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774A - 차량 도어의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의 잠금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96774A KR20150096774A KR1020157019475A KR20157019475A KR20150096774A KR 20150096774 A KR20150096774 A KR 20150096774A KR 1020157019475 A KR1020157019475 A KR 1020157019475A KR 20157019475 A KR20157019475 A KR 20157019475A KR 20150096774 A KR20150096774 A KR 201500967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ratchet
- levers
- collision
- locking mechanis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9 retar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잠금 메커니즘, 잠금 메커니즘을 개방하기 위한 트리핑 레버(1), 축에 대해 피벗 가능한 래칫 레버(5)를 포함한다. 래칫 레버(5)는 잠금 메커니즘이 예컨대 사고 상황(충돌 상황)에서 발생하는 저항력의 큐모와 크기에 따라 잠금 메커니즘을 무효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칫 레버(5)가 트리핑 레버(1)에 힘을 작용시키는 작동 레버(2)에 연결되되, 두 레버들(2, 5)이 정상 작동 중에는 기계적인 차단 없이 미리 정해진 정상 작동 궤적(R1)을 그리고, 충돌 작동 중에는 정상 작동 궤적(R1)을 벗어난 충돌 작동 궤적(R2)을 그리는 한편 동시에 기계적인 차단이 일어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잠금 메커니즘, 잠금 메커니즘을 개방하기 위한 트리핑 레버(tripping lever), 축 둘레로 피벗 가능하며 예컨대 사고(충돌)시에 적어도 저항력(retarding force)의 규모 및 방향과 관련하여 잠금 메커니즘을 무효화시키는 래칫 레버(ratchet lever)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의 래치(latch,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본 출원인의 DE 10 2011 010 816 A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설명된 디자인의 차량 도어의 래치에서 래칫 레버는 정상적인 작동 중 잠금 메커니즘에 대해 차단 위치에 있다. 충돌 상황에서, 래칫 레버는 잠금 메커니즘을 차단하며, 정상 작동의 경우에만 이를 해제한다. 래칫 레버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에 의해 트리핑 레버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트리핑 레버가 잠금 메커니즘을 개방하기 위해 피벗되면, 이 피벗 동작은 차단 레버(blocking lever)가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다. 이런 식으로, 래칫 레버는 정상 작동 상태에서도 움직여지며, 단순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한편 전체적인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평소대로, 이 점에서 제공된 래칫 레버 또는 매스 래치(mass latch)는 사고 또는 충돌 상황에서 생성되는 상당한 가속력이 잠금 메커니즘과 그에 따른 관련된 도어 래치 또는 차량 도어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을 유발하지 않도록 한다. 대신 트리핑 레버는 충돌 상황에서 비정상적인 가속력이 가해질 때 작동되지 않는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정상 작동 상태에서 트리핑 레버에 작용하는 작동 레버 메커니즘이 차단된다는 사실에 의해 이루어진다.
유사한 접근법이 EP 1 375 794 A2에 개시된 일반적인 기술에 사용된다. 이 특허는 충돌 상황에서 잠금 메커니즘의 트리핑 레버에 이르기까지 관련된 작동 레버 메커니즘의 연속적인 기계적 연계를 중단시키는 래칫 레버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래칫 레버는 작동 레버 메커니즘의 작동 레버를 피벗시키기 위해 그 작동 레버를 작동시킨다.
종래의 방법은 기능성과 신뢰성의 관점에서 성공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DE 10 2011 010 816 A1 및 EP 1 375 794 A2에서 래칫 레버는 잠금 메커니즘은 물론 작동 레버 메커니즘과도 별개로 프레임 박스에 연결된다. 이는, 전형적으로 베어링 볼트에 의해 정의되는 래칫 레버의 축의 위치로 귀결되는데, 이 위치는 작동 레버 메커니즘 및 잠금 메커니즘으로부터 다소간 분명한 간격을 가진다. 그 결과로, 알려진 차량 도어 래치 및 래칫 레버의 디자인은 상대적으로 넉넉하다. 이는 점점 더 컴팩트해지는 디자인 경향과 모순된다.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든 기능성을 유지한 채로 특히 더 컴팩트하고 저비용인 실시예가 제공되도록 상기 차량 도어 래치를 더욱 개선하는 기술적 문제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포괄적인 차량 도어 래치는 트리핑 레버 상의 작동 레버에 유연하게 연결된 래칫 레버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여기서 이들 두 레버는 정상 작동 중에는 기계적인 차단 없이 특정한 정상 작동 궤적을 따르고, 충돌 상황에서는 정상 작동 궤적을 벗어난 것으로서 동시적인 차단을 가진 충돌 작동 궤적을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칫 레버는 무엇보다도 종래 기술과 대조적으로 작동 레버에 장착된다. 이것은 래칫 레버가 작동 레버에 유연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예컨대 DE 10 2011 010 816 A1의 교시와 대조적으로 프레임 박스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별개의 베어링 지점이 프레임 박스에서 필요하지 않으므로, 이것은 이미 특히 컴팩트한 결과를 낳는다. 또한, 래칫 레버의 작동 레버에 대한 유연한 장착은, 상방에서 내려다 봤을 때 래칫 레버를 차량 도어 래치의 다른 구성들의 위에 위치시킬 수 있다는 선택권을 제공한다. 그 결과, 특별히 컴팩트한 디자인이 얻어질 수 있다.
요구되는 정확한 기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래칫 레버와, 트리핑 레버를 작동시키는 작동 레버는 정상 작동 중에 정상 작동 궤적을 따라 움직인다. 어떠한 기계적인 차단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충돌 작동은 충돌 작동 궤적을 따르는데, 이 충돌 작동 궤적은 정상 작동 궤적으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두 레버들이 공동으로 이동하는 궤적이다. 이 충돌 작동 궤적은 또한 기계적인 차단을 포함하기도 한다.
기계적인 차단은 작동 레버를 작동시키는 트리핑 레버가 트리핑 레버에 다다르지도 못하거나, 또는 트리핑 레버와 기계적으로 상호 작용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 결과로, 충돌 중에, 그리고 두 레버가 충돌 작동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동안 잠금 메커니즘이 의도하지 않게 개방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충돌 작동 궤적 상에서의 기계적인 차단은 트리핑 레버에 다다르지 못하거나 함께 상호작용할 수 없는 작동 레버에 상당하다. 결과적으로 잠금 메커니즘도 의도치 않게 개방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작동 레버가 트리핑 레버를 직접 작동시키는 형태뿐만 아니라 작동 레버가 잠금 메커니즘을 개방하기 위해 하나 또는 몇몇의 요소들에 의해 트리핑 레버를 직접 작동시키는 변형예도 포함한다.
어느 경우이든 이 디자인은 정상 작동 중, 및 정상 작동 상황에서, 두 레버들이 공동으로 정상 작동 궤적을 따라 움직인다는 것이다. 이렇게 움직이는 동안, 레버들이 기계적으로 차단되지 않는다. 충돌 중에는, 두 레버들이 정상 작동 궤적을 벗어나 충돌 작동 궤적을 따라 공동으로 움직인다. 충돌 작동 궤적은 래칫 레버가 특징적으로 차단되는 식으로 정상 작동 궤적으로부터 벗어난다. 그 결과, 작동 레버 또한 잠금 메커니즘을 개방하기 위해 트리핑 레버와 직접적, 간접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기 전에 차단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런 식으로 잠금 메커니즘의 원하지 않은 개방이 억제된다.
조합된 레버들 또는 래칫 레버의 기계적 차단은 보통 하우징에 고정된 멈추개에 의해 제공된다. 이 멈추개는 프레임 박스의 에지에 배치되거나, 그 안에 통합될 수도 있다. 이것은, 노출되고 개별적으로 배치된 멈추개들이 특별히 요구되지 않으며, 대신에 위 멈추개가 프레임 박스에 구조적으로 통합되어 있거나 통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차량 도어 래치의 컴팩트한 디자인을 뒷받침한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래칫 레버는 작동 레버에 토글 레버(toggle lever)의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런 식으로, 차단 레버와 작동 레버는 그들 사이에 토글 레버 각(toggle lever angle)을 형성한다. 정상 작동이 특정한 토글 레버 각에 상당하는 한편, 충돌 작동은 더 큰(또는 더 작은) 토글 레버 각과 관련되어 있다. 이는 충돌 작동이 정상 작동의 그것과 다른 토글 레버 각에 의해 특징지워짐을 의미한다. 서로 유연하게 연결된 두 레버 사이의 토글 레버 각의 편차는 자동적으로 두 레버로 구성된 조립체 또는 두 레버가 함께 충돌 작동 궤적을 형성하도록 하며, 래칫 레버가 상기 멈추개에 대항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고 또한 상기 멈추개에 대항하여 움직이게 한다.
상세하게는, 이 디자인은 대부분의 경우, 정상 작동 궤적이 미리 정해진 반경의 축에 대비하여 차단 레버의 바깥 에지의 원형의 움직임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충돌 작동 경로는 래칫 레버의 바깥 에지의 비교적 더 크고(또는 더 작고), 어느 경우이든 서로 다른 값의 반경을 가진 원형 움직임에 상당한다.
바꾸어 말해, 래칫 레버의 바깥 에지는 무엇보다도 그 중심점으로서의 축을 가지고 원형의 호를 형성한다. 이 축은 일반적으로 회전축인데, 이 회전축은 작동 레버를 수용하는 베어링 볼트에 의해 정의된다. 이것은, 베어링 볼트가 순차로 프레임 박스에 고정된 채로, 작동 레버가 각각의 베어링 볼트 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정의되는 상기 축은 그것에 대한 관계에서 피벗 가능한 래칫 레버를 위한 축 또는 회전축으로서도 작동한다. 이런 배치에서, 작동 레버와 이에 유연하게 연결된 래칫 레버는 함께 상기한 원형의 호를 형성하거나, 축 또는 회전축에 대한 관계에서 원형 호 형태의 움직임을 수행한다. 정상 작동 또는 충돌 작동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원형의 호 또는 각각의 원형 호 형태의 움직임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진다. 대부분의 경우, 이 디자인은 정상 작동 궤적이 특정한 반경의 원형 호 형태의 운동에 상당하는 한편, 충돌 작동 궤적은 비교적 더 큰 반경을 가진 원형의 호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충돌 작동 궤적은 정상 작동 궤적에 비해 더 작은 반경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정상 작동으로부터 충돌 작동으로의 전이 과정에서 축과 관련된 래칫 레버의 바깥 에지의 반경방향 거리의 편차는 래칫 레버의 바깥 에지가 상기 멈추개와 상호작용하도록 하는데, 여기서 래칫 레버와 작동 레버가 차단된다.
본 발명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정상 작동 중 두 레버들이 상기 레버들을 결합하는 연결부에서 강제적인 움직임을 수행한다는 추가적인 상황이다. 이것은 정상 작동이, 두 레버들 사이의 토글 레버 각에 강제적인 변화를 유발하는 두 레버들에 상당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강제적인 움직임은 이것에 상당한다. 그 결과, 각각의 결합 연결부에서의 들러붙음, 부식 등이 시작되는 것이 방지되는데, 이는 정상 작동 중에, 즉 잠금 메커니즘을 개방하기 위한 작동 레버의 각각의 작동 중에 토글 레버가 작동 레버와 래칫 레버 사이에서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것을 상세히 달성하기 위해서, 두 레버들의 강제적인 운동을 위해 가이딩 그루브(guiding groove)가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래칫 레버는 적어도 정상 작동 궤적의 끝에서 상기 가이딩 그루브와 상호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이 디자인은 차단 레버가 정상 작동 궤적의 끝에서 트리핑 레버가 작동되는 채로 상기 가이딩 그루브에 대해 움직이며 작동 레버로부터 벗어나서 피벗되는 것이다. 그 결과로, 두 레버들과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토글 레버 각은 그 영구적으로 신뢰성 있는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활성화된다. 이론적으로, 토글 레버 각은 감소될 수도 있다.
두 레버들은 스프링에 의해 탄력있게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프링은 멈추개와 함께 두 레버들이 서로 정상 작동에 상당하는 토글 레버 각으로, 그리고 탄성적으로 유연한 방식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정상 작동과 관련된 이 토글 레버 각으로부터 시작하여, 이 각은 자연히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토글 레버 각은 앞서 설명된 정상 작동 궤적의 끝에서의 강제적인 움직임의 일부로서 증가하며, 충돌 상황에서 유사하게 감소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경우, 한 쪽 레그(leg)는 작동 레버 레그이고 다른 쪽 레그는 래칫 레버 레그이다. 작동 레버 레그는 작동 레버에 대하여 놓이거나 이에 연결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래칫 레버 레그는 래칫 레버와 기계적인 연결상태에 들어간다. 두 레그들을 연결하는 레그 스프링의 추가적인 작은 구멍, 즉 레그 아이(leg eye)가 베어링 볼트에 의해 차지되는데, 이로써 래칫 레버와 작동 레버 사이에 유연한 베어링이 제공된다.
그 결과는 특히 컴팩트하고 신뢰성 있는 디자인이라는 장점을 제공하는 차량 도어 래치이다. 컴팩트한 디자인은 주로 래칫 레버가, 트리핑 레버를 작동시키는 작동 레버에 대해 명백히 유연하게 연결됨에 따라 가능해진다. 이런 식으로 두 레버들은 토글 레버 배치를 형성한다. 두 레버들 사이의 토글 레버 각은 바뀔 수 있다.
정상 작동은 실제적으로 일정한 토글 레버 각에 상당하는데, 이 예에서 이 토글 레버 각은 충돌 상황에서 적용되는 저항력의 결과로서 확대된다. 두 레버들이 충돌 상황에서 펼쳐진다는 사실, 그리고 이 예에서 토글 레버 각이 확대된다는 사실로 인해 래칫 레버의 바깥 에지는 충돌 작동 궤적을 따라가면서 멈추개에 도달하는데, 여기서 상기 멈추개는 프레임 박스에 적절히 배열되거나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두 레버들은 차단되며, 작동 레버는 잠금 메커니즘을 개방하기 위해 트리핑 레버를 작동시킬 수가 없다.
유사한 토글 레버 각의 확장이 정상 작동 궤적이 완료될 때마다 발생하기도 한다. 이것은 토글 레버 각이 다시 확장되는 식으로 레버들이 서로에 대해 강제적으로 움직이는 것에 상당한다. 이것은 정상 작동 중에 래칫 레버가 충돌 상황에서와 유사한 움직임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차량 도어 래치의 전체 수명에 걸쳐 특별한 신뢰성을 보장한다. 이들이 주요한 장점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줄 뿐인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개의 베어링 지점이 프레임 박스에서 필요하지 않으므로, 이것은 이미 특히 컴팩트한 결과를 낳는다. 또한, 래칫 레버의 작동 레버에 대한 유연한 장착은, 상방에서 내려다 봤을 때 래칫 레버를 차량 도어 래치의 다른 구성들의 위에 위치시킬 수 있다는 선택권을 제공한다. 그 결과, 특별히 컴팩트한 디자인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도어 래치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차량 도어 래치가 휴지 위치(도 2a), 정상 작동(도 2b), 끝으로 충돌 작동 상황(도 2c)에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차량 도어 래치가 휴지 위치(도 2a), 정상 작동(도 2b), 끝으로 충돌 작동 상황(도 2c)에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면들은 차량 도어 래치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차량 도어 래치에는, 캐치(catch)와 폴(pawl)을 포함하며 부호 표시되지 않은 채 상세히 도시된 잠금 메커니즘이 설치되어 있다. 잠금 메커니즘은 트리핑 레버(1)에 의해 작동되는데, 도 1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트리핑 레버(1)의 움직임은 폴이 이미 알려진 방식으로 캐치를 벗어나 들어올려지게 한다. 그 결과 캐치는 스프링의 도움으로 이전에 유지되었던 폐쇄 핀(closing pin)을 해제하면서 개방될 수 있다. 동시에 차량 도어가 개방될 수 있거나, 개방된다. 이것은 이른바 정상 작동에 상당한다.
잠금 메커니즘을 개방하도록 트리핑 레버(1)를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이 예시적인 실시예는 작동 레버(2)를 제공한다. 작동 레버(2)는 더 상세히 명시하지는 않은 작동 레버 메커니즘의 일부이다. 작동 레버(2)는 작동 레버(2)의 레버 암(2')이 트리핑 레버(1)에 대하여 움직여서 잠금 메커니즘을 개방하기 위해 화살표 방향으로 트리핑 레버를 작동시키도록 그 축(3) 둘레로 도 1에 표시된 반시계방향으로 피벗될 수 있다.
작동 레버(2)를 그 축(3) 둘레로 반시계 방향으로 피벗시키기 위해, 예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 레버(2)는 종종 도 1에만 표시된 외부 도어 핸들(4)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따라서 이 예에서 작동 레버(2)는 외부 작동 레버(2)이다.
이에 더하여 기초적인 배치에는 래칫 레버(5)가 포함되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 레버, 즉 외부 작동 레버(2)에 연결부(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충돌 상황과 같이 주어진 규모와 방향의 저항력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래칫 레버는 도 1 및 도 2c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작동된다. 그 결과, 아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작동 레버(2)가 잠금 메커니즘을 개방하기 위해 트리핑 레버(1)를 작동시키지 못하도록 래칫 레버(5)와 작동 레버(2)가 차단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래칫 레버(5)는 연결부(6)에 의해 작동 레버(2)에 유연하게 연결된다. 작동 레버는 순차로 트리핑 레버(1)를 작동시킨다. 두 레버들(2, 5)은 함께 토글 레버 배치(2, 5)를 형성하는데, 그 중간에 토글 연결부(6)로서 기능하는 연결부(6)가 끼어 있다.
도 2a의 휴지 위치와 도 2b에 나타낸 정상 작동을 살펴보면, 정상 작동 중 두 레버들(2, 5)은 함께 정상 작동 궤적(R1)을 따르는 것이 명확하다. 이 레버들은 차단됨이 없이 정상 작동 궤적(R1)을 따른다. 실질적으로, 정상 작동 궤적(R1)은 래칫 레버(5)의 바깥 에지, 즉 바깥 팁(7)의 축(3)에 대한 원형 호 움직임에 상당하다. 여기서 축(3)은 이 효과에서 원형의 호에 대한 중심점으로 기능한다. 실질적으로, 두 레버들(2, 5)은 프레임 박스(8)에 고정되어 축 또는 회전축(3)을 형성하는 베어링 핀 또는 베어링 볼트에 장착되어 있다. 정상 작동 중 또는 정상 작동 궤적(R1)을 따르는 동안, 상기 축(3)과의 관계에서 래칫 레버(5)의 바깥 에지(7)는 축(3)을 한정하는 중심점에 대해 반경 R1으로 상기한 원형 호 움직임을 수행한다.
도 2a와 도 2b 사이의 전이 과정으로부터, 도 2a의 휴지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종료 지점까지, 또는 도 2b에 따른 전체 경로를 고려할 때, 두 레버들(2, 5) 또는 관련된 토글 레버 배치(2, 5)는 기계적으로 차단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작동 레버(2)는 정상 작동하는 동안 그 암(2')으로 트리핑 레버(1)를 도 1에 도시된 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잠금 메커니즘이 개방된다. 동시에 두 레버들(2, 5)은 정상 작동하는 동안 레버들을 결합하는 연결부(6)와의 관계에서 강제적인 움직임을 겪는다. 이 강제적인 움직임은 도 2a와 도 2b를 비교할 때 분명해진다.
실질적으로, 두 레버들(2, 5)은 스프링(9, 10, 11)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스프링(9, 10, 11)은 레그 스프링(9, 10, 11)이다. 레그 스프링(9, 10, 11)은 래칫 레버(5)에 연결된 래칫 레버 레그(9)를 포함한다. 레그 스프링(9, 10, 11)은 또한 작동 레버(2)에 연결되거나 이와 상호작용하는 작동 레버 레그(10)도 포함한다. 도면은 레그 아이(11)도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연결부, 즉 토글 연결부(6)을 형성하는 베어링 핀을 둘러싸고 있다.
이 스프링, 즉 레그 스프링(9, 10, 11)에 더하여, 하나의 멈추개(12) 또는 두 개의 멈추개(12, 14)가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멈추개(12)는 작동 레버(2)의 연장부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멈추개(14)는 래칫 레버(5)의 연장부이다. 멈추개(12) 또는 두 멈추개들(12, 14)과 함께 스프링(9, 10, 11)은 두 레버들(2, 5)을 도 2a에 표시된 관련된 토글 레버 각(α)으로 유지한다. 정상 작동 과정에서 두 레버(2, 5)는 결합 연결부(6)에서 강제적인 움직임을 수행한다. 하우징, 즉 프레임 박스(8)에 배치된 가이딩 그루브(13)가 이 강제적인 움직임을 책임진다. 실질적으로 래칫 레버(5)는 정상 작동 궤적(R1)의 적어도 한 끝에서 상기 가이딩 그루브(13)와 상호작용한다. 이것은 도 2a와 도 2b 사이의 전이로부터 명백하다.
래칫 레버(5)가 정상 작동 궤적의 끝에 다다르고 트리핑 레버(1)가 이미 작동되었을 때, 래칫 레버(5)는 잠금 메커니즘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가이딩 그루브(13)에 대해 움직인다. 정상 작동 중 래칫 레버(5)의 추가적인 움직임, 즉 두 레버(2, 5)가 그들의 공동 축(3) 둘레로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의 움직임은 래칫 레버(5)로 하여금 작동 레버(2)로부터 피벗되어 멀어지도록 한다. 동시에, 각각의 토글 레버 각(α)이 증가하며 α<β인 토글 레버 각(β)에 상당한다. 이것은 두 레버들(2, 5)을 결합하는 스프링(9, 10, 11)이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래칫 레버(5) 상의 멈추개(14)가 작동 레버(2) 상의 멈추개(12)로부터 해제되면서 가능해진다. 이것은 두 멈추개(12, 14) 사이의 갭을 보여주는 도 2b에서 명확하다. 동시에 토글 레버 각(α)이 토글 레버 각(β)으로 증가하면서 연결부(6)는 어떤 들러붙음, 부식 등도 전과 같이 일어나지 않도록 작동된다.
정상 작동과 대조적으로 충돌이 발생하면, 래칫 레버(5) 또는 두 레버들(2, 5)의 바깥 에지(7)가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정상 작동 궤적(R1)을 벗어난 충돌 작동 궤적(R2)을 따른다. 실질적으로, 충돌 작동 궤적(R2) 또한 래칫 레버(5)의 바깥 에지(7)가 중심점을 나타내는 축(3)에 대해 수행하는 원형 호 움직임을 초래한다. 정상 작동 궤적(R1)과는 대조적으로, 충돌 작동 궤적(R2)은 더 큰 반경 R2를 포함한다. 이것은 다음이 적용된다는 것을 뜻한다.
R2 > R1
반경 R2의 확장은 충돌 상황에서 도 1 및 도 2c에 화살표로 표시된 저항력의 결과로 래칫 레버(5)가 작동 레버(2)로부터 피벗되어 멀어진다는 점에 의해 초래된다. 동시에, 토글 레버 각(α)은 도 2b와 관련하여 정상 작동의 끝에서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α로부터 β 정도의 값으로 증가된다. 이것은 충돌하는 동안 토글 레버 배치(2, 5)의 움직임이 작동 스트로크의 끝에서 정상 작동의 그것과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고도로 높은 수준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원형 호의 확장된 반경 R2, 즉 래칫 레버(5)의 바깥 에지(7)에 의해 완료되는 각각의 충돌 작동 궤적(R2)으로 인해, 토글 레버 배치(2, 5), 즉 레버들(2, 5)은 함께 트리핑 레버(1)를 (더 이상) 작동시킬 수 없다. 이것은 래칫 레버(5)의 바깥 에지(7)가 프레임 박스(8)에 형성되거나 프레임 박스(8)에 연결된 멈추개(15)에 대항하여 움직인다는 사실 때문이다.
바꿔 말해, 충돌하는 동안 레버들(2, 5)은 그들의 토글 레버 각(α)과 관련하여 α에서 β로 증가하도록 펼쳐진다. 두 레버(2, 5)의 이런 펼쳐짐은 래칫 레버(5)의 바깥 에지(7)가 프레임 박스(8)와의 관계에서 - 작용하는 저항력으로 인해 - '바깥쪽을 향하여' 움직이게 하는데, 이는 바깥 에지(7)가 프레임 박스(8)의 바깥 에지에 제공된 멈추개(15)에 대항하여 움직이도록 한다. 이것은 작동 레버(2)가 트리핑 레버(1)와 상호작용할 수 있기 전부터 일어난다. 결과적으로 잠금 메커니즘은 영향을 받지 않으며 의도치 않게 개방될 수 없다.
Claims (10)
- 잠금 메커니즘과, 상기 잠금 메커니즘을 개방하기 위한 트리핑 레버(1)와, 축(3) 둘레로 피벗 가능하며 예컨대 사고('충돌')시 발생하는 저항력의 규모 및 방향과 관련하여 상기 잠금 메커니즘을 무효화시키는 래칫 레버(5)가 구비된 차량 도어의 래치로서,
상기 래칫 레버(5)는 작동 레버(2)에 연결되되, 상기 작동 레버(2)는 상기 작동 레버(2)와 상기 래칫 레버(5)가 함께 정상 작동 상태에서는 기계적인 차단 없이 미리 정해진 정상 작동 궤적(R1)을 그리고 충돌 작동 상태에서는 기계적인 차단이 일어나는 동시에 상기 정상 작동 궤적(R1)을 벗어난 충돌 작동 궤적(R2)을 그리도록 연계된 방식으로 상기 트리핑 레버(1)에 힘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래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레버(5)는 토글 레버(5)의 형식으로 상기 작동 레버(2)에 연결되어, 미리 정해진 토글 레버 각(α)에 상당하는 정상 작동 상태와 비교적 더 크거나 더 작은 토글 레버 각(β)에 상당하는 충돌 작동 상태를 가진 토글 레버 배치(2, 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래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작동 궤적(R1)은 축(3)에 대한 래칫 레버(5)의 바깥 에지(7)의 미리 정해진 반경(R1)을 가진 원형 호의 움직임과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래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작동 궤적(R2)은 더 크거나 더 작은 반경(R2)을 각각 가진 래칫 레버(5)의 바깥 에지(7)의 원형 호의 움직임에 상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래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정상 작동 상태에서, 두 레버들(2, 5)은 상기 레버들을 결합하는 연결부(6)에서 강제적인 움직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래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 레버들(2, 5)의 강제적인 움직임을 위해 가이딩 그루브(13)가 제공되고, 상기 래칫 레버는 적어도 정상 작동 궤적(R1)의 끝에서 상기 가이딩 레버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래치.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레버(5)는 상기 트리핑 레버(1)에 적용되는 힘을 가지고 상기 정상 작동 궤적(R1)의 끝에서 상기 가이딩 그루브(13)를 향해 움직이고 상기 작동 레버(2)로부터 멀어져 피벗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래치. - 제1항 내지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레버들(2, 5)은 스프링(9, 10, 11)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래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9, 10, 11)은 적어도 하나의 멈추개(12, 14)와 함께 정상 상태와 관련된 토글 레버 각(α)으로 상기 레버들(2, 5)을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래치.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9, 10, 11)은 작동 레버 레그(10)와 래칫 레버 레그(9)를 가진 레그 스프링(9, 10, 11)으로 디자인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2025448.2 | 2012-12-21 | ||
DE102012025448.2A DE102012025448A1 (de) | 2012-12-21 | 2012-12-21 | Kraftfahrzeugtürverschluss |
PCT/DE2013/000800 WO2014094713A2 (de) | 2012-12-21 | 2013-12-18 | Kraftfahrzeugtürverschlus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6774A true KR20150096774A (ko) | 2015-08-25 |
Family
ID=50289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9475A Withdrawn KR20150096774A (ko) | 2012-12-21 | 2013-12-18 | 차량 도어의 잠금 장치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354250A1 (ko) |
EP (1) | EP2935736B1 (ko) |
JP (1) | JP2016505739A (ko) |
KR (1) | KR20150096774A (ko) |
CN (1) | CN105008000A (ko) |
BR (1) | BR112015015079A2 (ko) |
CA (1) | CA2902376A1 (ko) |
DE (1) | DE102012025448A1 (ko) |
MX (1) | MX2015008154A (ko) |
WO (1) | WO2014094713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4003106A1 (de) * | 2014-03-11 | 2015-09-17 | Kiekert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türverschluss |
DE102014006009A1 (de) * | 2014-04-28 | 2015-11-12 | Kiekert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türverschluss |
DE102016107510A1 (de) * | 2016-04-22 | 2017-10-26 | Kiekert Ag | Kraftfahrzeugtürschloss |
CN108193956B (zh) * | 2016-12-08 | 2019-09-10 | 开开特股份公司 | 机动车门锁 |
US11885171B2 (en) | 2018-12-04 | 2024-01-30 |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 Vehicle interior component |
US11318892B2 (en) | 2019-04-19 | 2022-05-03 |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 Vehicle interior component |
EP4127368B1 (en) | 2020-03-23 | 2025-07-02 |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 Vehicle interior component |
GB2604643B (en) * | 2021-03-12 | 2024-03-06 | Jaguar Land Rover Ltd | Speed-based blocking mechanism for a vehicle door latch release mechanism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624640C1 (de) * | 1996-06-20 | 1998-01-08 | Kiekert Ag | Kraftfahrzeugtürverschluß mit Drehfalle, Sperrklinke und Blockiervorrichtung |
DE19738492A1 (de) * | 1996-09-07 | 1998-03-12 | Volkswagen Ag | Kraftfahrzeugtürverschluß |
DE19803871C2 (de) * | 1998-01-31 | 2000-12-07 | Daimler Chrysler Ag | Schloß für ein bewegliches Karosserieteil eines Kraftfahrzeugs |
DE19929022C2 (de) * | 1999-06-25 | 2001-06-07 | Huf Huelsbeck & Fuerst Gmbh | Türaußen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
EP1241305B1 (de) * | 2001-03-17 | 2004-11-10 | Kiekert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türverschluss |
DE10114966A1 (de) * | 2001-03-27 | 2002-10-02 | Bayerische Motoren Werke Ag | Sperreinrichtung an einem Fahrzeug-Türschloss |
GB0214817D0 (en) | 2002-06-27 | 2002-08-07 |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 Door latch mechanism |
DE10345104A1 (de) * | 2003-09-26 | 2005-04-21 | Kiekert Ag | Kraftfahrzeugtürverschluss |
JP4717662B2 (ja) * | 2006-02-28 | 2011-07-06 | 株式会社アルファ |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
DE202010010577U1 (de) * | 2010-07-23 | 2011-11-04 | Kiekert Ag | Kraftfahrzeugtürverschluss |
DE102011010816A1 (de) | 2011-02-09 | 2012-08-09 | Kiekert Ag | Kraftfahrzeugtürverschluss |
-
2012
- 2012-12-21 DE DE102012025448.2A patent/DE102012025448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3
- 2013-12-18 JP JP2015548196A patent/JP2016505739A/ja active Pending
- 2013-12-18 EP EP13838072.0A patent/EP2935736B1/de active Active
- 2013-12-18 WO PCT/DE2013/000800 patent/WO2014094713A2/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2-18 US US14/654,623 patent/US2015035425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12-18 CN CN201380073331.1A patent/CN105008000A/zh active Pending
- 2013-12-18 KR KR1020157019475A patent/KR20150096774A/ko not_active Withdrawn
- 2013-12-18 MX MX2015008154A patent/MX2015008154A/es unknown
- 2013-12-18 CA CA2902376A patent/CA290237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12-18 BR BR112015015079A patent/BR112015015079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935736B1 (de) | 2018-09-12 |
WO2014094713A2 (de) | 2014-06-26 |
CN105008000A (zh) | 2015-10-28 |
CA2902376A1 (en) | 2014-06-26 |
JP2016505739A (ja) | 2016-02-25 |
BR112015015079A2 (pt) | 2017-09-26 |
DE102012025448A1 (de) | 2014-06-26 |
WO2014094713A3 (de) | 2015-03-19 |
EP2935736A2 (de) | 2015-10-28 |
US20150354250A1 (en) | 2015-12-10 |
MX2015008154A (es) | 2016-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96774A (ko) | 차량 도어의 잠금 장치 | |
EP2113048B1 (en) | Latch assembly | |
US8833812B2 (en) | Door lock release mechanism for automobile door | |
US9534424B2 (en) | Actu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door lock | |
US9151092B2 (en) | Lock unit having a multi-pawl locking mechanism | |
US10337214B2 (en) | Activ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lock | |
US9057211B2 (en) | Lock unit having a multi-part pawl and a spring-loaded blocking pawl | |
US10829963B2 (en) | Actua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lock | |
KR102155213B1 (ko) | 자동차용 래치 | |
JP2013508590A (ja) | 車両用ドアアセンブリ、ドア取っ手アセンブリ、および、横転時のドア開放防止装置 | |
KR20150126361A (ko) | 자동차용 래치 | |
CN106437355B (zh) | 车辆用门把手装置 | |
US10745944B2 (en) | Motor vehicle door lock | |
JP5948786B2 (ja)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
JP4336604B2 (ja) | フューエルリッド装置 | |
KR20140048846A (ko) | 플랩 또는 도어를 위한 록킹 장치 | |
US11933079B2 (en) | Door lock, in particular motor vehicle door lock | |
JP6764826B2 (ja) | 車両ドアラッチ装置 | |
JP2013113043A (ja)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
US11306516B2 (en) | Motor vehicle latch | |
JP2004346542A (ja) | フューエルリッド装置 | |
JP7702369B2 (ja)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
JPH1140016A (ja) | 開閉装置操作機構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 |
KR20170042907A (ko) | 케이블엔드부시의 이탈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7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