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011U - 철도 궤도 레일의 콘크리트 도상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 Google Patents
철도 궤도 레일의 콘크리트 도상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1011U KR20160001011U KR2020140006837U KR20140006837U KR20160001011U KR 20160001011 U KR20160001011 U KR 20160001011U KR 2020140006837 U KR2020140006837 U KR 2020140006837U KR 20140006837 U KR20140006837 U KR 20140006837U KR 20160001011 U KR20160001011 U KR 2016000101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concrete slab
- panel
- precast concrete
- slab pan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 궤도 레일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도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에 있어서, 철도 궤도 레일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인접 배치되는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요입되어서 형성되는 콘크리트 주입구용 개구부는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이 인접 배치될 때 패널 접속부 사이를 콘크리트로 충전할 수 있는 하나의 콘크리트 주입공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콘크리트 주입구용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철도 궤도 레일의 진행 방향에 따라서 전면부와 후면부에 요입 형성된 개구부 사이를 연결하는 패널 중앙부는 전단키로서 기능하도록 하방 돌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양측 단부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면 흐름 유동을 억제하는 흐름 방지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콘크리트 도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열차 및 지하철 노선 등을 구성하는 철도 궤도 레일의 콘크리트 도상용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열차가 운행되어야 하는 노선의 노반 상에 철도 궤도 레일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도상을 설치하기 위하여 프리캐스트되어 공사 현장에서 설치되어 사용되는 철도 궤도 레일의 콘크리트 도상용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신규로 열차 노선이나 지하철 노선을 신설하는 신설선 콘크리트 도상 공사에서 현장 콘크리트 타설되는 부분과 일체화되도록 사전에 프리캐스트되는 철도 궤도 레일의 콘크리트 도상용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 운행시에 레일 및 침목을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을 넓게 분포시켜 노반에 전달하여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상(ballast)이 노반과 레일 사이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도상은 온도 변화에 의한 레일 신축작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변위를 도상저항력으로 막아서 침목 이동을 방지하며, 또한 철도 차량의 운행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아울러 배수 작용도 원활히 하면서 레일 주변에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지금까지는 이와 같은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면서도 구하기 쉬운 자갈이 도상의 일반적인 재료로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자갈 도상은 열차 운행시 레일을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을 지반에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 반면에, 열차 운행이 지속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자갈 도상을 형성하는 자갈이 깨지고 마모되어서 미립자화되는 경우에는 도상 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지면서 승차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열차 운행의 안정성이 감소되어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자갈 도상에서 자갈이 감소되고 미립자화됨으로써 발생하는 승차감 하락과 안정상의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자갈을 자갈 도상에 주기적으로 보충해야 되므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서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지며, 또한 열차 운행시에는 자갈을 자갈 도상에 보충해 주는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서 최근에는 전술한 자갈 도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콘크리트 도상을 시공하는 경향이 높으며, 이는 열차의 운행이 빈발하여서 자갈을 보충하기 위한 작업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노선의 대부분이 지하 터널로 형성되어 마손된 자갈의 미립화된 입자가 미치는 환경상의 폐해가 큰 도심지 전철 노선의 경우에 특히 콘크리트 도상의 설치 경향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으며, 심지어 과거에 자갈 도상으로 건설이 완료된 노선의 경우에도 유지 보수 관점에서의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도상으로 교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자갈 도상으로 건설이 완료된 노선에서 콘크리트 도상으로 교체하는 시공 방법에 대한 공개된 기술로서 공개 특허 제10-2005-0087018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전에 프리캐스트된 슬래브 패널을 콘크리트 침목 및 이를 지지하는 도상의 상부판으로 이용하는데, 상부의 침목부에는 레일 지지구를 지지하도록 현장에서 노반 상에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서 설치되고, 하부에는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노반에 콘크리트 도상이 일체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공법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에 제공된 관통홀을 통하여 콘크리트(레디믹스드 콘크리트; 생 콘크리트, 이하 간단히 '콘크리트'라고 칭함)를 주입하여 노반과 슬래브 패널 사이의 공간을 충진함으로써 노반과 일체화시키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위 공개 특허 공보에 개시된 구조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주입공(도 1a 및 도 1b의 도면부호 '22')이 크기가 작을 뿐만 아니라 패널 침목 사이에 형성된 관통홀은 레일 지지구가 삽입 설치되는 용도로 사용되기에 주입되는 콘크리트의 양호한 충진을 위한 진동 다짐기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는 수단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아서 시공 편의성과 시공 품질이 낮으며, 하부에 충진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일체성이 양호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데, 특히 첨부 두면 도 1a 및 도 1b에 단면 및 평면 구조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서 외측 및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전단키(도 1a 및 도 1b의 도면부호 '20A')의 구성에 전단 저항력을 대부분 의존하는 구조로서 그 접착부가 전단 응력에 상당히 취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교체 공사의 경우에 보다 적합 구조로 설계되어서 신설 노선에 사용하기 위하여 특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
나아가, 열차가 주행하는 노선 중에서 곡선 구간에 설치되는 레일은 열차의 원심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양측 레일 중에서 곡선 구간의 곡률 반경에 따라서 곡률 중심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레일의 높이를 내측의 레일 보다 설정 높이 만큼 높게 설치하는 레일 캔트(Rail Cant)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레일 캔트를 형성하는 구간에서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국 콘크리트 도상의 상부 표면에 내외측으로 경사진 기울기를 도입할 수밖에 없는데, 이는 콘크리트 도상의 상부 표면을 구성하게 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20)이 거푸집(30) 내에서 기울어지게 배치되도록 하여 달성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20)이 거푸집(30) 내에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면 그 하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는 양생이 되기 이전에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20)의 하부 경사면을 따라서 낮은 쪽으로 유동하게 되어서 상대적으로 낮은 내측부는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채워지는 반면에 높은 외측은 충진된 콘크리트와 프리캐스트된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20)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일체성이 떨어지게 되고 결국 내하중성이나 내충격성 등의 품질에 있어서 상당한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철도 콘크리트 도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에 있어서, 콘크리트 주입공의 크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주입되는 콘크리트의 양호한 충진을 위한 진동 다짐기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는 수단을 별도로 확보하면서, 하부에 충진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일체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면서, 특히 충분한 전단 저항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면서도, 나아가 신설 노선에 사용하기에 최적화된 구조를 가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기술적 해결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철도 궤도 레일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도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에 있어서,
철도 궤도 레일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인접 배치되는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요입되어서 형성되는 콘크리트 주입구용 개구부는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이 인접 배치될 때 패널 접속부 사이를 콘크리트로 충전할 수 있는 하나의 콘크리트 주입공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콘크리트 주입구용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철도 궤도 레일의 진행 방향에 따라서 전면부와 후면부에 요입 형성된 개구부 사이를 연결하는 패널 중앙부는 전단키로서 기능하도록 하방 돌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양측 단부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면 흐름 유동을 억제하는 흐름 방지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콘크리트 도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철도 궤도 레일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인접 배치되는 각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중앙부에 제2 콘크리트 주입공이 추가적으로 제공되고, 또한 제2 콘크리트 주입공의 양측, 즉 패널의 양측에는 노반으로부터 패널 하부 공간으로 연장 설치되는 전식 방지 철근의 부설을 위한 공구의 투입 및 타설된 콘크리트의 충진을 위한 진동 다짐기의 투입을 위한 보조 관통공이 제공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이 노반 상에 거치 설치되고 그 사이 공간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충전되어서 일체형의 콘크리트 도상을 형성할 때,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과 그 하부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일체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내부에 배근되는 뼈대 철근에 연결되어 배근되며 패널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정착 철근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철도 콘크리트 도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에서 이를 관통하는 콘크리트 주입공의 크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서 신설 노선에서 압송관 타설이나 이송 타설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면서, 특히 패널 접속부 사이에서의 콘크리트 주입 타설에 있어서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하게 되며, 아울러 전식 방지 철근의 부설이 보다 용이한 구조와 타설 콘크리트의 유동 흐름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하부에 충진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일체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면서 충분한 전단 저항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나아가, 주입되는 콘크리트의 양호한 충진을 위한 진동 다짐기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는 수단을 별도로 제공함으로써 더욱 밀실한 콘크리트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양생 후 전체 콘크리트 도상의 내하중성 및 내충격성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하부로 돌출되게 제공되는 하부 정착 철근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과 하부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일체성을 가지고 접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콘크리트 도상의 일체성을 향상시키면서 전단 저항력과 내하중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은 종래 기술에 따라서 자갈 도상을 콘크리트 도상으로 교체하는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설치 상태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르는 경우에 레일 캔트(Rail Cant)를 형성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서 압송 타설 방식에 적합하게 구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본 뼈대 철근과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하부 정착 철근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2개 인접 배치하여 시공할 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이송 타설 방식에 적합하게 구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본 뼈대 철근과 추가적으로 패널 하부로 돌출 설치되는 하부 정착 철근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2개 인접 배치하여 시공할 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에 제공된 보조 관통공을 통하여 노반으로부터 패널 하부 공간으로 연장 설치되는 전식 방지 철근의 부설(철근 이음 작업)을 위한 공구를 투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도상을 시공할 때 곡선 주행의 레일 캔트 형성 구간에서 흐름 방지턱의 작용을 설명하는 작동 상태 단면도이다.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르는 경우에 레일 캔트(Rail Cant)를 형성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서 압송 타설 방식에 적합하게 구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본 뼈대 철근과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하부 정착 철근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2개 인접 배치하여 시공할 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이송 타설 방식에 적합하게 구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본 뼈대 철근과 추가적으로 패널 하부로 돌출 설치되는 하부 정착 철근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2개 인접 배치하여 시공할 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에 제공된 보조 관통공을 통하여 노반으로부터 패널 하부 공간으로 연장 설치되는 전식 방지 철근의 부설(철근 이음 작업)을 위한 공구를 투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도상을 시공할 때 곡선 주행의 레일 캔트 형성 구간에서 흐름 방지턱의 작용을 설명하는 작동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들 중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콘크리트를 압송하는 방식의 압송 타설 시공에 더욱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콘크리트를 이송 수단으로 시공 장소로 이송하여 타설 시공하는 방식에 더욱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고안은 철도 궤도 레일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도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로서,
철도 궤도 레일(10)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인접 배치되는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요입되어서 형성되는 콘크리트 주입구용 개구부(110)는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이 인접 배치될 때 패널 접속부 사이를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충전할 수 있는 하나의 콘크리트 주입공(110h)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콘크리트 주입구용 개구부(110h)를 형성하도록 철도 궤도 레일의 진행 방향에 따라서 전면부와 후면부에 요입 형성된 개구부 사이를 연결하는 패널 중앙부(112)는 전단키로서 기능하도록 하방 돌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양측 단부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면 흐름 유동을 억제하는 흐름 방지턱(120)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콘크리트 도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을 제공한다.
한편,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내부에는 기본 뼈대 철근(130)이 배근될 뿐만 아니라 패널 하부로 돌출되도록 하부 정착 철근(140)이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과 그 하부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일체성을 향상시키며 전단 저항력과 내하중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우에는 압송 타설 (Pumpcrete) 방식에 보다 적합하게 구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전체적인 구성도와 철근 배치 구성도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 궤도 레일(도 4에는 도시 생략)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인접 배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콘크리트 주입구용 개구부(110)는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이 인접 배치될 때 패널 접속부 사이를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충전할 수 있는 하나의 콘크리트 주입공(110h)을 형성하게 되는데, 특히 압송 타설의 경우에는 각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중앙부에 제2 콘크리트 주입공(150)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압송 타설 방식의 경우에 시간당 압송되어 오는 콘크리트의 양이 많기 때문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을 통과시켜서 그 하부의 충전 공간으로 투입하여야 하는 콘크리트의 주입량이 많게 되는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중앙부에 추가적으로 구성된 콘크리트 주입공(150)은 이러한 많은 주입량의 콘크리트의 적절한 처리를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콘크리트 주입공(150)의 양측에는 보조 관통공(160)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에 제공된 상기 보조 관통공(160)을 통하여 작업 공구(T) 등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반(G)으로부터 패널 하부 공간으로 연장 설치되는 전식 방지 철근(200)을 노반(G)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250)에 철근 이음 방식으로 연결하는 전식 방지 철근 부설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서 이러한 보조 관통공(160)은 타설된 현장 콘크리트의 충진을 위한 진동 다짐기(도시 생략)의 투입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으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우에는 이송 타설 (Transport) 방식에 보다 적합하게 구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전체적인 구성도와 철근 배치 구성도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 궤도 레일(도 7에는 도시 생략)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인접 배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콘크리트 주입구용 개구부(110)는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이 인접 배치될 때 패널 접속부 사이를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충전할 수 있는 하나의 콘크리트 주입공(110h)을 형성하게 되는데, 특히 이송 타설의 경우에는 앞서 설명된 압송 타설의 경우와 달리 각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중앙부에 제2 콘크리트 주입공을 추가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없게 되는데, 이는 이송 타설의 경우에는 압송 타설과 달리 콘크리트 타설량을 직접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고 추가적인 주입공의 형성은 슬래브 패널의 내하중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중앙부 콘크리트 주입공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다.
아울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콘크리트 주입구용 개구부(110)가 형성하는 하나의 콘크리트 주입공(110h)은 최종적으로 타설 충진되는 채움 콘크리트가 주입이 완료되면서 그 공간을 메우게 되며, 이와 같이 콘크리트 주입공(110h)의 공간을 메운 콘크리트는 양생이 완료되면 하나의 기둥을 형성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횡방향 변위에 저항하는 전단 기능에 도움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은 이송 타설 방식에 적합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도,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양측에는 노반으로부터 패널 하부 공간으로 연장 설치되는 전식 방지 철근의 부설(철근 이음 작업)을 위한 공구의 투입 및 타설된 콘크리트의 충진을 위한 진동 다짐기(도시 생략)의 투입을 위한 보조 관통공(160)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리캐스트된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을 이용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주행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레일 캔트(Rail Cant)를 형성하는 구간에서는 프리캐스트된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흐름 방지턱(120) 중에서 낮은 쪽(도면에서 좌측)의 흐름 방지턱(120)은 거푸집(300) 내에 타설 충전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경사진 방향(W)을 따라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되고, 이로써 타설 충전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이후에도 그 상부의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저면과의 접합면에서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충분한 접착 강도를 보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흐름 방지턱(120) 중에서 높은 쪽(도면에서 우측)의 흐름 방지턱(120)은, 도 9에 부분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 충전된 콘크리트의 양생 과정 중에서 특히 캔트 형성으로 높여진 쪽에서 문제가 되는 블리딩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저면과 양생 후의 채움 콘크리트의 접합면에서 어느 정도의 간극이 발생하는 경우를 가정하더라도 이러한 흐름 방지턱(120) 부분에서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저면과 하부에 충전된 콘크리트 사이의 양호한 접합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여서 열차 진동 등에 의해 이 부분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감축시키게 된다(미접합에 의한 취약부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함).
이상에서는 철도 궤도 레일(10)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인접 배치되는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요입되어서 형성되는 콘크리트 주입구용 개구부(110)는 패널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것으로서 첨부 도면에 도시된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 뿐만 아니라 도면들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 침목부 주변에도 추가적인 콘크리트 주입구용 개구부(110a)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이 인접 배치될 때 패널 접속부 사이를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충전할 수 있는 또 다른 추가적인 콘크리트 주입공(110ah)을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으로, 이와 같은 추가적인 콘크리트 주입공(110ah)은 앞서 보조 관통공(160)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노반으로부터 패널 하부 공간으로 연장 설치되는 전식 방지 철근의 부설(철근 이음 작업)을 위한 공구의 투입 및 타설된 콘크리트의 충진을 위한 진동 다짐기의 투입에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도 8 참조).
지금까지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들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레일
100: 큰크리트 슬래브 패널
110: 콘크리트 주입구용 개구부
110h: 콘크리트 주입공
112: 패널 중앙부
120: 흐름 방지턱
130: 기본 뼈대 철근
140: 하부 정착 철근
150: 제2 콘크리트 주입공
160: 보조 관통공
200: 전식 방지 철근
300: 거푸집
100: 큰크리트 슬래브 패널
110: 콘크리트 주입구용 개구부
110h: 콘크리트 주입공
112: 패널 중앙부
120: 흐름 방지턱
130: 기본 뼈대 철근
140: 하부 정착 철근
150: 제2 콘크리트 주입공
160: 보조 관통공
200: 전식 방지 철근
300: 거푸집
Claims (4)
- 철도 궤도 레일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도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로서,
철도 궤도 레일(10)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인접 배치되는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요입되어서 형성되는 콘크리트 주입구용 개구부(110)는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이 인접 배치될 때 패널 접속부 사이를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충전할 수 있는 하나의 콘크리트 주입공(110h)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콘크리트 주입구용 개구부(110h)를 형성하도록 철도 궤도 레일의 진행 방향에 따라서 전면부와 후면부에 요입 형성된 개구부 사이를 연결하는 패널 중앙부(112)는 전단키로서 기능하도록 하방 돌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양측 단부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면 흐름 유동을 억제하는 흐름 방지턱(120)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 레일의 콘크리트 도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내부에는 기본 뼈대 철근(130)이 배근될 뿐만 아니라 패널 하부로 돌출되도록 하부 정착 철근(140)이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 레일의 콘크리트 도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중앙부에 제2 콘크리트 주입공(150)이 추가적으로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제2 콘크리트 주입공(150)의 양측에는 노반으로부터 패널 하부 공간으로 연장 설치되는 전식 방지 철근의 부설을 위한 공구의 투입 및 타설된 콘크리트의 충진을 위한 진동 다짐기의 투입을 위한 보조 관통공(16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 레일의 콘크리트 도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00)의 양측에는 노반으로부터 패널 하부 공간으로 연장 설치되는 전식 방지 철근의 부설을 위한 공구의 투입 및 타설된 콘크리트의 충진을 위한 진동 다짐기의 투입을 위한 보조 관통공(16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 레일의 콘크리트 도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6837U KR20160001011U (ko) | 2014-09-19 | 2014-09-19 | 철도 궤도 레일의 콘크리트 도상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6837U KR20160001011U (ko) | 2014-09-19 | 2014-09-19 | 철도 궤도 레일의 콘크리트 도상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1011U true KR20160001011U (ko) | 2016-03-29 |
Family
ID=55645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6837U KR20160001011U (ko) | 2014-09-19 | 2014-09-19 | 철도 궤도 레일의 콘크리트 도상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01011U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6794B1 (ko) * | 2018-11-26 | 2019-06-10 | 주식회사 태명실업 | 일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 |
KR101986787B1 (ko) * | 2018-11-26 | 2019-06-10 | 주식회사 태명실업 | 일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의 시공방법 |
CN109881542A (zh) * | 2019-04-16 | 2019-06-14 |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 一种嵌入式交通轨道组件 |
CN110055828A (zh) * | 2019-04-28 | 2019-07-26 |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路堤大坡度齿轨铁路结构及构筑方法 |
KR102004331B1 (ko) * | 2018-11-26 | 2019-07-26 | 주식회사 태명실업 | 궤도용 일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패널 |
CN110424194A (zh) * | 2019-08-26 | 2019-11-08 |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桥上隔振垫预制道床结构及其施工方法 |
WO2020002957A1 (en) | 2018-06-27 | 2020-01-02 | MÁRTONFFY, István | Sleeper |
KR102550570B1 (ko) | 2022-07-28 | 2023-07-03 | 윤성건설주식회사 | 철도자재 운송시스템과 철도용 도상패널(사전제작형 pst) 운송방법 그리고 철도용 레일 운송방법 및 유지보수시 도상패널을 이용하는 운송방법 |
-
2014
- 2014-09-19 KR KR2020140006837U patent/KR20160001011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02957A1 (en) | 2018-06-27 | 2020-01-02 | MÁRTONFFY, István | Sleeper |
US20210269984A1 (en) * | 2018-06-27 | 2021-09-02 | Robert Csepke | Sleeper |
KR101986794B1 (ko) * | 2018-11-26 | 2019-06-10 | 주식회사 태명실업 | 일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 |
KR101986787B1 (ko) * | 2018-11-26 | 2019-06-10 | 주식회사 태명실업 | 일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의 시공방법 |
KR102004331B1 (ko) * | 2018-11-26 | 2019-07-26 | 주식회사 태명실업 | 궤도용 일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패널 |
CN109881542A (zh) * | 2019-04-16 | 2019-06-14 |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 一种嵌入式交通轨道组件 |
CN110055828A (zh) * | 2019-04-28 | 2019-07-26 |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路堤大坡度齿轨铁路结构及构筑方法 |
CN110055828B (zh) * | 2019-04-28 | 2023-09-26 |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路堤大坡度齿轨铁路结构的构筑方法 |
CN110424194A (zh) * | 2019-08-26 | 2019-11-08 |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桥上隔振垫预制道床结构及其施工方法 |
KR102550570B1 (ko) | 2022-07-28 | 2023-07-03 | 윤성건설주식회사 | 철도자재 운송시스템과 철도용 도상패널(사전제작형 pst) 운송방법 그리고 철도용 레일 운송방법 및 유지보수시 도상패널을 이용하는 운송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01011U (ko) | 철도 궤도 레일의 콘크리트 도상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 |
Michas | Slab track systems for high-speed railways. | |
KR102200955B1 (ko) | 산악철도용 선로 시공방법 | |
KR20090084054A (ko) | 말뚝기초로 보강된 콘크리트 궤도구조와 그 시공 및 보수방법 | |
EP2155965B1 (en) | A method of stabilizing a ballast railway track | |
CN107190585A (zh) | 一种现浇轨枕板式无砟轨道及其施工方法 | |
KR101780224B1 (ko) | 열차 운행을 고려하여 철도궤도를 개량하기 위한 급속경화궤도용 콘크리트 장침목 블록의 시공 방법 | |
CN103741595A (zh) | 一种用于治理桥头跳车的桥头结构 | |
KR100891961B1 (ko) | 가설구조물을 이용하여 도로 또는 철도의 노후된 교량이나 무도상 교량을 유도상화 하기 위한 교량 교체공법 및 그 장치 | |
KR20120039429A (ko) | 철도궤도용 프리캐스트 레일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 |
KR20150111547A (ko) | 아스팔트 노반상 직결궤도용 광폭침목 및 그 시공 방법 | |
JP2002227101A (ja) | 鉄道線路用マクラギ一体型コンクリート道床構造 | |
KR101266111B1 (ko) | 아스팔트 노반용 탄성패드와 전단고정 장치를 구비한 침목 및 그 시공 방법 | |
JP6177468B1 (ja) | 供用中のトンネルのインバートの設置または打替え工法 | |
JP2008127900A (ja) | コンクリート軌道版 | |
JP4715571B2 (ja) | トンネル内部の構築工法 | |
JP2021042610A (ja) | カルバート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 |
JP2006214269A (ja) | 架設桁 | |
CN104532691A (zh) | 无砟轨道连块式轨枕 | |
CN110230238B (zh) | 铁路线路防护装置及防护方法 | |
KR101673957B1 (ko) | 강콘크리트 합성 침목 및 이를 이용한 자갈궤도 | |
KR101986794B1 (ko) | 일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 | |
CN211973071U (zh) | 一种预制拼接桥头防沉降结构 | |
CN110857544B (zh) | 高速铁路安全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 |
JP2013036193A (ja) | 鉄道用縦型まくらぎおよびその製造型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