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5154A -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 - Google Patents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15154A KR20150115154A KR1020140039651A KR20140039651A KR20150115154A KR 20150115154 A KR20150115154 A KR 20150115154A KR 1020140039651 A KR1020140039651 A KR 1020140039651A KR 20140039651 A KR20140039651 A KR 20140039651A KR 20150115154 A KR20150115154 A KR 201501151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member
- mouth
- mask
- nasal
- fil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호흡 보호수단인 구강여과부와 비강호흡 보호수단인 비강보호부를 모두 갖는 다목적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두 겹 이상의 면 필터와, 면 필터 사이에 삽입되는 프리필터로 이루어지는 메인부재와; 상기 메인부재의 테두리와 결합되어 안면에 탄성적으로 고정 가능한 안면부착부와; 상기 메인부재에서 비강 흡입 부위에 마련되며, 제1복합필터로 이루어지는 비강여과부와; 상기 메인부재에서 입의 위치에 마련되며, 제2복합필터로 이루어지는 구강여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파이프 형상의 구강보호부와 비강보호부의 내부에 각각 적층되는 복합필터에 의하여 강력한 여과작용이 가능하게 되어 여러 다른 대기오염 상황에 대하여 모두 대처 가능하게 되고 귀걸이 끈 없이 얼굴에 탈부착 가능하여 마스크 탈부착시에 화이버나 모자를 벗을 필요가 없게 되며 강력한 여과필터가 구비되면서도 일상적인 마스크의 외관 연출이 가능하여 미관상 거부감이 없는 다목적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황에 대응 가능한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는 대규모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배출되는 유독 기체의 양이 막대할 뿐만 아니라 그 종류도 다양하여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성분으로 대기가 오염되고 있다.
대기 오염 방지를 위한 여러 규제 법규가 제정되고 정화장치의 개발도 이루어져 왔으나 대기 오염을 차단하기에는 아직은 미비한 실정이다.
최근에도 황사보다 더욱 인체에 유해한 미세먼지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은 아직 없는 상태이다. 특히 미세먼지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심장마비, 천식, 기관지염, 폐렴, 폐암 등 심각한 질병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미세먼지 농도가 올라가면 심혈관계, 호흡기계 환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사망률도 높아진다. 한 연구에 의하면 수도권에서만 미세먼지로 인해 연간 2만 여명의 조기사망과 80만 여명의 폐 관련 질환이 발생한다고 한다. 이를 사회적 비용으로 환산하면 무려 12조 3천억원으로 추정된다.
또한 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각종 산업현장에서 근로자들과 인근 주민들은 다양한 대기 오염원에 노출되어 있다. 화학연료나 유기용제를 직접적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산업현장에는 아주 다양한 유형의 해로운 기체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근로자들은 많은 경우 답답한 마스크를 쓰기 보다는 간단한 방독면을 착용하게 되기도 하고 작업중의 의사소통을 위하여 아예 마스크를 쓰지 않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대기오염의 원인이 다양한 만큼 각각의 오염원에 따라 적합한 마스크들은 개발되어 있으나, 상황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마스크들을 모두 휴대하긴 힘들므로 하나의 마스크를 휴대하더라도 다른 대기오염원에는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도 많다.
이처럼 다양한 오염원 모두에 대처 가능한 마스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나 종래 개발된 마스크들은 다양한 요구들을 만족시키기에는 용도가 너무 한정되게 된다. 예를들어 일상생활에서도 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신종플루 등의 바이러스에도 동시에 대처 가능한 마스크는 아직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또한, 일상생활에 쓰이는 마스크들은 대부분은 너무 헐렁하여 미세먼지나 바이러스 차단 효과가 거의 없다. 특수하게 제작되는 마스크들도 고성능의 다층필터가 입과 코 모두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경우는 없으며 특히 여러 다른 특수 상황에 모두 대처 가능하도록 고성능 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구조의 마스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도1에 도시되어 있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3159호의 마스크를 살펴보면, 마스크(1)에 있어서, 코,입 형상의 본체(100) 내측에 탈착식 공기여과필터(300)를 공기여과필터 커버(301)와 용착하여 설치하고 얼굴에 접촉되는 내측 가장자리에는 스판덱스원단(402)을 접착한 환형의 우레탄 스폰지 패드(400) 및 우레탄 스펀지패드 고정 돌기들을 설치하며 본체 외측 가장자리에는 자외선 차단 및 방한용 두건(500)을 탈부착할 수 있으며 두건 고정 돌기(101) 및 홈(102)들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도1의 종래기술은 스판덱스 원단으로 얼굴과의 밀착성을 높이고 필터가 교체가능하게 됨으로써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며 입 부위만의 개폐가 가능하여 마스크를 벗지 않고 음식 섭취나 대화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다만, 도1의 종래기술은 코가 함께 보호되지 못하고, 입에 장착되는 필터는 다층의 복합필터가 장착되기는 힘든 구조이므로 가령 바이러스와 초미세먼지를 동시에 차단시키기에는 부족하며 귀에 거는 끈 없이 얼굴에 밀착될 수 있는 수단이 부재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다른 종래기술로는 도2에 도시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7565호의 코, 입 분리형 마스크가 있다.
도2의 종래기술은 구체적으로 공기를 필터링 하는 코, 입 분리형 마스크에 있어서, 코 마스크(100) 및 코마스크로부터 탈착 가능한 입 마스크(200)를 포함하며, 코마스크는, 상기 사용자의 비문과 상기 코마스크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통기 구멍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코마스크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코마스크 외부의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일방향 배출 격막을 포함하며, 통기 구멍과 일방향 배출 격막은 사용자의 비문에 대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인 코, 입 분리형 마스크에 대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도2의 종래기술은 외부 공기의 불필요한 유입이 차단되고 코마스크와 입마스크가 용이하게 탈부착되며 마스크 내부의 공기 및 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다만, 도2의 종래기술도 도1의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강력한 복합필터를 탈착시킬 수 있는 구성이 없으며, 귀에 거는 끈을 사용해야 하므로 안전모 등을 착용하였을 경우에는 마스크를 쓰기 위해서 안전모를 벗어야 하는 문제가 있고, 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한 가지 오염원에 대처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게 된다.
한편, 종래의 귀에 거는 끈 없는 마스크들은 피부에 들러붙는 점착성 물질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나 그러한 점착성 물질은 인체에 유해한 경우가 많고 피부 건강에도 좋지 않으므로 점착성 물질을 쓰지 않고도 얼굴에 귀에 거는 끈 없이 착용가능한 마스크가 필요하다.
그리고 고성능 필터가 쓰이는 경우는 특수 목적을 위한 방독면들이 대부분인데 그러한 방독면을 쓰고 일상생활을 할 수는 없으므로 미관상 자연스러운 통상의 마스크처럼 보이면서도 고성능 필터가 적용 될 수 있는 마스크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공해, 유독가스, 미세먼지, 바이러스 등의 각종 대기 오염원에 모두 대처할 수 있고,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는 깊이를 가지는 복합필터의 채용이 가능하며 안전모 등을 착용했을 경우에도 안전모 등을 벗지 않고 얼굴에 부착 가능한 한편 고성능 필터가 적용되면서도 미관상 자연스러운 마스크의 개발이 요청되는 것이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3159호(공개일자: 2009.04.01)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7565호(공개일자: 2011.01.24)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여러 종류의 대기 오염에 모두 대처 가능하며 고성능 필터를 구비할 수 있는 수단을 채용하면서 귀에 거는 끈 없이 착용 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마스크는, 두 겹 이상의 면 필터와, 면 필터 사이에 삽입되는 프리필터로 이루어지는 메인부재와, 상기 메인부재의 테두리와 결합되어 안면에 탄성적으로 고정 가능한 안면부착부와, 상기 메인부재에서 비강 흡입 부위에 마련되며, 제1복합필터로 이루어지는 비강여과부와, 상기 메인부재에서 입의 위치에 마련되며, 제2복합필터로 이루어지는 구강여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부재는 상기 비강여과부가 탈착가능하게 되는 제1탈착수단을 더 포함하며, 비강여과부는 콧구멍 내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양 콧구멍에 삽입되는 두 개의 하우징과, 서로 다른 재질의 필터가 상기 하우징에 공기 진행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내장되어 형성되는 제1복합필터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복합필터는 용도별로 필터 구성을 달리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부재는 상기 구강여과부가 탈착가능하게 되는 제2탈착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강여과부는 중공의 원통형 하우징과, 서로 다른 재질의 필터가 원통형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순차로 삽입되어 형성되는 제2복합필터로 이루어지며, 원통형 하우징의 양측 개구부는 복수개의 통기구가 형성되는 막으로 폐쇄되도록 한다.
이때, 제1탈착수단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양측이 통기되는 원기둥이 구강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이 되게 하며, 상기 구강여과부는 하우징의 일측이 연장되어 상기 통기구를 둘러싸며 연장된 부위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탈착수단에 나사 결합 되는 원통형의 너트부를 더 포함하며, 구강여과부는 용도별로 상기 다층필터 구성을 달리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인부재에는 상기 구강여과부가 탈착 가능한 제2탈착수단이 구비되게 하되, 제2탈착수단은 신축성의 링이며, 상기 구강여과부는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원형 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원형 홈에 상기 링이 결합되고, 구강여과부는 용도별로 상기 다층필터 구성을 달리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안면부착수단은 메모리 폼의 표면을 둘러싸는 땀 흡수가 용이한 항균 섬유를 더 포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마스크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깊이가 깊은 고성능의 복합 필터의 채용이 가능하여 여러 가지 대기 오염원을 동시에 뛰어난 효율로 차단시킬 수 있으며, 특히, PM 2.5 이하의 초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둘째, 복합 필터를 다양한 대기 오염원에 대응되도록 필터 구성을 달리하여 세트로 구비되게 함으로써 필터의 교체만으로 간접흡연의 피해로부터 각종 작업장의 유해가스까지 모두 차단이 가능하게 된다.
셋째, 고성능의 복합 필터를 채용하면서도 일상적인 마스크와 거의 유사한 외관을 하므로 특수 방독면과 달리 미관상으로도 괴리감을 주지 않는다.
넷째, 코와 입이 동시에 복합필터로 보호 가능하게 됨으로써 코나 입의 어느 하나만 보호하는 마스크에 비하여 원활한 호흡이 가능하게 된다.
다섯째, 귀에 거는 끈 없이 착용이 가능하므로 모자나 헬멧 등을 착용한 경우에도 모자나 헬멧을 벗지 않고 마스크를 얼굴에 쓰거나 벗을 수 있으며 탈착수단으로 탄성재질의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에 좋지 않은 점착성 물질을 쓰지 않을 수 있다.
도1은 종래기술 마스크를 나타낸 정면도와 배면도,
도2는 종래기술인 코, 입 분리형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기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안면부착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메인부재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제1,2 탈착수단이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구강여과부와 제2탈착수단에 대한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구강여과부와 제2탈착수단에 대한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비강여과부를 나타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제2탈착수단의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비문부와 구문부가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제1,2 탈착수단이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 착용상태의 측면도,
도2는 종래기술인 코, 입 분리형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기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안면부착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메인부재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제1,2 탈착수단이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구강여과부와 제2탈착수단에 대한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구강여과부와 제2탈착수단에 대한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비강여과부를 나타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제2탈착수단의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비문부와 구문부가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제1,2 탈착수단이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 착용상태의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1)가 사용자에 의하여 착용된 경우를 상정한 기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본 발명은 두 겹 이상의 면 필터(11)와, 면 필터(11) 사이에 삽입되는 프리필터(13)로 이루어지는 메인부재(10)와, 메인부재(10)의 테두리와 결합되어 안면에 탄성적으로 고정 가능한 안면부착부(20)와, 메인부재(10)에서 비강 흡입 부위에 마련되며, 제1복합필터(31)로 이루어지는 비강여과부(30)와, 메인부재(10)에서 입의 위치에 마련되며, 제2복합필터(41)로 이루어지는 구강여과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5에는 메인부재(10)의 단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메인부재(10)의 단면구조상 양 표면은 면 재질의 필터(11)이며 그 사이에 부직포 재질의 프리필터(13)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도5에는 두겹의 면 필터(11)와 한 겹의 프리필터(13)로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숫자에 제한은 없으며 복수개의 면 필터(11)가 있고 그 사이마다 프리필터(13)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필터의 재질은 사용 환경에 따라서 면과 부직포가 아닌 다른 재질이 적용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4에는 안면부착부(20)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안면부착부(20)는 도4에 표현된 것처럼 탄성재질로 되어 얼굴에서 양측 볼을 조임에 의하여 얼굴에 다목적 마스크(1)가 착용되게 된다. 조임에 의한 착용방식이 채택됨으로써 종래의 끈없는 마스크와는 달리 인체에 해로운 점착제를 쓸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다만, 탄성력에 의하여 얼굴에 착용 될 경우 사람마다 얼굴의 굴곡이 다르므로 안면부착부(20)와 얼굴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마스크 내부로 스며들 수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안면부착부(20)에서 피부에 접촉되는 부위에는 메모리 폼 등의 형상복원 재질의 쿠션이 부착될 수 있다. 메모리 폼은 착용 후 시간이 지나면 빈 공간을 채우도록 형상이 변형되며 탈착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된다. 따라서 메모리 폼의 성질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안면부착부(20)에 적용되어 좀 더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1)는 코와 입 부위를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메인 부재(10)가 피부에 접촉되게 되므로 외부 공기가 직접 코와 입으로 들어오기는 힘들며 따라서 안면부착부(20)에 구비되는 상기 메모리 폼은 보조적인 기밀성의 향상을 위한 구성이 된다.
도3에서는 비강여과부(30)와 구강여과부(40)가 빈 공간인 것처럼 묘사가 되어 있으나, 도3의 기본 실시예에서도 비강여과부(30)와 구강여과부(40)는 결합 된 상태이다 비강여과부(30)의 자세한 구성은 도9에 도시되어 있으며, 구강여과부(40)는 도7과 도8에 도시되어 있다.
다만, 후술하겠지만 도7과 도8은 구강여과부(40)가 메인부재(10)에 탈착가능하게 되는 경우의 실시예로서 도7과 도8은 각각 구강여과부(40)가 후술하게 될 제2탈착수단(16)에 결합되는 방식이 서로 다른 실시예를 이루므로 기본 실시예와 관련하여 참고할 경우에는 도7과 도8에 도시된 제2탈착수단(16) 및 너트부(44)와 원형 홈은 제외하고 참고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기본 실시예에서는 구강여과부(40)와 비강여과부(30)가 메인부재(10)에 탈착 가능한지 여부와는 무관하게 두 여과부(30,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기본 실시예에서는 구강여과부(40)와 비강여과부(30)는 메인부재에 고정부착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비강여과부(3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비강여과부(30)는 콧구멍 내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양 콧구멍을 밀폐하게 되는 두 개의 하우징(32)과, 서로 다른 재질의 필터가 상기 하우징(32)에 공기 진행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내장되어 형성되는 제1복합필터(31)로 이루어지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우징(32)의 형상은 비강 내부 형상에 대응되게 상측 종단부가 굽어져서 비강 내부로 하우징(32)이 삽입되더라도 이물감 없이 편안하게 착용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32)은 콧구멍 안쪽으로 깊이 삽입될 필요 없이 콧구멍 개구부만을 밀폐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복합필터(31)의 하부에는 반원구 형상의 1차 정화실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흡착구가 복수개가 구비되며 공기가 흡입될 때 상기 흡착구가 유동되면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그 외주면에 흡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정화실의 상단에는 제1복합필터(31)로 공기가 들어갈 수 있도록 흡입공이 형성되며, 흡입공을 지난 공기는 제1복합필터(31)를 통과하게 된다. 제1복합필터(31)는 기본적으로 공기가 처음 통과되는 활성탄 층이 가장 하부에 형성되며, 활성탄 층의 상부에는 대기 오염의 종류에 따라 오염원의 차단이 가능한 필터층들이 차례로 위치될 수 있다.
구강여과부(40)는 도7과 도8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7과 도8에서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므로 도7을 참조하기로 한다.
구강여과부(40)도 비강여과부(30)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는 하우징(42)과 하우징(42) 내부에 하우징(42)의 깊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서로다른 필터층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비강여과부(30)와의 차이점은 하우징(42)이 형상의 제한을 덜 받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상을 띠고 개방되는 원통 양측은 복수개의 통기구(43)가 형성되는 막으로 폐쇄된다. 이는 공기의 흡입 압력을 낮추어 제2복합필터(41)의 여과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1)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1실시예는 비강여과부(30)와 구강여과부(40)가 모두 메인부재(10)에서 착탈 가능하게 되는 형태이다.
도6 내지 도10에는 비강여과부(30)와 구강여과부(40)가 각각 제1탈착수단(15)과 제2탈착수단(16)에 결합 가능하게 되는 수단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9를 참조하여 비강여과부(30)의 탈착방식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9와 도6에는 비강여과부(30)의 탈착방식이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다만 비강여과부(30)의 탈착방식에는 제한은 없으며 일례로 제1탈착수단(15)은 코 부위의 메인 부재(10)에서 프리필터(13)가 일부 제거되고 도9의 비강여과부(30)의 하우징(32)의 하부 끝단의 수평 부분이 프리필터(13)가 위치되는 부위에 삽입가능하게 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7을 참조하여 구강여과부(40)가 제2탈착수단(16)에 탈착되는 방식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2탈착수단(16)은 메인부재(10)에서 입이 위치되는 부위에 구비되는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양측이 통기되는 원기둥이 구강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띠게 된다. 따라서 제2탈착수단(16)에 결합되는 원통 파이프 형상의 구강여과부(40)를 사용자가 입으로 물어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된다.
원기둥 형상의 제2탈착수단(16)은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일종의 볼트와 유사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구강여과부(40)는 일측에 중공의 원기둥이 연장되고 그 연장되는 부위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부(44)로 형성되며 이 너트부(44)가 볼트 형상의 제2탈착수단(16)에 나사결합으로 부착된다.
다만, 제2탈착수단(16)이 볼트의 역할이 아닌 너트 형상을 띠게 되어 너트의 역할을 맡고 구강여과부(40)의 끝단이 볼트 형상으로 되어 볼트의 역할을 맡게 될 수도 있다. 즉 반드시 어느 한쪽이 고정된 역할을 맡을 필요는 없는 것이다.
도6에서 하단에 도시된 부분이 바로 제2탈착수단(16)이 된다. 도6에서는 상기 설명과는 달리 제2탈착수단(16)은 너트 형상을 띠고 있다. 따라서, 제2탈착수단(16)이 도6과 같이 너트로 될 경우에는 구강여과부(40)의 끝단은 너트부가 아닌 볼트부가 되는 것이다.
도6에는 제1탈착수단(15)과 제2탈착수단(16)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다시 도7로 돌아와서 살펴보면, 일단에 형성된 너트부(44) 외에 타단에 볼트 형상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변형 실시예로서, 특수한 목적을 위하여 구강여과부(40)가 두 개 이상 나란히 연결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다. 특히, 일상적인 목적이 아닌, 전염 바이러스 등이 창궐하는 상황에서는 필터의 여과력을 극대화 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쓰이게 되는 것이다.
도7의 오른쪽에는 앞서 설명한 통기구(43)가 형성된 모습이 왼쪽 도면에서 A-A를 따라 절개된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구강여과부(40)는 여러 가지 상황을 대비하여 복수개로 구비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계절에 따라 오염원이 달라지는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고 혹은 주요한 각종 바이러스들에 대하여 종류별로 대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 수도 있다. 또는 사용처에 따라 유기용제 취급을 위한 경우, 납땜 등의 작업에서 중금속 개스를 차단시키기 위한 경우, 담배연기가 자욱한 상황에서 간접흡연을 피하기 위한 경우 등에 따라 여러 종류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여러 종류를 하나의 세트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각각의 구강여과부(40)는 서로 내부 필터 구성을 목적에 따라 달리할 수 있을 것이다.
도8에는 제1실시예에서 제2탈착수단(16)에 구강여과부(40)가 결합되는 방식의 변형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8의 실시예에서는 도7처럼 제2탈착수단(16)과 구강여과부(40)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제2탈착수단(16)은 신축성의 링으로 되고 이 링에 대응될 수 있게 구강여과부(40)의 하우징(42) 외부에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원형의 홈이 형성되어 이 원형 홈에 링으로 된 제2탈착수단(16)이 결합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앞서의 도7의 실시예와 같이 구강여과부(40)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로 연결될 수는 없다. 다만 이 실시예의 특징은 원형의 홈이 구강여과부의 하우징(42)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되도록 하여 하우징(42)이 입 안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정가능하게 되는 점이다. 단순한 불편함의 개선을 위한 목적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서는 입 안으로 구강여과부(40)가 깊이 돌출될 경우 헛구역질을 일으킬 수도 있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장시간 착용의 경우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본 실시예에 의하여 이런 점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8의 실시예는 제1탈착수단(15)과 비강여과부(30)의 결합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10에는 제1실시예가 적용되는 경우의 제2탈착수단(16)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메인 부재(10)의 단면도이다.
도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1)의 두 번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11에서는 비강여과부(30)와 구강여과부(40) 외에도 코 부위와 입 부위에 보조 필터(38,48)를 메인부재(10)에 더 결합시켜 탈착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코 부위와 입 부위로 호흡이 이뤄지므로 특히 기밀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보조필터(38,48)를 적용하여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최대한 차단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비강보조필터(38)이며 비강보조필터(38)는 제1보조탈착수단(39)에 의하여 탈착이 가능하다. 그리고, 입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구강보조필터(48)이며 구강보조필터(48)는 제2보조탈착수단(49)에 의하여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도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마스크의 제1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안면부착수단(20)에서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메모리 폼의 표면에는 땀 흡수가 용이한 항균 섬유층이 마련되어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부위에 땀이 과도하게 차는 것이 방지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다목적 마스크 10: 메인부재
11: 면 필터 13: 프리필터
15: 제1탈착수단 16: 제2탈착수단
20: 안면부착부 30: 비강여과부
31: 제1복합필터 32: 비강여과부 하우징
38: 비강보조필터 39: 제1보조탈착수단
40: 구강여과부 41: 제2복합필터
42: 구강여과부 하우징 43: 통기구
44: 너트부 45: 볼트부
48: 구강보조필터 49: 제2보조탈착수단
11: 면 필터 13: 프리필터
15: 제1탈착수단 16: 제2탈착수단
20: 안면부착부 30: 비강여과부
31: 제1복합필터 32: 비강여과부 하우징
38: 비강보조필터 39: 제1보조탈착수단
40: 구강여과부 41: 제2복합필터
42: 구강여과부 하우징 43: 통기구
44: 너트부 45: 볼트부
48: 구강보조필터 49: 제2보조탈착수단
Claims (7)
- 두 겹 이상의 면 필터와, 면 필터 사이에 삽입되는 프리필터로 이루어지는 메인부재와;
상기 메인부재의 테두리와 결합되어 안면에 탄성적으로 고정 가능한 안면부착부와;
상기 메인부재에서 비강 흡입 부위에 마련되며, 제1복합필터로 이루어지는 비강여과부와;
상기 메인부재에서 입의 위치에 마련되며, 제2복합필터로 이루어지는 구강여과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마스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재는 상기 비강여과부가 탈착가능하게 되는 제1탈착수단을 더 포함하며,
비강여과부는 콧구멍 내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양 콧구멍을 밀폐하게 되는 두 개의 하우징과, 서로 다른 재질의 필터가 상기 하우징에 공기 진행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내장되어 형성되는 제1복합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마스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합필터는 용도별로 필터 구성을 달리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마스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재에는 상기 구강여과부가 탈착가능하게 되는 제2탈착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구강여과부는 중공의 원통형 하우징과, 서로 다른 재질의 필터가 원통형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순차로 삽입되어 형성되는 제2복합필터로 이루어지며, 원통형 하우징의 양측 개구부는 복수개의 통기구가 형성되는 막으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마스크. - 제4항에 있어서,
제1탈착수단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양측이 통기되는 원기둥이 구강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이며,
상기 구강여과부는 하우징의 일측이 연장되어 상기 통기구를 둘러싸며 연장된 부위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탈착수단에 나사 결합 되는 원통형의 너트부를 더 포함하며, 구강여과부는 용도별로 상기 다층필터 구성을 달리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마스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재에는 상기 구강여과부가 탈착 가능한 제2탈착수단이 구비되고,
제2탈착수단은 신축성의 링이며, 상기 구강여과부는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원형 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원형 홈에 상기 링이 결합되고, 구강여과부는 용도별로 상기 다층필터 구성을 달리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마스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부착수단은 메모리 폼의 표면을 둘러싸는 땀 흡수가 용이한 항균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마스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9651A KR101639265B1 (ko) | 2014-04-02 | 2014-04-02 |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9651A KR101639265B1 (ko) | 2014-04-02 | 2014-04-02 |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5154A true KR20150115154A (ko) | 2015-10-14 |
KR101639265B1 KR101639265B1 (ko) | 2016-07-14 |
Family
ID=5435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9651A KR101639265B1 (ko) | 2014-04-02 | 2014-04-02 |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9265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3748A (ko) * | 2017-09-22 | 2019-04-01 | ㈜하스피케어 | 기내용 다기능 코골이 방지기 |
KR102137670B1 (ko) * | 2019-09-27 | 2020-07-27 | 윤재웅 |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
KR20210033405A (ko) * | 2019-12-24 | 2021-03-26 | 윤재웅 |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
CN112827085A (zh) * | 2021-01-18 | 2021-05-25 | 苏辉 | 一种全方位防护防毒面罩 |
KR20210133808A (ko) * | 2020-04-29 | 2021-11-08 | (주)멋진여성 |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
WO2022050569A1 (ko) * | 2020-09-07 | 2022-03-10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
KR20220033778A (ko) * | 2020-09-10 | 2022-03-17 | 천승업 | 코 마스크 |
KR20220087107A (ko) * | 2020-12-17 | 2022-06-24 | 국방과학연구소 | 흡착 필터 구조 및 흡착 필터 구조가 적용된 헬멧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1242B1 (ko) | 2019-02-26 | 2019-08-14 | 이주용 | 재활용이 가능한 미세먼지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
KR102219129B1 (ko) | 2019-06-24 | 2021-02-23 | 신윤호 | 코 삽입 마스크 |
KR20210001418U (ko) | 2019-12-17 | 2021-06-25 | 주식회사 폴메이드 | 끈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
KR102227497B1 (ko) | 2020-08-20 | 2021-03-12 | 배영진 | 마스크 착탈형 비말방지용 보안면 |
KR102273318B1 (ko) | 2020-11-12 | 2021-07-06 | 배영진 | 비말방지용 보안면 착탈이 용이한 복합 마스크 |
KR102268803B1 (ko) | 2020-12-02 | 2021-06-24 | 배영진 | 마스크와 비말방지용 보안면의 착탈구조 |
KR20220116981A (ko) | 2021-02-15 | 2022-08-23 | 배영진 | 비말방지용 보안면과 마스크의 착탈구조 |
KR102402986B1 (ko) | 2021-09-08 | 2022-05-31 | 배영진 | 마스크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4097Y1 (ko) * | 2002-10-30 | 2003-02-14 | 고봉국 | 공기청정 마스크 |
KR20090003159U (ko) | 2007-09-28 | 2009-04-01 | 박기수 | 마스크 |
KR20100031180A (ko) * | 2008-09-12 | 2010-03-22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개인 휴대용 공기 정화장치 |
KR20110007565A (ko) | 2009-07-16 | 2011-01-24 | 홍완기 | 코, 입 분리형 마스크 |
KR20130095234A (ko) * | 2013-07-08 | 2013-08-27 | 김경중 | 공기 정화용 1회용 마스크 |
-
2014
- 2014-04-02 KR KR1020140039651A patent/KR1016392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4097Y1 (ko) * | 2002-10-30 | 2003-02-14 | 고봉국 | 공기청정 마스크 |
KR20090003159U (ko) | 2007-09-28 | 2009-04-01 | 박기수 | 마스크 |
KR20100031180A (ko) * | 2008-09-12 | 2010-03-22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개인 휴대용 공기 정화장치 |
KR20110007565A (ko) | 2009-07-16 | 2011-01-24 | 홍완기 | 코, 입 분리형 마스크 |
KR20130095234A (ko) * | 2013-07-08 | 2013-08-27 | 김경중 | 공기 정화용 1회용 마스크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3748A (ko) * | 2017-09-22 | 2019-04-01 | ㈜하스피케어 | 기내용 다기능 코골이 방지기 |
KR102137670B1 (ko) * | 2019-09-27 | 2020-07-27 | 윤재웅 |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
KR20210033405A (ko) * | 2019-12-24 | 2021-03-26 | 윤재웅 | 휴대용 호흡 보조 장치 |
KR20210133808A (ko) * | 2020-04-29 | 2021-11-08 | (주)멋진여성 |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
WO2022050569A1 (ko) * | 2020-09-07 | 2022-03-10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
KR20220033778A (ko) * | 2020-09-10 | 2022-03-17 | 천승업 | 코 마스크 |
KR20220087107A (ko) * | 2020-12-17 | 2022-06-24 | 국방과학연구소 | 흡착 필터 구조 및 흡착 필터 구조가 적용된 헬멧 |
CN112827085A (zh) * | 2021-01-18 | 2021-05-25 | 苏辉 | 一种全方位防护防毒面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9265B1 (ko) | 2016-07-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9265B1 (ko) |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 | |
KR101865203B1 (ko) | 방진마스크 | |
KR101739568B1 (ko) | 코마스크에 배기밸브를 구비한 미세먼지 제거 호흡기 | |
KR101176942B1 (ko) | 마우스 피스를 구비하는 호흡기 | |
KR100903119B1 (ko) | 필터 교체형 방독마스크 | |
KR102036025B1 (ko) | 휴대성을 위해 목에 착용하는 일회용 마스크 | |
KR101574021B1 (ko) | 전동식 공기정화 호흡기 보호구 | |
US20170216634A1 (en) | Nose Respiratory Filtration Mask | |
AU2003267766A8 (en) | Facemask with filtering closure | |
JP2006289093A (ja) | 多機能性マスク | |
JP2015012896A (ja) | マスク用パッドおよびマスク | |
US20120325221A1 (en) | Lightweight Respirator | |
JP2017509377A (ja) | 共用呼吸穴を有する保護呼吸マスク | |
KR20150104906A (ko) | 방진마스크 구조형성의 제조방법 | |
US20160082296A1 (en) | Fully sealed anti-pollution mask | |
CN103418093A (zh) | 一种煤矿安全用防尘面罩 | |
CN205163951U (zh) | 一种新型防霾口罩 | |
CN201523692U (zh) | 一种多功能重复使用的口罩 | |
CN212730754U (zh) | 一种呼吸结构及呼吸罩 | |
CN210904714U (zh) | 一种鼠疫疫情现场处置及实验室防护口罩 | |
KR200389362Y1 (ko) | 습기방지용 안면 마스크 | |
KR20220000311A (ko) | 끈 없는 다목적 마스크 | |
CN207545652U (zh) | 一种呼吸面罩 | |
KR20210002167U (ko) | 필터 교체용 마스크 패드 | |
CN213215484U (zh) | 一种可除异味的口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