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785A - 봉재 공급기 - Google Patents
봉재 공급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59785A KR20150059785A KR1020157010549A KR20157010549A KR20150059785A KR 20150059785 A KR20150059785 A KR 20150059785A KR 1020157010549 A KR1020157010549 A KR 1020157010549A KR 20157010549 A KR20157010549 A KR 20157010549A KR 20150059785 A KR20150059785 A KR 201500597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rail
- bar
- material shelf
- conveying element
- stopp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for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with magazines for st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봉재 공급기의 내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가이드 레일 및 셔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슬라이더와 밀대의 분해 평면도(a) 및 분해 정면도(b)이다.
도 5는 클램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훅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봉재의 공급의 방법을 도시하는 봉재 공급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재료 선반 및 가이드 레일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재료 선반 및 가이드 레일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재료 선반 및 가이드 레일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재료 선반 및 가이드 레일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재료 선반 및 가이드 레일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재료 선반 및 가이드 레일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재료 선반 및 가이드 레일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재료 선반 및 가이드 레일의 측면도이다.
20 : 봉재 공급기
21 : 급송 축선
30 : 가이드 레일
50 : 밀대
80 : 셔터
100 : 재료 선반
101 : 재료 선반 플레이트(재료 선반 부분)
101a : 전진 위치
101b : 후퇴 위치
102 : 상면
103 : 스토퍼
104 : 셔터 스토퍼
110 : 재료 선반 구동 기구
119 : 컨트롤러
121 : 이송 요소
122 : 수용부
123 : 측면(저지부)
121a : 상방 위치
121b : 하방 위치
B : 봉재
B1 : 길이 방향 축선
B2 : 횡방향
B3 : 제1 봉재
B4 : 제2 봉재
Claims (9)
- 봉재를 그 길이 방향 축선과 일치하는 급송 축선을 따라 봉재 가공기에 급송하는 봉재 공급기이며,
1개의 봉재를 상방으로부터 수용하고, 수용한 봉재를 급송 축선을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재료 선반을 갖고, 상기 재료 선반은, 복수의 봉재가 그 횡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상면을 갖는 재료 선반 부분을 갖고, 상기 재료 선반 부분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가장 가까운 제1 봉재에 접촉하는 스토퍼를 갖고,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2번째로 가까운 제2 봉재의 이동을 저지하는 저지부와,
상기 제1 봉재를 상기 가이드 레일로 이송하는 이송 요소를 갖고,
상기 재료 선반 부분은, 상기 스토퍼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방에 위치하는 전진 위치와, 상기 스토퍼가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후퇴된 후퇴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이송 요소는, 1개의 봉재를 수용하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수용부를 갖고, 상기 이송 요소는, 상기 수용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방 위치와, 상기 수용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방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재료 선반 부분을 후퇴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이송 요소를 하방 위치로부터 상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송 요소의 수용부가 상기 제1 봉재를 상기 재료 선반으로부터 수취하고, 또한 상기 저지부가 상기 제2 봉재의 이동을 저지하고,
상기 재료 선반 부분을 전진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이송 요소를 상방 위치로부터 하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송 요소의 수용부가 상기 제1 봉재를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 공급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요소는, 또한 상기 재료 선반측의 측면을 갖고, 상기 측면은, 상기 저지부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 공급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선반 전체가 전진 위치와 후퇴 위치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 공급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재료 선반 부분을 구동하는 재료 선반 구동 기구와, 상기 재료 선반 구동 기구에 접속된 컨트롤러를 갖고, 상기 컨트롤러는, 봉재의 직경에 따라, 상기 재료 선반 부분의 전진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 공급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선반 부분의 상면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 공급기.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덮는 개폐 가능한 셔터를 갖고,
상기 재료 선반 부분은, 상기 셔터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셔터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상기 셔터에 결합 가능한 셔터 스토퍼를 갖고, 상기 재료 선반 부분은, 상기 셔터 스토퍼가 상기 셔터에 결합되는 위치까지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 공급기. - 봉재를 그 길이 방향 축선과 일치하는 급송 축선을 따라 봉재 가공기에 급송하는 봉재 공급기이며,
1개의 봉재를 상방으로부터 수용하고, 수용한 봉재를 급송 축선을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재료 선반을 갖고, 상기 재료 선반은, 봉재가 배치되는 상면을 갖는 재료 선반 부분을 갖고, 상기 재료 선반 부분은, 봉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할 때에 봉재에 접촉하는 스토퍼를 갖고,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 내의 봉재를 이송하는 이송 요소를 갖고,
상기 재료 선반 부분은, 상기 스토퍼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방에 위치하는 전진 위치와, 상기 스토퍼가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후퇴된 후퇴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이송 요소는, 1개의 봉재를 수용하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수용부를 갖고, 상기 이송 요소는, 상기 수용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방 위치와, 상기 수용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방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이송 요소를 하방 위치로부터 상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송 요소의 수용부가 1개의 봉재를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수취하고,
상기 재료 선반 부분을 후퇴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이송 요소를 상방 위치로부터 하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송 요소의 수용부가 상기 봉재를 상기 재료 선반 부분 상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 공급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요소를 하방 위치로부터 상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송 요소의 수용부가 1개의 봉재를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수취하는 동작 및 상기 재료 선반 부분을 후퇴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이송 요소를 상방 위치로부터 하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송 요소의 수용부가 상기 봉재를 상기 재료 선반 부분 상에 적재하는 동작이, 순서대로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 공급기. - 봉재를 그 길이 방향 축선과 일치하는 급송 축선을 따라 봉재 가공기에 급송하는 봉재 공급기이며,
1개의 봉재를 상방으로부터 수용하고, 수용한 봉재를 급송 축선을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 내의 봉재의 후단부 부분을 미는 것에 의해 봉재를 봉재 가공기에 급송하는 제거 가능한 밀대와,
재료 선반을 갖고, 상기 재료 선반은, 봉재가 배치되는 상면을 갖는 재료 선반 부분을 갖고, 상기 재료 선반 부분은, 봉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할 때에 봉재에 접촉하는 스토퍼를 갖고,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 내의 봉재를 이송하는 이송 요소를 갖고,
상기 재료 선반 부분은, 상기 스토퍼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방에 위치하는 전진 위치와, 상기 스토퍼가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후퇴된 후퇴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이송 요소는, 1개의 봉재를 수용하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수용부를 갖고, 상기 이송 요소는, 상기 수용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방 위치와, 상기 수용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방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이송 요소를 하방 위치로부터 상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송 요소의 수용부가 상기 밀대를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수취하고,
상기 재료 선반 부분을 후퇴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이송 요소를 상방 위치로부터 하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송 요소의 수용부가 상기 밀대를 상기 재료 선반 부분 상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 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2/074409 WO2014045442A1 (ja) | 2012-09-24 | 2012-09-24 | 棒材供給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9785A true KR20150059785A (ko) | 2015-06-02 |
KR101631422B1 KR101631422B1 (ko) | 2016-06-16 |
Family
ID=50340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0549A Active KR101631422B1 (ko) | 2012-09-24 | 2012-09-24 | 봉재 공급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5904683B2 (ko) |
KR (1) | KR101631422B1 (ko) |
WO (1) | WO2014045442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01263A (ko) * | 2022-12-23 | 2024-07-02 | 일윤주식회사 | 봉소재 가공 자동화장치 |
KR20240122650A (ko) | 2023-02-03 | 2024-08-13 |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 공작기계의 환봉 소재 공급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4105919A1 (de) * | 2014-04-28 | 2015-10-29 | Index-Werke Gmbh & Co. Kg Hahn & Tessky | Materialstangenlademagazin |
CN107101502B (zh) * | 2017-06-22 | 2022-11-29 | 河南科技大学 | 一种用于棒料锻压生产的感应炉上料装置 |
CN107297646A (zh) * | 2017-07-31 | 2017-10-27 | 无锡厚发自动化设备有限公司 | 一种用于剥皮设备上料机构的上料方法 |
IT201700104231A1 (it) * | 2017-09-18 | 2019-03-18 | Top Automazioni S R L | Apparato per alimentare barre |
IT201700104237A1 (it) * | 2017-09-18 | 2019-03-18 | Top Automazioni S R L | Apparato per alimentare barre |
CN108213498B (zh) * | 2017-12-29 | 2019-04-16 | 黑龙江镭诺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棒料的轴向孔自动加工装置 |
CN109396927B (zh) * | 2018-11-09 | 2020-04-28 | 亚太泵阀有限公司 | 一种潜水泵叶轮数控车床自动上下料装置 |
CN111055127A (zh) * | 2019-12-24 | 2020-04-24 | 江苏吴通物联科技有限公司 | 一种棒料加工设备 |
CN111822730B (zh) * | 2020-08-13 | 2024-12-24 | 兰溪瑞鼎机床股份有限公司 | 一种自动棒料加工机床 |
JP7357929B2 (ja) * | 2020-11-13 | 2023-10-10 | 育良精機株式会社 | 棒材供給機 |
CN114310437A (zh) * | 2022-01-05 | 2022-04-12 | 山东新景机械有限公司 | 干式短棒材型自动送料机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56641A (ja) * | 1992-11-24 | 1994-06-03 | Alps Tool:Kk | 棒材供給機の棒材供給棚 |
JP2001198705A (ja) * | 1999-12-16 | 2001-07-24 | Iemca Giuliani Macc It Spa | バー面仕上げ装置を備えたバー供給機 |
JP2007276102A (ja) | 2006-03-17 | 2007-10-25 | Ikura Seiki Seisakusho Co Ltd | 棒材供給機および棒材加工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E735412A (ko) * | 1968-11-15 | 1969-12-01 | ||
IT1256131B (it) * | 1992-09-09 | 1995-11-29 | Dispositivo caricatore per il caricamento sequenziale di barre in macchine utensili | |
DE102010002781B4 (de) * | 2010-03-11 | 2014-05-28 | Gildemeister Aktiengesellschaft | Ladevorrichtung zum Laden von Stangen zur Bearbeitung in einer Werkzeugmaschine |
-
2012
- 2012-09-24 JP JP2014536536A patent/JP5904683B2/ja active Active
- 2012-09-24 WO PCT/JP2012/074409 patent/WO201404544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9-24 KR KR1020157010549A patent/KR10163142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56641A (ja) * | 1992-11-24 | 1994-06-03 | Alps Tool:Kk | 棒材供給機の棒材供給棚 |
JP2001198705A (ja) * | 1999-12-16 | 2001-07-24 | Iemca Giuliani Macc It Spa | バー面仕上げ装置を備えたバー供給機 |
JP2007276102A (ja) | 2006-03-17 | 2007-10-25 | Ikura Seiki Seisakusho Co Ltd | 棒材供給機および棒材加工システム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01263A (ko) * | 2022-12-23 | 2024-07-02 | 일윤주식회사 | 봉소재 가공 자동화장치 |
KR20240122650A (ko) | 2023-02-03 | 2024-08-13 |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 공작기계의 환봉 소재 공급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1422B1 (ko) | 2016-06-16 |
JP5904683B2 (ja) | 2016-04-20 |
JPWO2014045442A1 (ja) | 2016-08-18 |
WO2014045442A1 (ja) | 2014-03-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1422B1 (ko) | 봉재 공급기 | |
US4457658A (en) | Device for introducing a batch of sheets into a processing machine | |
US9028198B2 (en) | Workpiece handling system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 |
US7520200B2 (en) | Bar feeder and bar machining system | |
JP4245679B2 (ja) | バー材送り装置 | |
EP1980341B1 (en) |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loading of metal bars | |
TW201739536A (zh) | 用於傳送工作件的運輸方法 | |
TW201742807A (zh) | 具有抓夾鉗之運輸裝置 | |
CN108694418B (zh) | 一种卡片搬运装置 | |
TW201739535A (zh) | 用於在加工裝置中傳送工作件的運輸裝置 | |
CN217571749U (zh) | 一种自动换刀型长条形原料加工装置 | |
CN110745454B (zh) | 上下料装置 | |
US20170259343A1 (en) | Bar Feeding Device | |
EP1055471A1 (en) | Bar feeding device for machine tools | |
KR20240083344A (ko) | 봉재 공급기 | |
KR200448043Y1 (ko) | 가늘고 긴 소재 공급장치 | |
JPS62208802A (ja) | 棒材供給機 | |
KR200417208Y1 (ko) | 렌즈 사출성형품의 렌즈 제품부 파지 및 이송장치 | |
CN114473605A (zh) | 棒材把持装置和棒材供给机 | |
JPH0344401Y2 (ko) | ||
JPH07100784A (ja) | ハンドリング装置 | |
EP4461491A1 (en) | Machine and method for working wooden elongated workpieces | |
JPH01275330A (ja) | 柔軟な材料の筒状部品の運搬積上げ装置 | |
JPH07148533A (ja) | 板材加工機におけるワーク供給排出装置 | |
JP4496072B2 (ja) | ビーム搬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4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