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203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17203A KR20150017203A KR1020130093194A KR20130093194A KR20150017203A KR 20150017203 A KR20150017203 A KR 20150017203A KR 1020130093194 A KR1020130093194 A KR 1020130093194A KR 20130093194 A KR20130093194 A KR 20130093194A KR 20150017203 A KR20150017203 A KR 201500172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tton
- remote control
- mode
- control signal
- fun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리모컨으로부터 각 버튼의 선택에 의해 전송되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리모컨 신호에 매칭되는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복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하나의 동작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선택된 동작 모드 하에서 비활성화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버튼이 리모컨에서 선택되어 제1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동작 모드 하에서 활성화된 기능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모컨의 비활성화된 버튼을 활성화된 다른 버튼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리모컨은 TV의 기능을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유선 또는 무선으로 조작 신호를 전송하여, TV에 배치된 조작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서 원격으로 TV를 조작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리모컨은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인해, 거의 모든 가전 제품을 리모컨으로써 조작할 수 있으며, 유선보다는 취급이 간편한 무선 방식의 리모컨이 일반적이다.
최근 들어서는, TV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TV의 이러한 다양한 기능과 함께 리모컨에도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는 추세이다. TV에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을 리모컨으로써 조작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리모컨 버튼이 부가되어야 한다. 즉, 단순하고 기본적인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었던 종래의 TV에 비해,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TV가 개발되고 있으므로, TV를 조작하는 리모컨 역시 복잡한 배치를 가지게 된다.
또한, 리모컨은 사용자가 조작하기 쉽도록 일정한 크기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리모컨 버튼의 복잡하고 밀집된 배치를 피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에 대한 버튼을 누르고자 하였으나, 다른 버튼을 실수로 누름으로 인해 잘못된 조작을 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복잡한 배치로 인해 사용자가 버튼 위치를 혼동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사용자는 TV를 시청하고 있는 상태에서 리모컨을 조작하기 때문에, 버튼 위치를 혼동하여 잘못된 조작을 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모드에서 비활성화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리모컨 버튼이 눌러지면, 선택된 기능 대신에 활성화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리모컨으로부터 각 버튼의 선택에 의해 전송되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리모컨 신호에 매칭되는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복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하나의 동작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선택된 동작 모드 하에서 비활성화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버튼이 리모컨에서 선택되어 제1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동작 모드 하에서 활성화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리모컨 신호 및 기능 정보는 복수의 동작 모드 별로 상이하게 매칭되며, 저장부는, 리모컨 신호 및 기능 정보 사이의 매칭 정보를 복수의 동작 모드 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리모컨 내에서 복수의 버튼이 배치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는, 제1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버튼 대신 제2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리모컨 신호에 매칭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버튼은 제1 버튼에 인접한 버튼일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복수의 버튼의 형상 또는 크기를 나타내는 버튼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는, 제1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버튼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버튼과 동일한 형상 또는 크기의 제2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리모컨 신호에 매칭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동작 모드는, TV 방송 수신 모드, 컨텐츠 재생 모드, 외부 입력 모드, 인터넷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컨텐츠 재생 모드, 외부 입력 모드 또는 인터넷 모드로 동작 중인 상태에서 채널 조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볼륨 조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컨텐츠 재생 모드로 동작 중인 상태에서, 복수의 버튼 중에서 컨텐츠 재생 조정 기능이 매칭된 버튼과 인접한 타 버튼이 선택되면, 컨텐츠 재생 조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리모컨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 각각에 대한 리모컨 신호에 매칭되는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되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하나의 동작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동작하는 단계는, 선택된 동작 모드 하에서 비활성화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버튼이 리모컨에서 선택되어 제1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동작 모드 하에서 활성화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리모컨 신호 및 기능 정보는 복수의 동작 모드 별로 상이하게 매칭되며, 저장하는 단계는, 리모컨 신호 및 기능 정보 사이의 매칭 정보를 복수의 동작 모드 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하는 단계는, 리모컨 내에서 복수의 버튼이 배치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동작하는 단계는, 제1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버튼 대신 제2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리모컨 신호에 매칭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버튼은 제1 버튼에 인접한 버튼일 수 있다.
또한, 저장하는 단계는, 복수의 버튼의 형상 또는 크기를 나타내는 버튼 정보를 저장하고, 동작하는 단계는, 제1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버튼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버튼과 동일한 형상 또는 크기의 제2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리모컨 신호에 매칭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동작 모드는, TV 방송 수신 모드, 컨텐츠 재생 모드, 외부 입력 모드, 인터넷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작하는 단계는, 컨텐츠 재생 모드, 외부 입력 모드 또는 인터넷 모드로 동작 중인 상태에서 채널 조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볼륨 조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동작하는 단계는, 컨텐츠 재생 모드로 동작 중인 상태에서, 복수의 버튼 중에서 컨텐츠 재생 조정 기능이 매칭된 버튼과 인접한 타 버튼이 선택되면, 컨텐츠 재생 조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모드에서 비활성화된 기능이 선택되더라도, 선택된 기능 대신에 활성화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실수나 혼동이 있더라도, 사용자의 진정한 의도에 부합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의 일 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의 일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의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인식 영역의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인식 영역의 다른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종합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의 일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의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인식 영역의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인식 영역의 다른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종합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의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럭도의 일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부(110), 저장부(160),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리모컨으로부터 리모컨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부(110)의 위치는 리모컨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령, 리모컨이 IR 신호를 전송하는 형태라면, 수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 상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 즉,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된 면과 동일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리모컨이 블루투스 방식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리모컨 신호를 전송하는 형태라면, 수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내장될 수도 있다.
리모컨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리모컨은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다. 리모컨은 각 버튼이 선택되면, 그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를 전송한다. 즉, 리모컨 버튼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하여 리모컨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100) 조작 버튼이고, 리모컨 신호는 리모컨에 배치된 버튼을 사용자가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되는 신호이다. 여기서, 조작의 의미는 제어의 의미와 동일하다. 리모컨은 복수의 버튼이 한꺼번에 눌러진 경우에는, 그 버튼 조합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를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리모컨 신호에 매칭되는 기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리모컨 버튼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에 매칭된다. 따라서, 저장부(160)는 복수 개의 리모컨 버튼에 의한 각각의 리모컨 신호와 이에 매칭되는 기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정보란 채널 업, 채널 다운, 볼륨 업, 볼륨 다운, 채널 바로 가기, 전원 턴온, 턴오프, 방송 정보 표시, 옵션 설정, 외부 입력 선택 등과 같이 리모컨으로 선택 가능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맨드를 의미한다. 제어부(140)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그 리모컨 신호에 매칭되는 기능 정보에 따라,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동작 모드 중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선택된 하나의 동작 모드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리모컨 버튼이라도 동작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다르게 조작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의 제1 버튼이 제1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하여금 제1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버튼이 제2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하여금 제2 기능을 하도록 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해 아무런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동작 모드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대상의 종류에 따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동작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대상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 개의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동작 모드에는 TV 방송 수신 모드, 컨텐츠 재생 모드, 외부 입력 모드, 인터넷 모드 등이 있을 수 있다.
TV 방송 수신 모드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TV 방송국이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TV 방송을 출력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모드란,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영화, 드라마, 사진, 동영상, 음악 기타 컨텐츠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모드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연결되고, 이러한 외부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된 상태에서, DVD 플레이어가 출력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USB 메모리에 저장된 영화, 드라마, 사진, 동영상, 음악 기타 컨텐츠 등을 출력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인터넷 모드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웹 서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웹 서버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리모컨 신호 및 기능 정보는 복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이하게 매칭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음 표에서는 TV 방송 수신 모드와 컨텐츠 재생 모드에 대해 매칭된 매칭 정보를 나타낸다.
버튼 | TV 방송 수신 모드의 기능 정보 | 컨텐츠 재생 모드의 기능정보 | 인터넷 모드 |
숫자 1 ~ 0 | 채널 번호 선택 기능 | 기능 없음 | 숫자 입력 |
볼륨 업 | 볼륨 업 | 볼륨 업 | 볼륨 업 |
볼륨 다운 | 볼륨 다운 | 볼륨 다운 | 볼륨 다운 |
채널 업 | 채널 업 | 볼륨 업 | 볼륨 업 |
채널 다운 | 채널 다운 | 볼륨 다운 | 볼륨 다운 |
방향 키 상/하 | 채널 업/다운 | 볼륨 업/다운 | 커서 표시 상하 이동 |
방향 키 좌/우 | 볼륨 업/다운 | 볼륨 업/다운 | 커서 표시 좌우 이동 |
... | ... | ... | ... |
상기 표와 같이, 다양하게 설정된 매칭 정보가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표 1에서는 TV 방송 수신 모드, 컨텐츠 재생 모드, 인터넷 모드 만을 예로 들었으나, 이 밖에 다양한 모드에 대한 매칭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정보란, 하나의 리모컨 버튼으로부터 발생되는 리모컨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해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에 의한 신호는 제1 모드에서 제1 기능을 하는 것으로 매칭되었다고 가정하면, 제1 버튼에 의한 신호는 제2 모드에서 제2 기능을 하는 것으로 매칭될 수 있으며, 제1 버튼에 의한 신호는 제3 모드에서 매칭된 기능이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160)는 리모컨 신호 및 기능 정보 사이의 매칭 정보를 복수의 동작 모드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 정보란, 하나의 리모컨 버튼으로부터 발생되는 리모컨 신호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해 수행하는 기능을 매칭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앞선 예시에서, 저장부(160)는 제1 모드에서 제1 버튼과 제1 기능을 매칭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제2 모드에서 제1 버튼과 제2 기능을 매칭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3 모드에서 제1 버튼에 매칭되는 기능은 없다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는 제1 버튼이 활성화된 기능을 수행하지만, 제3 모드에서는 제1 버튼이 비활성화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3 모드에서는 제1 버튼이 비활성화되므로,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리모컨 버튼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는 종래의 리모컨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적용되는 기술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에서 비활성화된 리모컨 버튼에 대한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동작 모드에서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저장부(160)는 특정한 동작 모드에서 비활성화된 리모컨 신호를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리모컨 신호로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이러한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는 제1 버튼에 의한 신호는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제2 버튼에 의한 신호는 매칭된 기능이 없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저장부(160)는 제1 모드에서 제2 버튼이 제1 기능을 수행하도록 매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제2 버튼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40)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지만,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제2 버튼이 선택되면, 제1 버튼에 매칭된 제1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제1 모드가 TV 모드이고 제2 모드가 DVD 재생 모드로 가정하고, 제1 버튼이 채널 업 버튼, 제2 버튼이 볼륨 업 버튼이라고 가정한다. 제1 모드 하에서 제1 버튼이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채널 업 동작을 수행하고, 제2 버튼이 선택되면 볼륨 업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 제2 모드 하에서 제1 버튼이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볼륨 업 동작을 수행한다. 제2 모드 하에서 제2 버튼이 선택되었을 때에도 제어부(140)는 볼륨 업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버튼 위치를 착각하거나 실수로 다른 버튼을 누르더라도,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저장부(160)는 상술한 표와 같은 매칭 정보 대신에, 리모컨 내에서 복수의 버튼이 배치된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160)는 복수의 버튼 각각에 대해 인접한 버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리모컨 버튼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입력된 신호에 대한 리모컨 버튼에 인접한 다른 리모컨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인식된 리모컨 신호에 매칭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는 제1 버튼에 의한 신호는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제2 버튼에 의한 신호는 매칭된 기능이 없다고 가정한다. 저장부(160)는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인접한지 여부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인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제2 버튼에 의한 신호를 제1 버튼에 의한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잘못으로 인해 제1 버튼이 아닌 제2 버튼을 선택한 경우라도, 제어부(140)는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인접하므로 제1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제1 모드에서 제2 버튼에 의한 신호는 비활성화된 상태이므로, 저장부(160)에 저장된 위치 정보에 따라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인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제2 버튼에 의한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저장부(160)는 복수의 리모컨 버튼의 형상 및 크기에 대한 정보인 버튼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즉, 저장부(160)는 복수의 버튼 각각에 대한 형상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리모컨 버튼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입력된 신호에 대한 리모컨 버튼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리모컨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인식된 리모컨 신호에 매칭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리모컨 버튼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입력된 신호에 대한 리모컨 버튼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인접한 리모컨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인식된 리모컨 신호에 매칭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는 제1 버튼에 의한 신호는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제2 버튼에 의한 신호는 매칭된 기능이 없다고 가정한다. 저장부(160)는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인지 여부에 대한 버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제2 버튼에 의한 신호를 제1 버튼에 의한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잘못으로 인해 제1 버튼이 아닌 제2 버튼을 선택한 경우라도, 제어부(140)는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이므로 제1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더 나아가, 저장부(160)는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인지 여부에 대한 버튼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이고, 인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제2 버튼에 의한 신호를 제1 버튼에 의한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잘못으로 인해 제1 버튼이 아닌 제2 버튼을 선택한 경우라도, 제어부(140)는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이면서 동시에 인접한 것이므로 제1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의 일 예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리모컨 신호에 매칭되는 기능 정보를 저장한다(S210). 기능 정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한 동작 모드에서 비활성화된 리모컨 신호를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리모컨 신호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내에서 복수의 버튼이 배치된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버튼 각각에 대해 인접한 버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버튼의 형상 및 크기에 대한 정보인 버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한다(S220). 리모컨 신호는 사용자가 리모컨에 배치된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누름으로써 발생한다. 이러한 리모컨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 마련된 리모컨 신호 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된다.
이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S230). 동작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대상의 종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동작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 개의 동작 모드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동작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동작 모드에는 TV 방송 수신 모드, 컨텐츠 재생 모드, 외부 입력 모드, 인터넷 모드 등이 있을 수 있다. 이 후, 사용자 선택에 의한 동작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복수의 리모컨 버튼 중 하나의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는 제1 버튼에 의한 신호는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제2 버튼에 의한 신호는 매칭된 기능이 없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모드에서 제2 버튼이 제1 기능을 수행하도록 매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버튼에 의한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제1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앞선 예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인접한지 여부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버튼에 의한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제2 버튼과 인접한 것으로 판단된 제1 버튼에 의한 신호인 것으로 인식하여 제1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앞선 예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인지 여부에 대한 버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버튼에 의한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제2 버튼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인 것으로 판단된 제1 버튼에 의한 신호인 것으로 인식하여 제1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200)의 일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200)은 제1 영역(210) 내지 제9 영역(29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2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 버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기기 또는 장치를 온/오프하기 위한 “외부입력 버튼”, 사용자의 예약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온/오프하기 위한 “켜짐/꺼짐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220)에는 TV 방송 수신 모드에서 채널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0 내지 9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숫자 버튼”, 입력된 번호를 지우기 위한 “번호지움 버튼(220-11)”,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채널 이전의 채널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이전채널 버튼(220-1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영역(230)에는 채널 탐색을 위한 버튼 및 음량 조절을 위한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조절 버튼(231)”, 채널을 순차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채널탐색 버튼(232)”,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를 오프하기 위한 “음소거 버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채널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채널목록 버튼”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4 영역(240)에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재생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컨텐츠 버튼”, 인터넷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인터넷 버튼”, 그 외의 동작 모드를 검색하기 위한 “메뉴 버튼”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제5 영역(25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정함에 있어서 필요한 설정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에 필요한 기본적인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간편메뉴 버튼”,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 버튼”, 커서를 상측, 하측, 좌측, 우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복수의 방향 버튼”,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 이전으로 돌아가기 위한 “복귀 버튼”,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로부터 나가기 위한 “종료 버튼”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6 영역(260)에는 특정 모드에서 제공하는 특정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컬러 버튼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7 영역(270)에는 멀티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버튼”, TV 방송 편성 안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송안내 버튼”, 3D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거나 2D 영상으로 복원하도록 하는 “3D 버튼”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8 영역(280)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선호 채널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선호채널 버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크기 버튼”,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복수의 동작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기 위한 “화면변환 버튼”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9 영역(290)에는 컨텐츠 재생 모드 또는 외부 입력 모드에서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200)은 전술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사항 이외에 종래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인식 영역의 일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외부 입력 모드로서, 예를 들면 DVD를 재생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모드에서, 음량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는 음량조절 버튼(231)을 누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음량조절 버튼(231)의 상부 버튼(231-1) 또는 하부 버튼(231-2)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증가 또는 감소된 음량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기술에 따르면 제2 영역(220)에 배치된 버튼은 외부 입력 모드에서 비활성화된다. 즉, 제2 영역(220)에 배치된 복수의 버튼들은 TV 방송 수신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것이므로, 외부 입력 모드에서는 이들 버튼들을 누르더라도 그에 따른 기능은 수행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제3 영역(230)의 채널탐색 버튼(232)도 외부 입력 모드에서 비활성화된다. 즉, 음량조절 버튼(231)과 동일한 영역에 배치되더라도, 채널탐색 버튼(232)은 TV 방송 수신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것이므로, 외부 입력 모드에서는 채널탐색 버튼(232)을 누르더라도 그에 따른 기능은 수행되지 않는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는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인접한지 여부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는 제2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제1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입력 모드에서 번호지움 버튼(220-11)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음량조절 버튼(231)의 상부 버튼(231-1)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음량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사용자가 실수로 음량조절 버튼(231)의 상부 버튼(231-1)이 아닌 번호지움 버튼(220-11)을 눌렀더라도, 번호지움 버튼(220-11)과 음량조절 버튼(231)의 상부 버튼(231-1)은 인접하므로, 제어부는 음량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는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인지 여부에 대한 버튼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는 제2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제1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입력 모드에서 채널탐색 버튼(232)의 상부 버튼(232-1)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음량조절 버튼(231)의 상부 버튼(231-1)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음량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사용자가 실수로 음량조절 버튼(231)의 상부 버튼(231-1)이 아닌 채널탐색 버튼(232)의 상부 버튼(232-1)을 눌렀더라도, 채널탐색 버튼(232)과 음량조절 버튼(231)은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이므로, 제어부는 음량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는 제1 버튼과 제2 버튼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버튼 정보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는 제2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제1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입력 모드에서 제2 영역(220)의 이전채널 버튼(220-12)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음량조절 버튼(231)의 상부 버튼(231-1)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음량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사용자가 실수로 음량조절 버튼(231)의 상부 버튼(231-1)이 아닌 이전채널 버튼(220-12)을 눌렀더라도, 음량조절 버튼(231)과 채널탐색 버튼(232)은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이고, 채널탐색 버튼(232)의 상부 버튼(232-1)과 이전채널 버튼(220-12)은 인접하므로, 제어부는 음량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을 종합하면, 외부 입력 모드에서, 제2 영역(220)의 번호지움 버튼(220-11)과 이전채널 버튼(220-12) 및 제3 영역(230)의 음량조절 버튼(231)의 상부 버튼(231-1)과 채널탐색 버튼(232)의 상부 버튼(232-1)은 모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음량 증가 버튼 영역(VOL_1)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리모컨(200)의 제2 영역(220)에 배치된 버튼과 제3 영역(230)에 배치된 버튼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3 영역(230)과 제4 영역(240), 제4 영역(240)과 제5 영역(250), 제5 영역(250)과 제6 영역(260), 제6 영역(260)과 제7 영역(270), 제7 영역(270)과 제8 영역(280), 및 제8 영역(280)과 제9 영역(290)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4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입력 모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TV 방송 수신 모드, 컨텐츠 재생 모드, 또는 인터넷 모드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인식 영역의 다른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외부 입력 모드로서, 예를 들면 DVD를 재생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종래기술에 따르면 제4 영역(240)에 배치된 버튼은 외부 입력 모드에서도 활성화된다. 즉, 외부 입력 모드인 상태에서, 제4 영역(240)에 배치된 복수의 버튼 중 하나를 누르면 그에 따른 기능은 수행된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영역(230)의 채널탐색 버튼(232)도 외부 입력 모드에서 비활성화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는 리모컨(200) 버튼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입력 모드에서 컨텐츠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컨텐츠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컨텐츠 버튼이 음량조절 버튼(231)의 하부 버튼(231-2)과 인접하더라도, 외부 입력 모드에서는 컨텐츠 버튼이 활성화되어야 하는 버튼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어부는 컨텐츠 재생 모드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입력 모드에서 음량조절 버튼(231)과 채널탐색 버튼(232)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사용자가 채널탐색 버튼(232)의 하부 버튼(232-2)을 누르더라도, 제어부는 음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는 리모컨(200) 버튼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버튼 정보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는 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입력 모드에서 인터넷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인터넷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인터넷 버튼이 음량 감소를 수행하는 채널조절 버튼의 하부 버튼과 인접하더라도, 외부 입력 모드에서는 인터넷 버튼이 활성화되어야 하는 버튼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어부는 인터넷 모드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을 종합하면, 외부 입력 모드에서, 음량조절 버튼(231)의 하부 버튼(231-2)과 채널탐색 버튼(232)의 하부 버튼(232-2)은 모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음량 감소 버튼 영역(VOL_2)에 해당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 영역(240)의 컨텐츠 버튼과 인터넷 버튼은 음량 감소 버튼 영역(VOL_2)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리모컨(200)의 제3 영역(230)에 배치된 버튼과 제4 영역(240)에 배치된 버튼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영역(220)과 제3 영역(230), 제4 영역(240)과 제5 영역(250), 제5 영역(250)과 제6 영역(260), 제6 영역(260)과 제7 영역(270), 제7 영역(270)과 제8 영역(280), 및 제8 영역(280)과 제9 영역(290)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5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입력 모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TV 방송 수신 모드, 컨텐츠 재생 모드, 또는 인터넷 모드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RAM(141), ROM(142), CPU(143), GPU(144), 버스(145)를 포함한다. RAM(141), ROM(142), CPU(143), GPU(144) 등은 버스(14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143)는 저장부(16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CPU(143)는 수신된 리모컨 신호를 분석하여, 이에 대응되는 리모컨 버튼의 위치 정보 및/또는 버튼 정보를 저장부(160)로부터 추출한다.
ROM(14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43)는 ROM(14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60)에 저장된 O/S를 RAM(14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43)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41)에 복사하고, RAM(141)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144)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팅이 완료되면, 아이템 화면, 컨텐츠 화면, 또는 검색 결과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GPU(14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연산부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30)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GPU(144)는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누른 리모컨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의 내용을 그대로 화면 상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종합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부(110), 검출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40), 통신부(150), 저장부(160), 비디오 프로세서(170-1), 오디오 프로세서(170-2), 마이크부(180-1), 카메라부(180-2), 스피커부(180-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리모컨으로부터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검출부(120) 및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가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대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부(110)는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상측, 하측, 좌측, 및/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수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검출부(120)는 수신부(110)로부터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여, 리모컨 신호에 대응되는 명령어를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검출부(120)는 리모컨 신호가 현재 실행 중인 동작 모드와 맞지 않는 경우, 즉, 현재 동작 모드에서 비활성화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리모콘 신호인 경우, 저장부(160)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나, 위치 정보, 형태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명령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들면, DVD 컨텐츠 재생 중에 채널 업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도, 제어부(140)는 해당 신호가 볼륨 업 신호로 인식하고, 스피커부(180--3)를 제어하여 볼륨 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일반적인 LCD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경우, 사용자는 화면을 터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지 않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부(110)가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40)에 대해서는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이미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50)는 와이파이 칩(150-1), 블루투스 칩(150-2), 무선통신 칩(150-3), NFC 칩(150-4)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150-1), 블루투스 칩(150-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50-1)이나 블루투스 칩(150-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칩(150-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150-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또한, 통신부(150)는 검색 서버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서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리모컨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부(120)가 리모컨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검출하면, 제어부(140)는 통신부(150)를 통해서 다양한 외부 장치에 액세스하여, 검출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아이템을 수신할 수 있다.
그 밖에, 통신부(150)는 서버 장치가 아닌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디오 프로세서(170-1)는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된 아이템 또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아이템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170-2)는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된 아이템 또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아이템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프로세서(170-2)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아이템 중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응되는 아이템이 선택되면, 통신부(150)를 통해서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한다.
제어부(14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수신되면, 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디멀티플렉싱하여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디코딩하여 해당 아이템을 재생하도록 비디오 프로세서(170-1) 및 오디오 프로세서(170-2)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비디오 프로세서(170-1)에서 생성한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스피커부(180-3)는 오디오 프로세서(170-2)에서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마이크부(180-1)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40)는 마이크부(180-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아이템 검색 또는 추출에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부(180-2)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부(180-2)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그 밖에, 도 7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의 블럭도이다.
도 8의 소프트웨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저장 수단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8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OS(191), 커널(192), 미들웨어(193),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191)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191)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19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193)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19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8에 따르면, 미들웨어(193)는 UI 프레임워크(193-1), 윈도우 매니저(193-2), 버튼 인식 모듈(193-3), 보안 모듈(193-4), 시스템 매니저(193-5),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93-6), X11 모듈(193-7), APP 매니저(193-8), 연결 매니저(193-9), 아이템 인식 모듈(193-10)을 포함한다.
UI 프레임워크(193-1)는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UI 프레임워크(193-1)는 텍스트, 아이템 등의 각종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오브젝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오브젝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93-2)는 리모컨 버튼을 이용한 버튼 인식 이벤트,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한 음성 인식 이벤트, 사용자의 동작을 이용한 동작 인식 이벤트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93-2)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UI 프레임워크(193-1)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버튼 인식 모듈(193-3)은 사용자가 리모컨에서 선택한 버튼에 대응되는 신호인 리모컨 신호를 파싱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모듈이다. 검출부(120)는 버튼 인식 모듈(193-3)을 실행시켜, 사용자가 선택한 리모컨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보안 모듈(193-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19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다른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193-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UI 프레임워크(193-1)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93-6)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93-6)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X11 모듈(193-7)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193-8)는 저장부(16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193-8)는 X11 모듈(193-7)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즉, APP 매니저(193-8)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가 감지되면, 그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연결 매니저(193-9)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193-9)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템 인식 모듈(193-10)은 저장부(160)에 저장된 아이템 또는 통신부(150)가 수신한 아이템을 인식하여, 그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아이템 인식 모듈(193-10)은 아이템의 제목, 아이템의 제목에 해당하는 텍스트, 기타 아이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미들웨어(193)의 상부 계층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브라우저 계층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이 존재한다.
도 8에 도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저장부(16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194-m)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도 8과 같은 소프트웨어 구조 중에서 리모콘 신호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그 리모콘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리모컨으로부터 각 버튼의 선택에 의해 전송되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리모컨 신호에 매칭되는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복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하나의 동작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동작하는 단계는, 선택된 동작 모드 하에서 비활성화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버튼이 리모컨에서 선택되어 제1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동작 모드 하에서 활성화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200 : 리모컨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수신부 120 : 검출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제어부
150 : 통신부 160 : 저장부
110 : 수신부 120 : 검출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제어부
150 : 통신부 160 : 저장부
Claims (16)
-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리모컨으로부터 각 버튼의 선택에 의해 전송되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리모컨 신호에 매칭되는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복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하나의 동작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 하에서 비활성화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버튼이 상기 리모컨에서 선택되어 상기 제1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 하에서 활성화된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신호 및 상기 기능 정보는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 별로 상이하게 매칭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리모컨 신호 및 상기 기능 정보 사이의 매칭 정보를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리모컨 내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이 배치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버튼 대신 제2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리모컨 신호에 매칭된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제1 버튼에 인접한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버튼의 형상 또는 크기를 나타내는 버튼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버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버튼과 동일한 형상 또는 동일한 크기의 제2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리모컨 신호에 매칭된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는,
TV 방송 수신 모드, 컨텐츠 재생 모드, 외부 입력 모드, 인터넷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 모드, 상기 외부 입력 모드 또는 상기 인터넷 모드로 동작 중인 상태에서 채널 조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볼륨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 모드로 동작 중인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에서 컨텐츠 재생 조정 기능이 매칭된 버튼과 인접한 타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컨텐츠 재생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리모컨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 각각에 대한 리모컨 신호에 매칭되는 기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하나의 동작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 하에서 비활성화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버튼이 상기 리모컨에서 선택되어 상기 제1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 하에서 활성화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신호 및 상기 기능 정보는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 별로 상이하게 매칭되며,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리모컨 신호 및 상기 기능 정보 사이의 매칭 정보를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리모컨 내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이 배치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버튼 대신 제2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리모컨 신호에 매칭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제1 버튼에 인접한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버튼의 형상 또는 크기를 나타내는 버튼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버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버튼과 동일한 형상 또는 크기의 제2 버튼에 대응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리모컨 신호에 매칭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방법. -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는,
TV 방송 수신 모드, 컨텐츠 재생 모드, 외부 입력 모드, 인터넷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재생 모드, 상기 외부 입력 모드 또는 상기 인터넷 모드로 동작 중인 상태에서 채널 조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볼륨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재생 모드로 동작 중인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에서 컨텐츠 재생 조정 기능이 매칭된 버튼과 인접한 타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컨텐츠 재생 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3194A KR20150017203A (ko) | 2013-08-06 | 2013-08-06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3194A KR20150017203A (ko) | 2013-08-06 | 2013-08-06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7203A true KR20150017203A (ko) | 2015-02-16 |
Family
ID=5304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3194A KR20150017203A (ko) | 2013-08-06 | 2013-08-06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1720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58400A1 (ko) * | 2022-09-15 | 2024-03-2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2013
- 2013-08-06 KR KR1020130093194A patent/KR2015001720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58400A1 (ko) * | 2022-09-15 | 2024-03-2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99292B2 (en) |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 |
US10225507B2 (en) | Display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EP2830321A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thereof | |
KR102189648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 |
AU2013360531A1 (en) |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 |
US20140223321A1 (en) |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thereof | |
JP2016535343A (ja) |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方法 | |
JP2015038665A (ja) |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 |
EP3147895A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 |
EP2835733A1 (en) | Display apparatus, the method thereof and item providing method | |
CN104378267A (zh) | 设备连接的提示方法及装置 | |
US20140195975A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 |
EP3038374A1 (en) |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 |
US10534519B2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2121535B1 (ko) | 전자 장치, 보조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
KR20150072766A (ko) | 원격 제어 시스템,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
KR20150017203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137762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 |
US10089060B2 (en) | Device for controlling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 |
KR20150020756A (ko) | 디스플레이 장치, 그 방법 및 아이템 제공 방법 | |
KR20230095477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