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573A - 수동형 rfid 리더, 수동형 rfid 태그 및 각각에서의 확장 pie 인코딩/디코딩을 이용한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수동형 rfid 리더, 수동형 rfid 태그 및 각각에서의 확장 pie 인코딩/디코딩을 이용한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5573A KR20150065573A KR1020140160991A KR20140160991A KR20150065573A KR 20150065573 A KR20150065573 A KR 20150065573A KR 1020140160991 A KR1020140160991 A KR 1020140160991A KR 20140160991 A KR20140160991 A KR 20140160991A KR 20150065573 A KR20150065573 A KR 201500655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t
- length
- data
- symbol
- interv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9 physical stand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19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setting parameters for the interrogator, e.g. programming parameters and operating m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H04L25/4902—Pulse width modulation; Pulse position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주파수인식(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에서의 확장 PIE(Pulse-Interval Encoding) 변조 방법으로, 2 비트로 구성된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되, 송신 데이터의 제 1 비트 값에 따라 심볼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와, 송신 데이터의 제 2 비트 값에 따라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동형 RFID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더에서 태그로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변/복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주파수인식(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은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고유한 식별 정보를 가지고 있는 태그로부터 비접촉식으로 정보를 독출하거나 기록함으로써 태그가 부착된 물건이나 동물, 사람 등을 인식, 추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RFID 시스템은 고유한 식별정보를 지니고 물건이나 동물 등에 부착되는 다수의 electronic tag 또는 transponder(이하 '태그'라 기재함)와 태그의 정보를 읽거나 쓰기 위한 RFID 리더(Reader 또는 Interrogator)로 구성된다.
이중 수동형 RFID 시스템은 대상 정보를 가지고 있는 태그가 전원과 무선 신호 전송을 위한 장치를 가지고 있지 않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수동형 RFID 시스템은 개별 대상체 정보 제공 등이 가능하여 바코드에 비해서 다양한 응용분야를 가질 수 있다. 최근, RFID 기술은 주로 태그 ID만을 이용하는 개별물품 단위 인식 기술 및 응용분야에서 항공, 자동차, 조선, 철강 분야 등에서 부품관리를 위하여 32Kbyte 혹은 64Kbyte 이상의 태그 사용자 메모리(user memory)를 이용한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으로 읽고/쓰는 기술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수동형 RFID 기술로는 상기에서 요구하는 사항들을 만족시키는데 한계점이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태그-리더간, 리더-태그간 통신을 통해 고속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수동형 RFID 시스템의 리더는 ISO/IEC 18000-63 국제 표준 규격에 정의된 PIE(Pulse-Interval Encoding) 인코딩 방식을 사용하여 태그로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하지만, PIE 인코딩 방식은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가 128Kbps 밖에 되지 않아 대용량 데이터를 태그와 고속으로 주고받기에는 한계가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리더를 사용하여 태그에 대용량 데이터를 쓰고자 할 때, 리더에서는 태그 메모리에 저장할 데이터 및 주소값을 리더의 쓰기(Write) 명령에 포함시켜 보내주어야 하는데, 쓰기 데이터가 대용량일 경우에는 데이터를 분할하여 쓰기(Write) 명령을 태그로 반복 전송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고속으로 리더에서 태그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태그 대용량 메모리에 저장 된 데이터를 리더의 읽기(Read) 명령을 사용하여 읽고자 할 때, 한 번에 태그로부터 많은 데이터를 읽을 경우 리더에서 수신 데이터 패킷에 대한 에러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읽고자 하는 데이터 크기를 분할하여 여러 번의 읽기(Read) 명령을 태그로 전송해 주어야 한다. 이 경우에도 리더에서 태그로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태그는 수동형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리더에서 전송하는 인코딩 데이터의 구조가 간단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RFID 리더 장치에서 RFID 태그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기 위한 수동형 RFID 리더, 수동형 RFID 태그 및 각각에서의 확장 PIE 변/복조를 이용한 송/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RFID 리더에서 전송하는 인코딩 데이터의 구조가 간단한 수동형 RFID 리더, 수동형 RFID 태그 및 각각에서의 확장 PIE 변/복조를 이용한 송/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선주파수인식(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에서의 확장 PIE(Pulse-Interval Encoding) 인코딩을 이용한 송신 방법으로, RFID 태그에 전송할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된 송신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를 2비트씩 하나의 심볼 구간에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각 심볼 구간에 인코딩되는 2 비트의 데이터 중 제 1 비트 값에 따라 심볼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와, 각 심볼 구간에 인코딩되는 2 비트의 데이터 중 제 2 비트 값에 따라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선주파수인식(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에서의 확장 PIE(Pulse-Interval Encoding) 디코딩을 이용한 수신 방법으로, 수신 신호를 각 심볼 구간에서 2비트씩 디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로부터 수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코딩하는 단계는 수신 신호의 심볼 길이에 따라 수신 데이터의 제 1 비트를 결정하는 단계와, 수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에 따라 수신 데이터의 제 2 비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확장 PIE 인코딩을 이용한 수동형 RFID 리더로, RFID 태그에 전송할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프레임을 구성하는 송신 프레임 구성부와, 상기 구성된 송신 프레임에 포함된 적어도 2 비트로 구성된 송신 데이터를 2비트씩 하나의 심볼 구간에서 인코딩하는 인코딩부를 포함하되, 각 심볼 구간에 인코딩되는 2 비트의 데이터 중 제 1 비트 값에 따라 심볼 길이를 조절하는 심볼 길이 조절부와, 각 심볼 구간에 인코딩되는 2비트의 데이터 중 제 2 비트 값에 따라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확장 PIE 디코딩을 이용한 수동형 RFID 태그로, 수신 신호를 각 심볼 구간에서 2비트씩 디코딩하는 디코딩부와,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로부터 수신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신 프레임 구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코딩부는 수신 신호의 심볼 길이에 따라 수신 데이터의 제 1 비트를 결정하는 제 1 비트 결정부와, 수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에 따라 수신 데이터의 제 2 비트를 결정하는 제 2 비트 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동형 RFID 태그의 물리적 제약 조건 및 기존 RFID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만족하면서도 리더 송신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수동형 RFID 리더의 전송속도를 2배 향상시킬 수 있어 고속 전송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그러면서도 기존 수동형 RFID 기술과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신호 레벨에 따른 에너지 송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ISO/IEC 18000-63의 데이터 인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c는 ISO/IEC 18000-63에 정의된 Tari 값 및 PW 규격 테이블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PIE 인코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PIE 인코딩에 따른 심볼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PIE 인코딩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nd-of-Signal의 심볼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PIE 인코딩 방식에 따른 CRC 연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PIE 인코딩을 이용한 송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PIE 디코딩을 이용한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동형 RFID 리더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동형 RFID 태그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b는 ISO/IEC 18000-63의 데이터 인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c는 ISO/IEC 18000-63에 정의된 Tari 값 및 PW 규격 테이블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PIE 인코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PIE 인코딩에 따른 심볼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PIE 인코딩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nd-of-Signal의 심볼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PIE 인코딩 방식에 따른 CRC 연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PIE 인코딩을 이용한 송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PIE 디코딩을 이용한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동형 RFID 리더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동형 RFID 태그의 내부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a는 신호 레벨에 따른 에너지 송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신호 레벨에 따른 에너지 송신 방법은 에너지가 전송되는 high 구간인 에너지 전송 구간 및 에너지가 전송되지 않는 low PW 구간인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으로 구성된다.
도 1b는 ISO/IEC 18000-63 표준에 정의된 물리 규격에 따라 생성된 리더에서 태그로의 PIE 인코딩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PIE 인코딩 방식은 한번에 '0' 또는 '1'의 1 bit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데, 에너지 전송 구간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0' 또는 '1'를 구분되도록 한다. 여기서, 'Tari'라는 기호가 표시되어 있는데, 'Tari'는 태그로 송출되는 신호의 기준 주기(Reference Time Interval)를 의미하며, 도 1c에 정의된 값에 따라 6.25μs 내지 25μs의 수치를 가진다. 또한, 기호 'PW'는 직교성분신호의 선택 구간이 가지는 펄스폭(Pulse Width)을 의미하며, 도 1c에 정의된 값에 따라 펄스폭은 RF 인코딩신호 펄스의 30%~50% 내외 지점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data-0을 인코딩하는 방식은 에너지가 전송되는 high 구간과 에너지가 전송되지 않는 low PW(pulse width)구간으로 나누어 두 구간의 합이 1Tari 시간이 되도록 펄스폭을 조절하여 리더에서 태그로 신호를 전송한다. 반면, data-1을 인코딩하는 방식은 data-0보다 에너지 전송 구간을 더 길게 할당하고, data-0과 동일한 길이의 low PW를 뒤에 붙여 송신 신호를 인코딩한다.
이와 같이, 도 1a, 1b 및 1c의 ISO/IEC 18000-63의 PIE 인코딩 방식에서는 1 비트 정보를 고에너지 전송 시간을 다르게 하는 방식으로 전송하고,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인 PW는 bit 전송 완료 신호로만 사용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인코딩 방식으로는 1 비트의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1 비트의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는 PIE 인코딩 방식을 개선하여 2 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 확장 PIE 인코딩 방식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확장 PIE 인코딩 방식은 2 비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데, 송신 신호의 심볼 길이를 조절하여 제 1 비트를 구성하고,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 2 비트를 구성한다. 여기서, 심볼은 에너지 전송 구간과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를 합친 구간을 의미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알 실시 예에 따른 RFID 리더 장치에서의 확장 PIE 인코딩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 1 비트가 '0'인 Data-00 및 Data-01은 심볼 길이가 짧고, 제 1 비트가 '1'인 Data-10 및 Data-11은 심볼 길이가 길다. 일 예로, 제 1 비트가 '0'인 Data-00 및 Data-01은 심벌 길이를 1 Tari로 조절하고, 제 1 비트가 '1'인 Data-10 및 Data-11은 심볼 길이를 1.5 Tari 이상 2 Tari 미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1 비트가 '0'인 Data-00 및 Data-01은 심볼 길이가 길고, 제 1 비트가 '1'인 Data-10 및 Data-11은 심볼 길이가 짧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심볼 길이도 다른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 2 비트가 '0'인 Data-00 및 Data-10은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가 짧고, 제 2 비트가 '1'인 Data-01 및 Data-11은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가 길다. 일 예로,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이 PW 또는 PW 보다 길게 구성한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2 비트가 '0'인 Data-00 및 Data-10은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가 길고, 제 2 비트가 '1'인 Data-01 및 Data-11은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가 짧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도 다른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 PIE 인코딩 방법은 기존 ISO/IEC 18000-63 표준 규격을 만족하면서 전송 속도를 2배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기존 data-0, data-1에 해당하는 PIE 신호에 data-00, data-10을 할당하고, data-00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PW를 조절하여 data-01을 생성하고, data-10의 PW를 조절하여 data-11을 생성하면 기존 RFID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PIE 인코딩에 따른 심볼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전송하는 데이터의 제 1 비트가 '0'일 경우, 즉, S0(t), S1(t)의 경우 1 Tari를 심볼 길이로 결정하고, 제 1 비트가 '1'일 경우, 즉, S2(t), S3(t)일 경우 1.5 Tari를 심볼 길이로 결정한다. 여기서, 1 Tari값은 6.25~25us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송하는 데이터의 제 2 비트가 '0'일 경우, 즉 S0(t), S2(t)일 경우 0.525 Tari를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로 결정하고, 제 2 비트가 '1'일 경우, 즉 S1(t), S3(t)일 경우 MAX(0.265Tari,2us)를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로 결정한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PIE 인코딩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MSB 1bit는 심볼 구간을 1Tari와 1.5Tari로 구분하여 짧은 구간에 bit '0'를 할당하고 긴 구간에 bit '1'를 할당하였다. 또한, 1Tari 구간에서는 PW를 각각 0.25Tari와 0.75Tari 구간으로 나누어 짧은 PW 구간을 갖는 인코딩 신호는 LSB에 bit '0'를 할당하고, 긴 PW구간을 갖는 인코딩 신호에는 LSB bit '1'를 할당하였다. 1.5Tari 인코딩 신호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여, PW를 각각 0.25Tari와 0.75Tari 구간으로 나누어 짧은 PW 구간을 갖는 인코딩 신호는 LSB에 bit '0'를 할당하고, 긴 PW구간을 갖는 인코딩 신호에는 LSB bit '1'를 할당하였다. 따라서, 2 비트를 하나의 인코딩 신호에 할당하여 전송 속도를 기존보다 2배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 PIE 인코딩은 종래의 PIE 인코딩과 다르게 한 심볼당 2개의 비트가 전송되므로, RFID 리더에서 전송되는 전체 송신 데이터 비트의 갯수가 홀수 또는 짝수인지를 지시하는 신호 종료(End-of-Signal) 값을 정의할 필요가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nd-of-Signal의 심볼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송 구간의 길이가 1Tari 이하인 Dummy symbol0을 홀수 비트를 정의하는 End-of-Signal로 사용하고, 전송 구간의 길이가 1Tari 이상인 Dummy symbol2을 짝수 비트를 정의하는 End-of-Signal로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홀수 또는 짝수 비트에 따른 End-of-Signal 심볼 맵핑은 구현 방식에 따라 그 맵핑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 PIE 인코딩 방식은 한 심볼당 2개의 비트를 전송하므로, 짝수개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송신 데이터 비트의 개수 홀수일 경우 dummy bit 하나를 추가하여야 한다. 이러한 dummy bit 때문에 확장 PIE 인코딩 방식에서는 기존과 다른 CRC 연산 방식이 요구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PIE 인코딩 방식에 따른 CRC 연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n은 페이로드 비트(Payload bit) 수이고, m은 CRC bit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n 및 m의 값에 따른 CRC 연산에 대해 각각 설명되어 있다.
첫 번째로, n이 홀수(odd)이고, m이 16인 경우, 전체 송신 데이터 비트의 갯수는 홀수이므로, 페이로드(Payload) 끝에 dummy bit0을 추가하여 CRC 연산을 수행하고, 본 발명에 따라 확장 PIE 인코딩을 사용하여 한 심볼당 2비트씩 인코딩하여 전송한다. 또한, End-of-signal은 dummy bit를 제외한 유효 데이터 비트수가 홀수임을 지시하기 위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ymbol0을 전송한다.
두 번째로, n이 홀수(odd)이고, m이 5인 경우, 전체 송신 데이터 비트 수가 짝수 개가 되기 때문에 dummy bit가 필요없으며, End-of-signal은 유효 데이터 수가 짝수임을 나타내는 symbol2을 사용한다.
세 번째로, n이 짝수(even)이고, m이 16인 경우, 두 번째와 마찬가지로 dummy bit가 필요 없으며 End-of-signal은 유효 데이터 수가 짝수임을 나타내는 symbol2을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n이 짝수(even)이고, m이 경우, 유효 데이터 비트수는 홀수 개가 되기 때문에 Payload 끝에 dummy bit0을 추가하여 CRC 연산을 수행하게 되며 End-of-signal은 symbol0를 사용한다.
Dummy bit으로 0을 사용하는 것은 일 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Dummy bit로 1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PIE 인코딩을 이용한 송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도 4a를 참조하면, 확장 PIE 인코딩을 이용한 송신 방법은 RFID 태그에 전송할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S410)와, 상기 구성된 송신 프레임에 포함된 적어도 2 비트로 구성된 송신 데이터를 2비트씩 하나의 심볼 구간에서 인코딩하는 단계(S420)를 포함한다.
도 4b는 S41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RFID 리더는 페이로드를 구성하는 비트수와 CRC 비트의 합인 유효 데이터의 비트수가 홀수인지를 판단한다(S411).
S411의 판단 결과 유효 데이터의 비트수가 홀수일 경우, RFID 리더는 페이로드에 더미 비트를 추가하고(S412), 유효 데이터 비트수가 홀수임을 지시하는 신호 종료(End-of-Signaling) 비트를 유효 데이터 뒤에 추가한다(S413).
반면, S411의 판단 결과 유효 데이터의 비트수가 짝수일 경우, RFID 리더는 유효 데이터 비트수가 짝수임을 지시하는 신호 종료(End-of-Signaling) 비트를 유효 데이터 뒤에 추가한다(S413).
도 4c는 S43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구성된 송신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를 2비트씩 하나의 심볼 구간에서 인코딩하는데, RFID 리더는 RFID 태그에 전송해야 할 2비트 데이터의 제 1 비트가 '0'인지 또는 '1'인지를 판단한다(S421). S421의 판단 결과 제 1 비트가 '0'일 경우, RFID 리더는 송신 신호의 심볼 길이를 1 Tari로 인코딩한다(S422). 반면, S421의 판단 결과 제 1 비트가 '0'일 경우, RFID 리더는 송신 신호의 심볼 길이를 1 Tari보다 크게 인코딩한다(S423). 일 예로, 심볼 길이를 1.5 Tari 이상 2 Tari 미만으로 인코딩한다.
다음으로, RFID 리더는 RFID 태그에 전송해야 할 2비트의 데이터의 제 2 비트가 '0'인지 또는 '1'인지를 판단한다(S424). S424의 판단 결과 제 2 비트가 '0'일 경우, RFID 리더는 송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를 PW로 인코딩한다(S425). 반면, S424의 판단 결과 제 2 비트가 '1'일 경우, RFID 리더는 송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를 PW보다 길거나 짧게 인코딩한다(S426).
S421 내지 S426에 의해 송신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인코딩하게 되는데, RFID 리더는 S427에서 마지막 비트의 인코딩 순서인지를 판단한다(S427).
S427의 판단 결과 마지막 비트 인코딩 순서가 아닐 경우, RFID 리더는 S421로 진행하여 다음 2 비트를 인코딩하게 된다.
반면, S427의 판단 결과 마지막 비트 인코딩 순서인 경우, RFID 리더는 신호 종료(End-of-Signaling) 비트에 설정된 값에 따라 도 3a에 도시된 인코딩 방식으로 하나의 심볼 구간에서 인코딩한다(S428).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PIE 디코딩을 이용한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확장 PIE 디코딩을 이용한 수신 방법은 크게 수신 신호를 각 심볼 구간에서 2비트씩 디코딩하는 단계(S510)와, 디코딩된 데이터로부터 수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S530)를 포함한다.
도 5b는 S51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RFID 태그는 수신된 신호의 심볼 길이의 평균값을 산출한다(S511). 그런 후, 각 수신 신호의 심볼 길이가 평균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512). S512의 판단 결과, 수신 신호의 심볼 길이가 평균값 이상일 경우, 데이터의 제 1 비트를 '0'로 결정한다(S513). 반면, S512의 판단 결과, 수신 신호의 심볼 길이가 평균값 이상이 아닐 경우, 데이터의 제 1 비트를 '1'로 결정한다(S514).
다음으로, RFID 태그는 수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의 평균값을 산출한다(S515). 그리고, 각 수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가 평균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516). S516의 판단 결과, 수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구간 길이가 평균값 이상일 경우, 데이터의 제 2 비트를 '0'로 결정한다(S517). 반면, S516의 판단 결과 수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구간 길이가 평균값 이상이 아닐 경우, 데이터의 제 2 비트를 '1'로 결정한다(S518).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즉 각 수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가 평균값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평균값 이하일 경우, 데이터의 제 2 비트를 '0'로 결정하거나, 수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구간 길이가 평균값 이하가 아닐 경우, 데이터의 제 2 비트를 '1'로 결정할 수도 있다.
S5111 내지 S518에 의해 송신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인코딩하게 되는데, RFID 태그는 마지막 비트의 디코딩 순서인지를 판단한다(S519).
S519의 판단 결과 마지막 비트의 디코딩 순서가 아닐 경우, RFID 태그는 S512의 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S519의 판단 결과 마지막 비트의 디코딩 순서일 경우, RFID 태그는 수신 신호의 마지막 비트인 신호 종료(End-of-Signaling) 비트를 하나의 심볼 구간에서 디코딩한다(S520).도 5c는 S53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RFID 태그는 신호 종료(End-of-Signaling) 비트의 값에 따라 페이로드를 구성하는 비트수와 CRC 비트의 합인 유효 데이터의 비트수가 홀수인지를 판단한다(S531).
S531의 판단 결과 유효 데이터의 비트수가 홀수일 경우, RFID 태그는 페이로드의 마지막 비트를 더미 비트로 해석한다(S532).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동형 RFID 리더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동형 RFID 리더(100)는 송신 프레임 구성부(110), 인코딩부(120), 제1믹서(131), 제2믹서(132), 신호합성부(140), 필터부(150) 및 안테나(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통신프로토콜을 구비하여 태그와의 무선통신을 제어하고, 태그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정보요청신호를 송출하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회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ing)회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제어부에서 처리된 디지털 신호는 I(In-phase) 신호 및 Q(Quadrature-phase) 신호와 같은 직교 성분의 두 신호로 분리된 상태로서 그 크기는 위상 함수로 표현된다.
송신 프레임 구성부(110)는 RFID 태그에 전송할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프레임을 구성한다. 상세하게는, 송신 프레임 구성부(110)는 페이로드를 구성하는 비트수와 CRC 비트의 합인 유효 데이터의 비트수가 홀수일 경우, 페이로드에 더미 비트를 추가한다. 또한, 송신 프레임 구성부(110)는 페이로드를 구성하는 비트수와 CRC 비트의 합인 유효 데이터의 비트수가 홀수 또는 짝수인지를 지시하는 신호 종료(End-of-Signaling) 비트를 추가한다.
인코딩부(120)는 직교성분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인코딩하는데,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와 같은 인코딩 회로를 포함한다. 인코딩부(120)는 ISO/IEC 18000-61, ISO/IEC 18000-62, ISO/IEC 18000-63 등과 같은 UHF RFID Protocol에 따른 PIE(Pulse-Interval Encoding) 신호 규격에 따라 인코딩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 따른 확장 PIE 인코딩 방식은 2 비트씩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데, 송신 신호의 심볼 길이를 조절하여 제 1 비트를 구성하고,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 2 비트를 구성한다. 즉, 인코딩부(120)는 송신 데이터의 제 1 비트 값에 따라 심볼 길이를 조절하는 심볼 길이 조절부(121) 및 송신 데이터의 제 2 비트 값에 따라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 조절부(122)를 포함한다. 일 예로, 심볼 길이 조절부(121)는 제 1 비트가 '0'인 Data-00 및 Data-01은 심벌 길이를 1 Tari로 조절하고, 제 1 비트가 '1'인 Data-10 및 Data-11은 심볼 길이를 1.5 Tari 이상 2 Tari 미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1 비트가 '0'인 Data-00 및 Data-01은 심볼 길이가 길고, 제 1 비트가 '1'인 Data-10 및 Data-11은 심볼 길이가 짧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심볼 길이도 다른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조절부(122)는 제 2 비트가 '0'인 Data-00 및 Data-10은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가 짧고, 제 2 비트가 '1'인 Data-01 및 Data-11은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가 길다. 일 예로,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이 PW 또는 PW 보다 길게 구성한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2 비트가 '0'인 Data-00 및 Data-10은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가 길고, 제 2 비트가 '1'인 Data-01 및 Data-11은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가 짧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도 다른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즉, 전송하는 데이터의 제 1 비트가 '0'일 경우, 즉, S0(t), S1(t)의 경우 1 Tari를 심볼 길이로 결정하고, 제 1 비트가 '1'일 경우, 즉, S2(t), S3(t)일 경우 1.5 Tari를 심볼 길이로 결정한다. 여기서, 1 Tari값은 6.25~25us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송하는 데이터의 제 2 비트가 '0'일 경우, 즉 S0(t), S2(t)일 경우 0.525 Tari를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로 결정하고, 제 2 비트가 '1'일 경우, 즉 S1(t), S3(t)일 경우 MAX(0.265Tari,2us)를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로 결정한다.
또한, 인코딩부(120)는 유효 데이터를 2비트씩 인코딩한 후, 상기 신호 종료(End-of-Signaling) 비트를 하나의 심볼 구간에서 인코딩한다.
믹서(130)는 인코딩된 베이스밴드신호, 즉 베이스밴드 신호를 위상동기회로부(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발진주파수신호와 믹싱하여 RF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합성부(140)는 믹서(130)로부터 각각 RF 신호의 잡음 성분은 필터부(가령, 쏘우(SAW)필터와 같은 대역통과필터로 구비될 수 있음)(150)를 통하여 제거된다. RF신호는 안테나(160)를 통하여 태그로 전달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동형 RFID 태그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동형 RFID 태그는 안테나(미도시), 전원부(210), 아날로그디코딩부(220)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처리단과, 수신 프레임 구성부(230), 메모리(240)를 포함하는 디지털 제어단으로 이루어진다.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리더 CW 신호는 아날로그 디코딩부(220)를 통하여 포락선 검파 방식으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리더 명령어를 분석하고, 통신프로토콜을 구비하여 리더와의 무선통신을 제어하고, 리더의 요청에 따라 태그 응답 신호를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아날로그 디코딩부(220)는 수신 신호를 각 심볼 구간에서 2비트씩 디코딩하는데, 상세하게는 수신 신호의 심볼 길이에 따라 수신 데이터의 제 1 비트를 결정하는 제 1 비트 결정부(250)와, 수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에 따라 수신 데이터의 제 2 비트를 결정하는 제 2 비트 결정부(260)를 포함한다.
제 1 비트 결정부(250)는 수신 신호의 심볼 길이를 산출하는 심볼 길이 산출부(251)와, 둘 이상의 수신 신호들의 심볼 길이 평균값을 산출하는 평균값 산출부(252)와, 수신 신호의 심볼 길이가 상기 심볼 길이 평균값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비트의 값을 결정하는 결정부(253)를 포함한다.
제 2 비트 결정부(260)는 수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를 산출하는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 산출부(261)와, 둘 이상의 수신 신호들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 평균값을 산출하는 평균값 산출부(262) 및 수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가 상기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 평균값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가 상기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 평균값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제 2 비트값을 결정하는 결정부(2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각 수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가 평균값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평균값 이하일 경우, 데이터의 제 2 비트를 '0'로 결정하거나, 수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구간 길이가 평균값 이하가 아닐 경우, 데이터의 제 2 비트를 '1'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아날로그 디코딩부(220)는 수신 신호의 마지막 비트인 신호 종료(End-of-Signaling) 비트를 하나의 심볼 구간에서 디코딩한다.수신 프레임 구성부(230)는 신호 종료(End-of-Signaling) 비트의 값에 따라 페이로드를 구성하는 비트수와 CRC 비트의 합인 유효 데이터의 비트수가 홀수일 경우, 상기 페이로드의 마지막 비트를 더미 비트로 해석한다.
Claims (20)
- 무선주파수인식(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에서의 확장 PIE(Pulse-Interval Encoding) 인코딩을 이용한 송신 방법에 있어서,
RFID 태그에 전송할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된 송신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를 2비트씩 하나의 심볼 구간에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각 심볼 구간에 인코딩되는 2 비트의 데이터 중 제 1 비트 값에 따라 심볼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와,
각 심볼 구간에 인코딩되는 2 비트의 데이터 중 제 2 비트 값에 따라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인코딩을 이용한 송신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 1비트 값에 따라 심볼 길이를 1 Tari 또는 1.5 Tari 이상 2 Tari 미만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인코딩을 이용한 송신 방법 .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1 Tari 값은
6.25~25us를 사용하고,
상기 제 1 비트 값이 '0'이면, 상기 심볼 길이를 1 Tari로 결정하고,
상기 제 1 비트가 '1'이면, 상기 심볼 길이를 1.5 Tari로 결정하고,
상기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비트가 '0'이면, 상기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를 0.525 Tari로 결정하고,
상기 제 2 비트가 '1'이면, 상기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를 MAX(0.265Tari,2us)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인코딩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을 펄스 폭(Pulse Width : 이하 'PW'로 기재함) 또는 PW 보다 길거나 짧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인코딩을 이용한 송신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는
페이로드를 구성하는 비트수와 CRC 비트의 합인 유효 데이터의 비트수가 홀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유효 데이터의 비트수가 홀수일 경우, 상기 페이로드에 더미 비트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인코딩을 이용한 송신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는
페이로드를 구성하는 비트수와 CRC 비트의 합인 유효 데이터의 비트수가 홀수 또는 짝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유효 데이터 개수가 홀수 또는 짝수인지를 지시하는 신호 종료(End-of-Signaling) 비트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데이터를 2비트씩 인코딩한 후, 상기 신호 종료(End-of-Signaling) 비트를 하나의 심볼 구간에서 인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인코딩을 이용한 송신 방법.
- 무선주파수인식(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에서의 확장 PIE(Pulse-Interval Encoding) 디코딩을 이용한 수신 방법에 있어서,
RFID 리더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각 심볼 구간에서 2비트씩 디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로부터 수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코딩하는 단계는
수신 신호의 심볼 길이에 따라 수신 데이터의 제 1 비트를 결정하는 단계와,
수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에 따라 수신 데이터의 제 2 비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디코딩을 이용한 수신 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둘 이상의 수신 신호들의 심볼 길이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신호의 심볼 길이가 상기 심볼 길이 평균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심볼 길이가 상기 심볼 길이 평균값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 데이터의 제 1 비트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디코딩을 이용한 수신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둘 이상의 수신 신호들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수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가 상기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 평균값 이상 또는 이하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가 상기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 평균값 이상 또는 이하 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제 2 비트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디코딩을 이용한 수신 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신호의 마지막 비트인 신호 종료(End-of-Signaling) 비트를 하나의 심볼 구간에서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종료(End-of-Signaling) 비트의 값에 따라 페이로드를 구성하는 비트수와 CRC 비트의 합인 유효 데이터의 비트수가 홀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유효 데이터의 비트수가 홀수일 경우, 상기 페이로드의 마지막 비트를 더미 비트로 해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디코딩을 이용한 수신 방법.
- RFID 태그에 전송할 데이터를 포함하는 송신 프레임을 구성하는 송신 프레임 구성부와,
상기 구성된 송신 프레임에 포함된 적어도 2 비트로 구성된 송신 데이터를 2비트씩 하나의 심볼 구간에서 인코딩하는 인코딩부를 포함하되,
각 심볼 구간에 인코딩되는 2 비트의 데이터 중 제 1 비트 값에 따라 심볼 길이를 조절하는 심볼 길이 조절부와,
각 심볼 구간에 인코딩되는 2비트의 데이터 중 제 2 비트 값에 따라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 조절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인코딩을 이용한 수동형 RFID 리더.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길이 조절부는
상기 제 1 비트값에 따라 심볼 길이를 1 Tari 또는 1.5 Tari 이상 2 Tari 미만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인코딩을 이용한 수동형 RFID 리더.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 조절부는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을 펄스 폭(Pulse Width : 이하 'PW'로 기재함) 또는 PW 보다 길거나 짧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인코딩을 이용한 수동형 RFID 리더.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1 Tari값은
6.25~25us를 사용하고,
상기 심볼 길이 조절부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제 1 비트가 '0'이면, 상기 심볼 길이를 1 Tar로 결정하고,
상기 송신 데이터의 제 1 비트가 '1'이면, 상기 심볼 길이를 1.5 Tari로 결정하고,
상기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 조절부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제 2 비트가 '0'이면, 상기 에너지 전송 구간의 길이를 0.525 Tari로 결정하고,
상기 송신 데이터의 제 2 비트가 '1'일 경우, 상기 에너지 전송 구간의 길이를 MAX(0.265Tari,2us)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인코딩을 위한 수동형 RFID 리더.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프레임 구성부는
페이로드를 구성하는 비트수와 CRC 비트의 합인 유효 데이터의 비트수가 홀수일 경우, 상기 페이로드에 더미 비트를 추가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인코딩을 이용한 수동형 RFID 리더.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프레임 구성부는
페이로드를 구성하는 비트수와 CRC 비트의 합인 유효 데이터의 비트수가 홀수 또는 짝수인지를 지시하는 신호 종료(End-of-Signaling) 비트를 추가하되,
상기 인코딩부는
상기 유효 데이터를 2비트씩 인코딩한 후, 상기 신호 종료(End-of-Signaling) 비트를 하나의 심볼 구간에서 인코딩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인코딩을 이용한 수동형 RFID 리더.
- RFID 리더로부터의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각 심볼 구간에서 2비트씩 디코딩하는 디코딩부와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로부터 수신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신 프레임 구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코딩부는
수신 신호의 심볼 길이에 따라 수신 데이터의 제 1 비트를 결정하는 제 1 비트 결정부와,
수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의 길이에 따라 수신 데이터의 제 2 비트를 결정하는 제 2 비트 결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디코딩을 이용한 수동형 RFID 태그.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트 결정부는
수신 신호의 심볼 길이를 산출하는 심볼 길이 산출부와,
둘 이상의 수신 신호들의 심볼 길이 평균값을 산출하는 평균값 산출부와,
수신 신호의 심볼 길이가 상기 심볼 길이 평균값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비트의 값을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디코딩을 이용한 수동형 RFID 태그.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트 결정부는
수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를 산출하는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 산출부와,
둘 이상의 수신 신호들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 평균값을 산출하는 평균값 산출부와,
수신 신호의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가 상기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 평균값 이상 또는 이하 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가 상기 에너지 전송 대기 구간 길이 평균값 이상 또는 이하 인지의 여부에 따라 제 2 비트값을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디코딩을 이용한 수동형 RFID 태그.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부는
상기 수신 신호의 마지막 비트인 신호 종료(End-of-Signaling) 비트를 하나의 심볼 구간에서 디코딩하되,
상기 수신 프레임 구성부는
상기 신호 종료(End-of-Signaling) 비트의 값에 따라 페이로드를 구성하는 비트수와 CRC 비트의 합인 유효 데이터의 비트수가 홀수일 경우, 상기 페이로드의 마지막 비트를 더미 비트로 해석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PIE 디코딩을 이용한 수동형 RFID 태그.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558,129 US9355286B2 (en) | 2013-12-05 | 2014-12-02 | Passiv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reader, passive RFID tag,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s using extended pulse-interval encoding (PIE) |
DE102014117791.6A DE102014117791B4 (de) | 2013-12-05 | 2014-12-03 | Passiver Leser zur Identifikation mit Hilfe elektromagnetischer Wellen (RFID), passives RFID-Etikett und Übertragungs- und Empfangsverfahren mittels erweiterter Pulsintervallcodierung (PI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50885 | 2013-12-05 | ||
KR1020130150885 | 2013-12-0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5573A true KR20150065573A (ko) | 2015-06-15 |
Family
ID=5350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0991A Withdrawn KR20150065573A (ko) | 2013-12-05 | 2014-11-18 | 수동형 rfid 리더, 수동형 rfid 태그 및 각각에서의 확장 pie 인코딩/디코딩을 이용한 송/수신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65573A (ko) |
-
2014
- 2014-11-18 KR KR1020140160991A patent/KR20150065573A/ko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99675B2 (en) | RFID tags replying using changed reply timing | |
US20070236335A1 (en) | Ahead-of-time scheduling of commands in RFID reader systems | |
US8044774B1 (en) | RFID tag chips and tags able to be partially killed and methods | |
US8193912B1 (en) | RFID tag dynamically adjusting clock frequency | |
US7733227B1 (en) | RFID tags circuits and methods for sensing own power to predetermine feasibility of requested action | |
US8446258B2 (en) | Causing RFID tag to change how many remaining commands it will comply with | |
US9064196B1 (en) | RFID tag dynamically adjusting clock frequency | |
US8222997B2 (en) | Method of preventing collisions between RFID readers in RFID system | |
US7982584B2 (en) | Mobile RFID read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912076B1 (ko) | 리더/태그 통합형 rfid 장치 및 방법 | |
US8063740B1 (en) | Interfacing to RFID reader utility that causes RFID tags to reply using changed reply timing | |
US8174367B1 (en) | Causing RFID tags to backscatter more codes | |
US7030786B2 (en) | RFID readers and RFID tags communicating using extensible bit vectors | |
JP6242416B2 (ja) | 多重周波数トランスポンダー | |
US20070236331A1 (en) | Preventing timeout of RFID tag in timed state of air-interface protocol | |
US20160292557A1 (en) | Multi-frequency transponder | |
US7541843B1 (en) | Semi-static flip-flops for RFID tags | |
US7994659B2 (en) | Method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from a first electronic circuit to a second electronic circuit via at least one wire line | |
CN101796528A (zh) | 回射有限标签 | |
US7246751B2 (en) | RFID tags calibrating backscattering period also for non-integer divide ratios | |
KR20040108623A (ko) | Rfid/usn 기반의 시설물관리 시스템 | |
KR20110136626A (ko) | Rfid 리더 및 그 제어방법 | |
US9355286B2 (en) | Passiv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reader, passive RFID tag,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s using extended pulse-interval encoding (PIE) | |
KR100858053B1 (ko) | 수동형 rfid 리더기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 |
KR20150065573A (ko) | 수동형 rfid 리더, 수동형 rfid 태그 및 각각에서의 확장 pie 인코딩/디코딩을 이용한 송/수신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