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159A - Water dispenser - Google Patents
Water dispens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27159A KR20150127159A KR1020157027526A KR20157027526A KR20150127159A KR 20150127159 A KR20150127159 A KR 20150127159A KR 1020157027526 A KR1020157027526 A KR 1020157027526A KR 20157027526 A KR20157027526 A KR 20157027526A KR 20150127159 A KR20150127159 A KR 201501271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tank
- hot water
- pump
- tank
- way val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9—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connected to a supp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0—Pump mechanis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67D1/1279—Flow control valves regulating the flo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위생면에서 우수하면서 또한 살균 운전시에도 저온의 음료수를 이용할 수 있는 워터 서버를 제공한다. 냉수 탱크(2)와, 원수 용기(3)와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수 급출관(5)과, 원수 급출관(5) 도중에 설치된 펌프(6)와, 온수 탱크(7)와, 온수 탱크(7)의 위쪽에 배치된 버퍼 탱크(8)와, 버퍼 탱크(8)와 온수 탱크(7) 사이를 연통시키는 온수 탱크 급수관(9)과, 원수 급출관(5)에 설치된 제1 삼방 밸브(13) 및 제2 삼방 밸브(15)와, 제1 삼방 밸브(13)와 버퍼 탱크(8) 사이를 연통시키는 버퍼 탱크 급수관(14)과, 제2 삼방 밸브(15)와 온수 탱크(7) 사이를 연통시키는 순환용 배관(16)을 갖는 구성을 워터 서버에 채용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server that is excellent in hygiene and can use low-temperature beverage even in sterilization operation. A raw water supply pipe 5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raw water tank 3 and the cold water tank 2; a pump 6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5; a hot water tank 7; A hot water tank water pipe 9 communicating between the buffer tank 8 and the hot water tank 7 and a hot water tank water pipe 9 provided in the raw water supply pipe 5, A first three-way valve 13 and a second three-way valve 15, a buffer tank water supply pipe 14 communicating between the first three-way valve 13 and the buffer tank 8, And a circulation pipe (16)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tanks (7) is adopted for the water serv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네랄 워터 등의 음료수를 충전한 교환식의 원수 용기로부터 음료수를 공급하는 워터 서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종래, 주로 사무실이나 병원 등에서 워터 서버가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 물의 안전이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일반 가정에도 워터 서버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워터 서버로서, 교환식의 원수 용기를 하우징 상면에 셋트하여, 그 원수 용기에 충전된 음료수를 하우징 내에 수용한 냉수 탱크에 중력 낙하시키도록 한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 Conventionally, a water server has been mainly used in an office or a hospital. Recently, interest in water safety and health has increased, and a water server has been spreading in a general home. As such a water server, it is generally known that an exchangeable raw water container is se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beverage water filled in the raw water container is dropped by gravity into a cold water tank accommodated in the housing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의 워터 서버는, 원수 용기가 하우징 상면에 셋트되어 있기 때문에, 원수 용기를 교환할 때에, 만수(滿水) 상태의 원수 용기를 높게 들어올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만수 상태의 원수 용기는, 통상 10~12 리터 정도의 음료수가 수용되어 있어, 10 kg 이상의 중량이 있기 때문에, 워터 서버의 사용자(특히 여성이나 고령자 등)에게 있어서, 원수 용기의 교환 작업은 힘든 일이었다. In the water server of
그래서,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원수 용기의 교환을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하우징 하부에 원수 용기를 셋트하는 타입의 워터 서버를 검토했다. Therefore,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tudied a water server of the type in which a raw water container is set under the housing in order to facilitate the exchange of the raw water container.
이 워터 서버는, 도 1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냉수 탱크(50)와, 냉수 탱크(50)에 보급하기 위한 음료수가 충전된 교환식의 원수 용기(51)와, 원수 용기(51)와 냉수 탱크(50)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수 급출관(汲出管)(52)과, 원수 급출관(52) 도중에 설치된 펌프(53)와, 냉수 탱크(50)의 아래쪽에 배치된 온수 탱크(54)와, 냉수 탱크(50) 내의 음료수를 그 자신의 중량으로 온수 탱크(54) 내에 도입하는 탱크 접속관(55)과, 온수 탱크(54) 내의 음료수를 가열하는 히터(56)를 갖는다. 냉수 탱크(50)의 내부에는, 냉수 탱크(50) 내의 음료수를 위아래로 구획하는 배플판(57)이 설치되어 있다. 배플판(57)의 중앙에는 탱크 접속관(55)의 상단이 개구되어 있다. 17, the water server includes a
냉수 탱크(50) 내의 저온의 음료수는, 냉수 코크(58)의 조작에 의해, 냉수 탱크(50)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냉수 주출관(注出管)(59)을 지나 외부로 주출한다. 이 때, 냉수 탱크(50) 안의 음료수가 감소한다. 그리고, 냉수 탱크(50) 안의 수위가 소정 수위를 밑돌면, 펌프(53)가 구동되어, 원수 용기(51)의 음료수가 원수 급출관(52)을 지나 냉수 탱크(50)에 퍼내어진다. 여기서, 배플판(57)은, 냉수 탱크(50)의 하부에 저류된 저온의 음료수가 원수 용기(51)로부터 보급되는 상온의 음료수로 교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냉수 주출관(59)으로부터 주출되는 음료수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 The low temperature beverage in the
온수 탱크(54) 내의 고온의 음료수는, 온수 코크(60)의 조작에 의해, 온수 탱크(54)의 상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온수 주출관(61)을 지나 외부로 주출된다. 이 때, 냉수 탱크(50) 내의 배플판(57)보다도 위쪽에 있는 음료수가 그 자신의 중량에 의해서 탱크 접속관(55)을 지나 온수 탱크(54) 내에 도입된다. 여기서, 냉수 탱크(50) 내의 배플판(57)보다도 위쪽에 있는 음료수는, 온수 탱크(54)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냉수 탱크(50) 내의 배플판(57)보다도 위쪽에 있는 음료수는, 배플판(57)보다도 아래쪽에 저류된 음료수에 대하여 비교적 온도가 높기 때문에, 배플판(57)보다도 위쪽에 있는 음료수를 온수 탱크(54)의 급수에 이용함으로써, 냉수 탱크(50) 및 온수 탱크(54)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The hot beverage in the
본원의 발명자는, 도 17에 도시하는 워터 서버를 사내에서 시작하여 평가한 바, 위생면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inven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evaluated the water server shown in Fig. 17 starting from inside the company and found that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hygiene.
즉, 냉수 탱크(50) 내에서 냉각된 저온의 음료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우선 냉수 탱크(50)의 하부에 저류된다. 또한, 냉수 탱크(50) 내의 음료수는 배플판(57)으로 위아래로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위아래로 열이 전해지기 어렵다. 그 때문에, 냉수 탱크(50) 내의 배플판(57)보다도 위쪽에 있는 음료수는, 완전히 냉각될 때까지 시간이 걸리고, 비교적 온도가 높다. 또한, 냉수 탱크(50)와 온수 탱크(54)가 탱크 접속관(55)을 통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 탱크(54) 내의 고온의 음료수가 탱크 접속관(55)을 지나 냉수 탱크(50)에 침입할 우려가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냉수 탱크(50) 내의 배플판(57)보다도 위쪽에 있는 음료수는 온도가 높아지기 쉽다. That is, the low-temperature beverage cooled in the
그리고, 냉수 탱크(50) 내의 배플판(57)보다도 위쪽 영역에서, 어떠한 요인으로 일단 음료수의 온도가 상승해 버리면, 그 음료수를 다시 냉각하여 저온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냉수 탱크(50) 내에서 잡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water once rises due to some factor in the region above the
또한, 본원의 발명자는, 냉수 탱크(50)에서의 잡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온수 탱크(54)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이용하여 냉수 탱크(50) 내부를 살균하는 것을 검토했지만, 이와 같이 하면, 냉수 탱크(50)를 살균하고 있는 동안, 사용자가 저온의 음료수를 이용할 수 없어 불편하다. 또한, 냉수 탱크(50)를 살균하고 있는 동안, 사용자가 저온의 음료수를 주출할 생각으로 냉수 탱크(50)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하면, 살균 운전 중인 고온의 음료수가 주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위험도 있다. The inven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studied the sterilization of the inside of th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위생면에서 우수하면서 또한 살균 운전시에도 저온의 음료수를 이용할 수 있는 워터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erver that is superior in terms of hygiene and can use low-temperature beverage even in sterilization operation.
본원의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냉수 탱크 내의 배플판보다도 위쪽의 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을 냉수 탱크로부터 분리하여 냉수 탱크와는 별개의 버퍼 탱크로 하면,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안정적으로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냉수 탱크 내에서의 잡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온수 탱크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이용하여 버퍼 탱크를 살균할 때에, 냉수 탱크를 지나지 않고서 살균을 행하도록 하면, 살균 운전시에도 냉수 탱크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착상을 얻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inven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found that, when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region above the baffle plate in the cold water tank is separated from the cold water tank to form a buffer tank separate from the cold water tan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germs in the cold water tank and to sterilize the buffer tank by using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ld water tank , And the low-temperature drinking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can be used even in sterilization operation.
이 착상에 기초하여, 본원의 발명자는 이하의 구성을 워터 서버에 채용한 것이다. Based on this conception, the inven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employ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a water server.
외부로 주출하기 위한 저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냉수 탱크와, 그 냉수 탱크에 보급하기 위한 음료수가 충전된 교환식의 원수 용기와, 그 원수 용기와 상기 냉수 탱크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수 급출관과, 그 원수 급출관 도중에 설치된 펌프와, 외부로 주출하기 위한 고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온수 탱크와, 그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온수 탱크의 위쪽에 배치되어, 온수 탱크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할 때에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밀어내기 위한 음료수를 수용하는 버퍼 탱크와, 그 버퍼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 사이를 연통시키는 온수 탱크 급수관과, 상기 원수 급출관 중 상기 펌프와 상기 냉수 탱크 사이 부분에 설치된 제1 삼방 밸브(three-way valve)와, 상기 원수 급출관 중 상기 펌프와 상기 원수 용기 사이 부분에 설치된 제2 삼방 밸브와, 상기 제1 삼방 밸브와 상기 버퍼 탱크 사이를 연통시키는 버퍼 탱크 급수관과, 상기 제2 삼방 밸브와 상기 온수 탱크 사이를 연통시키는 순환용 배관을 포함하고, A cold water tank for containing low temperature beverage water to be poured out, an exchangeable raw water container filled with beverage for supplying to the cold water tank, a raw water supply pipe communicating between the raw water container and the cold water tank, A hot water tank for storing high temperature beverag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outside, a heater for heating the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and a heater disposed above the hot water tank, A hot water tank water supply pipe communicating between the buffer tank and the hot water tank; and a water supply tank water supply pipe communicating between the buffer tank and the cold water tank, A first three-way valve installed at a part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And the second three-way valve is installed on, and a buffer tank supply pipe and to a communication between of the first three-way valve the buffer tank, the circulation pipe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second three-way valve and the hot water tank,
상기 제1 삼방 밸브는, 상기 펌프와 상기 냉수 탱크 사이를 연통시키면서 또한 상기 펌프와 상기 버퍼 탱크 사이를 차단하는 냉수측 접속 위치와, 상기 펌프와 상기 냉수 탱크 사이를 차단하면서 또한 상기 펌프와 상기 버퍼 탱크 사이를 연통시키는 버퍼측 접속 위치 간에 유로를 전환할 수 있게 구성되고, The first three-way valve includes a cold water side connecting position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pump and the cold water tank and for blocking off between the pump and the buffer tank and a cold water side connecting position for shutting off the pump and the cold water tank, And a buffer side connection position for connecting the tanks to each other,
상기 제2 삼방 밸브는, 상기 펌프와 상기 원수 용기 사이를 연통시키면서 또한 상기 펌프와 상기 온수 탱크 사이를 차단하는 원수측 접속 위치와, 상기 펌프와 상기 원수 용기 사이를 차단하면서 또한 상기 펌프와 상기 온수 탱크 사이를 연통시키는 온수측 접속 위치 간에 유로를 전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The second three-way valve includes a raw water-side connecting position for communicating the pump and the raw water container, and for blocking off between the pump and the hot water tank, and a raw water-side connecting position for shutting off the pump and the raw water container, And the hot water side connecting position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tanks.
이와 같이 하면, 온수 탱크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할 때에, 냉수 탱크와는 별개의 버퍼 탱크 내의 음료수가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버퍼 탱크와 냉수 탱크 사이가 제1 삼방 밸브로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버퍼 탱크에 연통되는 온수 탱크 내의 고온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 내의 저온의 음료수에 침입할 우려가 없다. 즉,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밀어내기 위한 음료수와, 냉수 탱크 내의 저온의 음료수가 분리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안정적으로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냉수 탱크 내에서의 잡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삼방 밸브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제2 삼방 밸브를 순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펌프를 구동함으로써, 온수 탱크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원수 급출관 및 버퍼 탱크로 보내어, 원수 급출관 및 버퍼 탱크를 살균할 수 있다. 이 때, 온수 탱크 내의 고온의 음료수는 냉수 탱크를 지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살균 운전시에도 냉수 탱크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이용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hot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beverage in the buffer tank separate from the cold water tank pushes the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to the outside. In addition, since the buffer tank and the cold water tank are interrupted by the first three-way valve,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hot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communicating with the buffer tank intrudes into the cold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That is, the beverage water for pushing the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to the outside and the low-temperatur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can be stably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and the propagation of the germs in the cold water tank can be prevented. Furthermore, by driving the pump with the first three-way valve at the buffer side connection position and the second three-way valve at the circulation side connection position, high-temperature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is sent to the raw water supply pipe and buffer tank, The outlet and buffer tank can be sterilized. At this time, since the high-temperature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does not pass through the cold water tank, the user can use the low-temperatur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even in the sterilization operation.
상기 제1 삼방 밸브와 상기 제2 삼방 밸브와 상기 펌프와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irst three-way valve, the second three-way valve, the pump, and the heat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이 때 제어 장치는, At this time,
통상 운전시에는, 상기 냉수 탱크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수위를 밑돌았을 때는 상기 제1 삼방 밸브를 냉수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상기 제2 삼방 밸브를 원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한편, 상기 버퍼 탱크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수위를 밑돌았을 때는 상기 제1 삼방 밸브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상기 제2 삼방 밸브를 원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수위 제어와, 상기 온수 탱크 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온도보다도 낮아졌을 때에 상기 히터를 ON으로 하여 온수 탱크 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 제어를 행하고, When the water level in the cold water tank is lower than a preset lower limit level, the pump is driven with the first three-way valve at the cold water side connecting position and the second three-way valve at the raw water- And when the water level in the buffer tank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lower limit level, the water level driving the pump in a state where the first three-way valve is at the buffer side connection position and the second three- And when the temperature in the hot water tank becomes lower than a predetermined lower limit temperature, the heater is turned on to perform heater control for raising the temperature in the hot water tank,
살균 운전시에는, 상기 수위 제어를 중지하고, 상기 제1 삼방 밸브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상기 제2 삼방 밸브를 순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물 순환 제어와, 상기 히터 제어를 병행하여 실시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Water circulation control for stopping the water level control and driving the pump with the first three-way valve at the buffer side connection position and the second three-way valve at the circulation side connection position, Heater control may be employed in parallel.
이와 같이 하면, 살균 운전시에는, 원수 급출관 및 상기 버퍼 탱크를 지나 음료수가 순환하는 동시에, 이 순환하는 음료수의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고온의 음료수로 원수 급출관 및 상기 버퍼 탱크를 확실하게 살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살균 운전시에는 수위 제어를 중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냉수 탱크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하여 냉수 탱크 내의 수위가 저하되어도, 원수 급출관을 지나 순환하는 고온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 내에 공급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어,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during the sterilizing operation, since the beverage is circulated through the raw water supply pipe and the buffer tank and the temperature of the circulating beverage rises, the raw water supply pipe and the buffer tank are reliably sterilized . In addition, since the water level control is stopped at the time of sterilizing operation, even if the user drains the low-temperatur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to the outside and the water level in the cold water tank lowers, the hot beverage water circulated through the raw water supply pipe is supplied into the cold water tank So that th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can be kept at a low temperature.
또한, 상기 물 순환 제어에 있어서의 펌프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펌프를 소정 시간만 연속해서 구동하는 동작과, 상기 히터 제어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 내의 온도가 소정의 고온으로 상승할 때까지 상기 펌프를 정지 상태로 유지하는 동작을 교대로 반복하는 간헐 구동을 채용하면 바람직하다. The method for driving the pump in the water circulation control may further include driving the pump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stopping the pump until the temperature in the hot water tank rises to a predetermined high temperature by the heater control, It is preferable to employ an intermittent drive which alternately repeats the operation of keeping the apparatus in a stationary state.
즉, 펌프의 구동 방법으로서, 살균 운전을 시작하고 나서 살균 운전을 종료할 때까지 동안에 펌프를 정지시키지 않고서 연속해서 구동시키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와 같이 한 경우, 순환하는 음료수의 온도가 살균 온도로 상승하지 않은 동안에도 끊임없이 펌프가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1회의 살균 운전에 필요한 펌프의 총 회전수가 커져, 펌프의 수명 확보의 관점에서 살균 운전의 빈도를 억제할 필요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예컨대, 일주일에 1회 이하와 같은 횟수 제한이 필요하게 될 가능성이 있음). 그래서, 상기한 것과 같이, 살균 운전시에는, 펌프를 소정 시간만 연속해서 구동하는 동작과, 히터 제어에 의해 온수 탱크 내의 온도가 소정의 고온으로 상승할 때까지 펌프를 정지 상태로 유지하는 동작을 교대로 반복하는 간헐 구동에 의해 펌프를 구동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펌프가 정지한 상태에서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그 온도가 소정의 고온으로 상승했을 때만 펌프를 구동하기 때문에, 순환하는 음료수의 온도를 살균 온도로 상승시키는 데 필요한 펌프의 총 회전수가 작아져, 1회의 살균 운전에 필요한 펌프의 총 회전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살균 운전의 빈도를 높이더라도(예컨대 하루에 1회 정도로 하여도), 펌프의 수명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a method of driving the pump,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method in which the pump is continuously driven without stopping the pump from the start of the sterilization operation to the end of the sterilization operation. However, in such a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requency of the sterilization operation needs to be suppressed from the viewpoint of ensuring the life of the pump because the pump is constantly rotating even when the sterilization temperature does not rise For example, a frequency limit of once a week or less may be required). As described above, during the sterilizing operation, the operation of continuously driving the pump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operation of maintaining the pump in the stopped state until the temperature in the hot water tank rises to the predetermined high temperature by the heater control It is preferable to drive the pump by intermittent driving alternately and repeatedly. In this case, since the pump is driven on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is raised while the pump is stopped and the temperature rises to the predetermined high temperature, the pump required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circulating beverage to the sterilization temperature The total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pump required for one sterilization operation can be suppressed. Therefore, even if the frequency of the sterilization operation is increased (for example, even once per day), the life of the pump can be ensured.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살균 운전시에 상기 펌프를 구동할 때의 펌프의 회전 속도가 통상 운전시에 상기 펌프를 구동할 때의 펌프의 회전 속도보다도 저속으로 되게 상기 펌프를 구동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살균 운전시의 펌프의 구동음을 저감할 수 있어, 심야에 실시할 것이 상정되는 살균 운전시의 정숙성을 확보할 수 있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control device drives the pump so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ump when driving the pump during the sterilizing operation becomes lower tha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ump when the pump is driven during normal operation .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riving noise of the pump at the time of the sterilization operation,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quietness at the time of sterilization operation, which is supposed to be performed at night.
상기 순환용 배관의 온수 탱크 측의 단부를 상기 온수 탱크의 상면에 접속하고, The end of the circulating pipe on the hot water tank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t water tank,
상기 제어 장치는, 빈 온수 탱크에 급수할 때에, 상기 제1 삼방 밸브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상기 제2 삼방 밸브를 원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상기 히터를 OFF로 한 채로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원수 퍼올리기 동작과, 상기 제1 삼방 밸브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상기 제2 삼방 밸브를 순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상기 히터를 OFF로 한 채로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비가열 순환 동작을 교대로 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Wherein said control device controls said pump so as to supply water to said empty water tank while keeping said first three-way valve at a buffer side connection position and said second three- A non-heating cycle in which the pump is driven while the heater is turned off with the first three-way valve at the buffer side connection position and the second three-way valve at the circulation side connection position,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alternately performed.
이와 같이 하면, 빈 온수 탱크에 급수할 때(예컨대, 신품의 서버에 음료수를 맨 처음 도입할 때나, 메인터넌스를 위해 음료수를 빼낸 이미 설치된 서버에 다시 음료수를 도입할 때)에, 온수 탱크에 확실하게 급수할 수 있게 되어, 히터가 물 없이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empty hot water tank (for example, when the beverage is first introduced into a new server or when the beverage is introduced again to the already installed server in which the beverage is taken out for maintenance) Water can be supplied, and the heater can be prevented from operating without water.
즉, 빈 온수 탱크에 급수할 때, 온수 탱크에 도입되는 음료수와 동량의 공기를 온수 탱크로부터 배출할 필요가 있고, 이 공기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온수 탱크에 음료수를 도입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버퍼 탱크에 급수하더라도, 버퍼 탱크에서 온수 탱크로 음료수가 여간해서 이동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온수 탱크 내의 수위가 오르지 않는 채로 히터가 ON으로 되면, 히터가 물 없이 작동하는 상태가 된다. 히터가 일단 물 없이 작동하는 상태가 되면, 그 후, 온수 탱크가 음료수로 채워졌을 때에, 음료수에 이상한 냄새가 배거나 음료수의 맛이 나빠지거나 하는 문제가 생긴다. That is,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empty hot water tank,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air of the same amount as that of the beverage to be introduced into the hot water tank from the hot water tank, and drinking water can not be introduced into the hot water tank unless this air is discharged smoothl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even if water is supplied to the buffer tank, the beverage does not move from the buffer tank to the hot water tank. Then, when the heater is turned ON while the water level in the hot water tank is not raised, the heater is in a state of operating without water. Once the heater is in a state of being operated without 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hot water tank is filled with the drinking water, the odorous odor is lost in the beverage and the taste of the beverage is deteriorated.
그래서, 상기한 것과 같이, 빈 온수 탱크에 급수할 때는, 상기 제1 삼방 밸브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상기 제2 삼방 밸브를 원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상기 히터를 OFF로 한 채로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원수 퍼올리기 동작과, 상기 제1 삼방 밸브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상기 제2 삼방 밸브를 순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상기 히터를 OFF로 한 채로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비가열 순환 동작을 교대로 행하도록 구성하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원수 퍼올리기 동작을 하고 있을 때는, 원수 용기의 음료수가 원수 급출관과 제1 삼방 밸브와 버퍼 탱크 급수관을 순서대로 지나 버퍼 탱크에 도입되어, 버퍼 탱크 안의 수위가 상승한다. 또한, 비가열 순환 동작을 하고 있을 때는, 온수 탱크의 상부에 모인 공기가 순환용 배관으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적어도 그 배출된 공기와 동량의 음료수가 버퍼 탱크에서 온수 탱크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원수 퍼올리기 동작에 의한 버퍼 탱크로의 음료수의 퍼올리기와, 비가열 순환 동작에 의한 버퍼 탱크에서 온수 탱크로의 음료수의 이동이 교대로 이루어지고, 그 결과, 온수 탱크에 확실하게 급수할 수 있다. Thus, as described above,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empty hot water tank, while the first three-way valve is kept at the buffer side connection position and the second three-way valve is set at the raw water side connection position, A pump for driving the pump while the first three-way valve is in the buffer side connection position and the second three-way valve is in the circulation side connection position while the heater is turned off; It is preferable to alternately perform the thermal circulation operation. Accordingly, when the water raising operation is being performed, the drinking water of the raw water container sequentially flows through the raw water supply pipe, the first three-way valve, and the buffer tank water supply pipe into the buffer tank, and the water level in the buffer tank rises. In addition, when the non-heated circulation operation is performed, since the air collected at the upper part of the hot water tank is discharged from the circulation pipe, at least the same amount of beverage as the discharged air moves from the buffer tank to the hot water tank. As described above, the beverage is pumped up into the buffer tank by the raising operation of the raw water and the beverage is moved from the buffer tank to the hot water tank by the non-heating circulation operation alternately. As a result, can do.
더욱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비가열 순환 동작을 행한 직후의 상기 버퍼 탱크 안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때에, 상기 히터를 ON으로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히터가 물 없이 작동으로 되지 않는 타이밍에 자동적으로 히터를 ON으로 할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control device may be configured to turn on the heater when it is judged that the water level in the buffer tank immediately after the non-heated circulation operation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In this way, the heater can be automatically turned ON at a timing when the heater is not operated without water.
상기 온수 탱크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하는 온수 주출관의 온수 탱크 측의 단부를 온수 탱크의 상면에서부터 아래쪽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 개구시키고, 상기 순환용 배관의 온수 탱크 측의 단부를 상기 온수 주출관의 온수 탱크 측의 단부의 개구 위치보다도 위쪽 위치에 개구시키면 바람직하다. The end of the hot water supply pipe for discharging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to the outside is open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t water tank and the end of the hot water tank side of the circulating pipe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It is preferable to open it at a position above the opening position of the end of the main outlet on the hot water tank side.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가 온수 탱크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주출할 때에, 온수 주출관으로부터 고온의 공기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igh-temperature air from being ejected from the hot water casting outlet when the user delivers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즉,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히터가 가열했을 때에, 음료수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음료수에 녹아 들어가 있었던 공기가 석출되어, 온수 탱크 내에 모이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 온수 탱크 내에 모인 공기가,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주출할 때에, 온수 주출관으로부터 분출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상기한 것과 같이, 온수 주출관의 온수 탱크 측의 단부를 온수 탱크의 상면에서부터 아래쪽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 개구시키고, 상기 순환용 배관의 온수 탱크 측의 단부를 상기 온수 주출관의 온수 탱크 측의 단부의 개구 위치보다도 위쪽 위치에 개구시키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온수 주출관의 온수 탱크 측의 단부가 온수 탱크의 상면에서 아래쪽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 개구되기 때문에, 온수 탱크의 상면을 따라서 모인 공기가 온수 주출관에 도입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온수 탱크의 상면을 따라서 모인 공기는, 살균 운전시에 순환용 배관을 지나 온수 탱크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온수 탱크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주출할 때에, 온수 주출관으로부터 고온의 공기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is heated, as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water rises, the air that has melted in the beverage water is precipitated and collected in the hot water tank. Then, when the air collected in the hot water tank exhales the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ir is ejected from the hot water extracting pipe. As described above, the end of the hot water injection pipe on the hot water tank side is open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t water tank, and the end of the circulation pipe on the hot water tank side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It is preferable to open it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opening position of the end portion on the side of the end. In this case, since the end of the hot water casting tube on the hot water tank side is open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t water tank, air gather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t water tank is hardly introduced into the hot water casting tube. The air collect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t water tank is discharged from the hot water tank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at the time of sterilizing oper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igh temperature air from being blown out from the hot water casting outlet when the user delivers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본 발명의 워터 서버는,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밀어내기 위한 음료수와, 냉수 탱크 내의 저온의 음료수가 분리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안정적으로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고, 냉수 탱크 내에서의 잡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삼방 밸브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제2 삼방 밸브를 순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펌프를 구동함으로써, 온수 탱크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원수 급출관 및 버퍼 탱크로 보내어, 원수 급출관 및 버퍼 탱크를 살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워터 서버는,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저온으로 유지함으로써 냉수 탱크 내에서의 잡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원수 용기로부터 퍼내어진 비교적 온도가 높은 음료수에 닿는 원수 급출관 및 버퍼 탱크를 고온의 음료수로 살균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면에서 우수하다. 또한, 온수 탱크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이용하여 원수 급출관 및 버퍼 탱크를 살균할 때, 그 음료수는 냉수 탱크를 지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살균 운전시에도 냉수 탱크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이용할 수 있다.In the water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water for pushing the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to the outside and the low-temperatur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can be stably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and the propagation of the germs in the cold water tank can be prevented. By driving the pump with the first three-way valve at the buffer side connection position and the second three-way valve at the circulation side connection position, high-temperature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is sent to the raw water supply pipe and buffer tank, The outlet and buffer tank can be sterilized.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propagation of germs in the cold water tank by keeping th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at a low temperature,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the propagation of germs in the cold water tank, Since the buffer tank can be sterilized with hot beverage, it is excellent in hygiene. Further, when the raw water supply pipe and the buffer tank are sterilized by using the high-temperature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since the beverage does not pass through the cold water tank, the user can use the low-temperatur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even in the sterilization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의 통상 운전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워터 서버의 살균 운전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워터 서버의 신품 상태(냉수 탱크, 온수 탱크, 버퍼 탱크가 모두 빈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워터 서버에 원수 용기를 셋트하여, 냉수 탱크에의 급수 동작을 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버퍼 탱크에의 원수 퍼올리기 동작을 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원수 퍼올리기 동작을 한 후에, 비가열 순환 동작을 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냉수 탱크로부터 저온의 음료수를 주출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온수 탱크로부터 고온의 음료수를 주출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하는 용기 홀더를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용기 홀더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도 7에 도시하는 안내판 근방의 확대 단면도, (b)는 (a)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하는 히터로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가열했을 때에, 음료수에 녹아 들어가 있었던 공기가 석출되어 기포로 되어, 온수 탱크의 상부에 모인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워터 서버의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하는 제어 장치에 의한 수위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하는 제어 장치에 의한 온수 탱크의 히터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하는 제어 장치에 의한 물 순환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도시하는 제어 장치에 의해 빈 온수 탱크에 급수를 할 때의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원의 발명자가 사내에서 시험 제작하여 평가한 참고예의 워터 서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server in a normal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water server of Fig. 1 at the time of sterilizing opera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new state of the water server of Fig. 1 (a cold water tank, a hot water tank, and a buffer tank are both empty).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aw water container is set in the water server of FIG. 3 to perform a water supply operation to the cold water tank.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when the raw water pump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buffer tank shown in Fig. 4;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when the raw water raising operation of Fig. 5 is performed and then the non-heating circulation operation is performed.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low-temperature beverage is being fed from the cold water tank shown i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hot beverage water is being fed from the hot water tank shown in Fig.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holder shown in Fig. 1 in the vicinity of the container holde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holder is pulled out of the housing. Fig.
10 (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cinity of the guide plate shown in Fig. 7, and Fig. 10 (b)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BB of Fig.
Fig.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hen the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is heated by the heater shown in Fig. 1, the air that has melted in the beverage has precipitated into bubbles and is collect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t water tank.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apparatus of the water server of 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the water level control by th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the heater control of the hot water tank by th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Fig. 15 is a flowchart showing the water circulation control by th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12;
FIG. 16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empty hot water tank by th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12;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server of a reference example which has been experimentally manufactured and evaluated in-house b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를 도시한다. 이 워터 서버는, 하우징(1)과, 하우징(1)의 외부로 주출하기 위한 저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냉수 탱크(2)와, 냉수 탱크(2)에 보급하기 위한 음료수가 충전된 교환식의 원수 용기(3)와, 원수 용기(3)를 지지하는 용기 홀더(4)와, 원수 용기(3)와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수 급출관(5)과, 원수 급출관(5) 도중에 설치된 펌프(6)와, 하우징(1)의 외부로 주출하기 위한 고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온수 탱크(7)와, 온수 탱크(7)의 위쪽에 배치된 버퍼 탱크(8)와, 버퍼 탱크(8)와 온수 탱크(7) 사이를 연통시키는 온수 탱크 급수관(9)을 갖는다. Fig. 1 shows a water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ater server includes a
원수 급출관(5)의 상류 측의 단부에는, 원수 용기(3)의 물 출구(11)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조인트부(5a)가 마련되어 있다. 원수 급출관(5)의 하류 측의 단부는 냉수 탱크(2)에 접속되어 있다. 이 원수 급출관(5)은, 조인트부(5a)보다도 낮은 위치를 지나도록, 조인트부(5a)에서 아래쪽으로 연장하여나온 후, 위쪽으로 방향을 바꾸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수 급출관(5)의 조인트부(5a)보다도 낮은 부분에 펌프(6)가 배치되어 있다. A
펌프(6)는, 원수 급출관(5) 내의 음료수를 원수 용기(3) 측에서 냉수 탱크(2) 측으로 이송하여, 이 원수 급출관(5)을 통하여 원수 용기(3)로부터 음료수를 퍼낸다. 펌프(6)로서는, 예컨대 다이어프램 펌프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 펌프는, 왕복 운동하는 도시하지 않는 다이어프램과, 이 다이어프램의 왕복 운동에 의해 용적이 증감하는 펌프실과, 이 펌프실에 형성된 흡입구 및 토출구와, 펌프실 내에 유입되는 방향의 흐름만을 허용하도록 흡입구에 설치된 흡입측 체크 밸브와, 펌프실로부터 유출되는 방향의 흐름만을 허용하도록 토출구에 설치된 토출측 체크 밸브를 가지며, 다이어프램의 왕동(往動)에 의해 펌프실의 용적이 증가할 때에 흡입구로부터 음료수를 흡입하고, 다이어프램의 복동(復動)에 의해 펌프실의 용적이 감소할 때에 토출구로부터 음료수를 토출하는 것이다. The
또한, 펌프(6)로서 기어 펌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어 펌프는, 도시하지 않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 내에 수용된 상호 맞물리는 한 쌍의 기어와, 이 한 쌍의 기어의 맞물림 부분을 통해 구획된 케이싱 내의 흡입실 및 토출실을 가지며, 각 기어의 이홈과 케이싱의 내면과의 사이에 가둬진 음료수를 기어의 회전에 의해 흡입실 측에서 토출실 측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gear pump as the
원수 급출관(5)의 펌프(6)의 토출 측에는 유량 센서(12)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 센서(12)는, 펌프(6)의 구동시에 원수 급출관(5) 내의 음료수의 흐름이 없어지면, 그 상태를 검지한다. 이 때, 하우징(1)의 정면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용기 교환 램프가 점등되어, 원수 용기(3)의 교환 시기임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A
원수 급출관(5) 중 펌프(6)와 냉수 탱크(2) 사이 부분(바람직하게는 원수 급출관(5)의 냉수 탱크(2) 측의 단부)에는 제1 삼방 밸브(13)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냉수 탱크(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제1 삼방 밸브(13)를 배치하고 있지만, 제1 삼방 밸브(13)는 냉수 탱크(2)에 직접 접속하여도 좋다. 이 제1 삼방 밸브(13)에는, 제1 삼방 밸브(13)와 버퍼 탱크(8) 사이를 연통시키는 버퍼 탱크 급수관(14)이 접속되어 있다. 버퍼 탱크 급수관(14)의 버퍼 탱크(8) 측의 단부는, 버퍼 탱크(8)의 상면(8a)에 접속되어 있다. A first three-
제1 삼방 밸브(13)는, 펌프(6)와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시키면서 또한 펌프(6)와 버퍼 탱크(8) 사이를 차단하는 냉수측 접속 위치(도 1 참조)와, 펌프(6)와 냉수 탱크(2) 사이를 차단하면서 또한 펌프(6)와 버퍼 탱크(8) 사이를 연통시키는 버퍼측 접속 위치(도 2 참조) 간에 유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삼방 밸브(13)는, 통전함으로써 냉수측 접속 위치에서 버퍼측 접속 위치로 전환되고, 통전을 해제함으로써 버퍼측 접속 위치에서 냉수측 접속 위치로 전환되는 전자 밸브를 채용하고 있다. The first three-
원수 급출관(5) 중 펌프(6)와 원수 용기(3) 사이 부분(바람직하게는 원수 급출관(5)의 원수 용기(3) 측의 단부)에는 제2 삼방 밸브(15)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조인트부(5a)에서 떨어진 위치에 제2 삼방 밸브(15)를 배치하고 있지만, 제2 삼방 밸브(15)는 조인트부(5a)에 직접 접속하여도 좋다. 이 제2 삼방 밸브(15)에는, 제2 삼방 밸브(15)와 온수 탱크(7) 사이를 연통시키는 순환용 배관(16)이 접속되어 있다. 순환용 배관(16)의 온수 탱크(7) 측의 단부는 온수 탱크(7)의 상면(7a)에 접속되어 있다. A second three-
제2 삼방 밸브(15)는, 펌프(6)와 원수 용기(3) 사이를 연통시키면서 또한 펌프(6)와 온수 탱크(7) 사이를 차단하는 원수측 접속 위치(도 1 참조)와, 펌프(6)와 원수 용기(3) 사이를 차단하면서 또한 펌프(6)와 온수 탱크(7) 사이를 연통시키는 온수측 접속 위치(도 2 참조) 간에 유로를 전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삼방 밸브(15)는, 제1 삼방 밸브(13)와 마찬가지로, 통전함으로써 원수측 접속 위치에서 온수측 접속 위치로 전환되고, 통전을 해제함으로써 온수측 접속 위치에서 원수측 접속 위치로 전환되는 전자 밸브를 채용하고 있다. The second three-
도면에서는, 제1 삼방 밸브(13)와 제2 삼방 밸브(15)를 각각 단일의 밸브로 구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복수의 이방 밸브를 조합시켜 동일한 작용을 갖는 삼방 밸브를 구성하여도 좋다. In the drawing, the first three-
냉수 탱크(2)는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2층으로 수용하고 있다.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수용된 음료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17)가 부착되어 있다. 냉각 장치(17)는, 냉수 탱크(2)의 하부 외주에 배치되어,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를 저온(5℃ 정도)으로 유지하게 되어 있다. The cold water tank (2) houses air and beverage in two upper and lower floors. The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저류된 음료수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센서(18)가 부착되어 있다. 이 수위 센서(18)에서 검지되는 수위가 내려가면, 그 수위의 저하에 따라서, 제1 삼방 밸브(13)가 냉수측 접속 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 펌프(6)가 작동하여, 원수 용기(3)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가 퍼올려진다. In the
도 10의 (a),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냉수 탱크(2)의 내부에는, 원수 용기(3)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가 퍼올려질 때에, 원수 급출관(5)에서 냉수 탱크(2) 안으로 흘러들어오는 연직 방향의 음료수의 흐름을 수평 방향의 흐름으로 바꾸는 안내판(19)이 설치되어 있다. 안내판(19)은, 냉수 탱크(2)의 하부에 저류된 저온의 음료수가 원수 급출관(5)으로부터 냉수 탱크(2) 내에 유입되는 상온의 음료수로 교반되는 것을 방지한다. 10 (a) and 10 (b), inside the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냉수 탱크(2)의 바닥면에는,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하는 냉수 주출관(20)이 접속되어 있다. 냉수 주출관(20)에는, 하우징(1)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냉수 코크(21)가 설치되고, 이 냉수 코크(21)를 개방함으로써 냉수 탱크(2)로부터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냉수 탱크(2)의 음료수의 용량은, 원수 용기(3)의 용량보다도 작으며, 2~4 리터 정도이다. As shown in Fig. 1, a cold
냉수 탱크(2)에는, 공기 도입로(22)를 통해 공기 살균 챔버(23)가 접속되어 있다. 공기 살균 챔버(23)는, 공기 도입구(24)가 형성된 중공의 케이스(25)와, 케이스(25) 내에 설치된 오존 발생체(26)로 이루어진다. 오존 발생체(26)로서는, 예컨대, 공기 속의 산소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저압수은등이나, 절연체로 덮인 대향 한 쌍의 전극 사이에 교류 전압을 부하하여 전극 사이의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무성 방전 장치(silent discharge devic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공기 살균 챔버(23)는, 일정 시간마다 오존 발생체(26)에 통전하여 오존을 발생함으로써, 항상 케이스(25) 내에 오존이 고인 상태가 된다.An
공기 도입로(22)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의 저하에 따라서 냉수 탱크(2) 내에 공기를 도입하여 냉수 탱크(2) 내부를 대기압으로 유지한다. 또한, 이 때 냉수 탱크(2) 내에 도입되는 공기가 공기 살균 챔버(23)를 통과하여 오존 살균된 공기이기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공기는 청정하게 유지된다. The
버퍼 탱크(8)는,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2층으로 수용하고 있다. 버퍼 탱크(8)의 상면(8a)에는 통기관(27)이 접속되어 있다. 통기관(27)은, 버퍼 탱크(8) 내의 공기층과 냉수 탱크(2) 내의 공기층 사이를 연통함으로써, 버퍼 탱크(8) 내부를 대기압으로 유지하고 있다. The
버퍼 탱크(8)에는, 버퍼 탱크(8) 내에 저류된 음료수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센서(10)가 부착되어 있다. 이 수위 센서(10)에서 검지되는 수위가 내려가면, 그 수위의 저하에 따라서, 제1 삼방 밸브(13)가 버퍼측 접속 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 펌프(6)가 작동하여, 원수 용기(3)로부터 버퍼 탱크(8)에 음료수가 퍼올려진다. The
버퍼 탱크(8)의 음료수의 용량은 온수 탱크(7)의 용량보다도 작으며, 0.2~0.5 리터 정도이다. 버퍼 탱크(8) 내의 음료수는, 후술하는 것과, 온수 탱크(7)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할 때에 온수 탱크(7)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밀어내기 위한 역할을 갖는다. 그 때문에, 버퍼 탱크(8)는, 위아래로 가늘고 긴 형상(예컨대, 높이가 직경보다도 큰 원통형)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버퍼 탱크(8)의 음료수의 용량이 적더라도, 버퍼 탱크(8)의 하부에 비교적 높은 수압이 발생하기 때문에, 온수 탱크(7)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밀어내는 힘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버퍼 탱크(8) 내의 수면의 위치가 냉수 탱크(2) 내의 수면과 같은 높이나 그보다도 낮게 되도록 버퍼 탱크(8)를 배치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버퍼 탱크(8) 내의 수면의 위치가 냉수 탱크(2) 내의 수면보다도 높아지도록 버퍼 탱크(8)를 배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버퍼 탱크(8)와 온수 탱크(7)의 고저차가 커지기 때문에, 온수 탱크(7)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밀어내는 힘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The capacity of the beverage in the
버퍼 탱크(8)의 바닥면(8b)은, 중심을 향해 점차로 낮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이 바닥면(8b)의 중심에 온수 탱크 급수관(9)이 접속되어 있다. 온수 탱크 급수관(9)은, 버퍼 탱크(8)의 아래쪽에 배치된 온수 탱크(7)에 접속되어 있다. 버퍼 탱크(8)의 바닥면(8b)을 원추형으로 한 것은, 후술하는 살균 운전시에 고온의 음료수를 버퍼 탱크(8)의 바닥면(8b)의 외주 구석에도 널리 퍼지게 하여, 사각(死角)을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The
온수 탱크(7)는, 음료수로 완전히 채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온수 탱크(7)에는, 온수 탱크(7) 내의 음료수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29)와, 온수 탱크(7) 내의 음료수를 가열하는 히터(30)가 부착되어 있다. 온도 센서(29)에서 검지되는 온도에 따라서 히터(30)의 ON·OFF가 전환되고, 온수 탱크(7) 내의 음료수가 고온(90℃ 정도)으로 유지된다. 도면에서는, 히터(30)에 시스 히터(sheath heater)를 채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밴드 히터(band heater)를 채용할 수도 있다. 시스 히터는, 금속제의 파이프 속에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을 수용한 것으로, 온수 탱크(7)의 벽면을 관통하여 온수 탱크(7) 내부를 연장하여나가는 식으로 부착된다. 밴드 히터는,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이 매립된 원통형의 발열체이며, 온수 탱크(7)의 외주에 밀착하여 부착된다. The
온수 탱크(7)의 상면(7a)에는, 온수 탱크(7) 내의 상부에 저류된 고온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하는 온수 주출관(31)이 접속되어 있다. 온수 주출관(31)에는, 하우징(1)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온수 코크(32)가 설치되고, 이 온수 코크(32)를 개방함으로써 온수 탱크(7)로부터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온수 탱크(7)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하면, 버퍼 탱크(8) 내의 음료수가 그 자신의 중량으로 온수 탱크 급수관(9)을 지나 온수 탱크(7) 내에 도입되어, 온수 탱크(7)는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된다. 온수 탱크(7)의 음료수의 용량은 1~2 리터 정도이다. A hot
온수 탱크 급수관(9)은, 온수 탱크(7)의 상면(7a)에서 온수 탱크(7)의 내부를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탱크 내 배관(33)을 갖는다. 탱크 내 배관(33)의 하단은, 온수 탱크(7)의 바닥면 근방에서 개구되어 있다. 탱크 내 배관(33)의 온수 탱크(7)의 상면(7a) 근방에는, 탱크 내 배관(33)의 안팎을 연통시키는 작은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The hot water
온수 주출관(31)의 온수 탱크(7) 측의 단부(31a)는, 온수 탱크(7)의 상면(7a)를 관통하여 온수 탱크(7) 내부를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온수 탱크(7)의 상면(7a)에서부터 아래쪽으로 간격을 둔 위치(예컨대, 온수 탱크(7)의 상면(7a)에서 아래쪽으로 5~15 mm 정도의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온수 탱크 급수관(9)의 탱크 내 배관(33)의 작은 구멍(34)은, 온수 주출관(31)의 온수 탱크(7) 측의 단부(31a)의 개구 위치보다 위쪽 위치에서 개구되어 있다. 또한, 순환용 배관(16)의 온수 탱크(7) 측의 단부(16a)는, 온수 탱크 급수관(9)의 탱크 내 배관(33)의 작은 구멍(34)보다도 위쪽 위치에서 개구되어 있다. The
온수 탱크(7)의 바닥면에는, 하우징(1)의 외부로 연장하는 드레인관(35)이 접속되어 있다. 드레인관(35)의 출구는 플러그(36)로 폐쇄되어 있다. 플러그(36) 대신에 개폐 밸브를 설치하여도 좋다. A drain pipe (35)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t water tank (7). The outlet of the drain pipe (35) is closed by a plug (36). An opening / closing valve may be provided instead of the
도 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원수 용기(3)는, 중공 통 형상의 몸통부(37)와, 그 몸통부(37)의 일단에 형성된 바닥부(38)와, 몸통부(37)의 타단에 숄더부(39)를 통해 형성된 목부(40)를 가지고, 이 목부(40)에 물 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원수 용기(3)의 몸통부(37)는,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원수 용기(3)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원수 용기(3)의 용량은, 만수 상태에서 10~20 리터 정도이다. 9, the
원수 용기(3)로서, 물 출구(11)를 갖는 접속 툴을 열용착 등으로 접착한 수지 필름으로 만든 주머니를 골판지 상자 등의 박스체에 수용한 것(소위 백 인 박스)을 채용하여도 좋다. As the
용기 홀더(4)는, 하우징(1) 내에 원수 용기(3)가 수용되는 수용 위치(도 1의 위치)와, 하우징(1)으로부터 원수 용기(3)가 나오는 인출 위치(도 9의 위치) 사이를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조인트부(5a)는, 도 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용기 홀더(4)를 인출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원수 용기(3)의 물 출구(11)로부터 분리되고,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용기 홀더(4)를 수용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원수 용기(3)의 물 출구(11)에 접속하도록 하우징(1) 내에 고정되어 있다. The
원수 급출관(5)(조인트부(5a)의 부분을 제외함)으로서는, 실리콘 튜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실리콘은 산소 투과성을 가지므로, 실리콘을 투과하는 공기 속의 산소에 의해 원수 급출관(5)에서 잡균이 번식되기 쉽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원수 급출관(5)은, 금속관(예컨대, 스테인리스스틸관이나 동관)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원수 급출관(5)의 관벽을 공기가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수 급출관(5)에서의 잡균의 번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살균 운전시의 내열성도 확보할 수 있다. 원수 급출관(5)으로서 폴리에틸렌 튜브나 내열성 경질 폴리염화비닐의 관을 이용하여도, 원수 급출관(5)의 관벽을 공기가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수 급출관(5)에서의 잡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Although the silicone tube can be used as the raw water supply pipe 5 (excluding the portion of the
제1 삼방 밸브(13)와 제2 삼방 밸브(15)와 펌프(6)와 히터(30)는, 도 12에 도시하는 제어 장치(41)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어 장치(41)에는, 살균 운전 개시 버튼(42)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의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 수위 센서(18)로부터 냉수 탱크(2) 내에 저류된 음료수의 수위를 나타내는 신호, 수위 센서(10)로부터 버퍼 탱크(8) 내에 저류된 음료수의 수위를 나타내는 신호, 온도 센서(29)로부터 온수 탱크(7) 내의 음료수의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가 각각 입력된다. 또한, 제어 장치(41)로부터는, 펌프(6)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 히터(30)의 ON·OFF를 전환하는 제어 신호, 제1 삼방 밸브(13)의 유로를 전환하는 제어 신호, 제2 삼방 밸브(15)의 유로를 전환하는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The first three-
살균 운전 개시 버튼(42)은, 살균 운전의 시작을 지시하는 버튼이며, 사용자가 살균 운전 개시 버튼(42)을 조작하면, 첫 회의 살균 운전이 시작된다. 2번째 이후의 살균 운전은, 제어 장치(41)에 내장된 타이머로 첫 회의 살균 운전을 실시한 시각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여, 하루가 경과할 때마다 자동으로 실시된다. 살균 운전 개시 버튼(42)은 하우징(1)의 정면에 배치된다. The sterilization operation start button 42 is a button for instructing the start of the sterilization operation. When the user operates the sterilization operation start button 42, the sterilization operation is started for the first time. The second and subsequent sterilization operations are performed automatically each time a day passes by counting the elapsed time from the time of the first sterilization operation with the timer built in the
이 제어 장치(41)의 제어를 설명한다. The control of the
통상 운전시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삼방 밸브(15)를 원수측 접속 위치에 유지한 상태에서, 제1 삼방 밸브(13)를 냉수측 접속 위치와 버퍼측 접속 위치 간에 전환하여 펌프(6)를 구동함으로써, 냉수 탱크(2)의 수위와 버퍼 탱크(8)의 수위를 일정 범위 내로 유지하는 수위 제어를 한다. 또한, 이것과 병행하여, 온수 탱크(7) 내의 음료수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하는 히터 제어를 한다. 7 and 8, the first three-
수위는, 예컨대, 도 13에 도시하는 루틴을 따라서 제어한다. 우선, 버퍼 탱크(8)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수위를 밑돌았을 때는,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삼방 밸브(13)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전환하고, 그 상태에서 펌프(6)를 구동한다(단계 S1~S6). 제2 삼방 밸브(15)는, 원수측 접속 위치에 유지한 상태 그대로이다. 이에 따라, 원수 용기(3)로부터 원수 급출관(5)을 지나 퍼올려진 음료수가 버퍼 탱크(8)에 공급된다. 또한,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수위를 밑돌았을 때는,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삼방 밸브(13)를 냉수측 접속 위치로 전환하고, 그 상태에서 펌프(6)를 구동한다(단계 S7~S10). 이에 따라, 원수 용기(3)로부터 원수 급출관(5)을 지나 퍼올려진 음료수가 냉수 탱크(2)에 공급된다. The water level controls,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routine shown in Fig. 8, the first three-
또한, 냉수 탱크(2)에의 급수 중에, 버퍼 탱크(8)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수위를 밑돌았을 때는, 제1 삼방 밸브(13)를 냉수측 접속 위치에서 버퍼측 접속 위치로 전환한다(S11~S13). 이에 따라, 냉수 탱크(2)에의 급수가 중지되고, 버퍼 탱크(8)에의 급수가 시작된다. 즉, 버퍼 탱크(8)에의 급수가 냉수 탱크(2)에의 급수보다도 우선해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냉수 코크(21)와 온수 코크(32)를 동시에 조작하여, 냉수 탱크(2)의 수위 저하와 버퍼 탱크(8)의 수위 저하가 동시에 일어났을 때에도, 히터(30)가 물 없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water level in the
냉수 탱크(2)에의 급수를 시작한 후,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상한 수위에 달했을 때는, 펌프(6)를 정지하여 냉수 탱크(2)에의 급수를 종료한다(단계 S14~S16). 마찬가지로, 버퍼 탱크(8)에의 급수를 시작한 후, 버퍼 탱크(8)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상한 수위에 달했을 때는, 펌프(6)를 정지하여 버퍼 탱크(8)에의 급수를 종료한다(단계 S17~S19). And after starting the water supply to the cold water tank (2), when the water level in the cold water tank (2) reaches the upper limit water level previously set, by stopping the
온수 탱크(7)의 히터는, 예컨대, 도 14에 도시하는 루틴을 따라서 제어한다. 온수 탱크(7) 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온도(예컨대 85℃)보다도 낮게 되었을 때는, 히터(30)를 ON으로 하여 온수 탱크(7) 내의 온도를 상승시킨다(단계 S20, S21). 그리고, 온수 탱크(7) 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상한 온도(예컨대 90℃)에 달했을 때는, 히터(30)를 OFF로 한다(단계 S22, S23). The heater of the
한편, 살균 운전시에는 수위 제어를 중지한다. 즉, 살균 운전을 하고 있는 동안에,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수위 제어에서 설정된 하한 수위를 밑돌더라도, 원수 용기(3)로부터 냉수 탱크(2)에의 음료수의 퍼올리기는 하지 않는다. 그리고, 수위 제어를 중지한 채로, 원수 급출관(5) 및 버퍼 탱크(8)를 지나 음료수를 순환시키는 물 순환 제어와, 상술한 온수 탱크(7)의 히터 제어를 병행하여 실시한다. 이에 따라, 순환하는 음료수의 온도가 살균 온도(예컨대 80℃)로 상승한다. 그리고, 순환하는 음료수의 온도가 살균 온도에 달한 시점에서, 히터 제어와 물 순환 제어를 계속해서 소정 시간(예컨대 10분) 실시함으로써, 원수 급출관(5) 및 버퍼 탱크(8)를 포함하는 순환 경로를 살균 온도 이상의 고온의 음료수로 살균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eriliz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water level control is stopped. That is, even if the water level in the
물 순환은, 예컨대, 도 15에 도시하는 루틴을 따라서 제어한다. 우선, 제1 삼방 밸브(13)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전환하는 동시에, 제2 삼방 밸브(15)를 순환측 접속 위치로 전환한다(단계 S30). 이어서, 펌프(6)를 구동시킨다(단계 S31~S33).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온수 탱크(7)의 고온의 음료수가, 순환용 배관(16), 제2 삼방 밸브(15), 원수 급출관(5), 제1 삼방 밸브(13), 버퍼 탱크 급수관(14), 버퍼 탱크(8), 온수 탱크 급수관(9)을 순차 지나 순환한다. 이 때, 고온의 음료수는 냉수 탱크(2)를 지나지 않는다. The water circulation is controlled,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routine shown in Fig. First, the first three-way switches at the same time to switch the
여기서, 물 순환 제어에 있어서의 펌프(6)의 구동 방법으로서, 살균 운전을 시작하고 나서 살균 운전을 종료할 때까지 동안에 펌프(6)를 정지시키지 않고서 연속해서 구동시키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와 같이 한 경우, 순환하는 음료수의 온도가 살균 온도로 상승하지 않을 때에도 끊임없이 펌프(6)가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1회의 살균 운전에 필요한 펌프(6)의 총 회전수가 커져, 펌프(6)의 수명 확보의 관점에서 살균 운전의 빈도를 억제할 필요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예컨대, 일주일에 1회 이하와 같은 횟수 제한이 필요하게 될 가능성이 있음). Here, as a method of driving the
그래서, 도 1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살균 운전시에는, 펌프(6)를 소정 시간만 연속해서 구동하는 동작(단계 S31)과, 히터 제어에 의해 온수 탱크(7) 내의 온도가 소정의 고온으로 상승할 때까지 펌프(6)를 정지 상태로 유지하는 동작(단계 S32, S33)을 교대로 반복하는 간헐 구동에 의해 펌프(6)를 구동하는 제어를 한다. 이에 따라, 펌프(6)가 정지한 상태에서 온수 탱크(7) 내의 음료수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그 온도가 소정의 고온으로 상승했을 때에만 펌프(6)를 구동하기 때문에, 순환하는 음료수의 온도를 살균 온도로 상승시키는 데 필요한 펌프(6)의 총 회전수가 작아져, 1회의 살균 운전에 필요한 펌프(6)의 총 회전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살균 운전의 빈도를 높이더라도(예컨대 하루에 1회 정도로 하여도), 펌프(6)의 수명을 확보할 수 있다.15, in the sterilizing operation, the operation of continuously driving the
여기서, 단계 S33의 소정의 고온은, 적어도 살균 가능한 온도(65℃)보다도 높은 온도(단, 히터 제어의 상한 온도 이하의 온도)로 설정된다. 이러한 소정의 고온으로서, 히터 제어의 하한 온도(예컨대 85℃)와 동일한 온도를 채용하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서모스탯을 온도 센서(29)에 사용하여 상기 히터 제어를 했을 때에, 서모스탯의 ON, OFF를 이용하여 펌프(6)의 동작(단계 S32, S33)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소정의 고온으로서, 히터 제어의 상한 온도(예컨대 90℃)와 동일한 온도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of step S 33 is set to at least the sterilization temperature as possible (65 ℃) than a temperature (provided that a temperature below the upper limit temperature of the heating control). As such a predetermined high temperature, it is preferable to employ the same temperature as the lower limit temperature of the heater control (for example, 85 DEG C). Accordingly, when using a thermostat with
펌프(6)가 간헐 구동할 때에, 1회의 연속 구동(단계 S31)을 행하는 소정 시간은, 펌프(6)가 버퍼 탱크(8)의 용량에 상당하는 음료수를 송출하는 시간과 같거나, 그보다도 긴 시간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프(6)가 1회의 연속 구동을 할 때마다, 버퍼 탱크(8) 내의 음료수를 고온의 음료수로 치환할 수 있어, 순환 경로를 효율적으로 살균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time for performing one continuous drive (step S31 ) when the
또한, 제어 장치(41)는, 살균 운전시에 펌프(6)를 구동할 때(즉 단계 S31일 때)의 펌프(6)의 회전 속도가 통상 운전시에 펌프(6)를 구동할 때(즉 단계 S5, S9)의 펌프(6)의 회전 속도보다도 저속으로 되도록 펌프(6)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살균 운전시의 펌프(6)의 구동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되어, 심야에 실시할 것이 상정되는 살균 운전시의 정숙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상술한 워터 서버는,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빈 온수 탱크(7)에 급수할 때(예컨대, 신품의 서버에 음료수를 맨 처음 도입할 때나, 메인터넌스를 위해 음료수를 빼낸 이미 설치된 서버에 다시 음료수를 도입할 때)에, 온수 탱크(7)가 빈 상태에서 히터(30)가 ON으로 되는 것(소위 물 없이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1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원수 퍼올리기 동작(단계 S40)과 비가열 순환 동작(단계 S41)을 교대로 실시하는 제어를 한다. 3, when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empty hot water tank 7 (for example, when a beverage is first introduced into a new server or when a beverage is drained for maintenance, 16, in order to prevent the
즉,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빈 온수 탱크(7)에 급수할 때, 온수 탱크(7)에 도입되는 음료수와 동량의 공기를 온수 탱크(7)로부터 배출할 필요가 있고, 이 공기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온수 탱크(7)에 음료수를 도입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버퍼 탱크(8)에 급수하더라도, 버퍼 탱크(8)로부터 온수 탱크(7)에 음료수가 여간해서 이동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온수 탱크(7) 내의 수위가 올라가지 않는 채로 히터(30)가 ON으로 되면, 히터(30)가 물 없이 작동하는 상태가 된다. 히터(30)가 일단 물 없이 작동하는 상태가 되면, 그 후, 온수 탱크(7)가 음료수로 채워졌을 때에, 음료수에 이상한 냄새가 배어, 음료수의 맛이 나빠지거나 하는 문제가 생긴다. 3, when supplying water to the empty
그래서, 이 워터 서버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빈 냉수 탱크(2)에의 급수 제어와, 빈 온수 탱크(7)에의 급수 제어를 순차 실시한다. 이 제어는, 예컨대, 워터 서버에 전원을 투입하고 나서 맨 처음에 수위 제어를 하기 직전에 실시한다. Thus, in this water server, water supply control to the empty
워터 서버에 전원을 투입하고 나서 맨 처음 급수를 할 때, 우선, 빈 냉수 탱크(2)에의 급수 제어를 한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히터(30)를 OFF로 한 채로, 제1 삼방 밸브(13)를 냉수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제2 삼방 밸브(15)를 원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펌프(6)를 구동하여, 원수 용기(3)의 음료수를 냉수 탱크(2)에 도입한다. 이에 따라,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상승한다. 그리고,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상한 수위에 달했을 때에, 빈 냉수 탱크(2)에의 급수 제어를 종료하고, 빈 온수 탱크(7)에의 급수 제어를 시작한다. When the first water supply is performed after turning on the power to the water server, first, water supply control to the empty cold water tank (2) is performed.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three-
빈 온수 탱크(7)에의 급수 제어에서는, 도 1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원수 퍼올리기 동작(단계 S40)과 비가열 순환 동작(단계 S41)을 교대로 실시한다. The water supply control to the
원수 퍼올리기 동작(단계 S40)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히터(30)를 OFF로 한 채로, 제1 삼방 밸브(13)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제2 삼방 밸브(15)를 원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펌프(6)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원수 용기(3)의 음료수가 원수 급출관(5)과 제1 삼방 밸브(13)와 버퍼 탱크 급수관(14)을 순차 지나 버퍼 탱크(8)에 도입되어, 버퍼 탱크(8) 내의 수위가 상승한다. 버퍼 탱크(8)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상한 수위에 달했을 때는 펌프(6)를 정지하여, 비가열 순환 동작(단계 S41)로 이행한다. While the,
비가열 순환 동작(단계 S41)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히터(30)를 OFF로 한 채로, 제1 삼방 밸브(13)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제2 삼방 밸브(15)를 순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펌프(6)를 일정 시간만 구동한다. 이에 따라, 온수 탱크(7)의 상부에 모인 공기가 순환용 배관(16)으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적어도 그 배출된 공기와 동량의 음료수가 버퍼 탱크(8)에서 온수 탱크(7)로 이동한다. 6, the
이와 같이, 원수 퍼올리기 동작(단계 S40)에 의한 음료수의 퍼올리기와, 비가열 순환 동작(단계 S41)에 의한 버퍼 탱크(8)에서 온수 탱크(7)로의 음료수의 이동이 교대로 이루어지고, 그 결과, 온수 탱크(7)에 확실하게 급수할 수 있어, 히터(30)가 물 없이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us, the wiper raising of the beverage according to the raw water buffer raising operation (step S 40), made of a drinking water movements of the shift to the non-heat-cycle operation (step S 41), the hot water tank (7) in the buffer tank (8) b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liably supply water to the
더욱이, 제어 장치(41)는, 비가열 순환 동작(단계 S41)을 행한 직후에, 그 때의 버퍼 탱크(8)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여(단계 S42),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때에, 히터(30)를 ON으로 하는 제어를 한다(단계 S43). 이에 따라, 히터(30)가 물 없이 작동으로 되지 않는 타이밍에 자동적으로 히터(30)를 ON으로 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ler 41 determines whether the water level in the
여기서는, 빈 냉수 탱크(2)에의 급수 제어를 한 후, 빈 온수 탱크(7)에의 급수 제어를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 순서를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control to the empty
상기 급수 제어로 히터(30)를 ON으로 한 후, 제어 장치(41)는, 통상 운전시의 제어로 이행한다. 이 때, 워터 서버는,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온수 탱크(7), 버퍼 탱크(8), 냉수 탱크(2)에 음료수가 도입된 상태이다. After the
그리고,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냉수 코크(21)를 조작하면,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가 그 자신의 중량으로 냉수 주출관(20)을 지나 외부로 주출된다. 이 때,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가 감소한다. 그리고, 수위 센서(18)에서 검출되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하한 수위를 밑돌면, 상술한 수위 제어에 의해, 제1 삼방 밸브(13)를 냉수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제2 삼방 밸브(15)를 원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펌프(6)가 구동되어, 원수 용기(3)의 음료수가 원수 급출관(5)을 지나 냉수 탱크(2)에 퍼올려진다. 이 때, 원수 급출관(5)으로부터 냉수 탱크(2) 내에 도입되는 음료수의 흐름은, 안내판(19)에 의해서 수평 방향의 흐름으로 바뀌기 때문에, 냉수 탱크(2)의 하부에 저류된 냉수가 교반되기 어렵고, 이 결과,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온수 코크(32)를 조작하면, 온수 탱크(7) 내의 고온의 음료수가 온수 주출관(31)을 지나 외부로 주출된다. 이 때, 버퍼 탱크(8) 내의 음료수가 그 자신의 중량에 의해서 온수 탱크 급수관(9)을 지나 온수 탱크(7) 내로 도입된다. 여기서, 버퍼 탱크(8) 내의 음료수는, 온수 탱크(7)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버퍼 탱크(8) 내의 음료수가 온수 탱크(7) 내에 도입되면, 버퍼 탱크(8) 내의 수위가 내려가기 때문에, 상술한 수위 제어에 의해, 제1 삼방 밸브(13)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제2 삼방 밸브(15)를 원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펌프(6)가 구동되어, 원수 용기(3)의 음료수가 버퍼 탱크(8)에 퍼올려진다. 8, when the
여기서, 원수 용기(3)의 음료수가 버퍼 탱크(8)에 퍼올려질 때에, 원수 용기(3)로부터 퍼내어진 상온의 음료수는, 냉수 탱크(2)를 경유하지 않고서 직접 버퍼 탱크(8)에 도입된다. 그 때문에, 온수 탱크(7)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할 때에, 원수 용기(3)의 상온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의 저온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beverage in the
버퍼 탱크(8)로부터 온수 탱크(7)에 음료수가 도입되면, 온수 탱크(7) 내의 음료수의 온도가 내려간다. 그리고, 온도 센서(29)에서 검출되는 온수 탱크(7) 내의 온도가 히터 제어에서 설정된 하한 온도(예컨대 85℃)보다도 낮게 되었을 때, 히터(30)가 ON으로 되어, 온수 탱크(7) 내의 음료수가 가열된다. When the beverage is introduced into the
그런데, 온수 탱크(7) 내의 음료수를 히터(30)로 가열했을 때,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음료수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음료수에 녹아 들어가 있었던 공기가 석출되어 기포로 되고, 그 기포가 온수 탱크(7) 내부를 상승하여, 온수 탱크(7)의 상부에 모여, 공기층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When the beverage in the
그래서, 이 워터 서버는, 사용자가 온수 탱크(7) 내의 음료수를 주출할 때에, 이 온수 탱크(7) 내에 모인 공기가 온수 주출관(31)으로부터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한 것과 같이, 온수 주출관(31)의 온수 탱크(7) 측의 단부(31a)를 온수 탱크(7)의 상면(7a)에서부터 아래쪽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 개구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온수 탱크(7)의 상면(7a)을 따라서 모인 공기가 온수 주출관(31)에 도입되기 어렵게 된다. Thus, in order to prevent the air collected in the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온수 탱크(7) 내에 모인 공기의 양이 증가했을 때는, 온수 탱크(7) 안의 공기가 온수 탱크 급수관(9)의 탱크 내 배관(33)의 작은 구멍(34)을 지나 배출된다. 그 때문에, 작은 구멍(34)의 위치보다도 아래쪽으로는 공기가 모이지 않는다. 그리고, 작은 구멍(34)은, 온수 주출관(31)의 온수 탱크(7) 측의 단부(31a)의 개구 위치보다 위쪽 위치에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 탱크(7) 내의 공기가 온수 주출관(31)에 도입되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11, when the amount of air collected in the
또한, 순환용 배관(16)의 온수 탱크(7) 측의 단부(16a)가 온수 탱크 급수관(9)의 탱크 내 배관(33)의 작은 구멍(34)보다도 위쪽 위치에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 탱크(7)의 상면(7a)을 따라서 모인 공기는, 살균 운전시에, 순환용 배관(16)을 지나 온수 탱크(7)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온수 탱크(7)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주출할 때에, 온수 주출관(31)으로부터 고온의 공기가 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살균 운전시에는,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온수 탱크(7)의 고온의 음료수가, 순환용 배관(16), 제2 삼방 밸브(15), 원수 급출관(5), 제1 삼방 밸브(13), 버퍼 탱크 급수관(14), 버퍼 탱크(8), 온수 탱크 급수관(9)을 순차 지나 순환하여, 순환 경로가 살균된다. 이 때, 고온의 음료수는 냉수 탱크(2)를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는, 살균 운전시에도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주출할 수 있다.2, the high-temperature beverage in the
이 살균 운전은, 사용자가 살균 운전 개시 버튼(42)을 조작했을 때에 이루어진다. 또한, 2번째 이후의 살균 운전은, 제어 장치(41)에 내장된 타이머로 첫 회의 살균 운전을 실시한 시각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여, 하루가 경과할 때마다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살균 운전 개시 버튼(42)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워터 서버의 전원을 투입한 직후부터 하루가 경과할 때마다 자동으로 살균 운전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This sterilization operation is carried out when the user operates the sterilization operation start button 42. The second and subsequent sterilization operations are performed automatically each time a day passes by counting the elaps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first sterilization operation was performed with the timer built in the
이 워터 서버는, 버퍼 탱크(8)와 냉수 탱크(2) 사이가 제1 삼방 밸브(13)로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버퍼 탱크(8)에 연통되는 온수 탱크(7) 내의 고온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에 침입할 우려가 없다. 즉, 온수 탱크(7)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밀어내기 위한 음료수와,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가 분리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를 안정적으로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어, 냉수 탱크(2) 내에서의 잡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is water server is interrupted between the
또한, 이 워터 서버는, 제1 삼방 밸브(13)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제2 삼방 밸브(15)를 순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펌프(6)를 구동함으로써, 온수 탱크(7)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원수 급출관(5) 및 버퍼 탱크(8)에 보내어, 원수 급출관(5) 및 버퍼 탱크(8)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살균 운전시에는 수위 제어를 중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하여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저하하더라도, 원수 급출관(5)을 지나 순환하는 고온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2) 내에 공급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어,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를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This water server also drives the
이와 같이, 이 워터 서버는,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를 저온으로 유지함으로써 냉수 탱크(2) 내에서의 잡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원수 용기(3)로부터 퍼내어진 비교적 온도가 높은 음료수에 닿는 원수 급출관(5) 및 버퍼 탱크(8)를 고온의 음료수로 살균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면에서 우수하다. 또한, 온수 탱크(7)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이용하여 원수 급출관(5) 및 버퍼 탱크(8)를 살균할 때, 그 음료수는 냉수 탱크(2)를 지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살균 운전시에도 냉수 탱크(2) 안의 저온의 음료수를 이용할 수 있다. Thus, this water server can prevent the propagation of germs in the
2: 냉수 탱크
3: 원수 용기
5: 원수 급출관
6: 펌프
7: 온수 탱크
7a: 상면
8: 버퍼 탱크
9: 온수 탱크 급수관
13: 제1 삼방 밸브
14: 버퍼 탱크 급수관
15: 제2 삼방 밸브
16: 순환용 배관
16a: 단부
30: 히터
31: 온수 주출관
31a: 단부
41: 제어 장치2: cold water tank
3:
5: Supply of raw water
6: Pump
7: Hot water tank
7a: upper surface
8: Buffer tank
9: Hot water supply pipe
13: First three-way valve
14: Buffer tank supply pipe
15: second three-way valve
16: Circulation piping
16a: end
30: Heater
31: Hot water supply
31a: end
41: Control device
Claims (7)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삼방 밸브(13)는, 상기 펌프(6)와 상기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시키면서 또한 상기 펌프(6)와 상기 버퍼 탱크(8) 사이를 차단하는 냉수측 접속 위치와, 상기 펌프(6)와 상기 냉수 탱크(2) 사이를 차단하면서 또한 상기 펌프(6)와 상기 버퍼 탱크(8) 사이를 연통시키는 버퍼측 접속 위치 간에 유로를 전환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제2 삼방 밸브(15)는, 상기 펌프(6)와 상기 원수 용기(3) 사이를 연통시키면서 또한 상기 펌프(6)와 상기 온수 탱크(7) 사이를 차단하는 원수측 접속 위치와, 상기 펌프(6)와 상기 원수 용기(3) 사이를 차단하면서 또한 상기 펌프(6)와 상기 온수 탱크(7) 사이를 연통시키는 온수측 접속 위치 간에 유로를 전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인 워터 서버. (3) filled with beverage to be supplied to the cold water tank (2), a raw water container (3), and a cold water tank A pump 6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5; a hot water tank 7 for storing high temperature beverage wate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 heater 30 for heating the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7 and a heater 30 disposed above the hot water tank 7 for heating the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7 when the hot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7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hot water tank water supply pipe 9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buffer tank 8 and the hot water tank 7 and a water supply tank water supply pipe 9 for supplying water to the outside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5, A first three-way valve 13 provided between the pump 6 and the cold water tank 2, A second three-way valve 15 provided between the pump 6 and the raw water container 3 and a buffer tank water pipe 14 communicating between the first three-way valve 13 and the buffer tank 8 A circulation pipe 16 communicating between the second three-way valve 15 and the hot water tank 7,
And the first three-way valve (13)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side connecting the pump (6) and the cold water tank (2) while block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pump (6) and the buffer tank And a buffer side connection position for connecting the pump (6) and the buffer tank (8) while shutting 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pump (6) and the cold water tank (2)
The second three-way valve 15 includes a raw water side connecting position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pump 6 and the raw water container 3 and for blocking off between the pump 6 and the hot water tank 7,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7),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witch the flow path between the pump (6) and the raw water container (3) while also communicating between the pump (6) .
상기 제어 장치(41)는,
통상 운전시에는, 상기 냉수 탱크(2) 안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수위를 밑돌았을 때는 상기 제1 삼방 밸브(13)를 냉수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상기 제2 삼방 밸브(15)를 원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상기 펌프(6)를 구동하는 한편, 상기 버퍼 탱크(8) 안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수위를 밑돌았을 때는 상기 제1 삼방 밸브(13)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상기 제2 삼방 밸브(15)를 원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상기 펌프(6)를 구동하는 수위 제어와, 상기 온수 탱크(7) 안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온도보다도 낮아졌을 때에 상기 히터(30)를 ON으로 하여 온수 탱크(7) 안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 제어를 행하고,
살균 운전시에는, 상기 수위 제어를 중지하고, 상기 제1 삼방 밸브(13)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상기 제2 삼방 밸브(15)를 순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상기 펌프(6)를 구동하는 물 순환 제어와, 상기 히터 제어를 병행하여 실시하는 것인 워터 서버.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device (41) for controlling the first three-way valve (13), the second three-way valve (15), the pump (6)
The control device (41)
In the normal operation, when the water level in the cold water tank 2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lower limit level, the first three-way valve 13 is set to the cold water side connection position while the second three- When the water level in the buffer tank 8 is lower than a preset lower limit level, the first three-way valve 13 is set to the buffer side connection position while the first three-way valve 13 is in the buffer- 2 level control for driving the pump 6 in a state where the two-way valve 15 is set at the raw water-side connecting position and a control for controlling the heater 30 when the temperature in the hot water tank 7 becomes lower than a predetermined lower limit temperature The heater control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in the hot water tank 7,
The pump 6 is stopped while the level control is stopped and the first three-way valve 13 is set to the buffer side connection position while the second three-way valve 15 is set to the circulation side connection position, And the heater control is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water circulation control.
상기 제어 장치(41)는, 빈 온수 탱크(7)에 급수할 때에, 상기 제1 삼방 밸브(13)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상기 제2 삼방 밸브(15)를 원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상기 히터(30)를 OFF로 한 채로 상기 펌프(6)를 구동하는 원수 퍼올리기 동작과, 상기 제1 삼방 밸브(13)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하면서 또한 상기 제2 삼방 밸브(15)를 순환측 접속 위치로 한 상태에서 상기 히터(30)를 OFF로 한 채로 상기 펌프(6)를 구동하는 비가열 순환 동작을 교대로 실시하는 것인 워터 서버.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an end portion (16a) of the circulating pipe (16) on the hot water tank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7a) of the hot water tank (7)
The controller 41 controls the first three-way valve 13 and the second three-way valve 15 so that when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empty hot water tank 7, Way valve (13) to the buffer-side connecting position while driving the pump (6) while the heater (30) is turned off while the first three-way valve (13) And the pump (6) is driven while the heater (30) is turned off in a state where the circulation side connection position is set to the circulation side connection 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3042962A JP5529312B1 (en) | 2013-03-05 | 2013-03-05 | Water server |
JPJP-P-2013-042962 | 2013-03-05 | ||
PCT/JP2013/083495 WO2014136349A1 (en) | 2013-03-05 | 2013-12-13 | Water dispens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7159A true KR20150127159A (en) | 2015-11-16 |
KR102089823B1 KR102089823B1 (en) | 2020-03-16 |
Family
ID=5117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27526A KR102089823B1 (en) | 2013-03-05 | 2013-12-13 | Water dispenser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160016776A1 (en) |
EP (1) | EP2966027A4 (en) |
JP (1) | JP5529312B1 (en) |
KR (1) | KR102089823B1 (en) |
CN (1) | CN105026304B (en) |
TW (1) | TWI628400B (en) |
WO (1) | WO2014136349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10789U1 (en) * | 2021-07-02 | 2022-05-04 | Скандинавиан Инновэйшн Груп Ой | DRINKING WATER DISPENS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2914B1 (en) * | 2016-03-16 | 2018-04-13 | (주)원봉 |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
JP6750171B2 (en) * | 2016-10-04 | 2020-09-02 | 富士山の銘水株式会社 | Drinking water server |
KR20180066579A (en) * | 2016-12-09 | 2018-06-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KR20180070354A (en) * | 2016-12-16 | 2018-06-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ter purifying apparatus |
JP6813378B2 (en) | 2017-01-26 | 2021-01-13 | 株式会社Kelk | Fluid heating device |
JP6944542B2 (en) * | 2017-12-28 | 2021-10-06 |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Water server and water supply method to water server |
JP7424609B2 (en) * | 2019-01-31 | 2024-01-30 |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 water server |
US10752483B1 (en) * | 2019-06-25 | 2020-08-25 | Ebac Limited | Apparatus for dispensing a liquid from a liquid storage container |
CN112655587B (en) * | 2020-11-26 | 2023-06-02 | 西安医学院 | Full-automatic intelligent water maze experimental device |
US11827508B2 (en) | 2021-08-31 | 2023-11-28 | Versabev,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refilling, storing, preserving, managing and selectively dispensing beverages |
EP4151932A1 (en) * | 2021-09-16 | 2023-03-22 | Inventia Teknoloji Ürünleri Aras. Gelis. San. Ve Tic. A.S. | Rapid cooling device for beverages |
AU2023250532A1 (en) * | 2022-04-07 | 2024-10-31 | Quench Usa, Inc. | Cleaning modes for water dispenser |
CN114766916B (en) * | 2022-05-30 | 2024-07-05 | 惠州市科飞达科技有限公司 | Water dispenser capable of rapidly heating and cooling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72896A (en) * | 2001-08-29 | 2003-03-12 | Kyushu Kaihatsu Kikaku:Kk | Drink heater/cooler |
JP2006199352A (en) * | 2005-01-21 | 2006-08-03 |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 Drinking water dispenser |
JP2010260644A (en) * | 2010-08-24 | 2010-11-18 |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 Drinking water feeder |
JP2012162318A (en) | 2011-02-09 | 2012-08-30 | Air Water Inc | Drinking water server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12238B2 (en) * | 1995-11-28 | 1997-05-21 | 横浜ゴム株式会社 | Drinking water dispenser |
CN2487320Y (en) * | 2001-08-17 | 2002-04-24 | 广东省新会市腾飞实业有限公司 | Drinking water boiling apparatus |
CN2569702Y (en) * | 2002-09-20 | 2003-09-03 | 于乔治 | Cold and hot liner connecting and temp. interchanging-preventing device of water dispenser |
JP2004206301A (en) * | 2002-12-24 | 2004-07-22 | Benten:Kk | Bactericidal device of absorbed chiller heater |
JP2005145511A (en) * | 2003-11-17 | 2005-06-09 |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 Drinking water dispenser |
JP4549068B2 (en) * | 2004-01-19 | 2010-09-22 |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Drinking water dispenser |
JP4705860B2 (en) * | 2006-02-14 | 2011-06-22 | 三菱レイヨン・クリンスイ株式会社 | Drinker |
US20080054017A1 (en) * | 2006-08-30 | 2008-03-06 | Mtn Products, Inc. |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nd System |
JP5633018B2 (en) * | 2010-03-12 | 2014-12-03 | 一雄 古市 | Beverage server |
CN102230715A (en) * | 2011-06-23 | 2011-11-02 | 美的集团有限公司 | Instant cooling type water dispenser |
US20130272923A1 (en) * | 2012-04-12 | 2013-10-17 | Mtn Products, Inc. | Liquid dispenser with ozonating, recirculating and improved temperature control functions |
JP6084484B2 (en) * | 2013-03-04 | 2017-02-22 |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 Water server |
-
2013
- 2013-03-05 JP JP2013042962A patent/JP5529312B1/en active Active
- 2013-12-13 WO PCT/JP2013/083495 patent/WO201413634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2-13 EP EP13876893.2A patent/EP2966027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3-12-13 US US14/771,813 patent/US2016001677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12-13 CN CN201380074066.9A patent/CN105026304B/en active Active
- 2013-12-13 KR KR1020157027526A patent/KR102089823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1-22 TW TW103102361A patent/TWI628400B/en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72896A (en) * | 2001-08-29 | 2003-03-12 | Kyushu Kaihatsu Kikaku:Kk | Drink heater/cooler |
JP2006199352A (en) * | 2005-01-21 | 2006-08-03 |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 Drinking water dispenser |
JP2010260644A (en) * | 2010-08-24 | 2010-11-18 |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 Drinking water feeder |
JP2012162318A (en) | 2011-02-09 | 2012-08-30 | Air Water Inc | Drinking water serv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10789U1 (en) * | 2021-07-02 | 2022-05-04 | Скандинавиан Инновэйшн Груп Ой | DRINKING WATER DISPENS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4169120A (en) | 2014-09-18 |
TW201437575A (en) | 2014-10-01 |
EP2966027A4 (en) | 2016-08-31 |
KR102089823B1 (en) | 2020-03-16 |
US20160016776A1 (en) | 2016-01-21 |
EP2966027A1 (en) | 2016-01-13 |
CN105026304A (en) | 2015-11-04 |
WO2014136349A1 (en) | 2014-09-12 |
JP5529312B1 (en) | 2014-06-25 |
CN105026304B (en) | 2017-03-22 |
TWI628400B (en) | 2018-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127159A (en) | Water dispenser | |
KR20150126406A (en) | Water dispenser | |
KR102092434B1 (en) | Water dispenser | |
KR20150131376A (en) | Water server | |
TWI624632B (en) | Water server | |
KR20150058142A (en) | Water server | |
TW201437560A (en) | Water server | |
KR20150070188A (en) | Water server | |
KR20150124975A (en) | Water dispenser | |
JP5806432B2 (en) | Water server | |
JP5806433B2 (en) | Water ser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