활용품들이 놓이면서 그 배향에 따라 상기 선별 봉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부의 상기 선별 봉의 상기 선별 영역의 말단에는 상기 선별 영역의 폭보다 좁은 폭의 걸림 방지 영역이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별 영역과 상기 걸림 방지 영역의 사이는 서서히 폭이 감소하여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상기 선별부의 상기 선별 봉의 외주에는 나선형의 돌출부가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선별장치에 따르면, 선별 봉의 상단에만 이중으로 체결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하단에서 재활용품들이 걸리는 문제를 해소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재활용품들을 선별할 수 있고, 선별 봉의 자연 회전 방식에 의하여 재활용품들의 특성에 따라 선별 봉이 회전할 수 있어 더 효과적인 선별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선별 봉의 외주에 나선형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재활용품들이 선별 봉 상에 끼이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선별장치의 선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체결 지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선별 봉의 형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선별 봉의 외면에 나선형의 회전 고리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7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선별 봉의 형태 및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는 선별부(100), 체결 지지부(200), 및 지지대(30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거되는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 용기 중에서 주로 PS 제품의 용기(주로, 요구르트병)를 다른 용기로부터 선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는 선별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부(100)는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나열된 다수의 원통형의 선별 봉(110)으로 구성되고, 선별 봉(110)은 모두 지면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요구르트병 등의 PS 제품을 효과적으로 선별하기 위한 선별부(100), 즉 선별 봉(110)의 지면과의 바람직한 각도는 경험적으로 약 30 내지 40도이다. 또한, 선별 봉(110)의 간격은 요구르트병의 키기보다 약간 크게 설정하여 해당 크기의 플라스틱 용기는 선별 봉(110) 사이로 낙하하고 그 이상의 크기의 플라스틱 용기는 선별 봉(110)을 타서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선별 봉(110)의 간격이 고정된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소정의 구성을 추가하여 간격을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체결 지지부(200)는 상기 선별 봉(110)의 일단을 체결하여 지지한다. 종래에 개시된 기술 중에서 체결 지지부가 선별 봉의 상단과 하단을 모두 지지하는 구성에 의하면, 하단으로 이동한 재활용품들이 하단의 체결 지지부에 의하여 서로 몰려서 엉키거나 하단 체결부에 끼이는 등으로 선별 봉(110) 사이로 떨어져야 할 재활용품들이 떨어지지 못하게 되고, 엉킨 재활용품을 타고 넘어감으로써 원치 않는 선별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하단의 체결 지지부를 제거하여 상단에만 체결 지지부를 형성하였다.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체결 지지부(200)를 고정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지지대(300)의 바닥면을 마찰력이 높은 형상으로 구성하거나 마찰력이 강한 재질의 미끄럼방지 부재를 부가하는 등으로 본 선별장치의 동작시 흔들리거나 미끄러지지 않게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체결 지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선별 봉(110)의 상부 측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두 개의 체결 지지부를 포함한다. 종래의 선별장치는 체결 지지부가 선별 봉(110)의 상단과 하단에 구성되었으나, 본 고안의 선별장치는 하단의 체결 지지부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상단의 체결 지지부 하나 만으로 소정의 무게를 갖는 선별 봉(110)을 경사진 상태로 계속하여 유지해야 하므로 체결 지지부를 하나 더 부가하여 선별 봉(110)의 상단에서 선별 봉(110)을 이중으로 지지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선별 봉(110)은 상기 체결 지지부(200)와의 체결을 위한 상부 말단의 체결 영역(112), 및 재활용품의 선별을 담당하는 나머지 영역의 선별 영역(114)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본 고안에 따른 체결 지지부(200)는 선별 봉(110)의 체결 영역(112) 내의 서로 이격된 두 지점을 체결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체결 지지부(201) 및 제2 체결 지지부(203)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체결 지지부(201, 203)와 체결되는 선별 봉(110)의 위측으로 하강 방지 부재(101, 103)을 형성하여 선별 봉(110)의 회전에 의한 아래측으로의 하강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별부(100)의 선별 봉(110)과 상기 제1 및 제2 체결 지지부(201, 203) 사이의 결합은 베어링에 의한 회전가능한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선별 봉(110)에 무게를 갖는 재활용품들이 놓이면서 그 배향에 따라 상기 선별 봉(110)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선별장치에서는 선별 봉(110)의 회전을 모터에 의한 구동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구동 장치를 제거하여 무게를 갖는 재활용품들의 움직임에 따른 선별 봉(110)의 자연적 회전에 의존함으로써 더욱 자연적으로 회전 방향이 설정되어 선별 효과를 높일 수 있고, 구동 장치의 구축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선별부(100)의 상기 선별 봉(110)의 선별 영역(114)의 말단에는 선별 영역의 폭보다 좁은 폭의 걸림 방지 영역(116)이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재활용품들이 선별 봉(110)을 타고 내려오면서 선별 봉(110) 사이의 공간으로 떨어지는 요구르트병 등의 소형 PS 제품의 재활용품들과 그렇지 못한 비교적 중대형의 재활용품들이 아래로 미끄러지거나 굴러 내려오게 되는데, 아래쪽까지 내려오는 재활용품들은 선별 봉(110) 사이에서 일정한 위치에 끼여 그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그 사이에 끼인 PS 제품도 선별 봉(110) 사이로 떨어지지 못하고 함께 중대형으로 잘못 선별되는데, 상기 걸림 방지 영역(116)은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선별 봉(110)에 끼어 있는 재활용품들이 걸림 방지 영역(116)에 도달하면 선별 봉(110)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기 때문에 끼어 있는 재활용품들이 선별 봉(110)으로부터 벗어나서 거의 마지막 단계에서 정상적으로 선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 영역(114)과 상기 걸림 방지 영역(116)의 사이는 서서히 폭이 감소하여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선별 봉(110) 사이의 간격이 좁은 상태에서 서서히 넓어지는 상태로 변하도록 하여 재활용품들이 순간적으로 튀지 않도록 하여 더 좋은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선별 봉의 외면에 나선형의 회전 고리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에 따른 선별장치에서 선별부(100)의 상기 선별 봉(110)의 외주에는 나선형의 돌출부(120)가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20)의 존재로 재활용품들은 선별부(100) 내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미끄러질 수 있어, 재활용품들이 선별 봉(110) 사이에 끼이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다. 돌출부(120)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표면이 둥근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재활용품이 더 잘 미끄러질 수 있게 하여 선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선별 봉의 형태 및 배열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선별부(100)의 선별 봉(110)은 선별 영역(114)의 반경이 작은 선별 봉(110a)과 선별 영역(114)의 반경이 큰 선별 봉(110b)이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선별하면 재활용품들이 선별 영역(114)의 반경이 큰 선별 봉(110b)에서 선별 영역(114)의 반경이 작은 선별 봉(110a)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선별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7(a)는 상이한 크기의 반경의 선별 봉이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도시된 선별 봉 사이의 간격에는 구애되지 않고 선별 봉 사이의 간격은 그 사이로 떨어질 재활용품의 크기에 맞추어 고정되거나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선별부 110: 선별 봉
120: 나선형 돌출부 102, 103: 보조 체결 부재
112: 체결 영역, 114: 선별 영역, 116: 걸림 방지 영역
110a: 선별 영역의 반경이 작은 선별 봉
110b: 선별 영역의 반경이 큰 선별 봉
200: 체결 지지부 201: 제1 체결 지지부
203: 제2 체결 지지부 300: 지지대
310: 선별 재활용품 수령부 320: 이탈 방지 벽

Claims (4)

  1. 지면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된 원통형의 다수 개의 선별 봉(110)이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되어 구성된 선별부(100);
    상기 선별 봉(110)의 상단을 체결하여 상기 선별 봉(110)이 지면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 지지부(200); 및
    상기 체결 지지부(200)를 고정하여 지면 상의 일정한 높이에 지지하고, 상기 선별부(100)의 아래 측에 상기 선별 봉(110) 사이로 걸려져 낙하한 재활용품을 수령하기 위한 선별 재활용품 수령부(310)가 형성된 지지대(300);
    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 봉(110)은 상기 체결 지지부(200)와의 체결을 위한 상부 말단의 체결 영역(112), 및 재활용품의 선별을 담당하는 나머지 영역의 선별 영역(114)을 포함하고,
    상기 선별 봉(110)은 상기 선별 영역(114)의 반경이 작은 선별 봉(110a)과 상기 선별 영역(112)의 반경이 큰 선별 봉(110b)이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체결 지지부(200)는 상기 선별 봉(110)의 상기 체결 영역(112) 내의 서로 이격된 두 지점을 체결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체결 지지부(201) 및 제2 체결 지지부(203)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부(100)의 상기 선별 봉(110)과 상기 제1 체결 지지부(201) 및 제2 체결 지지부(203) 사이의 결합은 베어링에 의한 회전 가능한 결합으로 구성되어, 상기 선별 봉(110)의 상기 선별 영역(114)에 무게를 갖는 재활용품들이 놓이면서 그 배향에 따라 상기 선별 봉(110)이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의 상기 선별 봉의 상기 선별 영역의 말단에는 상기 선별 영역의 폭보다 좁은 폭의 걸림 방지 영역이 더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영역과 상기 걸림 방지 영역의 사이는 서서히 폭이 감소하여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의 상기 선별 봉의 외주에는 나선형의 돌출부가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KR2020160003343U 2016-06-15 2016-06-15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KR200484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343U KR200484561Y1 (ko) 2016-06-15 2016-06-15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343U KR200484561Y1 (ko) 2016-06-15 2016-06-15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323 Division 2016-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502U true KR20160002502U (ko) 2016-07-15
KR200484561Y1 KR200484561Y1 (ko) 2017-10-23

Family

ID=5649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343U KR200484561Y1 (ko) 2016-06-15 2016-06-15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5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9789B1 (ko) 2023-11-21 2024-07-01 주식회사 아이엔텍 선별효율이 향상된 재활용품선별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1578A (ja) * 1985-09-24 1987-04-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くし歯篩機
JPH06253805A (ja) * 1993-03-02 1994-09-13 Toyo Seikan Kaisha Ltd 蜜柑果粒等の夾雑物除去装置
US5824356A (en) * 1996-08-07 1998-10-20 Silver; Barnard Stewart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roots, tubers, bulbs, and the like
JP2000084492A (ja) * 1998-07-15 2000-03-28 Nissho Corp バルブ選別機
KR200181247Y1 (ko) 1999-11-25 2000-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구동 롤에 의한 원료 입도 분리장치
KR20120051509A (ko) 2010-11-12 2012-05-22 대건산업(주) 롤러방식의 재활용품 선별장치
KR20130027969A (ko) * 2011-09-08 2013-03-18 박윤희 다용도 농산물 자동선별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1578A (ja) * 1985-09-24 1987-04-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くし歯篩機
JPH06253805A (ja) * 1993-03-02 1994-09-13 Toyo Seikan Kaisha Ltd 蜜柑果粒等の夾雑物除去装置
US5824356A (en) * 1996-08-07 1998-10-20 Silver; Barnard Stewart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roots, tubers, bulbs, and the like
JP2000084492A (ja) * 1998-07-15 2000-03-28 Nissho Corp バルブ選別機
KR200181247Y1 (ko) 1999-11-25 2000-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구동 롤에 의한 원료 입도 분리장치
KR20120051509A (ko) 2010-11-12 2012-05-22 대건산업(주) 롤러방식의 재활용품 선별장치
KR20130027969A (ko) * 2011-09-08 2013-03-18 박윤희 다용도 농산물 자동선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9789B1 (ko) 2023-11-21 2024-07-01 주식회사 아이엔텍 선별효율이 향상된 재활용품선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561Y1 (ko) 201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572Y1 (ko) 분리 선별이 용이하도록 스토퍼가 구성된 트롬멜 선별장치
AU662338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sorting plastic items
US53440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plastic items
WO1992016312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orting plastic items
US7584856B2 (en) Air separation of recyclable material
EP2933201A1 (en) Lightweight plastic container
KR101832142B1 (ko) 물류 자동 정렬 및 이송 컨베어 장치
US4593821A (en) Belt separator for blow molding parts
US20110297591A1 (en) Conveyor system for separating mixed recycled materials
US20150033927A1 (en) Continuous-type automatic label separating apparatus
KR200484561Y1 (ko)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CN210279896U (zh) 一种高效物流分拣装置
KR20150087906A (ko) 다수의 선별 봉 구조를 갖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KR20020048412A (ko) 상이한 크기의 조각을 위한 분류장치
US10625950B2 (en) Conveying apparatus having a serrated impact bar
CN106542313B (zh) 一种塑料瓶自动排序装置
US3361246A (en) Article aligning device
CN113844868B (zh) 回收塑料瓶的列队输送装置
US11278913B1 (en) Systems for separating copper from shredder residue
KR102299101B1 (ko) 발리스틱 선별 처리시스템
KR200373528Y1 (ko) 재활용품 선별 시스템용 정량 공급 장치
KR100638569B1 (ko) 재활용품 선별 시스템용 정량 공급 장치
CN217296012U (zh) 一种棒状物料筛选装置
CN109290215A (zh) 一种物料顺直装置以及色选机
US12097508B2 (en) Metal filament recove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