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891A - Variable container-rack and container trailer thereby - Google Patents
Variable container-rack and container trailer thereb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57891A KR20150057891A KR1020130141800A KR20130141800A KR20150057891A KR 20150057891 A KR20150057891 A KR 20150057891A KR 1020130141800 A KR1020130141800 A KR 1020130141800A KR 20130141800 A KR20130141800 A KR 20130141800A KR 20150057891 A KR20150057891 A KR 201500578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rack
- container rack
- fixing pin
- screw shaf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20—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forwarding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의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도록 고정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세트에 이동가능하게 고정핀을 설치하고 핸들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수단을 동해 고정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컨테이너에 설치된 코너캐스팅에 고정핀이 걸려 컨테이너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가변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차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multi-connection container rack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a fixing pin so as to load containers of various siz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loading vehicle using the same, A movable multi-connection container rack which can move the movable means driven by the fixing pin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reby fixing the container to the corner casting installed in containers of various sizes, will be.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변 컨테이너랙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양한 규격의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도록 고정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차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container rack and a container loading vehicle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multi-connection container rack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a fixing pin, .
보다 상세하게는 카세트에 이동가능하게 고정핀을 설치하고 핸들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수단을 동해 고정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컨테이너에 설치된 코너캐스팅에 고정핀이 걸려 컨테이너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가변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차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ixing a container by fixing a pin to a corner casting installed in a container of various sizes by providing a movable pin to be movable in a cassette and a moving means driven by a hand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p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multi-connection container rack and a container loading vehicle using the same.
운반되는 물건을 보호하고 좁은 면적에 많은 양의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컨테이너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철판으로 형성된 큰 상자 형태로서 짐 꾸리기가 편하고 운반이 쉬울 뿐만 아니라, 안에 들어 있는 화물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는 전용으로 사용되는 큰 화물차량에 의해 낱개로 운송되거나 전용 열차 또는 전용 선박에 의해 다량으로 운송되고 있다.Containers are being used as a means to protect the objects being transported and to load large quantities of objects on a small area. Generally, it is well known that a container is a large box form formed of a steel plate, which is easy to pack and easy to carry, and is also widely used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protecting the cargo contained therein. Such containers are either transported individually by large freight vehicles which are used exclusively, or transported in large quantities by dedicated trains or dedicated vessels.
이러한 컨테이너는 차량에 적재시 차량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차량에 고정시켜야 하고, 이렇게 차량에 컨테이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록킹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며, 그 일예로 특허문헌 1 및 2가 있다. Such a container must be firmly fixed to the vehicle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loaded on the vehicle. Various locking devices for fixing the container to the vehicle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s 1 and 2.
특허문헌 1은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는 트레일러의 적재판에 컨테이너의 적재작업이 용이하며 적재된 컨테이너의 록킹력이 증가되어 트레일러의 유동과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컨테이너를 록킹하는 록킹장치가 탄성체에 의하여 탄지 되어 록킹력이 증가되도록 하며 핸들의 조작에 의하여 록킹된 록킹장치가 해지되도록 하여 컨테이너의 유동이나 진동에 의하여 록킹된 록킹장치의 해지가 방지되어 컨테이너의 이탈을 방지하며 이에 따른 대형사고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한 트레일러용 컨테이너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상면에 록커의 상단부가 출입되는 출입공이 형성된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록커의 소켓 결합부에 결합되는 소켓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볼트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회동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 및 회동방지홈에는 회동방지구가 삽입 결합할 수 있게 한 철도 차량롤 컨테이너 록킹 장치에 고한한 것이다. 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locking device for locking a container in order to facilitate the loading operation of a container on a trailer driven by a tractor and to increase the locking force of the loaded container to prevent the trailer from flowing and departing. And the locking device is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to prevent the locking device which is locked due to the flow or vibration of the container from being terminated, thereby preventing the contain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ocket coupled to the socket engaging portion of the locker is provided with a bolt hol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lt hole of the housing, And the rail bolt hole and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are formed in a rail vehicle roll container locking device capable of being inserted and coupled to the rotating direction.
그러나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컨테이너 록킹장치는 규격화된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차량의 차체에 고정되어 있고, 규격을 벗어나 컨테이너를 적재할 경우에는 이를 분리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하는 등 컨테이너의 고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ontainer locking device thus constructed is used for loading a standardized container and is fixed to a vehicle body of a vehicle. When a container is loaded outside the standard, it is separated and moved to a desired position, There was a time-consuming problem.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다양한 규격의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도록 고정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connection container rack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a fixing pin for loading containers of various sizes and a container loading vehicle using the same do.
상세하게 본 발명은 핸들의 조작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하여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코너캐스팅에 정렬되게 이동가능하게 고정핀을 설치한 컨테이너 고정용랙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fixing rack in which a fixing pin is movably arranged so as to be aligned with a corner cast of a container which is moved horizontally by the operation of a handle, and a container loading vehicle using the same.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은 화차를 개조한 컨테이너 적재차의 차대에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컨테이너랙에 있어서, 하우징에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체; 상기 이동체의 중앙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코너캐스팅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핀; 상기 이동체를 관통하여 설치된 스크류축; 상기 스크류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스크류축의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ulti-connection container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ving body installed horizontally along a guide installed in a housing, the container rack being installed in an undercarriage of a container- A fixing pin installed vertically up and down at the center of the moving body and detachably fixed to the corner casting of the container; A screw shaft installed through the moving body; And a handl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crew shaft for rotating the screw shaft.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에 따른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을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차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컨테이너랙을 적어도 차대의 적어도 네 모서리에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iner rack using the multi-connection container rack is constructed by mounting at least four corners of the container rack.
상기 컨테이너랙은 보조차대의 적어도 네 모서리에 설치되고, 차량에 연결된 베이스차대에는 고정핀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차대에는 상기 고정핀과 결합되는 캐스팅이 설치되어 보조차대를 베이스차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ainer rack is installed at at least four corners of the auxiliary car, the base car connected to the car is provided with a fixing pin, and the auxiliary car is provided with a casting to be coupled with the fixing pin so that the auxiliary car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base car .
또한, 상기 컨테이너랙은 차량에 연결된 베이스차대의 적어도 네 모서리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container rack may be installed directly on at least four corners of the base car connected to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은 컨테이너의 코너캐스팅에 결합되는 고정핀의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규격의 컨테이너도 견고하게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multi-connection container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hange the position of the fixing pin, which is coupled to the corner casting of the container, so that it is possible to firmly load containers of various sizes.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컨테이너 적재용 대차에 탈착 가능하게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을 구비한 보조 대차를 더 적재하여 기존의 규격화된 컨테이너의 적재는 물론 비 규격화된 컨테이너를 병행하여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an additional bogie having a multi-connection container rack is detachably attached to a conventional bogie for loading containers, so that not only standardized containers but also non-standardized containers can be loaded in parallel hav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의 일예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의 일예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의 일예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기존의 컨테이너 적재용 차대와 보조 차대의 분해사시도,
도 6에 도시한 차대와 보조 차대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의 다른 일예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의 다른 일예의 측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multi-connection container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n example of a variable multi-connection container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n example of a variable multi-connection container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n example of a variable multi-connection container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isting container loading bin and auxiliary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chassis and the auxiliary chassis,
7 is a plan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variable multi-connection container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variable multi-connection container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와 이를 구비한 적재차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 variable multi-connection container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oading platform having the variable multi-connection container rac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의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도록 고정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에 설치된 가이드(10g)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체(10m); 상기 이동체의 중앙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코너캐스팅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핀(10c); 상기 이동체(10m)를 관통하여 설치된 스크류축(10s); 상기 스크류축(10s)의 일단에 설치되어 스크류축의 회전시키는 핸들(10h)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body (10m) for horizontally moving along a guide (10g) provided in a housing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fixing pin so as to load containers of various sizes. A fixed pin (10c) vertically movab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moving body and detachably fixed to the corner casting of the container; A
상기 이동체(10m)는 도 2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몸체(10b)의 양 측벽에 설치된 가이드(10g)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에는 상기 스크류축(10s)에 형성된 나선홈에 대향되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축이 회전하면 수평으로 이동한다. As shown in FIGS. 2 to 4, the moving
또한 상기 이동체(10m)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고정핀(10c)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핀(10c)은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Further, the
상기 고정핀(일명, 콘(CONE))(10c)은 통상적으로 컨테이너 적재 차량에 구비된 컨테이너랙을 구비하는 것과 동일 유사하게 그 상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승강함에 의해 컨테이너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 코너캐스팅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 컨테이너가 측방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고정핀(10c)을 승강시키는 수단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fixing pin (also called a cone) 10c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n is similar to the container rack provided in the container loading vehicle, And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corner casting to fix the container so as not to move sideways. The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상기 카세트몸체(10b)는 다수의 금속판을 절곡 또는 용접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상기 고정핀(10c)이 승강하는 상부면(11)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핀(10c)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11h)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11h)은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축(10s)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 수평으로 이동하는 고정핀(10c)이 관통할 수 있게 하였다. The
상기 스크류축(10s)은 통상적으로 기계 장치에서 소정의 이동체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것 중 하나로, 이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단에는 핸들(10h)이 설치되어 있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컨테이너랙(10)은 도 1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고정핀(10c)만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고정핀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4, the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고정핀을 설치하여 구성할 경우 고정핀 중 어느 하나는 평면에서 도시하였을 때 전후좌우로 이동될 수 있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컨테이너랙은 이중 구조를 갖는 다. As shown in FIGS. 7 and 8, when two fixing pins are provided, any one of the fixing pins can be installed so as to be moved back and forth, right and left when viewed in a plan view. All.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평면적을 갖는 외부 카세트몸체(10b')에 두 개의 컨테이너랙(10)을 설치한 것으로서, 하나의 컨테이너랙은 외부 카세트몸체의 일측에 이동체(10m)와 가이드(10g) 및 고정핀(10c)을 직접 설치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만 고정핀(10c)이 이동될 수 있게 설치하고(도 7의 우측), 그 일측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컨테이너랙(10)을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7, two
도 7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카세트몸체(10b')의 내부에 가이드(10g')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를 따라 컨테이너랙(10)을 이동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컨테이너랙(10) 자체가 수평으로 이동하고, 이렇게 이동하는 컨테이너랙(10)에 구비된 고정핀(10c)이가 컨테이너랙(1)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고 이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고정핀(10c)은 전후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A
즉, 외부 카세트몸체(10b')의 안쪽에 가이드(10g')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10g')를 따라 컨테이너랙(10)이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하며, 컨테이너랙(10)의 카세트몸체(10b)의 일측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스크류축(10s')를 설치하여 스크류축(10s')이 구동됨에 의해 컨테이너랙(10)이 수평으로 이동하고, 이동된 후 컨테이너랙(10)에 구비된 스크류축(10s)을 구동시킴에 의해 고정핀(10c)이 컨테이너랙(10)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That is, a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랙(10)은 컨테이너 적재차의 차대에 직접 설치되거나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차대(20)에 설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컨테이너랙(10)이 설치되는 위치는 기존의 차대에 설치된 고정핀(100p)의 일측이 될 수 있다. The position where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랙(10)은 규격화된 컨테이너의 적재를 위한 것이 아니라 비규격 컨테이너의 적재를 위한 것이고, 규격 컨테이너의 적재를 위한 고정핀은 이미 통상의 컨테이너 적재차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고정핀의 일측에 본 발명의 컨테이너랙(10)을 설치하여 비규격 컨테이너를 적재할 때 보다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렇게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랙(10)을 기존의 컨테이너 적재차의 베이스차대(100)에 설치할 경우, 기존의 고정핀(100p)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차대(20)에 설치하고 보조차대(20)를 기존의 베이스차대(1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다. When the
베이스차대(100)에는 이미 규격화된 컨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한 고정핀(100p)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고정핀(100p)에 대향되는 보조차대(20)에 캐스팅(20c)을 설치하고 이 캐스팅(20c)의 일측에 본 발명의 컨테이너랙(10)을 설치하여 규격 컨테이너는 물론 비규격 컨테이너도 적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The
즉, 규격 컨테이너를 적재할 때에는 보조차대를 분리하고 베이스차대(100)에 형성된 고정핀(100p)이 직접 컨테이너의 코너캐스팅에 결합되게 하고, 비규격 컨테이너를 적재할 때에는 보조차대(20)를 베이스차대(100)에 설치한 후, 컨테이너를 적재한 후 핸들의 조작을 통해 고정핀(10c)의 위치를 조절하여 컨테이너의 코너캐스팅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standard container is loaded, the auxiliary chassis is separated and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차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차대(20)에 다수의 컨테에너랙(10)을 설치하되, 일측 단부에는 단일 고정핀을 갖는 단일 컨테이너랙을 설치하고, 중간에는 두 개의 고정핀을 갖는 더블 컨테이너랙을 설치하여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규격에 맞추어 고정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 5, a container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iner racks 10 mounted on the
도 5는 하나의 실시예의 도면으로 컨테이너랙이 설치되는 위치나 숫자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설명이나 도면이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 하는 것은 아니다. FIG. 5 is a view of one embodiment, and the positions and numbers in which container racks are installe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th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do not limit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을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차의 보조차대(20)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는 것으로 상부면의 일측에는 강판을 롤 형태로 감은 강판 코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코일 지지수단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The
이러한 코일 지지수단은 양측이 안쪽을 향하여 낮아지도록 경사진 다수의 지지날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지지날개는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코일을 적재할 때만 선택적으로 펼쳐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il supporting means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ing wings inclined so that both sides are lowered inward, and the supporting wings may be foldable using a driving means so that they can be selectively opened only when the coils are stacked .
10: 컨테이너랙 10b: 카세트몸체
10c: 고정핀 10g: 가이드
10h: 핸들 10m: 이동체
11: 커버 11h: 관통홀
20: 보조차대
20c: 캐스팅
100: 베이스차대
100p: 고정핀10:
10c: Fixing
10h: Handle 10m: Mobile
11: cover 11h: through hole
20: auxiliary chassis
20c: Casting
100: Base chassis
100p: Fixing pin
Claims (4)
하우징에 설치된 가이드(10g)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체(10m);
상기 이동체의 중앙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코너캐스팅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핀(10c);
상기 이동체(10m)를 관통하여 설치된 스크류축(10s);
상기 스크류축(10s)의 일단에 설치되어 스크류축의 회전시키는 핸들(10h)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랙.1. A container rack for fixing a container, the container rack being installed in an undercarriage of a container-
A movable body 10m provided horizontally movably along a guide 10g provided in the housing;
A fixed pin (10c) vertically movab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moving body and detachably fixed to the corner casting of the container;
A screw shaft 10s installed through the moving body 10m;
And a handle (10h) provided at one end of the screw shaft (10s) for rotating the screw shaft (10h).
상기 컨테이너랙(10)은
하우징에 설치된 가이드(10g)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체(10m);
상기 이동체의 중앙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코너캐스팅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핀(10c);
상기 이동체(10m)를 관통하여 설치된 스크류축(10s);
상기 스크류축(10s)의 일단에 설치되어 스크류축의 회전시키는 핸들(10h)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을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차.1. A container-loaded vehicle having at least one container rack in its undercarriage,
The container rack (10)
A movable body 10m provided horizontally movably along a guide 10g provided in the housing;
A fixed pin (10c) vertically movab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moving body and detachably fixed to the corner casting of the container;
A screw shaft 10s installed through the moving body 10m;
And a handle (10h) provided at one end of the screw shaft (10s) for rotating the screw shaft (10h).
상기 컨테이너랙(10)은 보조차대(20)의 적어도 네 모서리에 설치되고, 차량에 연결된 베이스 차대(100)에는 고정핀(100p)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차대(20)에는 상기 고정핀(100p)과 결합되는 캐스팅(20c)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을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차.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ainer rack 10 is installed at at least four corners of the auxiliary chassis 20 and a base pin 100p connected to the vehicle is formed with a fixing pin 100p and the auxiliary pin 20 is provided with the fixing pin 100p And a casting (20c) coupled to the container (20c).
상기 컨테이너랙(10)은 차량에 연결된 베이스차대(100)의 적어도 네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멀티 커넥션 컨테이너랙을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차.
3. The method of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iner rack (10) is installed at at least four corners of the base carriage (100) connected to the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1800A KR20150057891A (en) | 2013-11-20 | 2013-11-20 | Variable container-rack and container trailer thereb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1800A KR20150057891A (en) | 2013-11-20 | 2013-11-20 | Variable container-rack and container trailer thereb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7891A true KR20150057891A (en) | 2015-05-28 |
Family
ID=5339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1800A Abandoned KR20150057891A (en) | 2013-11-20 | 2013-11-20 | Variable container-rack and container trailer thereb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57891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02903U1 (en) * | 2020-11-25 | 2021-03-12 |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узаевский завод химическ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АО "Рузхиммаш") | Device for setting, securing and positioning containers and swap bodies |
-
2013
- 2013-11-20 KR KR1020130141800A patent/KR20150057891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02903U1 (en) * | 2020-11-25 | 2021-03-12 |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узаевский завод химическ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АО "Рузхиммаш") | Device for setting, securing and positioning containers and swap bodi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231589A (en) | System for stacking containers on a flat bed vehicle | |
JP2009120202A (en) | Upper stage rack for freight, and lower stage rack for freight | |
CN110366503B (en) | Cargo Loading System | |
US10676010B2 (en) | Outer guard for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s | |
EP3348502B1 (en) |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goods | |
KR20150057891A (en) | Variable container-rack and container trailer thereby | |
WO2019229844A1 (en) | Cargo container | |
TWI555460B (en) | Unit storage device | |
KR101183183B1 (en) | Trolley for carrying a freight | |
JP2014129019A (en) | Fastening device for container | |
US10807510B2 (en) |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goods | |
JP6842659B2 (en) | Work platform | |
EP3496985B1 (en) | Transportation unit transfer system with rail alignment means | |
CN201494347U (en) | Double-side turning dump truck | |
EP3496986A1 (en) | A transportation unit suitable for transporting cargo | |
CN209161400U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assembling is unloaded | |
CN107352288A (en) | A kind of servicing unit and its loading method for being easy to communication cabinet entrucking | |
CN208429358U (en) | Telescopic tray | |
US20230382308A1 (en) | Cargo box | |
CN213706592U (en) | Container, especially container for transporting goods | |
CN111453215B (en) | container | |
CN219545676U (en) | Container cargo locking device | |
GB2575655A (en) | A container handling apparatus | |
CN212797119U (en) | Trailer carriage with automatic carriage heightening function | |
CN1743250B (en) | a folding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