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717A -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가습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50717A KR20150050717A KR1020130130758A KR20130130758A KR20150050717A KR 20150050717 A KR20150050717 A KR 20150050717A KR 1020130130758 A KR1020130130758 A KR 1020130130758A KR 20130130758 A KR20130130758 A KR 20130130758A KR 20150050717 A KR20150050717 A KR 201500507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midifying
- water
- filter
- upper module
- humidifying fil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필터를 수조부의 수위면보다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트 장치를 적용하여 흡입구 측의 공기청정필터를 통해 유입된 쾌적한 건공기를 바로 토출구 측으로 송출하는 가습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리프트 장치의 적용으로 가습필터를 상승시켜 수조부의 수면 윗부분까지 인출시킨 후 송풍을 통해 가습필터의 건조가 가능함으로써 장시간 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필터건조기능을 통해 토출구의 악취의 방출을 방지한다.
특히, 본 발명은 리프트 장치의 적용으로 가습필터를 상승시켜 수조부의 수면 윗부분까지 인출시킨 후 송풍을 통해 가습필터의 건조가 가능함으로써 장시간 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필터건조기능을 통해 토출구의 악취의 방출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필터를 수조부의 수위면보다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트 장치를 적용하여 흡입구 측의 공기청정필터를 통해 유입된 쾌적한 건공기를 바로 토출구 측으로 송출하는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장치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풍로 안에 송출된 건조한 공기를 가열기로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를 습윤 상태의 기화필터에 통과시킴으로써 습기찬 공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가열된 공기가 기화필터를 통과하게 되면, 가열된 공기의 열에 의해 기화필터에 침투된 수분이 기화하여 증기가 되고, 증기와 건조한 공기가 혼합됨으로써 습기찬 공기가 발생한다. 기화필터는 트레이(수조) 내에 저장된 물속에 침지되어 있고, 기화필터는 트레이 안의 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수하여 습윤하게 된다.
가습장치는 기화필터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가습 용량을 높일 수 있으나, 기화필터가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가습장치의 가습 용량을 대폭 늘리기 위해서는 기화필터의 가로폭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가습장치를 탑재하는 경우에는, 공기 조화기 자체가 세로로 긴 형태일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습장치의 가로폭이 제한되어 기화필터의 가로폭을 크게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송풍기, 가열기 및 기화필터로 이루어진 가습장치를 복수 개 탑재하여 가습장치의 가습량을 대폭 늘렸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상기한 종래기술의 가습장치를 설명한다.
가습장치는 본체 케이스(1)를 칸막이 판(2)에 의해서 상부공간(3)과 하부공간(4)으로 나누고, 본체 케이스(1)의 측면으로 하부공간(4)에 복수의 방향에서 연통하는 흡입구(미도시)를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가습필터(5)를 하부공간(4)에 상기 복수개의 흡입방향에 대향시켜 장착하고, 상부공간(3)에 위치한 터보팬(6)은 팬 흡입구(7)측 칸막이 판(2)에 설치한 하부공간의 연통구에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가습장치에서는 기화필터마다 송풍기나 가열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복수의 기화필터를 이용해 가습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복수의 송풍기 및 가열기가 필요하고, 복수의 송풍기 및 가열기를 탑재시키면 가습장치의 전체 사이즈가 커짐은 물론 상당한 비용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가습장치의 가습필터는 고정형으로 항시 수조부의 물속에 침지되어 있는 구조이며, 상기 종래의 특허기술에서 균일가습을 위한 가습필터는 하부측 일부만을 수조부의 물속에 침지하여 모세관현상에 따라 가습필터 상부까지 수조부의 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섬유필터가 적당하다.
그러나, 상기 가습필터의 경우 장시간 방치 후 사용할 경우 수조부 및 가습필터 측의 세균의 급속번식이 우려되며, 상기 조건으로 방치 후 제품 동작 중에는 세균번식에 의해 토출구 측에서 오염된 냄새가 방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항시 가습필터가 수조부 물속에 침지되어 있기 때문에 가습되지 않은 쾌적공기의 방출인 공기청정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허문헌 1) KR10-2005-0065265 A
(특허문헌 2) JP2012-98020 A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습필터를 수조부의 수위면보다 높게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별도의 리프트 장치를 적용시켜 흡입구측에 장착되어 있는 공기청정필터를 통해 유입된 쾌적한 건공기를 바로 토출구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독립 공기청정기능을 하는 가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리프트 모듈의 적용으로 가습필터를 상승시켜 수조부의 수면 윗부분까지 인출시킨 후 송풍을 통해 가습필터의 건조가 가능한 가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가습장치는 상부 모듈; 및 상기 상부 모듈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모듈과 탈착 가능한 하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모듈은, 물을 공급하는 물통, 상기 물통과 인접하여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물을 공급받는 수조를 포함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의 일측에 장착되는 가습필터를 포함하는 가습필터 모듈; 및 상기 수조부에서 상기 가습필터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물과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모듈은, 상기 하부 모듈에 상기 상부 모듈을 장착시켜 동작시킬 경우 상기 상부 모듈의 후면측의 공기유입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가습필터를 거쳐 상부로 송출되도록 유도하는 송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모듈의 상면에는 상기 가습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송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조부는, 상기 수조와 융착되는 수조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 커버 하면에는 리프트 장치의 탈/장착을 위한 별도의 리프트 커버와 상기 리프트 장치 상측에 배치된 리프트 샤프트의 상/하 동작시 누수를 방지하는 실링러버가 장착되며, 상기 리프트 커버 내측에는 상기 리프트 장치가 동작 중 진동방지와 상기 리프트 커버의 밀폐를 위한 댐퍼러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모듈은, 상기 송풍부까지 연결된 흡입유로를 포함하는 공기흡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습필터와 상기 송풍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가습필터 상측면 일부를 덮고, 그 내측은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모듈과 상기 하부 모듈이 기 설정된 높이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송풍부의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모듈은, 상기 토출구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이온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습필터를 수조부의 수위면보다 높게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별도의 리프트 장치를 적용시켜 흡입구측에 장착되어 있는 공기청정필터를 통해 유입된 쾌적한 건공기를 바로 토출구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독립적인 공기청정기능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프트 모듈의 적용으로 가습필터를 상승시켜 수조부의 수면 윗부분까지 인출시킨 후 송풍을 통해 가습필터의 건조가 가능함으로써 장시간 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필터건조기능을 통해 토출구의 악취의 방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울어, 본 발명은 가습필터에서의 세균번식을 차단하여 위생적인 가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가습이 필요없는 계절에 공기청정기능을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습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상부 모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가습필터 모듈의 사시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리프트 장치의 사시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리프트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수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의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리프트 장치의 동작 여부에 따른 내부유동의 흐름도,
도 9의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상부 모듈의 배면사시도 및 상부고정링의 배면사시도,
도 10의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결속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상부 모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가습필터 모듈의 사시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리프트 장치의 사시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리프트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수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의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리프트 장치의 동작 여부에 따른 내부유동의 흐름도,
도 9의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상부 모듈의 배면사시도 및 상부고정링의 배면사시도,
도 10의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결속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가습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는 상부 모듈(100), 상부 모듈(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 모듈(100)과 탈착 가능한 하부 모듈(2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독립공기 청정기능 및 가습필터 건조 기능을 포함한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흡입구(240), 토출구(340), 송풍부(110)를 포함하는 상부 모듈(100)과 물통(211), 가습필터 모듈(220), 수조부(210)를 포함하는 하부 모듈(200)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 모듈(200)에 상부 모듈(100)을 조립 후 운전시 모터(112)에 전원이 인가되어 송풍장치가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하부 모듈(200)에는 물통(211)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일정수위를 저수하는 수조(212), 상기 수조(212)의 일측에는 가습필터 모듈(220)이 위치하며, 가습필터 모듈(220)은 저수된 수조(212)의 물에 하부측 일부만 침지되며, 물속에 침지된 가습필터(221)는 모세관현상에 따라 가습필터(221) 상부측까지 단시간에 전체를 적셔지게 된다. 가습필터(221)의 경우 청소성 및 관리성에 따라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가습필터(221)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습필터 모듈(220)은 섬유재질로서 플랙시블(Flexible)한 형상을 수직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가습필터 케이스(222)와 가습필터 커버(223)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습필터 모듈(220)은 가습필터 케이스(222)의 내부에 가습필터(221)를 장착 후 가습필터 커버(223)를 조립하게 된다. 가습필터 커버(223)의 일측에 상하 움직임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마그네틱(226)이 삽입될 수 있다.
가습필터 케이스(222)에는 리프트 장치(230)가 상/하 이동시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리프트 캡(231)이 상응하여 고정 및 연동 가능한 원형 수용체(224)가 있다. 원형 수용체(224)의 형상은 장착성과 상/하 이동시 흔들림이 없도록 한 타원형 구조가 타당하며, 원형 수용체(224) 일측에는 리프트 캡 돌기(239)에 상응하는 돌기 수용체(225)가 존재한다.
가습필터 모듈(220)을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리프트 장치(230)는 가습필터(221)를 수조(212)의 수위면 상부까지 상승시킨 후 송풍을 하여 가습필터(221)를 건조시키는 기능과 더불어 공기청정필터(242)를 거쳐 유입된 쾌적한 건공기가 수조(212)의 물이 침지되지 않는 가습필터(221)를 건조시키는 기능과 더불어 공기청정필터(242)를 거쳐 유입된 쾌적한 건공기가 수조(212)의 물이 침지되지 않은 가습필터(221)를 지남에 따라 습도변화 없이 토출구(340)측으로 바로 이송시키는 독립공기청정기능을 가능토록 수조부(210) 내 구성된 리프트 장치(230)는 DC 12V를 갖는 모터(112)를 사용하며, 내부 기어구조에 의해 리프트 샤프트(232)의 동작은 일정거리만큼의 상/하 운동이 가능하다
리프트 샤프트(232)의 상부에는 리프트 샤프트(232)보다 큰 리프트 캡(231)이 존재하며, 전언하였듯이 리프트 캡(231)에 가습필터 모듈(220)을 안착시켰을 때 좌/우 흔들거림이 없도록 가습필터 케이스(222)에는 타원형의 형상의 원형 수용체(224)와 일측에 돌기 수용체(225)를 구비하였다.
또한, 리프트 샤프트(232)는 개구되어 상기 수조(212)와 수조 커버(213)를 융착시킬 시 공압테스트를 가능토록 하였다.
리프트 장치(230)의 경우, 융착된 수조(212)와 수조 커버(213)로부터 분해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리프트 장치(230)가 고장이 발생될 경우 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리프트 장치(230)의 조립 및 교체구조는 다음과 같다.
리프트 장치(230) 내 일정높이만큼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부측 구조가 원형으로 되어 있는 리프트 샤프트(232), 원형 형상의 상측부 리프트 샤프트(232)의 내측은 개구되어 있어 수조(212)와 수조 커버(213)를 융착 후 리프트 샤프트(232)의 상부측으로 공압테스트가 가능토록 하였다.
리프트 샤프트(232)가 상/하 이동 중 물의 유입이 없도록 상부 구간에는 리프트 샤프트 러버(234)가 위치하며, 리프트 샤프트 러버(234)의 이탈 및 리프트 장치(230)의 고정을 위한 리프트 장치 고정부(236), 리프트 장치(230)가 동작 중 발생 가능한 진동 및 리프트 커버(237) 측의 실링을 위한 댐퍼 러버(238)로 구성된다.
리프트 장치 고정부(236) 및 리프트 커버(237)는 스크류에 의한 체결이 가능토록 하였다.
수조 커버(213)에는 운반이 용이하도록 좌/우측에 수조 손잡이(214) 형상이 존재하며, 수조(212)에는 일정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센서(미도시)가 존재한다.
상부 모듈(100)의 주요구성은 송풍부(110), 공기흡입부(240), 전원인가부(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모듈(200)에 상부 모듈(100)을 조립 후 전원을 인가하여 동작시키면 모터(112)가 터보팬(111)을 동작시켜, 후면부에 위치한 공기흡입구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건공기가 가습필터(221)를 거쳐, 가습필터 모듈(220)의 상측 일부 높이를 감싸고 있고, 터보팬(111)의 하부에 위치한 유로인 흡입유로(243)를 통해 터보팬(111)으로부터 송출되는 공기기류가 토출구(340)를 통해 다시 실내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부 모듈(100)의 상면의 토출구(340)는 폐쇄된 원형의 중심부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원주 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개구부를 구비한다.
터보팬(111)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12)는 AC모터와 DC모터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초기 동작소음 및 소비전력을 고려할 경우 BLDC 모터의 적용이 바람직하다.
상부 모듈(100)측 후면부에 위치한 공기흡입부(240)에는 공기청정필터(242)가 장착되어 있고, 실내의 오염공기가 공기청정필터(242)를 거친 쾌적 공기가 내부로 유입하게 되며, 공기흡입부(240)와 먼 곳일수록 가습필터(221)를 거치는 공기의 유량이 적어진다.
공기흡입부(240) 측의 개구면적을 확대시켜 가습필터(221)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공기흡입부(240)와 먼거리에 있는 가습필터면(227) 측의 물통(211)형상을 안쪽으로 들어가게 만들어 가습필터면(227)으로 유입되는 공기유동을 원활하게 만들어 주는 유로를 추가형성된다.
또한, 수조(212)의 내측에 공기유로 가이드(215)를 두어 공기흡입부(240)로부터 먼 곳의 가습필터면(227)으로 유입되는 공기유량을 증가시킨다.
토출구(340)는 폐쇄된 원형의 중심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원주 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가습필터(221)를 거쳐 유입된 공기는 가습필터(221)와 터보팬(111) 사이의 흡입유로(243)를 통과하게 된다.
흡입유로 입구(244)는 가습필터 모듈(220) 상부, 즉 가습필터 커버(223)의 일부 영역을 감싸는 것으로 가습필터(221)를 거쳐 유입된 공기가 손실 없이 터보팬(111)으로부터 토출구(340) 측으로 송출되도록 하였다. 이때, 토출구(340)측 바로 하측에는 이온발생기(120)가 위치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을 제거 내지 중화시키는 역할을 하여 실내공기의 청정화를 강화하였다.
여기서, 이온발생기(120)로 사용되는 이온발생장치는 양이온으로서 H+(H2O)m(m은 임의의 자연수)을, 음이온으로서 O2-(H2O)n(n은 임의의 자연수)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말하는데, 이에 따라 양이온으로서의 H+(H2O)m과 음이온으로서의 O2-(H2O)n의 작용에 의해 공기 중의 부유 세균을 살균할 수 있어 공기의 질 개선에 큰 도움을 준다.
또한, 양이온으로서 H+(H2O)m(m은 임의의 자연수)과 음이온으로서 O2-(H2O)n(n은 임의의 자연수)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이들 이온을 공기 중으로 송출하면 이들 이온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생성되는 활성종으로서의 과산화수소(H2O2) 또는 OH기(radical)에 의한 산화반응에 의해 공기 중에 부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에 따라, 공기를 부유 세균이 없는 건강에 이로운 것으로 개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이온과 양이온의 작용에 의해 공기 중의 부유 세균이 살균 제거되는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유전체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전극에 교류전압을 인가하여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물 분자가 음이온과 양이온으로 전리되어 양이온으로는 수소 이온 수화물 H+(H2O)m이 생성되고, 음이온으로는 산소 이온 수화물 O2-(H2O)n이 생성되어 음이온과 양이온이 공기 중의 부유 세균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활성종인 수산기(OH)나 과산화수소(H2O2)를 생성하여 세균의 세포에서 수소 원자를 빼내 살균하는 것이다.
이러한 화학반응은 산화 반응으로써 수산기(OH)에는 살균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 포함되는 냄새의 근원이 되는 여러 가지 분자를 산화하여 무취화 하는 작용도 있다.
상기한 바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의 이온발생기(120)는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통해 방전되어 양음이온을 발생시키는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나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이온을 생성하는 플라즈마 이온발생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모듈(100)의 경우 상측부에 2개의 손잡이(미표시)를 두어 하부 모듈(200)로부터 탈착하거나 장착시에 용이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하부 모듈(200)에 상부 모듈(100)을 조립 후 송풍부(110)를 동작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 후 세척이 필요한 수조부(210)를 포함한 하부 모듈(200)보다 상부 모듈(100)에 전원인가부(미도시)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모듈(200)의 통전을 위해 하부 접촉부재(141)가 존재하며, 하부 접촉부재(141)는 돌출된 형상으로 2개 이상의 다수 개도 가능하다. 하지만 물이 고일 경우 단락될 우려가 발생하기 때문에 하부 접촉부재(141) 사이의 돌출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단락이 되지 않도록 한다.
하부 접촉부재(141)는 스테인레스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접촉부재(145)의 경우 하부 접촉부재(141)와 대응하는 것으로 조립시 접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평평한 상부 접촉부재(145)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며, 조립시 충격완화를 위해 텐션부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예로 스프링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부 모듈(100)의 하부에는 전면판넬(310)과 후면판넬(320)을 고정과 하부 모듈(200)과의 안정적인 형합을 위한 상부 모듈 고정링(330)이 포함된다. 상기 상부 모듈 고정링(330)은 일반적으로 스크류 체결이 타당하나, 후크조립도 가능하다.
상부 모듈(100)과 하부 모듈(200)의 통전은 접촉부재를 이용하였으며, 그에 따른 구성은 하기와 같다.
상부 모듈(100)측의 전면판넬 커버(143) 일측에는 하부 접촉부재(141)와 접할 때 원활한 통전을 위한 "ㄷ"자 형상의 상부 접촉부재(145)가 존재한다.
상부 접촉부재(145)의 경우 하부 접촉부재(141)와 접촉시 유연성을 갖기 위해 각각의 상부 접촉부재(145)에는 스프링(144)을 적용하여 하부 모듈(200)과의 조립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나 접촉성을 개선한다.
또한, 상부 접촉부재(145)와 스프링(14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접촉부재 커버(146)로 고정을 하였다. 상부 접촉부재(145)의 경우 하부 접촉부재(141)와 접촉시 원활한 이동을 위해 면접촉이 아닌 점접촉을 적용하기 위해 상면과 하면에 원형 돌기(148)를 두었고 전면판넬 커버(143)측에는 상기 상부 접촉부재(145)와 접하는 곳에 이동홈(147)이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본체 케이스
2 : 칸막이 판
3 : 상부공간
4 : 하부공간
5 : 가습필터
6 : 터보팬
7 : 팬 흡입구
100 : 상부 모듈
110 : 송풍부
111 : 터보팬
112 : 모터
120 : 이온발생기
140 : 결속 모듈
141 : 하부 접촉부재
142 : 돌출부재
143 : 전면판넬 커버
144 : 스프링
145 : 상부 접촉부재
146 : 접촉부재 커버
147 : 이동홈
148 : 원형 돌기
200 : 하부 모듈
210 : 수조부
211 : 물통
212 : 수조
213 : 수조 커버
214 : 수조 손잡이
215 : 공기유로 가이드
220 : 가습필터 모듈
221 : 가습필터
222 : 가습필터 케이스
223 : 가습필터 커버
224 : 원형 수용체
225 : 돌기 수용체
226 : 마그네틱
227 : 가습필터면
230 : 리프트 장치
231 : 리프트 캡
232 : 리프트 샤프트
234 : 리프트 샤프트 러버
236 : 리프트 장치 고정부
237 : 리프트 커버
238 : 댐퍼 러버
239 : 리프트 캡 돌기
240 : 공기흡입부
241 : 흡입 커버
242 : 공기청정필터
243 : 흡입유로
244 : 흡입유로 입구
310 : 전면판넬
320 : 후면판넬
330 : 상부 모듈 고정링
340 : 토출구
2 : 칸막이 판
3 : 상부공간
4 : 하부공간
5 : 가습필터
6 : 터보팬
7 : 팬 흡입구
100 : 상부 모듈
110 : 송풍부
111 : 터보팬
112 : 모터
120 : 이온발생기
140 : 결속 모듈
141 : 하부 접촉부재
142 : 돌출부재
143 : 전면판넬 커버
144 : 스프링
145 : 상부 접촉부재
146 : 접촉부재 커버
147 : 이동홈
148 : 원형 돌기
200 : 하부 모듈
210 : 수조부
211 : 물통
212 : 수조
213 : 수조 커버
214 : 수조 손잡이
215 : 공기유로 가이드
220 : 가습필터 모듈
221 : 가습필터
222 : 가습필터 케이스
223 : 가습필터 커버
224 : 원형 수용체
225 : 돌기 수용체
226 : 마그네틱
227 : 가습필터면
230 : 리프트 장치
231 : 리프트 캡
232 : 리프트 샤프트
234 : 리프트 샤프트 러버
236 : 리프트 장치 고정부
237 : 리프트 커버
238 : 댐퍼 러버
239 : 리프트 캡 돌기
240 : 공기흡입부
241 : 흡입 커버
242 : 공기청정필터
243 : 흡입유로
244 : 흡입유로 입구
310 : 전면판넬
320 : 후면판넬
330 : 상부 모듈 고정링
340 : 토출구
Claims (6)
- 상부 모듈; 및
상기 상부 모듈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모듈과 탈착 가능한 하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모듈은,
물을 공급하는 물통, 상기 물통과 인접하여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물을 공급받는 수조를 포함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의 일측에 장착되는 가습필터를 포함하는 가습필터 모듈; 및
상기 수조부에서 상기 가습필터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물과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모듈은, 상기 상부 모듈에 상기 상부 모듈을 장착시켜 동작시킬 경우 상기 상부 모듈의 후면측의 공기유입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가습필터를 거쳐 상부로 송출되도록 유도하는 송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모듈의 상면에는 상기 가습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송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는, 상기 수조와 융착되는 수조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 커버 하면에는 리프트 장치의 탈/장착을 위한 별도의 리프트 커버와 상기 리프트 장치 상측에 배치된 리프트 샤프트의 상/하 동작시 누수를 방지하는 실링러버가 장착되며,
상기 리프트 커버 내측에는 상기 리프트 장치가 동작 중 진동방지와 상기 리프트 커버의 밀폐를 위한 댐퍼러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모듈은,
상기 송풍부까지 연결된 흡입유로를 포함하는 공기흡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습필터와 상기 송풍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가습필터 상측면 일부를 덮고, 그 내측은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모듈과 상기 상부 모듈이 기 설정된 높이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송풍부의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모듈은, 상기 토출구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이온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0758A KR102092223B1 (ko) | 2013-10-31 | 2013-10-31 |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가습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0758A KR102092223B1 (ko) | 2013-10-31 | 2013-10-31 |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가습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0717A true KR20150050717A (ko) | 2015-05-11 |
KR102092223B1 KR102092223B1 (ko) | 2020-03-24 |
Family
ID=53388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0758A KR102092223B1 (ko) | 2013-10-31 | 2013-10-31 |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가습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2223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51247A (ko) * | 2015-10-30 | 2017-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습청정장치 |
KR20170112134A (ko) * | 2016-03-30 | 2017-10-12 |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 가습공기청정기 |
US10702819B2 (en) | 2017-11-27 | 2020-07-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leaner |
US20210048201A1 (en) * | 2018-03-16 | 2021-02-18 | Lg Electronics Inc. |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
KR102659402B1 (ko) * | 2023-04-26 | 2024-04-23 | (주)엘이디세이버 | 부유식 가습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3984U (ko) * | 1997-12-10 | 1999-07-05 | 전주범 | 분무방향 조절장치를 갖는 가습기 |
JP2003014261A (ja) * | 2001-06-27 | 2003-01-15 | Sharp Corp | 加湿装置 |
JP2010151365A (ja) * | 2008-12-25 | 2010-07-08 | Panasonic Corp | 加湿装置 |
KR20130011170A (ko) * | 2011-07-20 | 2013-01-30 | 주식회사 위닉스 | 가습형 공기청정기 |
-
2013
- 2013-10-31 KR KR1020130130758A patent/KR1020922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3984U (ko) * | 1997-12-10 | 1999-07-05 | 전주범 | 분무방향 조절장치를 갖는 가습기 |
JP2003014261A (ja) * | 2001-06-27 | 2003-01-15 | Sharp Corp | 加湿装置 |
JP2010151365A (ja) * | 2008-12-25 | 2010-07-08 | Panasonic Corp | 加湿装置 |
KR20130011170A (ko) * | 2011-07-20 | 2013-01-30 | 주식회사 위닉스 | 가습형 공기청정기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51247A (ko) * | 2015-10-30 | 2017-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습청정장치 |
KR20170112134A (ko) * | 2016-03-30 | 2017-10-12 |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 가습공기청정기 |
US10702819B2 (en) | 2017-11-27 | 2020-07-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leaner |
US10967319B2 (en) | 2017-11-27 | 2021-04-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leaner |
US20210048201A1 (en) * | 2018-03-16 | 2021-02-18 | Lg Electronics Inc. |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
KR102659402B1 (ko) * | 2023-04-26 | 2024-04-23 | (주)엘이디세이버 | 부유식 가습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2223B1 (ko) | 2020-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243934A1 (en) | Air humidific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 |
JP4737338B2 (ja) | 液処理用放電ユニット、調湿装置、及び給湯器 | |
KR20150050717A (ko) |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가습장치 | |
US20110226863A1 (en) | Humidity control apparatus | |
JP5832214B2 (ja) | 加湿装置 | |
KR20180026525A (ko) | 가습 필터 및 가습기 | |
JP6367445B2 (ja) | 加湿空気清浄機 | |
JP5953196B2 (ja) | 加湿装置 | |
WO2013047133A2 (ja) |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機の使用方法 | |
KR101923449B1 (ko) | 가습기 | |
JP2008039327A (ja) | 加湿装置 | |
JP2009133505A (ja) | 調湿装置 | |
KR20180132290A (ko) | 가습과 자외선에 의한 살균 및 광촉매와 전기집진기능을 겸비한 공기살균기 | |
WO2013051460A2 (ja) | 空気清浄機 | |
JP2002327940A (ja) | 空気調和機 | |
JP5824610B2 (ja) |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 |
JP2013155995A (ja) | 加湿装置 | |
JP4825190B2 (ja) | 空気調和機 | |
JP2013155958A (ja) |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 |
KR20110035568A (ko) | 가습 공기청정기 | |
JP6502032B2 (ja) | 電気機器 | |
KR102237457B1 (ko) | 급수형 에어워셔 | |
JP2017166765A (ja) | 加湿機構及び空気清浄機 | |
JP3115357U (ja) | 加湿装置 | |
JP6105899B2 (ja) | 加湿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