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50079266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9266A
KR20150079266A KR1020130169363A KR20130169363A KR20150079266A KR 20150079266 A KR20150079266 A KR 20150079266A KR 1020130169363 A KR1020130169363 A KR 1020130169363A KR 20130169363 A KR20130169363 A KR 20130169363A KR 20150079266 A KR20150079266 A KR 20150079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voltage
sub
liquid crystal
pixel electr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7379B1 (ko
Inventor
김귀현
신재용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9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379B1/ko
Priority to US14/550,556 priority patent/US9786237B2/en
Publication of KR20150079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37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45Subdivided pixels, e.g. for grey scale or redundanc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13Storage capacitors associated with the pixel electro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43Pixel structures with several sub-pixels for the same colour in a pixel, not specifically used to display gradations
    • G09G2300/0447Pixel structures with several sub-pixels for the same colour in a pixel, not specifically used to display gradations for multi-domain technique to improve the viewing angle in a liquid crystal display, such as multi-vertical alignment [MV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선,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선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유지 전압선,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선,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선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기준 전압선, 하나의 화소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부화소 전극 및 제2 부화소 전극, 상기 제1 게이트선, 상기 데이터선, 그리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게이트선, 상기 데이터선, 그리고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스위칭 소자, 그리고 상기 제2 부화소 전극과 상기 기준 전압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전압선과 상기 기준 전압선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field generating electrode)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방향을 결정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 중에서도,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액정 분자의 장축을 표시판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한 수직 배향 방식(vertically aligned mode)의 액정 표시 장치가 대비비가 크고 기준 시야각이 넓어서 각광받고 있다. 여기에서 기준 시야각이란 대비비가 1:10인 시야각 또는 계조간 휘도 반전 한계 각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측면 시인성을 정면 시인성에 가깝게 하기 위하여, 하나의 화소를 두 개의 부화소로 분할하고, 어느 한 화소의 전압을 낮춰, 두 개의 부화소의 전압을 다르게 함으로써 투과율을 다르게 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특히, 하나의 화소를 두 개의 부화소로 분할하고, 어느 한 화소의 전압을 낮춰 두 개의 부화소 전압을 다르게 하는 방법 중 데이터 전압을 분압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데이터 전압을 분압하는 방법에서, 분압 기준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에 인가되는 전압과 유지 축전기를 이루는 유지 전압의 크기가 같을 경우, 데이터 전압이 정확이 분압되기 어렵고, 이에 따라 정확한 계조 표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크기가 커지면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의 길이도 길어지고, 이에 따라 배선의 저항이 커져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액정 표시 장치 전반에서 일정하지 않아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측면 시인성을 정면 시인성에 가깝게 하면서도, 분압 기준 전압과 유지 전압의 크기를 다르게 유지하고, 휘도 저하등의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선,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선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유지 전압선,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선,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선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기준 전압선, 하나의 화소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부화소 전극 및 제2 부화소 전극, 상기 제1 게이트선, 상기 데이터선, 그리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게이트선, 상기 데이터선, 그리고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스위칭 소자, 그리고 상기 제2 부화소 전극과 상기 기준 전압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전압선과 상기 기준 전압선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제3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게이트선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지 전압선은 상기 제1 부화소 전극과 중첩하는 제1 유지 전극과 상기 제2 부화소 전극과 중첩하는 제2 유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신호 보정부와 제2 신호 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전압선과 상기 제1 신호 보정부는 제1 연결선 및 제2 연결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유지 전압선과 상기 제2 신호 보정부는 제3 연결선 및 제4 연결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선을 통해 상기 제1 신호 보정부에 기준 전압이 입력되고, 상기 제2 연결선을 통해, 제1 보정 신호가 상기 기준 전압선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선을 통해 상기 제2 신호 보정부에 유지 전압이 입력되고, 상기 제4 연결선을 통해, 제2 보정 신호가 상기 유지 전압선에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측면 시인성을 정면 시인성에 가깝게 하면서도, 분압 기준 전압과 유지 전압의 크기를 다르게 유지하고, 휘도 저하등의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액정 표시 장치를 III-I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기본 전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신호선의 일부 및 신호 보정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험예의 결과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그러면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신호선 및 화소의 배치와 그 구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한 화소(PX)는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선(GL) 및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DL), 분압 기준 전압을 전달하는 분압 기준 전압선(RL)을 포함하는 복수의 신호선, 그리고 복수의 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 소자(Qa), 제2 스위칭 소자(Qb) 및 제3 스위칭 소자(Qc), 제1 액정 축전기(Clca) 및 제2 액정 축전기(Clcb), 제1 유지 축전기(Csta) 및 제2 유지 축전기(Cstb)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는 각각 게이트선(GL) 및 데이터선(DL)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3 스위칭 소자(Qc)는 분압 기준 전압선(RL)과 제1 액정 축전기(Clca)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서, 그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GL)과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DL)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스위칭 소자(Qa)의 출력 단자는 제1 액정 축전기(Clca)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스위칭 소자(Qb)의 출력 단자는 제2 액정 축전기(Clcb) 및 제3 스위칭 소자(Qc)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제3 스위칭 소자(Qc) 역시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서,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GL)과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제2 액정 축전기(Clcb)와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분압 기준 전압선(RL)에 연결되어 있다.
게이트선(GL)에 게이트 온 신호가 인가되면, 이에 연결된 제1 스위칭 소자(Qa), 제2 스위칭 소자(Qb), 그리고 제3 스위칭 소자(Qc)가 턴 온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선(DL)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은 턴 온된 제1 스위칭 소자(Qa) 및 제2 스위칭 소자(Qb)를 통하여 제1 부화소 전극(PEa) 및 제2 부화소 전극(PEb)에 인가된다. 이 때 제1 부화소 전극(PEa) 및 제2 부화소 전극(PEb)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은 서로 동일하고, 제1 액정 축전기(Clca) 및 제2 액정 축전기(Clcb)는 공통 전압과 데이터 전압의 차이만큼 동일한 값으로 충전된다. 이와 동시에, 제2 액정 축전기(Clcb)에 충전된 전압은 턴 온된 제3 스위칭 소자(Qc)를 통해 분압된다. 이에 의해 제2 액정 축전기(Clcb)에 충전된 전압 값은 공통 전압과 분압 기준 전압의 차이에 의해 낮아지게 된다. 즉, 제1 액정 축전기(Clca)에 충전된 전압은 제2 액정 축전기(Clcb)에 충전된 전압보다 더 높게 된다.
이처럼, 제1 액정 축전기(Clca)에 충전된 전압과 제2 액정 축전기(Clcb)에 충전된 전압은 서로 달라지게 된다. 제1 액정 축전기(Clca)의 전압과 제2 액정 축전기(Clcb)의 전압이 서로 다르므로 제1 부화소와 제2 부화소에서 액정 분자들이 기울어진 각도가 다르게 되고 이에 따라 두 부화소의 휘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제1 액정 축전기(Clca)의 전압과 제2 액정 축전기(Clcb)의 전압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측면에서 바라보는 영상이 정면에서 바라보는 영상에 최대한 가깝게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측면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1 유지 축전기(Csta)의 양 단자는 제1 스위칭 소자(Qa)의 출력 단자와 유지 전압선(도시하지 않음)의 제1 유지 전극이다. 또한, 제2 유지 축전기(Cstb)의 양 단자는 제2 스위칭 소자(Qb)의 출력 단자와 유지 전압선의 제2 유지 전극이다.
제1 유지 축전기(Csta)와 제2 유지 축전기(Cstb)는 제1 액정 축전기(Clca) 및 제2 액정 축전기(Clcb)의 유지 능력을 강화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유지 축전기(Csta)와 제2 유지 축전기(Cstb)의 한 단자를 이루는 제1 유지 전극과 제2 유지 전극은 유지 전압선으로부터 공통 전극과 유사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제1 유지 전극과 제2 유지 전극을 포함하는 유지 전압선과 분압 기준 전압선(RL)이 서로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 전압선에는 공통 전극과 거의 같은 크기의 유지 전압이 인가되고, 분압 기준 전압선(RL)에는 승압 기준 전압이 인가된다. 유지 전압과 승압 기준 전압의 크기는 서로 다르다.
그러면,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3은 도 2의 액정 표시 장치를 III-I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그리고 두 표시판(100, 200)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액정층(3)을 포함한다.
먼저 하부 표시판(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절연 기판(110) 위에 복수의 게이트선(121) 및 복수의 유지 전압선(131)을 포함하는 게이트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121)은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며, 제1 게이트 전극(124a), 제2 게이트 전극(124b) 및 제3 게이트 전극(124c)을 포함한다.
유지 전압선(131)은 제1 유지 전극(135, 136)과 제2 유지 전극(138, 139)을 포함한다.
게이트선(121) 및 유지 전압선(131)은 거의 나란하게 뻗어 있다.
게이트선(121)과 유지 전압선(131)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반도체(154a), 제2 반도체(154b), 그리고 제3 반도체(154c)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반도체(154a), 제2 반도체(154b), 그리고 제3 반도체(154c) 위에는 저항성 접촉 부재(ohmic contact)(163a, 165a, 163b, 165b, 163c, 165c)가 배치되어 있다. 반도체(154a, 154b, 154c)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고, 반도체(154a, 154b, 154c)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경우, 저항성 접촉 부재는 생략될 수 있다.
저항성 접촉 부재(163a, 165a, 163b, 165b, 163c, 165c) 및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소스 전극(173a)과 제2 소스 전극(173b)을 포함하는 데이터선(171), 제3 드레인 전극(175c)을 포함하는 분압 기준 전압선(172), 제1 드레인 전극(175a), 제2 드레인 전극(175b) 및 제3 소스 전극(173c)을 포함하는 데이터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드레인 전극(175b)과 제3 소스 전극(173c)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선(171)과 분압 기준 전압선(172)은 서로 거의 나란하게 뻗어 있다.
분압 기준 전압선(172)은 인접한 두 개의 데이터선(171) 사이에 위치하고, 데이터선(171)과 나란한 세로부와 세로부로부터 뻗어 나와 제3 소스 전극(173c)에 연결되어 있는 확장부(178)를 포함하는 가로 연결부를 포함한다.
데이터 도전체 및 그 아래에 위치되어 있는 반도체 및 저항성 접촉 부재는 하나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선(171)은 다른 층 또는 외부 구동 회로와의 접속을 위한 넓은 끝 부분(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제1 게이트 전극(124a), 제1 소스 전극(173a) 및 제1 드레인 전극(175a)은 제1 반도체(154a)와 함께 하나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이루며, 제1 스위칭 소자(Qa)가 된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channel)은 제1 소스 전극(173a)과 제1 드레인 전극(175a) 사이의 반도체(154a)에 형성된다. 유사하게, 제2 게이트 전극(124b), 제2 소스 전극(173b)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는 제2 반도체(154b)와 함께 하나의 제2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루며, 제2 스위칭 소자(Qb)가 된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은 제2 소스 전극(173b)과 제2 드레인 전극(175b) 사이의 제2 반도체(154b)에 형성되고, 제3 게이트 전극(124c), 제3 소스 전극(173c) 및 제3 드레인 전극(175c)는 제3 반도체(154c)와 함께 하나의 제3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루며, 제3 스위칭 소자(Qc)가 된다. 제3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은 제3 소스 전극(173c)과 제3 드레인 전극(175c) 사이의 반도체(154c)에 형성된다.
데이터 도전체 위에는 제1 보호막(passivation layer)(180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보호막(180a)은 무기 절연물 또는 유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막(180a) 위에는 유기막(80)이 형성되어 있다. 유기막(80)은 제1 보호막(180a)보다 두께가 두꺼우며, 평탄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유기막(80)은 색필터일 수 있다.
유기막(80) 위에는 제2 보호막(180b)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보호막(180b)은 무기 절연물 또는 유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호막(180b)은 생략 가능하다.
제2 보호막(180b)은 질화규소 또는 산화규소 등의 무기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호막(180b)은 유기막(80)이 색필터인 경우, 색필터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색필터로부터 유입되는 용제(solvent)와 같은 유기물에 의한 액정층(3)의 오염을 억제하여 화면 구동 시 초래할 수 있는 잔상과 같은 불량을 방지한다.
제1 보호막(180a), 유기막(80) 및 제2 보호막(180b)에는 제1 드레인 전극(175a)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을 드러내는 제1 접촉 구멍(contact hole)(185a) 및 제2 접촉 구멍(185b)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보호막(180b) 위에는 복수의 화소 전극(pixel electrode)(191)이 형성되어 있다. 각 화소 전극(191)은 게이트선(12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되어, 게이트선(121)을 중심으로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제2 부화소 전극(191b)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은 ITO 및 IZO 등의 투명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화소 전극(191)은 ITO 또는 IZO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이나 알루미늄, 은, 크롬 또는 그 합금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제2 부화소 전극(191b)은 각각 도 4에 도시한 기본 전극(199) 또는 그 변형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다.
제1 부화소 전극(191a) 및 제2 부화소 전극(191b)은 제1 접촉 구멍(185a) 및 제2 접촉 구멍(185b)을 통하여 각각 제1 드레인 전극(175a)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과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드레인 전극(175a)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으로부터 데이터 전압을 인가 받는다. 이 때, 제2 드레인 전극(175b)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 중 일부는 제3 소스 전극(173c)을 통해 분압되어, 제1 부화소 전극(191a)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제2 부화소 전극(191b)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보다 크게 된다.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 제1 부화소 전극(191a) 및 제2 부화소 전극(191b)은 상부 표시판(200)의 공통 전극(270)과 함께 전기장을 생성함으로써 두 전극(191, 270) 사이의 액정층(3)의 액정 분자의 방향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결정된 액정 분자의 방향에 따라 액정층(3)을 통과하는 빛의 휘도가 달라진다.
제1 부화소 전극(191a)과 제1 유지 전극(135, 136)이 서로 중첩하여 제1 유지 축전기(Csta)를 형성하고, 제2 부화소 전극(191b)과 제2 유지 전극(138, 139)이 서로 중첩하여 제2 유지 축전기(Cstb)를 형성한다.
앞서 설명한 유지 전압선(131), 그리고 유지 전압선(131)으로부터 뻗어 나와 있는 제1 유지 전극(135, 136) 및 제2 유지 전극(138, 139)은 유지 축전기를 이루고, 이와 동시에 인접한 화소 영역 사이, 화소 전극과 데이터선 사이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빛샘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제 상부 표시판(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절연 기판(210) 위에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270) 위에는 상부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배향막은 수직 배향막일 수 있다.
액정층(3)은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며, 액정층(3)의 액정 분자는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 두 표시판(100, 200)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향되어 있다.
그러면, 도 4를 참고하여, 기본 전극(199)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 전극(199)의 전체적인 모양은 사각형이며 가로 줄기부(193) 및 이와 직교하는 세로 줄기부(192)로 이루어진 십자형 줄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기본 전극(199)은 가로 줄기부(193)와 세로 줄기부(192)에 의해 제1 부영역(Da), 제2 부영역(Db), 제3 부영역(Dc), 그리고 제4 부영역(Dd)으로 나뉘어지며 각 부영역(Da-Dd)은 복수의 제1 미세 가지부(194a), 복수의 제2 미세 가지부(194b), 복수의 제3 미세 가지부(194c), 그리고 복수의 제4 미세 가지부(194d)를 포함한다.
제1 미세 가지부(194a)는 가로 줄기부(193) 또는 세로 줄기부(192)에서부터 왼쪽 위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어 있으며, 제2 미세 가지부(194b)는 가로 줄기부(193) 또는 세로 줄기부(192)에서부터 오른쪽 위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어 있다. 또한 제3 미세 가지부(194c)는 가로 줄기부(193) 또는 세로 줄기부(192)에서부터 왼쪽 아래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제4 미세 가지부(194d)는 가로 줄기부(193) 또는 세로 줄기부(192)에서부터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어 있다.
제1 내지 제4 미세 가지부(194a, 194b, 194c, 194d)는 게이트선(121a, 121b) 또는 가로 줄기부(193)와 대략 45도 또는 135도의 각을 이룬다. 또한 이웃하는 두 부영역(Da, Db, Dc, Dd)의 미세 가지부(194a, 194b, 194c, 194d)는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제1 부화소 전극(191a) 및 제2 부화소 전극(191b)에 전압이 인가되어, 공통 전극(270)과 제1 부화소 전극(191a) 및 제2 부화소 전극(191b) 사이에 전기장이 생성되면, 제1 내지 제4 미세 가지부(194a, 194b, 194c, 194d)의 변은 전기장을 왜곡하여 액정 분자들(31)의 경사 방향을 결정하는 수평 성분을 만들어낸다. 전기장의 수평 성분은 제1 내지 제4 미세 가지부(194a, 194b, 194c, 194d)의 변에 거의 수평하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분자(31)들은 미세 가지부(194a, 194b, 194c, 194d)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한 화소 전극(191)은 미세 가지부(194a, 194b, 194c, 194d)의 길이 방향이 서로 다른 네 개의 부영역(Da-Dd)을 포함하므로 액정 분자(31)가 기울어지는 방향은 대략 네 방향이 되며 액정 분자(31)의 배향 방향이 다른 네 개의 도메인이 액정층(3)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액정 분자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다양하게 하면 액정 표시 장치의 기준 시야각이 커진다.
그러면,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신호선 및 신호 보정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신호선의 일부 및 신호 보정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데이터선(171)과 거의 나란하게 뻗어 있는 분압 기준 전압선(172)은 제1 신호 보정부(Do1)에 연결되어 있고, 게이트선(121)과 거의 나란하게 뻗어 있는 유지 전압선(131)은 제2 신호 보정부(Do2)에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압 기준 전압선(172)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분압 기준 전압선(172)에 인가된 신호는 제1 신호 보정부(Do1)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선(72a)을 통해 제1 신호 보정부(Do1)에 인가(RDout)되고, 제1 신호 보정부(Do1)에서는 증폭기 등을 이용하여, 분압 기준 전압의 크기가 변화하지 않았는 지 여부, 일정 크기 이하가 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보정이 필요할 경우, 제2 연결선(72b)을 통해, 제1 보정 신호를 인가(RDin)한다. 예를 들어, 분압 기준 전압선(172)의 저항에 의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판(300)의 하부에서 분압 기준 전압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 등과 같이, 분압 기준 전압의 보정이 필요한 경우, 제1 신호 보정부(Do1)에서 이를 보상한 제1 보정 신호를 인가한다.
유지 전압선(131)은 유지 전압 패드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유지 전압선(131)에 인가된 유지 전압은 제2 신호 보정부(Do2)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연결선(31a)을 통해, 제2 신호 보정부(Do2)에 인가(Vcsout)되고, 제2 신호 보정부(Do2)에서는 증폭기 등을 이용하여, 유지 전압의 크기가 변화하지 않았는 지 여부, 일정 크기 이하가 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보정이 필요한 경우, 제4 연결선(31b)을 통해, 제2 보정 신호를 인가(Vcsin)한다. 예를 들어, 유지 전극과 분압 기준 전압선(172)과 중첩하는 곳에서, 기생 용량이 발생하여, 유지 전압선(131)을 통해 전달되는 유지 전압의 크기가 변화하거나, 유지 전압선(131)의 저항에 의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판(300)의 중앙부에서 유지 전압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 등과 같이 유지 전압의 보정이 필요한 경우, 제2 신호 보정부(Do2)에서 이를 보상한 제2 보상 신호를 인가한다.
제1 신호 보정부(Do1)와 제2 신호 보정부(Do2)는 여러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제2 부화소 전극(191b)의 전압에 영향을 주는 분압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분압 기준 전압선(172)과 유지 축전기를 이루는 유지 전극을 포함하는 유지 전압선(131)을 각기 서로 다른 층으로 형성하고, 서로 다른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화소 전극의 전압 크기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어, 표시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분압 기준 전압과 유지 전압의 크기를 다르게 유지함으로써, 유지 축전기의 유지 용량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압 기준 전압선과 유지 전압선이 서로 연결되어, 동일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데, 이 경우, 분압 기준 전압의 크기 변화에 따라 유지 전압의 크기도 변화하고, 유지 전압의 크기 변화에 따라 분압 기준 전압의 크기가 더 크게 변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소 영역 별로 깜박임, 휘도 저하등과 같은 표시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르면, 분압 기준 전압선과 유지 전압선을 서로 연결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원하는 크기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압 기준 전압선과 유지 전압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신호 보상부와 제2 신호 보상부를 포함하여, 분압 기준 전압과 유지 전압에 각기 보상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화소 전극의 전압 크기를 정확하게 유지하고, 유지 축전기의 축전 용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표시 품질을 높일 수 있다.
그러면,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험예의 결과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본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이, 분압 기준 전압선과 유지 전압선을 서로 개별적으로 형성하고, 서로 연결하지 않은 경우(X)와 기존의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이, 분압 기준 전압선과 유지 전압선을 서로 연결하여, 서로 동일한 크기의 전압을 인가한 경우(Y)에 대하여, 분압 기준 전압의 파형 변화를 측정하여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을 참고하면, 분압 기준 전압이 인가된 후, 약 0.001ㅅs 내지 약 0.003ㅅs의 시간 동안 분압 기준 전압의 크기가 변화하는데, 그 감소 크기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이, 분압 기준 전압선과 유지 전압선을 서로 개별적으로 형성하고, 서로 연결하지 않은 경우(X)의 제1 변화량(D1)은 기존의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이, 분압 기준 전압선과 유지 전압선을 서로 연결하여, 서로 동일한 크기의 전압을 인가한 경우(Y)의 제1 변화량(D2)에 비하여 작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이, 분압 기준 전압선과 유지 전압선을 서로 개별적으로 형성하고, 서로 연결하지 않음으로써, 원하는 크기의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분압 기준 전압의 리플(ripple)의 크기가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GL, 121: 게이트선 DL, 171: 데이터선
RL, 131: 분압 기준 전압선 Clca, Clab: 액정 축전기
Qa, Qb, Qc: 스위칭 소자(박막 트랜지스터)
110, 210: 기판 124a, 124b, 124c: 게이트 전극
140: 게이트 절연막 154a, 154b, 154c: 반도체
163a, 165a, 163b, 165b, 163c, 165c: 저항성 접촉 부재
173a, 173b, 173c: 소스 전극 175a, 175b, 175c: 드레인 전극
180a, 180b: 보호막 191a, 191b: 부화소 전극

Claims (13)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선,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선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유지 전압선,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선,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선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기준 전압선,
    하나의 화소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부화소 전극 및 제2 부화소 전극,
    상기 제1 게이트선, 상기 데이터선, 그리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게이트선, 상기 데이터선, 그리고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스위칭 소자, 그리고
    상기 제2 부화소 전극과 상기 기준 전압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전압선과 상기 기준 전압선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3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게이트선에 연결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유지 전압선은 상기 제1 부화소 전극과 중첩하는 제1 유지 전극과 상기 제2 부화소 전극과 중첩하는 제2 유지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제1 신호 보정부와 제2 신호 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전압선과 상기 제1 신호 보정부는 제1 연결선 및 제2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지 전압선과 상기 제2 신호 보정부는 제3 연결선 및 제4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1 연결선을 통해 상기 제1 신호 보정부에 기준 전압이 입력되고,
    상기 제2 연결선을 통해, 제1 보정 신호가 상기 기준 전압선에 입력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제3 연결선을 통해 상기 제2 신호 보정부에 유지 전압이 입력되고,
    상기 제4 연결선을 통해, 제2 보정 신호가 상기 유지 전압선에 입력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유지 전압선은 상기 제1 부화소 전극과 중첩하는 제1 유지 전극과 상기 제2 부화소 전극과 중첩하는 제2 유지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제1 신호 보정부와 제2 신호 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전압선과 상기 제1 신호 보정부는 제1 연결선 및 제2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지 전압선과 상기 제2 신호 보정부는 제3 연결선 및 제4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1 연결선을 통해 상기 제1 신호 보정부에 기준 전압이 입력되고,
    상기 제2 연결선을 통해, 제1 보정 신호가 상기 기준 전압선에 입력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8항에서,
    상기 제3 연결선을 통해 상기 제2 신호 보정부에 유지 전압이 입력되고,
    상기 제4 연결선을 통해, 제2 보정 신호가 상기 유지 전압선에 입력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1항에서,
    제1 신호 보정부와 제2 신호 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전압선과 상기 제1 신호 보정부는 제1 연결선 및 제2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지 전압선과 상기 제2 신호 보정부는 제3 연결선 및 제4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제1 연결선을 통해 상기 제1 신호 보정부에 기준 전압이 입력되고,
    상기 제2 연결선을 통해, 제1 보정 신호가 상기 기준 전압선에 입력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1항에서,
    상기 제3 연결선을 통해 상기 제2 신호 보정부에 유지 전압이 입력되고,
    상기 제4 연결선을 통해, 제2 보정 신호가 상기 유지 전압선에 입력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30169363A 2013-12-31 2013-12-31 액정 표시 장치 Active KR102087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363A KR102087379B1 (ko) 2013-12-31 2013-12-31 액정 표시 장치
US14/550,556 US9786237B2 (en) 2013-12-31 2014-11-21 Liquid crysta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363A KR102087379B1 (ko) 2013-12-31 2013-12-31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266A true KR20150079266A (ko) 2015-07-08
KR102087379B1 KR102087379B1 (ko) 2020-03-11

Family

ID=5348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363A Active KR102087379B1 (ko) 2013-12-31 2013-12-31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86237B2 (ko)
KR (1) KR102087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317A (ko) * 2021-10-27 2023-05-09 티씨엘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어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757B1 (ko) * 2015-07-20 2022-08-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패널 및 액정 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3552A (ko) * 2010-08-05 201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917B1 (ko) 1994-10-28 1998-05-15 김광호 액정표시소자의 후면광원 구동회로
KR0169354B1 (ko) 1995-01-11 1999-03-20 김광호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101136318B1 (ko) * 2005-04-29 2012-04-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140165B1 (ko) 2005-05-26 2012-04-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공통전압 보상회로 및 보상방법
KR20070015257A (ko) * 2005-07-30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이의 구동 방법 및 이의 구동 장치
KR101277937B1 (ko) 2006-09-07 2013-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212168B1 (ko) 2006-11-28 2012-1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00020214A (ko) 2008-08-12 2010-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 구동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장치 및 이 광원 장치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513271B1 (ko) * 2008-10-30 2015-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641982B1 (ko) * 2009-02-09 2016-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833498B1 (ko) * 2010-10-29 2018-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5691758B2 (ja) 2011-04-06 2015-04-01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825214B1 (ko) 2011-06-17 2018-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274377B2 (en) 2012-03-13 2016-03-01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3552A (ko) * 2010-08-05 201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317A (ko) * 2021-10-27 2023-05-09 티씨엘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어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379B1 (ko) 2020-03-11
US20150185533A1 (en) 2015-07-02
US9786237B2 (en) 201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759B1 (ko) 액정 표시 장치
JP6274885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49749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471550B1 (ko)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4026799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991371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252044B1 (ko) 표시 장치
KR102024159B1 (ko) 액정 표시 장치
US966496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 shielding electrode
US2013033568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46526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n overlapping pixel electrode and data line
KR20160086516A (ko) 액정 표시 장치
US2010004591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JP5486085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60043232A (ko) 표시 장치
KR20160045183A (ko) 표시 장치
KR20100066044A (ko) 액정 표시 장치
US962578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60065316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45184A (ko) 표시 장치
KR101133757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08737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50015997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45186A (ko) 표시 장치
KR20160048293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1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