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50079939A - 정보 송신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정보 송신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9939A
KR20150079939A KR1020157014462A KR20157014462A KR20150079939A KR 20150079939 A KR20150079939 A KR 20150079939A KR 1020157014462 A KR1020157014462 A KR 1020157014462A KR 20157014462 A KR20157014462 A KR 20157014462A KR 20150079939 A KR20150079939 A KR 20150079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subframe
carrier
uplink
su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4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0843B1 (ko
Inventor
보 리
레이 구안
샤오안 판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62635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07993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79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84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e.g. signalling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llocation of payload; Allocation of data channels, e.g. PDSCH or PUS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6Half-duplex systems; Simplex/duplex switching; Transmission of break signals non-automatically invert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가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UE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UE가, 상기 제1 업링크 신호가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1 부분을 점유하고,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서 포함된 심볼의 수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심볼의 수보다 작음 -; 및 상기 UE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UE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 상기 제1 업링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면, 상기 UE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2 심볼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며, 상기 심볼의 제1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시간 영역에서 중첩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정보 송신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분야에서의 정보 송신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듀플렉스 모드(duplex mode)는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Time Duplexing Division) 및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uplexing Division)를 포함한다. 하나의 TDD 캐리어에 대해, UE는 수신과 송신을 동시에 할 수 없으며, 이는 다운링크 송신 또는 업링크 송신이 주어진 시점에서 허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FDD 시스템은 또한 풀 듀플렉스(full-duplex)와 하프 듀플렉스(half-duplex) FDD로 분류될 수 있으며, 둘 다 한쌍의 캐리어, 즉 하나의 업링크 캐리어와 하나의 다운링크 캐리어를 가진다. 풀 듀플렉스 FDD에서, UE는 동시에 한 쌍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캐리어에 대해 정보를 별개로 수신 및 전송할 수 있지만; 하프 듀플렉스 FDD에서, UE는 주어진 시스템에서 한 방향의 캐리어만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다운링크 캐리어 또는 업링크 캐리어가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성 기술(carrier aggregation technology)이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의 피크 레이트(peak rate)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수의 캐리어가 하나의 UE가 사용하도록 함께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캐리어는 다수의 FDD 캐리어 또는 다수의 TDD 캐리어일 수 있고, 다수의 캐리어가 다수의 TDD 캐리어인 경우, 다수의 TDD 캐리어에 대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은 동일하다.
동적 TDD 캐리어 기술은 미래의 진화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 도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TDD 캐리어 기술에서, TDD 캐리어상의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둘 다는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되고,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스위치는 느리거나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동적 TDD 캐리어 기술에서, 동적 TDD 캐리어상의 일부 또는 모든 서브프레임의 방향이 동적 UE의 서비스 요구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동적으로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화 될 수 있다. 명백히, UE는 여전히 동시에 정보를 수신 또는 수신할 수 없다.
캐리어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상이한 캐리어 집성 기술이 또한 미래의 진화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 도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두 개의 TDD 캐리어가 UE에 대해 구성될 수 있으며, 두 개의 TDD 캐리어의 TDD 업링크 - 다운링크 구성은 상이하다. 다른 예에서, 하나의 FDD 캐리어와 하나의 TDD 캐리어가 집성될 수 있으며, 두 캐리어의 업링크 다운링크 구성도 상이하다. 이 경우, 충돌 서브프레임(conflicted subframe) 이 일부 서브프레임에 존재한다, 즉 충돌 서브프레임은 하나의 TDD 캐리어상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동시에 충돌 서브프레임은 다른 TDD 캐리어상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다. 따라서, 충돌 서브프레임에서, 두 개의 캐리어상에서 동시 송수신을 지원하지 않는 UE, 즉 하프 듀플렉스 UE는, 하나의 캐리어상의 충돌 서브프레임에 정보를 전송하거나 다른 캐리어상의 충돌 서브프레임에 정보를 수신한다.
하프 듀플렉스 UE가 동시 송수신을 수행할 수 없는 전술한 문제는 전술한 동적 TDD 캐리어와 상이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가지는 캐리어의 집성의 시나리오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자원 이용율을 약화시킨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시나리오에서 하프 듀플렉스 UE에 의한 자원 활용도를 개선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가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UE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UE가, 상기 제1 업링크 신호가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1 부분을 점유하고,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 포함된 심볼의 수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심볼의 수보다 작음 -; 및
상기 UE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상기 제2 부분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심볼의 제1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시간 영역에서 중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정보 송신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기지국이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UE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업링크 신호가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1 부분을 점유하고,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 포함된 심볼의 수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심볼의 수보다 작음 -;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에,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심볼의 제1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시간 영역에서 중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UE를 더 제공하며, 상기 UE는,
UE를 위해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상기 UE를 위해 제1 업링크 신호가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인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모듈 - 상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1 부분을 점유하고,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 포함된 심볼의 수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심볼의 수보다 작음 -;
상기 UE를 위해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상기 제2 부분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심볼의 제1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시간 영역에서 중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기지국을 더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을 위해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상기 기지국을 위해 제1 업링크 신호가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인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모듈 - 상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1 부분을 점유하고,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 포함된 심볼의 수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심볼의 수보다 작음 -; 및
상기 기지국을 위해, 상기 UE에,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심볼의 제1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시간 영역에서 중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에서의 기술적 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의 설명에 필요한 첨부도면을 간단하게 소개한다. 명백히, 이하의 설명에서의 첨부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보여줄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고 함)라면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들 첨부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E 측의 정보 송신 방법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측 정보 송신 방법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응용 시나리오도 1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응용 시나리오도 2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응용 시나리오도 3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응용 시나리오도 4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E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히,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부가 아니라 일부이다.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의적인 노력 없이 얻은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정보 송신 방법은 사용자 장비(UE) 측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1: UE가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서브프레임은 TDD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오직 그 TDD 캐리어만이 UE를 위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제1 서브프레임은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의 각각의 제1 서브프레임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가 UE를 위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다.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는 두 개의 TDD 캐리어일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TDD 캐리어와 하나의 FDD 캐리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의 방향은 구체적으로, 제1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일 수 있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한다. 적어도 제1 서브프레임이 두 개의 상이한 캐리어상에서 상이한 송신 방향을 가지기 때문에,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은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한 것을 알 수 있다. 또는,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상의 제1 서브프레임이 TDD 특수 서브프레임이고, 여기서 특수 서브프레임은 세 부분, 즉 다운링크 타임슬롯, 보호 기간(guard period), 및 업링크 타임슬롯을 포함한다.
단계 12: UE가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UE가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사례는 다음 선택사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UE는,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를 사용하여,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도록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업링크 신호는 업링크 데이터 채널, 예를 들어,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이다. 서브프레임 n에서 전송된 PUSCH는 서브프레임 n 이전의 서브프레임 n-k에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하여 구성되거나 스케줄링되며, 여기서 k는 4 이상의 자연수이고,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중 한 유형이다.
선택적으로, UE는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사용하여,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업링크 수신확인/부정 수신확인(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ACK/NACK)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업링크 신호는 업링크 ACK/NACK이다. 서브프레임 n에서 전송된 업링크 ACK/NACK은 서브프레임 n 이전의 서브프레임 n-k에서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과 연관되어 있으며, 여기서 k는 4이상의 자연수이다.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일 수 있고, PDSCH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downlink scheduling assignment)에 의해 스케줄링되고,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한 유형이다.
선택적으로, UE는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브로드캐스팅 시그널링에 따라,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업링크 복조 참조 신호, 업링크 데이터 채널, 채널 상태 정보, 스케줄링 요청 지시자, 및 랜덤 액세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SRS는 주기적 SRS 및 비주기적 SRS로 분류되고, 전자는 RRC 전용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되고, 후자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트리거되거나 구성되고 오직 하나의 서브 프레임의 심볼의 부분에서, 예를 들어, 마직막 심볼 또는 업링크 복조 참조 신호가 위치하는 심볼 에서 송신된다.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는 주기적 CSI 및 비주기적 CSI로 분류되고, 전자는 RRC 전용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되고, 후자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트리거되거나 구성된다. CSI는 구체적으로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등급 지시자(rank indicator, RI), 프리 코딩 행렬 지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 PMI) 등을 포함 할 수있다. CSI는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예를 들어 타임슬롯에서, 즉, 하프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수 있다. 스케줄링 요청 지시자(scheduling request indicator)는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예를 들어 타임슬롯에서, 즉, 하프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수있다.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RA) 정보는 경쟁 RA 정보와 비경쟁 RA 정보로 분류되고, 전자는 브로드캐스팅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되고, 후자는 RRC 전용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RA 정보는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송신될 수 있고, 예를 들어, RA 정보는 특수 서브프레임의 UpPTS 타임슬롯에서 송신될 수 있거나, 서브프레임의 타임 슬롯에서 송신될 수 있거나, 심볼의 다른 부분에서 송신될 수 있다. 업링크 복조 참조 신호는 서브프레임의 두 심볼에서 전송되고,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거나,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단계 13: UE가, 제1 업링크 신호가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인지를 판정하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1 부분을 점유하고, 심볼의 제1 부분에 포함된 심볼의 수는 제1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심볼의 수보다 작다.
구체적으로,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업링크 수신확인/부정 수신확인(ACK/NACK) 정보, 업링크 복조 참조 신호, 업링크 데이터 채널, 채널 상태 정보, 스케줄링 요청 지시자, 및 랜덤 액세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가 심볼의 제1 부분을 점유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는 구체적으로 단계 12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단계 14: UE가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며, 심볼의 제1 부분과 심볼의 제2 부분은 시간 영역에서 중첩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 서브프레임이 하나의 TDD 캐리어 상에 있으면, 예를 들어 오직 그 TDD 캐리어가 UE를 위해 구성되면,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1 부분과 심볼의 제2 부분이 모두 TDD 캐리어상에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프레임 내의 첫 세 개의 심볼은 심볼의 제2 부분이고, 구체적으로는, UE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영역이고,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PDCCH 또는 EPDCCH일 수있으며; 제1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은 심볼의 제1 부분이고, 구체적으로는,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된 심볼이며, 여기서, 제1 업링크 신호는 사운딩 참조 심볼(SRS), 업링크 데이터 채널, 등일 수 있다. 다른 심볼 구성이 또한 예를 들어, 제1 서브프레임 내의 타임슬롯, UpPTS 영역 또는 DwPTS 영역, 및 종래의 제어 영역을 적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제어 영역은 PDCCH, 다운링크 ACK/NACK 채널, 및 PCFICH와 같은 채널이 송신되고 서브프레임 내의 첫 n개(n은 5보다 작은 자연수)의 심볼을 차지하는 LTE 시스템의 영역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서브프레임은 플렉시블 서브프레임으로 이해될 수 있고, 플렉시블 서브프레임은 기지국 스케줄링에 따라 업링크 서브 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UE가 플렉시블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지 않으면, 이는 그 서브프레임이 기지국에 의해 업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UE는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한다, 즉, 그 서브프레임은 기지국에 의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UE는 그 플렉시블 서브프레임을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기 위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고려한다.
선택적으로, 제1 서브프레임이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 모두 상에 위치하면,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는 UE를 위해 구성된 2개의 TDD 캐리어이고; 제1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이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제2 캐리어상의 1서브프레임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며, 다른 캐리어의 구성 및 서브프레임의 구성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심볼 구성의 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제1 캐리어 상의 마지막 심볼은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 즉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심볼의 제1 부분이고; 제2 캐리어상의 첫 두 개의 심볼이 제1 서브프레임 내이 심볼이 제2 부분, 즉,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된 심볼의 제2 부분이다. 다른 심볼 구성이 또한 예를 들어, 제1 서브프레임 내의 타임슬롯, UpPTS 영역 또는 DwPTS 영역, 및 종래의 제어 영역을 적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제어 영역은, PDCCH, 다운링크 ACK/NACK 채널, 및 PCFICH와 같은 채널이 송신되고 서브프레임 내의 첫 n개(n은 5보다 작은 자연수)의 심볼을 차지하는 LTE 시스템의 영역이다. 본 실시예에서 UE는 하프 듀플렉스 UE이고, 이는 UE가 동실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UE는 업링크와 다운링크에서 동시에 동일한 심볼을 가질 수 있지만, UE는 제1 캐리어상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2 캐리어상에서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한다.
UE가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사례는 다음 선택사항을 포함한다: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향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다운링크 ACK/NACK 채널, 향상된 다운링크 ACK/NACK 채널, 및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PDCCH는, LTE 시스템의 초기 릴리스에서의 종래 제어 영역, 예를 들어 LTE 시스템 릴리스 8-10에서 PDCCH에서 송신되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다. EPDCCH는 채널 프리코딩 송신에 기초하여 송신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고, 자원은 물리 자원 블록 쌍 또는 물리 자원 블록의 입도로 EPDCCH에 할당되고, EPDCCH는 LTE 릴리스 11 또는 릴리스 12에서 사용된다. 다운링크 ACK/NACK 채널은 종래의 제어 영역에서 전송되고 PUSCH와 연관된 피드백 채널이다. 향상된 다운링크 ACK/NACK 채널은 LTE 릴리스 12 또는 그 후에 도입된 다운링크 ACK/NACK 채널이고, 자원은 물리 자원 블록 쌍 또는 물리 자원 블록의 입도로 향상된 다운링크 ACK/NACK 채널에 할당될 수 있다. PCFICH는 서브 프레임 내의 종래의 제어 영역에 의해 점유되는 심볼의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서브 프레임 내의 제1 심볼에서 전송된다.
선택적으로, 단계 14 후에, 전술한 방법을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15: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면, UE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고, UE는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downlink scheduling assignment)이고, UE가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을 검출하고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이 제1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예를 들어, 시간 영역에서 제1 서브프레임 전체를 점유하게 될 PDSCH의 송신을 스케줄링 또는 지시하면, UE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한다. UE는 송수신을 동시에 할 수 없기 때문에, UE는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제1 업링크 신호, 예를 들어 SRS를 송신하는 것을 생략한다, 즉, UE는 전송 동작을 생략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15: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제1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면, UE는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3 부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고, UE는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며, 심볼의 제1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3 부분은 중첩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이고, UE가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을 검출하고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이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예를 들어, 시간 영역에서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3 부분만을 점유할 수 있는 PDSCH의 송신을 스케줄링 또는 지시하면, 심볼의 제3 부분과 심볼의 제1 부분은 중첩하지 않기 때문에, UE는 제1 서브프레임의 제1 부분에서 제1 업링크 신호, 예를 들어, SRS를 전송할 수 있다.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은 또한 심볼의 제3 부분에서 다른 다운링크 채널, 예를 들어, ACK/NACK 채널의 송신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단계 15: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제1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고 UE가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업링크 신호가 비주기 SRS이면, UE는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그 비주기 SRS를 전송하고, UE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것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심볼의 제2 부분과 심볼의 제1 부분 사이에 보호 시간 간격(guard time interval)이 존재하고; 및/또는 심볼의 제3 부분과 심볼의 제1 부분 사이에 보호 시간 간격이 존재한다. 시간 간격은 미리 구성될 수 있거나 시그널링에 의해 UE에 통지될 수 있다. 시간 간격은 UE를 위해 다운링크 정보 수신과 업링크 정보 송신을 분리하기 위한 전환점으로서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업링크 신호가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가 아니면, UE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것을 생략한다. 심볼의 제1 부분과 심볼의 제2 부분 사이의 중첩은 부분 중첩을 나타낼 수 있거나, 심볼의 제2 부분이 심볼의 제1 부분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하거나, 심볼의 제1 부분이 심볼의 제2 부분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하거나, 등등이다. 중첩과 UE가 동일 시각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없다는 사실로 인해, UE는, 앞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 구성에 따라,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것을 생략한다.
UE가 송수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정하는 절차는 심볼의 제1 부분과 심볼의 제2 부분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하는지를 판정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판정 결과가, UE가 동시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거나 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한판정의 다른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판정의 절차는 또한, 기지국이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UE를 구성한 심볼이 심볼의 제2 부분과 중첩하는지를 판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 구체적인 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을 위해 상이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가지는 두 개의 TDD 캐리어의 집성을 예로 사용하고, 다른 캐리어 집성 시나리오에서의 처리는 이 예와 유사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캐리어는 구체적인 TDD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0을 가지는 캐리어 1이고, 제2 캐리어는 구체적인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5를 가지는 캐리어 2인 것으로 가정된다. 예로서, 제1 서브프레임은 충돌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7이고, 구체적으로 캐리어 1상의 서브프레임 7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캐리어 2상의 서브프레임 7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제1 업링크 신호는 주기적 SRS이고, 여기서 주기적 SRS는 기지국에 의해 UE를 위해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되고;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종래의 제어 영역 내의 PDCCH이다. 알 수 있는 것은,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1 부분은 캐리어 1상의 서브프레임 7에서 마지막 심볼이고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2 부분은 캐리어 2상의 서브프레임 7에서 첫 n개(n은 5보다 작은 자연수)의 심볼이라는 것이다, 즉, 심볼의 제1 부분과 심볼의 제2 부분은 중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UE는, 제1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7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 7에 구성된 SRS가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 즉 SRS는 서브프레임 7의 심볼의 제1 부분, 예를 들어, 마지막 심볼을 점유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판정 결과가 심볼의 제1 부분과 심볼의 제2 부분이 중첩하지 않는다는 것이면, UE는 캐리어 2상의 서브프레임 7의 종래의 제어 영역에서 PDCCH를 검출한다. PDCCH가 검출되고 PDCCH가 현재 서브프레임의 공통 PDSCH를 스케줄링하면, 즉, PDSCH가 시간 영역에서 서브프레임 7 전체를 점유하면, UE는 PDSCH를 수신하고 캐리어 1의 서브프레임 7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 SRS를 구성된 SRS를 전송하는 것을 생략하고; 반대로, UE가 PDCCH를 검출하지 않거나
PDSCH가 서브프레임 7의 제1 타임슬롯, 즉 첫 7개의 심볼만을 점유하게 되는 특수 PDSCH를 검출하면, 캐리어 2의 서브프레임 7에서 특수 PDSCH를 수신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생략하고, 심볼의 제1 부분, 즉 캐리어 1의 서브프레임 내의 마지막 심볼에 구성된 주기적 SRS를 전송한다.
판정의 결과가 심볼의 제1 부분과 심볼의 제2 부분이 중첩한다는 것이면, 예를 들어 공통 PUSCH가 캐리어 1의 서브프레임 7에서 스케줄링되어 있으면, PUSCH는 시간 영역에서 서브프레임 7 전체를 점유하기 때문에, UE는 캐리어 2의 서브프레임 7에서 PDCCH를 검출하는 것을 생략하지만 캐리어 1의 서브프레임 7에서 PUSCH를 전송한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서 제공된 방법이 전술한 동적 TDD 캐리어 기술 및 상이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가지는 캐리어의 집성의 시나리오에서 충돌 서브프레임에서 하프 듀플렉스 UE의 자원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UE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의 비중첩 심볼에서 별개로 수신 및 송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의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장비(UE) 측에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가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UE가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UE가, 제1 서브프레임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한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는 현재 UE를 위해 구성된 캐리어임 -; 및
UE가 제1 캐리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고, 상기 UE가 제2 캐리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정보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생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51: UE가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한다.
제1 서브프레임은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의 각각의 제1 서브프레임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가 UE를 위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다.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는 두 개의 TDD 캐리어일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TDD 캐리어와 하나의 FDD 캐리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의 방향은 구체적으로, 제1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타임슬롯(DwPTS), 보호 기간(GP), 및 업링크 타임슬롯(UpPTS)을 포함하는 특수 서브프레임이고,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일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한다. . 제1 서브프레임이 두 개의 상이한 캐리어상에 있는 경우 적어도 제1 서브프레임상의 심볼의 부분은 상이한 송신 방향을 가지기 때문에,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은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계 52: UE가, 제1 서브프레임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한 것으로 판정하며,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는 현재 UE를 위해 구성된 캐리어이다.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는 UE를 위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캐리어는 앵커 캐리어(anchor carrier)이고, 제2 캐리어는 보조 캐리어(supplementary carrier)이고;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는 두 개의 TDD 캐리어일 수 있거나, 하나의 FDD 캐리어와 하나의 TDD 캐리어일 수 있다.
제1 서브프레임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은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인 반면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한다. 또는 제1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세 부분, 즉 DwPTS, GP, 및 UpPTS를 포함하는 TDD 특수 서브프레임인 반면,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다.
단계 53: UE가 제1 캐리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고, UE가 제2 캐리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정보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생략한다.
UE는, 앵커 캐리어가 앵커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의 송신 구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서브프레임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캐리어가 앵커 캐리어이면, UE는 앵커 캐리어상의, 즉 제1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에 대해, 앵커 캐리어의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구성된 송신 모드를 사용할 수 있고; 제1 서브프레임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타임슬롯(DwPTS), 보호 기간(GP), 및 업링크 타임슬롯(UpPTS)을 포함하는 특수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또, UE는 제1 캐리어상에서 대응하는 업링크/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는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는,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 방향에 따라, 그리고 제1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의 타임슬롯 구성에 기초하여,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다운링크 신호 수신을 위한 시간 길이 및 업링크 신호 송신을 위한 시간 길이를 결정하며, 다운링크 신호 수신을 위한 시간 길이는 제1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다운링크 신호 수신을 위한 시간 길이와 같거나 작을 수 있고, UE는 오직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거나 오직 업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UE는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PDCCH)을 수신할 수 있지만,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거나 임의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전송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UE는,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제1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의 타임슬롯 구성과 동일한 타임슬롯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네 개의 구체적인 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을 위해 상이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가지는 두 개의 TDD 캐리어의 집성을 예로 사용하고, 다른 캐리어 집성 시나리오에서의 처리는 이 예와 유사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캐리어는 구체적인 TDD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0을 가지는 캐리어 1이고, 제2 캐리어는 구체적인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5를 가지는 캐리어 2인 것으로 가정된다. 또, 제1 캐리어는 앵커 캐리어로서 구성되어 있고, 제2 캐리어는 보조 캐리어로서 구성되어 있다. UE는, 제1 서브프레임은 충돌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6이고, 구체적으로 캐리어 1상의 서브프레임 6은 다운링크 타임슬롯(DwPTS), 보호 기간(GP), 및 업링크 타임슬롯(UpPTS)을 포함하는 특수 서브프레임이고, 캐리어 2상의 서브프레임 6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인 것으로 결정한다. UE는, 앵커 캐리어상의 구성, 즉 캐리어 1상의 구성에 따라, DwPTS 및 UpPTS 상의 신호 수신 및 전송이 특수 프레임의 구성에 따라 제1 캐리어상에서 수행되어야 한다고 결정한다. 캐리어 2상의 서브프레임 6은 다운링크 캐리어이고, 이는 캐리어 1상의 구성과 상이다. 따라서, 단말기는 캐리어 2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6에서 eNB에 의해 전송된 모든 정보의 수신을 완전히 생략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상이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가지는 두 개의 TDD 캐리어의 집성을 예로 사용하며, 다른 캐리어 집성 시나리오에서의 처리는 이 예와 유사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캐리어는 구체적인 TDD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0을 가지는 캐리어 1이고, 제2 캐리어는 구체적인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5를 가지는 캐리어 2인 것으로 가정된다. 또, 제1 캐리어는 앵커 캐리어로서 구성되어 있고, 제2 캐리어는 보조 캐리어로서 구성되어 있다. UE는, 제1 서브프레임은 충돌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6이고, 구체적으로 캐리어 1상의 서브프레임 6은 다운링크 타임슬롯(DwPTS), 보호 기간(GP), 및 업링크 타임슬롯(UpPTS)을 포함하는 특수 서브프레임이고, 캐리어 2상의 서브프레임 6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인 것으로 결정한다. UE는, 앵커 캐리어상의 구성, 즉 캐리어 1상의 구성에 따라, DwPTS 및 UpPTS 상의 신호 수신 및 전송이 특수 프레임의 구성에 따라 제1 캐리어상에서 수행되어야 한다고 결정한다.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의 구성에 따라, 두 가지 상이한 시나리오가 존재한다. 시나리오 1에서, 제1 캐리어상의 업링크 송신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는 제2 캐리어상의 업링크 송신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와 동일하고; 시나리오 2에서, 제1 캐리어상의 업링크 송신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는 제2 캐리어상의 업링크 송신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와 상이하다. 전술한 두 가지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시나리오 1에서, 서브프레임 6의 구성은 캐리어 2와 캐리어 1상에서 상이하고, 서브 프레임 6은, 캐리어2 상의 다운링크 캐리어이고, 캐리어 1상의 특수 서브프레임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DwPTS 길이는 완전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보다 짧다. 캐리어 2의 서브프레임 6에서, UE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캐리어 1상의 서브프레임 6에 대응하고 타임슬롯 길이가 캐리어 1상의 서브프레임 6의 길이 이하인 타임슬롯 구성을 사용할 수 있지만, UE는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서브프레임 6의 구성은 캐리어 2와 캐리어 1상에서 상이하고; 서브 프레임 6은 캐리어2 상의 다운링크 캐리어인 한편 캐리어 1상의 특수 서브프레임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DwPTS 길이는 완전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보다 짧다. UE는, 캐리어 1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6에서의 DwPTS에 따라, 그리고 캐리어 1상의 업링크 송신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와 캐리어 2상의 업링크 송신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 사이의 차이에 따라, 캐리어 2의 서브프레임 6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업링크 송신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의 차이가 최소 송신 심볼의 정수배가 아니면, 타이밍 어드밴스 차이는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되고, 캐리어 2상의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 길이는 최소 송신 심볼의 정수배에 따라 조정되고; 조정된 다운링크 수신 길이는 기존의 프로토콜에 정의되어 있고 조정된 다운링크 수신 길이에 가장 가까운 다운링크 길이 구성일 수 있으며, 조정된 다운링크 수신 길이는 캐리어 1상의 DwPTS에 따라 계산에 의해 취득된 실제 이용 가능한 수신 길이 및 캐리어 간의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차이보다 작다. UE는 캐리어 2상의 조정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 길이에 따라 서브프레임 6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러나, UE는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시나리오 2에서:
서브프레임 6의 구성은 캐리어 2와 캐리어 1상에서 상이하고; 서브 프레임 6은, 캐리어2 상의 다운링크 캐리어인 한편 캐리어 1상의 특수 서브프레임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DwPTS 길이는 완전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보다 짧다. UE는, 캐리어 1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6에서의 DwPTS에 따라, 그리고 캐리어 1상의 업링크 송신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와 캐리어 2상의 업링크 송신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 사이의 차이에 따라, 캐리어 2의 서브프레임 6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업링크 송신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의 차이가 최소 송신 심볼의 정수배가 아니면, 타이밍 어드밴스 차이는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되고, 캐리어 2상의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 길이는 최소 송신 심볼의 정수배에 따라 조정되고; 조정된 다운링크 수신 길이는, 기존의 프로토콜에 정의되어 있고 조정된 다운링크 수신 길이에 가장 가까운 다운링크 길이 구성일 수 있으며, 조정된 다운링크 수신 길이는 캐리어 1상의 DwPTS에 따라 계산에 의해 취득된 실제 이용 가능한 수신 길이 및 캐리어 간의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차이보다 작다. UE는 캐리어 2상의 조정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 길이에 따라 서브프레임 6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러나, UE는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설명을 위해 상이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가지는 두 개의 TDD 캐리어의 집성을 예로 사용하며, 다른 캐리어 집성 시나리오에서의 처리는 이 예와 유사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캐리어는 구체적인 TDD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0을 가지는 캐리어 1이고, 제2 캐리어는 구체적인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5를 가지는 캐리어 2인 것으로 가정된다. 또, 제1 캐리어는 앵커 캐리어로서 구성되어 있고, 제2 캐리어는 보조 캐리어로서 구성되어 있다. UE는, 제1 서브프레임은 충돌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6이고, 구체적으로 캐리어 1상의 서브프레임 6은 다운링크 타임슬롯(DwPTS), 보호 기간(GP), 및 업링크 타임슬롯(UpPTS)을 포함하는 특수 서브프레임이고, 캐리어 2상의 서브프레임 6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인 것으로 결정한다. UE는, 앵커 캐리어상의 구성, 즉 캐리어 1상의 구성에 따라, DwPTS 및 UpPTS 상의 신호 수신 및 전송이 특수 프레임의 구성에 따라 제1 캐리어상에서 수행되어야 한다고 결정한다. 캐리어 2상의 서브프레임 6은 다운링크 캐리어이고, 이것은 캐리어 1상의 구성과 상이하다. 따라서, 단말기는 오직 eNB에 의해 캐리어 2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6에서 전송된 PDCCH 정보를 수신할 수 있지만, 다른 데이터 정보를 수신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기지국 측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정보 송신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1: 기지국이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서브프레임은 TDD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오직 그 TDD 캐리어만이 UE를 위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제1 서브프레임은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의 각각의 제1 서브프레임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가 UE를 위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다.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는 두 개의 TDD 캐리어일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TDD 캐리어와 하나의 FDD 캐리어일 수 있다.
다른 제1 서브프레임과 캐리어 사이의 관계의 설명에 대해서는 UE 측에 사용된 방법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것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22: 지국이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UE를 구성한다.
단계 23: 기지국이, 제1 업링크 신호가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인 것으로 판정하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1 부분을 점유하고, 심볼의 제1 부분에 포함된 심볼의 수는 제1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심볼의 수보다 작다.
단계 24: 기지국이 UE에,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며, 심볼의 제1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시간 영역에서 중첩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업링크 수신확인/부정 수신확인(ACK/NACK) 정보, 업링크 복조 참조 신호, 업링크 데이터 채널, 채널 상태 정보, 스케줄링 요청 지시자, 및 랜덤 액세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 및 심볼의 제2 부분은 하나의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캐리어상에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은 제1 캐리어상에 있고,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은 제2 캐리어상에 있고,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은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하고; UE는 하프 듀플렉스 UE이다.
구체적으로, 제1 서브프레임과 심볼의 제1 부분 및 심볼의 제2 부분 모두 사이의 관계는 UE 측에 사용된 방법에 설명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것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 캐리어 또는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TDD 특수 서브프레임이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이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하여,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도록 UE를 구성하거나; 또는 기지국이,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사용하여,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업링크 수신확인/부정 수신확인(ACK/NACK) 정보를 전송하도록 UE를 구성하거나; 또는 기지국이,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브로드캐스팅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SRS), 업링크 복조 참조 신호, 채널 상태 정보, 스케줄링 요청 지시자, 및 랜덤 액세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UE를 구성하한다.
선택적으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향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EPDCCH), 다운링크 ACK/NACK 채널, 향상된 다운링크 ACK/NACK 채널, 및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PCFI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세한 것은 UE 측에 사용된 방법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심볼의 제1 부분은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 타임슬롯, 또는 UpPTS 영역이고; 및/또는 심볼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 타임슬롯, DwPTS 영역, 또는 종래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 영역이다.
선택적으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이다.
기지국이 UE에,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한 후,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20: 기지국이 UE에, 제1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에 의해 지시 또는 스케줄링되며; 기지국이,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생략하거나; 또는
단계 20: 기지국이 UE에,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3 부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에 의해 지시 또는 스케줄링되고, 심볼의 제3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은 중첩하지 않으며; 기지국이, 제1 심볼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심볼의 제2 부분과 심볼의 제1 부분 사이에 보호 시간 간격이 존재하고; 및/또는 심볼의 제3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1 부분 사이에 보호 시간 간격이 존재한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서 제공된 방법이 전술한 동적 TDD 캐리어 기술 및 상이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가지는 캐리어의 집성의 시나리오에서, 충돌 서브프레임에서 하프 듀플렉스 UE의 자원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UE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의 비중첩 심볼에서 별개로 수신 및 송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지국 측에 사용될 수 있는 정보 송신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기지국이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 제1 서브프레임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은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하고,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는 UE를 위해 현재 구성되어 있는 캐리어임 -; 및
제1 캐리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이 UE에 정보를 송신하거나 UE에 의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캐리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UE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생략하거나 UE에 의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생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61에서: 기지국이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며, 제1 서브프레임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은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하고,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는 UE를 위해 현재 구성되어 있는 캐리어이다.
제1 서브프레임은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의 각각의 제1 서브프레임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는 UE를 위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다.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는 두 개의 TDD 캐리어로서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TDD 캐리어와 하나의 FDD 캐리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의 방향은 구체적으로, 제1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타임슬롯(DwPTS), 보호 기간(GP), 및 업링크 타임슬롯(UpPTS)을 포함하는 특수 서브프레임인 한편,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일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한다. . 제1 서브프레임이 두 개의 상이한 캐리어상에 있는 경우 적어도 제1 서브프레임상의 심볼의 부분은 상이한 송신 방향을 가지기 때문에,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은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계 62: 제1 캐리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이 UE에 정보를 송신하거나 UE에 의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캐리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UE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생략하거나 UE에 의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생략한다.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는 UE를 위해 기지국에 의해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캐리어는 앵커 캐리어이고, 제2 캐리어는 보조 캐리어이고;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는 두 개의 TDD 캐리어일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FDD 캐리어와 하나의 TDD 캐리어일 수 있다.
제1 서브프레임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은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인 반면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한다. 또는 제1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세 부분, 즉 DwPTS, GP, 및 UpPTS를 포함하는 TDD 특수 서브프레임인 반면,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다.
기지국은, 앵커 캐리어가 앵커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의 송신 구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서브프레임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캐리어가 앵커 캐리어이면, 기지국은 앵커 캐리어상의, 즉 제1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에 대해, 앵커 캐리어의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구성된 송신 모드를 사용할 수 있고; 제1 서브프레임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타임슬롯(DwPTS), 보호 기간(GP), 및 업링크 타임슬롯(UpPTS)을 포함하는 특수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또, 기지국은 제1 캐리어상에서 대응하는 업링크/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임의의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완전히 생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 방향에 따라, 그리고 제1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의 타임슬롯 구성에 기초하여,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다운링크 신호 수신을 위한 시간 길이 및 업링크 신호 송신을 위한 시간 길이를 결정하며, 다운링크 신호 수신을 위한 시간 길이는 제1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다운링크 신호 수신을 위한 시간 길이와 같거나 작을 수 있고, 기지국은 오직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거나 오직 업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는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PDCCH)을 수신할 수 있지만,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거나 임의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은,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1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의 타임슬롯 구성과 동일한 타임슬롯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UE를 더 제공하며, 상기 UE는,
단계 31: UE를 위해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단계 32: UE를 위해 제1 업링크 신호가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인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모듈 -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1 부분을 점유하고, 심볼의 제1 부분에 포함된 심볼의 수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심볼의 수보다 작음 -;
단계 32: UE가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모듈을 포함하고, 심볼의 제1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시간 영역에서 중첩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 및 심볼의 제2 부분은 하나의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캐리어상에 있거나; 또는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은 제1 캐리어상에 있는 한편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은 제2 캐리어상에 있고,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은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하고; UE는 하프 듀플렉스 UE이다.
선택적으로, 제1 캐리어 또는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TDD 특수 서브프레임이다.
선택적으로, UE는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UE가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고;
UE가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업링크 수신확인/부정 수신확인(ACK/NACK)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UE가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브로드캐스팅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SRS), 업링크 복조 참조 신호, 채널 상태 정보, 스케줄링 요청 지시자, 및 랜덤 액세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UE가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사례는 다음 선택사항을 포함한다: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향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다운링크 ACK/NACK 채널, 향상된 다운링크 ACK/NACK 채널, 및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심볼의 제1 부분은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 타임슬롯, 또는 UpPTS 영역이고; 및/또는
심볼의 제2 부분은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 타임슬롯, DwPTS 영역, 또는 종래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 영역이다.
선택적으로, UE가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한 후에, UE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면, UE를 위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및
UE가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생략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또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면, UE를 위해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3 부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및
UE를 위해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모듈 - 상기 심볼의 제1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3 부분은 중첩하지 않음 -;
또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고 UE가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업링크 신호가 비주기적 SRS이면, UE를 위해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비주기적 SRS를 전송하고, UE를 위해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것을 생략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심볼의 제2 부분과 심볼의 제1 부분 사이에 보호 시간 간격이 존재하고; 및/또는 심볼의 제3 부분과 심볼의 제1 부분 사이에 보호 시간 간격이 존재한다.
선택적으로,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 검출 모듈은, 제1 업링크 신호가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가 아니면, UE를 위해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것을 생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UE 측에 사용된 방법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서 제공된 UE는 전술한 동적 TDD 캐리어 기술 및 상이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가지는 캐리어의 집성의 시나리오에서, 충돌 서브프레임에서의 하프 듀플렉스 UE의 자원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UE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의 비중첩 심볼에서 별개로 수신 및 송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UE를 더 제공하며, 상기 UE는,
UE를 위해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UE를 위해, 제1 서브프레임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한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모듈 -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는 UE를 위해 현재 구성되어 있는 캐리어임-; 및
UE를 위해 제1 캐리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고, UE를 위해 제2 캐리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생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단계 71: 결정 모듈은 UE를 위해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계 72: 판정 모듈은 UE를 위해, 제1 서브프레임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한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는 UE를 위해 현재 구성되어 있는 캐리어이고;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는 UE를 위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캐리어는 앵커 캐리어이고, 제2 캐리어는 보조 캐리어이고;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는 두 개의 TDD 캐리어일 수 있거나, 하나의 FDD 캐리어와 하나의 TDD 캐리어일 수 있다.
제1 서브프레임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은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인 반면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한다. 또는 제1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세 부분, 즉 DwPTS, GP, 및 UpPTS를 포함하는 TDD 특수 서브프레임인 반면,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다.
단계 73: 처리 모듈은 UE를 위해 제1 캐리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고, UE를 위해 제2 캐리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생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UE는, 앵커 캐리어가 앵커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의 송신 구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서브프레임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캐리어가 앵커 캐리어이면, UE는 앵커 캐리어상의, 즉 제1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에 대해, 앵커 캐리어의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구성된 송신 모드를 사용할 수 있고; 제1 서브프레임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타임슬롯(DwPTS), 보호 기간(GP), 및 업링크 타임슬롯(UpPTS)을 포함하는 특수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또, UE는 제1 캐리어상에서 대응하는 업링크/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는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는,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 방향에 따라 그리고 제1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의 타임슬롯 구성에 기초하여,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다운링크 신호 수신을 위한 시간 길이 및 업링크 신호 송신을 위한 시간 길이를 결정하며, 다운링크 신호 수신을 위한 시간 길이는 제1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다운링크 신호 수신을 위한 시간 길이와 같거나 작을 수 있고, UE는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만하거나 업링크 신호를 전송만한다.
선택적으로,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UE는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PDCCH)을 수신할 수 있지만,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것을 생략 또는 임의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전송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UE는,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제1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의 타임슬롯 구성과 동일한 타임슬롯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지국을 더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단계 41: 기지국을 위해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기지국은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UE를 구성하며;
단계 42: 기지국을 위해 제1 업링크 신호가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인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모듈 -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1 부분을 점유하고, 심볼의 제1 부분에 포함된 심볼의 수는 제1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심볼의 수보다 작음 -; 및
단계 43: 기지국을 위해, UE에,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을 포함하고, 심볼의 제1 부분과 심볼의 제2 부분은 시간 영역에서 중첩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업링크 수신확인/부정 수신확인(ACK/NACK) 정보, 업링크 데이터 채널, 채널 상태 정보, 스케줄링 요청 지시자, 및 랜덤 액세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 및 심볼의 제2 부분은 하나의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캐리어상에 있거나; 또는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은 제1 캐리어상에 있는 한편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은 제2 캐리어상에 있고,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은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하고; UE는 하프 듀플렉스 UE이다.
선택적으로 제1 캐리어 또는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TDD 특수 서브프레임이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UE를 구성하고;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하여,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도록 UE를 구성하고;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사용하여, 기지국을 위해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업링크 수신확인/부정 수신확인(ACK/NACK) 정보를 전송하도록 UE를 구성하거나; 또는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브로드캐스팅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SRS), 업링크 복조 참조 신호, 업링크 데이터 채널, 채널 상태 정보, 스케줄링 요청 지시자, 및 랜덤 액세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UE를 구성하도록, 구성된 구성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이 UE에,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사례는 다음을 포함한다: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향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EPDCCH), 다운링크 ACK/NACK 채널, 향상된 다운링크 ACK/NACK 채널, 및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PCFI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심볼의 제1 부분은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 타임슬롯, 또는 UpPTS 영역이고; 및/또는 심볼의 제2 부분은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 타임슬롯, DwPTS 영역, 또는 종래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 영역이다.
선택적으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이다.
기지국이 UE에,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한 후에, 기지국은,
UE에, 기지국을 위해 제1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에 의해 지시 또는 스케줄링됨 -; 및
기지국이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생략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또는
UE에, 기지국을 위해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3 부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에 의해 지시 또는 스케줄링되고, 심볼의 제3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은 중첩하지 않음 -; 및
기지국을 위해 제1 심볼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심볼의 제2 부분과 심볼의 제1 부분 사이에 보호 시간 간격이 존재하고; 및/또는 심볼의 제3 부분과 심볼의 제1 부분 사이에 보호 시간 간격이 존재한다.
상세한 것은 기지국 측에 사용된 방법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기지국을 더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기지국을 위해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 제1 서브프레임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은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하고,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는 UE를 위해 현재 구성되어 있는 캐리어임 -; 및
제1 캐리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그리고 기지국을 위해, UE에 정보를 전송하거나 UE에 의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캐리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그리고 기지국을 위해, UE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생략하거나 UE에 의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생략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단계 81: 결정 모듈이 기지국을 위해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은 상이하고,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는 UE를 위해 현재 구성되어 있는 캐리어이며;
제1 서브프레임은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의 각각의 제1 서브프레임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다.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는 기지국에 의해 두 개의 TDD 캐리어로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TDD 캐리어와 하나의 FDD 캐리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의 방향은 구체적으로, 제1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타임슬롯(DwPTS), 보호 기간(GP), 및 업링크 타임슬롯(UpPTS)을 포함하는 특수 서브프레임인 한편,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고, 또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한다. 제1 서브프레임이 두 개의 상이한 캐리어상에 있는 경우 적어도 제1 서브프레임상의 심볼의 부분은 상이한 송신 방향을 가지기 때문에,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은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계 82: 처리 모듈은, 제1 캐리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그리고 기지국을 위해, UE에 정보를 전송하거나 UE에 의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캐리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그리고 기지국을 위해, UE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생략하거나 UE에 의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생략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는 UE를 위해 기지국에 의해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캐리어는 앵커 캐리어이고, 제2 캐리어는 보조 캐리어이고;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는 두 개의 TDD 캐리어일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FDD 캐리어와 하나의 TDD 캐리어일 수 있다.
제1 서브프레임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은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인 한편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또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한다. 또는 제1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세 부분, 즉 DwPTS, GP, 및 UpPTS를 포함하는 TDD 특수 서브프레임인 반면, 제2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다.
기지국은, 앵커 캐리어가 앵커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의 송신 구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서브프레임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캐리어가 앵커 캐리어이면, UE는 앵커 캐리어상의, 즉 제1 캐리어상의, 제1 서브프레임에 대해, 앵커 캐리어의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구성된 송신 모드를 사용할 수 있고; 제1 서브프레임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타임슬롯(DwPTS), 보호 기간(GP), 및 업링크 타임슬롯(UpPTS)을 포함하는 특수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또, 기지국은 제1 캐리어상에서 대응하는 업링크/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임의의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완전히 생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 방향에 따라 그리고 제1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의 타임슬롯 구성에 기초하여,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다운링크 신호 수신을 위한 시간 길이 및 업링크 신호 송신을 위한 시간 길이를 결정할 수 있고, 다운링크 신호 수신을 위한 시간 길이는 제1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의 다운링크 신호 수신을 위한 시간 길이와 같거나 작을 수 있고, 기지국은 다운링크 신호만을 수신하거나 업링크 신호만을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는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PDCCH)을 수신할 수 있지만,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거나 임의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은,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1 캐리어에 대응하는 제1 서브프레임의 타임슬롯 구성과 동일한 타임슬롯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서 제공된 기지국은 전술한 동적 TDD 캐리어 기술 및 상이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가지는 캐리어의 집성의 시나리오에서, 충돌 서브프레임에서의 하프 듀플렉스 UE의 자원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UE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의 비중첩 심볼에서 별개로 수신 및 송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방안은, 이동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약칭하여 "GSM"),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약칭하여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약칭하여 "WCDMA"),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약칭하여 "GPRS") 시스템,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약칭하여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약칭하여 "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ime Division Duplex, 약칭하여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약칭하여 "UMTS"), 마이크로웨이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 상호 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약칭하여 "WiMAX)" 통신 시스템 등의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약칭하여 UE)는 단말기(Terminal), 이동국(Mobile Station, 약칭하여 MS),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약칭하여 RAN)를 통해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는 또한 무선 액세서 네트워크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휴대형, 포켓형, 핸드헬드형,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 내의 이동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GSM 또는 CDMA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약칭하여 "BTS")일 수 있고, WCDMA에서의 기지국(NodeB, 약칭하여 "NB")일 수 있고, 또한 LTE에서의 진화된 NodeB (Evolved Node B, 약칭하여 "eNB" 또는 "e-NodeB")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의 실시예는 기지국(eNB)와 사용자 장비(UE)를 예로서 사용한다.
본 출원에 제공된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기재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 분할은 단지 논리 기능 분할일뿐이며, 실제 구현에서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느 모듈은 다른 시스템에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있거나, 또는 특징들은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당업자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상기 저장 매체는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일 뿐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모든 변형 또는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따라야 한다.

Claims (38)

  1.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가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UE가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제1 업링크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UE가, 상기 제1 업링크 신호가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1 부분을 점유하고,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 포함된 심볼의 수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심볼의 수보다 작음 -;
    상기 제1 업링크 신호가 상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이면, 상기 UE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심볼의 제1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시간 영역에서 중첩하지 않는,
    정보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업링크 수신확인/부정 수신확인(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ACK/NACK) 정보, 업링크 복조 참조 신호, 업링크 데이터 채널, 채널 상태 정보, 스케줄링 요청 지시자(scheduling request indicator), 및 랜덤 액세스 정보(random access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송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 및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하나의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캐리어상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은 제1 캐리어상에 있고,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제2 캐리어상에 있으며,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은 상기 제1 캐리어 및 상기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하고; 상기 UE는 하프 듀플렉스(half-duplex) UE인, 정보 송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 또는 상기 제2 캐리어상의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은 TDD 특수 서브프레임인, 정보 송신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UE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UE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에 따라,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UE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에 따라,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업링크 수신확인/부정 수신확인(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UE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 브로드캐스팅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SRS), 업링크 복조 참조 신호, 채널 상태 정보, 스케줄링 요청 지시자, 및 랜덤 액세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송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향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다운링크 ACK/NACK 채널, 향상된 다운링크 ACK/NACK 채널, 및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송신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 타임슬롯, 또는 업링크 타임슬롯(uplink timeslot, UpPTS) 영역이고; 및/또는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 타임슬롯, 또는 다운링크 타임슬롯(downlink timeslot, DwPTS) 영역, 또는 종래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 영역인, 정보 송신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면, 상기 UE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고, 상기 UE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생략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면, 상기 UE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3 부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고, 상기 UE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심볼의 제1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3 부분은 중첩하지 않는, 정보 송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의 제2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1 부분 사이에 보호 시간 간격이 존재하고; 및/또는
    상기 심볼의 제3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1 부분 사이에 보호 시간 간격이 존재하는, 정보 송신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가 상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UE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것을 생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송신 방법.
  11. 기지국이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UE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업링크 신호가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1 부분을 점유하고,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 포함된 심볼의 수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심볼의 수보다 작음 -;
    상기 제1 업링크 신호가 상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이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에,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심볼의 제1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시간 영역에서 중첩하지 않는,
    정보 송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업링크 수신확인/부정 수신확인(ACK/NACK) 정보, 업링크 복조 참조 신호, 업링크 데이터 채널, 채널 상태 정보, 스케줄링 요청 지시자, 및 랜덤 액세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송신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 및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하나의 시간 분한 듀플렉스(TDD) 캐리어상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은 제1 캐리어상에 있고,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제2 캐리어상에 있고,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은 상기 제1 캐리어 및 상기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하고; 상기 UE는 하프 듀플렉스 UE인, 정보 송신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 또는 상기 제2 캐리어상의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은 TDD 특수 서브프레임인, 정보 송신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UE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도록 상기 UE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업링크 수신확인/부정 수신확인(ACK/NACK)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UE를 구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 브로드캐스팅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SRS), 업링크 복조 참조 신호, 채널 상태 정보, 스케줄링 요청 지시자, 및 랜덤 액세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상기 UE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송신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에,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향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EPDCCH), 다운링크 ACK/NACK 채널, 향상된 다운링크 ACK/NACK 채널, 및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PCFI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송신 방법.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 타임슬롯, 또는 UpPTS 영역이고; 및/또는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 타임슬롯, DwPTS 영역, 또는 종래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 영역인, 정보 송신 방법.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downlink scheduling assignment)이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에,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에,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에 의해 지시 또는 스케줄링됨 -;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생략하는 단계; 또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에,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3 부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에 의해 지시 또는 스케줄링되고, 상기 심볼의 제3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은 중첩하지 않음 -;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심볼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송신 방법.
  19.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의 제2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1 부분 사이에 보호 시간 간격이 존재하고; 및/또는
    상기 심볼의 제3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1 부분 사이에 보호 시간 간격이 존재하는, 정보 송신 방법.
  20.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를 위해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제1 업링크 신호가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인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모듈 - 상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1 부분을 점유하고,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 포함된 심볼의 수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심볼의 수보다 작음 -;
    상기 제1 업링크 신호가 상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이면,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상기 제2 부분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심볼의 제1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시간 영역에서 중첩하지 않는,
    사용자 장비(UE).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업링크 수신확인/부정 수신확인(ACK/NACK) 정보, 업링크 복조 참조 신호, 업링크 데이터 채널, 채널 상태 정보, 스케줄링 요청 지시자, 및 랜덤 액세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E.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 및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하나의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캐리어상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은 제1 캐리어상에 있고,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제2 캐리어상에 있고,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은 상기 제1 캐리어 및 상기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하고; 상기 UE는 하프 듀플렉스 UE인, UE.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 또는 상기 제2 캐리어상의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은 TDD 특수 서브프레임인, UE.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UE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고;
    상기 UE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업링크 수신확인/부정 수신확인(ACK/NACK)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UE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브로드캐스팅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SRS), 업링크 복조 참조 신호, 채널 상태 정보, 스케줄링 요청 지시자, 및 랜덤 액세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UE.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것은,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향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EPDCCH), 다운링크 ACK/NACK 채널, 향상된 다운링크 ACK/NACK 채널, 및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PCFI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E.
  26.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 타임슬롯, 또는 업링크 타임슬롯(UpPTS) 영역이고; 및/또는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 타임슬롯, 또는 다운링크 타임슬롯(DwPTS) 영역, 또는 종래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 영역인, UE.
  27.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한 후에,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면, 상기 UE를 위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및
    상기 UE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생략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또는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면, 상기 UE를 위해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3 부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및
    상기 UE를 위해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심볼의 제1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3 부분은 중첩하지 않는, UE.
  28. 제2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의 제2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1 부분 사이에 보호 시간 간격이 존재하고; 및/또는
    상기 심볼의 제3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1 부분 사이에 보호 시간 간격이 존재하는, UE.
  29.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가 상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가 아니면,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것을 생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판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UE.
  30. 기지국을 위해 제1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제1 업링크 신호가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인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모듈 - 상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의 심볼의 제1 부분을 점유하고,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 포함된 심볼의 수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심볼의 수보다 작음 -; 및
    상기 제1 업링크 신호가 상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인 경우, 상기 UE에,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심볼의 제1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시간 영역에서 중첩하지 않는,
    기지국.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업링크 신호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업링크 수신확인/부정 수신확인(ACK/NACK) 정보, 업링크 복조 참조 신호, 업링크 데이터 채널, 채널 상태 정보, 스케줄링 요청 지시자, 및 랜덤 액세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 및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하나의 시간 분한 듀플렉스(TDD) 캐리어상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은 제1 캐리어상에 있고,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제2 캐리어상에 있고,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은 상기 제1 캐리어 및 상기 제2 캐리어상에서 상이하고; 상기 UE는 하프 듀플렉스 UE인, 기지국.
  33.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 또는 상기 제2 캐리어상의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은 TDD 특수 서브프레임인, 기지국.
  34. 제3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UE를 구성하는 것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도록 상기 UE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업링크 수신확인/부정 수신확인(ACK/NACK)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UE를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프레임 이전 시점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 브로드캐스팅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SRS), 업링크 복조 참조 신호, 채널 상태 정보, 스케줄링 요청 지시자, 및 랜덤 액세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상기 UE를 구성하도록, 구성된 구성 모듈을 포함하는, 기지국.
  35. 제30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에,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것은,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향상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EPDCCH), 다운링크 ACK/NACK 채널, 향상된 다운링크 ACK/NACK 채널, 및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PCFI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36. 제30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 타임슬롯, 또는 UpPTS 영역이고; 및/또는
    상기 심볼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 타임슬롯, DwPTS 영역, 또는 종래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 영역인, 기지국.
  37. 제30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downlink scheduling assignment)이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에,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2 부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한 후에, 상기 기지국은,
    상기 UE에, 상기 기지국을 위해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에 의해 지시 또는 스케줄링됨 -; 및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생략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
    또는
    상기 UE에, 상기 기지국을 위해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제3 부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에 의해 지시 또는 스케줄링되고, 상기 심볼의 제3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은 중첩하지 않음 -; 및
    상기 기지국을 위해 상기 제1 심볼 내의 상기 심볼의 제1 부분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38. 제30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의 제2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1 부분 사이에 보호 시간 간격이 존재하고; 및/또는
    상기 심볼의 제3 부분과 상기 심볼의 제1 부분 사이에 보호 시간 간격이 존재하는, 기지국.
KR1020157014462A 2012-11-02 2012-11-02 정보 송신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Active KR101750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2/084020 WO2014067140A1 (zh) 2012-11-02 2012-11-02 一种信息传输方法、用户设备及基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939A true KR20150079939A (ko) 2015-07-08
KR101750843B1 KR101750843B1 (ko) 2017-06-26

Family

ID=50626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4462A Active KR101750843B1 (ko) 2012-11-02 2012-11-02 정보 송신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9572153B2 (ko)
EP (1) EP2908586B1 (ko)
JP (1) JP6082121B2 (ko)
KR (1) KR101750843B1 (ko)
CN (2) CN104770030A (ko)
BR (1) BR112015009898B1 (ko)
MX (1) MX346807B (ko)
RU (1) RU2611436C2 (ko)
WO (1) WO2014067140A1 (ko)
ZA (1) ZA201503289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012A (ko) * 2016-03-18 2018-11-20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20190126834A (ko) * 2017-04-01 201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방법, 네트워크 노드 및 사용자 장치
US10834709B2 (en) 2016-03-03 2020-1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142051A (ko) * 2018-05-10 2020-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64194A (ko) * 2017-04-01 2023-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방법, 네트워크 노드 및 사용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8585A1 (ko) 2011-10-19 201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력 다중점을 위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기기
KR101750843B1 (ko) * 2012-11-02 2017-06-2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정보 송신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US10003452B2 (en) 2012-11-09 2018-06-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on with carrier aggregation of time division duplex cells
EP3211955B1 (en) 2013-01-07 2018-11-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t a base station and corresponding base station
WO2014109302A1 (ja) * 2013-01-09 2014-07-17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WO2014156617A1 (ja) * 2013-03-27 2014-10-02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4156894A1 (ja) * 2013-03-27 2014-10-02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05519014B (zh) * 2013-09-04 2018-11-02 Lg电子株式会社 用于频分双工和时分双工的聚合的方法和设备
WO2015042870A1 (en) 2013-09-27 2015-04-02 Qualcomm Incorporated Csi reporting for lte-tdd eimta
US9698962B2 (en) * 2014-05-13 2017-07-04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advance techniques for large cells
US11115174B2 (en) 2014-07-01 2021-09-07 Ntt Docomo, Inc. Base station, user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O2016006779A1 (en) * 2014-07-10 2016-01-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wing user equipment (ue) to perform ue-flexible time division duplex (tdd) mode communication in network configured to support ue-flexible tdd mode in which base station (bs) operates in full duplex mode and ue operates in half duplex mode, and the user equipment (ue) for the same
CN105634666B (zh) * 2014-11-05 2019-08-1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在非授权频段上的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13411171B (zh) * 2015-01-26 2024-03-19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设备
US10342012B2 (en) 2015-03-15 2019-07-02 Qualcomm Incorporated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US9936519B2 (en) 2015-03-15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10075970B2 (en) 2015-03-15 2018-09-11 Qualcomm Incorporated Mission critical data support in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US9949220B2 (en) * 2015-03-27 2018-04-1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scheduling with power control command in an FDD half-duplex network
WO2016162873A1 (en) * 2015-04-09 2016-10-13 Sckipio Technologies S.I Ltd 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adapted for concurrently operating over a communication channel susceptible to crosstalk from at least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CN106160838B (zh) * 2015-04-16 2020-02-0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传输数据的方法和设备
US9814058B2 (en) 2015-05-15 2017-11-07 Qualcomm Incorporated Scaled symbols for a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US9992790B2 (en) 2015-07-20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supporting single and multiple interlace modes
CN105245322B (zh) * 2015-09-30 2019-08-06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半双工通信方法、终端及发射台
US10172118B2 (en) 2015-12-09 2019-01-01 Qualcomm Incorporated Decoupled mode for a common uplink burst transmission in a time division duplex subframe structure
JP6719749B2 (ja) * 2016-02-04 2020-07-08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上り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関連装置
US10225109B2 (en) * 2016-03-11 2019-03-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SRS transmission in FDR mode
US11057099B2 (en) 2016-03-18 2021-07-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circuit for multi-antenna apparatus
WO2017166234A1 (zh) * 2016-03-31 2017-10-05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传输方法、信号传输控制方法、用户设备及基站
KR102188674B1 (ko) 2016-04-01 2020-12-0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Srs 스위칭, 송신, 및 강화들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3435722B1 (en) * 2016-04-01 2020-08-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Uplink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unlicensed spectrum
KR102410282B1 (ko) * 2016-04-05 2022-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확장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이용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8702736B (zh) * 2016-05-03 2021-01-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调度方法以及终端设备
WO2017206031A1 (zh) * 2016-05-30 2017-12-07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及装置
WO2018058743A1 (zh) 2016-09-30 2018-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混合自动重传请求确认信息的反馈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EP3515024B1 (en) 2016-09-30 2021-11-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channel,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WO2018081999A1 (zh) * 2016-11-04 2018-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信息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CN108282881B (zh) * 2017-01-06 2020-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配置方法及装置
US10484879B2 (en) * 2017-03-28 2019-11-19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ed communication across wireless communication spectrum
EP3614759B1 (en) * 2017-04-21 2022-04-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time-frequency resource transmission direction
US11025326B2 (en) 2017-06-16 2021-06-01 Apple Inc. Channel state information concatenation and antenna port measurement
CN114938534B (zh) * 2017-06-16 2024-08-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及装置
US11496281B2 (en) * 2017-07-31 2022-11-08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transmission direction
WO2019047874A1 (zh) * 2017-09-08 2019-03-14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发送的方法及装置
CN110768760B (zh) 2018-07-26 2024-02-02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发送的方法及装置
EP3682549B1 (en) 2017-09-15 2021-12-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antenna communication data-converter clocking
CN108521884B (zh) * 2017-12-29 2022-07-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传输方法及装置、接收方法及装置
JP7327483B2 (ja) * 2018-12-14 2023-08-16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trp送信のための方法、デバイス、及びプログラム
CN111385079B (zh) 2018-12-31 2022-02-18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网络通信方法和终端设备
CN111436134B (zh) * 2019-01-11 2024-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WO2020201119A2 (en) * 2019-03-29 2020-10-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device, first network node, second 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by, for handling a power of transmission
AU2019459712B2 (en) * 2019-07-26 2022-05-1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WO2021035595A1 (en) * 2019-08-29 2021-03-04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ing guard intervals for multiple uplink carriers
CN113452490A (zh) * 2020-03-25 2021-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载波配置方法、装置及系统
EP4186297A4 (en) * 2020-07-31 2023-09-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EHT-SIG DETECTION WITH DIFFERENT DIVERSITY SCHEME
WO2022188724A1 (zh) * 2021-03-11 2022-09-15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物理上行信道传输资源的方法及其装置
US11632776B2 (en) * 2021-09-03 2023-04-1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handling overlapping transmissions after timing adjustmen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65513B (zh) * 2004-05-01 2014-11-26 桥扬科技有限公司 用于以时分双工进行通信的方法和装置
CN101431362B (zh) * 2007-11-08 2012-10-0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时分双工系统的子帧分配方法及装置
CN101309523B (zh) * 2008-06-23 2014-09-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传输物理下行控制信道信号的方法
CN101686544A (zh) 2008-09-22 2010-03-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专用随机接入资源的分配方法和基站
US9019903B2 (en) * 2008-12-08 2015-04-28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ation to support uplink coordinated multi-point
WO2010150517A1 (ja) * 2009-06-22 2010-12-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中継局装置、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中継方法、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1028078A2 (ko) * 2009-09-07 201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및 장치
US20120269161A1 (en) 2009-11-13 2012-10-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xing Uplink and Downlink RF Switching
US8824968B2 (en) * 2009-12-10 2014-09-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50371B1 (ko) * 2009-12-24 2017-07-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을 지원하는 tdd 통신시스템에서 물리채널의 송수신 타이밍을 정의하는 방법
CA2786896C (en) * 2010-01-11 2017-01-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arrier aggre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310789A1 (en) * 2010-06-21 2011-12-22 Teck Hu Method of uplink control channel allocation for a relay backhaul link
JP5511708B2 (ja) * 2011-02-18 2014-06-04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5632319B2 (ja) 2011-03-29 2014-11-26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
US9001756B2 (en) * 2011-04-27 2015-04-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and 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enhancements
WO2013018303A1 (ja) * 2011-07-29 2013-02-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制御装置、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30126427A (ko) * 2012-05-11 2013-11-20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의 성능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750843B1 (ko) * 2012-11-02 2017-06-2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정보 송신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4709B2 (en) 2016-03-03 2020-1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80124012A (ko) * 2016-03-18 2018-11-20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20190126834A (ko) * 2017-04-01 201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방법, 네트워크 노드 및 사용자 장치
US11736989B2 (en) 2017-04-01 202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ndom access method, network node and user equipment
KR20230164194A (ko) * 2017-04-01 2023-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방법, 네트워크 노드 및 사용자 장치
US12262260B2 (en) 2017-04-01 2025-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ndom access method, network node and user equipment
KR20200142051A (ko) * 2018-05-10 2020-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737134B2 (en) 2018-05-10 202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42715A1 (en) 2017-05-18
RU2611436C2 (ru) 2017-02-22
EP2908586A4 (en) 2015-09-23
MX346807B (es) 2017-03-31
ZA201503289B (en) 2016-11-30
JP6082121B2 (ja) 2017-02-15
CN109088713B (zh) 2021-05-18
US9572153B2 (en) 2017-02-14
US20150237626A1 (en) 2015-08-20
RU2015120761A (ru) 2016-12-20
CN109088713A (zh) 2018-12-25
US20180007690A1 (en) 2018-01-04
BR112015009898B1 (pt) 2022-12-20
BR112015009898A8 (pt) 2019-09-17
CN104770030A (zh) 2015-07-08
EP2908586A1 (en) 2015-08-19
BR112015009898A2 (pt) 2017-07-11
EP2908586B1 (en) 2019-02-20
MX2015005528A (es) 2015-10-29
KR101750843B1 (ko) 2017-06-26
WO2014067140A1 (zh) 2014-05-08
JP2015537449A (ja) 2015-12-24
US9788319B2 (en) 2017-10-10
US10383116B2 (en)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843B1 (ko) 정보 송신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US108800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rrier aggregation
US20230239889A1 (en) Uplink Subframe Shortening in Time-Division Duplex (TDD) Systems
CN114826499B (zh) 识别用于发送第一上行链路信道的资源
US10219255B2 (en) Time domain multiplexing UL transmission on multiple serving cells for a mobile station with single transmitter
KR10227144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 간 상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JP6557423B2 (ja) 非免許帯域を支援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上りリンク信号を送信する方法及びそれを支援する装置
KR102156886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셀을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122917B (zh) 动态tdd配置用户设备和方法
EP3198959B1 (en) A method and device of resource allocations for scheduling assignments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JP2018513646A (ja) データチャネル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lc機器
US11601960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resource allocation
CN105917697A (zh) 用户终端、无线基站以及无线通信方法
JP2015139108A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190056429A (ko) 업 링크 제어 정보(uci)의 전송 방법 및 장치
EP3383107B1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HK1226877B (en) Downlink subframe shortening method and apparatus in time-division duplex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5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