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639A - Clean Bench with a Built-in Tray for Waste - Google Patents
Clean Bench with a Built-in Tray for Was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24639A KR20150124639A KR1020140051363A KR20140051363A KR20150124639A KR 20150124639 A KR20150124639 A KR 20150124639A KR 1020140051363 A KR1020140051363 A KR 1020140051363A KR 20140051363 A KR20140051363 A KR 20140051363A KR 20150124639 A KR20150124639 A KR 201501246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clean bench
- waste
- mounting hole
- clea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01L1/04—Dust-free rooms or enclo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01L1/50—Enclosures; Chambers for storing hazardous materials in the laboratory, e.g. cupboards, wast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2—Laboratory benches or tables; Fitting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31—Purification arrangements, e.g. solid phase extraction [S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2—Handling hazardous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01L2200/141—Preventing contamination, tampe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클린벤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작업공간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폐기물통이 내장된 클린벤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 ben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 bench incorporating a waste bin so as to effectively treat waste generated in an internal work space.
클린벤치(Clean Bench)는 무균, 무진의 청정환경이 유지되는 국소적 작업공간을 제공하여 그 내부에서 무균상태로 각종 실험과 관찰을 할 수 있는 실험장비이다. 통상 케이스 내부(작업공간)에 이물질(세균포함)이 제거된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무균 작업공간을 구현하게 된다.The Clean Bench is an experimental device that provides a local working space in which a sterile, dust-free environment is maintained, allowing various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in aseptic conditions inside. Normally, the aseptic working space is realized by circulating air in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bacteria) are removed in the case (work space).
클린벤치는 무균, 무진의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반도체공정, 화학실험, 미생물배양, 세균배양 등 각종 정밀 작업을 실시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특히 무균환경이 필수적인 바이오관련 연구개발, 제조공정에서는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장비이다.The clean bench is used to perform various precision work such as semiconductor processing, chemical experiment, microbial cultivation, bacterial cultivation and the like since it provides an aseptic and nonvolatile environment. Especially, it is a device that is used almost indispensably in bio-related R & D and manufacturing processes where aseptic environment is essential.
작업자는 클린벤치의 내부 작업공간에 세포 등 실험 대상체와 각종 기구, 용기, 배지 등을 놓아두고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런데 작업공간 내부로 일정수준 이상의 세균 등 이물질이 유입되면 실험이나 관찰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하거나 심지어 오염에 의해 실험 대상체가 사멸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클린벤치의 작업공간은 매우 청결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불순물이 일정 수준 이상 유입되지 못하게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클린벤치에는 청정공기를 작업공간에 공급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The worker will work on the clean bench's workspace by placing experimental objects such as cells, various instruments, containers, and badges. However, if a certain level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bacteria are introduced into the work space, an error may occur in the experiment or observation, or even the test object may be killed due to the contamination. Therefore, the work area of the clean bench should be kept very clean and impurities should not be allowed to flow above a certain level. To this end, the clean bench is supplied with clean air to the workspace.
클린벤치는 공기의 유동형태에 따라서 층류의 청정공기가 정면에서 작업자쪽으로 공급되는 수평층류형과, 내부 천정에서 작업공간의 바닥 쪽으로 수직공급되는 수직층류형과, 수직으로 흐른 후 다시 바닥에서 흡입되어 상측으로 순환되는 기류순환형 및 수직으로 흐른 후 바닥측에서 흡입하여 상측으로 배기하는 배기형 등이 있다. The clean bench is composed of a horizontal layer type in which laminar clean air is supplied from the front side to a worker in accordance with the air flow type, a vertical layer type in which the vertical air is vertically supplied from the inner ceiling to the bottom side of the work space, An air circulation type in which air is circulated upward and an air exhaust type in which air flows vertically and then is sucked from the bottom side and exhausted upward.
예를 들면, 배기형 클린벤치는 작업공간의 상측에 장착되어 하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된 공기 일부를 여과하여 하부로 청정공기를 공급하는 필터와, 작업공간을 통과한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작업공간의 바닥 또는 입구(작업자 측) 부근에서 강제 흡입하여 외부케이스와 작업공간 사이에서 상측으로 송풍하는 송풍기와, 송풍된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출구(여기에도 소정의 필터가 장착되는 경우가 많음)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클린벤치 작동시 순환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를 통해 청정공기로 여과된 후 작업공간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흐르게 되며, 작업공간을 통과한 공기는 송풍기를 통해 강제 이송되어 일부는 필터를 통해 작업공간에 재공급되고 일부는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므로 작업공간으로 공급되는 청정공기에 의해 작업공간은 무균상태가 유지된다.
For example, the exhaust type clean bench includes a filter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work space to filter a part of the air blown by the blower to supply clean air to the lower part, A blower for forcedly sucking in the vicinity of the floor or inlet (operator side) and blowing upward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working space,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a part of the blown air to the outside . Therefore, the air circulated during the clean bench operation is filtered by the clean air through the filter, and then flow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working spac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working space is forcibly transferred through the blower, And some of the air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so that the working space is kept sterile by the clean air supplied to the working space.
어떤 유형이더라도 고성능필터(HEPA/ULPA Fiter)에 의하여 세균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한 청정공기가 공급되므로 클린벤치의 내부는 보통 Clean Room Class 100이하 수준의 청정구역이 된다. 한편, 특히 바이오 분야에서는 실험 대상 생물체가 독성이나 감염성이 있거나 특정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외부로 유출될 경우 사람을 포함하는 생물체에 질병을 유발하거나 생태를 교란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클린벤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할 때에도 소정의 필터장치나 살균장치를 두어 정화시키게 된다.
In any type, clean air is supplied by removing high-performance filter (HEPA / ULPA Fiter) including foreign matter such as bacteria, so the inside of the clean bench usually becomes a clean zone of Clean Room Class 100 or less. On the other hand, especially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if the organism to be tested is toxic, infectious, or has a specific gene, it may cause diseases or disturb the ecology of organisms including humans, A predetermined filter device or a sterilizing device is provided to purify the exhaust gas.
한편 특히 바이오 분야에서, 클린벤치 작업과정에서는 세균이나 세포, 조직(이하 '세균'이라 통칭함)의 일부, 세균이나 화학약품이 묻어 있는 휴지나 팁, 각종 용기를 밀봉했던 밀봉재(예를 들면 '파라필름' 등), 각종 도구의 포장재 등과 같은 "감염성" 폐기물이 수시로 적지 않은 양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폐기물을 클린벤치 작업공간의 바닥에 방치하면 작업공간이 더욱 협소하게 될 뿐만 아니라 감염성 폐기물에 의한 교차오염에 의한 오류를 초래할 우려가 크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in the course of the clean bench work, a part of bacteria, cells, tissu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cteria"), tissues and tips containing bacteria or chemicals, Parafilm ", etc.), packaging materials for various tools, and the like. Leaving such wastes on the floor of the clean bench work space not only makes the work space narrower, but also is likely to cause errors due to cross contamination caused by infectious waste.
따라서 현재 작업자들은 작업 중간 중간에 감염성 폐기물이 발생할 때마다 이를 클린벤치 외부에 비치된 폐기물통에 버렸다가 모든 작업이 끝난 후 한꺼번에 처리하게 된다. 도 1에 많은 실험도구와 배지 등이 적재되어 복잡한 상태(보통의 작업 상태)의 클린벤치 내부 작업공간과 외부의 폐기물통을 보여주는 사진을 첨부하였다.Therefore, whenever infectious waste is generated in the middle of the work, the workers are disposed of in a waste bin outside the clean bench, and are treated at the same time after all the work is finished. Fig. 1 shows a photograph showing a clean bench interior workspace and an outside waste container in a complicated state (normal operation state) in which many experimental tools and a badge are loaded.
이렇게 수시로 작업중 내부 작업공간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외부의 폐기물통에 버리는 행동이 반복되면 ① 작업자는 그때마다 노출되었던 손을 소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② 작업자의 손과 팔이 반복적으로 작업공간 내외부를 왕래하게 되어 외부의 오염물질이 작업공간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으며 나아가 ③ 위해요소가 있는 "감염성" 폐기물이 작업시간 동안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방치되는 문제가 있다.
In such a case, when the action of discarding the waste generated in the internal work space from the work waste to the outside waste bin is repeated, it is troublesome that the worker must disinfect the hand which was exposed at that time, and (2) There is a possibility that foreign contaminants may flow into and out of the work space, and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fectious" waste having a risk factor is exposed to the outside during the working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클린벤치 작업 중에 감염성 폐기물이 발생할 때마다 이를 클린벤치 외부에 비치된 폐기물통에 버릴 필요가 없는, 폐기물통이 내장된 클린벤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clean bench in which a waste bin is built in, .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화된 청정공기를 내부의 작업공간으로 토출하여 작업공간을 무균상태가 되도록 하는 클린벤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공간은, 상기 작업공간의 바닥면 또는 측벽에 형성된 트레이장착구 및 상기 트레이장착구에 삽입장착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클린벤치에 관한 것이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 bench for discharging purified clean air into a work space to make a work space sterile, the work space being formed on a bottom surface or side wall of the work space A tray mounting hole, and a tray to be inserted into the tray mounting ho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폐기물을 작업대 내부에서 처리함으로서 작업중 불필요한 외부노출을 최소화 하여 오염방지와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is treated inside the workbench, thereby minimizing unnecessary external exposure during the operation,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and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도 1은 클린벤치 내부의 복잡한 작업공간과 외부의 폐기물통을 보여주는 사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의한 클린벤치에서 트레이장착구와 트레이가 있는 부위의 개념적 단면도 등.
도 3a~3c는 본 발명에 의한 클린벤치의 제작예 사진.FIG. 1 is a photograph showing a complicated working space inside a clean bench and an outside waste container. FIG.
FIGS. 2A and 2B are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s of a portion of a clean 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tray mount and a tray are provided. FIG.
3A to 3C are photographs of a production example of a clean 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제작예 사진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과 제작예 사진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description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in nature and not as a limitation on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se examples.
전술하였듯이, 본 발명은 폐기물을 작업공간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의 바닥면 또는 측벽에 트레이장착구(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트레이장착구(11)에 삽입장착되는 트레이(21, 25)를 포함하는 클린벤치에 관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본 발명은 클린벤치 "내부의 작업공간에서 폐기물을 처리"한다는 것이 핵심이기 때문에 클린벤치의 유형과는 무관하므로 어떤 형식과 유형의 클린벤치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클린벤치 자체에 관한 형태, 구조, 기능, 작동방식 등은 종래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clean benches of any type and type, since it is essential to treat waste in a "clean bench" workspace and thus is not related to the type of clean bench. The shape, structure, function, operation mode, etc. of the clean bench itself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의한 클린벤치에서 작업할 경우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상기 트레이(21, 25)에 넣음으로써 폐기물을 작업공간 내부에서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When working in the clean 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generated in the work process is put into the
트레이장착구(11)는 트레이(21, 25)가 삽입장착되는 영역으로 작업공간의 바닥면 또는 측벽에 형성될 수 있는데, 작업공간의 바닥면(이하 '작업대'라 함)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좌우 측벽 또는 작업대의 좌우 측벽 부근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이장착구(11)는 상기 트레이(21, 25)가 삽입되어 걸쳐질 수 있도록 단순한 개방공 형태일 수도 있고 트레이(21, 25)가 삽입/내장되는 용기 형태일 수도 있다. 그러나 개방공 형태이건 용기 형태이건 무균상태 유지를 위해 공간적으로 작업공간과는 연속되어 있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 및 제작예 사진에서는 트레이장착구(11)가 개방공 형태이고 작업대의 좌측벽 부근에 형성되어 있으나 그 위치나 형태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명백하다. 또한 트레이(21, 25)의 형상과 트레이장착구(11)의 형상도 제시된 도면 또는 사진과 다르게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음도 당연하다.
The
본 발명에서 상기 트레이(21, 25)는 트레이장착구(11)에 삽입장착된 상태에서 폐기물을 수용하는 일종의 용기인데, 그 형상과 특성에 따라 통 형상(21)일 수도 있고 비닐백 형태(25)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통 형상의 트레이] [ Tubular tray ]
상기 트레이(21)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통일 수 있으며, 상기 통을 덮는 뚜껑(3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트레이(21)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통 형태인 본 발명에 의한 클린벤치의 일부분의 개념적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통 형상의 트레이(21)는 상부에 외측으로 향하는 날개부(21a)를 가지고 있어 트레이장착구(11)에 삽입장착될 때 상기 날개부와 트레이장착구(11)의 내주연 상면의 작업대 바닥층(10)에 걸쳐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The
이러한 유형에서 작업자는 작업도중 발생하는 폐기물을 (뚜껑(31)이 있는 경우 뚜껑(31)을 여닫으면서) 트레이(21)에 넣어 두었다가 작업이 완료되면 트레이(21)를 분리하여(들어내어) 안에 있는 폐기물을 소정의 방법으로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게 된다.In this type, the operator puts the waste generated during the work into the tray 21 (when the
[비닐백 형태의 트레이] 한편, 트레이(21, 25)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통 형태인 경우에 작업 완료 후에 폐기물을 다시 꺼내서 처리한 후 통 내부를 청소하고 소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 형태의 트레이(21) 대신 비닐백 형태의 트레이(25)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클린벤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25)는 ① 입구 둘레가 상기 트레이장착구(11) 내주연 길이보다 큰 단순형 또는 지퍼형 비닐백(26)과, ② 상기 비닐백(26)의 입구에 내삽된 상태에서 함께 상기 트레이장착구(11)에 내삽되는 삽입돌출부(27a)와, 상기 삽입돌출부(27a)의 상면에서 밖으로 확장된 날개부(27b)를 가지는 도넛 형태의 어댑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댑터의 상부를 덮는 뚜껑(31)을 추가로 가지는 것이 좋다. 도 2b에 비닐백 형태의 트레이(25)를 뚜껑(31)을 함께 도시한 클린벤치의 일부분의 개념적 단면도 및 도 2c에 상기 어댑터의 개념적 사시도를 첨부하였다. 비닐백(26)의 입구에 어댑터의 하부 삽입돌출부(27a)가 내삽되고, 이 상태에서 트레이장착구(11)에 내삽 장착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백(26) 입구가 트레이장착구(11) 내주연 상면의 작업대 바닥층(10)과 어뎁터의 날개부(27b) 하면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When the
작업자는 작업도중 발생하는 폐기물을 (뚜껑(31)이 있는 경우 뚜껑(31)을 여닫으면서) 비닐백(26) 형태의 트레이(25)에 넣어 두었다가 작업이 완료되면 비닐백(26)을 들어내고 입구를 묶거나 지퍼를 닫아서 버리게 되므로 트레이(21, 25)를 청소하고 소독하는 불편함이 해소된다.
The operator puts the waste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into the
한편, 상황에 따라서는 본 발명에 의한 클린벤치에서 '트레이(21, 25)'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대 전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클린벤치는 상기 트레이장착구(11)를 덮는 커버(도시 생략)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use the entire work bench without using the '
또한 폐기물의 양이 많거나 폐기방식이 다른 종류의 폐기물이 발생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트레이장착구(11)와 트레이(21, 25) 세트를 두 개 이상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도시 생략).
It is also preferable to install two or more sets of the
도 3a~3c에 본 발명에 의한 클린벤치의 제작예 사진을 첨부하였다.FIGS. 3A to 3C are photographs showing a production example of a clean 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트레이장착구(11)와 트레이(21, 25)를 작업대의 좌측 측벽 부근에 위치하도록 하였고, 트레이는 금속재 통을 적용하였다. 트레이장착구(11)는 트레이(21, 25)가 안착될 수 있는 개방공 형태가 되도록 하였다.
The
WS. 작업대
10. 작업대 바닥층
11. 트레이장착구
21. 통 형상 트레이
21a. 날개부
25. 비닐백 형태 트레이
26. 비닐백
27. 어댑터
27a. 삽입돌출부
27b. 날개부
31. 뚜껑WS. bench
10. Working floor
11. Tray mounting hole
21.
25. Plastic bag type tray
26. Plastic bag
27.
31. Lid
Claims (5)
상기 작업공간은,
상기 작업공간의 바닥면 또는 측벽에 형성된 트레이장착구 및
상기 트레이장착구에 삽입장착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벤치.
A clean bench for discharging purified clean air to a working space inside to make the working space sterile,
The work space
A tray mounting hole formed in a bottom surface or side wall of the work space,
And a tray that is inserted and mounted in the tray mounting hole.
상기 트레이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벤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y is a cylinder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트레이는,
입구 둘레가 상기 트레이장착구 내주연 길이보다 큰 단순형 또는 지퍼형 비닐백과,
상기 비닐백의 입구에 내삽된 상태에서 함께 상기 트레이장착구에 내삽되는 삽입돌출부와, 상기 삽입돌출부의 상면에서 밖으로 확장된 날개부를 가지는 도넛 형태의 어댑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벤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y may include:
A simple or zippered vinyl bag whose entrance periphery is larger than the peripheral length of the tray mounting hole,
And a donut-shaped adapter having an insertion protrus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tray attachment together with the insertion of the vinyl bag into the mouth of the vinyl bag, and a wing extending out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상기 트레이장착구를 덮는 커버를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벤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cover for covering the tray mounting opening.
상기 트레이장착구와 트레이 세트를 두 개 이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벤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tray has two or more tray mounts and tray set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1363A KR101602923B1 (en) | 2014-04-29 | 2014-04-29 | Clean Bench with a Built-in Tray for Was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1363A KR101602923B1 (en) | 2014-04-29 | 2014-04-29 | Clean Bench with a Built-in Tray for Wast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3559A Division KR20160030903A (en) | 2016-02-26 | 2016-02-26 | Clean Bench with a Built-in Tray for Wast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4639A true KR20150124639A (en) | 2015-11-06 |
KR101602923B1 KR101602923B1 (en) | 2016-03-11 |
Family
ID=5460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1363A KR101602923B1 (en) | 2014-04-29 | 2014-04-29 | Clean Bench with a Built-in Tray for Was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292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547139A (en) * | 2021-02-24 | 2021-03-26 | 赛默飞世尔(上海)仪器有限公司 | Feedback mechanism for biosafety cabine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4618B1 (en) | 2022-02-28 | 2022-06-02 | 주식회사 동재산업 | Clean bench system with air circulation func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71688A (en) * | 1989-08-03 | 1991-03-27 | Robert Bosch Gmbh | Printed wiring board equipped with at least two different electronic component group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71688B2 (en) * | 1996-03-14 | 2000-07-31 | 有限会社濱崎機械製作所 | Root removal device for medicinal rhizomes |
-
2014
- 2014-04-29 KR KR1020140051363A patent/KR10160292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71688A (en) * | 1989-08-03 | 1991-03-27 | Robert Bosch Gmbh | Printed wiring board equipped with at least two different electronic component groups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SterilGARD e3 Waste Disposal Unit Class II, Type A2, The Baker Company(2011)*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547139A (en) * | 2021-02-24 | 2021-03-26 | 赛默飞世尔(上海)仪器有限公司 | Feedback mechanism for biosafety cabin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2923B1 (en) | 2016-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65283B1 (en) | Safety cabinet | |
JP6338521B2 (en) | Isolator | |
KR101376977B1 (en) | Automated management system for pollution-infection prevention of laboratory animals | |
JP4761497B2 (en) | isolator | |
US20120251384A1 (en) | Modular dry heat sterilizer | |
KR101602923B1 (en) | Clean Bench with a Built-in Tray for Waste | |
JP5617440B2 (en) | Aseptic equipment | |
JP7027239B2 (en) | Sterilization gas purification closed system equipment | |
US11885529B2 (en) | Pass box | |
JPH01288342A (en) | Clean cabinet | |
JP4055150B2 (en) | Safety cabinet with waste container | |
KR20160030903A (en) | Clean Bench with a Built-in Tray for Waste | |
CN107570255A (en) | A kind of new superclean bench | |
Bässler et al. | Containment technology | |
JPWO2017203755A1 (en) | Safety cabinet and isolator | |
JPH0339081A (en) | Sterilized facility | |
CN210968972U (en) | Experimental device | |
CN210434542U (en) | Clinical laboratory uses anti-pollution storage device | |
JP2002079117A (en) | Safety cabinet | |
JP5009408B2 (en) | Biohazard safety cabinet | |
JP2011160840A (en) | Clean system for periosteal regenerative medicine | |
EP1726708B1 (en) | System for washing and elimination of particles | |
JPH0749939Y2 (en) | Aseptic workbench | |
CN111484935A (en) | Virus culture isolator and using method thereof | |
JP4629347B2 (en) | Biohazard safety cabin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216 Effective date: 20150810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S601 |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