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502A - 건축용 내부 인양기 - Google Patents
건축용 내부 인양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22502A KR20150122502A KR1020140048852A KR20140048852A KR20150122502A KR 20150122502 A KR20150122502 A KR 20150122502A KR 1020140048852 A KR1020140048852 A KR 1020140048852A KR 20140048852 A KR20140048852 A KR 20140048852A KR 20150122502 A KR20150122502 A KR 201501225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form
- building
- fixed
- building materials
- ro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04G19/003—Arrangements for stabilising the forms or for moving the forms from one place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내부 인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건축물 시공시 아래층과 윗층 사이로 건축용 자재 특히 거프집 등을 자동으로 운반 이동시 이동되는 자재의 표면에 자연스럽게 기름칠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내부 인양기의 구조를 간단함과 동시에 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경사진 몸체 양측의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대의 적치대에 거푸집 등의 건축자재를 마련하여 경사진 몸체를 따라 승강시 승강되는 건축자재의 표면에 밀착되어 박리제를 도포하는 도포롤러를 몸체 상부에 마련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승강되는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밀착되는 부위의 거푸집 표면에 박리제를 도포하는 작업을 제거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이점과 경사진 몸체와 승강대를 분리 가능케 하여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계단으로 이동을 용이하기 위해 부피와 무게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승강대를 몸체에서 분리시켜 바닥의 바퀴에 의해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경사진 몸체 양측의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대의 적치대에 거푸집 등의 건축자재를 마련하여 경사진 몸체를 따라 승강시 승강되는 건축자재의 표면에 밀착되어 박리제를 도포하는 도포롤러를 몸체 상부에 마련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승강되는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밀착되는 부위의 거푸집 표면에 박리제를 도포하는 작업을 제거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이점과 경사진 몸체와 승강대를 분리 가능케 하여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계단으로 이동을 용이하기 위해 부피와 무게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승강대를 몸체에서 분리시켜 바닥의 바퀴에 의해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용 내부 인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건축물 시공시 아래층과 윗층 사이로 건축용 자재 특히 거푸집 등을 자동으로 운반 이동시 이동되는 자재의 표면에 자연스럽게 기름칠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내부 인양기의 구조를 간단함과 동시에 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내부 인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하여는 내측에 먼저 철근 구조물을 형성한 후, 내외면을 목재 또는 금속재로 된 판넬을 대어 거푸집을 형성하고 그 외측을 프레임과 버팀목 등으로 지지시킨 다음 내측에 반죽 상태의 콘크리트를 주입 타설하여 굳혀 바닥, 슬라브, 천정 등을 시공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건축용 건축자재를 아래층에서 윗층으로 운반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아랫층에서 해체된 건축자재를 슬라브의 자재인양구를 통해 들어 올려주면 윗층에서 끌어올리는 방식으로 운반하고 있었다.
이렇게 건축자재를 수작업으로 윗층으로 끌어올리는 작업 방식은 비능률적인 것은 물론이고 윗층과 아랫층의 작업자가 호흡이 맞지 않을 경우 중량물인 경우 떨어져 상해를 입게 되고 작업중 거푸집이 중량물인 관계로 매우 힘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시공시 콘크리트를 주입 타설하여 순차적으로 1층에서 거푸집에 의해 슬라브와 지붕을 만들어진 다음, 2층의 슬라브와 슬라브를 만들기 위해, 1층에서 슬라브와 슬라브를 만들때 사용된 거푸집 등을 2층으로 운반시 자재인양구를 통하여 1층과 2층에 배치된 다수의 사람에 의해 행하여 지고 있다.
즉, 이렇게 건축물 시공시 사용된 거푸집은 규격화 되어 있으며 아랫층에서 벽면과 천정의 슬라브를 시공하는데 사용된 후에는 해체되고 윗층으로 다시 운반하여 다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 등록된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10-2005-0102794호(2005. 10. 27일 공개)에서 건축물을 지을 시에, 아래층에 있는 건축자재인 거푸집 등을 인력이 아닌 기계의 힘에 의해 윗층에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력에 의해 아래층에 윗층으로 운반될 수 있는 내부 인양기를 제공하여, 건축자재인 거푸집 등에 대한 운반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감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내부 인양기는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단가를 상승시키게 하는 문제점과 거푸집 등의 건축자재를 아래층에서 윗층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랫층에서 윗층으로 이동은 가능케 하였으나,
거푸집 등의 건축자재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타설된 콘크리트와 밀착되는 거푸집의 일면에 양생된 콘크리트와 분리가 용이한 박리제를 도포하여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에서 쉽게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박리제를 별도로 도포하여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내부 인양기는 고정방식으로 구성되어 건축물의 아랫층에서 사용 후 다시 윗층으로 이동시에 내부 인양기의 이동방식이 고정방식으로 되어 있어 작업자가 부피가 커서 자재인양구로 이동이 용이하지 않고 무게가 무거워 복잡한 내부로의 이동도 불가하는 문제점으로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아래층에서 윗층으로 건축자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내부 인양기의 이동성과 건축자재인 거푸집의 표면 일측에 별도의 박리제를 작업자가 일일이 도포하는 작업을 제거하기 위해,
건축물의 내부로 인양기를 설치 가능한 자재인양구에 설치하여 몸체를 경사지게 연결하고 몸체의 양측으로 레일을 돌출형성하여 상기 돌출된 레일에 결속하여 윈치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를 마련하되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는 승강되는 승강대의 적치대에 마련한 거푸집 등의 건축자재 표면과 밀착되는 도포롤러를 하부에 마련한 박리제를 담은 기름통을 마련하여 기름통에서 도포롤러로 박리제를 투입가능케 하며, 상기 몸체와 승강대의 저면에는 롤러를 마련하여 작업완료로 인한 이동시 각각 분리 또는 결합된 상태로 저면의 롤러로 이동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 자재인양구(2)에 설치 가능한 건축용 내부 인양기(1)에 있어서,
상기 자재인양구(2)의 슬라브(3)에 고정구(21)로 고정가능한 고정판(20)을 몸체(10) 후면에 연결하고 상기 고정판(20)의 상부 일측에는 윈치(22)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판(20)의 일측과 연결되는 몸체(10)를 경사지게 마련하되, 상기 경사진 몸체(10)의 상부 일측에는 도르래(12)를 마련하고 몸체(10)의 저면에는 바퀴(13)를 고정시키고 길이방향의 몸체(10) 양측으로는 레일(11)을 돌출형성하고 양측의 돌출된 레일(11)에 탈착가능한 승강대(30)를 마련하여 승강대(30) 일측에 연결된 연결고리(37)에 연결된 와이어(23)를 몸체(10)의 도르래(12)를 통해 윈치(22)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대(30)는 상부 측면에는 회전가능한 이탈방지대(36)를 고정하며, 하부에 적치대(31)를 마련하고 상기 몸체(10)의 레일(11)에 끼움가능한 굴림구(34)를 내부에 마련한 가이드(33)를 형성하고 승강대(30)의 후면에는 연결고리(37)를 형성하며, 승강대(30)의 저면에는 바퀴(35)를 마련하고 적치대(31)의 끝단에는 걸림대(4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대(30)의 적치대(31)에 마련한 건축자재(4)가 적치대(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또 다른 실시 예로는 적치대(31)의 끝단에 걸림편(32)을 돌출형성하거나, 승강대(30)의 측면 일측에 걸고리(38)를 마련하여 적치대(31)에 마련한 건축자재(4)를 감아 적치대(31)에 고정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10)의 상부 전면에는 박리제를 내부에 마련한 기름통(40)의 일측에 몸체(10)와 기름통(40)의 거리를 조절가능케 장공(42)을 형성한 연결대(41)로 연결하되, 상기 기름통(40)의 하부로는 다수개의 밸브(44)를 기름통(40)과 연결하는 노즐(45)을 연결하고 상기 노즐(45)에는 다수개의 노즐공(46)을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노즐공(46) 하부에는 도포롤러(48)를 고정대(47)로 고정하게 하며, 기름통(40)의 타측에는 자재인양구(2)의 슬라브(3)에 걸려 고정하는 걸림대(43)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진 몸체 양측의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대의 적치대에 거푸집 등의 건축자재를 마련하여 경사진 몸체를 따라 승강시 승강되는 건축자재의 표면에 밀착되어 박리제를 도포하는 도포롤러를 몸체 상부에 마련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승강되는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밀착되는 부위의 거푸집 표면에 박리제를 도포하는 작업을 제거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이점과 경사진 몸체와 승강대를 분리 가능케 하여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자재인양구로 이동을 용이하기 위해 부피와 무게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승강대를 몸체에서 분리시켜 바닥의 바퀴에 의해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5는 본 발명의 승강대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름통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5는 본 발명의 승강대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름통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 자재인양구(2)에 설치 가능한 건축용 내부 인양기(1)에 있어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재인양구(2)의 슬라브(3)에 고정구(21)로 고정가능한 고정판(20)을 몸체(10) 후면에 연결하고 상기 고정판(20)의 상부 일측에는 윈치(22)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판(20)의 일측과 연결되는 몸체(10)를 경사지게 마련하되, 상기 경사진 몸체(10)의 상부 일측에는 도르래(12)를 마련하고 몸체(10)의 저면에는 바퀴(13)를 고정시키고 길이방향의 몸체(10) 양측으로는 레일(11)을 돌출형성하고 양측의 돌출된 레일(11)에 탈착가능한 승강대(30)를 마련하여 승강대(30) 일측에 연결된 연결고리(37)에 연결된 와이어(23)를 몸체(10)의 도르래(12)를 통해 윈치(22)와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대(3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대(30)의 상부 측면에는 회전가능한 이탈방지대(36)를 고정하며, 하부에 적치대(31)를 마련하고 상기 몸체(10)의 레일(11)에 끼움가능한 굴림구(34)를 내부에 마련한 가이드(33)를 형성하고 승강대(30)의 후면에는 연결고리(37)를 형성하며, 승강대(30)의 저면에는 바퀴(35)를 마련하고 적치대(31)의 끝단에는 걸림대(43)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대(30)의 상부 측면에 마련한 이탈방지대(36)는 이탈방지대(36)를 고정시키는 고정력에 의해 승강대(30)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조절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대(30)의 적치대(31)에 마련한 건축자재(4)가 적치대(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또 다른 실시 예로는 적치대(31)의 끝단에 걸림편(32)을 돌출형성하고, 승강대(30)의 측면 일측에 걸고리(38)를 마련하여 적치대(31)에 마련한 건축자재(4)를 감아 적치대(31)에 고정가능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10)의 상부 전면에는 박리제를 내부에 마련한 기름통(40)의 일측에 몸체(10)와 기름통(40)의 거리를 조절가능케 장공(42)을 형성한 연결대(41)로 연결하되, 상기 기름통(40)의 하부로는 다수개의 밸브(44)를 기름통(40)과 연결하는 노즐(45)을 연결하고 상기 노즐(45)에는 다수개의 노즐공(46)을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노즐공(46) 하부에는 도포롤러(48)를 고정대(47)로 고정하게 하며, 기름통(40)의 타측에는 자재인양구(2)의 슬라브(3)에 걸려 고정하는 걸림대(43)를 돌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내부 자재인양구(2)를 통해 거푸집 등의 건축자재(4)를 아랫층에서 윗층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자재인양구(2)의 슬라브(3)에 고정판(20)을 끼워 고정구(21)로 슬라브(3)에 고정판(20)을 고정시키고 기름통(40)의 걸림대(43)를 자재인양구(2)의 슬라브(3) 상부에 마련하여 상기 고정판(20)과 연결된 몸체(10)를 경사지게 하부면의 바닥과 밀착시키고 경사진 몸체(10)의 하부를 들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10)의 양측으로 돌출형성된 레일(11)을 따라 승강대(30)의 가이드(33)에 마련한 굴림구(34)를 레일(11)에 끼움 가능케 하고 상기 승강대(30)의 후면에 마련한 연결고리(37)에 와이어(23)를 연결시켜 몸체(10)의 상부 도르래(12)를 통해 윈치(22)와 연결시키고 상기 몸체(10)의 전면부에는 연결대(41)로 기름통(40)을 고정시켜 기름통(40)의 하부에 마련한 도포롤러(48)로 기름통(40)에 마련한 박리제를 침투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렇게 길이방향의 몸체(10)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대(30)의 적치대(31)에 거푸집 등의 건축자재(4)를 실어 윈치(22)를 작동시키면 와이어(23)가 몸체(10)의 도르래(12)를 통해 승강대(30)의 상부를 통해 윈치(22)에 감으면 와이어(23)와 연결된 승강대(30)의 연결고리(37)에 의해 승강대(30)가 레일(11)을 따라 승강대(30)가 승강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렇게 길이방향의 몸체(10)를 따라 승강대(30)의 적치대(31)에 마련한 건축자재(4)가 승강하면서 상기 몸체(10)의 전면에 있는 도포롤러(48)가 건축자재(4)의 상면을 도포롤러(48)가 밀착되면서 박리제가 침투된 도포롤러(48)에 의해 건축자재(4)의 전면이 박리제가 도포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건축자재(4)가 아랫층에서 윗층으로 본 발명의 인양기(1)를 따라 승강하면서 자연스럽게 건축자재(4)의 전면에 박리제가 도포하게 되면 윗층에서 다시 거푸집 등의 건축자재(4)에 거푸집 내부면에 도포하는 박리제를 도포하는 작업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승강되는 승강대(30)의 적치대(31)에 마련한 건축자재(4)가 승강되면서 도포롤러(48)에 밀착되어 박리제가 도포되지 않으면, 연결대(41)의 장공(42)을 통해 고정된 기름통(40)의 위치를 조절하여 승강되는 건축자재(4)의 표면에 도포롤러(48)가 밀착되어 박리제를 도포가능케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대(30)의 적치대(31)에서 건축자재(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치대(31)의 전면에 형성된 걸림편(32)에 의해 걸려 1차로 이탈방지를 하고 승강대(30)의 상부에는 이탈방지대(36)를 마련하여 적치대(31) 내부에 마련한 건축자재(4)의 이탈을 2차로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승강대(30)의 측면에 연결된 걸고리(38)로 건축자재(4)를 감싸게 하여 승강대(30)에서 건축자재(4)를 3차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건축물의 내부 자재인양구(2)를 통해 건축자재(4)를 아랫층에서 윗층으로 이동한 후 다시 인양기(1)를 윗층으로 이동시에는 작업자가 윈치(22)로 승강대(30)를 상승시킨 후 자재인양구(2)의 내부로 승강시킨 후 자재인양구(2)의 슬라브(3)에 고정된 고정판(20)을 풀어 몸체(10)를 윗층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작업자가 몸체(10)와 승강대(30)를 분리시켜 각각 몸체(10)의 바퀴(13)와 승강대(30)의 바퀴(35)에 의해 윗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계단으로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1 : 인양기
2 : 자재인양구
3 : 슬라브 4 : 건축자재
10 : 몸체 11 : 레일
12 : 도르래 13 : 바퀴
20 : 고정판 21 : 고정구
22 : 윈치 23 : 와이어
30 : 승강대 31 : 적치대
32 : 걸림편 33 : 가이드
34 : 굴림구 35 : 바퀴
36 : 이탈방지대 37 : 연결고리
38 : 걸고리 40 : 기름통
41 : 연결대 42 : 장공
43 : 걸림대 44 : 밸브
45 : 노즐 46 : 노즐공
47 : 고정대 48 : 도포롤러
3 : 슬라브 4 : 건축자재
10 : 몸체 11 : 레일
12 : 도르래 13 : 바퀴
20 : 고정판 21 : 고정구
22 : 윈치 23 : 와이어
30 : 승강대 31 : 적치대
32 : 걸림편 33 : 가이드
34 : 굴림구 35 : 바퀴
36 : 이탈방지대 37 : 연결고리
38 : 걸고리 40 : 기름통
41 : 연결대 42 : 장공
43 : 걸림대 44 : 밸브
45 : 노즐 46 : 노즐공
47 : 고정대 48 : 도포롤러
Claims (4)
- 건축물의 내부 자재인양구(2)에 설치 가능한 건축용 내부 인양기(1)에 있어서,
상기 자재인양구(2)의 슬라브(3)에 고정구(21)로 고정가능한 고정판(20)을 몸체(10) 후면에 연결하고 상기 고정판(20)의 상부 일측에는 윈치(22)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판(20)의 일측과 연결되는 몸체(10)를 경사지게 마련하되, 상기 경사진 몸체(10)의 상부 일측에는 롤러(12)를 마련하고 몸체(10)의 저면에는 바퀴(13)를 고정시키고 길이방향의 몸체(10) 양측으로는 레일(11)을 돌출형성하고 양측의 돌출된 레일(11)에 탈착가능한 승강대(30)를 마련하여 승강대(30) 일측에 연결된 연결고리(37)에 연결된 와이어(23)를 몸체(10)의 롤러(12)를 통해 윈치(22)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부 인양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30)는 상부 측면에는 회전가능한 이탈방지대(36)를 고정하며, 하부에 적치대(31)를 마련하고 상기 몸체(10)의 레일(11)에 끼움가능한 굴림구(34)를 내부에 마련한 가이드(33)를 형성하고 승강대(30)의 후면에는 연결고리(37)를 형성하며, 승강대(30)의 저면에는 바퀴(35)를 마련하고 적치대(31)의 끝단에는 걸림대(4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부 인양기.
- 제 1항에 있어서,
적치대(31)의 끝단에 걸림편(32)을 돌출형성하고 승강대(30)의 측면 일측에 걸고리(38)를 마련하여 적치대(31)에 마련한 건축자재(4)를 감아 적치대(31)에 고정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부 인양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상부 전면에는 박리제를 내부에 마련한 기름통(40)의 일측에 몸체(10)와 기름통(40)의 거리를 조절가능케 장공(42)을 형성한 연결대(41)로 연결하되, 상기 기름통(40)의 하부로는 다수개의 밸브(44)를 기름통(40)과 연결하는 노즐(45)을 연결하고 상기 노즐(45)에는 다수개의 노즐공(46)을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노즐공(46) 하부에는 도포롤러(48)를 고정대(47)로 고정하게 하며, 기름통(40)의 타측에는 자재인양구(2)의 슬라브(3)에 걸려 고정하는 걸림대(43)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부 인양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8852A KR101614203B1 (ko) | 2014-04-23 | 2014-04-23 | 건축용 내부 인양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8852A KR101614203B1 (ko) | 2014-04-23 | 2014-04-23 | 건축용 내부 인양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2502A true KR20150122502A (ko) | 2015-11-02 |
KR101614203B1 KR101614203B1 (ko) | 2016-04-20 |
Family
ID=5459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8852A KR101614203B1 (ko) | 2014-04-23 | 2014-04-23 | 건축용 내부 인양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420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893537A (zh) * | 2017-10-13 | 2018-04-10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高精度砼找平装置及施工方法 |
CN114439209A (zh) * | 2022-02-10 | 2022-05-06 | 徐银良 | 一种建筑工程用外墙修筑操作平台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0970Y1 (ko) | 2010-08-12 | 2010-11-15 | 서세영 |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운반장치 |
JP3173496U (ja) | 2011-11-25 | 2012-02-09 | 富男 養田 | 太陽光発電システム部材荷揚げ機 |
-
2014
- 2014-04-23 KR KR1020140048852A patent/KR101614203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893537A (zh) * | 2017-10-13 | 2018-04-10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高精度砼找平装置及施工方法 |
CN114439209A (zh) * | 2022-02-10 | 2022-05-06 | 徐银良 | 一种建筑工程用外墙修筑操作平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4203B1 (ko) | 2016-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644375B (zh) | 一种多功能一体化智能筑塔装置 | |
CN107435438B (zh) | 一种烟囱翻模施工装置 | |
CA2781450C (en) | Stripping apparatus | |
CN205955236U (zh) | 一种带滑轮的集装箱式悬挑卸料平台 | |
RU2012115679A (ru) | Способ при изготовлении лифта | |
CN110593128B (zh) | 一种混凝土桥塔筑塔方法 | |
CN110821149B (zh) | 一种应用于房屋滑模成型装置的取模装置及取模方法 | |
CN101830388B (zh) | 一种电梯对重架的安装方法 | |
KR101614203B1 (ko) | 건축용 내부 인양기 | |
CN101413342B (zh) | 液压爬模初始安装施工方法 | |
CN204418657U (zh) | 电梯井物料平台液压爬模架 | |
CN106351441B (zh) | 烟囱爬模施工装置及施工方法 | |
CN107178204A (zh) | 电梯井电动液压施工平台装置及该电梯井剪力墙施工方法 | |
KR101725899B1 (ko) | 분리형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 |
EP2607035A2 (en) | Method and equipment for treating concrete products | |
CN211420875U (zh) | 一种多功能一体化智能筑塔装置 | |
JP2014047479A (ja) | 解体建物への解体重機揚重方法 | |
KR20050102793A (ko) | 건축물의 외측에 가설되는 건축자재 인양장치 | |
CN106193586A (zh) | 电梯井可伸缩折叠式整体提升筒模 | |
CN106284086A (zh) | 一种利用电动爬模装置浇注高墩柱的方法 | |
CN106315365A (zh) | 一种施工电梯自携式接料平台 | |
KR20160117940A (ko) | 건축자재용 운반구 | |
CN113175201A (zh) | 一种用于电梯井施工的滑升操作平台 | |
KR101105255B1 (ko) |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건축자재 인양장치 | |
US20170145749A1 (en) | Adapted drilling equipment platform with movable mechanism for hoisting and lowering transport system, and system for lifting and lowering over the well hea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