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671A - Wireless charging device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07671A KR20150107671A KR1020150034834A KR20150034834A KR20150107671A KR 20150107671 A KR20150107671 A KR 20150107671A KR 1020150034834 A KR1020150034834 A KR 1020150034834A KR 20150034834 A KR20150034834 A KR 20150034834A KR 20150107671 A KR20150107671 A KR 201501076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device
- wireless charging
- unit
- module
- wireles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941 photo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95 fasci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646 magnetic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OUUQCZGPVNCOIJ-UHFFFAOYSA-M Su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OUUQCZGPVNCOI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240602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WUPHOULIZUERAE-UHFFFAOYSA-N 3-(oxolan-2-yl)prop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1CCCO1 WUPHOULIZUERA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4 Theobroma cacao ssp. caca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7 Theobroma cacao ssp. sphaerocarp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4565 Tremo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46 cacaoter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80 cadmium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GLKJKCYBOYXKC-UHFFFAOYSA-N nonaoxidotritungsten Chemical compound O=[W]1(=O)O[W](=O)(=O)O[W](=O)(=O)O1 QGLKJKCYBOYXK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30 tungste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 H02J17/00—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8—Shield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 H02J7/025—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최근,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이 이동성 및 휴대성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휴대 기기들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기기들은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으며,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배터리를 재충전하여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배터리 충전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무선 충전 기술은 전자파(또는 전자기파)를 공기 중으로 전송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게 되는 바, 전자파에 인체가 노출될 우려가 있게 된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portab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mobile phone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MP3 players, digital cameras, notebooks, and tablet PCs have been widely used to meet user's demands for mobility and portability. Generally, portable devices have a built-in battery and recharge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Here, a technique for wirelessly charging a battery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charging the battery is being developed. However, since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transfers electromagnetic waves (or electromagnetic waves) to the air to charge the battery, the human body may be exposed to electromagnetic waves.
또한, 무선 충전 방식은 크게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에 적용되는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여러 개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 가족들이 사용하는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방식이 서로 다른 경우, 각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방식과 대응되는 무선 충전 장치들을 각각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The wireless charging system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 magnetic induction system, a magnetic resonance system, and an electromagnetic wave system. In this case,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devices must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scheme a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For example, when wireless charging methods of portable devices used by family members are different at home, wireless charging devices corresponding to wireless charging methods of respective portable devices must be provided.
또한, 휴대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가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무선 충전 여부가 결정되는데, 최근의 휴대 기기들은 그 종류 및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각 휴대 기기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휴대 기기까지의 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반면, 종래의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모듈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휴대 기기를 충전하기 때문에, 휴대 기기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휴대 기기가 제대로 무선 충전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무선 충전하는 동안 휴대 기기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수단이 없어 외부 충격이 발생하거나 흔들림이 발생하였을 때 휴대 기기가 제 위치를 벗어나 무선 충전이 안되거나 무선 충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When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wirelessly, whether or not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ortable devic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s determined. Since recent types of portable devices have various types and sizes, The distance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the mobile device will vary depending on the type and size of the mobile device.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wireless charging device, since the charging module is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to charge the portable device, the portable device may not be properly charged depending on the type and size of the portable device. Fur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portable device is not in a fixed position during wireless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is out of position when an external shock or shaking occur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무선 충전 모듈을 교체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device capable of replacing a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 wireless charging method of a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부의 위치와 휴대 기기의 위치를 대응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device capable of associating a location of a wireless charging unit with a location of a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이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적어도 한 면은 전자파 차폐 수단을 포함하거나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무선 충전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한다.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device storage unit for storing a portable device; An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rtable storage compartment includes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ans or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so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from the wireless charger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It blocks things.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부의 일면 측에 상기 휴대 기기가 위치하며, 상기 무선 충전부의 타면 측에 전자파 차폐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unit may be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unit, the portable device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unit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외측에 마련되고, 전체 또는 일부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전자파 차폐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case which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and is wholly or partly made of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or includes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입구를 개폐시키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에서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며,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전자파 차폐 수단을 포함하는 입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ortable device is provided with an inlet for inserting the portable device therein,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configured to open / close the inlet, guide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inside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And may further comprise an inlet cover made of a material or containing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ans.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portable device and an opening in the interior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로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로 유입되어 상기 무선 충전부와 열 교환될 수 있다.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portion or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through the opening portion and heat exchange with the wireless charging portion.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고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 및 상기 이온을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부로 불어 보내거나 상기 무선 충전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omprises: an ion generator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and generating ions; And a blowing fan blowing the ions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unit 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in the wireless charger unit.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formed inside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unit.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면에는 상기 자외선 조사부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에 반응하는 광촉매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may be coated with a photocatalyst material that reacts with ultraviolet rays generated in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on part.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보호 패드 또는 복수 개의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on pad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마련된 입구를 개폐시키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입구 커버; 및 상기 입구 커버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시 상기 휴대 기기를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omprises: an inlet cover which is opened and closed at an inle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and rotatably formed at on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And a position fixing part formed on a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ntrance cover and pressing and fixing the portable device when the portable device is housed.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구조물 내에 장착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상기 구조물 내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be mounted in a structure, and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may be formed inclined downward in the structure.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and guiding a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상기 무선 충전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다.The portable device guide unit may guide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unit.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와 유선 접속되어 상기 휴대 기기를 충전시키는 유선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wire connection portion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and wired to the portable device to charge the portable device.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주는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atus notification unit for informing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reception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부를 구비하는 무선 충전 모듈; 및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수납하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ing the wireless charging unit; And a wireless recharging module deck for receiving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wherein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terior of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deck.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방식과 대응되는 무선 충전 모듈이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교환 장착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ode may be exchang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ccor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with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내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t least one of a width direction and a length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부의 위치를 확인시켜주는 충전부 위치 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unit position confirming unit for confirming a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units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device.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와이파이(WiFi)일 수 있다.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be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or a Wi-Fi (WiFi).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미러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미러링 데이터를 인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미러링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irroring module that receives the mirroring data from the portable device and transmits the mirroring data to a neighbor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기기가 수납되어 무선 충전되는 무선 충전 장치에 전자파 차폐 기능을 마련함으로써, 무선 충전부에서 발생한 전자파가 무선 충전 장치의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여 인체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를 충전시키는 동안 휴대 기기 수납부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이온을 발생시켜 휴대 기기를 살균 및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 삽입시 위치 고정부를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 내에서 휴대 기기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외부 충격 또는 진동이 있더라도 휴대 기기가 소정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가 삽입될 때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부의 위치로 가이드함으로써, 하나의 무선 충전부를 통해 다양한 크기 및 기종의 휴대 기기들을 무선 충전시킬 수 있고, 무선 충전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 내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기기 수납부 내부로 투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 충전 모듈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그와 대응되는 무선 충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에 교환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하나의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의 휴대 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unction is provid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is housed and wirelessly charged, thereby preven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in the wireless charging unit from being transmitted outsid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ffecting the human body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erilize and purify the portable device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or generating ions inside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while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device is inserted, the portable device is fix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with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portion through the position fixing portion, so that the portable device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out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 even if there is external shock or vibration. Also, by guiding the portable device to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when the portable device is inserted, wireless devices of various sizes and types can be wirelessly charged through one wireless charging unit, and the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through hole structure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inside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eign substances put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accumulating inside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Heat can be dissipated. In addition, by wirelessly connect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of the wireless charging type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portable device can be exchang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In this case, various wireless charging type portable devices can be charged through one wireless charg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가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개구부가 무선 충전 장치의 후단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입구 커버에 형성된 위치 고정부를 통해 휴대 기기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여러 개의 무선 충전 모듈 중 어느 하나가 무선 충전 모듈 데크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서 위치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 깊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 간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 간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전력 송신부가 복수 개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가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 측으로 가이드 되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1 is a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tructure
3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an opening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device is fixed through a position fixing portion formed on an inlet cover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portable device guide unit is formed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of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modules is mounted on a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is formed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mov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depth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adjusted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is maintained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is maintained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units are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device is guided and fixed to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parts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8. FIG. However, this is an exemplary embodiment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a means for efficiently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a)는 휴대 기기가 수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의 (b)는 휴대 기기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가 수평하게 놓여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각 구성들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무선 충전 장치의 자세에 따라 각 구성들의 위치 관계가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a) shows a state before a portable device is housed, and Fig. 1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is housed. Hereinafter, as shown in FIG. 1,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placed horizontally.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 전자파 차폐부(104), 무선 충전부(106), 이온 발생기(108), 자외선 조사부(110), 입구 커버(112), 위치 고정부(114), 및 개구부(116)를 포함한다. 1, the
휴대 기기 수납부(102)는 내부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S)을 구비한다. 휴대 기기(5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휴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는 휴대 기기(50)의 전체 또는 일부가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는 휴대 기기(50)와 대응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일측이 개방되어 휴대 기기(50)가 삽입되는 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The portable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의 바닥면(휴대 기기(50)의 안착면)에는 보호 패드(118)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패드(118)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로 삽입되어 수납될 때, 충격으로부터 휴대 기기(50)를 보호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 패드(11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서 휴대 기기(5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호 패드(11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 중 무선 충전부(106)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부(106)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경우, 무선 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패드(118)는 무선 충전부(106)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보호 패드(118)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 패드(11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 측면 또는 내부 상면 등 그 이외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보호 패드(11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벽 어느 곳이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벽에 보호 패드(118)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벽에 복수 개의 돌기들이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보호 패드(118) 또는 돌기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벽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패드(118) 또는 돌기는 고무 부재 또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에 걸림부(109)가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후단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에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로 삽입되는 경우, 휴대 기기(50)의 후단이 걸림부(109)에 걸림되면서 안착될 수 있다. The engaging
전자파 차폐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형성될 수 있다. 전자파 차폐부(104)는 무선 충전부(106)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전자파 차폐부(104)는 전자파 차폐 시트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자파 차폐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휴대 기기(50)의 안착면) 내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자파 차폐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 내에서 무선 충전부(106)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자파 차폐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상면(휴대 기기(50)의 안착면과 대향하는 면) 내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electromagnetic
여기서는, 전자파 차폐부(104)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 및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파 차폐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측면 및 후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전자파 차폐 시트 형태의 전자파 차폐부(104)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매립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파 차폐 시트 형태의 전자파 차폐부(104)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표면(즉,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외면 및 내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전자파 차폐부(104)가 전자파 차폐 시트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파 차폐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표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전자파 차폐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표면에 전자파 차폐막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자파 차폐 물질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표면에 인쇄(Printing)될 수도 있고, 증착 또는 스퍼터링될 수도 있다. The electromagnetic
한편, 전자파 차폐부(104)라는 별도의 구성 없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체 또는 일부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휴대 기기 수납부(102) 자체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체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일부만이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102)는 전자파 차폐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Resin)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부(102)는 전자파 차단 섬유 또는 전자파 차단 분말을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자파 차폐 물질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 영역에 포함될 수도 있고, 일부 영역에만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10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외측에 전자파 차폐 케이스(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전자파 차폐 케이스(미도시)는 전체 또는 일부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전자파 차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ll or a part of the portable
무선 충전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형성된다. 무선 충전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바닥면에 노출되어 형성되거나 바닥면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부(106)와 휴대 기기(50) 사이에는 전자파 차폐부(104) 또는 전자파 차폐 물질 등이 개재되지 않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파 차폐 기능은 무선 충전부(106)에서 발생한 전자파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면서 무선 충전부(106)에서 휴대 기기(50)를 충전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부(106)의 일면 측에 휴대 기기(50)가 위치하는 경우, 전자파 차폐부(104)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서 무선 충전부(106)의 타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소정 면(예를 들어, 휴대 기기(50)의 안착면 또는 휴대 기기(50)의 안착면과 대향하는 면)에서 전자파 차폐부(104)는 여러 개가 적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전자파 차폐부(104)는 상하로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The
무선 충전부(106)는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부(106)는 무선 전력을 공기 중으로 방사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전력 송신부를 포함한다. 전력 송신부로는 예를 들어, 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가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106)는 전력 송신부를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이온 발생기(108)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타측(즉,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후단)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온 발생기(108)의 형성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온 발생기(108)는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온 발생기(108)는 발생시킨 이온을 휴대 기기(50) 측으로 불어보내기 위한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08)에서 발생된 이온은 에어 홀(120)을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에어 홀(120)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타측 내벽에 수납 공간(S)과 연통하여 형성된다. 이온 발생기(108)가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이때,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수납된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다. The
자외선 조사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50)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예를 들어, 자외선 LED 또는 자외선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무선 충전부(106)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10)는 무선 충전부(106)과 별도로 동작할 수도 있다.The ultraviolet
한편,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 표면에는 광촉매(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황화카드뮴, 산화텅스텐 등)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 자외선에 의해 광촉매 물질이 반응하여 강한 산화력을 가지는 하이드록시 래디컬과 슈퍼 옥사이드가 생성된다. 하이드록시 래디컬과 슈퍼 옥사이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의 오염 물질을 산화 분해시켜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를 살균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photocatalyst (for example, titanium dioxide, zinc oxide, cadmium sulfide, or tungsten oxide) may be co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즉,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개방된 전단)에 형성된다.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가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에서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에서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입구 커버(112)는 힌지(136)를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힌지(136)는 토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힌지(136)는 휴대 기기(5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입구 커버(11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밀리면서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회전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서 인출되는 경우,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 측으로 회전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를 닫게 된다. The
여기서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 기기(5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50)의 전부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로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는 입구 커버(112)에 의해 닫힐 수 있다. 입구 커버(112)에는 전자파 차폐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충전부(106)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로 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입구 커버(112)에는 전자파 차폐 시트 또는 전자파 차폐막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입구 커버(112)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전자파 차폐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입구 커버(112)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구 커버(112)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를 개폐할 수도 있다. Although a part of the
위치 고정부(114)는 입구 커버(112)에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114)는 입구 커버(112) 중 외부로 노출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114)는 입구 커버(112)의 말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114)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수납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를 압박하여 휴대 기기(5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밀리면서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위치 고정부(114)가 휴대 기기(50)의 상면을 압박하면서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위치 고정부(114)는 힌지(136)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상면을 압박할 수 있다. 휴대 기기(50)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 고정부(114)는 탄성 재질(예를 들어, 고무 부재 또는 우레탄 또는 스펀지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기능도 할 수 있다. The
개구부(11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휴대 기기 수납부(102)는 휴대 기기(50)가 삽입되는 입구 이외에 내부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11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 타측에서 바닥면의 일부 또는 측면의 일부 또는 후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개구부(116)의 형성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구부(116)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는 수납 공간(S)을 포함하고 있고,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은 개방되어 형성되므로,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쓰레기 또는 동전 등과 같은 이물질이 투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물질로 인해 휴대 기기(50)를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삽입하여 수납하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50)와 무선 충전부(106) 사이에 이물질이 개재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 일부를 개방하여 형성함으로써,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투입된 이물질들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부(106)이 작동하는 경우, 무선 충전부(106)의 전력 송신부에서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개구부(116)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무선 충전부(106)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할 수 있게 된다. 즉, 개구부(116)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무선 충전부(106)과 열 교환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무선 충전 장치(100)는 무선 충전부(106)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기 위한 별도의 송풍팬(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송풍팬(미도시)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바람을 발생시켜 무선 충전부(106)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혀줄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으며,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되는 동안 전자파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키는 동안 휴대 기기(50)를 살균 및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켜 외부 충격 또는 진동이 있더라도 휴대 기기(50)가 소정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로 투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부(106)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가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tructure.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구조물(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구조물(10)은 차량의 센터페시아, 콘솔 박스, 글로브 박스, 암레스트, 앞 도어, 뒷 도어, 대시 보드, 좌석 시트 쿠션 하부, 및 앞 좌석 시트 백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는, 구조물(10)이 차량의 내부 구조물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장치(100)는 그 이외의 다양한 종류 및 형태를 가지는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실내 벽면 또는 가구 또는 전자 제품(예를 들어, 텔레비젼, 냉장고, 오디오, 세탁기 등) 등에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무선 충전 장치(100)는 구조물(10) 내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서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장치(100)는 구조물(10) 내에서 수평 또는 수직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구조물(10) 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부(106)의 전력 송신부만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형성되고, 무선 충전부(106)의 충전 제어부는 구조물(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구조물(10)의 내부에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하부에 이물질 수납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수납부(124)는 개구부(116)에서 배출된 이물질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 충전 장치(100)와 이물질 수납부(124) 사이에는 연통부(122)가 형성된다. 연통부(122)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개구부(116)와 이물질 수납부(124) 내의 공간을 연통하며 형성된다. 이물질 수납부(124)는 구조물(10)에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수납부(124)에 이물질이 가득 차는 경우, 이물질 수납부(124)를 인출하여 이물질을 수거한 후 이물질 수납부(124)를 인입시킬 수 있다. A foreign
한편, 구조물(10)에는 상태 알림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태 알림부(126)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입구 근처에 형성될 수 있다. 상태 알림부(126)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줄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원 상태, 무선 충전부(106)의 동작 상태(즉,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이온 발생기(108)의 동작 상태, 및 자외선 조사부(110)의 동작 상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각 구성들(예를 들어, 무선 충전부(106), 이온 발생기(108), 및 자외선 조사부(110) 등)의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뿐만 아니라, 각 구성들의 동작 지속 시간 및 진행 정도(예를 들어, 무선 충전부(106)를 통한 휴대 기기(50)의 충전 시간 및 충전 진행 정도, 이온 발생기(108)의 동작 시간, 자외선 조사부(110)의 살균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는 예를 들어, 착신 신호 수신(즉, 전화가 걸려온 경우), 문자 수신, 이메일 수신, 및 SNS 메시지 수신(예를 들어, 카카오톡, 카카오 스토리, 페이스북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알림부(126)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 표시 및 음성 출력 중 적어도 하나로 알려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무선 충전 장치(100)는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예를 들어, 착신 신호 수신, 문자 수신, 이메일 수신, SNS 메시지 수신 등)를 감지하여 상태 알림부(126)로 전달하는 착신 상태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신 상태 감지부(미도시)는 휴대 기기(50)가 착신 신호, 문자, 이메일, SNS 메시지 등을 수신할 때 발생하는 전파를 검출하여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착신 상태 감지부(미도시)는 상기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2G 통신의 경우 800MHz 또는 1800MHz 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고, 3G 통신의 경우 2100MHz 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테나는 그 이외에 휴대 기기(50)가 착신 신호, 문자, 이메일, SNS 메시지 등을 수신할 때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와이파이(2.4 GHz) 등)의 전파를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착신 상태 감지부(미도시)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메인 보드 상에 안테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또한, 무선 충전 장치(100)가 차량 내에 장착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100)는 차량의 시동이 꺼졌을 때 휴대 기기(50)의 수납 유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수납 상태 알림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 장치(100)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수납 상태 알림부(미도시)는 휴대 기기(50)가 차량 내에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휴대 기기(50)를 차량 내에 놓고 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수납 상태 알림부(미도시)는 무선 충전부(106)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수납 유무를 알 수 있다. 즉, 무선 충전부(106)의 전력 송신부는 휴대 기기(50)로 신호를 송신하고 휴대 기기(5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의 크기에 따라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수납 상태 알림부(미도시)는 무선 충전부(106)의 전력 송신부가 수신하는 휴대 기기(50)의 응답 신호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수납 유무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납 상태 알림부(미도시)는 별도의 센서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수납 유무를 알 수도 있다.
Whe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개구부가 무선 충전 장치의 후단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an opening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에는 휴대 기기(50)가 삽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후단에는 개구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부(116)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입구와 대향하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3, an inlet through which the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장치(100)의 양단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일단(전단)에는 입구 커버(112)가 형성되고, 무선 충전 장치(100)의 타단(후단)에는 개구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장치(100)의 후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리브(128)가 형성된다. 지지 리브(128)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리브(128)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양측면을 연결하며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 리브(128)는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 장치(100)의 후단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리브(128)는 휴대 기기(50)의 폭 및 무선 충전 장치(100)의 폭 등을 고려하여 그 형성되는 위치 및 개수가 조절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지지 리브(128)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 걸림부(109)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후단 전체가 개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장치(100)의 후단(배면) 일부가 개방되어 개구부(116)를 이룰 수도 있다. Specifically, both ends of the
한편, 무선 충전 장치(100)는 유선 접속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접속부(130)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선 접속부(130)는 케이블(예를 들어, 데이터 케이블, 충전 케이블, 데이터 및 충전 케이블 등)을 통해 휴대 기기(50)와 유선 연결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는 유선 접속부(130)를 통해 유선 충전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 동작을 함께 수행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Meanwhile, 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입구 커버에 형성된 위치 고정부를 통해 휴대 기기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device is fixed through a position fixing part formed on an inlet cover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에 입구 커버(112)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 커버(112)는 제1 입구 커버(112-1) 및 제2 입구 커버(112-2)를 포함한다. 제1 입구 커버(112-1)는 제1 힌지(136-1)를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입구 커버(112-2)는 제2 힌지(136-2)를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 타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입구 커버(112-1)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는 제1 위치 고정부(114-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위치 고정부(114-1)는 제1 입구 커버(112-1)의 말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입구 커버(112-2)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는 제2 위치 고정부(11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위치 고정부(114-2)는 제2 입구 커버(112-2)의 말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후단에는 개구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n
여기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입구 커버(112-1) 및 제2 입구 커버(112-2)는 각각 휴대 기기(50)에 밀려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위치 고정부(114-1) 및 제2 위치 고정부(114-2)가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를 고정시키게 된다. 제1 위치 고정부(114-1) 및 제2 위치 고정부(114-2)는 각각 제1 힌지(136-1) 및 제2 힌지(136-2)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위치 고정부(114-1) 및 제2 위치 고정부(114-2)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위치 고정부(114-1) 및 제2 위치 고정부(114-2)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할 수 있다. Here, when the
이와 같이,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에서 휴대 기기(50)가 소정 위치로 가이드되면서 고정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를 안정적으로 무선 충전 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1 위치 고정부(114-1) 및 제2 위치 고정부(114-2)에 의해 고정되는 휴대 기기(50)의 위치가 무선 충전부(106)의 위치와 대응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를 안정적으로 무선 충전시킬 수 있게 되며 무선 충전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휴대 기기(5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되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구 커버(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기능 및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로 가이드하면서 고정시키는 기능(또는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로 가이드하면서 고정시키는 기능은 입구 커버(112)와는 별도의 구성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로 가이드하면서 고정시키는 별도의 구성을 휴대 기기 가이드부라고 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device guide unit is formed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2) 내부에는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일측 내벽에 형성되고,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는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와 대향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타측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는 제1 탄성 부재(132-1) 및 제1 탄성 부재(132-1)와 힌지 결합되는 제1 압박 부재(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는 제2 탄성 부재(134-1) 및 제2 탄성 부재(134-1)와 힌지 결합되는 제2 압박 부재(13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32-1) 및 제2 탄성 부재(134-1)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the first portable
도 5의 (b)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는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로 가이드하면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50)가 고정되는 위치는 무선 충전부(106)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when the
구체적으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압박 부재(132-2)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일측 내벽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압박 부재(134-2)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타측 내벽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압박 부재(132-2)가 제1 탄성 부재(132-1)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압박하고, 제2 압박 부재(134-2)가 제2 탄성 부재(134-1)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타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가 소정 위치(즉, 무선 충전부(106)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when the
이와 같이,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부(106)의 위치로 유도함으로써, 하나의 무선 충전부(106)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휴대 기기(50)들을 무선 충전시키면서 무선 충전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2)에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 기기(50)(보다 자세하게는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와 무선 충전부(106)(보다 자세하게는 무선 충전부(106)의 전력 송신부)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지 않으면, 무선 충전이 어려울 뿐더러 무선 충전이 이루어진다 해도 무선 충전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특히, 휴대 기기(50)는 기종에 따라 다양한 크기(예를 들어, 갤럭시 노트 시리즈, 갤럭시 S 시리즈, 아이폰 시리즈 등)를 가지는데, 휴대 기기(50)의 크기에 따라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의 상대적 위치도 달라지므로, 하나의 무선 충전부(106)로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50)들을 무선 충전시키기 어렵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무선 충전부(106)의 위치로 유도하여 고정시키기 때문에, 하나의 무선 충전부(106)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휴대 기기(50)들을 무선 충전시키면서 무선 충전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Thus, by guiding the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양측 내벽에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32)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34)가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일측 내벽 및 타측 내벽 중 어느 하나에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일측 내벽 및 타측 내벽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토션 스프링 및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Here, the first portable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베이스부(241)의 내부를 도시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가 수평하게 놓여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각 구성들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무선 충전 장치의 자세에 따라 각 구성들의 위치 관계가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6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inside of the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200)는 무선 충전 모듈(201), 휴대 기기 수납부(202), 및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를 포함한다. 무선 충전 장치(200)는 차량 구조물(예를 들어, 센터페시아, 글로브 박스, 차량 도어, 센터 콘솔, 암레스트, 차량 좌석 등)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200)는 실내 구조물(예를 들어, 가구, 벽면, 전자 기기 등) 내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200)는 별도의 구조물에 장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200)는 책상 또는 탁자 등에 놓인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6 to 8, the
무선 충전 모듈(201)은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무선 충전 모듈(201)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201)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그와 대응되는 무선 충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201)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 교환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내에 장착된 무선 충전 모듈(201)의 무선 충전 방식이 자기 유도 방식이고, 무선 충전시키고자 하는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방식이 자기 공명 방식인 경우,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201)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서 탈착시킨 후,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201)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 교환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내에 장착된 무선 충전 모듈(201)의 무선 충전 방식이 자기 유도 방식 중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방식이고, 무선 충전시키고자 하는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방식이 자기 유도 방식 중 PMA(Power Matters Alliance) 방식인 경우, WPC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201)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서 탈착시킨 후, PMA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201)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 교환 장착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201)의 무선 충전 방식은 자기 유도 방식(WPC 방식 및 PMA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모듈(201)의 무선 충전 방식은 그 이외에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앞으로 개발될 무선 충전 방식도 포함)일 수 있다. The
무선 충전 모듈(201)의 내부에는 무선 충전부(206)가 마련된다. 무선 충전부(206)는 모듈 하우징부(211) 내에서 충전부 수납부(217)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206)는 전력 송신부(206-1) 및 받침부(206-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06-1)는 받침부(206-2) 상에 형성된다. 전력 송신부(206-1)는 무선 전력을 방사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전력 송신부(206-1)는 예를 들어, 충전 코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전력 송신부(206-1)는 충전 코일이 여러 번 권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06-1)는 충전 코일이 원형으로 권선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코일이 타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태로 권선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력 송신부(206-1)로는 안테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받침부(206-2)는 전력 송신부(206-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 충전부(206)는 모듈 하우징부(211)의 폭 방향 및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크기 또는 휴대 기기(50)의 위치에 따라 무선 충전부(206)를 이동시켜 무선 충전부(206)와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상호 대응시킴으로써,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
여기서, 모듈 하우징부(211)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케이스 역할을 한다. 모듈 하우징부(211)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내의 수납 공간에 따라 그 이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듈 하우징부(211)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모듈 하우징부(211)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일측에서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내부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듈 하우징부(211)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 안착되어 수납될 수도 있다.Here, the
충전부 수납부(217)는 모듈 하우징부(211) 내에서 무선 충전부(206)를 수납한다. 충전부 수납부(217)는 내부에 무선 충전부(206)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무선 충전부(206)는 충전부 수납부(217) 내에서 고정되어 수납될 수 있다. 충전부 수납부(217)는 모듈 하우징부(211)의 폭 방향 및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부(206)는 충전부 수납부(217)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즉, 모듈 하우징부(211) 내에서 충전부 수납부(217)를 이동시킴으로써, 무선 충전부(206)를 이동시킬 수 있다. The charging
모듈 하우징부(211) 내에는 충전 제어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충전 제어부(215)는 무선 충전부(206)의 동작을 제어한다. 충전 제어부(215)는 플렉서블 케이블(227)을 통해 전력 송신부(20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 제어부(215)와 전력 송신부(206-1)를 플렉서블 케이블(227)로 연결하는 경우, 무선 충전부(206)가 모듈 하우징부(211) 내에서 이동하더라도 충전 제어부(215)와 전력 송신부(206-1)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A
또한, 무선 충전 모듈(201)은 이동 조정부(219), 제1 커넥터(221), 제1 가이드부(223), 및 제2 가이드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동 조정부(219)는 모듈 하우징부(211)의 전면을 관통하여 충전부 수납부(217)와 결합될 수 있다. 충전부 수납부(217)의 이동 조정부(219)를 향하는 측면에는 결합부(217-a)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219)의 일측은 모듈 하우징부(211)의 전면(즉, 모듈 하우징부(211)의 일측)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219)의 타측은 결합부(217-a)와 결합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219)의 타측은 결합부(217-a)를 관통하면서 결합부(217-a)와 결합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219)의 외주면에는 나사부(219-a)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17-a)에는 나사부(219-a)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동 조정부(219)와 결합부(217-a)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여기서, 사용자가 모듈 하우징부(211)의 전면에서 돌출된 이동 조정부(219)의 일측을 회전시키면, 충전부 수납부(217)의 결합부(217-a)가 이동 조정부(219)의 나사부(219-a)를 따라(즉,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무선 충전부(206)는 충전부 수납부(217)에 수납되므로, 충전부 수납부(217)와 함께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 조정부(219)의 일측의 회전 방향에 따라 충전부 수납부(217)가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모듈 하우징부(211)의 전면에는 휴대 기기(50)의 기종 또는 크기에 따라 이동 조정부(219)를 어느 방향으로 얼마만큼 회전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표시될 수 있다. 모듈 하우징부(211)의 전면 및 모듈 하우징부(211)의 전면에서 돌출된 이동 조정부(219)의 일측에는 이동 조정부(219)의 회전 횟수(또는 회전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준선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user rotates one side of the
이동 조정부(219)의 종단에는 이동 제한부(219-b)가 형성될 수 있다. 충전부 수납부(217)의 결합부(217-a)가 나사부(219-a)를 따라 후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제한부(219-b)에 걸림되어 후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나사부(219-a)의 길이는 충전부 수납부(217)가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된다. 이동 제한부(219-b)는 결합부(217-a)의 후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결합부(217-a)가 나사부(219-a)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A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219-b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여기서는, 무선 충전부(206)가 충전부 수납부(217)에 수납되고, 이동 조정부(219)가 충전부 수납부(217)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부 수납부(217) 없이 이동 조정부(219)가 무선 충전부(206)에 직접 결합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조정부(219)의 나사부(219-a)가 무선 충전부(206)의 받침부(206-2)와 나사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받침부(206-2)에는 나사부(219-a)가 삽입되는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홀(미도시)에는 나사부(219-a)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충전부(206)는 이동 조정부(219)에 의해 직접 이동되게 된다. Although the
한편, 모듈 하우징부(211)의 전면에는 모듈 하우징부(211)의 폭 방향을 따라 가이드 슬릿(22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219)는 가이드 슬릿(229)을 따라 모듈 하우징부(21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충전부 수납부(217)(그리고, 무선 충전부(206))는 이동 조정부(219)와 함께 모듈 하우징부(21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모듈 하우징부(211)의 전면에는 이동 조정부(219)의 이동 거리에 따른 눈금이 예를 들어, cm 또는 mm 단위로 표시되거나, 휴대 기기(50)의 기종 또는 크기에 따른 식별자(즉, 휴대 기기(50)의 기종 또는 크기에 따라 이동 조정부(219)를 폭 방향으로 얼마만큼 이동시켜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조정부(219)를 통해 충전부 수납부(217)를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무선 충전부(206)가 모듈 하우징부(211) 내에서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휴대 기기(50)의 기종 또는 크기에 따라 무선 충전부(206)를 무선 충전 효율이 최대가 되는 위치(또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위치)(즉,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On the front surface of the
여기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이동 조정부(219)를 조작하여 무선 충전부(206)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조정부(219)는 전자식으로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및 기어 등을 이용하여 이동 조정부(219)를 회전시키거나 가이드 슬릿(229)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무선 충전부(206)를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자동 이동시킬 수도 있다.Herei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user manually operates the
또한, 무선 충전 장치(100)는 무선 충전부(206)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충전부 위치 확인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 위치 확인부(미도시)는 무선 충전부(206)의 이동 동작과 연동하여 무선 충전부(206)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충전부 위치 확인부(미도시)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부(206)의 중심에 형성되는 조명(또는 인디케이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듈 하우징부(211) 및 베이스부(241)는 상기 조명에서 발생하는 빛을 확인할 수 있는 재질(즉, 조명은 시인되지 않으나 조명에서 발생하는 빛은 시인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부(206)가 이동하는 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의 모듈 하우징부(211) 및 베이스부(241)를 투명 재질로 형성하여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선 충전부(206)의 위치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도록 구현 할 수도 있다. 또는, 충전부 위치 확인부(미도시)는 받침부(206-2)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제1 커넥터(221)는 모듈 하우징부(211)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21)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이다. 무선 충전 모듈(201)은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 모두 제1 커넥터(221)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무선 충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201)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The
제1 가이드부(223)는 모듈 하우징부(211)의 내부에서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 가이드부(223)는 충전부 수납부(217)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가이드부(223)는 충전부 수납부(217)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가이드부(223)는 충전부 수납부(217)가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충전부 수납부(217)는 이동 조정부(219)의 회전 시 제1 가이드부(223)를 따라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가이드부(223)는 충전부 수납부(217)의 측면과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가이드부(223)는 충전부 수납부(217)의 측면을 단순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제2 가이드부(225)는 모듈 하우징부(211)의 내부에서 모듈 하우징부(211)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2 가이드부(225)는 충전부 수납부(217)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25)는 충전부 수납부(217)가 모듈 하우징부(21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충전부 수납부(217)는 이동 조정부(219)가 가이드 슬릿(229)을 따라 이동할 때 제2 가이드부(225)를 따라 모듈 하우징부(21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 가이드부(225)는 충전부 수납부(217)의 하부면과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가이드부(225)는 충전부 수납부(217)의 하부면을 단순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휴대 기기 수납부(202)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상에 형성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는 내부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에는 휴대 기기(50)의 전체 또는 일부가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는 휴대 기기(50)와 대응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전단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5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2)의 개방된 전단으로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내면에는 보호 패드(218)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보호 패드(218)가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내부 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보호 패드(218)가 형성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ortable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개방된 전단에는 입구 커버(212)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 커버(212)는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입구 커버(212)에는 휴대 기기(50)가 삽입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를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내부에는 자외선 조사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상면 또는 측면 또는 후면에는 전자파 차폐부(204)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내부 일부에는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는 개구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202)에는 유선 접속부(230) 및 상태 알림부(22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유선 접속부(230) 및 상태 알림부(226)가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외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접속부(230) 및 상태 알림부(226)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 형성될 수도 있다. An inlet cover 212 may be formed on the opened front end of the portable
여기서, 상태 알림부(226)는 표시 알림부(226-1) 및 음성 출력 알림부(226-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알림부(226-1)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적 형태로 표시해 줄 수 있다. 표시 알림부(226-1)에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들이 도안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알림부(226-1)에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원 상태 표시부(ⓐ),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표시부(ⓑ)(무선 충전 및 유선 충전), 자외선 조사부(210)의 동작 상태 표시부(ⓒ),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표시부(ⓓ) 등이 도안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알림부(226-1)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에 대응하는 도안화된 부분에 조명이 켜지는 것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음성 출력 알림부(226-2)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으로 출력(즉, 소리로 알려줌)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알림부(226)는 표시 알림부(226-1) 및 음성 출력 알림부(226-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Here, the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는 무선 충전 모듈(201)을 수납한다. 여기서, 휴대 기기 수납부(202) 및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체 외형을 이루게 된다.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는 베이스부(241)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41)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바디를 이루게 된다. 베이스부(241)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241)는 휴대 기기(50)와 같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부(241)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wireless
베이스부(241)의 내부에는 무선 충전 모듈(201)이 수납되는 수납홈(243)이 형성된다. 여기서는, 베이스부(241)의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수납홈(243)이 형성되어 무선 충전 모듈(201)이 베이스부(241)의 일측에서 수납홈(243)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부(241)의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수납홈(243)이 형성되어 무선 충전 모듈(201)이 베이스부(241) 하부에서 수납홈(243)에 안착될 수도 있다. 베이스부(241)의 상면과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하면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베이스부(241)의 하면에는 전자파 차폐부(204)가 형성될 수 있다. 전자파 차폐부(204)는 전자파 차폐 시트 형태로 이루어져 베이스부(241)의 하면에 매립되거나 베이스부(241)의 하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전자차 차폐부(204)는 전자파 차폐막의 형태로 베이스부(241)의 하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파 차폐부(204)의 형성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파 차폐부(204)는 베이스부(241)의 하면, 측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241)의 일부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241)의 상면(즉, 무선 충전부(206)와 휴대 기기(50) 사이에 존재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241)의 일부가 전자파 차폐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Resin)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241)의 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전자파 차단 섬유 또는 전자파 차단 분말을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ectromagnetic
베이스부(241)의 내부 타측에는 제2 커넥터(24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45)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제1 커넥터(2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무선 충전 모듈(201)이 수납홈(243)에 삽입되면서 제1 커넥터(221)와 제2 커넥터(245)가 접속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45)는 베이스부(241) 내에 형성되는 전원 공급부(2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61)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261)는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전원부(예를 들어, 상용 전원 또는 차량 배터리 등)와 연결될 수도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충전 모듈(201)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그와 대응되는 무선 충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201)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 교환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하나의 무선 충전 장치(100)를 통해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의 휴대 기기(50)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여러 개의 무선 충전 모듈 중 어느 하나가 무선 충전 모듈 데크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휴대 기기 수납부(202)는 생략하였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one of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modules is mounted on a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ortable
도 9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충전 모듈(201-1)은 자기 유도 방식이고, 제2 무선 충전 모듈(201-2)은 자기 공명 방식이고, 제3 무선 충전 모듈(201-3)은 전자기파 방식이라고 가정한다. 제1 무선 충전 모듈(201-1) 내지 제3 무선 충전 모듈(201-3)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 장착될 수 있는 일군의 무선 충전 모듈 세트가 된다. 여기서, 자기 유도 방식은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면 휴대 기기의 전력 수신부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한 방식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기 유도 방식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방식과 PMA(Power Matters Alliance)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자기 공명 방식은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에서 공진 주파수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휴대 기기의 전력 수신부를 상기 공진 주파수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설계하여 에너지가 집중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전자기파 방식은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에서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면 휴대 기기의 전력 수신부에서 안테나 및 정류기를 조합한 렉테나(Rectenna)를 이용하여 전자기파를 수신한 후 전력으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9,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201-1 is a magnetic induction type,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201-2 is a magnetic resonance type, the third wireless charging module 201-3 is an electromagnetic wave Method. The first to third wireless charging modules 201-1 to 201-3 become a set of wireless charging modules that can be mounted in the wireless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제1 무선 충전 모듈(201-1), 제2 무선 충전 모듈(201-2), 및 제3 무선 충전 모듈(201-3) 중 어느 하나가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수납홈(243)으로 삽입되어 장착되게 된다. 제1 무선 충전 모듈(201-1), 제2 무선 충전 모듈(201-2), 및 제3 무선 충전 모듈(201-3)의 제1 커넥터(221)를 동일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어느 무선 충전 모듈이 선택되더라도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무선 충전 모듈(201-1) 내지 제3 무선 충전 모듈(201-3)의 각 제1 커넥터(221)는 동일 크기 및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One of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201-1,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201-2, and the third wireless charging module 201-3 is wirelessly charged accor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scheme of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portable device guide unit is formed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상에 휴대 기기 수납부(2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부(202)는 휴대 기기(50)의 일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일측 내벽에는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232)가 형성되고,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타측 내벽에는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2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232)는 제1 탄성 부재(232-1) 및 제1 탄성 부재(232-1)와 힌지 결합되는 제1 압박 부재(2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234)는 제2 탄성 부재(234-1) 및 제2 탄성 부재(234-1)와 힌지 결합되는 제2 압박 부재(234-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a portable
여기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232)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234)는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50)가 고정되는 위치는 전력 송신부(206-1)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When the
한편, 무선 충전 모듈(201)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내에서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서 위치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Meanwhile, the
도 11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모듈(201)에는 돌출부(28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내부에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을 따라 요철부(285)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285)는 수납홈(243)의 내측 방향으로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201)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돌출부(281)가 요철부(285)의 어느 돌기와 맞물려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무선 충전 모듈(201)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무선 충전 모듈(201)이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11, a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 깊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depth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adjusted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요철부(285)는 수납홈(243) 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285)의 일측에는 복수 개의 돌기(285a)가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을 따라 수납홈(243)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285a)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으로 편향되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기(285a)는 일단이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281)는 무선 충전 모듈(201)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내부로 삽입될 때, 요철부(285)와 맞물려 무선 충전 모듈(201)을 고정시키거나, 요철부(285)의 돌기(285a)를 타고 넘으면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이동되도록 한다.12, the concavo-
돌출부(281)는 지지 부재(281a), 돌출 부재(281b), 탄성 부재(281c) 및 걸림부(281d)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81a)는 돌출부(281)의 몸체로서, 일단이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일측에 결합된다. 지지 부재(281a)의 일단은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일측에 힌지(미도시) 결합되어 수납홈(243)의 폭 방향으로 이동(a↔b 방향)(즉, 회전)할 수 있다. 지지 부재(281a)의 타단에는 돌출 부재(281b)가 요철부(285)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걸림부(281d)는 지지 부재(281a)의 타단을 관통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281a)의 일측에는 탄성 부재(281c)가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281c)는 일단이 지지 부재(281a)의 일측에 고정되며 타단이 무선 충전 모듈(201)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281c)는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다. The protruding
돌출 부재(281b)는 지지 부재(281a)의 타단에서 요철부(285)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 부재(281b)는 요철부(285)와 맞물릴 수 있도록 일단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부재(281b)는 예를 들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otruding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285)의 일단은 돌기(285a)가 형성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81)는 돌출 부재(281b)가 요철부(285)의 돌기(285a)와 접촉하기 전에는 탄성 부재(281c)의 탄성력에 의해 a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무선 충전 모듈(201)이 삽입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 부재(281b)는 요철부(285)의 돌기(285a)와 맞물려 고정되거나 탄성 부재(281c)에 의해 돌기(285a)로부터 고정 해제 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모듈(201)이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으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돌출 부재(281b)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여 c 위치에 고정된다. 이후, 무선 충전 모듈(201)이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돌출 부재(281b)는 요철부(285)를 따라 이동하여 d 위치에 고정된다. 즉, 돌출 부재(281b)는 무선 충전 모듈(201)이 삽입됨에 따라 c, d, e, f… 위치에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된다. 돌기(285a)가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으로 편향되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돌출 부재(281b)의 이동 및 고정이 좀 더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12, one end of the
돌출 부재(281b)가 g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돌출 부재(281b)는 요철부(285)를 이탈하게 되며 가이드 레일(281e)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걸림부(281d)는 지지 부재(281a)의 타단을 관통하여 가이드 레일(281e)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81d)는 예를 들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2에서는 돌출부(281)가 요철부(285)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281)의 돌출 부재(281b)는 실제로 c, d, e, f…g 위치에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됨에 유의한다(요철부(285)는 도시된 것보다 왼쪽에 위치함).When the
가이드 레일(281e)은 수납홈(243)의 내측벽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부(281d)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가이드 레일(281e)은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인출 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281e)은 예를 들어, 걸림부(281d)의 직경보다 수 mm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돌출 부재(281b)가 g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돌출 부재(281b)는 요철부(285)를 이탈하게 되고, 걸림부(281d)는 가이드 레일(281e)의 입구, 즉 h 위치에 진입하게 되며 이후 가이드 레일(281e)을 따라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81e)은 요철부(285)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걸림부(281d)가 가이드 레일(281e)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돌출부(281)의 일측에 고정된 탄성 부재(281c)는 소정 거리만큼 늘어나게 된다. 이후, 걸림부(281d)가 가이드 레일(281e)의 출구, 즉 i 위치를 지나 가이드 레일(281e)을 이탈하게 되면, 돌출부(281)는 탄성 부재(281c)의 탄성력에 의해 b 위치에서 다시 a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돌출부(281)가 a 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일측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The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무선 충전 모듈(201)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와의 전기적 접속은 유지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 간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Her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커넥터(221)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타측에 형성된다. 제1 커넥터(221)는 모듈 하우징부(211)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267) 내에서 가이드 홈(267)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267)은 모듈 하우징부(211)의 길이 방향(즉,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21)의 일측은 가이드 홈(267) 내에 위치하고, 제1 커텍터(221)의 타측은 무선 충전 모듈(201)에서 제2 커넥터(245) 방향으로 돌출 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21)의 일측은 플렉서블 케이블(269)을 통해 충전 제어부(2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이드 홈(267)에는 무선 충전 모듈(201)과 제1 커넥터(221)를 연결하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미도시)는 제1 커넥터(221)에 제2 커넥터(245)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2 and 13, the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으로 계속적인 압력을 받으면, 돌출 부재(281b)는 요철부(285)를 따라 이동하여 요철부(285)의 종단부에 이르게 된다. 그러면, 제1 커넥터(221)는 제2 커넥터(245)에 삽입되면서 접속되게 된다(도 13의 (a)). 즉, 제1 커넥터(221)는 수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제2 커넥터(245)는 암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와 반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커넥터(245)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내에서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 부재(281b)는 요철부(285)의 g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커넥터(221) 및 제2 커넥터(245)가 접속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돌출 부재(281b)는 가이드 레일(281e)을 따라 이동하여 a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 경우, 플렉서블 케이블(269)이 늘어나면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인출되고,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일측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도 13의 (b)). When the
이와 같이,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일측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무선 충전 모듈(201)의 전력 송신부(206-1)가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201)을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전력 송신부(206-1)의 위치를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커넥터(221)는 제2 커넥터(245)와 접속되어 있고, 충전 제어부(215)와 제1 커넥터(221)는 플렉서블 케이블(269)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무선 충전 모듈(201)이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무선 충전 모듈(201)(보다 자세하게는 충전 제어부(215))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간의 전기적 접속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충전 제어부(215) 및 제1 커넥터(221)가 플렉서블 케이블(269)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제어부(215)와 제1 커넥터(221)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In this way, in a state where one side of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 간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is maintained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221)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타측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221)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타측에서 모듈 하우징부(211)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21)는 충전 제어부(2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충전 제어부(21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21)의 상측에는 접속 패턴(22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45)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내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제2 커넥터(245)의 내부에는 제1 커넥터(221)가 삽입되는 삽입홈(245-1)이 형성된다. 제2 커넥터(245)의 내부에는 접속 부재(251)가 형성될 수 있다. 접속 부재(251)는 접속 지지부(251-1) 및 접촉부(251-2)를 포함한다. 접속 지지부(251-1)는 제2 커넥터(245)의 내부 타측에서 일측 방향(즉,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인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 지지부(251-1)의 타측은 제2 커넥터(245)의 내부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접촉부(251-2)는 접속 지지부(251-1)의 종단(즉, 접속 지지부(251-1)의 일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251-2)는 제1 커넥터(221)의 접속 패턴(221-1)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Referring to FIG. 14, the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 방향으로 계속적인 압력을 받으면, 돌출 부재(281b)는 요철부(285)를 따라 이동하여 요철부(285)의 종단부에 이르게 된다. 그러면, 제1 커넥터(221)가 제2 커넥터(245)의 삽입홈(245-1)으로 삽입되면서 접속 부재(251)를 통해 제2 커넥터(24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도 14의 (a)). 접촉부(251-2)는 제1 커넥터(221)가 삽입홈(245-1)으로 삽입됨에 따라 접속 패턴(221-1)의 타측에서 일측에 이르기까지 접속 패턴(221-1)을 따라 접속 패턴(221-1)과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제1 커넥터(221) 및 제2 커넥터(245)가 접속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돌출 부재(281b)는 가이드 레일(281e)을 따라 이동하여 a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 경우, 무선 충전 모듈(201)이 인출되고,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일측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도 14의 (b)). 접촉부(251-2)는 제1 커넥터(221)가 삽입홈(245-1)에서 인출됨에 따라 접속 패턴(221-1)의 일측에서 타측에 이르기까지 접속 패턴(221-1)을 따라 접속 패턴(221-1)과 접촉하게 된다. 제1 커넥터(221)의 타측이 삽입홈(245-1)을 벗어나는 않는 한도에서 무선 충전 모듈(201)이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이와 같이, 무선 충전 모듈(201)의 일측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모듈(201)의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무선 충전 모듈(201)의 전력 송신부(206-1)가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모듈(201)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즉, 제1 커넥터(221)가 삽입홈(245-1)으로 삽입됨에 따라), 접촉부(251-2)는 접속 패턴(221-1)의 타측에서 일측에 이르기까지 접속 패턴(221-1)과 계속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무선 충전 모듈(201)(보다 자세하게는 충전 제어부(215))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 간의 전기적 접속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in a state where one side of the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전력 송신부가 복수 개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units are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의 (a)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모듈(201)의 받침부(206-2) 상에 전력 송신부(206-1)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송신부(296),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가 무선 충전 모듈(201)(또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203))의 길이 방향(즉,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력 송신부(296) 및 제2 전력 송신부(297)는 일부가 겹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는 일부가 겹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력 송신부(296),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는 각각 충전 제어부(2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전력 송신부(296),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가 무선 충전 모듈(201)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50)가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가 무선 충전 모듈(201)의 폭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3개의 전력 송신부(296, 297, 298)가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의 전력 송신부가 배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받침부(206-2) 상에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296, 297, 298)를 배열하여 형성함으로써, 전력 송신부(206-1)가 커버할 수 있는 전체 영역이 넓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50)들을 무선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15A,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units 206-1 may be formed on the receiving unit 206-2 of the
여기서, 휴대 기기(50)가 무선 충전 장치(100)에 거치되는 경우, 제1 전력 송신부(296),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는 각각 휴대 기기(50)로부터 무선 충전과 관련되는 피드백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무선 충전 장치(100)는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송신부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는 무선 충전 동작 초기에는 제1 전력 송신부(296),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로 동일한 전력을 공급하여 휴대 기기(50)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각각 수신하도록 한 후,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송신부에 전력을 집중적으로 공급하고 나머지 전력 송신부로는 전력 공급을 줄일 수 있다. 또는, 무선 충전 장치(100)는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송신부를 제외한 나머지 전력 송신부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다. When the
도 15의 (b)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모듈(201)의 받침부(206-2) 상에 4개의 전력 송신부(296, 297, 298, 299)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력 송신부(296) 및 제4 전력 송신부(299)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력 송신부(296) 및 제4 전력 송신부(299)는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와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는 그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B, four
본 명세서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적용되는 것으로 기술한 구성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200)에 적용될 수도 있고,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200)에 적용되는 것으로 기술한 구성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s being applied to the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가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 측으로 가이드 되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device is guided and fixed to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units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전단 일측부에 제1 입구 커버(2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전단 타측부에 제2 입구 커버(212-2)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입구 커버(212-1) 및 제2 입구 커버(212-2)는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개방된 전단에서 상호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입구 커버(212-1)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는 제1 위치 고정부(214-1)가 형성되고, 제2 입구 커버(212-2)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는 제2 위치 고정부(214-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력 송신부(296),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가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력 송신부(296),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중심축에서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16A, the first inlet cover 212-1 is rotatably form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portable
여기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입구 커버(212-1) 및 제2 입구 커버(212-2)는 각각 휴대 기기(50)에 밀려 휴대 기기 수납부(202)의 내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위치 고정부(214-1) 및 제2 위치 고정부(214-2)가 휴대 기기(50)를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296, 297, 298) 측으로 가이드하면서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를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296, 297, 298)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제1 위치 고정부(214-1) 및 제2 위치 고정부(214-2)는 각각 제1 힌지(236-1) 및 제2 힌지(236-2)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위치 고정부(214-1) 및 제2 위치 고정부(214-2)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위치 고정부(214-1) 및 제2 위치 고정부(214-2)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할 수 있다.Here, when the
도 16의 (b)를 참조하면, 제1 전력 송신부(296) 및 제4 전력 송신부(299)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길이 방향(도 16에서는,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제2 전력 송신부(297) 및 제3 전력 송신부(298)는 무선 충전 모듈(201)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202)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는 제1 입구 커버(212-1) 및 제2 입구 커버(212-1)에 의해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296, 297, 298, 299) 측으로 가이드되면서 고정되게 된다.
16 (b), the first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모듈 데크(303)의 내부에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가 마련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302)는 휴대 기기(50)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휴대 기기(50)의 일부 또는 전부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에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입구 측에는 입구 커버(312)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입구 커버(312)의 일단부는 힌지(312a)를 통해 무선 충전 모듈 데크(303)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입구 커버(312)의 외측에는 위치 고정부(314)가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위치 고정부(314)는 입구 커버(312)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마련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314)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302)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Referring to FIG. 17, a portable
구체적으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부(302)로 삽입되는 경우, 입구 커버(312)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밀리면서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내부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위치 고정부(314)가 휴대 기기(50)의 상면을 압박하면서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위치 고정부(314)는 힌지(312a)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상면을 압박할 수 있다. 휴대 기기(50)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 고정부(314)는 탄성 재질(예를 들어, 고무 부재 또는 우레탄 또는 스펀지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입구 커버(312)는 휴대 기기 수납부(302)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로 가이드하여 고정시키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하는 동안 외부 충격이나 떨림이 발생하더라도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한편, 무선 충전 모듈 데크(303) 내에 장착되는 무선 충전 모듈(301)은 전력 송신부(306-1)이외에 근거리 무선 통신부(3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306-1)에서 송출되는 무선 전력을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50-1)가 수신하게 된다. 무선 충전 장치(3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391)는 휴대 기기(5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50-2)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300)는 미러링 모듈(39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3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391) 및 미러링 모듈(393)을 통해 휴대 기기(50)에서 실행되는 화면 또는 휴대 기기(50)에 저장된 콘텐츠를 차량 내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The
여기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391)가 무선 충전 모듈(301)에 마련되고, 미러링 모듈(393)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303)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 무선 통신부(391) 및 미러링 모듈(393)이 모두 무선 충전 모듈(301) 또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303)에 마련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wireless local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1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300)는 전력 송신부(306-1), 근거리 무선 통신부(391), 및 미러링 모듈(393)을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력 송신부(306-1)는 무선 전력을 송출하며,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50-1)는 이를 수신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18, the
근거리 무선 통신부(391)는 휴대 기기(5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50-2)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부(39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휴대 기기(50)로 미러링 데이터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부(391)는 휴대 기기(5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50-2)로부터 미러링 데이터(즉, 휴대 기기(50)에서 현재 실행되는 화면 또는 휴대 기기(50)에 저장된 콘텐츠(즉, 영상 콘텐츠 및 음향 콘텐츠 등) 등. 여기서, 휴대 기기(50)에 저장된 콘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일 수 있음)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부(391)는 휴대 기기(5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50-2)로부터 수신한 미러링 데이터를 미러링 모듈(393)로 전달할 수 있다. The short-range
근거리 무선 통신부(391)로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 Band) 등의 근거리 통신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에는 주로 NFC가 근거리 무선 통신부(50-2)로 탑재되므로, 무선 충전 장치(3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391)도 NF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근거리 무선 통신부(391)는 13.56 MHz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391)는 전력 송신부(306-1)의 무선 전력과 전자파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such as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Bluetooth, WiFi, and UWB (Ultra Wide Band) may be used as the short range
미러링 모듈(393)은 근거리 무선 통신부(391)로부터 전달받은 미러링 데이터를 차량 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70-1, 70-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70-1, 70-2)로는 차량 내에 장착되는 네비게이션 또는 차량 내에 장착되는 멀티미디어 기기(예를 들어,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마련되는 멀티미디어 기기 또는 차량 뒷좌석의 탑승자가 볼 수 있도록 차량에 마련되는 멀티미디어 기기 등) 또는 차량 내 탑승자의 다른 휴대 기기 등 일 수 있다. The
미러링 모듈(393)은 미러링 처리부(393-1) 및 통신부(393-2)를 포함할 수 있다. 미러링 처리부(393-1)는 상기 미러링 데이터의 해상도를 각 디스플레이 장치(70-1, 70-2)의 해상도에 맞게 영상 스케일링(예를 들어, 업 스케일링 또는 다운 스케일링)한 후 통신부(393-2)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미러링 처리부(393-1)는 통신부(393-2)를 통해 각 디스플레이 장치(70-1, 70-2)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미리 요청하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70-1, 70-2)로부터 해상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미러링 처리부(393-1)는 상기 미러링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미러링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통신부(393-2)로 전달할 수 있다. The
통신부(393-2)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70-1, 70-2)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393-2)가 각 디스플레이 장치(70-1, 70-2)와 유선 통신을 하는 경우, 통신부(393-2)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70-1, 70-2)와 유선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393-2)가 각 디스플레이 장치(70-1, 70-2)와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 통신부(393-2)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예를 들어, NFC, 블루투스, UWB, 와이파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부(391)를 통신부(393-2)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근거리 무선 통신부(391)가 미러링 모듈(393)의 일 구성 요소로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393-2)는 어느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93-2 can perform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display devices 70-1 and 70-2. When the communication unit 393-2 performs wire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display devices 70-1 and 70-2, the communication unit 393-2 is connected to each of the display devices 70-1 and 70-2 via a cable . When the communication unit 393-2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display devices 70-1 and 70-2, the communication unit 393-2 can communicate with the display devices 70-1 and 70-2 vi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example, NFC, Bluetooth, UWB, WiFi ). In this case, the short-range
이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300)에 미러링 모듈(393)을 구비함으로써,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키면서 휴대 기기(50)에서 실행되는 화면 또는 휴대 기기(50)에 저장된 컨텐츠를 차량 내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By providing the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0 : 무선 충전 장치
102 : 휴대 기기 수납부
104 : 전자파 차폐부
106 : 무선 충전부
108 : 이온 발생기
109 : 걸림부
110 : 자외선 조사부
112 : 입구 커버
112-1 : 제1 입구 커버
112-2 : 제2 입구 커버
114 : 위치 고정부
114-1 : 제1 위치 고정부
114-2 : 제2 위치 고정부
116 : 개구부
118 : 보호 패드
120 : 에어홀
122 : 연통부
124 : 이물질 수납부
126 : 상태 알림부
128 : 지지 리브
130 : 유선 접속부
132 :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
132-1 : 제1 탄성 부재
132-2 : 제1 압박 부재
134 :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
134-1 : 제2 탄성 부재
134-2 : 제2 압박 부재
136 : 힌지
136-1 : 제1 힌지
136-2 : 제2 힌지
200 : 무선 충전 장치
201 : 무선 충전 모듈
202 : 휴대 기기 수납부
203 : 무선 충전 모듈 데크
204 : 전자파 차폐부
206 : 무선 충전부
206-1 : 전력 송신부
206-2 : 받침부
210 : 자외선 조사부
211 : 모듈 하우징부
212 : 입구 커버
212-1 : 제1 입구 커버
212-2 : 제2 입구 커버
214 : 위치 고정부
214-1 : 제1 위치 고정부
214-2 : 제2 위치 고정부
215 : 충전 제어부
217 : 충전부 수납부
217-a : 결합부
218 : 보호 패드
219 : 이동 조정부
219-a : 나사부
219-b : 걸림부
221 : 제1 커넥터
221-1 : 접속 패턴
223 : 제1 가이드부
225 : 제2 가이드부
226 : 상태 알림부
226-1 : 표시 알림부
226-2 : 음성 출력 알림부
227 : 플렉서블 케이블
229 : 가이드 슬릿
230 : 유선 접속부
232 :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
232-1 : 제1 탄성 부재
232-2 : 제1 가이드 부재
234 :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
234-1 : 제2 탄성 부재
234-2 : 제2 가이드 부재
241 : 베이스부
243 : 수납홈
245 : 제2 커넥터
245-1 : 삽입홈
251 : 접속 부재
251-1 : 접속 지지부
251-2 : 접촉부
261 : 전원 공급부
267 : 가이드 홈
269 : 플렉서블 케이블
281 : 돌출부
281a : 지지 부재
281b : 돌출 부재
281c : 탄성 부재
281d : 걸림부
281e : 가이드 레일
285 : 요철부
285a : 돌기
301 : 무선 충전 모듈
302 :휴대 기기 수납부
303 : 무선 충전 모듈 데크
312 : 입구 커버
314 : 위치 고정부
306-1 : 전력 송신부
391 : 근거리 무선 통신부
393 : 미러링 모듈
393-1 : 미러링 처리부
393-2 : 통신부100: Wireless charging device
102: Portable equipment compartment
104: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106:
108: Ion generator
109:
110: ultraviolet ray irradiation part
112: inlet cover
112-1: first inlet cover
112-2: second inlet cover
114:
114-1: first position fixing section
114-2: second position fixing portion
116: opening
118: Protective Pad
120: Air hole
122:
124: Foreign matter storage part
126: Status notification section
128: Support rib
130: Wired connection
132: first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132-1: first elastic member
132-2: first pressing member
134: second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134-1: second elastic member
134-2: second pressing member
136: Hinge
136-1: First hinge
136-2: 2nd hinge
200: Wireless charging device
201: Wireless charging module
202: Portable equipment compartment
203: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204: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206:
206-1: Power transmission unit
206-2:
210:
211: Module housing part
212: inlet cover
212-1: first inlet cover
212-2: second inlet cover
214:
214-1: first position fixing section
214-2: second position fixing portion
215:
217: charging part storage part
217-a:
218: Protection pad
219:
219-a:
219-b:
221: first connector
221-1: connection pattern
223: first guide portion
225: second guide portion
226: Status notification section
226-1:
226-2: Audio output notification section
227: Flexible cable
229: guide slit
230: Wired connection
232: first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232-1: first elastic member
232-2: first guide member
234: second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234-1: second elastic member
234-2: second guide member
241:
243: storage groove
245: second connector
245-1: insertion groove
251:
251-1:
251-2:
261: Power supply
267: Guide groove
269: Flexible cable
281:
281a: Support member
281b:
281c: elastic member
281d:
281e: Guide rail
285:
285a:
301: Wireless charging module
302: Portable equipment compartment
303: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312: inlet cover
314:
306-1: Power transmission unit
391: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93: Mirroring module
393-1: Mirroring processor
393-2:
Claims (25)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이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적어도 한 면은 전자파 차폐 수단을 포함하거나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무선 충전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무선 충전 장치.
A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for housing the portable device; And
A wireless charging unit that wirelessly charges the portable device,
Wherei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includes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ans or is made of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so as to block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in the wireless charger from going out.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부의 일면 측에 상기 휴대 기기가 위치하며, 상기 무선 충전부의 타면 측에 전자파 차폐부가 마련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unit is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unit,
Wherein the portable device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uni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외측에 마련되고, 전체 또는 일부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전자파 차폐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cas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and wholly or partly made of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or containing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입구를 개폐시키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에서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며,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전자파 차폐 수단을 포함하는 입구 커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let for inserting the portable devic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n inlet cover which is made of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or includes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nd guid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inside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Device.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 기기가 삽입되는 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let for inserting the portable devic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 formed by opening an internal portion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로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로 유입되어 상기 무선 충전부와 열 교환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via the opening portion or external air flows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through the opening portion and is heat exchang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portion.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고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 및
상기 이온을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부로 불어 보내거나 상기 무선 충전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An ion generator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and generating ions; And
Further comprising a blowing fan for blowing the ions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in the wireless charging portion.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n ultraviolet ray irradiating portion formed inside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면에는 상기 자외선 조사부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에 반응하는 광촉매 물질이 코팅된,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photocatalyst material, which reacts with ultraviolet rays generated in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is co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unit.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보호 패드 또는 복수 개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pad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마련된 입구를 개폐시키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입구 커버; 및
상기 입구 커버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시 상기 휴대 기기를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An inlet cover opened and closed at on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and rotatably formed at on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And
Further comprising a position fixing portion formed on a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let cover and pressing and fixing the portable device when the portable device is housed.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구조물 내에 장착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상기 구조물 내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mounted in a structure,
Wherei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is formed inclined downward in the structure.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And a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and guiding a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상기 무선 충전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가이드하는, 무선 충전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ortable device guide unit includes:
And guides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er.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와 유선 접속되어 상기 휴대 기기를 충전시키는 유선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wire connection portion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and wired to the portable device to charge the portable device.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주는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tatus notification unit for informing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n incom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부를 구비하는 무선 충전 모듈; 및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수납하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ing the wireless charging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for receiv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terior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방식과 대응되는 무선 충전 모듈이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교환 장착되는, 무선 충전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ode is exchangeably mount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ccor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wireless charging unit includes:
And is formed movably with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내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The wireless charging unit includes:
Wherein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t least one of a width direction and a length direction of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in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부의 위치를 확인시켜주는 충전부 위치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And a charging unit position confirming unit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wireless charging unit includes:
And a plurality of power transmitters formed in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device.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와이파이(WiFi)인, 무선 충전 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short-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or WiFi wireless charging device.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미러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미러링 데이터를 인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미러링 모듈을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mirroring module for receiving the mirroring data from the portable device and transmitting the mirroring data to a nearby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30358 | 2014-03-14 | ||
KR1020140030358 | 2014-03-1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7671A true KR20150107671A (en) | 2015-09-23 |
Family
ID=5424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4834A KR20150107671A (en) | 2014-03-14 | 2015-03-13 | Wireless charg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07671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4502A (en) * | 2016-12-23 | 2018-07-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blowing device and air blow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
WO2018143515A1 (en) * | 2017-02-03 | 2018-08-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provided in vehicle and vehicle |
WO2020209619A1 (en) * | 2019-04-11 | 2020-10-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ulti-device wireless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wirelessly charged by the same |
GB2599714A (en) * | 2020-10-09 | 2022-04-13 | Falcona Solutions Ltd | Sanitisation |
-
2015
- 2015-03-13 KR KR1020150034834A patent/KR2015010767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4502A (en) * | 2016-12-23 | 2018-07-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blowing device and air blow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
WO2018143515A1 (en) * | 2017-02-03 | 2018-08-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provided in vehicle and vehicle |
US10782752B2 (en) | 2017-02-03 | 2020-09-22 | Lg Electronics Inc. | Wireless charger for mobile terminal within vehicle, and vehicle |
WO2020209619A1 (en) * | 2019-04-11 | 2020-10-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ulti-device wireless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wirelessly charged by the same |
US11557923B2 (en) | 2019-04-11 | 2023-01-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ulti-device wireless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wirelessly charged by the same |
GB2599714A (en) * | 2020-10-09 | 2022-04-13 | Falcona Solutions Ltd | Sanitisation |
GB2599714B (en) * | 2020-10-09 | 2024-01-31 | Falcona Solutions Ltd | A sanitisation apparatus comprising a radio frequency shielded recepta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47651B2 (en) | Power transmitter device for inductively providing power to a mobile device | |
US20180323636A1 (en) |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s and ecosystem for surface-based wireless charging system | |
KR101738073B1 (en) | Support for phone including wireless charging device | |
KR20150107671A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 |
KR101391547B1 (en) | Chargible smart phone cradle for car | |
KR20150084210A (en) | Apparatus for charging portable device | |
KR20150094961A (en) | Wireless charging modul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 |
KR101443007B1 (en) | Mobile Device Cradl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 |
KR102081718B1 (en) | Cup holder | |
JP2008295273A (en) | Non-contact power transmitter | |
US10198029B2 (en) | Wearable computer case and wearable computer | |
KR102045078B1 (en) | Cup holder combined with supporter of portable terminal | |
KR20160007849A (en) | Apparatus for both storing portable device and door handle in vehicle | |
KR20160007151A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 |
KR20160085607A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 |
KR101423028B1 (en) | Removeable-type wireless power-charging apparatus, and settop box device having the same in removable pattern | |
KR200488549Y1 (en) | A wireless charged spare battery and stand | |
KR101455343B1 (en) |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of receptacle type | |
KR2015013158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 |
US11050276B2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 |
KR200484841Y1 (en) | Wireless charging apparatus of mobil device | |
KR20160039327A (en) |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and vehicle with the same | |
KR102087138B1 (en) |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 |
KR20160010972A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 |
KR20150032079A (en) |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