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002A - 스위치 장치 및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및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7002A KR20150027002A KR20140116075A KR20140116075A KR20150027002A KR 20150027002 A KR20150027002 A KR 20150027002A KR 20140116075 A KR20140116075 A KR 20140116075A KR 20140116075 A KR20140116075 A KR 20140116075A KR 20150027002 A KR20150027002 A KR 201500270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contact
- bobbin
- rubber
- 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코일 안테나를 구비한 푸시형의 스위치 장치를 조립하기 쉽게 한다.
[해결 수단]
기판(11)의 고정 접점과 러버 콘택트(13)의 가동 접점이 대면하도록 러버 콘택트(13)를 보빈(14)과 기판(11)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보빈(14), 기판(11), 및, 러버 콘택트(13)가 하나로 조립된다. 또한, 보빈(14), 기판(11), 및, 러버 콘택트(13)가 일체화된 상태로, 케이스(15) 내에 수용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의 원동기의 시동 또는 정지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에 적용할 수 있다.
코일 안테나를 구비한 푸시형의 스위치 장치를 조립하기 쉽게 한다.
[해결 수단]
기판(11)의 고정 접점과 러버 콘택트(13)의 가동 접점이 대면하도록 러버 콘택트(13)를 보빈(14)과 기판(11)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보빈(14), 기판(11), 및, 러버 콘택트(13)가 하나로 조립된다. 또한, 보빈(14), 기판(11), 및, 러버 콘택트(13)가 일체화된 상태로, 케이스(15) 내에 수용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의 원동기의 시동 또는 정지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 및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푸시형의 스위치 장치 및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차량의 원동기(예를 들면, 엔진 또는 모터 등)를 시동 또는 정지하기 위한 조작 부재로서, 푸시형의 스위치 장치가 자주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푸시형의 스위치 장치의 중에는, 인증용의 휴대기(예를 들면, 키 포브(Key FOB) 등)의 전지(電池) 끊어짐이 발생한 경우에, 휴대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코일 안테나를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내지 3 참조).
여기에서, 특허 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에 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스위치 장치에서는, 반원통형의 하(下)케이스의 일단에, 가동 접점을 갖는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합(組合)되고, 하케이스의 타단에, 고정 접점을 갖는 커넥터가 조합된다. 또한, 코일 안테나를 휘감은 보빈이, 보빈의 원통부의 중심축이 기판의 면에 대해 평행하게 되도록 기판의 단부에 부착된다. 또한, 보빈과 기판을 조합시킨 부품이, 기판의 면이 버튼을 압입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하케이스에 수용되고, 기판에 상술한 커넥터가 접속된다. 그리고, 슬라이더의 일단에 조작 버튼과 베젤이 부착되고, 하케이스에 반원통형의 상(上)케이스가 조합된다.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스위치 장치에서는, 각 부품을 수용하기 위해 케이스가 상케이스와 하케이스로 나뉘어져 있고, 그 만큼 조립공수가 필요해진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스위치 장치에서는, 코일 안테나를 몰드 결합한 통형상(筒狀)의 안테나 케이스 내에, 스위치 유닛이 삽입된다. 또한, 안테나 케이스의 코일 안테나가 마련되어 있는 측의 일단이, 원통의 덮개형상의 누름버튼에 삽입되고, 또한 가니쉬로 덮여진다. 또한, 안테나 케이스의 타단에 회로 기판이 삽입되고, 덮개 부재가 부착된다.
이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스위치 장치에서는, 코일 안테나를 안테나 케이스 내에 몰드 결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안테나 케이스에 대해 코일 안테나 및 누름버튼을 일방의 측에서 삽입한 후, 기판 등을 포함하는 스위치 유닛을 타방의 측에서 삽입하여 조립할 필요가 있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스위치 장치에서는, 케이스(홀더)의 일방에서 안테나 홀더 및 조작 노브가 삽입된다. 또한, 케이스의 타방으로부터, 힌지 바, 스위치부를 구비한 러버 시트, 및, 프린트 기판이 삽입되고, 원판형상의 베이스가 부착된다.
이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스위치 장치에서는,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스위치 장치와 마찬가지로, 케이스에 대해 안테나 홀더 및 조작 노브를 일방의 측에서 삽입한 후, 기판이나 러버 시트 등을 타방의 측에서 삽입하고 조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 부품을 개개로 케이스 내에 삽입할 필요가 있어, 그 만큼 조립공수가 필요해진다.
본 발명은, 코일 안테나를 구비한 푸시형의 스위치 장치를 조립하기 쉽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는, 코일 안테나가 휘감겨진 보빈과, 소정의 면에 고정 접점이 마련됨과 함께, 코일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과, 유저가 압입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노브와, 가동 접점이 마련되고, 노브가 압입됨에 의해 변형하고, 가동 접점이 기판의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러버 콘택트와, 일단이 개방된 통형상의 케이스로서, 보빈, 기판, 및, 러버 콘택트를 내부에 수용하고, 개방단측에 노브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케이스를 갖는 스위치 장치로서, 기판의 고정 접점과 러버 콘택트의 가동 접점이 대면하도록 러버 콘택트를 보빈과 기판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보빈, 기판, 및, 러버 콘택트가 하나로 조립되고, 보빈, 기판, 및, 러버 콘택트가 일체화된 상태로 케이스 내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에서는, 기판의 고정 접점과 러버 콘택트의 가동 접점이 대면하도록 러버 콘택트를 보빈과 기판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보빈, 기판, 및, 러버 콘택트가 하나로 조립되고, 보빈, 기판, 및, 러버 콘택트가 일체화된 상태로 케이스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코일 안테나를 구비한 푸시형의 스위치 장치를 조립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보빈에는 제1의 감합(嵌合)폴 및 제2의 감합폴을 형성할 수 있고, 제1의 감합폴을 기판에 감합시킴에 의해, 보빈, 기판, 및, 러버 콘택트를 서로 고정하고, 제2의 감합폴을 케이스에 감합시킴에 의해, 보빈, 기판, 및, 러버 콘택트를 일체화한 상태로 케이스 내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빈을 기판 및 케이스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음과 함께,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러버 콘택트의 제1의 돌기부를 기판의 노치에 삽입함에 의해, 러버 콘택트를 기판에 부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의 위치맞춤이 용이해짐과 함께, 위치 어긋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보빈의 외주와 기판의 외주가 개략 같은 크기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위치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기판의 접점이 마련되어 있는 면과 다른 면에 커넥터를 장착하고, 보빈, 커넥터가 장착된 기판, 및, 러버 콘택트가 일체화된 상태로 케이스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위치 장치에 커넥터를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
기판의 면이 노브의 슬라이드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되도록, 보빈, 기판, 및, 러버 콘택트가 일체화된 상태로 케이스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판의 고정 접점을 슬라이드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마련할 수 있다.
러버 콘택트의 기판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측의 면에 제2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보빈, 기판, 및, 러버 콘택트가 일체화된 상태로, 제2의 돌기부의 단부를, 보빈의 기판과 반대측의 단부에서 돌출시키고, 제2의 돌기부가 압입됨에 의해, 러버 콘택트의 가동 접점을 기판의 고정 접점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 조작에 의해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의 조립 방법은, 코일 안테나가 휘감겨진 보빈과, 소정의 면에 고정 접점이 마련되는 기판과, 유저가 압입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노브와, 가동 접점이 마련되고, 노브가 압입됨에 의해 변형하고, 가동 접점이 기판의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러버 콘택트와, 일단이 개방된 통형상의 케이스로서, 보빈, 기판, 및, 러버 콘택트를 내부에 수용하고, 개방단측에 노브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케이스를 갖는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으로서, 기판의 고정 접점과 러버 콘택트의 가동 접점이 대면하도록 러버 콘택트를 보빈과 기판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보빈, 기판, 및, 러버 콘택트를 하나로 조립하여, 보빈, 기판 및 러버 콘택트를 일체화한 상태로, 케이스 내에 수용한다.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의 조립 방법에서는, 기판의 고정 접점과 러버 콘택트의 가동 접점이 대면하도록 러버 콘택트를 보빈과 기판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보빈, 기판, 및, 러버 콘택트가 하나로 조립되어, 보빈, 기판, 및, 러버 콘택트가 일체화된 상태로 케이스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코일 안테나를 구비한 푸시형의 스위치 장치를 조립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 안테나를 구비한 푸시형의 스위치 장치를 조립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을 적용한 스위치 장치를 다른 2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스위치 장치의 분해도.
도 3은 기판을 위에서 본 평면도.
도 4는 러버 콘택트를 각 면의 사시도.
도 5는 러버 콘택트의 돌기부 부근의 단면도.
도 6은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스위치 장치의 분해도.
도 3은 기판을 위에서 본 평면도.
도 4는 러버 콘택트를 각 면의 사시도.
도 5는 러버 콘택트의 돌기부 부근의 단면도.
도 6은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의 형태라고 한다)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실시의 형태
2. 변형례
<1. 실시의 형태>
[스위치 장치(1)의 구성례]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스위치 장치(1)를 다른 2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스위치 장치(1)의 분해도이다.
또한, 이하, 편의상, 스위치 장치(1)의 각 방향을 이하와 같이 정의한다. 도 2의 상하 방향을 스위치 장치(1)의 상하 방향으로 한다. 또한, 도 2의 케이스(15)의 앞에 보이고 있는 곡면형상의 측면(우측에 보이고 있는 측면)을 스위치 장치(1)의 우측으로 하고, 그 반대의 측면을 스위치 장치(1)의 좌측으로 한다. 또한, 도 2의 케이스(15)의 앞에 보이고 있는 평면형상의 측면(좌측에 보이고 있는 측면)을 스위치 장치(1)의 앞측으로 하고, 그 반대의 측면을 스위치 장치(1)의 뒤측으로 한다.
스위치 장치(1)는, 차량의 원동기(예를 들면, 엔진 또는 모터 등)의 시동 또는 정지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푸시형의 스위치 장치이다. 스위치 장치(1)는, 기판(11), 커넥터(12), 러버 콘택트(13), 보빈(14), 케이스(15), 슬라이더(16), 노브(17), 커버(18), 및, 링(19)에 의해 구성된다.
기판(11)은, 스위치 장치(1)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기판이다. 또한, 기판(11)은, 커넥터(12)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커넥터(12)의 타단은, 케이스(15)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구(接續口)(15A)에 삽입된다. 그리고, 기판(11)은, 커넥터(12)를 통하여, 외부의 장치와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거나,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거나 한다. 예를 들면, 기판(11)은, 커넥터(12)를 통하여, 스위치 장치(1)의 접점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의 출력이나, 스위치 장치(1)가 마련되어 있는 차량의 인증용의 휴대기(예를 들면, 키 포브(Key FOB) 등)와 송수신하는 신호의 입출력, 또는, 휴대기의 인증 결과의 출력을 행한다. 또한, 기판(11)은, 보빈(14)에 마련되어 있는 코일 안테나(21)(도 6)를 통하여 휴대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거나, 코일 안테나(21)에의 전력의 공급을 행하거나 한다.
러버 콘택트(13)는, 가동 접점(도 5를 참조하여 후술)이 마련되어 있고, 기판(11)의 고정 접점(도 3을 참조하여 후술)이 마련되어 있는 면의 위에 부착된다. 또한, 링형상의 보빈(14)이, 러버 콘택트(13)를 끼우도록 하여, 기판(11)에 부착된다. 또한, 보빈(14)의 링형상의 측면에는, 코일 안테나(21)가 감겨져 있다. 코일 안테나(21)는, 상술한 휴대기와의 무선 통신에 이용됨과 함께, 커넥터(12) 및 기판(11)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비접촉으로 휴대기에 공급한다.
케이스(15)는, 일단이 개방된 통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커버(18)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에 개구(18A)가 형성된 통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15)와 커버(18)에 의해 스위치 장치(1)의 몸체가 구성된다.
케이스(15)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판(11), 커넥터(12), 러버 콘택트(13) 및 보빈(14)을 일체화한 부품이 삽입된다. 또한, 케이스(15)의 개방단측에 커버(18)가 부착됨과 함께, 케이스(15)와 커버(18)에 의해 구성된 공간 내에, 슬라이더(16)와 노브(17)를 조합시킨 부품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때, 노브(17)의 조작면(17A)이, 커버(18)의 개구(18A)로부터 외부에 노출한다. 또한, 링(19)이 커버(18)의 위에 씌워진다.
그리고, 유저에 의해 노브(17)의 조작면(17A)이 압입되고, 노브(17)와 일체화한 슬라이더(16)가 압입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러버 콘택트(13)가 슬라이더(16)에 의해 압입되어 변형한다. 이에 의해, 러버 콘택트(13)에 마련되어 있는 가동 접점이 기판(11)상의 고정 접점에 접촉하고, 접점이 온 한 것을 나타내는 출력 신호가, 기판(11)으로부터 커넥터(12)를 통하여 출력된다.
[기판(11)의 구성례]
도 3은, 기판(11)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면 내의 좌우 방향이, 스위치 장치(1)의 좌우 방향과 일치하고, 도면 내의 상하 방향이, 스위치 장치(1)의 전후 방향과 일치한다.
기판(11)은, 타원의 단변 방향의 양단을 직선으로 노치한 것 같은 형상, 환언하면, 사각형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원호를 마련한 것 같은 형상의 면을 갖고 있다. 또한, 러버 콘택트(13)의 외주, 보빈(14)의 외주, 케이스(15)의 상부의 내주, 및, 슬라이더(16)의 외주는, 이 기판(11)의 외주와 개략 같은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기판(11)의 외주, 러버 콘택트(13)의 외주, 및, 보빈(14)의 외주는, 개략 같은 크기이다.
기판(11)의 우측의 변의 중앙보다 약간 앞측(도면 내의 약간 하측)에는, 노치(3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11)의 좌측의 변의 중앙보다 약간 뒤측(도면 내의 상측)에는, 노치(3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11)의 좌우의 양단 부근의 전후 방향의 거의 중앙에 사각형의 감합구멍(32a, 3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감합구멍(32a, 32b)보다 조금 내측에 고정 접점(33a, 33b)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 접점(33a, 33b)은, 각각 2개의 이간한 배선 패턴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기판(11)의 앞측에는, 커넥터(12)를 접속하기 위한 스루홀(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면의 반대측의 면부터 커넥터(12)의 단자가 스루홀(34)에 삽입되고, 솔더링됨에 의해, 기판(11)과 커넥터(1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러버 콘택트(13)의 구성례]
도 4는, 러버 콘택트(13)의 각 면의 사시도이다. 도면 내의 우측의 면(13B)은, 기판(11)에 부착한 때에 기판(11)과 대향하는 면이고, 도면 내의 좌측의 면(13A)은, 면(13B)과 반대측의 면이다.
러버 콘택트(13)의 면(13A)의 전후 방향(도면 내의 상하 방향)의 중앙에, 원추대의 위에 원통을 올려놓은 형상의 돌기부(41a, 41b)가, 소정이 간격을 두고 좌우에 나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돌기부(41a, 41b)가 형성되어 있는 면(13A)과 반대측의 면(13B)에서, 돌기부(41a, 41b)와 대응하는 위치에, 원형의 오목부(42a, 42b)가 형성되어 있다. 러버 콘택트(13)를 기판(11)에 부착한 때, 이 오목부(42a, 42b)의 아래에 기판(11)의 고정 접점(33a, 33b)이 배치된다.
또한, 면(13B)의 우단(右端)의 전후 방향의 중앙보다 약간 앞측(도면 내의 약간 상측)에, 원주형상의 돌기부(4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면(13B)의 좌단의 전후 방향의 중앙보다 약간 뒤측(도면 내의 약간 하측)에, 돌기부(4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러버 콘택트(13)의 좌우의 양단의 전후 방향의 중앙에 노치(44a, 44b)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러버 콘택트(13)의 돌기부(41a) 부근의 단면도이다. 돌기부(41a)의 상단에는, 원형의 오목부(45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돌기부(41a)의 하단에는, 개략 원추대형상의 돌기부(4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46a)의 하단에는, 가동 접점(47a)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41b) 부근도 돌기부(41a) 부근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고, 그 설명은 반복이 되기 때문에 생략한다. 또한, 돌기부(41b)에도, 돌기부(41a)의 오목부(45a), 돌기부(46a) 및 가동 접점(47a)과 같은 오목부(45b), 돌기부(46b) 및 가동 접점(47b)이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 장치(1)의 동작]
도 6은, 스위치 장치(1)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의 위의 도면은, 노브(17)를 가압 조작하기 전의 스위치 장치(1)의 상태를 나타내고, 아래의 도면은, 노브(17)를 가압 조작한 후의 스위치 장치(1)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노브(17)에 대해 가압 조작을 행하면, 노브(17)와 일체화한 슬라이더(16)에 의해 러버 콘택트(13)의 돌기부(41a, 41b)가 압입된다. 그리고, 돌기부(41a, 41b)가 위에서 압입되어 변형함에 의해, 돌기부(46a, 46b)가 오목부(42a, 42b) 내로 각각 삽입된다. 도욱, 돌기부(41a, 41b)가 위로부터 압입되어, 돌기부(46a, 46b)의 하단에 있는 가동 접점(47a, 47b)이, 오목부(42a, 42b)의 하단에 달하면, 오목부(42a, 42b)의 아래에 배치된 기판(11)의 고정 접점(33a, 33b)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고정 접점(33a, 33b)을 각각 구성하는 2개의 이간한 배선 패턴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접점이 온 상태가 된다.
[스위치 장치(1)의 조립 방법]
다음에,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스위치 장치(1)의 조립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러버 콘택트(13)가, 기판(11)의 고정 접점(33a, 33b)(도 7에서는 부도시)이 마련되어 있는 면에 부착된다. 이 때, 러버 콘택트(13)의 돌기부(43a, 43b)가, 기판(11)의 노치(31a, 31b)에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기판(11)의 고정 접점(33a, 33b)과 러버 콘택트(13)의 가동 접점(47a, 47b)(도 7에서는 부도시)이 대면한 상태로 러버 콘택트(13)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 접점(33a, 33b)과 가동 접점(47a, 47b)과의 위치맞춤을 간단하면서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어서, 접점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판(11)의 감합구멍(32a, 32b)이, 러버 콘택트(13)의 노치(44a, 44b)에 의해, 러버 콘택트(13)로 덮이지 않고 노출한다.
다음에, 보빈(14)이, 러버 콘택트(13)를 끼우도록, 기판(11)의 고정 접점(33a, 33b)(도 8에서는 부도시)이 마련되어 있는 면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기판(11)(및 커넥터(12)), 러버 콘택트(13), 및, 보빈(14)이 하나로 조립되어, 일체화한 부품(이하, 조립 부품(A)이라고 칭한다)이 된다.
이 때, 보빈(14)의 좌우의 내측의 측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는 감합폴(51a, 51b)이, 기판(11)의 감합구멍(32a, 32b)에 감합되고, 기판(11), 러버 콘택트(13), 및, 보빈(14)이 서로 고정된다. 즉, 보빈(14)이, 기판(11)으로부터 벗겨지거나, 덜거덕거리는 일 없이 기판(11)의 위에 단단히 고정된다. 또한, 기판(11)과 보빈(14)이 고정됨에 의해, 양자의 사이에 끼여진 러버 콘택트(13)도, 기판(11)으로부터 벗겨지거나, 덜거덕거리는 일 없이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스위치 장치(1)를 사용하고 있는 한창중에 러버 콘택트(13)가 위치 어긋남을 일으켜, 접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하게 보빈(14)을 기판(11)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판(11), 러버 콘택트(13), 및, 보빈(14)을 일체화한 상태로, 러버 콘택트(13)의 돌기부(41a, 41b)의 상단이, 보빈(14)의 상단(기판(11)과 반대측의 단부)보다 위로 돌출한다. 이에 의해, 노브(17)를 압입한 때에, 노브(17)와 일체화한 슬라이더(16)에 의해 돌기부(41a, 41b)를 압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기판(11)(및 커넥터(12)), 러버 콘택트(13), 및, 보빈(14)을 일체화한 조립 부품(A)이, 케이스(15)의 개방단부터 삽입되고, 케이스(15) 내에 부착된다. 이 때, 보빈(14)의 윗면의 네모퉁이로부터 하방향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감합폴(52a 내지 52d)이, 케이스(15)의 내측의 측면의 상부의 네모퉁이에 형성되어 있는 가로로 길다란 감합 오목부(61a 내지 61d)에 감합된다. 또한, 도 9에서, 감합폴(52c), 감합 오목부(61a), 감합 오목부(61b), 및, 감합 오목부(61d)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해, 조립 부품(A)이, 케이스(15)로부터 벗겨지거나, 덜거덕거리는 일 없이 케이스(15) 내에 단단히 고정된다. 또한, 기판(11), 커넥터(12), 러버 콘택트(13) 및 보빈(14)이 일체화된 상태로 케이스(15)에 수용되기 때문에, 부착이 매우 간단하게 된다.
다음에,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16), 노브(17) 및 커버(18)를 일체화한 부품(이하, 조립 부품(B)이라고 칭한다)에, 케이스(15)의 상단부(개방단 측)가 삽입된다. 또한, 슬라이더(16)와 노브(17)는, 상하 방향(압입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커버(18) 내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 케이스(15)의 외측의 측면의 네모퉁이 및 뒤측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로로 길다란 감합폴(62a 내지 62e)이, 커버(18)의 네모퉁이 및 뒤측의 측면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감합구멍(81a 내지 81e)에 감합된다. 또한, 도 10에서, 감합폴(62a), 감합폴(62b), 및, 감합폴(62e)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해, 커버(18)가, 케이스(15)로부터 벗겨지거나, 덜거덕거리는 일 없이 케이스(15)의 상부에 단단히 고정된다. 또한, 간단하게 커버(18)를 케이스(15)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16)와 노브(17)를 조합시킨 부품이, 케이스(15)와 커버(18)에 의해 구성되는 공간 내의 케이스(15)의 개방단측에, 기판(11)의 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다.
최후로,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링(19)이, 커버(18)의 위에 씌워진다. 이 때, 커버(18)의 상단의 네모퉁이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감합폴(82a 내지 82d)(단, 감합폴(82b 내지 82d)은 부도시)이, 링(19)의 네모퉁이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감합구멍(91a 내지 91d)(단, 감합구멍(91b, 91d)은 부도시)에 감합되어, 링(19)이 커버(18)에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기판(11)(및 커넥터(12)), 러버 콘택트(13), 및, 보빈(14)을 일체화한 상태로 케이스(15)에 수용함에 의해, 스위치 장치(1)의 조립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기판(11)과 보빈(14)으로 러버 콘택트(13)를 끼우고,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고정 접점(33a, 33b)과 가동 접점(47a, 47b)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접점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2. 변형례>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슬라이더(16)와 노브(17)를 나누지 않고, 미리 일체화한 부품(노브)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링(19)은, 반드시 마련할 필요는 없고,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스위치 장치는, 차량의 원동기의 시동 또는 정지의 조작 이외의 용도에 이용하거나, 차량 이외에 적용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스위치 장치는, 차량의 원동기의 시동 또는 정지의 조작 이외의 용도에 이용하거나, 차량 이외에 적용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스위치 장치
11 : 기판
12 : 커넥터
13 : 러버 콘택트
14 : 보빈
15 : 케이스
16 : 슬라이더
17 : 노브
18 : 커버
19 : 링
21 : 코일 안테나
31a, 31b : 노치
32a, 32b : 감합구멍
33a, 33b : 고정 접점
41a, 41b : 돌기부
42a, 42b : 오목부
43a, 43b : 돌기부
47a, 47b : 가동 접점
51a, 51b : 감합폴
52a 내지 52d : 감합폴
61a 내지 61d : 감합 오목부
62a 내지 62e : 감합폴
81a 내지 81e : 감합구멍
82a 내지 82d : 감합폴
91a 내지 91d : 감합구멍
11 : 기판
12 : 커넥터
13 : 러버 콘택트
14 : 보빈
15 : 케이스
16 : 슬라이더
17 : 노브
18 : 커버
19 : 링
21 : 코일 안테나
31a, 31b : 노치
32a, 32b : 감합구멍
33a, 33b : 고정 접점
41a, 41b : 돌기부
42a, 42b : 오목부
43a, 43b : 돌기부
47a, 47b : 가동 접점
51a, 51b : 감합폴
52a 내지 52d : 감합폴
61a 내지 61d : 감합 오목부
62a 내지 62e : 감합폴
81a 내지 81e : 감합구멍
82a 내지 82d : 감합폴
91a 내지 91d : 감합구멍
Claims (8)
- 코일 안테나가 휘감겨진 보빈과,
소정의 면에 고정 접점이 마련됨과 함께, 상기 코일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과,
유저가 압입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노브와,
가동 접점이 마련되고, 상기 노브가 압입됨에 의해 변형하고,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기판의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러버 콘택트와,
일단이 개방된 통형상의 케이스로서, 상기 보빈, 상기 기판, 및, 상기 러버 콘택트를 내부에 수용하고, 개방단측에 상기 노브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케이스를 갖는 스위치 장치로서,
상기 기판의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러버 콘택트의 상기 가동 접점이 대면하도록 상기 러버 콘택트를 상기 보빈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상기 보빈, 상기 기판, 및, 상기 러버 콘택트가 하나로 조립되고,
상기 보빈, 상기 기판, 및, 상기 러버 콘택트가 일체화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에는 제1의 감합폴 및 제2의 감합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의 감합폴을 상기 기판에 감합시킴에 의해, 상기 보빈, 상기 기판, 및, 상기 러버 콘택트가 서로 고정되고,
상기 제2의 감합폴을 상기 케이스에 감합시킴에 의해, 상기 보빈, 상기 기판, 및, 상기 러버 콘택트가 일체화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콘택트의 제1의 돌기부를 상기 기판의 노치에 삽입함에 의해, 상기 러버 콘택트가 상기 기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외주와 상기 기판의 외주가 개략 같은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접점이 마련되어 있는 면과 다른 면에 커넥터가 장착되고,
상기 보빈, 상기 커넥터가 장착된 상기 기판, 및, 상기 러버 콘택트가 일체화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면이 상기 노브의 슬라이드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되도록, 상기 보빈, 상기 기판, 및, 상기 러버 콘택트가 일체화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콘택트의 상기 기판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측의 면에 제2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빈, 상기 기판, 및, 상기 러버 콘택트가 일체화된 상태로, 상기 제2의 돌기부의 단부가, 상기 보빈의 상기 기판과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돌출하여 있고, 상기 제2의 돌기부가 압입됨에 의해, 상기 러버 콘택트의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기판의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코일 안테나가 휘감겨진 보빈과,
소정의 면에 고정 접점이 마련됨과 함께, 상기 코일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과,
유저가 압입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노브와,
가동 접점이 마련되고, 상기 노브가 압입됨에 의해 변형하고,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기판의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러버 콘택트와,
일단이 개방된 통형상의 케이스로서, 상기 보빈, 상기 기판, 및, 상기 러버 콘택트를 내부에 수용하고, 개방단측에 상기 노브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케이스를 갖는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기판의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러버 콘택트의 상기 가동 접점이 대면하도록 상기 러버 콘택트를 상기 보빈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상기 보빈, 상기 기판, 및, 상기 러버 콘택트를 하나로 조립하여,
상기 보빈, 상기 기판 및 상기 러버 콘택트를 일체화한 상태로,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3181748A JP5984216B2 (ja) | 2013-09-03 | 2013-09-03 | スイッチ装置及びスイッチ装置の組立方法 |
JPJP-P-2013-181748 | 2013-09-0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7002A true KR20150027002A (ko) | 2015-03-11 |
KR101707280B1 KR101707280B1 (ko) | 2017-02-15 |
Family
ID=52699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6075A KR101707280B1 (ko) | 2013-09-03 | 2014-09-02 | 스위치 장치 및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5984216B2 (ko) |
KR (1) | KR10170728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5037B1 (ko) * | 2018-03-22 | 2019-07-29 |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 |
KR102274767B1 (ko) * | 2020-01-10 | 2021-07-07 | 주식회사 에스 씨디 |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0247B1 (ko) * | 2015-10-23 | 2016-11-28 |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27085A (ja) | 2009-07-29 | 2011-02-10 | Honda Lock Mfg Co Ltd | エンジンのスタート・ストップスイッチ装置 |
JP2011060626A (ja) | 2009-09-11 | 2011-03-24 | Panasonic Corp | スイッチ装置 |
JP2011169180A (ja) | 2010-02-17 | 2011-09-01 | Yuhshin Co Ltd | スイッチ装置 |
KR20120050040A (ko) * | 2010-11-10 | 2012-05-18 | (주)신창코넥타 | 자동차의 버튼식 시동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18787A (ja) * | 2009-03-16 | 2010-09-30 | Omron Corp | スイッチ装置 |
-
2013
- 2013-09-03 JP JP2013181748A patent/JP5984216B2/ja active Active
-
2014
- 2014-09-02 KR KR1020140116075A patent/KR1017072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27085A (ja) | 2009-07-29 | 2011-02-10 | Honda Lock Mfg Co Ltd | エンジンのスタート・ストップスイッチ装置 |
JP2011060626A (ja) | 2009-09-11 | 2011-03-24 | Panasonic Corp | スイッチ装置 |
JP2011169180A (ja) | 2010-02-17 | 2011-09-01 | Yuhshin Co Ltd | スイッチ装置 |
KR20120050040A (ko) * | 2010-11-10 | 2012-05-18 | (주)신창코넥타 | 자동차의 버튼식 시동 장치 |
KR101178169B1 (ko) * | 2010-11-10 | 2012-08-29 | (주)신창코넥타 | 자동차의 버튼식 시동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5037B1 (ko) * | 2018-03-22 | 2019-07-29 |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 |
KR102274767B1 (ko) * | 2020-01-10 | 2021-07-07 | 주식회사 에스 씨디 |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7280B1 (ko) | 2017-02-15 |
JP2015050077A (ja) | 2015-03-16 |
JP5984216B2 (ja) | 2016-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487701B (zh) | 开关装置 | |
US8810363B2 (en) | Engine starting/stopping switch device | |
US9356379B2 (en) | Housing for an electrical machine comprising a seal | |
EP2767444B1 (en) | Switch device | |
JP6017348B2 (ja) | スイッチ装置 | |
US8129639B2 (en) | Emblem-unified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KR101707280B1 (ko) | 스위치 장치 및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 | |
JP6176733B2 (ja) | エンジンスタートスイッチ | |
JP5866425B2 (ja) | 無線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 |
JP2009183030A (ja) | 電気接続箱 | |
JP5502975B2 (ja) | エンジンのスタート・ストップスイッチ装置 | |
US20140374545A1 (en) | Housing and wire holder thereof | |
JP3169054U (ja) | プッシュスイッチ | |
CN109155456B (zh) | 用于机动车的诊断系统的通信装置 | |
CN111279171B (zh) | 传感器用连接器 | |
EP3030057A1 (en) |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key using same | |
JP5535259B2 (ja) | コネクタ | |
KR101502939B1 (ko) | 차량용 전자카드 키 | |
WO2016088642A1 (ja) | 電子キー | |
JP2011134633A (ja) | 端子組付構造 | |
JP2012146595A (ja) | 電気機器 | |
JP2018133179A (ja) | エンジンスタート装置 | |
KR20060105869A (ko) | 충전 크래들, 상기 충전 크래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전원 소자, 상기 전원 소자를 상기 충전 크래들에 접속하기위한 커넥터 및 전술한 소자들로 구성된 충전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