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346A - 다중 창 화면 캡쳐 처리를 위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다중 창 화면 캡쳐 처리를 위한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56346A KR20150056346A KR1020130139260A KR20130139260A KR20150056346A KR 20150056346 A KR20150056346 A KR 20150056346A KR 1020130139260 A KR1020130139260 A KR 1020130139260A KR 20130139260 A KR20130139260 A KR 20130139260A KR 20150056346 A KR20150056346 A KR 201500563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ture
- screen
- captured
- thumbnail
-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복수개의 화면창 및 화면 캡쳐를 위한 캡쳐 오브젝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복수개의 화면창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미리 설정된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캡쳐 오브젝트가 상기 화면상에서 이동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화면창에 위치하면 해당 화면창에 대한 화면 캡쳐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복수개의 화면창들이 표시되었을 때, 사용자들이 화면에 표시된 화면 캡쳐 아이콘이나 캡쳐 위젯과 같은 캡쳐 오브젝트를 캡쳐하고자 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화면창에 이동시켜 위치시키는 동작을 통해 화면 캡쳐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화면 캡쳐를 위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면에서 매우 직관적이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중 창 화면 캡쳐 처리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복수개의 화면창들이 표시되었을 때, 사용자들이 화면에 표시된 화면 캡쳐 아이콘이나 캡쳐 위젯과 같은 캡쳐 오브젝트를 캡쳐하고자 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화면창에 이동시켜 위치시킴으로써, 화면 캡쳐를 위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면에서 매우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화면 캡쳐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다중 창 화면 캡쳐 처리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음성, 문자, 영상, 이메일의 통신 기능 뿐 아니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다기능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단말기가 고사양, 대화면화되면서 한 화면에 여러개의 창을 동시에 띄우는 기능이 추가되어 여러 기능을 한 화면에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현재의 화면 캡쳐 기능으로는 개별창별로 제어하여 화면 캡쳐를 수행할 수 없으며, 후속적인 기능이 미비한 상태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복수개의 화면창들이 표시되었을 때, 사용자들이 화면에 표시된 화면 캡쳐 아이콘이나 캡쳐 위젯과 같은 캡쳐 오브젝트를 캡쳐하고자 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화면창에 이동시켜 위치시킴으로써, 화면 캡쳐를 위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면에서 매우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화면 캡쳐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다중 창 화면 캡쳐 처리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화면 캡쳐된 캡쳐 이미지에 해당하는 캡쳐 썸네일들을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오브젝트에 이동시킴으로써 캡쳐 이미지에 대한 편집 또는 공유를 위한 사용자 경험면에서 매우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캡쳐 이미지를 편집하거나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다중 창을 위한 화면 캡쳐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복수개의 화면창 및 화면 캡쳐를 위한 캡쳐 오브젝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복수개의 화면창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미리 설정된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캡쳐 오브젝트가 상기 화면상에서 이동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화면창에 위치하면 해당 화면창에 대한 화면 캡쳐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복수개의 화면창들이 표시되었을 때, 사용자들이 화면에 표시된 화면 캡쳐 아이콘이나 캡쳐 위젯과 같은 캡쳐 오브젝트를 캡쳐하고자 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화면창에 이동시켜 위치시키는 동작을 통해 화면 캡쳐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화면 캡쳐를 위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면에서 매우 직관적이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면 캡쳐된 캡쳐 이미지에 해당하는 캡쳐 썸네일들을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오브젝트에 이동시켜 위치시키는 동작을 통해 캡쳐 이미지를 편집하거나 공유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캡쳐 이미지에 대한 편집 또는 공유를 위한 사용자 경험면에서 매우 직관적이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메뉴 아이콘을 롱터치하여 화면상에 캡쳐 오브젝트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오브젝트를 캡쳐하고자 하는 화면창에 드래그 앤 드롭하여 화면 캡쳐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복수개의 화면창이 겹쳐있을 때 화면 캡쳐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복수개의 화면창이 겹쳐있는 경우 캡쳐 오브젝트를 드래그 앤 드롭하여 화면 캡쳐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된 화면이 복수개일 경우에 캡쳐 썸네일들을 배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된 화면이 복수개일 경우에 썸네일을 배치하고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 캡쳐된 화면창에 다른 화면창을 합쳐서 하나의 화면으로 캡쳐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 캡쳐된 화면창에 다른 화면창을 합쳐서 하나의 화면으로 캡쳐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된 화면에 메모를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바가 형성되었을 때 메모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바가 형성되었을 때 메모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이미지를 공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바가 형성되었을 때 캡쳐된 이미지를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첨부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바가 형성되었을 때 캡쳐된 이미지를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첨부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바가 형성되었을 때 캡쳐된 이미지를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첨부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메뉴 아이콘을 롱터치하여 화면상에 캡쳐 오브젝트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오브젝트를 캡쳐하고자 하는 화면창에 드래그 앤 드롭하여 화면 캡쳐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복수개의 화면창이 겹쳐있을 때 화면 캡쳐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복수개의 화면창이 겹쳐있는 경우 캡쳐 오브젝트를 드래그 앤 드롭하여 화면 캡쳐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된 화면이 복수개일 경우에 캡쳐 썸네일들을 배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된 화면이 복수개일 경우에 썸네일을 배치하고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 캡쳐된 화면창에 다른 화면창을 합쳐서 하나의 화면으로 캡쳐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 캡쳐된 화면창에 다른 화면창을 합쳐서 하나의 화면으로 캡쳐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된 화면에 메모를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바가 형성되었을 때 메모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바가 형성되었을 때 메모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이미지를 공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바가 형성되었을 때 캡쳐된 이미지를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첨부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바가 형성되었을 때 캡쳐된 이미지를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첨부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바가 형성되었을 때 캡쳐된 이미지를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첨부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을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패드, 노트,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121)와 마이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전면에 위치하여 사용자를 촬영하는 전면 카메라와, 단말기의 후면에 위치하여 전방을 촬영하기 위한 후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영상 통화 모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예를 들어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복수의 식별 모듈중에서 임의의 식별 모듈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는 식별 모듈 선택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센싱부(140)는 예를 들어 터치 센서(141), 근접 센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141)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141)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141)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를 이룰 수 있다. 터치 센서(141)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141)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141)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근접 센서(142)는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142)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는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포인터가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칭한다. "접촉 터치(contact touch)"는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칭한다.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포인터가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근접센서(142)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200)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이동 단말기(100)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복수개의 화면창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미리 설정된 터치 입력에 의해 캡쳐 오브젝트가 화면상에서 이동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화면창에 위치하면 해당 화면창에 대한 화면 캡쳐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화면의 상단에 상태 표시바를 표시하고, 상태 표시바에 구비된 캡쳐 메뉴 아이콘에 대해 미리 설정된 터치 입력이 있으면 화면 캡쳐를 위한 캡쳐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쳐 오브젝트는 캡쳐 아이콘 또는 캡쳐 위젯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의해 캡쳐 오브젝트가 화면상에서 이동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화면창에 위치하면 해당 화면창에 대한 화면 캡쳐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의해 캡쳐 오브젝트가 화면상에서 이동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화면창에 위치하면 캡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팝업창을 형성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개의 화면창들중에서 단독의 화면창을 선택받거나 또는 일부가 겹친 복수개의 화면창을 하나의 화면으로 화면 캡쳐하는 것을 선택받기 위한 복수개의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화면 캡쳐를 수행한 후 해당 화면창내에서 캡쳐 오브젝트가 위치했던 자리에 캡쳐된 화면창의 캡쳐 썸네일을 형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된 화면이 복수개인 경우, 화면의 일부 영역에 캡쳐 바를 형성하고, 캡쳐 바에 형성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을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된 제1 화면창에 형성된 제1 캡쳐 썸네일이 사용자로부터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의해 제1 화면창과 일부가 겹친 제2 화면창에 위치하면, 제1 화면창과 제2 화면창을 하나의 화면으로 캡쳐하고, 제2 캡쳐 썸네일을 형성하고, 화면의 일부 영역에 캡쳐 바를 형성하고, 캡쳐 바에 제1 캡쳐 썸네일과 제2 캡쳐 썸네일을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된 화면창에 형성된 캡쳐 썸네일에 미리 설정된 터치 입력이 있으면, 캡쳐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편집에 따라 캡쳐 이미지를 편집하고 편집된 캡쳐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화면상에 표시된 캡쳐 오브젝트가 캡쳐 바에 드래그 앤 드롭되면, 캡쳐 바에 배열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에 대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편집에 따라 캡쳐 이미지를 편집하고 편집된 캡쳐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화면상에 표시된 캡쳐 오브젝트에 대해 더블 터치 입력이 있으면, 캡쳐 바에 배열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에 대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편집에 따라 캡쳐 이미지를 편집하고 편집된 캡쳐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의 드래그 입력에 의해 캡쳐 오브젝트가 화면상에서 이동되어 일부가 겹치는 복수개의 화면창중에서 어느 하나의 화면창에 위치하면, 위치된 화면창과 일부가 겹치는 다른 화면창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캡쳐 오브젝트가 위치한 화면창을 다른 화면창에 의해 가림없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복수개의 화면창 중에서 캡쳐 오브젝트가 위치한 화면창을 다른 화면창에 의해 가림없이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해당 화면창에 드롭되면 해당 화면창에 대한 화면 캡쳐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바에 표시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중에 임의의 캡쳐 썸네일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터치 입력이 있으면 해당 캡쳐 썸네일에 상응하여 캡쳐된 화면창의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된 화면창이 캘린더 정보이면 오늘 날짜와 현재 시각을 관련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된 화면창이 비디오 화면이면 캡쳐된 비디오 파일 이름 및 촬영 시간을 관련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된 화면창이 DMB 화면창이면 캡쳐된 DMB의 채널 정보 및 프로그램명을 관련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된 화면창이 메모 화면창이면 캡쳐된 메모창의 메모 작성 날짜 및 내용 일부를 관련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된 화면창이 인터넷 화면창이면 캡쳐된 인터넷 사이트 주소를 관련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된 화면창이 계산기 화면창이면 캡쳐된 계산기 화면창의 계산 과정 및 결과를 관련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바에 표시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중에서 캡쳐된 제1 화면창에 상응하는 제1 캡쳐 썸네일이 사용자로부터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의해 제1 화면창과 일부가 겹친 제2 화면창에 위치하면, 제1 화면창과 제2 화면창을 하나의 화면으로 캡쳐하고, 제2 캡쳐 썸네일을 형성하고, 캡쳐 바에 제1 캡쳐 썸네일과 상기 제2 캡쳐 썸네일을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캡쳐 바는 이전 작업 취소 메뉴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이전 작업 취소 메뉴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실행 명령이 있으면 이전 작업을 취소할 수 있다.
캡쳐 바는 캡쳐 작업 종료 메뉴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캡쳐 작업 종료 메뉴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실행 명령이 있으면 캡쳐 바를 화면에서 제거하고 캡쳐 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바에 표시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중에서 선택된 제1 캡쳐 썸네일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편집에 따라 제1 캡쳐 이미지를 편집하고, 캡쳐 바에서 제2 캡쳐 썸네일이 선택되면 편집된 제1 캡쳐 이미지를 저장하고, 편집된 제1 캡쳐 이미지에 상응하는 제1 캡쳐 썸네일을 캡쳐 바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편집 화면에서 편집되는 내용이 캡쳐 바에 표시된 해당 캡쳐 썸네일에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홈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키입력이 있으면 홈화면으로 전환을 수행하고, 홈화면의 캡쳐 바에 편집된 캡쳐 썸네일을 표시할 수 있다.
캡쳐 바는 공유 아이콘을 포함하고, 제어부(180)는 공유 아이콘에 대한 실행 입력이 있으면, 캡쳐 바의 영역이 확장되도록 캡쳐 바의 위치를 변경하고, 확장된 캡쳐 바의 영역에 캡쳐된 이미지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 어플리케이션 메뉴 아이콘들을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바에 표시된 복수의 캡쳐 썸네일중 임의의 캡쳐 썸네일이 상기 공유 어플리케이션 메뉴 아이콘들에 드래그 앤 드롭되면 해당 캡쳐 썸네일에 상응하는 캡쳐 이미지를 해당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유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바에 표시된 복수의 캡쳐 썸네일중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이 상기 공유 어플리케이션 메뉴 아이콘들에 드래그 앤 드롭되면 해당 캡쳐 썸네일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캡쳐 이미지들을 해당 공유 어플리케이션에 첨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바를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 공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메뉴 아이콘들을 화면의 제2 영역에 배치하고, 캡쳐 바에 있는 임의의 캡쳐 썸네일이 어플리케이션 메뉴 아이콘중에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드래그 앤 드롭되면 해당 캡쳐 썸네일에 상응하는 캡쳐 이미지를 해당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바에 표시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이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해 임의의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이 있으면, 캡쳐 바의 영역이 확장되도록 캡쳐 바의 위치를 변경하고, 확장된 캡쳐 바의 영역에 캡쳐된 이미지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 어플리케이션 메뉴 아이콘들을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바에 표시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이 공유를 위해 선택되고, 해당 캡쳐 썸네일에 상응하는 캡쳐된 이미지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 어플리케이션 메뉴 아이콘이 선택되면 해당 캡쳐 이미지를 해당 공유 어플리케이션에 첨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바에 표시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이 공유를 위해 선택되고, 메모 어플리케이션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해당 캡쳐 썸네일에 상응하는 캡쳐된 이미지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기 위한 이미지 편집창을 실행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바에 표시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중에서 선택된 제1 캡쳐 썸네일 및 제2 캡쳐 썸네일을 편집하기 위한 하나의 편집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편집에 따라 제1 캡쳐 이미지 및 제2 캡쳐 이미지를 각각 편집하고, 편집 화면에서 편집되는 내용을 캡쳐 바에 표시된 해당 캡쳐 썸네일에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홈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키입력이 있으면 홈화면으로 전환을 수행하고, 홈화면의 캡쳐 바에 편집된 캡쳐 썸네일을 표시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메뉴 아이콘을 롱터치하여 화면상에 캡쳐 오브젝트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화면(20)의 상단에 대하여 하부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이 있는 경우 상태 표시 바(status incate bar)(10)를 화면(2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상태 표시 바(10)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태 표시 바(10)는 안내 바(guide bar)일 수 있다. 상태 표시 바는 메뉴 바(menu bar) 일 수 있다.
상태 표시 바(10)는 화면(2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상태 표시 바(10)가 화면(20)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다. 예를 들어, 상태 표시 바(10)는 화면(2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태 표시 바(10)는 화면(20)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태 표시 바(10)는 화면(20)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태 표시 바(10)는 화면(20)의 적당한 영역에 오버 랩 되어 팝업형태로 직선 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 예를 들어,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태 표시 바(10)는 캡쳐 메뉴 아이콘(11), 데이터 메뉴 아이콘, 와이파이 메뉴 아이콘, 블루투스 메뉴 아이콘, 위치 메뉴 아이콘과 같은 다양한 기능 아이콘들을 적절한 개수와 적절한 순서와 적절한 배치에 따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태 표시 바(10)가 화면(20)에 표시된 상태에서, 캡쳐 메뉴 아이콘(11)에 대한 사용자의 롱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퐁 터치 입력에 제한되지 않으며, 미리 설정된 터치 입력이면 가능하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태 표시 바(10)가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캡쳐 메뉴 아이콘(11)에 대한 사용자의 롱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화면 캡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캡쳐 오브젝트(21)를 화면(20)상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캡쳐 오브젝트(21)는 캡쳐 아이콘 또는 캡쳐 위젯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오브젝트(21)를 화면(20)에 표시할 때, 다양한 시각 효과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에게 캡쳐 오브젝트(21)가 화면에 등장할 때 재미를 더하기 위해 애니메이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캡쳐 오브젝트(21)가 정해진 시간동안 화면(20)내에서 돌아다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캡쳐 오브젝트(21)가 돌아다니는 것을 멈추고 정해진 임의의 지점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오브젝트(21)를 화면(20)에 표시할 때, 다양한 추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무엇을 캡쳐하시겠습니까?" 또는 "캡쳐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또는 "캡쳐하고자 하는 화면에 드래그 앤 드롭해주세요"라는 다양한 텍스트를 팝업창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표시된 팝업창을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화면(20)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캡쳐 오브젝트(21)를 화면에 표시할 때, 재미있는 음향 효과를 위해 설정된 음성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오브젝트(21)를 화면(20)상에 표시할 때, 또는 표시한 후에 상태 표시바(10)를 화면(20)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태 표시 바(10)가 화면(20)의 상단으로 사라지는 시각 효과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애니메이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캡쳐 오브젝트(21)가 화면(20)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태 표시 바(10)가 화면에 계속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캡쳐하고자 하는 화면창이 있는 경우, 화면(20)의 상단을 하부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상태 표시 바(10)를 화면(20)의 상단에 끌어 내려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후, 화면(20)에 표시된 상태 표시 바(10)에서 캡쳐 메뉴 아이콘(11)을 롱 터치하면 화면 캡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캡쳐 오브젝트(21)를 화면(20)의 임의의 지점에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오브젝트를 캡쳐하고자 하는 화면창에 드래그 앤 드롭하여 화면 캡쳐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캡쳐 오브젝트(21)가 화면(20)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화면 캡쳐를 위해 캡쳐 오브젝트(21)에 대하여 임의의 화면창(23)내로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오브젝트(21)가 화면(20)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캡쳐 오브젝트(21)에 대하여 임의의 화면창(23)내로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있는 경우, 캡쳐 오브젝트(21a)를 화면창(23)내의 드롭된 지점에 위치시켜 표시한다. 여기에서, 화면창(23)은 사용자가 화면 캡쳐를 수행하고자는 화면창이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캡쳐 오브젝트(21a)가 드롭된 지점의 화면창(23)을 캡쳐할 것인지 여부를 묻거나 확인하는 캡쳐 확인용 팝업창(24)을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캡쳐" (24a) 또는 "취소"(24b)의 캡쳐 확인용 팝업창(24)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캡쳐 확인용 팝업창(24)에서 "캡쳐"(24a)가 선택되는 경우, 캡쳐 오브젝트(21a)가 드롭된 화면창(23)의 화면 캡쳐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화면 캡쳐를 수행한 후 캡쳐 오브젝트(21a)가 드롭된 지점에 캡쳐 오브젝트(21a) 대신에 캡쳐된 화면창(23)의 썸네일(25)을 생성하여 표시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캡쳐하고자 하는 화면이 있는 경우, 캡쳐하고 싶은 화면창(23)으로 캡쳐 오브젝트(21)를 드래그 앤 드롭하면, 해당 화면창(23)을 캡쳐할 것인지 확인하는 팝업창(24)이 뜨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팝업창에서 "캡쳐"(24a)를 선택하면, 캡쳐 오브젝트(21a)가 드롭되었던 지점의 해당 화면창(23)이 캡쳐되고, 캡쳐된 화면창(23)의 캡쳐 썸네일(25)이 캡쳐 오브젝트(21a)가 드롭된 지점에 표시되는 것을 통해 해당 화면창(23)이 캡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복수개의 화면창이 겹쳐있을 때 화면 캡쳐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복수개의 화면창(23, 33)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복수개의 화면창(23, 33)은 일부가 겹쳐 있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복수개의 화면창(23, 33)이 화면(20)에 표시된 상태에서, 캡쳐 오브젝트(21)를 화면(20)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오브젝트(21)에 대하여 현재의 위치에서 일부가 겹쳐있는 복수개의 화면창(23, 33)중에서 선택된 화면창(33)내로 향하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22)을 받을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복수개의 화면창중에서 캡쳐할 화면창을 선택하게 하기 위한 캡쳐 선택용 팝업창(24c, 24d, 24e, 24f)을 화면(20)에 표시한다. 이때, 캡쳐 선택용 팝업창(24c, 24d, 24e, 24f)은 복수개의 화면창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 또는 모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나의 팝업창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게 하도록 하여, 선택을 할 수 있는 경우의 수만큼 복수개의 팝업창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팝업창은 복수개의 화면창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 또는 모두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나의 팝업창에 여러 개의 선택 메뉴를 구비하여 구현될 수 도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캡쳐 선택용 팝업창(24c - 24f)에서 임의의 팝업창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팝업창에 상응하는 화면창(23, 33)의 캡쳐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화면 캡쳐를 수행한 후 화면에 캡쳐된 화면창의 캡쳐 썸네일(34)을 표시한다. 이때, 캡쳐 오브젝트가 드롭된 지점에 캡쳐 오브젝트 대신에 캡쳐된 화면창의 캡쳐 썸네일(34)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두개의 화면창(23, 33)이 겹쳐있는 상태에서 두개의 화면창(23, 33) 모두를 캡쳐하기 위한 캡쳐 팝업창(24e)이 선택되었음에 따라 두개의 화면창(23, 33)이 하나의 화면으로 캡쳐된 캡쳐 썸네일(34)이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경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복수개의 화면창(23, 33)이 화면(20)에 표시된 상태에서, 캡쳐하고자 하는 화면이 있는 경우, 캡쳐하고 싶은 화면의 창으로 캡쳐 오브젝트(21)를 드래그 앤 드롭하면(22), 표시된 복수개의 화면창(23, 33)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 또는 모두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캡쳐 선택용 팝업창(24c, 24d, 24e, 24f)이 뜨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캡쳐 선택용 팝업창(24c, 24d, 24e, 24f)에서 사용자가 캡쳐하기를 원하는 화면창에 상응하는 팝업창을 선택하면 해당 화면창이 캡쳐되고, 켭쳐된 화면창의 썸네일(34)이 화면(20)에 표시되는 것을 통해 해당 화면창(23, 33)이 캡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캡쳐된 화면창의 캡쳐 썸네일(34)은 캡쳐 오브젝트(21a)가 드롭된 지점에 표시될 수 도 있고, 화면에서 임의의 위치에 표시될 수 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복수개의 화면창이 겹쳐있는 경우 캡쳐 오브젝트를 드래그 앤 드롭하여 화면 캡쳐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복수개의 화면창(23, 33, 43)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복수개의 화면창(23, 33, 43)은 일부가 겹쳐 있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복수개의 화면창(23, 33, 43)이 화면(20)에 표시된 상태에서, 캡쳐 오브젝트(21)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화면창(23)은 제2 화면창(33)에 의해 일부가 덮여 표시될 수 있다. 제1 화면창(23)은 제3 화면창(43)의 일부를 덮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오브젝트(21)에 대하여 현재의 위치에서 일부가 겹쳐있는 복수개의 화면창(23, 33, 43)내로 향하는 드래그 입력 또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캡쳐 오브젝트(21)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현재의 위치에서 제1 화면창(23)으로 드래그 입력(22)을 받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의해 캡쳐 오브젝트(21a)가 제1 화면창(23)의 일부에 위치하면 제1 화면창(23)을 화면(20)의 최상위면에 표시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제1 화면창(23)의 일부를 덮고 있던 제2 화면창(33)을 투명상태 또는 음영 상태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화면창(23)의 모든 부분이 화면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제1 화면창(23)의 전체를 볼 수 있고, 캡쳐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캡쳐 오브젝트(21a)에 대한 드래그 입력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제1 화면창(23)의 전체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화면창(23)에 위치하던 캡쳐 오브젝트(21a)를 제2 화면창(33)의 영역에 진입하게 하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22)을 받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22)에 의해 캡쳐 오브젝트(21a)가 제1 화면창(23)의 영역에서 제2 화면창(33)의 영역으로 진입되면, 투명 상태 또는 음영 상태로 전환되었던 제2 화면창(33)을 화면의 최상위면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2 화면창(33)의 일부를 덮고 있던 제1 화면창(23)을 투명상태 또는 음영 상태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1 화면창(23)이 제2 화면창(33)에 의해 일부가 덮여있는 상태로 제2 화면창(33)을 화면(20)의 최상위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화면창(33)의 모든 부분이 화면(20)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제2 화면창(33)의 전체를 볼 수 있고, 캡쳐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복수개의 화면창(23, 33, 43)이 화면(20)에 표시된 상태에서, 캡쳐하고자 하는 화면(23, 33)이 있는 경우, 캡쳐하고 싶은 화면창(23, 33)으로 캡쳐 오브젝트(21, 21a)를 드래그하면, 표시된 복수개의 화면창(23, 33, 43)중에서 캡쳐 오브젝트(21a)가 위치한 화면창(23, 33)이 화면(20)의 최상위면에 표시됨에 따라 캡쳐할 화면창을 선택하는데 있어 편리하다. 그리고, 사용자는 캡쳐 오브젝트(21,21a)를 터치한 상태에서 화면(20)상에서 이리 저리로 드래그(22)하면서 캡쳐할 화면창(23, 33, 43)을 고를 수 있고, 캡쳐할 화면창(23, 33)을 결정하면 터치하고 있던 캡쳐 오브젝트(21a)로부터 터치를 해제하여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을 완성함으로써 캡쳐하고자 하는 화면창의 캡쳐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의 (d)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캡쳐 오브젝트(21)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현재의 위치에서 제1 화면창(23)으로 드래그 앤 드롭 입력(22)을 받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의해 캡쳐 오브젝트가 제1 화면창의 일부에 위치하면 제1 화면창(23)을 화면(20)의 최상위면에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제1 화면창(23)의 일부를 덮고 있던 제2 화면창(33)을 투명상태 또는 음영 상태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캡쳐 오브젝트(21a)에 대한 드래그 입력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제1 화면창(23)의 전체를 화면에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캡쳐 오브젝트(21a)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이 유지되던 상태에서 캡쳐 오브젝트(21a)에 대한 드롭 입력이 있으면 제1 화면창(23)에 대한 화면 캡쳐를 수행한다.
도 5의 (e)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화면창(23)에 대한 화면 캡쳐를 수행한 후, 캡쳐된 제1 화면창(23)의 캡쳐 썸네일(24)을 제1 화면창(23)의 일부 영역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투명상태 또는 음영 상태로 전환되었던 제2 화면창(33)을 원래의 투명도로 복귀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된 화면이 복수개일 경우에 캡쳐 썸네일들을 배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복수개의 화면창(23, 33, 43)을 화면(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화면창(23, 33, 43)은 일부가 겹쳐 있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복수개의 화면창(23, 33, 43)이 화면(20)에 표시된 상태에서, 캡쳐 오브젝트(20)에 대하여 현재의 위치에서 임의의 화면창(23, 33, 43)내로 향하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 동작에 따라, 임의의 화면창에 대한 화면 캡쳐를 수행한 후 화면의 임의의 영역에 캡쳐된 화면창의 캡쳐 썸네일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드래그 앤 드롭(22)의 화면창 캡쳐 동작에 의해 화면 캡쳐를 수행하고 그에 따라 제1 캡쳐 썸네일(24)을 표시한 상태에서, 캡쳐 오브젝트(21, 21a)에 대하여 현재의 위치에서 임의의 화면창(33)내로 향하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22)을 또 한번 받을 수 있다. 물론, 또 한번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은 이전에 화면 캡쳐되었던 화면창이 아닌 다른 화면창 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전에 화면 캡쳐되었던 화면창에 드래그 앤 드롭이 되더라도 해당 화면창에 대한 캡쳐 동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또 한번 수행된 드래그 앤 드롭의 화면창 캡쳐 동작에 의해 해당 화면창(33)에 대한 화면 캡쳐를 수행하고 그에 따라 제2 캡쳐 썸네일(34)을 생성하여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2 캡쳐 썸네일(34)을 화면의 상단부에 위치한 캡쳐 바(5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2 캡쳐 썸네일(34)을 캡쳐 바(50)에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캡쳐 바(50)는 화면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2 캡쳐 썸네일(34)은 캡쳐 바(50)가 아닌 화면(20)상의 임의의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2 캡쳐 썸네일(34)은 일정한 배열 형식에 따라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2 캡쳐 썸네일(34)은 일정한 배열 형식 없이 캡쳐된 화면창(23, 33)위에 각각 표시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복수개의 화면창(23, 33, 43)이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캡쳐하고 싶은 화면창으로 캡쳐 오브젝트(21, 21a)를 드래그 앤 드롭하여 복수개의 화면 창을 각각 캡쳐하고, 캡쳐된 복수개의 화면창에 상응하여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이 화면의 상단부에 위치한 캡쳐 바에 각각 표시되는 것을 통해 해당 화면이 캡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된 화면이 복수개일 경우에 썸네일을 배치하고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7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임의의 화면창에 대한 화면 캡쳐를 통해 생성된 각 캡쳐 썸네일들을 화면의 상단부에 위치한 캡쳐 바(5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2 캡쳐 썸네일(34)을 캡쳐 바(50)에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화면(20)에는 제어부(180)에 의해 복수개의 화면창(23, 33, 43)이 표시되어 있다. 복수개의 화면창(23, 33, 43)은 일부가 겹쳐 있을 수 있다. 화면창(23, 33, 43)중의 어느 하나에는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의한 위치 이동된 캡쳐 오브젝트(21a)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바(50)에 표시된 임의의 캡쳐 썸네일에 대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된 제1 캡쳐 썸네일(24a)을 제2 캡쳐 썸네일(34)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선택박스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7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캡쳐 바에서 터치 입력을 받은 제1 캡쳐 썸네일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해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선택박스(24b)를 더 표시한 후에, 화면의 일정 영역에 해당 캡쳐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6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캘린더의 제1 화면창(23)을 캡쳐하여 생성된 제1 캡쳐 썸네일(24b)이 선택되면 화면의 일정 영역에 오늘 날짜와 현재 시각(60)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캡쳐 썸네일(24a)은 비디오 화면을 캡쳐한 캡쳐 썸네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캡쳐 바에서 터치 입력을 받은 제1 캡쳐 썸네일(24a)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해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선택박스를 더 표시한 후에, 캡쳐된 비디오 파일 이름 및 촬영 시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캡쳐 썸네일(24a)은 DMB 화면을 캡쳐한 캡쳐 썸네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캡쳐 바에서 터치 입력을 받은 제1 캡쳐 썸네일(24a)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해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선택박스를 더 표시한 후에, 캡쳐된 DMB의 채널 정보 및 프로그램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캡쳐 썸네일(24a)은 메모 화면을 캡쳐한 캡쳐 썸네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바에서 터치 입력을 받은 제1 캡쳐 썸네일(24a)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해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선택박스를 더 표시한 후에, 캡쳐된 메모의 메모 작성 날짜 및 내용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캡쳐 썸네일(24a)은 인터넷 화면을 캡쳐한 캡쳐 썸네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바에서 터치 입력을 받은 제1 캡쳐 썸네일(24a)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해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선택박스를 더 표시한 후에, 캡쳐된 인터넷 사이트 주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캡쳐 썸네일(24a)은 계산기 화면을 캡쳐한 캡쳐 썸네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바에서 터치 입력을 받은 제1 캡쳐 썸네일(24a)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해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선택박스를 더 표시한 후에, 계산기 화면에서 계산 과정 및 계산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 캡쳐된 화면창에 다른 화면창을 합쳐서 하나의 화면으로 캡쳐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임의의 화면창에 대한 화면 캡쳐를 통해 생성된 각 캡쳐 썸네일들을 화면의 상단부에 위치한 캡쳐 바(5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1 캡쳐 썸네일과 제2 캡쳐 썸네일을 캡쳐 바에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화면(20)에는 제어부(180)에 의해 복수개의 화면창(23, 33, 43)이 표시되어 있다. 복수개의 화면창(23, 33, 43)은 일부가 겹쳐 있을 수 있다. 화면창(23, 33, 43)중의 어느 하나에는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의한 위치 이동된 캡쳐 오브젝트(21a)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바(50)에 표시된 제1 캡쳐 썸네일(24a)에 대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캡쳐 썸네일(24a)에 대하여 현재의 위치에서 제2 화면창(33)내로 향하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22)을 받을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캡쳐 썸네일(24a)에 대한 제2 화면창(33)으로의 드래그 앤 드롭 동작에 의해 제1 화면창(23)과 제2 화면창(33)을 하나의 화면으로 하여 화면 캡쳐를 수행하고, 제3 캡쳐 썸네일(35)을 생성하여 캡쳐 바(50)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캡쳐 바(50)에는 제1 캡쳐 썸네일(24a), 제2 캡쳐 썸네일(34), 제3 캡쳐 썸네일(35)이 표시된다.
제어부(180)는 도 8의 (b)에서 설명된 동작에 의해 캡쳐 바(50)에 제1 캡쳐 썸네일(24a), 제2 캡쳐 썸네일(34), 제3 캡쳐 썸네일(35)을 표시한 상태에서, 캡쳐 바(50)에 구비된 취소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바(50)에서 취소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으면 바로 직전에 수행된 캡쳐 작업에 대한 취소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캡쳐 바(50)에 표시되었던 제3 캡쳐 썸네일(35)을 캡쳐 바(50)로부터 삭제하고, 메모리(160)로부터 해당 캡쳐 이미지를 삭제한다.
제어부(180)는 캡쳐 바(24a)에 제1 캡쳐 썸네일(24a), 제2 캡쳐 썸네일(34), 제3 캡쳐 썸네일(35)을 표시한 상태에서, 캡쳐 바(50)에 구비된 종료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바(50)에서 종료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으면, 캡쳐 작업을 종료하고 캡쳐 바를 화면에서 삭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 캡쳐된 화면창에 다른 화면창을 합쳐서 하나의 화면으로 캡쳐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화면창(23)에 대한 화면 캡쳐를 통해 생성된 제1 캡쳐 썸네일(24)을 화면 캡쳐가 수행된 제1 화면창(23)의 영역에 표시한다.
이때, 화면(20)에는 제어부(180)에 의해 복수개의 화면창(23, 33, 43)이 표시되어 있다. 복수개의 화면창(23, 33, 43)은 일부가 겹쳐 있을 수 있다. 화면창(23, 33, 43)중의 어느 하나에는 화면 캡쳐시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의한 위치 이동가능한 캡쳐 오브젝트(21)가 표시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화면창(23)에 표시된 제1 캡쳐 썸네일(24)에 대하여 현재의 위치에서 제2 화면창(33)내로 향하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22)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화면창(33)내에 제1 캡쳐 썸네일(24a)이 이동될 수 있다.
도 9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드래그 앤 드롭의 화면창 캡쳐 동작에 의해 이미 캡쳐된 제1 화면창(23)에 두번째 드래그 앤 드롭된 제2 화면창(33)이 하나의 화면으로 합쳐진 화면 캡쳐를 수행하고 제2 캡쳐 썸네일(34)을 생성하여 화면(2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2 캡쳐 썸네일(34)을 화면(20)의 상단부에 위치한 캡쳐 바(5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2 캡쳐 썸네일(34)을 캡쳐 바(50)에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캡쳐 바는 화면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2 캡쳐 썸네일(34)은 캡쳐 바(50)가 아닌 화면(20)상의 임의의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2 캡쳐 썸네일(34)은 일정한 배열 형식에 따라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2 캡쳐 썸네일(34)은 일정한 배열 형식 없이 캡쳐된 제1 화면창(23) 및 제2 화면창(33)위에 각각 표시될 수 도 있다. 이때, 화면(20)의 임의의 영역 또는 화면창(23, 33, 43)중의 어느 하나에는 화면 캡쳐시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의한 위치 이동가능하도록 캡쳐 오브젝트(21c)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복수개의 화면창이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캡쳐하고 싶은 화면의 창으로 캡쳐 오브젝트를 드래그 앤 드롭하여 하나의 화면 창을 캡쳐하고, 캡쳐된 화면창의 캡쳐 썸네일이 표시되면, 해당 캡쳐 썸네일을 또 다른 화면창에 드래그 앤 드롭하여 이미 캡쳐된 제1 화면창에 두번째 드래그 앤 드롭된 화면창을 합쳐진 화면 캡쳐를 수행하고 제2 캡쳐 썸네일을 생성한 다음,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이 화면의 상단부에 위치한 캡쳐 바에 각각 표시되는 것을 통해 해당 화면이 캡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된 화면에 메모를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화면(20)의 임의의 영역 또는 화면창(33)에 표시된 캡쳐 썸네일(33a)에 대한 롱 터치 입력(33b)을 받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썸네일(33a)에 대한 롱 터치 입력(33b)이 있는 경우 캡쳐 썸네일의 이미지에 대한 메모를 수행할 수 있는 메모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실행된 메모 기능에 따른 메모 편집 화면(70)에서 캡쳐 썸네일(33a)에 상응하는 캡쳐 이미지(71)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편집 입력을 받아 이미지 편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밑줄 편집 입력을 받아 캡쳐된 이미지에 밑줄(71a)을 생성하거나 메모내용을 적는 이미지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편집된 캡쳐 이미지(71)를 반영하여 저장한다. 제어부(180)는 메모가 추가되어 편집된 캡쳐 이미지(71)를 가지는 썸네일(72)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예를 들어, 화면의 하단에 썸네일(72)을 표시하고, 이미지 편집창에서 편집되는 내용들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보여줄 수 있다. 이때, 메모 편집 화면(70)에서 편집되고 있는 캡쳐 이미지(71)에 상응하는 썸네일(72)임을 표시하기 위해 썸네일(72)의 외곽에 선택 박스(73)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바가 형성되었을 때 메모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화면의 상단부에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24a, 34, 35)을 배열하여 가지고 있는 캡쳐 바(5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캡쳐 오브젝트(21a)는 화면상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화면에 표시된 캡쳐 오브젝트(21a)에 대하여 현재의 위치에서 캡쳐 바(50)에 표시된 캡쳐 썸네일들(24a, 34, 35)중에서 어느 하나의 캡쳐 썸네일, 예를 들어 제1 캡쳐 썸네일(24a)내로 향하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22)을 받을 수 있다.
도 11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화면에 표시된 캡쳐 오브젝트(21a)에 대하여 현재의 위치에서 캡쳐 바(50)에 표시된 제1 캡쳐 썸네일(24a)내로 향하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22)이 있는 경우, 제1 캡쳐 썸네일(24a)의 캡쳐 이미지(71)에 대한 메모를 수행할 수 있는 메모 기능을 실행하여 메모 편집 화면(70)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실행된 메모 기능에 의한 메모 편집 화면(70)에서 제1 캡쳐 썸네일(24a)의 캡쳐 이미지(71)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편집 입력을 받아 이미지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선택된 제1 캡쳐 썸네일(24a)에 대한 메모 편집 기능이 수행되는 동안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예를 들어, 화면의 하단에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72, 74, 75)을 표시하고,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72, 74, 75)중에서 현재 선택된 제1 캡쳐 썸네일(73)을 구별하여 보여주기 위해 썸네일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선택 박스(73)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미지 편집창에서 편집되는 내용들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보여줄 수 있다.
제어부(180)는 화면의 하단에 배열된 캡쳐바에 표시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중(72, 74, 75)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신호에 따라 편집하고자 하는 캡쳐 썸네일을 변경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메모창을 변경할 수 있으며, 다른 캡쳐 썸네일로의 전환 선택시 이전에 메모창에서 작업된 내용들은 캡쳐 바에 표시된 캡쳐 썸네일에 반영되어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모 편집 화면(70)에서 홈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한 홈 키나 백 버튼(미도시됨)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모 기능 화면에서 홈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한 홈 키나 백 버튼이 입력되면, 홈화면을 화면에 표시하고, 메모 편집 화면(70)에서 표시되었던 캡쳐 바에 있던 캡쳐 썸네일들을 홈화면의 상단에 위치한 캡쳐 바에 표시할 수 있다. 홈화면의 상단에 위치한 캡쳐 바는 제1 캡쳐 썸네일, 제2 캡쳐 썸네일, 제3 캡쳐 썸네일을 포함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바가 형성되었을 때 메모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화면의 상단부에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24a, 34, 35)을 배열하여 가지고 있는 캡쳐 바(50)를 표시할 수 있다.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24a, 34, 35)중에서 제1 캡쳐 썸네일(24a)에는 제1 캡쳐 썸네일(24a)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는 선택 박스(24c)가 표시되어 있다. 이때 캡쳐 오브젝트(21a)는 화면상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화면에 표시된 캡쳐 오브젝트(21a)젯에 대하여 더블 터치 입력(21c)을 받을 수 있다.
도 12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화면에 표시된 캡쳐 오프젝트(21a)에 대하여 더블 터치 입력(21c)이 있는 경우, 화면의 상단부에 배열되어 표시되어 있는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24a, 34, 35)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던 제1 캡쳐 썸네일(24a)의 편집을 위한 메모 기능을 실행하여 메모 편집 화면(70)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실행된 메모 기능에 의한 메모 편집 화면(70)에서 캡쳐 썸네일 이미지(71)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편집 입력을 받아 이미지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선택된 제1 캡쳐 썸네일(24a)에 대한 메모 편집 기능이 수행되는 동안 복수개의 썸네일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예를 들어, 화면의 하단에 복수개의 썸네일(72, 74, 75)을 표시하고, 복수개의 썸네일중에서 현재 선택된 제1 썸네일(73)을 구별하여 보여주기 위해 선택 박스(73)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미지 편집창에서 편집되는 내용들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보여줄 수 있다. 제어부(80)는 화면의 하단에 배열된 캡쳐바에 표시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신호에 따라 편집하고자 하는 캡쳐 썸네일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이미지를 공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화면의 상단에 위치한 캡쳐 바(50)에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24a, 34, 35)를 표시한 상태에서, 공유 아이콘(51)에 대한 터치 입력(51a)을 받을 수 있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화면의 상단에 위치한 캡쳐 바(50)에서 공유 아이콘(51)에 대한 터치 입력을 받으면, 캡쳐바(50)를 화면의 하방향으로 확장하여 이동시켜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확장된 캡쳐바(50a)에 공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공유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52)을 화면에 표시한다. 공유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52)은 문자 메시지, 이메일, 웹메일, 메모 어플리케이션, 다양한 SNS 어플리케이션,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공유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52)을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임의의 캡쳐 썸네일의 공유를 위하여 캡쳐 바에 표시된 임의의 캡쳐 썸네일, 예를 들어, 제3 캡쳐 썸네일(35)에 대한 터치 입력(36)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캡쳐 썸네일(35)에 선택 박스(36a)가 표시된다.
도 13의 (d)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확장된 캡쳐 바(50a)에 표시된 제3 캡쳐 썸네일(35)에 대하여 현재 위치에서 공유하는데 사용하고자 하는 임의의 공유 어플리케이션으로, 예를 들어, 노트 어플리케이션(52)으로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22)을 받을 수 있다.
도 13의 (e)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3 캡쳐 썸네일(35)에 해당하는 캡쳐 이미지(35b)를 노트 어플리케이션에 첨부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캡쳐 이미지(35b)가 첨부된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7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도 13의 (a)에서 설명된 캡쳐 바(50)에 표시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들(24a, 34, 35)에 대하여 노트 어플리케이션(52)으로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있으면 각각의 캡쳐 썸네일들에 해당하는 캡쳐 이미지들을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첨부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복수개의 캡쳐 이미지들이 첨부된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창을 표시할 수 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바가 형성되었을 때 캡쳐된 이미지를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첨부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화면의 상단부에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24a, 34, 35)을 배열하여 가지고 있는 캡쳐 바(50)를 표시할 수 있다. 캡쳐 바는 공유 아이콘, 취소 아이콘, 종료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화면의 하단부에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배열하여 가지고 있는 하단 메뉴 바(81)를 표시할 수 있다. 하단 메뉴 바(81)는 전화 아이콘, 주소록 아이콘, 메시지 아이콘(81a), 메뉴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하단 메뉴바(81)는 이외에도 노트, 이메일, 채팅 기능을 실행하게 하기 위한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화 아이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있으면 전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주소록 아이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있으면 주소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시지 아이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있으면 문자 메시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뉴 아이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있으면 메뉴 기능을 실행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화면의 상단부에 위치한 캡쳐 바(50)에 표시된 제1 캡쳐 썸네일(24a)에 대하여 현재 위치에서 하단 메뉴 바(81)에 위치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중에서 첨부하는데 사용하고자 하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으로, 예를 들어, 메시지 아이콘(81a)으로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22)을 받을 수 있다.
도 14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메시지 아이콘(81a)에 해당하는 문자 보내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문자 보내기 어플리케이션에 제1 캡쳐 썸네일에 해당하는 캡쳐 이미지를 첨부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캡쳐 이미지(24c)가 첨부된 문자 작성 화면(80)을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도 14의 (b)에서 설명된 캡쳐 바(50)에 표시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들(24a, 34, 35)에 대하여 메시지 아이콘(81a)으로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있으면 각각의 캡쳐 썸네일들에 해당하는 캡쳐 이미지들을 문자 보내기 어플리케이션에 첨부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복수개의 캡쳐 이미지들이 첨부된 문자 보내기 어플리케이션의 문자 작성 화면(80)에 표시할 수 도 있다. 제어부(180)는 문자 작성 화면(80)에서 키보드(82)를 통해 사용자로 텍스트를 입력받아 문자를 작성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바가 형성되었을 때 캡쳐된 이미지를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첨부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화면의 상단부에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24a, 34, 35)을 배열하여 가지고 있는 캡쳐 바(50)를 표시할 수 있다. 캡쳐 바는 공유 아이콘, 취소 아이콘, 종료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바에 표시된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3 캡쳐 썸네일(35)에 대한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한 하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22)을 받을 수 있다.
도 15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캡쳐 바(50)에 표시된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3 캡쳐 썸네일(35)에 대한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한 하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22)에 따라, 화면의 상단에 표시하였던 캡쳐 바(50)를 아래쪽으로 확장하여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확장된 캡쳐 바(50a)의 하단에는 화면의 상단에 표시하였던 캡쳐 썸네일들과 공유 아이콘, 취소 아이콘, 종료 아이콘을 표시하고, 그 위에 공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공유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52)을 화면에 표시한다. 공유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52)은 문자 메시지, 이메일, 웹메일, 메모 어플리케이션(52a), 다양한 SNS 어플리케이션,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공유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52)을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임의의 캡쳐 썸네일의 공유를 위하여 캡쳐 바에 표시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 예를 들어,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3 캡쳐 썸네일(35)에 대하여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22a)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3 캡쳐 썸네일(35)이 선택되었음을 선택 박스(22b)를 통해 표시하여 준다. 여기에서는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3 캡쳐 썸네일(35)에 대하여 별도의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22a)에 의해 해당 캡쳐 썸네일들이 선택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5의 (a)에서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3 캡쳐 썸네일(35)에 대한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한 하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22)시에 해당 캡쳐 썸네일들이 선택된 것으로 구현될 수 도 있다. 이 경우, 별도의 터치 입력(22a)이 있는 경우에는 선택에서 해제되는 것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해제된 상태에서 다시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터치 입력(22a)을 통해 가능하다.
도 15의 (d)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캡쳐 바에 표시된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3 캡쳐 썸네일(35)이 선택된 상태에서, 공유하는데 사용하고자 하는 임의의 공유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노트 어플리케이션(52a)에 대한 터치 입력(22c)을 받을 수 있다.
도 15의 (e)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노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터치 입력을 받으면,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3 캡쳐 썸네일(35)에 해당하는 캡쳐 이미지들(24c, 35a)을 실행된 노트 어플리케이션에 첨부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캡쳐 이미지들이 첨부된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70)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3 캡쳐 썸네일(35)에 해당하는 캡쳐 이미지들(24c, 35a)을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70)내에 아래, 위로 하나씩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도 13의 (d)에서 설명된 캡쳐 바에 표시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들중에서 하나의 캡쳐 썸네일이 선택된 후, 노트 어플리케이션이 터치되면 해당 캡쳐 썸네일들에 해당하는 캡쳐 이미지를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첨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또 하나의 캡쳐 썸네일이 추가적으로 선택된 후, 노트 어플리케이션이 터치되면 해당 캡쳐 썸네일에 해당하는 캡쳐 이미지를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추가적으로 첨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캡쳐 바가 형성되었을 때 캡쳐된 이미지를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첨부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6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캡쳐 바에 표시된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3 캡쳐 썸네일(35)에 대한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한 하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화면의 상단에 표시하였던 캡쳐 바를 아래쪽으로 확장하여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확장된 캡쳐 바의 하단에는 캡쳐 썸네일들과 공유 아이콘, 취소 아이콘, 종료 아이콘을 표시하고, 그 위에 공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공유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52)을 화면에 표시한다. 공유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은 문자 메시지, 이메일, 웹메일, 메모 어플리케이션, 다양한 SNS 어플리케이션,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캡쳐 썸네일들에 대한 메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캡쳐 오브젝트(21a)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공유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임의의 캡쳐 썸네일의 공유를 위하여 캡쳐 바에 표시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 예를 들어,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3 캡쳐 썸네일(35)에 대하여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3 캡쳐 썸네일(35)이 선택되었음을 선택 박스(22b)를 통해 표시하여 준다.
도 16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캡쳐 바에 표시된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3 캡쳐 썸네일(35)이 선택된 상태에서, 메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캡쳐 오브젝트(21a)에 대한 더블 터치 입력(22d)을 받을 수 있다.
도 16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캡쳐 오브젝트(21a)에 대한 더블 터치 입력(22d)을 받으면,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3 캡쳐 썸네일(35)에 해당하는 캡쳐 이미지(24c, 35a)의 편집을 위한 메모기능을 실행하여 화면에 제1 캡쳐 이미지(24c)와 제3 캡쳐 이미지(35a)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1 캡쳐 썸네일(24a)과 제3 캡쳐 썸네일(35)에 해당하는 캡쳐 이미지들(24c, 35a)을 메모 화면(70)내에 아래, 위로 하나씩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화면의 하단부에 제1 캡쳐 썸네일(24d)과 제3 캡쳐 썸네일(35b)을 표시하여 준다.
제어부(180)는 메모 화면(70)에 표시된 제1 캡쳐 이미지(24c)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편집 입력을 받아 이미지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캡쳐 이미지(24c)에 대하여 사용자의 편집 작업이 수행되면, 그에 따라 캡쳐 바에 표시된 제1 캡쳐 썸네일(24d)에서도 제1 캡쳐 이미지(24c)에서 수행되는 편집 작업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메모 편집창에 표시된 제3 캡쳐 이미지(35a)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편집 입력을 받아 이미지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3 캡쳐 이미지(35a)에 대하여 사용자의 편집 작업이 수행되면, 그에 따라 캡쳐 바에 표시된 제3 캡쳐 썸네일(35b)에서도 제3 캡쳐 이미지(35a)에서 수행되는 편집 작업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메모 화면(70)에서 홈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한 홈 키나 백 버튼(미도시됨)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모 화면(70)에서 홈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한 홈 키나 백 버튼이 입력되면, 홈화면을 화면에 표시하고, 메모 화면(70)에서 표시되었던 캡쳐 바에 있던 캡쳐 썸네일들을 홈화면의 상단에 위치한 캡쳐 바에 표시한다. 홈화면의 상단에 위치한 캡쳐 바는 도 16의 (c)에서 편집되었던 제1 캡쳐 썸네일, 제3 캡쳐 썸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1)
- 복수개의 화면창 및 화면 캡쳐를 위한 캡쳐 오브젝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복수개의 화면창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미리 설정된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캡쳐 오브젝트가 상기 화면상에서 이동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화면창에 위치하면 해당 화면창에 대한 화면 캡쳐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의 상단에 상태 표시바를 표시하고, 상태 표시바에 구비된 캡쳐 메뉴 아이콘에 대해 미리 설정된 터치 입력이 있으면 상기 화면 캡쳐를 위한 캡쳐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오브젝트는 캡쳐 아이콘 또는 캡쳐 위젯인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의해 상기 캡쳐 오브젝트가 상기 화면상에서 이동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화면창에 위치하면 해당 화면창에 대한 화면 캡쳐를 수행하는 단말기.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의해 상기 캡쳐 오브젝트가 상기 화면상에서 이동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화면창에 위치하면 캡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팝업창을 형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기.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개의 화면창들중에서 단독의 화면창을 선택받거나 또는 일부가 겹친 복수개의 화면창을 하나의 화면으로 화면 캡쳐하는 것을 선택받기 위한 복수개의 팝업창을 표시하는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 캡쳐를 수행한 후 해당 화면창내에서 상기 캡쳐 오브젝트가 위치했던 자리에 캡쳐된 화면창의 캡쳐 썸네일을 형성하여 표시하는 단말기.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캡쳐된 화면이 복수개인 경우, 화면의 일부 영역에 캡쳐 바를 형성하고, 상기 캡쳐 바에 상기 형성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을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말기.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캡쳐된 제1 화면창에 형성된 제1 캡쳐 썸네일이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화면창과 일부가 겹친 제2 화면창에 위치하면, 제1 화면창과 제2 화면창을 하나의 화면으로 캡쳐하고, 제2 캡쳐 썸네일을 형성하고, 화면의 일부 영역에 캡쳐 바를 형성하고, 상기 캡쳐 바에 상기 제1 캡쳐 썸네일과 상기 제2 캡쳐 썸네일을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말기.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된 화면창에 형성된 캡쳐 썸네일에 미리 설정된 터치 입력이 있으면, 캡쳐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편집에 따라 상기 캡쳐 이미지를 편집하고 편집된 캡쳐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말기.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상에 표시된 캡쳐 오브젝트가 상기 캡쳐 바에 드래그 앤 드롭되면, 상기 캡쳐 바에 배열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에 대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편집에 따라 상기 캡쳐 이미지를 편집하고 편집된 캡쳐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말기.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상에 표시된 캡쳐 오브젝트에 대해 더블 터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캡쳐 바에 배열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에 대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편집에 따라 상기 캡쳐 이미지를 편집하고 편집된 캡쳐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드래그 입력에 의해 상기 캡쳐 오브젝트가 상기 화면상에서 이동되어 일부가 겹치는 복수개의 화면창중에서 어느 하나의 화면창에 위치하면, 위치된 화면창과 일부가 겹치는 다른 화면창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상기 캡쳐 오브젝트가 위치한 화면창을 상기 다른 화면창에 의해 가림없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기.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화면창 중에서 상기 캡쳐 오브젝트가 위치한 화면창을 상기 다른 화면창에 의해 가림없이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해당 화면창에 드롭되면 해당 화면창에 대한 화면 캡쳐를 수행하는 단말기.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 바에 표시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중에서 캡쳐된 제1 화면창에 상응하는 제1 캡쳐 썸네일이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화면창과 일부가 겹친 제2 화면창에 위치하면, 제1 화면창과 제2 화면창을 하나의 화면으로 캡쳐하고, 제2 캡쳐 썸네일을 형성하고, 상기 캡쳐 바에 상기 제1 캡쳐 썸네일과 상기 제2 캡쳐 썸네일을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말기.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 바에 표시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중에서 선택된 제1 캡쳐 썸네일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편집에 따라 상기 제1 캡쳐 이미지를 편집하고, 상기 캡쳐 바에서 제2 캡쳐 썸네일이 선택되면 상기 편집된 제1 캡쳐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편집된 제1 캡쳐 이미지에 상응하는 제1 캡쳐 썸네일을 상기 캡쳐 바에 표시하는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바는 공유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아이콘에 대한 실행 입력이 있으면, 상기 캡쳐 바의 영역이 확장되도록 캡쳐 바의 위치를 변경하고, 확장된 캡쳐 바의 영역에 캡쳐된 이미지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 어플리케이션 메뉴 아이콘들을 배열하여 표시하고, 상기 캡쳐 바에 표시된 복수의 캡쳐 썸네일중 임의의 캡쳐 썸네일이 상기 공유 어플리케이션 메뉴 아이콘들에 드래그 앤 드롭되면 해당 캡쳐 썸네일에 상응하는 캡쳐 이미지를 해당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유를 수행하는 단말기.
- 제17 항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 바에 표시된 복수의 캡쳐 썸네일중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이 상기 공유 어플리케이션 메뉴 아이콘들에 드래그 앤 드롭되면 해당 캡쳐 썸네일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캡쳐 이미지들을 해당 공유 어플리케이션에 첨부하는 단말기.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 바를 화면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 공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메뉴 아이콘들을 화면의 제2 영역에 배치하고, 상기 캡쳐 바에 있는 임의의 캡쳐 썸네일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메뉴 아이콘중에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드래그 앤 드롭되면 해당 캡쳐 썸네일에 상응하는 캡쳐 이미지를 해당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유하는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 바에 표시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이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해 공유를 위해 선택되어 임의의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이 있으면, 상기 캡쳐 바의 영역이 확장되도록 캡쳐 바의 위치를 변경하고, 확장된 캡쳐 바의 영역에 캡쳐된 이미지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 어플리케이션 메뉴 아이콘들을 배열하여 표시하고, 임의의 공유 어플리케이션 메뉴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캡쳐 이미지를 해당 공유 어플리케이션에 첨부하는 단말기.
-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 바에 표시된 복수개의 캡쳐 썸네일중에서 제1 캡쳐 썸네일과 제2 캡쳐 썸네일이 공유를 위해 선택되고, 메모 어플리케이션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하나의 편집 화면에 해당 캡쳐 썸네일에 상응하는 제1 캡쳐 이미지 및 제2 캡쳐 이미지를 배치하여 표시하고, 각각 편집하는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9260A KR20150056346A (ko) | 2013-11-15 | 2013-11-15 | 다중 창 화면 캡쳐 처리를 위한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9260A KR20150056346A (ko) | 2013-11-15 | 2013-11-15 | 다중 창 화면 캡쳐 처리를 위한 단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6346A true KR20150056346A (ko) | 2015-05-26 |
Family
ID=5339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9260A Withdrawn KR20150056346A (ko) | 2013-11-15 | 2013-11-15 | 다중 창 화면 캡쳐 처리를 위한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56346A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977152A (zh) * | 2017-11-30 | 2018-05-01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一种基于双屏移动终端的图片分享方法、终端和存储介质 |
WO2018103423A1 (zh) * | 2016-12-07 | 2018-06-14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截屏方法及装置 |
WO2020180034A1 (ko) * | 2019-03-05 | 2020-09-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사용자 선택 기반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WO2021043171A1 (zh) * | 2019-09-06 | 2021-03-11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屏幕截取方法及相关设备 |
WO2022142826A1 (zh) * | 2020-12-29 | 2022-07-07 | 展讯通信(天津)有限公司 | 界面截图方法、装置和电子设备 |
CN114787863A (zh) * | 2019-10-17 | 2022-07-22 | 三星电子株式会社 | 电子装置和电子装置操作屏幕捕获的方法 |
CN115390737A (zh) * | 2021-05-25 | 2022-11-25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电子设备控制方法及电子设备 |
EP4113263A4 (en) * | 2020-03-02 | 2023-08-23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SCREEN CAPTURE SHARING METHOD AN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A |
EP4138037A4 (en) * | 2020-08-03 | 2023-10-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ULTIPLE WINDOW IMAGE CAPTURE METHOD AND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
EP4294025A4 (en) * | 2021-02-22 | 2024-07-31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SCREEN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
2013
- 2013-11-15 KR KR1020130139260A patent/KR20150056346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03423A1 (zh) * | 2016-12-07 | 2018-06-14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截屏方法及装置 |
CN108174014A (zh) * | 2016-12-07 | 2018-06-15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截屏方法及装置 |
CN107977152A (zh) * | 2017-11-30 | 2018-05-01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一种基于双屏移动终端的图片分享方法、终端和存储介质 |
WO2020180034A1 (ko) * | 2019-03-05 | 2020-09-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사용자 선택 기반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WO2021043171A1 (zh) * | 2019-09-06 | 2021-03-11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屏幕截取方法及相关设备 |
US11922005B2 (en) | 2019-09-06 | 2024-03-05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Screen capture method and related device |
CN114787863A (zh) * | 2019-10-17 | 2022-07-22 | 三星电子株式会社 | 电子装置和电子装置操作屏幕捕获的方法 |
EP4113263A4 (en) * | 2020-03-02 | 2023-08-23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SCREEN CAPTURE SHARING METHOD AN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A |
EP4138037A4 (en) * | 2020-08-03 | 2023-10-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ULTIPLE WINDOW IMAGE CAPTURE METHOD AND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
US11822760B2 (en) | 2020-08-03 | 2023-11-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capturing images for multi windows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US12333121B2 (en) | 2020-08-03 | 2025-06-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capturing images for multi windows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WO2022142826A1 (zh) * | 2020-12-29 | 2022-07-07 | 展讯通信(天津)有限公司 | 界面截图方法、装置和电子设备 |
EP4294025A4 (en) * | 2021-02-22 | 2024-07-31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SCREEN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CN115390737A (zh) * | 2021-05-25 | 2022-11-25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电子设备控制方法及电子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7461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티티에스 음성 데이터 출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US9395900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oving an icon from a pag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to another page | |
KR101451667B1 (ko) |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063103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50056346A (ko) | 다중 창 화면 캡쳐 처리를 위한 단말기 | |
KR20110123348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40089245A (ko) | 더블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 |
KR2012007927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00125635A (ko)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KR101564108B1 (ko) | 듀얼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아이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KR20110113844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20066914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2131827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
KR20150031072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88150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의 멀티터치를 이용한 객체 표시 제어 방법 | |
KR20140060653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20120009546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10111877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37612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
KR101592298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 |
KR101842198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859099B1 (ko) |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20130116976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40092694A (ko) | 멀티 터치에 의한 다중 선택 방법 및 그 단말기 | |
KR101980702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