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1305A - 바이퓨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퓨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71305A KR20150071305A KR1020130158172A KR20130158172A KR20150071305A KR 20150071305 A KR20150071305 A KR 20150071305A KR 1020130158172 A KR1020130158172 A KR 1020130158172A KR 20130158172 A KR20130158172 A KR 20130158172A KR 20150071305 A KR20150071305 A KR 201500713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 vehicle
- supply system
- starting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02—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퓨얼 시스템 및 바이퓨얼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을 시동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제1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시도되면, 상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상기 제1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기초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을 시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시동이 꺼질 때 제1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연료로 시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시동이 불가능한 경우 제1 연료로 차량을 시동함으로써 특정 조건에서 시동이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으로 차량을 시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이퓨얼 시스템 및 바이퓨얼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재되는 멀티 퓨얼 엔진 또는 멀티 퓨얼 시스템은 하나의 엔진으로 두 가지 이상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엔진이다. 두 종류의 연료를 사용하는 바이퓨얼 엔진이 탑재된 차량은 가솔린 연료, LPG 연료 같이 두 종류의 연료로 주행이 가능하다.
종래의 바이퓨얼 시스템에 의하면 각 연료가 독립적인 연료 공급 계통을 통해 엔진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각각의 연료에 대응하는 인젝터 및 연료 레일 등 연료 탱크로부터 차량의 엔진으로 연료가 공급되기 위한 연료 공급 계통이 필요하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직분사 바이퓨얼 시스템은 양 연료간 인젝터, 연료 레일 등 연료 공급 계통을 공유한다. 직분사 바이퓨얼 시스템은 각각의 연료마다 인젝터, 연료 레일 등 연료 공급 계통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별도의 엔진 가공 작업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시스템 구성 비용 측면에서 직분사 바이퓨얼 시스템은 종래의 바이퓨얼 시스템에 비해 유리하다.
그러나, 연료 공급 압력이 상이한 두 가지 연료를 하나의 연료 공급계를 통해 공급하는 직분사 바이퓨얼 시스템에서 LPG 연료로 주행 후 다시 시동을 걸면서 가솔린 연료를 선택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시동이 꺼질 때 연료 교환부, 인젝터, 연료 공급 라인에는 잔여 LPG 연료가 남아있을 수 있는데, 연료 공급 계통에 남아있는 LPG 연료가 기화되어 시동 시 선택한 가솔린 연료에 비해 높은 압력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기화된 잔여 LPG 연료의 압력이 공급되는 가솔린 연료에 비해 압력이 높으면 시동이 걸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이 꺼질 때 제1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연료로 시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시동이 불가능한 경우 제1 연료로 차량을 시동함으로써 특정 조건에서 시동이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으로 차량을 시동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을 시동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제1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시도되면, 상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상기 제1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기초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을 시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을 시동하는 연료 교환부,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제1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 정보 추출부 및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시도되면, 상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상기 제1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기초로 판단하는 연료 교환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교환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을 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시동이 꺼질 때 제1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연료로 시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시동이 불가능한 경우 제1 연료로 차량을 시동함으로써 특정 조건에서 시동이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으로 차량을 시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퓨얼 시스템의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퓨얼 시스템을 사용하는 차량의 연료 공급 계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b는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이 시동할 때 도 2a에 나타난 연료 공급 계통 내부의 연료 공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c는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시도될 때 도 2a에 나타난 연료 공급 계통 내부의 연료 공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d는 연료 공급 계통에 남아있는 제1 연료를 소모시킬 때 도 2a에 나타난 연료 공급 계통 내부의 연료 공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e는 차량의 시동 후 차량의 연료를 제2 연료로 교환했을 때 도 2a에 나타난 연료 공급 계통 내부의 연료 공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퓨얼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퓨얼 시스템을 사용하는 차량의 연료 공급 계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b는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이 시동할 때 도 2a에 나타난 연료 공급 계통 내부의 연료 공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c는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시도될 때 도 2a에 나타난 연료 공급 계통 내부의 연료 공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d는 연료 공급 계통에 남아있는 제1 연료를 소모시킬 때 도 2a에 나타난 연료 공급 계통 내부의 연료 공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e는 차량의 시동 후 차량의 연료를 제2 연료로 교환했을 때 도 2a에 나타난 연료 공급 계통 내부의 연료 공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퓨얼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퓨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바이퓨얼 시스템(101)은 상태 정보 추출부(102), 연료 교환 판단부(104), 연료 교환부(106)를 포함한다.
연료 교환부(106)는 제1 연료 또는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을 시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이퓨얼 시스템(101)은 제1 연료 탱크 및 제2 연료 탱크에 연결되어 각 연료를 연료 공급 계통을 통해 차량의 엔진으로 공급한다. 이 때, 연료 공급 계통은 바이퓨얼 시스템(101)외에도 고압 펌프, 연료 레일,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인젝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퓨얼 시스템(101)은 제1 연료 탱크 및 제2 연료 탱크에 연결되는데, 제1 연료 탱크가 선택되면 제1 연료를 엔진 공급 계통을 통해 엔진으로 공급하고 제2 연료 탱크가 선택되면 제2 연료를 엔진 공급 계통을 통해 엔진으로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바이퓨얼 시스템(101)의 연료 교환부(106)는 엔진으로 공급되는 제1 연료 또는 제2 연료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료 교환부(106)는 제1 연료 탱크 및 제2 연료 탱크에 공급 라인과 회수 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공급 라인은 각 연료가 엔진으로 공급되기 위하여 연료 공급 계통으로 공급되는 배관이고 회수 라인은 공급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다시 연료 탱크로 회수하기 위한 배관이다. 각각의 공급 라인 및 회수 라인은 개방/폐쇄 제어를 위한 솔레노이드를 제어함으로써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상태 정보 추출부(102)는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제1 연료에 대한 연료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연료에 대한 연료 상태 정보는 제1 연료의 종류에 대한 정보, 연료 공급 계통에 제1 연료가 남아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차량의 시동이 꺼진 때로부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시도되기까지의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연료 교환 판단부(104)는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시도되면,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제1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기초로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 구동한 후 다시 시동이 시도될 때 제1 연료에서 제2 연료로 교환하려고 할 수 있다. 연료 교환 판단부(104)는 제1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지 여부, 즉 제1 연료에서 제2 연료로 교환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료 교환 판단부(104)는 연료 공급 계통에 제1 연료가 남아있을 때 차량의 시동이 꺼진 때로부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시도되기까지의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큰 경우 제2 연료를 이용한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료가 LPG와 같은 가스 연료이고 제2 연료는 가솔린이나 경유와 같은 액체 연료인 경우, 제1 연료는 연료 탱크에서 액상의 상태로 존재하지만 연료 공급 계통을 통해 공급되는 과정에서 기화될 수 있다. 엔진 공급 계통에 기체 상태의 제1 연료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제2 연료를 이용한 차량의 시동이 시도될 수 있다. 이 때 액체 상태의 제2 연료가 기체 상태의 LPG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다면 시동이 불가능할 수 있다. 즉, 연료 공급 계통에 남아있는 기체 상태의 제1 연료의 압력이 다시 시동이 시도될 때 공급되는 제2 연료의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제2 연료는 연료 공급 계통을 통해 공급될 수 없다.
따라서, 연료 교환 판단부(104)는 제1 연료 사용 중에 시동이 꺼지고 다시 차량을 시동할 때 제2 연료가 선택되는 경우, 연료 공급 계통에 제1 연료가 남아있고 시동이 꺼진 때로부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시도되기까지의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큰 경우 시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다.
연료 교환부(106)는 판단 결과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을 시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일정 시간이 지나기 전까지는 연료 공급 계통 내에 제1 연료가 기체 상태로 존재한다. 때문에 연료 공급 계통 내에 남아있는 제1 연료보다 압력이 더 낮은 제2 연료는 엔진으로 공급될 수 없다.
따라서, 연료 교환부(106)는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시도되더라도, 제1 연료를 강제 선택하여 제1 연료로 시동을 시도한다. 연료 교환부(106)는 엔진 공급 계통에 남아있는 제1 연료를 모두 소모시키고, 제1 연료가 모두 소모되면 차량의 연료를 제2 연료로 교환한다.
연료 교환부(106)는 제1 연료를 모두 소모시키기 위하여 제1 연료 탱크와 연료 교환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연료 회수 라인을 폐쇄시킬 수 있다. 제1 연료 회수 라인은 솔레노이드를 제어함으로써 폐쇄될 수 있다. 제1 연료 회수 라인을 폐쇄시키면 제1 연료 공급 라인을 통해 제1 연료가 공급되기만 하기 때문에 연료 공급 계통 내에 존재하는 제1 연료가 모두 소모될 수 있다. 연료 교환부(106)는 연료 공급 계통 내에 제1 연료가 모두 소모되어 제2 연료로 교환할 수 있을 때 제2 연료로 교환한다.
본 발명의 바이퓨얼 시스템(101)에 의하여 제2 연료로 재시동이 불가능한 경우 제1 연료를 강제 선택하고 엔진 공급 계통 내 잔여 연료가 모두 소모되면 제2 연료로 교환함으로써 안정적인 시동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퓨얼 시스템을 사용하는 차량의 연료 공급 계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연료 탱크(210) 및 제2 연료 탱크(211)의 제1 연료 및 제2 연료는 고압 펌프(230)를 통해 연료 레일(232)과 연결된 인젝터(234a, 234b)를 통해 엔진에 분사될 수 있다. 이 때, 바이퓨얼 시스템(201)은 제1 연료 탱크 또는 제2 연료 탱크를 선택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연료 탱크와 바이퓨얼 시스템(201)의 연료 교환부(206) 사이의 공급 라인(214) 및 회수 라인(215)을 통해 엔진으로 연료가 공급된다. 연료 교환부(206)는 각각의 공급 라인(214) 및 회수 라인(215)을 개방/폐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217, 219)를 통해 제1 연료의 공급 또는 회수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도 2b는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이 시동할 때 도 2a에 나타난 연료 공급 계통 내부의 연료 공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이 시동할 때 연료 교환부는 제1 연료를 선택한다. 제1 연료 공급 라인 및 제1 연료 회수 라인에는 제1 연료(250)가 공급된다. 제1 연료(250)는 고압 펌프를 지나 연료 레일의 인젝터를 통해 엔진으로 분사된다.
도 2c는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시도될 때 도 2a에 나타난 연료 공급 계통 내부의 연료 공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을 운행한 후 시동이 꺼질 때 상태 정보 추출부는 제1 연료의 종류, 연료 공급 계통에 제1 연료가 남아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차량의 시동이 꺼진 때로부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시도되기까지의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제1 연료(252)는 LPG와 같은 가스 연료이고 제2 연료(254)는 가솔린이나 경유와 같은 액체 연료인 경우, 시동이 꺼질 때 도 2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연료 공급 라인(214), 제1 연료 회수 라인(215), 고압 펌프(230), 연료 레일(232) 및 인젝터(234a, 234b)에 제1 연료(252)가 남아있다. 제1 연료(252)는 제1 연료 탱크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고, 제1 연료 탱크 내의 연료 펌프를 구동함으로써 엔진에 액체 상태의 연료를 공급한다. 한편, 엔진이 정지한 상태에서는 제1 연료가 고온으로 인하여 기화됨으로써 연료 공급 계통 내부에 남아있는 제1 연료의 압력은 제2 연료의 공급 압력보다 높을 수 있다. 그 결과, 제2 연료(254)가 선택되더라도 연료 공급 계통에 남아있는 제1 연료(252)로 인하여 시동이 불가능할 수 있다.
도 2d는 연료 공급 계통에 남아있는 제1 연료를 소모시킬 때 도 2a에 나타난 연료 공급 계통 내부의 연료 공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d를 참조하면, 연료 교환부(206)는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한 경우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을 시동한다. 다시 말해, 운전자가 제2 연료를 선택하더라도 제2 연료로 시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을 시동한다. 이어서, 연료 교환부(206)는 연료 공급 계통에 남아있는 제1 연료(256)를 소모시킨다.
도 2e는 차량의 시동 후 차량의 연료를 제2 연료로 교환했을 때 도 2a에 나타난 연료 공급 계통 내부의 연료 공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e를 참조하면, 남아있는 제1 연료가 모두 소모된 후 차량의 연료를 제2 연료로 교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퓨얼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을 시동한다(302).
그 다음,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제1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304). 여기서, 연료 상태 정보는 제1 연료의 종류에 대한 정보, 연료 공급 계통에 제1 연료가 남아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차량의 시동이 꺼진 때로부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시도되기까지의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그 다음, 제2 연료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306).
단계(306)에서 제2 연료가 선택되면, 차량을 시동할 때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308).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제1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연료 공급 계통에 제1 연료가 남아있을 때 차량의 시동이 꺼진 때로부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시도되기까지의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큰 경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다음, 잔여 제1 연료를 소모시킨다(312). 즉, 연료 공급 계통에 남아있는 제1 연료를 소모시킨다. 단계(312)를 위하여, 제1 연료 탱크와 연료 교환기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연료 회수 라인을 폐쇄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2 연료로 교환한다(314). 연료 공급 계통에 남아있는 제1 연료가 모두 소진된 후에는, 제1 연료로 인한 압력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의 연료를 제2 연료로 교환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2)
-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을 시동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제1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시도되면, 상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상기 제1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기초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을 시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이퓨얼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을 시동하는 단계는
연료 공급 계통에 남아있는 상기 제1 연료를 소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이퓨얼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 계통에 남아있는 상기 제1 연료를 소모시키는 단계는
제1 연료 탱크와 연료 교환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연료 회수 라인을 폐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이퓨얼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후 상기 차량의 연료를 제2 연료로 교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바이퓨얼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연료의 종류에 대한 정보, 상기 연료 공급 계통에 제1 연료가 남아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때로부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시도되기까지의 시간 정보
를 포함하는 바이퓨얼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시도되면, 상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상기 제1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기초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연료 공급 계통에 제1 연료가 남아있을 때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때로부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시도되기까지의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이퓨얼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차량을 시동하는 연료 교환부;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제1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 정보 추출부; 및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시도되면, 상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상기 제1 연료의 연료 상태 정보를 기초로 판단하는 연료 교환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교환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1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을 시동하는
바이퓨얼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교환부는
연료 공급 계통에 남아있는 상기 제1 연료를 소모시키는
바이퓨얼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교환부는
제1 연료 탱크와 연료 교환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연료 회수 라인을 폐쇄시키는 바이퓨얼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교환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 후 상기 차량의 연료를 제2 연료로 교환하는
바이퓨얼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연료의 종류에 대한 정보, 상기 연료 공급 계통에 제1 연료가 남아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때로부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시도되기까지의 시간 정보
를 포함하는 바이퓨얼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교환 판단부는
상기 연료 공급 계통에 제1 연료가 남아있을 때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때로부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시도되기까지의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연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바이퓨얼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8172A KR101535730B1 (ko) | 2013-12-18 | 2013-12-18 | 바이퓨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8172A KR101535730B1 (ko) | 2013-12-18 | 2013-12-18 | 바이퓨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1305A true KR20150071305A (ko) | 2015-06-26 |
KR101535730B1 KR101535730B1 (ko) | 2015-07-09 |
Family
ID=5351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8172A KR101535730B1 (ko) | 2013-12-18 | 2013-12-18 | 바이퓨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573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11597A (ko) | 2015-07-23 | 2017-02-02 | 김영희 | 이씨유 일체형 인젝터를 갖는 차량용 바이퓨얼 시스템 |
KR20190006685A (ko) * | 2017-07-11 | 2019-01-21 | 자동차부품연구원 | 천연가스와 가솔린 바이퓨얼 차량의 가솔린 연료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40675A (ja) * | 2004-02-26 | 2005-09-08 | Toyota Motor Corp | バイフューエル筒内直噴エンジンの気体燃料噴射弁の保護制御方法 |
KR20130075564A (ko) * | 2011-12-27 | 2013-07-05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 바이 퓨얼 차량의 시동 제어 방법 |
-
2013
- 2013-12-18 KR KR1020130158172A patent/KR10153573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11597A (ko) | 2015-07-23 | 2017-02-02 | 김영희 | 이씨유 일체형 인젝터를 갖는 차량용 바이퓨얼 시스템 |
KR20190006685A (ko) * | 2017-07-11 | 2019-01-21 | 자동차부품연구원 | 천연가스와 가솔린 바이퓨얼 차량의 가솔린 연료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35730B1 (ko) | 2015-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306836B (zh) | 估计燃料系统完整性的方法和系统 | |
KR101284804B1 (ko) | 직접분사 엘피아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 |
KR101927565B1 (ko) | 직분사 연소 엔진에 제공되는 액화 가스 연료에서 액체 연료로의 절환 방법, 및 그러한 엔진을 위한 이중-연료 시스템 | |
JPH1136990A (ja) | 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 |
US20160290248A1 (en) | Fuel supply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20180067185A (ko) | 하드웨어 웨이크 업 주기제어방식 엔진 시동성 개선 방법 및 차량 | |
KR101535730B1 (ko) | 바이퓨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JP2006257907A (ja) | 内燃機関の始動システム | |
KR101383751B1 (ko) | 바이 퓨얼 공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 |
KR100999613B1 (ko) | 엘피아이 엔진의 연료 공급시스템 | |
KR20120090212A (ko) | 가솔린 및 엘피지 겸용 차량의 연료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
KR100534688B1 (ko) |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 |
KR20070064807A (ko) | 가솔린 및 엘피지 겸용 자동차의 엔진 구동 장치 및 방법 | |
KR101969935B1 (ko) | 직접분사식 액상연료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 |
US8079342B2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100664371B1 (ko) | 엘피아이 차량의 고장 진단 방법 | |
JP2005090392A (ja) |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 |
KR100793995B1 (ko) | Lpi 시스템 차량의 연료 오학습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
JP2003097307A (ja) | ジメチルエーテル用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料供給システム | |
KR20140057024A (ko) | Lpg 직접 분사 시스템 | |
KR100758489B1 (ko) | 엘피아이 차량의 재시동성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0672193B1 (ko) |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 제어 장치 | |
KR20180007487A (ko) | 직접분사식 엘피아이 개조 차량의 연료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
KR100771824B1 (ko) |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 공급 장치 및 방법 | |
KR20060032812A (ko) |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압 제어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