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60001945A - Apparatus for purifying air using spa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urifying air using sp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945A
KR20160001945A KR1020140080463A KR20140080463A KR20160001945A KR 20160001945 A KR20160001945 A KR 20160001945A KR 1020140080463 A KR1020140080463 A KR 1020140080463A KR 20140080463 A KR20140080463 A KR 20140080463A KR 20160001945 A KR20160001945 A KR 20160001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pace
purification system
air purification
photocatalytic fil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4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주
고익환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0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945A/en
Publication of KR20160001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945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8Handling or mounting catalysts
    • B01D53/885Devices in general for catalytic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04UV 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출구를 구비하는 몸체부; 모터 본체부, 흡입구를 구비하는 회전부 및 날개부를 포함하고, 외부 공기를 상기 몸체부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기팬; 상기 흡기팬에서 공기의 유로를 따라 배치되는 광촉매 필터; 및 상기 광촉매 필터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광촉매 필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광원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부와 광촉매 필터는 상기 흡기팬의 내측 공간부에 배치된다.In one embodiment, the space utilization 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 intake fan including a motor main body, a rotating portion having an intake port, and a blade portion, and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body portion; A photocatalytic filter disposed along the air flow path in the intake fan; And a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disposed on the photocatalytic filter and irradiating the ultraviolet light with the photocatalyst filter.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are disposed in an inner space portion of the intake fan.

Description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air using space}[0001] Apparatus for purifying air using space [0002]

본 개시(disclosure)는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촉매 필터와 광원부를 이용한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ace utilization 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photocatalytic filter and a light source unit.

공기 정화장치는 밀폐된 실내의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어 깨끗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공기정화장치는 밀폐된 실내에서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시멘트 건물 등의 사무실, 종균배양실,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장, 정밀기기 등을 가동하는 장소 등에는 인체 혹은 정밀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운용되고 있다.An air purifier is a device that filters impurities contained in air in a closed room and supplies clean air to the room. These air purifiers are widely used in enclosed rooms. For example, it is being operated to protect human bodies or precision instruments in offices such as general cement buildings, cultivated cultures, workplaces where dust is generated, and places where precision instruments are operated.

공기 정화장치의 내부에는 기본적으로 큰 이물질을 선행 제거하는 프리필터(pre-filter), 다양한 기능을 갖는 기능성 필터,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 세균, 바이러스,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헤파필터hepa-filter) 및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이 구비된다. 이에 부가하여 탈취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빛을 받으면 촉매반응이 일어나는 광촉매 필터를 구비하여 살균 및 탈취 기능을 더 증진시키기도 한다.Inside the air purifier, there are basically a pre-filter that removes large foreign substances, a functional filter with various functions, a deodorizing filter to remove odor, a hepa-filter And a fan for sucking in air. In addition, a light source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enhance the deodorizing function and a photocatalytic filter for generating a catalytic reaction upon receiving light may further enhanc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functions.

그런데, 광원부와 광촉매 필터가 구비된 기존의 공기 정화장치의 경우, 광원부와 광촉매 필터를 설치하는 공간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크기가 커지거나, 공간 배치 효율성이 저하되어 부품 장착구조를 설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ir purify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a space for installing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is required. As a result, the size of the product is increased, There is a difficulty.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improvement.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0534531호(발명의 명칭: 공기 정화 유니트, 등록일: 2005.12.01)가 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10-0534531 entitled " Air Purification Unit ", Registered on Dec. 12, 2005) is presented as a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개시는 광촉매 필터와 광원부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광촉매 필터와 광원부를 흡기팬의 내측 공간부에 배치하여 공간을 활용하고자 한다.In this disclosure, in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photocatalytic filter and a light source unit, a space is utilized by arranging a photocatalytic filter and a light source unit in an inner space of an intake fan.

일 측면에 따르는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출구를 구비하는 몸체부; 모터 본체부, 흡입구를 구비하는 회전부 및 날개부를 포함하고, 외부 공기를 상기 몸체부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기팬; 상기 흡기팬에서 공기의 유로를 따라 배치되는 광촉매 필터; 및 상기 광촉매 필터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광촉매 필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광원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부와 광촉매 필터는 상기 흡기팬의 내측 공간부에 배치된다.A space utilization 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 intake fan including a motor main body, a rotating portion having an intake port, and a blade portion, and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body portion; A photocatalytic filter disposed along the air flow path in the intake fan; And a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disposed on the photocatalytic filter and irradiating the ultraviolet light with the photocatalyst filter.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are disposed in an inner space portion of the intake fan.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흡기팬의 내측 공간부에 모터의 본체부 주변으로 광촉매 필터와 광원부를 배치한다, 이로써. 광촉매 필터와 광원부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space utilization 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the photocatalytic filter and the light source portion are arranged in the inner space portion of the intake fan around the body portion of the motor. The photocatalytic filter and the light source portion can be arranged efficiently.

또한, 광원부를 흡기팬의 흡입구의 배출부위에 원형 또는 삼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으로 배치하고, 광촉매 필터를 흡기팬의 흡입구의 배출부위에 원형 또는 삼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으로 배치한다. 이로써, 대부분의 흡입 공기를 살균하고 걸러줄 수 있다.Further, the light source portion is arranged in a polygon including a circular or triangular shape at the discharge port of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fan,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is arranged in a polygon including a circle or a triangle at the discharge port of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fan. In this way, most of the intake air can be sterilized and filtered.

또한, 광원부와 광촉매 필터를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이용하여 모터 본체부의 외측에 설치한다. 이로써,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고 광원부와 광촉매 필터부를 장착할 수 있다.Further,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motor body portion us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Thereby,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can be mounted without impeding the movement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에서 흡기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 및 광원부를 갖는 흡기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 및 광원부를 갖는 흡기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 및 광원부를 갖는 흡기팬에서 광원부의 변형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pace-borne ai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ake fan in a space-borne ai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ake fan having a photocatalytic filter and a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hotocatalytic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plan view of an intake fan having a photocatalytic filter and a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light source unit in an intake fan having a photocatalytic filter and a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재에서 "제1" 및 "제2"와 같은 기재는 부재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부재 자체를 한정하거나 특정한 순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측' 또는 '하측' 이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측' 이 '하측'을 의미할 수도 있고, '하측'이 '상측'을 의미할 수도 있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such as "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members, and are not used to limit members or to denote specific orders. Where an element is referred to herein as being located on another element "above" or "below",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is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above" or "below" It means that it can be interven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upper side' or 'lower side' refers to a relative concept set at the viewpoint of the observer, and when the viewpoint of the observer changes, 'upper side' may mean 'lower side' and 'lower side' It may mean.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terms "comprise", " Means that an element, component, component, or combination thereof is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Should be understood.

이하 상술하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광촉매 필터와 광원부를 흡기팬의 내측 공간부에 설치하여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provide a space-applied air purification apparatus capable of saving space by providing a photocatalytic filter and a light source unit in an inner space portion of an intake fan.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를 개력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에서 흡기팬의 확대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pace utilization 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ake fan in a space-borne ai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100)는, 몸체부(10), 흡기팬(20), 광촉매 필터(30), 광원부(40)를 포함한다.1 and 2, a space utilization 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an intake fan 20, a photocatalytic filter 30, and a light source 40 do.

몸체부(10)는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공기 유입구(12) 및 걸러지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100)의 공기 흡입부(12)는 몸체부(10)의 하부 측면에 다수 개 관통 형성되는 상태로 도시하지만, 다양한 다른 변형예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0)의 상부 측면 또는 상부 상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4)는 몸체부(10)의 상부 상면에 다수 개 관통 형성되는 상태로 도시하지만, 다양한 다른 변형예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0)의 하부 측면 또는 상부 측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2)로 부터 흡기팬(20)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의 유로를 따라 구비된 광촉매 필터(30)를 통과하면서, 살균, 탈취 등이 이루어져서 정화된 상태로 공기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유입되는 공기의 살균 및 탈취 작용은 광촉매 필터(30)와 더불어 공기 유입구(12)와 흡기팬(20) 사이에 구비되는 프리필터, 다기능필터, 탈취필터(16) 및 헤파필터(18)에 의해 선행하여 탈취 및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portion 10 includes an air inlet 12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inside and an air outlet 14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and purified air to the outside. Although the air intake part 12 of the space utilization 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air intake parts 12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10, have. For example, through the upper side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Although the air outlet 14 is shown as being formed 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the top surface of the body 10, the air outlet 14 may have various other modifications.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through the lower side surface or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12 through the intake fan 20 passes through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provided along the air flow path and sterilizes and deodorizes the air so that the air is purified through the air outlet 14 Can be discharged. The sterilizing and deodorizing action of the incoming air is performed by the prefilter, the multifunction filter, the deodorization filter 16 and the hepafilter 18 provided between the air inlet 12 and the intake fan 20 together with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can be achieved.

흡기팬(20)은 모터 본체부(22), 흡입구(25)를 구비하는 회전부(24) 및 날개부(26)를 포함하고, 외부 공기를 몸체부(10)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흡기팬(20)은 원심팬의 일종인 시로코 팬(sirocco fan)일 수 있다. 흡기팬(20)은 흡입구(25)를 통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전환하여 배출한다. 모터 본체부(22)는 회전자, 고정자 및 자석 등이 수용되는 본체와, 회전자의 중심에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게 외부로 돌출되는 모터축을 포함한다. 모터 본체부(22)의 모터축은 회전부(24)의 중심부위에서 흡입구(25)의 반경 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프레임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부(24)는 원형 판체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intake fan 20 includes a motor main body 22, a rotation part 24 having a suction port 25 and a blade part 26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0. The suction fan 20 may be a sirocco fan, which is a type of centrifugal fan. The suction fan 20 converts air radiated upward from the lower side through the suction port 25 and discharges the air. The motor main body 22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 rotor, a stator, and a magnet are accommodated, and a motor shaft that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otor and protrudes outward to be rotatable.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main body 22 is rotatably supported by a plurality of frame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uction port 25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ry portion 24. [ The rotating portion 2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late.

흡입구(25)는 회전부(24)의 중심부위에 형성되는 상태로 도시하지만, 회전부(24)의 전체 부위 또는 중심부위와 가장자리 사이의 일부 구간에 형성될 수도 있다. 광촉매 필터(30)와 광원부(40)는 모터 본체부(22)의 모터 본체 및 모터축 주변에 접촉되거나 이격 되게 배치될 수 있다. 날개부(26)는 회전부(24)의 가장자리에서 수직 또는 경사방향으로 배치되어 흡입구(25)로 유입된 공기를 모터 본체부(22)의 반경방향으로 배출한다. 날개부(26)는 다수 개의 단위날개가 모터 본체(22)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간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에 의해 단위날개의 상하측 부위가 각각 고정되어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한다.The suction port 25 is form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ry portion 24, but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entire portion or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edge of the rotary portion 24.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and the light source unit 40 may be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or spaced from the motor main body of the motor main body 22 and around the motor shaft. The wing portion 26 is disposed vertically or obliquely at the edge of the rotary portion 24 to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25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motor main body portion 22. [ The wing portion 26 has a plurality of unit wing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tor body 22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nit wing are fixed Thereby discharging the air in the radial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100)는 날개부(26)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공기 배출구(14)로 유도하기 위한 공기흐름유도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흐름유도부(80)는 날개부(26)를 원형으로 감싸면서 공기 배출구(14)로 연장되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공기흐름유도부(80)는 흡기팬(20)의 날개부(26)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공기 배출구(14)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The space utilization 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ir flow guide portion 80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wing portion 26 to the air outlet 14. The air flow guide portion 80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so as to extend into the air outlet 14 while enclosing the wing portion 26 in a circular shape. Of course, the air flow guide portion 80 may take any form as long as it can guid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wing portion 26 of the suction fan 20 toward the air outlet 14.

모터 본체부(22)는 몸체부(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설치부(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설치부(40)는 모터 본체부(22)를 몸체부(10) 내에서 고정하는 구성이다. 설치부(70)는 몸체부(10)의 내측에 구비되는 프레임부(72)와, 프레임부(72)와 모터 본체부(22))를 연결 지지하는 브라켓부(74)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임부(72)는 몸체부(10) 상부 내측에서 가로 질러 배치되는 상태로 도시하지만, 다양한 형태로 몸체부(2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부(74)는 프레임부(72)의 일측 면과 모터 본체부(22)의 일측 면을 연결하여 모터 본체부(22)를 프레임부(72)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해준다. The motor main body 22 can be fixed by the mounting portion 70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body 10. The mounting portion 40 is configured to fix the motor main body portion 22 in the body portion 10. The mounting portion 70 includes a frame portion 72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10 and a bracket portion 74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frame portion 72 and the motor body portion 22.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rame portion 72 is shown to be disposed across the in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but may be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20 in various forms. The bracket portion 74 connects the one side face of the frame portion 72 and one side face of the motor body portion 22 to firmly fix the motor body portion 22 to the frame portion 72.

광촉매 필터(30)는 흡기팬(20)에서 공기의 유로를 따라 배치된다. 광촉매 필터(30)는 일 예로서, 광촉매 물질층이 메쉬형 프레임에 코팅된 광촉매 필터일 수 있다. 광촉매 필터(30)는 모터 본체부(22)의 둘레에 이격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광촉매 필터(30)는 흡입구(25)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모터 본체부(22)에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is disposed along the air flow path at the suction fan 20. [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may be, for example, a photocatalytic filter in which a photocatalytic material layer is coated on a mesh-type frame.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is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eriphery of the motor main body portion 22. [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may be disposed around the motor main body 22 so as to receive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uction port 25.

광원부(40)는 광촉매 필터(30)에 이격 배치되어 광촉매 필터(30)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4)를 인쇄회로기판(42)에 구비할 수 있다. 광원부(20)는 몸체부(10) 내에서 공기의 유로를 따라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공기의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화살표로 도시하고 있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4)는 광촉매 필터(30)와 반응하는 약 300 내지 400 nm의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4)는 인쇄회로기판(42)의 일 표면 상에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40 may include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44 disposed on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and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42. The light source unit 20 is disposed along the air flow path in the body 10. In the figure, arrows show the flow of air flowing along the air flow path.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44 may emit ultraviolet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about 300 to 400 nm which reacts with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 As shown,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s 44 may be disposed in various ways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2.

도면을 참조하면, 광원부(40)와 광촉매 필터(30)는 흡기팬(20)의 내측 공간부(21)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 공간부(21)는 모터 본체부(20)의 모터 본체 및 모터축과 날개부(2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지칭한다. 이 내측 공간부(21)는 기존에는 비어 있는 상태로 두고, 광원부(40)와 광촉매 필터(30)를 몸체부(10) 내의 다른 공간에 배치하므로 제품이 커지거나 내부 구조를 설계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제품 내 공간활용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기존에 활용하지 않고 있던 흡기팬(20)의 내측 공간부(21)를 활용하므로 광촉매 필터(30)와 광원부(40)가 설치되는 공간을 축소할 수 있어 제품의 크기를 줄이거나 내부 구조를 설계하는 데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can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21 of the suction fan 20. The inner space 21 is formed in the motor body 20 of the motor main body 20, Quot; refers 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motor shaft and the wing portion 26. Since the inner space 21 is previously empty and the light source 40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are disposed in different spaces in the body 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in the product remarkably deteriorates. Since the interior space 21 of the intake fan 20 is utilized, the space in which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and the light source unit 40 are installed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produc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ifficulty in designing the display device.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 및 광원부를 갖는 흡기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 및 광원부를 갖는 흡기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 및 광원부를 갖는 흡기팬에서 광원부의 변형예를 보인 평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ake fan having a photocatalytic filter and a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hotocatalytic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plan view of an intake fan having a photocatalytic filter and a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light source unit in an intake fan having a photocatalytic filter and a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을 참조하면, 광촉매 필터(30)는 모터 본체부(22)의 주변에 이격 배치된다. 광촉매 필터(30)는 흡입구(25)의 배출부위를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광촉매 필터(30)의 메쉬망 프레임(32)은 모터 본체부(22)의 둘레에 원형으로 배치된다. 광촉매 필터(30)의 메쉬망 프레임(32)은 모터 본체부(22)의 둘레에 연속되는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불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광촉매 필터(30)는 격자 형태로 형성된 메쉬형 프레임(32)과, 메쉬형 프레임(32) 상에 형성되는 티타늄산화물(TiO2), 아연산화물(ZnO), 텅스텐산화물(WO3) 및 지르코늄산화물(ZrO3) 중 어느 하나의 코팅층(34)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층(34)은 메쉬형 프레임(32)을 광촉매 액상물질에 담궜다가 건조하여 형성하므로 메쉬형 프레임(32)의 노출되는 모든 영역에 걸쳐 설정 두께를 갖는 층으로 고르게 적층될 수 있다. 광촉매 필터(30)는 흡입부(25)의 배출부위를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흡입부(35)에서 배출된 거의 대부분의 공기가 광촉매 필터(30)의 메쉬망 프레임(32)을 통과하므로 광촉매 반응을 향상시켜 탈취 및 살균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광촉매 필터(30)는 광원부(40)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4)에서 발광되는 자외선에 의해 광촉매 작용이 촉진되게 해준다. Referring to FIG. 3,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is spaced apart from the periphery of the motor main body 22.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discharge port of the suction port 25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3 and 4, the mesh net frame 32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is arranged around the motor main body 22 in a circular shape. Although the mesh net frames 32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are shown to be continuous to the periphery of the motor main body 22, they may be disposed discontinuously.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includes a mesh-shaped frame 32 formed in a lattice pattern, and a photocatalytic filter 30 made of titanium oxide (TiO2), zinc oxide (ZnO), tungsten oxide (WO3), and zirconium oxide The coating layer 34 may be formed of any one of the following materials. The coating layer 34 is formed by dipping the mesh-type frame 32 in the photocatalyst liquid material and then drying it. Thus, the coating layer 34 can be uniformly deposited as a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over all exposed regions of the mesh-type frame 32.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suction unit 25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Thus, since most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unit 35 passes through the mesh net frame 32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the photocatalytic reaction can be improved and the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promotes photocatalytic action by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ultraviolet light-emitting diode 44 of the light source unit 40.

광원부(40)는 모터 본체부(22)의 주변에 배치된다. 광원부(40)의 인쇄회로기판(42)은 모터 본체부(22)의 둘레에 원형 또는 삼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42)은 모터 본체부(22)의 둘레에 원형으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광원부(40)의 인쇄회로기판(42)은 모터 본체부(22)의 둘레에 삼각형으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광원부(40)의 인쇄회로기판(42)은 모터 본체부(22)의 둘레에 연속되는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불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44)가 비추지 않는 영역을 최소화하고 광촉매 필터(30)에 자외선을 골고루 비춰주기 위해 인쇄회로기판(42)에 적절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42)은 모터 본체부(22)의 둘레에 접촉되는 경우, 방열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약간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The light source unit (40) is arranged around the motor main body (22). The printed circuit board 42 of the light source unit 40 may be arranged in a polygonal shape including a circle or a triangle around the motor main body 22. Referring to Fig. 6, the printed circuit board 42 is circularly arranged around the motor main body 22. Referring to FIG. 7, the printed circuit board 42 of the light source unit 40 is arranged around the motor main body 22 in a triangular shape. Alth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42 of the light source unit 40 is shown as being continuous around the motor main body 22, it may be disposed discontinuously. In this case,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44 may be installed in a proper form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42 to minimize the area not illuminated by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44 and to uniformly irradiate the ultraviolet rays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When the printed circuit board 4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motor main body 22, it is advantageous that the printed circuit board 42 is arranged to be slightly spaced as heat dissipation may be reduced.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42)은 모터 본체부(22)와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부(50)에 의해 연결 지지될 수 있다. 제1지지부(50)는 일단이 모터 본체부(22)의 외측 표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인쇄회로기판(42)의 내측 표면에 고정된다. 제1지지부(50)는 공기 유입구(12)를 거쳐 탈취필터(16) 및 헤파필터(18)를 거쳐 흡입구(25)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좁은 영역에만 형성하도록 한다. 이로써, 제1지지부(50)는 원형 또는 다각형 봉 형상으로 상하좌우로 설정 간격을 갖는 상태로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원주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되고, 상하로 2개 정도 배치되는 상태로 도시하도록 한다. 물론, 제1지지부(50)는 다양한 형상 및 개수를 가질 수 있다.6 and 7, the printed circuit board 42 may be connected and supported by the motor main body 22 and at least one first support portion 50. [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5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tor main body 22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2. The first support part 50 is formed only in a narrow area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uction port 25 through the deodorization filter 16 and the HEPA filter 18 via the air inlet 12. [ As a result, the first support portions 50 can be arrang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with a predetermined spacing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Referring to the drawings, a large number of them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wo of them are arranged vertically. Of course, the first support portion 50 may have various shapes and numbers.

광촉매 필터(30)는 인쇄회로기판(42)의 외측면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지지부(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지지부(60)는 일단이 인쇄회로기판(42)의 외측 표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광촉매 필터(30)의 메쉬망 프레임(3)의 내측 표면에 고정된다. 제2지지부(60)는 공기 유입구(12)를 거쳐 탈취필터(16) 및 헤파필터(18)를 거쳐 흡입구(25)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좁은 영역에만 형성하도록 한다. 이로써, 제2지지부(60)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봉형상으로 상하좌우로 설정 간격을 갖는 상태로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원주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되고, 상하로 2개 정도 배치되는 상태로 도시하도록 한다. 물론, 제2지지부(60)는 다양한 형상 및 개수를 가질 수 있다.The photocatalytic filter 30 may be supported by at least one second support portion 60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2.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6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2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esh net frame 3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The second support portion 60 is formed only in a narrow reg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uction port 25 through the deodorization filter 16 and the HEPA filter 18 through the air inlet 12. [ As a result, the second support portions 60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and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vertical, horizontal, and lateral spacings. Referring to the drawings, a large number of them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wo of them are arranged vertically. Of course, the second support portion 60 may have various shapes and numbers.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지지부(50)와 제2지지부(60)는 동일한 단면형상을 갖고,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 이유는 제1지지부(50)와 제2지지부(60)가 동일한 단면 형상 및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반경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것과 같은 효과를 갖게 되어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제1지지부(50)와 제2지지부(60)는 봉이 아니라 판재를 이용하여 브라켓 형태로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제2지지부(50,60)은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하면서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을 갖더라도 무방하다.6 and 7, it is advantageous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5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60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nd ar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This is because, when the first support portion 5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60 are disposed in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nd at the same position, they have the same effect as being arranged in a row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air resistance can be reduced. The first support portion 5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60 may be fixed in a bracket shape using a plate rather than a ro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50 and 60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they can exhibit a strong supporting force while reducing air resistan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100)에 있어서, 흡기팬(20)의 내측 공간부(21)에 모터의 본체부(22) 주변으로 광촉매 필터(30)와 광원부(40)를 구비한다, 이로써. 광촉매 필터(30)와 광원부(40)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광원부(40)를 흡기팬(20)의 흡입구(25)의 배출부위에 원형 또는 삼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으로 배치하고, 광촉매 필터(30)를 흡기팬(20)의 흡입구(25)의 배출부위에 원형 또는 삼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으로 배치한다. 이로써, 대부분의 흡입 공기를 살균하고 걸러줄 수 있다. 또한, 광원부(40)외 광촉매 필터(30)를 제1지지부(50)와 제2지지부(60)를 이용하여 모터 본체부(22)의 외측에 설치한다. 이로써, 흡입구(2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고 광원부(40)와 광촉매 필터(30)를 장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space utilization 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is arranged around the main body portion 22 of the motor in the inner space portion 21 of the intake fan 20, And a light source unit (40).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and the light source unit 40 can be arranged efficiently.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is disposed in a circular shape or a triangular shape at the discharge port of the suction port 20 of the suction fan 20.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is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t the discharge port of the suction port 25 of the suction fan 20. [ Or a polygon including a triangle. In this way, most of the intake air can be sterilized and filtered.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outside the light source unit 40 is installed outside the motor main body portion 22 us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5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60. Thus, th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30 can be mounted without impeding the movement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5.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 형태들을 도면들을 예시하며 설명하지만, 이는 본 출원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세밀하게 제시된 형상으로 본 출원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바를 한정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이 반영되는 한 다양한 다른 변형예들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described above illustrate and describe the drawings, it is intended to illustrate what is being suggest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what is present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a detailed form. Various other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s presented in this application are reflected.

10 : 몸체부 12 : 공기 유입구
14 : 공기 배출구 20 : 흡기팬
22 : 모터 본체부 24 : 회전부
25 : 흡입구 26 : 날개부
30 : 광촉매 필터 32 : 메쉬형 프레임
34 : 코팅층 40 : 광원부
42 : 인쇄회로기판 44 :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50 : 제1지지부 60 : 제2지지부
70 : 설치부 72 : 프레임부
74 : 브라켓부 80 : 공기흐름유도부
10: Body part 12: Air inlet
14: air outlet 20: suction fan
22: motor main body part 24:
25: inlet port 26:
30: Photocatalytic filter 32: Mesh-type frame
34: Coating layer 40: Light source part
42: printed circuit board 44: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50: first support portion 60: second support portion
70: mounting part 72: frame part
74: bracket part 80: air flow guide part

Claims (17)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출구를 구비하는 몸체부;
모터 본체부, 흡입구를 구비하는 회전부 및 날개부를 포함하고, 외부 공기를 상기 몸체부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기팬;
상기 흡기팬에서 공기의 유로를 따라 배치되는 광촉매 필터; 및
상기 광촉매 필터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광촉매 필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와 광촉매 필터는 상기 흡기팬의 내측 공간부에 배치되는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
A body portion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 intake fan including a motor main body, a rotating portion having an intake port, and a blade portion, and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body portion;
A photocatalytic filter disposed along the air flow path in the intake fan; And
And a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disposed on the photocatalytic filter and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to the photocatalyst filter,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are disposed in an inner space portion of the intake f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Sp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팬은 시로코 팬(sirocco fan) 인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ake fan is a sirocco f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Sp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회전부의 가장자리에서 수직 또는 경사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모터 본체부의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는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ng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is discharge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motor body portion, the air being vertically or obliquely arranged at an edge of the rotary portio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Sp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필터는
메쉬형 프레임; 및
상기 메쉬형 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티타늄산화물(TiO2), 아연산화물(ZnO), 텅스텐산화물(WO3) 및 지르코늄산화물(ZrO3) 중 어느 하나의 코팅층을 포함하는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catalytic filter
Mesh type frame; And
And a coating layer of any one of titanium oxide (TiO2), zinc oxide (ZnO), tungsten oxide (WO3) and zirconium oxide (ZrO3)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Sp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필터는
상기 모터 본체부의 주변에 이격 배치되는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catalytic filter
And is disposed apart from the periphery of the motor main body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Spa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필터는
상기 흡입부의 배출부위를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는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hotocatalytic filter
And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suction portion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Sp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 면 상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source unit
Printed circuit board; And
And at least one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mount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Spac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모터 본체부의 주변에 배치되는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motor main body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Spac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흡입구의 배출부위를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감싸고, 상기 광촉매 필터의 내측에 배치되는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inted circuit board
A discharge port of the suction port is surrounded by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the filter is disposed inside the photocatalytic filter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Spac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모터 본체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부에 의해 연결 지지되는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motor main body and at least one first support portio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Spac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필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측면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hotocatalytic filter
And at least one second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Spac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300 nm 내지 400 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Emitting ultraviolet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300 nm to 400 nm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Sp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설치부에 의해 고정되는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tor main body
And is fixed by an installation part provided inside the body part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Spac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모터 본체부를 연결 지지하는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mounting portion
A frame part provided inside the body part; And
And a bracket portion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frame portion and the motor main body portio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Sp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구로 유도하기 위한
공기흐름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or guiding air discharged from the wing portion to the air outlet
Further comprising an air flow inducing portio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Space.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흐름유도부는
상기 공기 배출구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형성되는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air-
And is formed so as to gradually expand toward the air outlet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Space.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흐름유도부는
상기 날개부를 원형으로 감싸면서 상기 공기 배출구로 연장되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간 활용형 공기 정화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air-
And the air outlet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so as to extend to the air outlet while enclosing the wing in a circular shape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Space.
KR1020140080463A 2014-06-30 2014-06-30 Apparatus for purifying air using space Withdrawn KR201600019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463A KR20160001945A (en) 2014-06-30 2014-06-30 Apparatus for purifying air using 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463A KR20160001945A (en) 2014-06-30 2014-06-30 Apparatus for purifying air using sp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945A true KR20160001945A (en) 2016-01-07

Family

ID=5516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463A Withdrawn KR20160001945A (en) 2014-06-30 2014-06-30 Apparatus for purifying air using sp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945A (en)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8005A (en) * 2016-08-25 2017-01-04 中山市奥鸿电子科技有限公司 Composite purification system
CN108317620A (en) * 2018-01-17 2018-07-24 成都恒力达科技有限公司 Air purifying sterilizer
WO2019059542A3 (en) * 2017-09-19 2019-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Filter unit and air purifier comprising same
CN110621353A (en) * 2017-05-12 2019-12-27 首尔伟傲世有限公司 Fluid treatment device
KR20200004681A (en) * 2018-07-04 2020-01-14 전수진 Air purifier using photocatalyst with turbo impeller
KR20200011814A (en) * 2018-07-25 2020-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Sterilizing module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102120755B1 (en) 2019-10-16 2020-06-09 주식회사 엔게인 Ampoule chamber
CN111790269A (en) * 2020-09-09 2020-10-20 江苏中新瑞光学材料有限公司 Photocatalyst photocatalysis device
KR102194355B1 (en) 2020-05-18 2020-12-24 주식회사 엔게인 Ampoule chamber
KR102195602B1 (en) 2020-05-22 2020-12-29 주식회사 엔게인 Ampoule assembly
CN112675634A (en) * 2019-10-17 2021-04-20 汤秉辉 Air purifier and air purification cylinder
KR102386443B1 (en) * 2020-10-20 2022-04-13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KR20230080040A (en) * 2021-11-29 2023-06-07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CN118079053A (en) * 2024-02-19 2024-05-28 常州富旺生物科技有限公司 A peculiar smell treatment device for biological feed processing
WO2025100749A1 (en) * 2023-11-08 2025-05-1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ortable air purifier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8005A (en) * 2016-08-25 2017-01-04 中山市奥鸿电子科技有限公司 Composite purification system
CN110621353A (en) * 2017-05-12 2019-12-27 首尔伟傲世有限公司 Fluid treatment device
WO2019059542A3 (en) * 2017-09-19 2019-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Filter unit and air purifier comprising same
CN108317620A (en) * 2018-01-17 2018-07-24 成都恒力达科技有限公司 Air purifying sterilizer
CN108317620B (en) * 2018-01-17 2020-01-17 盐城倍美永康口腔门诊有限公司 Air purifying sterilizer
KR20200004681A (en) * 2018-07-04 2020-01-14 전수진 Air purifier using photocatalyst with turbo impeller
KR20200011814A (en) * 2018-07-25 2020-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Sterilizing module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102120755B1 (en) 2019-10-16 2020-06-09 주식회사 엔게인 Ampoule chamber
CN112675634A (en) * 2019-10-17 2021-04-20 汤秉辉 Air purifier and air purification cylinder
KR102194355B1 (en) 2020-05-18 2020-12-24 주식회사 엔게인 Ampoule chamber
KR102195602B1 (en) 2020-05-22 2020-12-29 주식회사 엔게인 Ampoule assembly
CN111790269A (en) * 2020-09-09 2020-10-20 江苏中新瑞光学材料有限公司 Photocatalyst photocatalysis device
KR102386443B1 (en) * 2020-10-20 2022-04-13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KR20230080040A (en) * 2021-11-29 2023-06-07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WO2025100749A1 (en) * 2023-11-08 2025-05-1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ortable air purifier
CN118079053A (en) * 2024-02-19 2024-05-28 常州富旺生物科技有限公司 A peculiar smell treatment device for biological feed proces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1945A (en) Apparatus for purifying air using space
US12076466B2 (en) Air purifier using ultraviolet rays
US8557188B2 (en) Unitized photocatalytic air sterilization device
US20180147523A1 (en) Wet air purifier
CN107182976B (en) Insect trap
US20220339573A1 (en) Air cleaner
KR20140003240A (en) Apparatus for cleaning fluid
KR20200039863A (en) Air purifier with improved purification efficiency
KR102268444B1 (en) Two Way Type Air Sterilizer Using Plasma And Ultraviolet Rays
KR200495463Y1 (en) Flow path structure of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KR20220022038A (en) Air cleaning apparatus
KR20170090209A (en) Air sterilizing unit and air cleaner comprising the same
KR101452813B1 (en) Air Sterilizer with Honeycomb Structure
KR20150062564A (en) Apparatus for purifying air having plurality of air flow path
KR20160015083A (en) Air purifier
KR20110096258A (en) air cleaner
KR20220053721A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1116342B1 (en) A book holder, a book sterilizer and a book sterilizing system
CN205090506U (en) Air treatment equipment
KR101584056B1 (en) air purifier
KR102527622B1 (en) Ductless Type High Wind Speed Air Strilization Apparatus
KR20220151318A (en) Rotary UV sterilization unit for HEPA filter
KR20130024642A (en) Deodorizing apparatus
KR102654527B1 (en) Sterillizing module for inner side of cicular filter and the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582108B1 (en) Air clea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