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552A - 전자 계전기 - Google Patents
전자 계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95552A KR20150095552A KR1020140193275A KR20140193275A KR20150095552A KR 20150095552 A KR20150095552 A KR 20150095552A KR 1020140193275 A KR1020140193275 A KR 1020140193275A KR 20140193275 A KR20140193275 A KR 20140193275A KR 20150095552 A KR20150095552 A KR 201500955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able
- normally
- contact
- leaf spring
- fixed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01H50/58—Driv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therewith; Mounting of driving arrangements on arm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전자 계전기를 개시한다. 전자 계전기는 전자석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leaf spring)에 배치되는 복수의 이동가능 접점들(contacts) 및 그 사이에 끼워지는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을 가지며 서로에 대해 반대로 배치되는 상시-개방 고정 접점(normally-opened fixed contact) 및 상시 폐쇄 고정 접점(normally-closed fixed contact)을 포함하며, 상시-개방 고정 접점의 전체 원주 및 상기 상시-폐쇄 고정 접점의 전체 원주는 이동 가능한 접점의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의 이동 방향에 대략 수직인 평면상의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을 넘어 연장하며, 상기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의 팁으로부터 연장하는 슬릿(slit)에 의해 분할되는 복수의 분할된 조각들은 상기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 각각은 상기 분할된 조각 들 중 각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의 수 및 상기 상시-폐쇄 고점 접점들의 수는 둘 다 하나(one)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2011-81961호 (이하, 특허문헌 1)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이 개시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자 계전기는 덮개(cover), 상기 덮개의 바닥면(하단)을 닫는 기저부(base block), 상기 기저부에 통합되는 전자석, 상기 전자석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 가능한 리프 스프링(leaf spring), 상기 리프 스프링 끝부분에 배치되어 이동 가능한 접점(contacts) 및 상기 이동 가능한 접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하여 배치되는 상시-개방 고정 접점 및 상시-폐쇄 고정 접점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계전기에서 슬릿(slit)은 상기 이동 가능 리프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 가능 리프 스프링은 상기 슬릿에 의해 한 쌍으로 나누어 지거나, 좌측과 우측 조각(pieces)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이동 가능한 접점은 상기 좌측과 우측 조각으로 나누어진 부분에 각각 제공된다.
상기 이동 가능 접점을 좌측과 우측 조각으로 나누어진 부분에 각각 제공하기 위해, 상시 개방 고정 접점 및 상시 폐쇄 고정 접점 또한 두 섹션(section)으로 나누어진다. 두 섹션으로 나누어진 이동 가능한 접점인 상시 개방 고정 접점 및 상시 폐쇄 고정 접점은 좌측과 우측 각각에 제공된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전자 계전기에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종래의 전자 계전기에서는 상시 개방 고정 접점 및 상시 폐쇄 고정 접점들이, 상기 접점 사이에 형성된 갭만큼 떨어져 나란히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석이 제조되거나 사용될 때, 왼쪽 또는 오른쪽 상시-폐쇄 고정 접점 또는 왼쪽 및 오른쪽 상시-개방 고정 접점의 쌍(pair) 사이의 갭(gap)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물질이 좌측 또는 우측 갭 사이에 유입되면, 접속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이물질 유입 시, 상시 개방 고정 접점 또는 상시 폐쇄 고정 접점의 좌측 또는 우측의 높이가 달라져, 접속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소형 전자 계전기의 접점은 매우 작기 때문에, 소량의 이물질 이라도 유입될 경우, 유입된 이물질이 접점들 사이의 접촉 안정성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접점 사이의 접촉 안정성이 향상된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전자 계전기는 전자석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leaf spring)에 배치되는 복수의 이동가능 접점들(contacts) 및 그 사이에 끼워지는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을 가지며 서로에 대해 반대로 배치되는 상시-개방 고정 접점(normally-opened fixed contact) 및 상시 폐쇄 고정 접점(normally-closed fixed contact)을 포함하며, 상시-개방 고정 접점의 전체 원주 및 상기 상시-폐쇄 고정 접점의 전체 원주는 이동가능 접점들의 이동 방향에 대략 수직인 평면상의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을 넘어 연장하며,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의 팁으로부터 연장하는 슬릿(slit)에 의해 분할되는 복수의 분할된 조각들은 상기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에 배치되며, 이동가능 접점들 각각은 상기 분할된 조각 들 중 각 하나에 배치되며, 이동가능 접점들의 수 및 상기 상시-폐쇄 고점 접점들의 수는 둘 다 하나(one)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크랭크(crank) 모양으로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 근처에서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을 구부리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벤딩부(bending section)는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의 분할된 조각들의 부분에 배치되며, 전기자(armature)는 전자석에 반대로 위치되도록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에 고정되고 이 전기자의 끝은 벤딩부 근처에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슬릿의 끝 근처에 슬릿의 연장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차단부(cut-out section)가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가능 접점들은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에 용접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가능 접점은 상시-개방 고정 접점측에 위치되는 상시-개방측 이동가능 접점 및 상시-폐쇄 고정 접점측에 위치되는 상시-폐쇄측 이동가능 접점을 포함하며, 상시-개방측 이동가능 접점의 위치 및 상시-폐쇄측 이동가능 접점의 위치는 서로로부터 슬릿의 연장 방향으로 옮겨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가능 접점은 긴 쪽이 상기 슬릿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접점 표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기술 구성은 전자 계전기의 생산 또는 사용 중, 전자 계전기에 구비된 상시 개방 고정 접점의 한 면이나, 상시 폐쇄 고정 접점의 한 면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한다.
또한, 이물질이 이동 가능한 접점과 상시 개방 고정 접점 또는 상시 폐쇄 고정 접점 사이에 유입되더라도, 다른 이동 가능한 접점이 상시 개방 고정 접점 또는 상시 폐쇄 고정 접점과 접촉 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 전도도를 유지하고, 접점간의 접속 안정성을 향상 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시 개방 고정 접점과 상시 폐쇄 고정 접점의 수는 모두 한 개 이기 때문에, 상시 개방 고정 접점과 상시-폐쇄 고정 접점 사이의 정렬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 될 수 있고, 수치 오차가 감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시 개방 고정 접점과 상시 폐쇄 고정 접점의 접촉 영역이 크기 때문에, 이동 가능한 접점들의 접속 불량이 줄어든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는 전자석에 반대로 위치되도록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에 고정되고, 이 전기자의 끝은 벤딩부 근처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기자는 상시 개방 고정 접점과 상시 폐쇄 고정 접점과 가까운 곳에(근처에) 구비되어, 전기자와 상시 개방 고정 접점 및 상시 폐쇄 고정 접점 간의 간격이 좁혀져, 이물질이 상기 간격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릿의 끝 근처에 슬릿의 연장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차단부가 이동 가능 리프 스프링에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차단부는 나누어진 각 조각의 용수철 상수를 쉽게 감소시켜, 상기 나누어진 각 조각을 보다 쉽게 구부릴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접점들 사이의 연결 안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가능 접점들은 상기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에 용접됨으로써, 이동가능 접점들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능 접점들의 두께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이동가능 접점들이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에 코킹(calking)될 때의 두께와 비교하여 감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상시 개방 고정 접점과 상시 폐쇄 고정 접점의 간격이 줄어들어, 이물질이 상기 간격에 유입될 가능성 또한 방지된다.
또한, 이동가능 접점은 상시 개방 고정 접점측에 위치되는 상시 개방측 이동가능 접점 및 상시 폐쇄 고정 접점측에 위치되는 상시 폐쇄측 이동 가능 접점을 포함한다.
또한, 이동 가능 접점이 이동 가능 리프 스프링에 용접되면, 이동 가능 접점 후면의 빈 공간을 확보하기 때문에, 용접 강도와 가동성(workability)이 향상된다. 이 때문에, 상시 개방측 이동가능 접점의 위치 및 상시 폐쇄측 이동가능 접점의 위치는 서로로부터 슬릿의 연장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이동 가능한 접점들은, 상시 개방 고정 접점 또는 상시 폐쇄 고정 접점과 접촉할 때, 슬릿의 연장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이로 인해, 전기 전도도 발생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Ⅱ-Ⅱ 라인에 따른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Ⅲ 라인에 따른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이동 가능한 리프 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Ⅱ-Ⅱ 라인에 따른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Ⅲ 라인에 따른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이동 가능한 리프 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는 접점 사이의 접촉 안정성이 향상된 전자 계전기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계전기는 자동차에 설치되고 컴팩트한 크기로 형성된다. 전자 계전기의 좌측과 우측 부분인 A와 B는 전자 계전기(1)의 하우징(2) 내부에 나란히 배치된다.
또한, 전자 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의 A와 B 부분은 하우징(2)의 개방 측에 배치된 베이스(10)에 고정된다. 전자 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의 A와 B 부분은 서로 독립적으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전자 계전기의 A와 B 부분은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전자 계전기의 A 부분 구성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자 계전기의 A 부분 단면에 L 자 형상을 가지는 요크 (11)는 베이스 (10)에 고정되고, 코일 보빈(12)은 요크 (11)에 고정된다. 코일(13)은 코일 보빈 (12)에 감긴다.
또한, 원통형의 철심(14)는 코일 보빈(12)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 구멍 (12A)에 삽입된다.
또한, 요크 (11), 코일 보빈 (12) 및 철심 (14)은 전체적으로 철심 (14)의 선단에 위치하는 코킹부 (14B)에 의해 고정되어, 전자석 (15)을 형성하고, 코일 (13)을 통해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자력이 발생된다.
이동 가능 리프 스프링(20)은 철심(14)의 원형의 헤드(14a)에 대향(opposed) 하도록 배치된다. 이동 가능한 리프 스프링(20)은 본체(20a)에 구성되고, 조각(20b) 로 분할된다.
본체(20a)는 헤드(14a)에 대향되고, 분할된 부분인 조각(20b)은 본체 (20a)로부터 연장되고, 슬릿 (21)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이동 가능한 접점 (25)은 각 조각 (20b)의 선단 측에 설치되어있다.
또한, 리프(22)는 일체로 본체(20a) 또는 이동 가능 리프 스프링 (20)의 벤딩(bending)에 의해 형성된다.
리드부(22)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 판 스프링(20)에 대한 이동 가능 리프 스프링(20)으로부터 연장되고, 요크(11)의 수직 부분(11a)에 설치된 코킹부 (11b)에 의해 요크(11)에 리드부 (22)가 고정된다.
자성물질로 이루어지는 전기자(23)와 같은 판은 코킹부(23a)에 의해 이동 가능 리프 스프링(20)의 본체(20a)에 고정된다. 이 코킹부(23)는 철심(14)의 헤드(14a)에 대향(opposed) 하도록(반대로) 배치된다.
철심(14)의 헤드(14a)는 자기적으로 전자석(15)의 자력에 의해, 전기자(23)에 결합(coupled)된다. 또한, 전자석(15)의 자력이 방전된(un-energized) 경우, 전기자(23)는 철심(14)의 헤드(14a)로부터 멀어진다. 그리고, 전기자(23)는 이동 가능한 리프 스프링(20)의 용수철 힘에 의해 분할된 20b를 일으킨다.
전자석(15)이 고정되는 베이스(10)는 하우징(2)의 개방측에 구비된 베이스 본체(10a)에 구성되고, 수직 부분(10b)은 베이스 본체 (10a) 끝부분에 구성된다.
철심(14)의 중심축(L)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방부(10c)는 베이스 본체 (10a)의 일단에 구성되는 수직 섹션(10b)에 형성된다.
또한, 상시 개방 고정형 접점(소위, brake contact)(30)이 제공되는 제 1 단자 (31)와 상시 폐쇄 고정 접점 (소위 brake contact)(40)이 제공되는 제 2단자(41)는 수직 섹션(10b)에 고정된다.
제 1 단자 (31)는 받침부(31a)에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31a)는 코킹부(30b)에 의해 고정된 상시 개방 고정형 접점(30)이다. 그리고, 리드부(31b)는 받침부(31a)에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단자(41)는 받침부(41a)에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 (41a)는 코킹부(40b)에 의해 고정된 상시 폐쇄 고정형 접점(30)이다. 그리고, 리드부(41b)는 받침부(41a)에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각 리드 섹션(31b, 41b)는 베이스(10)의 수직 섹션(10b)에 삽입되고 고정된다. 상시 개방 고정 접점(30)과 상시-폐쇄 고정 접점(40) 각각은 디스크 모양의 이동 가능한 접점(25)를 사이에 두고, 서로 수직으로 대향 하도록(opposed)(반대 방향이 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수직으로 대향 하는 것은 이동 가능한 접점(25)의 이동방향인 P방향으로 대향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철심(14)의 중심 축선 (L)의 연장 방향으로 상시 개방 고정 접점(30)과 상시 폐쇄 고정 접점(40)이 대향 한다.
또한, 이동 가능 접점(25) 각각은 상시-개방 고정 접점(30) 측과 상시-폐쇄 고정 접점 (40) 측에 위치하는 상시-폐쇄 측 가동 접점(25b)에 있는 상시 개방 측 가동 접점 (25a)을 포함한다.
또한, 상시 개방 측의 이동 가능한 접점(25a) 및 상시 폐쇄 측의 이동 가능한 접점 (25b)의 위치는 슬릿(21)의 연장 방향으로 서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시 개방 측 가동 접점(25a) 및 상시 폐쇄 측 가동 접점 (25b)는 이동 가능한 리프 스프링 (20)에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가능한 접점 (25)의 두께가 감소 될 수 있다. 그 결과, 상시 개방 고정 접점(30)과 상시 폐쇄 고정 접점(40)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간격으로 외부 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시 개방 측 이동 가능한 접점(25a)과 상시 폐쇄 측 이동 가능한 접점(25b) 후 표면의 빈 공간을 확보하고, 용접 강도와 작업성을 안정화 하기 위해, 상시 개방 측 이동 가능한 접점(25a)과 상시 폐쇄 측 이동 가능한 접점(25b)은 그 위치가 슬릿(21)의 연장 방향으로 서로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시 개방 측 이동가능 접점(25a)들은 나란히 배치되기 위해, 분할된 조각(20b)에 각각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시 개방 측의 이동 가능한 접점(25a)들은 분할된 조각(20b)들에 각각 고정되는 동안, 상시 폐쇄 측의 이동 가능한 접점(25b)는 분할된 조각(20b)의 각각의 앞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시 개방 측 이동가능 접점(25a)들은 분할 된 조각(20b)의 선단 측에 위치되고, 상시 폐쇄 측 이동가능 접점(25b)들은 분할 된 조각(20b)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시 개방 접접(30)의 전체 둘레(30a)와 상시 폐쇄 접점(40)의 전체 둘레 (40a)는 이동 가능 접점(25)을 넘어 확장된다. 이때, 이동 가능 접점(25)는 이동 방향(P)에 대략으로 직교하는 평면에 존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철심(14)의 중심 축선(L)의 연장 방향이다.
다시 말해, 전자 계전기를 이동 가능 리프 스프링(20)에서 바라 보았을 때, 상시 개방 측의 이동 가능 접점(25a)과 상시 폐쇄 측의 이동 가능 접점(25b) 모두는 상시 개방 접접(30)의 전체 둘레(30a)와 상시 폐쇄 접점(40)의 전체 둘레 (40a)에 의해 둘러 쌓인 공간에 위치한다. 또한, 이동 가능 접점(25)의 개수는 두 개 이상(예컨대 4개)인 반면, 상시 개방 고정형 접점(30)과 상시 폐쇄 고정형 접점(40)의 수는 모두 하나이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전자 계전기(1)의 상시 개방 고정 접점(30)및 상기 폐쇄 고정 접점(40) 각각은 좌측 및 우측 부분으로 분할되지 않고, 큰 부피를 차지한다. 이 때문에, 전자 계전기(1)가 제조되거나 사용될 때, 외부물질이 상시 개방 고정 접점(30)측 및 상기 폐쇄 고정 접점(40)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심지어 외부 물질이 이동 가능 접점(25)과 상시 개방 고정 접점(30) 사이 또는 상기 폐쇄 고정 접점(40) 사이에 끼더라도, 다른 이동 가능 접점(25) 이 상시 개방 고정 접점(30) 또는 상기 폐쇄 고정 접점(40)과 접촉 할 수 있다. 이로써, 전기 전도성이 유지되고 접점들의 연결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시 개방 고정 접점(30)과 상기 폐쇄 고정 접점(40)은 모두 한 개다.
따라서, 상시 개방형 고정 접점(30)과 상기 폐쇄형 고정 접점(40)의 정렬과정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치 오차의 영향을 감소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시 개방 고정 접점(30)과 상기 폐쇄 고정 접점(40)의 접촉 면적은 크다. 따라서, 이동 가능 접점(25)와 접촉 불량 가능성을 줄이는 또 다른 이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부(20c)는 이동 가능 리프 스프링(20) 의 벤딩에 의해 형성된다. 크랭크 모양의 가동 접점 근처의 이동 가능 리프 스프링(20)은 이동 가능한 리프 스프링(20)의 각 조각(분할 부재)(20b)에 배치된다. 이 벤딩부(20c)는 벤딩 과정에 의해 형성되고, 전기자의 일단(23b)은 상기 벤딩부(20c) 근방에 위치 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전기자(23)는 상시 개방 고정 접점(30)과 상기 폐쇄 고정 접점(40)근처에 위치 될 수 있다. 특히, 전기자(23)는 받침부(41a) 근처에 위치 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자(23)과 받침부(41a) 사이 간격(S )는 좁아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외부물질이 간격(S)를 통해 유입되는 상황을 방지 할 수 있다.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릿(21)의 일단 부근에 슬릿(21)의 연장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부(20d)는 이동 가능 리프 스프링(20)의 본체(20a)에 형성된다. 이러한 차단부(20d)는 슬릿(21)의 일단과 전기자(23)의 코킹부(23a) 사이에 U 모양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차단부(20d)로 인해, 분할된 각 조각(분할 부재)(20b)의 스프링 상수가 용이하게 감소 된다. 이로써, 각 분할된 각 조각(분할 부재)(20b)를 보다 쉽게 구부릴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점들간의 접촉 반응(연결 반응)이 향상 될 수 있다.
이동 가능 접점(25)은 상시 개방 고정 접점(30) 및 상시 폐쇄 고정 접점(40) 접촉할 때, 슬릿(21)의 연장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이동 가능 접점(25)와 상시 개방 고정 접점(30) 또는 상시 폐쇄 고정 접점(40)은 슬라이드 하기 때문에, 상기 접점을 통해, 실제적인 전기 전도가 발생하는 접점들이 이동한다. 절연 외부 물질, 절연 필름 등과 같은 물질에 의해 전기적인 전도성을 확보 할 수 없더라도, 접점이 슬라이드에 의해 이동되기 때문에, 다른 접점으로 전기적 전도성을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동작은 외부 물질을 제거 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또한, 고정 접점들은 큰 표면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큰 표면은 접촉을 보장한다. 이러한 큰 접촉 표면으로 인한 전기 전도성 제공의 이점이 있다. 특히, 이동 가능 접점(25)의 접촉면 F의 긴 변이 슬릿 (21)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때, 전기 전도성 제공의 효과는 더욱 커진다.
지금까지 전자 계전기의 A 부분에 대해 설명하였다. 전자 계전기의 B 부분은 A 부분과 유사하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자 계전기(1) 의 좌측(A)와 우측(B) 는 하우징(2)에 나란히 구성되고, 상기 전자 계전기(1)의 좌측(A)과 우측(B)은 서로 독립적으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자 계전기는, 전자석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 가능한 리프 스프링(leaf spring)에 배치되는 복수의 이동 가능한 접점들 및 그 사이에 끼워지는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을 가지며 서로에 대해 반대로 배치되는 상시 개방 고정 접점 및 상시-폐쇄 고정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상시 개방 고정 접점의 전체 원주 및 상기 상시-폐쇄 고정 접점의 전체 원주는 상기 이동 가능 접점들의 이동 방향에 대략 수직한 평면상의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을 넘어 연장하며, 상기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의 팁으로부터 연장하는 슬릿에 의해 분할되는 복수의 분할된 조각들은 상기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 각각은 상기 분할된 조각들 중 각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의 숫자가 상기 평면에 대해 둘 이상인 동안 상기 상시 개방 고정 접점들의 수 및 상기 상시 폐쇄 고정 접점들의 수는 둘 다 하나(one)이다.
이러한 전자 계전기에서, 상기 각각의 이동 가능한 접점들은 상기 이동 가능한 리프 스프링의 분할된 조각(piece) 각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시-개방 고정 접점의 전체 원주와 상기 상시-폐쇄 고정 접점의 전체 원주는 이동 가능한 접점의 상기 이동 방향에 대략 수직인 평면상의 상기 이동 가능 접점들을 넘어 연장한다.
또한,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의 숫자가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의 이동 방향에 대략 수직인 평면에 대해 둘 이상인 동안, 상기 상시-개방 고정 접점의 수와 상기 상시-폐쇄 고정 접점의 수는 모두 하나이다. 전술한 기술 구성은 전자 계전기의 생산 또는 사용 중, 상기 전자 계전기에 구비된 상시-개방 고정 접점의 한 면이나, 상시-폐쇄 고정 접점의 한 면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한다.
또한, 이물질이 이동 가능한 접점과 상시-개방 고정 접점 또는 상시-폐쇄 고정 접점 사이에 유입되더라도, 다른 이동 가능한 접점이 상시-개방 고정 접점 또는 상시-폐쇄 고정 접점과 접촉 가능하다. 이로 인해, 전지 전도도가 유지되고, 접전간의 접속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시 개방 고정 접점과 상시 폐쇄 고정 접점의 수는 모두 하나이다. 이로 인해, 상시 개방 고정 접점과 상시 폐쇄 고정 접점 사이의 정렬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 될 수 있고, 수치 오차가 감소 될 수 있다.
또한, 상시 개방 고정 접점과 상시-폐쇄 고정 접점의 접촉 영역이 크다. 이로 인해, 이동 가능한 접점들의 접속 불량이 줄어드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크랭크(crank) 모양으로 이동가능 접점들 근처에서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을 구부리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벤딩부는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의 분할된 조각들의 부분에 배치된다. 전기자는 전자석에 반대로 위치되도록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에 고정되고, 이 전기자의 끝은 벤딩부 근처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전기자는 상시 개방 고정 접점과 상시-폐쇄 고정 접점 근처에 구비된다. 이로써, 전기자와 상시 개방 고정 접점 및 상시-폐쇄 고정 접점 간의 간격이 좁혀져, 이물질이 상기 간격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릿의 끝 근처에 슬릿의 연장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차단부가 이동 가능 리프 스프링에 형성된다. 전술한 차단부는 나누어진 각 조각의 용수철 상수를 쉽게 감소시켜, 상기 나누어진 각 조각을 보다 쉽게 구부릴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접점들 사이의 연결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가능 접점들은 상기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에 용접된다. 실시예에 따라 이동가능 접점들을 상기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에 용접함으로써, 이동가능 접점들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능 접점들의 두께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이동가능 접점들이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에 코킹(calking)될 때의 이동가능 접점의 두께와 비교하여 감소된다. 그 결과, 상시-개방 고정 접점과 상시-폐쇄 고정 접점의 간격이 줄어들어, 이물질이 상기 간격에 유입될 가능성 또한 방지된다.
또한, 이동가능 접점은 상시-개방 고정 접점측에 위치되는 상시-개방측 이동가능 접점 및 상시-폐쇄 고정 접점측에 위치되는 상시-폐쇄측 이동 가능 접점을 포함한다. 상시-개방측 이동가능 접점의 위치 및 상시 폐쇄측 이동가능 접점의 위치는 서로로부터 상기 슬릿의 연장 방향으로 옮겨진다.
이동 가능한 접점이 이동 가능한 리프 스프링에 용접되면, 이동 가능한 접점 후면의 빈 공간을 확보하기 때문에, 용접 강도와 가동성(workability)이 향상된다. 이 때문에, 상시-개방측 이동가능 접점의 위치 및 상시 폐쇄측 이동가능 접점의 위치는 서로로부터 슬릿의 연장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이동된다.
이때, 이동 가능한 접점들은, 상시-개방 고정 접점 또는 상시 폐쇄 고정 접점과 접촉할 때, 슬릿의 연장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상기 이동 가능한 접점과 상시 개방 고정 접점 또는 상기 폐쇄 고정 접점은 슬라이드 하기 때문에, 상기 접점을 통해 전기 전도도가 발생한다.
실시예에 따라, 외무 물질 예컨대, 절연 필름 또는 절연 필름과 같은 물질 절연 물질로 인해 전기적 전도성을 보장 할 수 없더라도, 접촉 접점이 슬라이드 하여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접점이 전기 전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딩에 의해 외부 물질을 제거 할 수도 있다. 고정된 접점의 넓은 표면을 가지고, 상기 넓은 표면은 접촉을 보장하고, 이로 인해 전기 전도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접촉 표면의 긴 측면(long side)이 슬릿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 한 방향으로 연장 할 때, 전기 전도성 효과는 더욱 증대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접점간 연결 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발명은 전자 계전기 섹션의 수가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시 개방 고정 접점(30) 또는 상기 폐쇄 고정 접점(40)의 모양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시 개방 고정 접점(30) 또는 상기 폐쇄 고정 접점(40)의 모양은 직사각형 형태가 될 수 있다.
상시 개방 측 이동가능 접점(25a)과 상시 폐쇄 측 이동 가능 접점(25b)의 위치는 슬릿(21)의 연장 방향으로 서로 이동되지 않고, 가동 접점 (25)의 이동 방향 P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엄밀히, 이 방향은 철심(14)의 중심 축선(L)의 연장 방향이다. 이러한 경우, 상시 개방형 고정 접점(30)과 상시 폐쇄 고정 접점(40)의 외형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 전자석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leaf spring)에 배치되는 복수의 이동가능 접점들(contacts); 및
그 사이에 끼워지는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을 가지며 서로에 대해 반대로 배치되는 상시-개방 고정 접점(normally-opened fixed contact) 및 상시 폐쇄 고정 접점(normally-closed fixed contact); 을 포함하며,
상기 상시-개방 고정 접점의 전체 원주 및 상기 상시-폐쇄 고정 접점의 전체 원주는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의 이동 방향에 대략 수직인 평면상의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을 넘어 연장하며,
상기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의 팁으로부터 연장하는 슬릿(slit)에 의해 분할되는 복수의 분할된 조각들은 상기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 각각은 상기 분할된 조각 들 중 각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의 수 및 상기 상시-폐쇄 고점 접점들의 수는 둘 다 하나(one)인, 전자 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
- 제 1항에 있어서,
크랭크(crank) 모양으로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 근처에서 상기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을 구부리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벤딩부(bending section)는 상기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의 분할된 조각들의 부분에 배치되며,
전기자(armature)는 상기 전자석에 반대로 위치되도록 상기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에 고정되고 이 전기자의 끝은 상기 벤딩부 근처에 배치되는, 전자 계전기.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끝 근처에 상기 슬릿의 연장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차단부(cut-out section)가 상기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에 형성되는, 전자 계전기.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 접점들은 상기 이동가능 리프 스프링에 용접되는 전자 계전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 접점은 상기 상시-개방 고정 접점측에 위치되는 상시-개방측 이동가능 접점 및 상기 상시-폐쇄 고정 접점측에 위치되는 상시-폐쇄측 이동가능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상시-개방측 이동가능 접점의 위치 및 상기 상시-폐쇄측 이동가능 접점의 위치는 서로로부터 상기 슬릿의 연장 방향으로 옮겨지는, 전자 계전기.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 접점은 긴 쪽이 상기 슬릿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접점 표면을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025285 | 2014-02-13 | ||
JP2014025285A JP2015153564A (ja) | 2014-02-13 | 2014-02-13 | 電磁継電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5552A true KR20150095552A (ko) | 2015-08-21 |
Family
ID=5259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3275A KR20150095552A (ko) | 2014-02-13 | 2014-12-30 | 전자 계전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228431A1 (ko) |
EP (1) | EP2908327B1 (ko) |
JP (1) | JP2015153564A (ko) |
KR (1) | KR20150095552A (ko) |
CN (1) | CN104851751A (ko) |
CA (1) | CA2880067A1 (ko) |
TW (1) | TWI63258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3114830A1 (de) * | 2013-12-23 | 2015-06-25 | Eto Magnetic Gmbh | Elektromagnetische Stellvorrichtung |
JP6485465B2 (ja) * | 2017-01-18 | 2019-03-20 | アンデン株式会社 | 接点装置及び電磁継電器 |
CH713442B1 (de) * | 2017-02-08 | 2021-03-31 | Elesta Gmbh Ostfildern De Zweigniederlassung Bad Ragaz | Relais. |
JP7014617B2 (ja) * | 2018-01-17 | 2022-02-01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EP4158760A1 (en) | 2020-06-02 | 2023-04-05 | Linak A/S | Locking against rotation of electric motor of a linear actuator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709140A (en) * | 1951-11-22 | 1954-05-19 | Automatic Telephone & Elect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contact springsets |
JPS56143631A (en) * | 1980-04-10 | 1981-11-09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Electric switching block |
JPS5888754U (ja) * | 1981-12-11 | 1983-06-16 | 和泉電気株式会社 | 小形リレーの接点ばね |
JPS58112222A (ja) * | 1981-12-26 | 1983-07-04 | 富士通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DE3224468A1 (de) * | 1982-06-30 | 1984-01-05 |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 Relais mit brueckenkontaktfeder |
DE3406832C2 (de) * | 1983-02-28 | 1985-11-21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Kadoma, Osaka | Klappankerrelais |
JPS6129445U (ja) * | 1984-07-27 | 1986-02-21 | 日本電気株式会社 | 電磁継電器のバネ負荷装置 |
US4600909A (en) * | 1985-05-20 | 1986-07-15 | Amf Incorporated | Bifurcated contact arm in a miniature relay |
JP2605786B2 (ja) * | 1988-03-09 | 1997-04-30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US5160909A (en) * | 1991-07-05 | 1992-11-03 | Appliance Control Technology | State indicating relay |
JPH09231896A (ja) * | 1996-02-20 | 1997-09-05 | Nec Corp | シーソー式電磁継電器 |
JP3832004B2 (ja) * | 1997-01-31 | 2006-10-11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H10334783A (ja) * | 1997-05-30 | 1998-12-18 | Takamisawa Denki Seisakusho:Kk | 電磁継電器および該電磁継電器の接点ばね組 |
DE19858755C1 (de) * | 1998-12-18 | 2000-06-08 | Euro Matsushita Electric Works | Kontakteinheit für elektromagnetische Relais |
JP4357147B2 (ja) * | 1999-12-24 | 2009-11-04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有極リレー |
JP4352633B2 (ja) * | 2001-05-15 | 2009-10-28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電磁リレー |
JP3934376B2 (ja) * | 2001-10-01 | 2007-06-20 |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ーシー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2004127581A (ja) * | 2002-09-30 | 2004-04-22 | Fujitsu Component Ltd | 電磁継電器 |
KR100749784B1 (ko) * | 2006-04-28 | 2007-08-17 |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 정음형 미니 릴레이 |
JP5506319B2 (ja) | 2009-10-05 | 2014-05-28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
2014
- 2014-02-13 JP JP2014025285A patent/JP2015153564A/ja active Pending
- 2014-12-30 KR KR1020140193275A patent/KR2015009555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4-12-31 TW TW103146578A patent/TWI632583B/zh active
-
2015
- 2015-01-28 CA CA2880067A patent/CA288006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5-02-05 US US14/614,820 patent/US2015022843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5-02-10 CN CN201510069589.5A patent/CN104851751A/zh active Pending
- 2015-02-11 EP EP15154656.1A patent/EP2908327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908327A1 (en) | 2015-08-19 |
TW201539511A (zh) | 2015-10-16 |
CA2880067A1 (en) | 2015-08-13 |
JP2015153564A (ja) | 2015-08-24 |
TWI632583B (zh) | 2018-08-11 |
US20150228431A1 (en) | 2015-08-13 |
EP2908327B1 (en) | 2017-10-25 |
CN104851751A (zh) | 2015-08-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64437B1 (en) | Electromagnetic relay | |
CN109314017B (zh) | 电磁继电器 | |
US8698582B2 (en) | Relay | |
EP2472538B1 (en) | Electromagnetic relay | |
US20190013171A1 (en) | Contact mechanism and electromagnetic relay | |
KR20150095552A (ko) | 전자 계전기 | |
US20230197387A1 (en) | Electromagnetic relay and electromagnetic device | |
JP2022012847A (ja) | 電磁継電器 | |
EP2775493B1 (en) | Electromagnetic re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11373830B2 (en) | Electromagnetic relay to ensure stable energization even when contact is dissolved | |
CN110504139B (zh) | 例如继电器的磁开关装置的轭组件、磁组件和磁开关装置 | |
US10943751B2 (en) | Electromagnetic relay | |
JP5822804B2 (ja) | 電磁リレー | |
JP7065388B2 (ja) | 電磁石装置、及び電磁リレー | |
JP6994672B2 (ja) | 電磁リレー | |
CN117882164A (zh) | 电磁继电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