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50080238A - 디바이스의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바이스의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238A
KR20150080238A KR1020130168479A KR20130168479A KR20150080238A KR 20150080238 A KR20150080238 A KR 20150080238A KR 1020130168479 A KR1020130168479 A KR 1020130168479A KR 20130168479 A KR20130168479 A KR 20130168479A KR 20150080238 A KR20150080238 A KR 20150080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information
moving picture
sound wave
meta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168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0238A/ko
Publication of KR2015008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동영상 정보 제공 방법은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수신하되, 아이디는 음파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음악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음악의 정보에 기초하여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을 결정하는 단계, 제 2 디바이스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동영상의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바이스의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디바이스{METHOD AND SERVER FOR PROVIDIGN VEDIO INFORMATION RELATED TO MUSIC OF FIRST DEVICE TO SECOND DEVICE, AND DEVICE}
디바이스의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WiFi와 LTE 등 무선 인터넷 인프라가 확장되면서, 음악 서비스의 형태가 모바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소위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전까지 사용자들이 음악을 다운받으면서 음악을 청취했다면 이제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인터넷 사이트를 접속하여 자기가 원하는 노래를 들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IPTV를 이용한 음악 서비스가 상용화되고 있다. IPTV는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서비스로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 또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방송 신호 수신과 더불어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IPTV에서도 오디오 채널 형태로 장르별 음악 감상, 뮤직비디오 감상, 음악 랭킹 정보, 쇼케이스 정보를 제공하고, 시청자에게 음악을 검색하여 원하는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서비스가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IPTV의 양방향성의 특징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의 정보와 검색 도구를 이용한 IPTV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10-0862144호에는 사용자 단말의 음악 정보를 이용한 IPTV 음악 포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IPTV와 스마트폰 혹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개인 인증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음악 콘텐츠와 TV 디바이스의 동영상 콘텐츠를 동시 소비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사이의 음파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디바이스간의 편리한 바인딩 및 콘텐츠 연동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서로 다른 디바이스의 서로 다른 유형의 콘텐츠 간의 메타데이터 매칭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수신하되, 아이디는 음파를 통해 제 2 디바이스에서 제 1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1 디바이스의 음악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음악의 정보에 기초하여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을 결정하는 단계, 제 2 디바이스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동영상의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의 아이디 및 제 1 디바이스의 음악의 정보를 수신하되, 아이디는 음파를 통해 제 2 디바이스에서 제 1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수신부, 음악의 정보에 기초하여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을 결정하는 동영상 결정부, 제 2 디바이스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동영상의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음악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유닛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외부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음파를 수신하고, 음파로부터 아이디를 추출하고, 음악의 정보를 추출하고, 아이디 및 음악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되, 전송의 결과로서, 외부 디바이스로 음악과 관련한 동영상의 정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외부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음파를 수신하는 단계, 음파로부터 아이디를 추출하는 단계, 메모리로부터 음악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아이디 및 음악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전송의 결과로서, 외부 디바이스로 음악과 관련한 동영상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음악 콘텐츠와 TV 디바이스의 동영상 콘텐츠를 동시 소비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사이의 음파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디바이스간의 편리한 바인딩 및 콘텐츠 연동을 가능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디바이스의 서로 다른 유형의 콘텐츠 간의 메타데이터 매칭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 및 4는 음악의 메타 데이터와 동영상의 메타 데이터를 비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디바이스 화면의 일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 1 디바이스의 음악과 관련한 동영상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1)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영상 정보 제공서비스 시스템(1)은 서버(10), 제 1 디바이스(20), 제 2 디바이스(30), 다만, 도 1에 도시된 동영상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이 도 1에 도시된 예로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동영상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1)은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각 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 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 2 디바이스(30)는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를 음파에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제 2 디바이스(30)는 오디오 워터마크를 통해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를 음파에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디바이스(30)는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를 오디오 워터마크로 변환하여 비가청 주파수 영역대에 삽입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30)는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를 삽입한 음파를 다른 음악과 함께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디바이스(30)는 특정채널에서 배경음악을 송출할 때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를 삽입한 배경음악을 송출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30)는 방송 재생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디바이스(30)는 스마트TV, IPTV, PC와 연결된 모니터 및 TV와 연결된 셋탑박스와 같은 방송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셋탑박스와 같은 장치는 TV 장치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로서 TV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20)는 음파로부터 외부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디바이스(30)의 음파에 대한 음성인식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를 추출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 및 제 1 디바이스(20)의 음악의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및 음악의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음악의 정보는 제 1 디바이스(20)에 저장된 음악의 리스트 또는 음악 각각의 음악 제목, 가수명, 제작 년도와 같은 음악의 부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와 제 1 디바이스(20)의 음악의 정보를 수신하고, 제 1 디바이스(20)의 음악과 관련한 제 2 디바이스(30)의 동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음악의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음악 중 어느 하나의 음악을 결정하고, 결정한 음악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제 2 디바이스(30)의 동영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 1 디바이스(20)의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을 결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음악 각각의 부가 정보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음악 제목, 가수명, 제작년도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 1 디바이스(20)의 음악 각각과 복수의 후보 동영상 각각의 비교를 통해 복수의 후보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제 2 디바이스(30)의 동영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서버(10)는 음악의 정보와 동영상 각각의 정보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음악 각각과 복수의 후보 동영상을 비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0)는 제 2 디바이스(30)로부터 후보 동영상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서버(10)는 결정한 동영상의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는 복수의 후보 동영상 중 제 1 디바이스(20)의 음악과 일치율이 가장 높은 동영상의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버(1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는 수신부(101), 동영상 결정부(102), 제공부(103)를 포함한다. 다만, 도 2의 서버(10)의 구성이 도 2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신부(101)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를 수신하되, 아이디는 음파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30)에서 제 1 디바이스(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제 2 디바이스(30)는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음파를 오디오 워크마크를 통해 비가청 주파수 영역대에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디바이스(20)는 음악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 2 디바이스(30)의 특정채널에서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가 삽입된 배경음악을 송출할 때 제 2 디바이스(30)의 배경음악 및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01)는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와 함께 제 1 디바이스(20)의 아이디를 수신할 수도 있다.
수신부(101)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제 1 디바이스(20)의 음악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음악의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 음악의 리스트 및 적어도 하나 이상 음악 각각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의 일 예는 음악 제목, 가수명, 제작 년도 등이다.
도 3 은 음악의 메타 데이터와 동영상의 메타 데이터를 비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음악 메타 데이터(301)에는 음악의 제목, 제작 년도, 가수 이름 혹은 그룹 이름, 음악 장르, 앨범정보, 트랙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음악 태그(302)에는 가수 이름 혹은 그룹 이름, 음악의 제목이 포함될 수 있다.
동영상 결정부(102)는 음악의 메타 데이터로부터 선별, 가공 또는 정제된 음악 파일 정제 DATA(303)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파일 정제 DATA(303)에는 음악의 제목, 가수 이름 혹은 그룹 이름, 제작 년도가 포함될 수 있다. VOD 정제 DATA(304)는 VOD 동영상 각각의 메타데이터로부터 선별, 가공 또는 정제된 데이터일 수 있다. 도 3을 통해 예시하면, VOD 정제 DATA(304)는 VOD 동영상의 제목, 부재 또는 설명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도 3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로 본 발명이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동영상 결정부(102)는 음악의 정보에 기초하여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음악의 메타 데이터와 동영상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음악의 메타 데이터와 동영상의 메타 데이터가 일치하는 정도에 기초하여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음악에 관한 타이틀, 가수명 또는 년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가중치를 적용한 후, 일치하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 는 음악의 메타 데이터와 동영상의 메타 데이터를 비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통해 예시하면, 동영상 결정부(102)는 음악 제목, 가수 이름 혹은 그룹 이름, 제작 년도 정보와 함께 각각의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포함한 음악파일 정제 DATA(401)를 생성하고, 음악파일 정제 DATA(401)와 도 3의 VOD 정제 DATA(304)를 비교하여, 동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동영상 결정부(102)는 음악파일 정제 DATA(401)의 음악 제목과 가수 이름 각각을 VOD 정제 DATA(304)를 비교하여, 음악파일 정제 DATA(401)의 음악 제목과 가수 이름 각각의 일치율을 결정할 수 있다. 도면 부호 402 및 404를 참조하면, 동영상 결정부(102)는 VOD 동영상의 VOD 정제 DATA가 "슈퍼주니어동해은혁MV떳다오빠"인 경우, 음악파일 정제 DATA(401)의 음악 제목에 대응하는 일치율을 1로 결정하고, 음악파일 정제 DATA(401)의 가수 이름에 대응하는 일치율을 1로 결정하고, 가중치를 적용하여 최종 일치율을 0.8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면 부호 403 및 404를 참조하면, 동영상 결정부(102)는 VOD 동영상의 VOD 정제 DATA가 "슈퍼주니어동해은혁MV떳다언니"인 경우, 음악파일 정제 DATA(401)의 음악 제목에 대응하는 일치율을 0.5로 결정하고, 음악파일 정제 DATA(401)의 가수 이름에 대응하는 일치율을 1로 결정하고, 가중치를 적용하여 최종 일치율을 0.55로 결정할 수 있다.
동영상 결정부(102)는 음악파일 정제 DATA(401)와 복수의 후보 VOD 동영상 각각의 VOD 정제 DATA를 비교하여, 후보 VOD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 1 디바이스(20)의 음악과 관련된 제 2 디바이스(30)의 동영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통해 예시하면, 동영상 결정부(102)는 제 1 디바이스(20)의 음악인 "슈퍼주니어"의 "떳다오빠"에 대응하는 제 2 디바이스(30)의 동영상으로서, "슈퍼주니어동해은혁MV떳다오빠"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로 본 발명이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제공부(103)는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동영상의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공부(103)는 제 1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한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를 기초하여 결정한 동영상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 2 디바이스(30)로 제 1 디바이스(20)의 아이디를 전송할 수 있다.
동영상 정보 제공하는 예로 도 5를 참고하면, 도 5는 디바이스 화면의 일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스플레이 재생목록(502)에 있는 개인 재생 목록들이 수신부(101)로 전송되고 음악의 정보들을 통해 동영상 결정부(103)에서 통해 동영상을 결정하고 일치율이 가장 높은 동영상의 정보들을 제 2 디바이스(30)에 전송하여 IPTV 디스플레이 재생목록(50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제 1 디바이스의 음악과 관련한 동영상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1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음악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할 수 있다. 단계 S602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이 때, 재생되는 음악 혹은 음파에는 오디오 워터마크를 통해 비가청 주파수 영역대에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가 삽입될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음악을 통해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디바이스(20)는 음파에 대한 음성인식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604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제 1 디바이스(20) 아이디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를 포함하여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서버(10)는 제 1 디바이스(20) 아이디를 제 2 디바이스(3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06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TV로 시청하기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디바이스(10)는 음악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TV로 시청하기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 S607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사용자의 음악 재생 목록 리스트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디바이스(20)는 음악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음악 재생 목록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음악의 정보에는 음악 재생 목록 리스트에 있는 음악들의 부가 정보들도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608에서 서버(10)는 사용자의 음악 재생 목록 리스트를 제 2 디바이스(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 재생 목록 리스트를 제 2 디바이스(3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09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사용자의 음악 재생 목록 리스트에 관련된 동영상 메타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디바이스(30)는 음악 재생 리스트의 정보와 음악의 정보를 기초하여 유사한 음악의 타이틀 혹은 가수 이름 혹은 그룹 이름 등의 정보와 관련된 동영상의 메타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 서버(10)는 일치율이 가장 높은 동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 음악의 정보와 제 2 디바이스(3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의 메타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율이 가장 높은 동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611에서 서버(10)는 동영상 재생 목록을 제 2 디바이스(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는 추출된 동영상들의 재생 목록에 대한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12에서 제 2 디바이스(30)는 동영상 재생 목록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디바이스(30)는 서버(1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재생 목록을 통해 제 1 디바이스(10)에서 보낸 사용자의 음악 재생 목록 리스트의 음악이 담긴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 재생에 대한 정지, 재생, 배속재생, 이미지 건너뛰기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다. 이후, 제 1 디바이스(20)를 통해 제 2 디바이스(30)를 이용하는 경우 저장된 제 1 디바이스(20)의 아이디를 기초하여 별도의 인증 절차 없이 제 2 디바이스(3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제 2 디바이스(30)에 복수의 제 1 디바이스(20)가 연결될 수 있고, 하나의 제 1 디바이스(20)로 복수의 제 2 디바이스(30)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01 내지 S612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대한 구성도이다.
메모리(201)는 음악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음악 재생 목록 리스트와 음악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음악의 정보는 음악 제목, 가수명, 제작년도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02)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유닛(202)는 음악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의 나오는 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02)은 음파로부터 아이디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싱 유닛(202)은 음파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소정 시간 영역에 따라 나누어 주파수 영역의 정점(Peak-Point)을 검출하고, 검출한 정점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202)은 음파에 대한 음성인식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02)은 아이디 및 음악의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유닛(202)은 추출한 외부 디바이스의 아이디와 메모리(201)에 담긴 사용자의 음악 재생 목록 리스트와 음악에 대한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에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되는 서버(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동작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여도, 도 7을 통해 설명된 제 1 디바이스(20)에 대한 설명은 도 9에도 적용된다.
단계 S801에서 서버(10)는 제 1 디바이스로(20)부터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를 수신하되, 아이디는 음파를 통해 제 2 디바이스(30)에서 제 1 디바이스(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제 2 디바이스(30)는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를 오디오 워크마크로 변환하고 비가청 주파수 영역대에 음파를 삽입할 수 있다.
단계 S802에서 서버(10)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제 1 디바이스(20)의 음악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는 제 1디바이스(20)로부터 사용자의 음악 재생 목록 리스트 및 음악에 대한 제목, 가수명, 크랙정보, 제작년도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803에서 서버(10)는 음악의 정보에 기초하여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서버(10)는 음악의 정보 중 필요한 정보를 검출하고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는 가중치를 적용한 음악의 정보와 제 2 디바이스(30)로부터 받은 동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율이 가장 높은 동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804에서 서버(10)는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동영상의 정보를 제 2 디바이스(3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는 제 1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를 통해 단계 S803에서 결정한 동영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801 내지 S804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에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7을 통해 설명되는 제 1 디바이스(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동작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여도, 도 7을 통해 설명된 제 1 디바이스(20)에 대한 설명은 도 9에도 적용된다.
단계 S901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외부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디바이스(20)는 음악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의 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902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음파로부터 아이디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디바이스(30)에서 음파를 재생하면 음파에 대한 음성인식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30)의 아이디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903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메모리(201)로부터 음악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디바이스(20)는 메모리(201)로부터 사용자의 음악 재생 목록 리스트와 음악의 제목, 가수명, 제작년도 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904에서 제 1 디바이스(20)는 아이디 및 음악의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전송의 결과로서, 외부 디바이스로 음악과 관련한 동영상의 정보가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디바이스(20)는 메모리(201)로부터 추출한 음악의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는 수신한 음악의 정보를 토대로 동영상의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동영상의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901 내지 S904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9를 통해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서버
20: 제 1 디바이스
30: 제 2 디바이스

Claims (18)

  1. 음악과 관련한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수신하되, 상기 아이디는 음파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달된 것인,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음악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악의 정보에 기초하여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의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의 정보는 상기 음악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음악의 메타 데이터와 동영상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을 결정하는 것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음악의 메타 데이터와 동영상의 메타 데이터가 일치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을 결정하는 것인,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음악의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음악에 관한 타이틀, 가수명 또는 년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가중치를 적용한 후, 상기 일치하는 정도를 결정하는 것인,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음악의 메타 데이터와 복수의 동영상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동영상 중 상기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을 결정하는 것인,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음악의 태그를 포함하는 상기 음악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의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 음악의 리스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 음악 각각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아이디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수신하는 것인,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방송 재생 디바이스인 것인,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재생 디바이스에서 특정 채널이 선택될 때, 상기 아이디가 음파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것인,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음파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소정 시간 영역에 따라 나누어 상기 주파수 영역의 정점(Peak-Point)을 검출하고, 검출한 정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추출하는 것인,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음파에 대한 음성인식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추출하는 것인,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오디오 워터마크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상기 음파에 삽입한 것인, 방법.
  14. 음악과 관련한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의 아이디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음악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아이디는 음파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달된 것인, 수신부;
    상기 음악의 정보에 기초하여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을 결정하는 동영상 결정부;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의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방법.
  15. 디바이스에 있어서,
    음악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음파를 수신하고,
    상기 음파로부터 상기 아이디를 추출하고,
    상기 음악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아이디 및 상기 음악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전송의 결과로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음악과 관련한 동영상의 정보가 제공되는 것인,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음파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소정 시간 영역에 따라 나누어 상기 주파수 영역의 정점(Peak-Point)을 검출하고, 검출한 정점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추출하는 것인, 디바이스.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음파에 대한 음성인식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추출하는 것인, 디바이스.
  18. 음악과 관련한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음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파로부터 상기 아이디를 추출하는 단계
    메모리로부터 상기 음악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디 및 상기 음악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송의 결과로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음악과 관련한 동영상의 정보가 제공되는 것인, 방법.
KR1020130168479A 2013-12-31 2013-12-31 디바이스의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디바이스 KR20150080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479A KR20150080238A (ko) 2013-12-31 2013-12-31 디바이스의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479A KR20150080238A (ko) 2013-12-31 2013-12-31 디바이스의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238A true KR20150080238A (ko) 2015-07-09

Family

ID=5379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479A KR20150080238A (ko) 2013-12-31 2013-12-31 디바이스의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02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4947A (zh) * 2015-10-22 2016-01-13 天津工业大学 一种面向独居老人的陪护和紧急救助型机器人
WO2023106432A1 (ko) * 2021-12-06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28017A1 (ko) * 2021-12-30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4947A (zh) * 2015-10-22 2016-01-13 天津工业大学 一种面向独居老人的陪护和紧急救助型机器人
WO2023106432A1 (ko) * 2021-12-06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28017A1 (ko) * 2021-12-30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6260B2 (en) Content 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in IPTV terminal
US103134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digital media content
US20120315014A1 (en) Audio fingerprinting to bookmark a location within a video
US20120089911A1 (en) Bookmarking System
US8643779B2 (en) Live audio track additions to digital streams
KR101472013B1 (ko)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US201600353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ipping video segments
KR102020689B1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시스템
KR20140006808A (ko)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매쉬업 장치 및 방법
US11611797B2 (en) Providing over-the-air content to any device
CN104185040A (zh) 应用同步方法、应用服务器及终端
US201701348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interaction
KR20150080238A (ko) 디바이스의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디바이스
US201301328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interaction
KR102090070B1 (ko) 스트리밍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 및 이를 이용한 av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
KR102099776B1 (ko) 클립 동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미리보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버
KR20150066914A (ko) 디바이스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US20230379521A1 (en) Managing content segments of linear tv content and over-the-top (ott) content
US110442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back media content from multiple sources
KR20180109199A (ko) 통신망을 이용한 방송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6219979A (ja) クライアント端末、インターネット動画再生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4072589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8006846A (ja) 同期提示システム、同期提示方法及び同期提示プログラム
JP2016226053A (ja) クライアント端末及びそれを備えたインターネット動画再生システム
KR101384740B1 (ko) 인식 기술을 이용한 영상물의 자막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