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9684A - 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09684A KR20150109684A KR1020140032771A KR20140032771A KR20150109684A KR 20150109684 A KR20150109684 A KR 20150109684A KR 1020140032771 A KR1020140032771 A KR 1020140032771A KR 20140032771 A KR20140032771 A KR 20140032771A KR 20150109684 A KR20150109684 A KR 201501096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resin
- polarizing plate
- adhesive layer
- acry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판 보호필름, 표면처리필름 및 그 사이에 게재된 대전방지제를 함유한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처리필름의 점착층과 접하는 측의 표면 에너지가 상기 점착층의 표면 에너지보다 5 mN/m 내지 20 mN/m 더 높아, 편광판 보호필름 및 점착층의 박리시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화상표시장치에 적용된 경우에 이물 혼입, 장치 파손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노트북, 휴대전화, 액정 TV 등의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일반적으로 액정을 포함하고 있는 액정셀과 상판 및 하판 편광판, 이를 접합하기 위한 접착층 또는 점착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편광판은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 폴리비닐알코올계(polyvinyl alcohol, PVA) 수지 필름에 요오드계 화합물 또는 이색성 편광물질이 흡착 배향된 편광자(또는 편광필름)를 포함하며, 상기 편광자의 한 면에는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riacetyl cellulose, TAC) 등의 제1 편광자 보호필름과, 상기 제1 편광자 보호필름 상에 액정셀과 접합하게 되는 점착제층과 이형필름이 구비된다. 그리고 편광자의 다른 한 면에는 제2 편광자 보호필름과, 상기 제2 편광자 보호필름 상에 폴리에스테르계 표면처리필름에 점착제층이 적층된 편광판 보호필름 등이 구비된다. 이때, 제2 편광자 보호필름은 상판 편광판에서는 시인측에 배치되고 하판 편광판에서는 백라이트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판 편광판의 제2 편광자 보호필름 상에는 용도에 따라 반사방지, 방현, 고경도, 대전방지 등의 기능성 코팅층이 더 포함된다.
이러한 구조의 편광판을 액정표시장치의 액정셀에 부착하여 판넬을 제작한 후에, 조립 공정에서 불필요한 편광판 보호필름은 상기 편광판 보호필름에 적층된 점착제층과 함께 박리하여 제거되는데 이때 정전기가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정전기는 광학부재에 이물흡착과 같은 표면오염 문제, 불필요한 액정 배향으로 인한 얼룩문제 등을 유발시킨다.
또한 편광판 보호필름을 박리한 후 하판 편광판과 백라이트 유닛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정전기는 액정의 배향에 영향을 주어 불량을 유발시키며 액정표시장치의 집적회로칩의 파손 유발의 우려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 패널이 대형화 및 박형화되면서, 액정표시장치 제조시 사용되는 편광판의 크기 또한 확대되고 공정도 고속으로 수행된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과 편광판이 적층된 액정셀은 밀접히 배치되어, 고열에 의한 변형에 의해 백라이트 유닛과 하판 편광판의 마찰 정전기의 발생량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3716호에는 점착제 조성물,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편광판 보호필름 및 점착층의 박리시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편광판 보호필름, 표면처리필름 및 그 사이에 게재된 대전방지제를 함유한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처리필름의 점착층과 접하는 측의 표면 에너지가 상기 점착층의 표면 에너지보다 5 mN/m 내지 20 mN/m 더 높은, 광학 필름.
2. 위 1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보호필름은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스타이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락틱에시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비닐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설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또는 알릴레이트계 수지 필름인, 광학 필름.
3. 위 1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필름은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셀룰로오스(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또는 에폭시 필름인, 광학 필름.
4. 위 1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4차 암모늄염, 금속염, 전도성 고분자, 금속 산화물, 계면활성제 및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광학 필름.
5. 위 1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필름은 편광판 보호필름과 점착되는 면에 방현층, 하드코팅층 또는 반사방지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6. 위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을 표면처리필름으로부터 박리할 때 발생하는 박리대전압이 300V 이하인, 광학 필름.
7. 위 1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필름, 하드코팅 필름, 방현 필름 또는 반사방지 필름인, 광학 필름.
8. 위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9. 위 8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편광판 보호필름 및 점착층의 박리시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 혼입, 장치 파손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점착층이 잔류하지 않고 충분히 박리되어, 점착제 잔류에 의한 얼룩 시인 등의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편광판 보호필름, 표면처리필름 및 그 사이에 게재된 대전방지제를 함유한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처리필름의 점착층과 접하는 측의 표면 에너지가 상기 점착층의 표면 에너지보다 5 mN/m 내지 20 mN/m 더 높아, 편광판 보호필름 및 점착층의 박리시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화상표시장치에 적용된 경우에 이물 혼입, 장치 파손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 보호필름은 표면처리필름의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을 표시장치 등에 적용할 때에는 점착층과 함께 박리되어 제거된다. 이러한 편광판 보호필름과 점착층의 박리시에 정전기가 발생하는데, 이 때 발생한 정전기는 이물을 흡착시키고, 얼룩을 발생시키거나 회로칩 등을 파손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편광판 보호필름과 표면처리필름 사이에 게재되는 점착층으로 대전방지제를 함유한 점착층을 사용하지만 정전기 발생 억제 효과는 미미한 수준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점착층의 박리시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시장치의 이물 혼입, 손상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편광판 보호필름, 표면처리필름 및 그 사이에 게재된 대전방지제를 함유한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처리필름의 점착층과 접하는 측의 표면 에너지가 상기 점착층의 표면 에너지보다 5 mN/m 내지 20 mN/m 더 높다.
편광판 보호필름은 표면처리필름의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표시장치 등에 적용할 때에는 점착층과 함께 박리되어 제거된다.
편광판 보호필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질의 필름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티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스타이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타이렌 등의 스타이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락틱에시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등의 비닐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설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또는 상기 수지들의 혼합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편광판 보호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5 내지 5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일 수 있다.
표면처리필름은 투명성이 있는 플라스틱 필름이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노르보넨이나 다환 노르보넨계 단량체와 같은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단위를 갖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셀룰로오스(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 에폭시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미연신, 1축 또는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예시한 수지 중에서도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1축 또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면서 필름의 대형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필름, 또는 투명성 및 광학적으로 이방성이 없다는 점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표면처리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8㎛ 내지 1000㎛이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일 수 있다. 표면처리필름의 두께가 8㎛ 미만이면 필름의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떨어지게 되고, 1000㎛ 초과이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이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 및 표시장치의 두께 및 중량이 과도하게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표면처리필름은 점착제와의 밀착성 향상을 위해 점착되는 면에 프라이머 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표면처리필름은 편광판 보호필름과 점착되는 면에 방현층,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등의 광학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기능층은 표면처리필름 상에 광학 기능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이하 방현층의 경우를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방현층의 경우, 투광성 수지, 투광성 입자, 광개시제, 용제 및 레벨링제를 포함하는 광학 기능층 형성용 조성물을 표면처리필름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투광성 수지는 예를 들면 1종 이상의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광경화형 관능기로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의 불포화기를 분자 내에 갖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는, 네오펜틸글리콜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1,2,4-시클로헥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헥사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네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통상적으로 사용하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분자 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촉매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자 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개환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 및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은, 1,4-디이소시아나토부탄,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8-디이소시아나토옥탄, 1,12-디이소시아나토도데칸, 1,5-디이소시아나토-2-메틸펜탄, 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트랜스-1,4-시클로헥센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메틸-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옥시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되는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어덕트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투광성 수지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 중 15 내지 60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15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경도 향상을 도모하기 어려울 수 있고, 60중량% 초과이면 코팅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투광성 입자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방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입자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 실리콘 수지 입자, 멜라민계 수지 입자, 아크릴계 수지 입자, 스티렌계 수지 입자, 아크릴-스티렌계 수지 입자,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입자, 폴리에틸렌계 수지 입자, 염화비닐계 수지 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투광성 입자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투광성 입자의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평균 입경이 1㎛ 내지 10㎛일 수 있다. 평균 입경이 1㎛ 미만인 경우에는 방현층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기가 어려워 방현성이 낮아지게 되며, 10㎛ 초과인 경우에는 방현층의 표면이 거칠어져 시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투광성 입자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 중 0.5 내지 30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0.5중량% 미만이면 방현성이 떨어질 수 있고, 30중량% 초과이면 방현층의 백화 현상이 심해질 수 있다.
광개시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1-온, 디페닐케톤 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1-온, 4-히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디메톡시-2-페닐아테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크롤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및 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로 벤조페논계 수소 탈환형 광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 광 중합과정에서 발생하는 휘발성의 문제와 산소 장애 문제를 최대한 억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광개시제와 함께 광증감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광증감제는 구체적으로 아민(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에탄올아민, 이소아밀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개시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 중 0.1 내지 10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경화 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10중량% 초과이면 과경화에 의해 코팅층의 표면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용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셀루소브, 에틸솔루소브 등), 아세테이트계(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메톡시펜틸아세테이트 등), 케톤계(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헥산계(헥산, 헵탄, 옥탄 등), 벤젠계(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용제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 중 30 내지 80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30중량% 미만이면 점도가 높아 코팅이 힘들고, 80중량% 초과이면 경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레벨링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시판되는 제품의 예를 들면 BYK-333, 307, 377, 3530, 3550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적용되는 코팅 조성물에 따라 건조된 후의 투명성, 레벨링성 등을 검토하고 적당한 것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레벨링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 중 0.1 내지 5중량% 포함될 수 있다. 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레벨링성이 떨어져 크레이터 링(Crater Ring)이나 베르나르 셀(Bernard cell)과 같은 표면의 문제를 발생시키거나 슬립성이나 스크래치성과 같은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5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레벨링제의 얼룩으로 인한 표면 불량이 야기될 수 있다.
표면처리필름의 표면에너지, 광학 기능층이 형성된 경우 광학 기능층의 표면에너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0mN/m 내지 50mN/m일 수 있다.
점착층은 편광판 보호필름과 표면처리필름 사이에 게재되어 이들을 점착한다.
점착층은 점착제 조성물을 편광판 보호필름이나 표면처리필름의 접합되는 면에 도공하거나, 점착시트를 제조한 후에 이를 편광판 보호필름이나 표면처리필름의 접합되는 면에 전사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및 대전방지제를 함유한다.
바인더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 공지된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계 수지, 펜타에리스리톨계 수지 등과 같은 유기계 바인더 수지; 또는 실리케이트와 같은 무기계 바인더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수지일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아크릴계 수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수지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갖는 1종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바인더 수지에 포함되어 중합되는 단량체 총 중량 중 50 내지 100중량% 포함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뷰틸(메타)아크릴레이트, s-뷰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뷰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이소뷰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아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아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트라이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에 점착 성능의 균형을 위해 유리전이온도가 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0℃가 되도록, 당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중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설폰산기 함유 단량체, 인산기 함유 단량체, 사이아노기 함유 단량체, 바이닐 에스터류,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과 같이 응집력·내열성 향상을 위한 성분;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산무수물기 함유 단량체, 하이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아마이드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바이닐 에터류와 같이 접착력 향상이나 가교화 기점으로 작용하는 작용기를 갖는 성분;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 트릴 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메타)아크릴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인산, 말레인산 무수물 또는 푸마르산과 같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탄소수 4 내지 20의 단일환 또는 복소환의 지환족 고리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더 포함하여 중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대전방지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대전방지제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4차 암모늄염, 금속염, 전도성 고분자, 금속 산화물, 계면활성제, 탄소나노튜브 등을 들 수 있다.
4차 암모늄염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폴리(아크릴아미드-co-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부틸-3-(2-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테트라부틸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염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NaPF6, NaSbF6, KPF6, KSbF6, (LiN(CF3SO2)2) 등을 들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폴리티오펜,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산화물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인듐도핑 산화주석(ITO), 안티몬도핑 산화주석(ATO), 산화주석, 산화아연, 산화안티몬, 산화인듐 등을 들 수 있다.
대전방지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0.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대전 방지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응집력 저하로 인하여 내구 신뢰성이 취약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제의 응집력 개선을 위한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또는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혹은 상기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트리메틸롤 프로판 등과 같은 폴리올 화합물과 반응시킨 화합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프리폴리머(HDI)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 에틸렌디아민,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지리딘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에틸렌 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알루미늄, 철, 아연, 주석, 티탄, 안티몬, 마그네슘, 바나듐 등과 같은 다가 금속이 아세틸 아세톤 또는 아세토초산 에틸 등에 배위되어 있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응집력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
그외에,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또는 γ-아세토아세테이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점착층의 표면에너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0mN/m 내지 50m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상기 표면처리필름의 점착층과 접하는 측의 표면 에너지가 상기 점착층의 표면 에너지보다 5 mN/m 내지 20 mN/m 더 높다. 이에 따라 점착층의 박리시의 정전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는 표면처리필름의 높은 표면 에너지에 의해 점착층의 박리시에 점착층에 함유된 대전 방지제가 표면처리필름 측으로 전사됨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점착층을 표면처리필름으로부터 박리할 때 발생하는 박리대전압이 300V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면처리필름의 점착층과 접하는 측의 표면 에너지와 상기 점착층의 표면 에너지와의 차가 5 mN/m 미만이거나, 점착층의 표면 에너지가 더 높은 경우에는 점착층 박리시의 정전기 억제 효과가 미미하다. 이는 대전 방지제의 표면처리필름 측으로의 전사가 부족함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표면처리필름의 점착층과 접하는 측의 표면 에너지가 상기 점착층의 표면 에너지보다 20 mN/m를 초과하여 더 높은 경우에는 점착층이 제대로 박리되지 않고 표면처리필름 측에 잔류하게 되고, 이에 따른 얼룩 등이 시인되는 문제가 있다.
표면처리필름이 편광판 보호필름과 접하는 측에 광학 기능층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면 에너지 차이는 광학 기능층과 점착층의 차이이다.
상기 표면처리필름의 점착층과 접하는 측의 표면 에너지가 상기 점착층의 표면 에너지보다 5 mN/m 내지 20 mN/m 더 높도록 조절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광학기능층 또는 점착층 형성에 사용되는 조성에서 극성이 높은, 표면장력이 낮은 또는 유전율이 높은 수지나 첨가제의 함량을 적절한 함량으로 선택하는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편광자 보호필름, 하드코팅 필름, 방현 필름, 반사방지 필름 등으로서 화상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상기 광학 필름은 편광자 상에 또는 편광자 상에 접합된 편광자 보호필름 상에 접합될 수 있다.
편광자는 편광자 형성용 필름을 팽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건조하는 등의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따라 제조된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편광자일 수 있다.
편광자 형성용 필름은 이색성 물질, 즉 요오드에 의해 염색 가능한 필름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탈수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탈염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셀룰로오스 필름, 이들의 부분적으로 검화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면내에서 편광도의 균일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요오드에 대한 염색 친화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바람직하다.
편광자 형성용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0 내지 150㎛일 수 있다.
편광자 보호필름으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필름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필름;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필름; 시클로올레핀, 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 폴리노르보르넨,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염화비닐계 필름;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필름; 이미드계 필름; 술폰계 필름; 폴리에테르케톤계 필름; 황화 폴리페닐렌계 필름; 비닐알코올계 필름; 염화비닐리덴계 필름; 비닐부티랄계 필름; 알릴레이트계 필름; 폴리옥시메틸렌계 필름; 우레탄계 필름; 에폭시계 필름; 실리콘계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알칼리 등에 의해 비누화(검화)된 표면을 가진 셀룰로오스계 필름이 편광특성 또는 내구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다.
편광자 보호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0 내지 2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이 편광자 상에 접합되는 경우 편광자 보호필름, 하드코팅 필름, 방현 필름 또는 반사방지 필름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편광자 보호필름 상에 접합되는 경우 하드코팅 필름, 방현 필름 또는 반사방지 필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통상의 액정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전계 발광 표시 장치, 플라스마 표시 장치, 전계 방출 표시 장치 등 각종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편광판이 화상표시장치에 포함될 때, 상기 광학 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하는 측의 반대면에 오도록 포함되어, 편광판 보호필름 및 점착층은 표면처리필름으로부터 박리된다. 이때, 박리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를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이물 혼입, 얼룩 발생, 장비 손상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합성예
1.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장치에,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반응 장치 내의 공기를 질소 가스로 치환하였다. 그 후, 반응 장치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90 중량부, 도데실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메톡시트릴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2 중량부 및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3 중량부의 단량체 혼합물과 상기 반응기에 용제로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100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가스를 60분간 퍼징(purging)한 후, 온도를 70℃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하게 한 후, 반응개시제로서 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Wako, V-59) 0.1 중량부를 투입하여 반응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고형분 함량이 44%, 중량평균분자량이 50만, 분자량 분포가 6.8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2.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장치에,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반응 장치 내의 공기를 질소 가스로 치환하였다. 그 후, 반응 장치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90 중량부, 도데실 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메톡시트릴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2 중량부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3 중량부의 단량체 혼합물과 상기 반응기에 용제로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100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가스를 60분간 퍼징(purging)한 후, 온도를 70℃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하게 한 후, 반응개시제로서 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Wako, V-59) 0.1 중량부를 투입하여 반응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고형분 함량이 44%, 중량평균분자량이 50만, 분자량 분포가 6.8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1) 표면처리필름
15중량부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미원상사, PU620 제품), 15중량부의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2중량부의 실리콘 수지 입자(모멘티브), 30중량부의 부틸아세테이트, 30중량부의 에틸아세테이트, 2.5중량부의 광개시제(I-184, 시바사), 0.5중량부의 레벨링제(BYK-307, BYK 케미사)를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PP 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에 6㎛로 코팅한 후 80℃에서 2분 동안 건조시켰다. 건조시킨 후 고압 수은등으로 400mJ/cm2의 광량으로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여 경화시켜 방현층을 형성하였다.
(2) 편광판 보호필름
합성예 1에서 제조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가교제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프리폴리머(HDI)(미원상사) 5.0 중량부 및 금속염으로 리튬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이미드(LiN(CF3SO2)2) 0.1 중량부를 투입하고 28중량% 농도로 물로 희석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두께 38u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미츠비시사 Schematic of Hostaphan 4761) 상에 도포한 후, 90℃에서 건조시켜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1) 표면처리필름
레벨링제로 BYK-UV371(BYK 케미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처리필름을 제조하였다.
(2) 편광판 보호필름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1) 표면처리필름
레벨링제로 BYK-UV3530(BYK 케미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처리필름을 제조하였다.
(2) 편광판 보호필름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1) 표면처리필름
레벨링제로 BYK-3550(BYK 케미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처리필름을 제조하였다.
(2) 편광판 보호필름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1) 표면처리필름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처리필름을 제조하였다.
(2) 편광판 보호필름
합성예 2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1) 표면처리필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처리필름을 제조하였다.
(2) 편광판 보호필름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1) 표면처리필름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처리필름을 제조하였다.
(2) 편광판 보호필름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1) 표면처리필름
실리콘 수지입자를 뺀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2) 편광판 보호필름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1) 표면처리필름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처리필름을 제조하였다.
(2) 편광판 보호필름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1) 표면처리필름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대신에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를 사용하고 레벨링제로 BYK-UV371(BYK 케미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처리필름을 제조하였다.
(2) 편광판 보호필름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1) 표면처리필름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대신에 Ethoxylated Pentaerythritol triacrylate(미원상사)을 사용하고 레벨링제로 BYK-UV3530(BYK 케미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처리필름을 제조하였다.
(2) 편광판 보호필름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표면 에너지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편광판 보호필름과 표면처리필름의 표면 에너지를 KRUSS DSA100로 물과 디-요오도메탄(Di-iodomethane)의 접촉각을 찍어 Owen Wendt Model로 산출하였다.
편광판 보호필름은 점착층, 표면처리필름은 방현층의 표면에너지를 산출하였다.
(2)
박리대전압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편광판 보호필름과 표면처리필름을, 표면처리필름의 방현층이 편광판 보호필름과 접하도록 라미네이트로 접합한 후, 편광판 보호필름과 점착층을 함께 0.3m/min의 속도로 박리하며 정전 전압계(Electrostatic Voltmeter)로 박리대전압을 측정하였다.
(3) 외관 평가
실험예 (2)의 박리대전압 측정 직후, 표면처리필름측 외관을 삼파장 램프 하에서 관찰하여 점착제의 잔류에 의한 얼룩 유무를 확인하였다.
○: 얼룩 없음
X: 얼룩 있음
구분 | 표면에너지(mN/m) | 표면에너지 차 (mN/n) |
외관 | 박리대전압 (V) |
|
표면처리필름 | 편광판 보호필름 | ||||
실시예 1 | 35 | 30 | 5 | ○ | 298 |
실시예 2 | 40 | 30 | 10 | ○ | 153 |
실시예 3 | 45 | 30 | 15 | ○ | 112 |
실시예 4 | 30 | 20 | 10 | ○ | 186 |
실시예 5 | 35 | 20 | 15 | ○ | 103 |
실시예 6 | 40 | 20 | 20 | ○ | 77 |
실시예 7 | 38 | 30 | 8 | ○ | 168 |
비교예 1 | 30 | 30 | 0 | ○ | 414 |
비교예 2 | 45 | 20 | 25 | X | 12 |
비교예 3 | 34 | 30 | 4 | ○ | 365 |
비교예 4 | 41 | 20 | 21 | X | 68 |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표면처리필름의 점착층과 접하는 측의 표면 에너지가 상기 점착층의 표면 에너지보다 5 mN/m 내지 20 mN/m 더 높은 실시예 1 내지 7의 광학 필름은 박리대전압이 300V 이하로 낮아 정전기 억제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점착제가 잔류하지 않았다.
그러나, 비교예 1 및 3의 광학 필름은 박리대전압이 매우 높아, 점착층의 박리시에 과도한 정전기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2 및 4의 광학 필름은 박리대전압은 낮았으나, 점착층이 완전히 박리되지 않아 점착층 잔류에 의한 얼룩이 관찰되었다.
Claims (9)
- 편광판 보호필름, 표면처리필름 및 그 사이에 게재된 대전방지제를 함유한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처리필름의 점착층과 접하는 측의 표면 에너지가 상기 점착층의 표면 에너지보다 5 mN/m 내지 20 mN/m 더 높은, 광학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보호필름은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스타이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락틱에시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비닐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설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또는 알릴레이트계 수지 필름인, 광학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필름은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셀룰로오스(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또는 에폭시 필름인, 광학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4차 암모늄염, 금속염, 전도성 고분자, 금속 산화물, 계면활성제 및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광학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필름은 편광판 보호필름과 점착되는 면에 방현층, 하드코팅층 또는 반사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광학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을 표면처리필름으로부터 박리할 때 발생하는 박리대전압이 300V 이하인, 광학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필름, 하드코팅 필름, 방현 필름 또는 반사방지 필름인, 광학 필름.
-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 청구항 8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2771A KR102098114B1 (ko) | 2014-03-20 | 2014-03-20 | 광학 필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2771A KR102098114B1 (ko) | 2014-03-20 | 2014-03-20 | 광학 필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9684A true KR20150109684A (ko) | 2015-10-02 |
KR102098114B1 KR102098114B1 (ko) | 2020-04-07 |
Family
ID=54340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2771A KR102098114B1 (ko) | 2014-03-20 | 2014-03-20 | 광학 필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811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66178B2 (en) | 2018-03-23 | 2022-10-11 | Lg Chem, Ltd. | Back-grinding tape |
WO2022220443A1 (ko) * | 2021-04-13 | 2022-10-20 |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 편광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97831A (ja) * | 2005-04-22 | 2006-11-02 | Fuji Photo Film Co Ltd | ポリマー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
KR20090060403A (ko) * | 2009-06-01 | 2009-06-12 |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 고굴절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이 조성물이 코팅된 고굴절 대전방지 하드코팅 필름, 및 이 조성물을 사용한 반사방지 코팅 필름 |
KR20090101761A (ko) * | 2008-03-24 | 2009-09-29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적용한표면보호필름 및 상기 표면보호필름을 적용한 피착제로의대전방지성 전사방법 |
KR20100003716A (ko) | 2008-07-01 | 2010-01-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점착제 조성물,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
JP2012062436A (ja) * | 2010-09-17 | 2012-03-29 | Toppan Printing Co Ltd | ハードコート塗液、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ディスプレイ用前面板 |
KR20130072180A (ko) * | 2011-12-21 | 2013-07-0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점착제 조성물 |
-
2014
- 2014-03-20 KR KR1020140032771A patent/KR1020981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97831A (ja) * | 2005-04-22 | 2006-11-02 | Fuji Photo Film Co Ltd | ポリマー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
KR20090101761A (ko) * | 2008-03-24 | 2009-09-29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적용한표면보호필름 및 상기 표면보호필름을 적용한 피착제로의대전방지성 전사방법 |
KR20100003716A (ko) | 2008-07-01 | 2010-01-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점착제 조성물,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
KR20090060403A (ko) * | 2009-06-01 | 2009-06-12 |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 고굴절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이 조성물이 코팅된 고굴절 대전방지 하드코팅 필름, 및 이 조성물을 사용한 반사방지 코팅 필름 |
JP2012062436A (ja) * | 2010-09-17 | 2012-03-29 | Toppan Printing Co Ltd | ハードコート塗液、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ディスプレイ用前面板 |
KR20130072180A (ko) * | 2011-12-21 | 2013-07-0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점착제 조성물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66178B2 (en) | 2018-03-23 | 2022-10-11 | Lg Chem, Ltd. | Back-grinding tape |
WO2022220443A1 (ko) * | 2021-04-13 | 2022-10-20 |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 편광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8114B1 (ko) | 2020-04-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605278B (zh) | 單面保護偏光薄膜、附黏著劑層之偏光薄膜、影像顯示裝置及其連續製造方法 | |
TWI600929B (zh) | Polarizing film with single-sided protection,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image display device and its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 |
TWI546577B (zh) | 偏光板及包含彼之液晶顯示器裝置 | |
KR101443845B1 (ko) | 하드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 |
CN108780179B (zh) | 带透明树脂层的单侧保护偏振膜的制造方法、带粘合剂层的偏振膜的制造方法、光学层叠体的制造方法 | |
CN113773757B (zh) | 丙烯酸类粘合剂组合物、粘合剂层及其制造方法、带粘合剂层的偏振膜及图像显示装置 | |
CN106003940B (zh) | 附有粘着剂层的光学薄膜 | |
JP2020160462A (ja) | フレキシブル偏光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 |
JP2020098320A (ja) | ベゼル付き画像表示パネル、画像表示装置および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 |
TW202200738A (zh) | 黏著劑片材之製造方法及黏著劑片材 | |
US10739636B2 (en) |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same | |
JP2020160460A (ja) | フレキシブル偏光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 |
CN115109536A (zh) | 粘合膜、包含其的光学构件和包含其的光学显示设备 | |
WO2019216096A1 (ja) | 粘着剤層、その製造方法、粘着シート、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 |
JP2021144241A (ja) | 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 |
WO2016052531A1 (ja) | 片保護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 |
KR101509855B1 (ko) | 점착제 조성물 | |
JP2019053212A (ja) |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 |
CN108780181B (zh) | 带粘合剂层的单侧保护偏振膜的制造方法 | |
KR20150109684A (ko) | 광학 필름 | |
CN115718340A (zh) | 附有粘着剂层的偏振板 | |
KR102064455B1 (ko) | 광학 필름 | |
CN112654685A (zh) | 自由基系粘接剂组合物、粘接剂层、偏振片和影像显示装置 | |
CN113755121B (zh) | 光学粘着剂、光学粘着层及其形成方法、以及光学层合物 | |
KR102585553B1 (ko) |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