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50014866A -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866A
KR20150014866A KR1020140094608A KR20140094608A KR20150014866A KR 20150014866 A KR20150014866 A KR 20150014866A KR 1020140094608 A KR1020140094608 A KR 1020140094608A KR 20140094608 A KR20140094608 A KR 20140094608A KR 20150014866 A KR20150014866 A KR 20150014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weight
pressure
protective film
top co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1539B1 (ko
Inventor
다츠미 아마노
겐지로 니미
가즈마 미츠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4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5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91/00Presence of oils, fats or waxes
    • C09J2491/006Presence of oils, fats or waxes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Abstract

미끄럼성 부여 성분을 함유하고, 또한 백화하기 어려운 톱 코팅층을 갖는 기재 및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여, 외관 특성, 시간 경과에 따른 점착력 상승 방지성,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제1면 및 제2면을 갖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상기 제1면에 설치된 톱 코팅층과, 상기 기재의 상기 제2면에 설치된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표면 보호 필름이며, 상기 톱 코팅층은, 활제로서의 왁스와, 바인더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왁스가 고급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이며,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를 필수의 원료 단량체로 해서 구성되고, 원료 단량체 전량 중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70중량% 내지 99.5중량%,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의 함유량이 0.5중량% 내지 10중량%이며, 또한 분자 중에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반응성 유화제를 사용하여 중합된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 및 하기 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B)를 함유하는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R1O-(PO)a-(EO)b-(PO)c-R2 (I)
(식 중, R1 및 R2는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PO는 옥시프로필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낸다. a, b 및 c는 각각 양의 정수이다. EO와 PO의 부가 형태는 블록형이다.)

Description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SURFACE PROTECTIVE FILM AND OPTICAL COMPONENT}
본 발명은 피착체(보호 대상물)에 부착되어 그 표면을 보호하는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표면 보호 필름(표면 보호 시트라고도 함)은, 일반적으로, 필름 형상의 기재(지지체) 위에 점착제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보호 필름은, 상기 점착제를 통해 피착체에 접합되고, 이에 의해 가공시, 반송시 등의 흠집이나 오염으로부터 해당 피착체를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에 있어서 액정 셀에 접합되는 편광판은, 일단 롤 형태로 제조된 후, 이 롤로부터 권출되어, 액정 셀의 형상에 따른 소정의 크기로 잘라 사용된다. 여기서, 편광판이 중간 공정에서 반송 롤 등과 스쳐서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편광판의 편면 또는 양면(특히 편면)에 표면 보호 필름을 접합하는 대책이 취해지고 있다.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기재의 한쪽 면측에 코팅층을 갖고, 기재의 다른 쪽 면측에 점착제층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을 들 수 있다(특허문헌 1 및 2 참조).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점착제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조성물로서, 도포 시공시의 작업 환경성의 점에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이 사용되도록 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0732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0348호 공보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는, 해당 필름을 부착한 채 피착체(예를 들어 편광판)의 외관 검사를 행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최근 들어, 상기 외관 검사의 용이함이나 검사 정밀도 등의 관점에서, 표면 보호 필름의 외관 품위에 대한 요구 레벨이 높아지고 있어, 예를 들어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피착체에 부착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찰과상이 생기기 어려운 성질이 요구되고 있다. 표면 보호 필름에 찰과상이 존재하면, 그 흠집이 피착체의 흠집인지, 또는 표면 보호 필름의 흠집인지를, 표면 보호 필름을 부착한 상태에서는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에 찰과상이 생기기 어렵게 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해당 배면에 경질의 표면층(톱 코팅층)을 설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톱 코팅층은, 예를 들어 기재의 배면에 코팅재를 도포하여 건조 및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톱 코팅층이 적당한 미끄럼성을 갖는 것은, 더 높은 내찰과성(내스크래치성, 표면에 찰과상이 생기기 어려운 특성)을 실현함에 있어서 유리하다. 상기 미끄럼성에 의해, 톱 코팅층이 마찰되었을 경우에 가해질 수 있는 응력을 해당 톱 코팅층의 표면을 따라 받아넘길 수 있기 때문이다. 톱 코팅층에 미끄럼성을 부여하기 위한 첨가제(활제)로서는, 일반적으로, 실리콘계 활제(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실리콘 화합물), 불소계 활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실리콘계 활제가 첨가된 톱 코팅층을 갖는 기재는, 그 보존 조건에 따라서는(예를 들어, 고온 다습 조건 하에 유지되면), 외관이 흰빛을 띠는 것처럼 보이는 사상(백화)을 발생하기 쉽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표면 보호 필름의 기재가 백화하면, 해당 표면 보호 필름을 통한 피착체 표면의 시인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표면 보호 필름을 부착한 채 피착체의 외관 검사를 행하는 경우의 검사 정밀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에는, 피착체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에는 충분한 접착성을 발휘할 것이 요구되며, 사용 목적을 달성한 후에는 피착체로부터 박리되므로, 우수한 박리성(재박리성)을 발휘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우수한 재박리성을 갖기 위해서는, 박리력이 작은 것(경박리) 외에도, 피착체에 부착한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착력(박리력)이 상승하기 어려운 특성(점착력 상승 방지성)이 필요해진다.
점착제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조성물인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의 경박리나 점착력 상승 방지성 등의 특성을 얻기 위하여 가교제를 함유시키면, 가교제에 따라서는, 가교제가 충분히 분산되지 않아, 큰 입자로서 잔존하고, 거기에 기인해서 형성된 점착제층에 있어서 「오목부」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점착제층의 형성 시에 있어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에 기포가 포함되어 있으면, 형성된 점착제층 중에 기포가 잔존하여, 점착제층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해서 점착제층의 외관이 악화되거나, 점착제층의 두께에 편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레벨링제나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이, 레벨링제나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면, 소포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소포성 향상의 면에서는, 소포제의 첨가가 유효하지만, 소포제의 첨가에 의한 크레이터링의 문제나, 소포제로서 실리카 등의 고형의 핵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핵제가 이물이 되어 외관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표면 보호 필름에서의 점착제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수분산형계 점착제 조성물로서, 접착성과 재박리성이 우수하고, 또한, 외관 특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얻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끄럼성 부여 성분을 함유하고, 또한 백화하기 어려운 톱 코팅층을 갖는 기재, 및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외관 특성(오목부 등의 외관 불량이 저감되어 있고, 또한 흰빛을 띠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 것)이 우수하고, 또한, 재박리성이 우수하고,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제1면 및 제2면을 갖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상기 제1면에 설치된 톱 코팅층과, 상기 기재의 상기 제2면에 설치된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톱 코팅층을 특정한 톱 코팅층으로 하고,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특정한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아크릴계 점착제층으로 하면, 외관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스크래치성, 내백화성 및 재박리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제1면 및 제2면을 갖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상기 제1면에 설치된 톱 코팅층과,
상기 기재의 상기 제2면에 설치된 아크릴계 점착제층
을 구비하는 표면 보호 필름이며,
상기 톱 코팅층은, 활제로서의 왁스와, 바인더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왁스가 고급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이며,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를 필수의 원료 단량체로 해서 구성되고, 원료 단량체 전량 중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70중량% 내지 99.5중량%,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의 함유량이 0.5중량% 내지 10중량%이며, 또한 분자 중에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반응성 유화제를 사용하여 중합된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 및 하기 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B)를 함유하는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R1O-(PO)a-(EO)b-(PO)c-R2 (I)
(식 중, R1 및 R2는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PO는 옥시프로필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낸다. a, b 및 c는 각각 양의 정수이다. EO와 PO의 부가 형태는 블록형이다.)
상기 기재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톱 코팅층은,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비수용성 가교제(C)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광학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구성을 가지므로, 외관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스크래치성, 내백화성 및 재박리성이 우수하다. 또한, 가습 보존화에서의 백화(흡습 백화)도 억제되어 있다. 이로 인해, 표면 보호 필름을 부착한 채 피착체의 외관 검사를 행하는 경우, 정밀도가 높은 검사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표면 보호 필름의 사용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표면 보호 필름의 사용 전에 있어서의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배면 박리 강도의 측정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의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동일한 작용을 발휘하는 부재·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면에 기재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 모식화되어 있으며, 제품으로서 실제로 제공되는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사이즈나 축척을 정확하게 나타낸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 중에서, 「활제」란, 톱 코팅층에 함유됨으로써 해당 톱 코팅층의 미끄럼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성분을 말한다. 톱 코팅의 미끄럼성이 향상된 것은, 예를 들어 해당 톱 코팅층의 마찰 계수가 저하된 것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톱 코팅층에서의 「바인더」란, 해당 톱 코팅층의 성막에 기여하는 기본 성분을 말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란, 폴리에스테르(단량체간의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형성된 주쇄를 갖는 중합체를 말함)를 주성분(바람직하게는 50중량%보다 많이 포함되는 성분)으로 하는 수지를 말한다. 「아크릴계 점착제」란, 아크릴계 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해당 아크릴계 점착제에 포함되는 중합체 성분 중의 주성분, 바람직하게 50중량%보다 많이 포함되는 성분)로 하는 점착제를 말한다. 「아크릴계 중합체」란, 1 분자 중에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이하, 이것을 「아크릴계 단량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주 구성 단량체 성분(단량체의 주성분,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총량 중 50중량% 이상을 차지하는 성분)으로 하는 중합체를 가리킨다. 상기 「(메트)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및 메타크릴로일기를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 중에서, 「알킬렌옥시드쇄」란, 옥시알킬렌 단위(-OR-) 및 옥시알킬렌 단위가 2단위 이상 연속된 부분(즉, -(OR)n-으로 표시되는 구조 부분. 단 n≥2. 폴리알킬렌옥시드쇄로서도 파악될 수 있음)을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용어이다.
<표면 보호 필름의 구성과 사용 형태>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구성의 일례 및 그 사용 형태의 일례를 도 1에 도시한다. 표면 보호 필름(1)은, 제1면(12A) 및 제2면(12B)을 갖는 기재(12)와, 제1면(배면)(12A) 위에 설치된 톱 코팅층(14)과, 제2면(전방면)(12B)에 설치된 점착제층(20)(아크릴계 점착제층(20))을 구비한다. 기재(12)는, 투명한 수지 필름(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면(12A) 위에 톱 코팅층(14)이 직접(다른 층을 개재하지 않고)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20)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점 형상, 스트라이프 형상 등의 규칙적 또는 랜덤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표면 보호 필름(1)은, 피착체(보호 대상, 예를 들어 편광판 등의 광학 부품)(50)의 표면에 점착제층(20)의 표면(점착면, 즉 피착체에 대한 부착면)(20A)을 부착하여 사용된다. 사용 전(즉, 피착체에 대한 부착 전)의 표면 보호 필름(1)은,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20)의 표면(20A)이 박리 라이너(30)에 의해 보호된 형태이어도 된다. 박리 라이너(30)는, 적어도 그 점착제층(20)에 대향하는 면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다.
피착체(50)를 보호하는 역할을 마치고 불필요하게 된 표면 보호 필름(1)은, 피착체(50)의 표면으로부터 박리하여 제거된다. 피착체(50)의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1)을 제거하는 조작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보호 필름(1)의 배면(1A)(톱 코팅층(14)의 표면)에 점착 테이프(60)를 부착하고, 이 점착 테이프(픽업 테이프)(60)와 함께 표면 보호 필름(1)의 적어도 일부(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외측 테두리의 일부)를 피착체(50)의 표면으로부터 들어올리는 조작을 포함하는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면 보호 필름(1)의 배면(1A)에 부착된 픽업 테이프(60)를 잡아당김으로써, 배면(1A)에 대한 픽업 테이프(60)의 점착력을 이용하여, 피착체(50)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1)을 벗겨내는 단서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하면, 피착체(50)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1)을 제거하는 조작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보호 필름(1)의 배면(1A)에 픽업 테이프(60)를, 도 3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일단부가 표면 보호 필름(1)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비어져 나오게 부착한다. 그리고,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픽업 테이프(60)의 상기 일단부를 잡고 표면 보호 필름(1)을 그 외측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되접히도록(말리도록) 잡아당기면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착체(50)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1)의 외측 테두리가 박리된 후, 표면 보호 필름(1)의 나머지 부분을 피착체(50)로부터 박리하는 조작은, 계속해서 픽업 테이프(60)를 잡아당김으로써 행해도 되고, 또는 표면 보호 필름(1) 중 이미 피착체(50)로부터 박리된 부분을 직접 잡고 당김으로써 행해도 된다.
<기재>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기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지 필름은, 각종 수지 재료를 필름 형상으로 성형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재료로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 중, 1 또는 2 이상의 특성이 우수한 수지 필름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류;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카르보네이트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중합체류 등을 주성분(바람직하게는, 50중량%보다 많이 포함되는 성분)으로 하는 수지 재료로 구성된 투명(착색 투명을 포함하는 의미임)한 수지 필름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다른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류;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환상 내지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류; 폴리염화비닐류; 나일론 6, 나일론 6,6,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류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이미드류, 폴리술폰류, 폴리에테르술폰류,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류, 폴리페닐렌술피드류, 폴리비닐알코올류, 폴리염화비닐리덴류, 폴리비닐부티랄류, 폴리아릴레이트류, 폴리옥시메틸렌류, 에폭시류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용의 수지 필름은, 투명성을 갖고, 또한 그 광학 특성(위상차 등)의 이방성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이방성은 적을수록 바람직하다. 특히, 광학 부품용 표면 보호 필름의 기재에 사용되는 수지 필름에서는, 해당 수지 필름의 광학적 이방성을 적게 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상기 수지 필름은, 단층 구조이어도 되고, 조성이 상이한 복수의 층이 적층된 구조이어도 된다. 통상은, 단층 구조의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필름의 굴절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외관 특성의 관점에서, 1.43 내지 1.6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 내지 1.5의 범위이다. 상기 굴절률의 값으로서는, 제조사의 공증값을 채용할 수 있다. 공증값이 없는 경우에는, JIS K 7142A법에 의해 측정된 값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필름의 가시광 파장 영역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투명성의 점에서, 70% 이상(예를 들어 70% 내지 99%)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예를 들어 80% 내지 99%),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예를 들어 85% 내지 99%)이다. 상기 전체 광선 투과율의 값으로서는, 제조사 공증값을 채용할 수 있다. 공증값이 없는 경우에는, JIS K 7361-1에 준거하여 측정된 값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상기 기재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바람직하게는 50중량%보다 많이 포함되는 성분)으로 하는 수지(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필름 형상으로 성형된 수지 필름(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폴리에스테르가 주로 PET인 수지 필름(PET 필름), 주로 PEN인 수지 필름(PEN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 성분, 가소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의 제1면(배면, 즉 톱 코팅층이 설치되는 측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산 처리, 알칼리 처리, 하도제의 도포 등의, 공지 또는 관용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표면 처리는, 예를 들어 기재 배면과 톱 코팅층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처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 배면에 히드록실기(-OH기) 등의 극성기가 도입되는 표면 처리도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기재의 제2면(전방면, 즉 점착제층이 형성되는 측의 표면)에는, 상기 배면과 마찬가지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표면 처리는, 기재(지지체)와 점착제층의 밀착성(점착제층의 투묘성)을 높이기 위한 처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의 두께는, 표면 보호 필름의 용도, 목적, 사용 형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과, 비용이나 외관 검사성 등의 균형에서, 10㎛ 내지 2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이다.
<바인더>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기재의 배면(제1면)에 톱 코팅층을 갖는다. 이 톱 코팅층은, 바인더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활제로서의 왁스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을 차지하는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지 재료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다가 카르복실산류(바람직하게는 디카르복실산류) 및 그의 유도체(당해 다가 카르복실산의 무수물, 에스테르화물, 할로겐화물 등)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다가 카르복실산 성분)과,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류(바람직하게는 디올류)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다가 알코올 성분)이 축합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다가 카르복실산 성분에 상당하는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옥살산, 말론산, 디플루오로말론산, 알킬말론산, 숙신산, 테트라플루오로숙신산, 알킬숙신산, (±)-말산, meso-타르타르산, 이타콘산, 말레산, 메틸말레산, 푸마르산, 메틸푸마르산, 아세틸렌디카르복실산, 글루타르산, 헥사플루오로글루타르산, 메틸글루타르산, 글루타콘산, 아디프산, 디티오아디프산, 메틸아디프산, 디메틸아디프산, 테트라메틸아디프산, 메틸렌아디프산, 뮤콘산, 갈락타르산, 피멜산, 수베르산, 퍼플루오로수베르산, 3,3,6,6-테트라메틸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박산, 퍼플루오로세박산, 브라실산, 도데실디카르복실산, 트리데실디카르복실산, 테트라데실디카르복실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류; 시클로알킬디카르복실산(예를 들어,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4-(2-노르보르넨)디카르복실산, 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실산(하이믹산), 아다만탄디카르복실산, 스피로헵탄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식 디카르복실산류; 프탈산, 이소프탈산, 디티오이소프탈산, 메틸이소프탈산, 디메틸이소프탈산, 클로로이소프탈산, 디클로로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메틸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산, 클로로테레프탈산, 브로모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옥소플루오렌디카르복실산, 안트라센디카르복실산, 비페닐디카르복실산, 비페닐렌디카르복실산, 디메틸비페닐렌디카르복실산, 4,4"-p-테레페닐렌디카르복실산, 4,4"-p-쿠와렐페닐디카르복실산, 비벤질디카르복실산, 아조벤젠디카르복실산, 호모프탈산, 페닐렌2아세트산, 페닐렌디프로피온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나프탈렌디프로피온산, 비페닐2아세트산, 비페닐디프로피온산, 3,3'-[4,4'-(메틸렌디-p-비페닐렌)디프로피온산, 4,4'-비벤질2아세트산, 3,3'(4,4'-비벤질)디프로피온산, 옥시디-p-페닐렌2아세트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류; 상기 다가 카르복실산의 산 무수물; 상기 다가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예를 들어 알킬에스테르,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등이어도 됨); 상기 다가 카르복실산에 대응하는 산 할로겐화물(예를 들어 디카르복실산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다가 카르복실산 성분에 상당하는 화합물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류 및 그 산 무수물; 아디프산, 세박산, 아젤라산, 숙신산, 푸마르산, 말레산, 하이믹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류 및 그 산 무수물; 및 상기 디카르복실산류의 저급 알킬에스테르(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모노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다가 알코올 성분에 상당하는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3-메틸펜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크실릴렌글리콜,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비스페놀 A 등의 디올류를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이들 화합물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예를 들어, 에틸렌옥시드 부가물, 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중합체 중에 친수성 관능기(예를 들어, 술폰산 금속 염기, 카르복실기, 에테르기, 인산기 등의 친수성 관능기 등 중 1종 또는 2종 이상)를 도입함으로써 수분산성을 높인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체 중에 친수성 관능기를 도입하는 방법으로서는,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을 공중합시키는 방법, 폴리에스테르 또는 그 전구체(예를 들어, 다가 카르복실산 성분, 다가 알코올 성분, 그것들의 올리고머 등)를 변성하여 친수성 관능기를 발생시키는 방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로서는,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톱 코팅층의 바인더로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어도 되고,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톱 코팅층의 바인더로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주성분이 포화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수분산성이 부여된 포화 폴리에스테르(예를 들어, 포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수분산액의 형태로 제조된 것도 포함함)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고, 또는 시판품을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되는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으로서, 0.5×104 내지 15×104(바람직하게는 1×104 내지 6×104)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 내지 12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이다.
상기 톱 코팅층은,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성능(예를 들어, 투명성, 내스크래치성, 내백화성 등의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바인더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외의 수지(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아크릴-우레탄 수지, 아크릴-스티렌수지, 아크릴-실리콘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실라잔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불소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등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특히,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톱 코팅층의 바인더는, 실질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해당 바인더에서 차지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비율이 98중량% 내지 100중량%인 톱 코팅층이 바람직하다. 톱 코팅층 전체에서 차지하는 바인더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중량% 내지 95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내지 90중량%이다.
<활제>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의 톱 코팅층은, 활제로서, 고급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이하, 「왁스 에스테르」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급 지방산」이란, 탄소 원자수가 8 이상(바람직하게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40 이하)의 카르복실산(특히 1가의 카르복실산)을 말한다. 또한, 「고급 알코올」이란, 탄소 원자수가 6 이상(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40 이하)의 알코올(특히 1가 또는 2가의 알코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1가의 알코올)을 말한다. 이러한 왁스 에스테르와 상기 바인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조합하여 포함하는 조성의 톱 코팅층은, 고온 다습 조건에 유지되어도 백화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와 같은 톱 코팅층을 갖는 기재를 구비한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보다 외관 품위가 높은 것이 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상기 구성의 톱 코팅층에 의해 우수한 내백화성(예를 들어, 고온 다습 조건에 유지되어도 백화하기 어려운 성질)이 실현되는 이유는 명백하지 않으나, 이하의 이유가 추측된다. 즉, 종래 사용되고 있는 실리콘계 활제는, 톱 코팅층의 표면에 블리드함으로써 해당 표면에 미끄럼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라 추측된다. 그러나, 이들 실리콘계 활제는, 보존 조건(온도, 습도, 시간의 경과 등)의 차이에 따라 상기 블리드의 정도가 변동되기 쉽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통상의 보존 조건(예를 들어, 25℃, 50% RH)에 유지되었을 경우에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직후부터 비교적 장기간(예를 들어 약 3개월)에 걸쳐 적당한 미끄럼성이 얻어지도록 실리콘계 활제의 사용량을 설정하면, 이 표면 보호 필름이 고온 다습 조건(예를 들어, 60℃, 95% RH)에서 2주일 보존되었을 경우에는, 활제의 블리드가 과잉으로 진행되어버린다. 이렇게 과잉으로 블리딩된 실리콘계 활제는, 톱 코팅층(나아가서는 표면 보호 필름)을 백화시킨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활제로서의 왁스 에스테르와, 톱 코팅층의 바인더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라는 특정한 조합을 채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활제와 바인더의 조합에 의하면, 상기 왁스 에스테르의 톱 코팅층으로부터의 블리드의 정도가 보존 조건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이에 의해 표면 보호 필름의 내백화성이 향상된 것이라 생각된다.
상기 왁스 에스테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화학식 (W)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왁스 에스테르는, 하기 화학식 (W)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1종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2종 이상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X-COO-Y (W)
여기서, 상기 식 (W) 중의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0 내지 40(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2)의 탄화수소기이다. 상기 탄소 원자수가 너무 작으면, 톱 코팅층에 미끄럼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부족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탄화수소기는, 포화나 불포화이어도 되지만, 포화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탄화수소기는, 방향족의 환을 포함하는 구조이어도 좋고, 이러한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는 구조(지방족성 탄화수소기)이어도 된다. 또한, 지방족성의 환을 포함하는 구조의 탄화수소기(지환식 탄화수소기)이어도 되고, 쇄상(직쇄상 및 분지쇄상을 포함하는 의미임)의 탄화수소기이어도 된다.
상기 왁스 에스테르는, 상기 식 (W)에서의 X 및 Y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0 내지 40의 쇄상 알킬기(보다 바람직하게는 직쇄상 알킬기)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세로트산미리 실(CH3(CH2)24COO(CH2)29CH3), 팔미트산미리실(CH3(CH2)14COO(CH2)29CH3), 팔미트산세틸(CH3(CH2)14COO(CH2)15CH3), 스테아릴산스테아릴(CH3(CH2)16COO(CH2)17CH3)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왁스 에스테르의 융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다. 이와 같은 왁스 에스테르에 의하면, 더 높은 내백화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왁스 에스테르는, 융점이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왁스 에스테르는, 미끄럼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높으므로, 보다 내스크래치성이 높은 톱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왁스 에스테르의 융점이 100℃ 이하이면, 해당 왁스 에스테르의 수분산액을 제조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세로트산미리실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톱 코팅층의 원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왁스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천연 왁스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천연 왁스로서는, 비휘발분(NV) 기준으로, 상기 왁스 에스테르의 함유 비율(2종 이상의 왁스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것들의 함유 비율의 합계)이 50중량% 이상(바람직하게는 6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중량% 이상)의 것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르나우바 왁스(일반적으로, 세로트산미리실을 6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의 비율로 포함함), 팜 왁스 등의 식물성 왁스; 밀랍, 경랍 등의 동물성 왁스 등의 천연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천연 왁스의 융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톱 코팅층의 원료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왁스 에스테르이어도 되고, 천연 왁스를 정제하여 해당 왁스 에스테르의 순도를 높인 것이어도 된다. 이 원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톱 코팅층 전체에서 차지하는 활제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중량%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40중량%이다. 활제의 함유 비율이 5중량% 이상이면 양호한 내스크래치성이 얻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활제의 함유 비율이 50중량% 이하이면, 내백화성의 향상 효과가 얻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톱 코팅층이, 상기 왁스 에스테르 외에 다른 활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다른 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석유계 왁스(파라핀 왁스 등), 광물계 왁스(몬탄 왁스 등), 고급 지방산(세로트산 등), 중성 지방(팔미트산트리글리세라이드 등)과 같은 각종 왁스를 들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톱 코팅층에는, 상기 왁스 에스테르 외에, 일반적인 실리콘계 활제, 불소계 활제 등이 보조적으로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이러한 실리콘계 활제, 불소계 활제 등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이 합계 함유량이 톱 코팅층 전체에서 0.01중량% 이하, 또는 검출 한계 이하인 것)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제와는 다른 목적으로(예를 들어, 후술하는 톱 코팅 형성용 코팅재의 소포제로서) 사용되는 실리콘계 화합물의 함유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의 톱 코팅층은, 필요에 따라 대전 방지 성분, 가교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유동성 조정제(틱소트로피제, 증점제 등), 조막 보조제, 계면 활성제(소포제, 분산제 등), 방부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톱 코팅층의 대전 방지 성분>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톱 코팅층은,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이 대전 방지에 우수하면, 예를 들어 액정 셀이나 반도체 장치 등과 같이 정전기를 기피하는 물품의 가공이나 반송 공정 등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 성분은, 표면 보호 필름의 대전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성분이다. 톱 코팅층에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시키는 경우, 그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유기 또는 무기의 도전성 물질, 각종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도전성 물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급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제1아미노기, 제2아미노기, 제3아미노기 등의 양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양이온형 대전 방지제; 술폰산염이나 황산에스테르염, 포스폰산염, 인산에스테르염 등의 음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음이온형 대전 방지제; 알킬베타인 및 그의 유도체, 이미다졸린 및 그의 유도체, 알라닌 및 그의 유도체 등의 양성 이온형 대전 방지제; 아미노알코올 및 그의 유도체, 글리세린 및 그의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그의 유도체 등의 비이온형 대전 방지제; 상기 양이온형, 음이온형, 양성 이온형의 이온 도전성기(예를 들어, 4급 암모늄염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하여 얻어진 이온 도전성 중합체; 폴리티오펜,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에틸렌이민, 알릴아민계 중합체 등의 도전성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대전 방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도전성 물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산화주석, 산화안티몬,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인듐, 주석, 안티몬,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니켈, 크롬, 티타늄, 철, 코발트, 요오드화구리, ITO(산화인듐/산화주석), ATO(산화안티몬/산화주석)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무기 도전성 물질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양이온형 대전 방지제, 음이온형 대전 방지제, 양성 이온형 대전 방지제, 비이온형 대전 방지제, 상기 양이온형, 음이온형, 양성 이온형의 이온 도전성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하여 얻어진 이온 도전성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상기 톱 코팅층에 사용되는 대전 방지 성분은, 유기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도전성 물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양호한 대전 방지성과 높은 내스크래치성의 양립의 점에서, 각종 도전성 중합체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도전성 중합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티오펜,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에틸렌이민, 알릴아민계 중합체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중합체 등의 유기 도전성 물질은, 다른 대전 방지 성분(무기 도전성 물질, 대전 방지제 등)과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도전성 중합체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톱 코팅층에 포함되는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내지 2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 내지 15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중량부 내지 120중량부이다. 도전성 중합체의 사용량이 10중량부 이상이면 양호한 대전 방지 효과가 얻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150중량부 이하이면, 톱 코팅층에서의 도전성 중합체의 상용성을 충분히 얻어, 톱 코팅층의 양호한 외관 품위나 양호한 내용제성이 얻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바람직한 도전성 중합체로서는, 폴리티오펜 및 폴리아닐린을 들 수 있다. 폴리티오펜으로서는,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하, 「Mw」라고 표기함)이 40×104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30×1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아닐린으로서는, Mw가 50×104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30×1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도전성 중합체의 Mw는, 0.1×104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서 폴리티오펜이란, 비치환 또는 치환 티오펜의 중합체를 말한다. 특히, 치환 티오펜 중합체로서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이 바람직하다.
상기 톱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톱 코팅층 형성용의 코팅재를 기재에 도포하여 건조 또는 경화시키는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 해당 코팅재의 제조에 사용하는 도전성 중합체는, 상기 도전성 중합체가 물에 용해 또는 분산된 형태의 것(도전성 중합체 수용액)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도전성 중합체 수용액은, 예를 들어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도전성 중합체(분자 내에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시키는 등의 방법에 의해 합성된다.)를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친수성 관능기로서는, 술포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이미노기, 히드록실기, 머캅토기, 히드라지노기, 카르복실기, 4급 암모늄기, 황산에스테르기(-O-SO3H), 인산에스테르기(예를 들어 -O-PO(OH)2)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친수성 관능기는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티오펜 수용액의 시판품으로서는, 나가세 켐텍스사 제조의 상품명 「데나트론」 시리즈를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아닐린술폰산 수용액의 시판품으로서는, 미쯔비시 레이온사 제조의 상품명 「aqua-PASS」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상기 코팅재의 제조에 폴리티오펜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SS)를 포함하는 폴리티오펜 수용액(폴리티오펜에 PSS가 도펀트로서 첨가된 형태이어도 됨)의 사용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용액은, 폴리티오펜:PSS를 1:1 내지 1:10의 질량비로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수용액에서의 폴리티오펜과 PSS의 합계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중량% 내지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티오펜 수용액의 시판품으로서는, H. C. Stark사의 상품명 「베이트론(Baytron)」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PSS를 포함하는 폴리티오펜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티오펜과 PSS의 합계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내지 2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내지 10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 내지 70중량부이다.
상기 톱 코팅층은, 필요에 따라, 도전성 중합체와, 다른 1종 또는 2종 이상의 대전 방지 성분(도전성 중합체 이외의 유기 도전성 물질, 무기 도전성 물질, 대전 방지제 등)을 모두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상기 톱 코팅층은, 도전성 중합체 이외의 대전 방지 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톱 코팅층에 포함되는 대전 방지 성분은 실질적으로 도전성 중합체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교제>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톱 코팅층이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교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멜라민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교제에 의하면, 내스크래치성, 내용제성, 인자 밀착성, 마찰 계수의 저하(즉, 미끄럼성의 향상) 중 적어도 1개의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교제는, 멜라민계 가교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톱 코팅층은, 가교제로서 실질적으로 멜라민계 가교제만을 포함하는 층, 즉, 멜라민계 가교제 이외의 가교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층이어도 된다.
<톱 코팅층의 형성>
상기 톱 코팅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톱 코팅층은, 상기 수지 성분 및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첨가제가 적당한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된 액상 조성물(톱 코팅층 형성용의 코팅 조성물)을 기재에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톱 코팅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상기 코팅 조성물을 기재의 제1면에 도포하여 건조시키고, 필요에 따라 경화 처리(열처리, 자외선 처리 등)를 행하는 방법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NV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중량% 이하(예를 들어 0.05중량% 내지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예를 들어 0.10중량% 내지 1중량%)이다. 두께가 작은 톱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팅 조성물의 NV를, 0.05중량% 내지 0.50중량%(특히 0.10중량% 내지 0.3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저 NV의 코팅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균일한 톱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톱 코팅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구성하는 용매로서는, 톱 코팅층 형성 성분을 안정적으로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용매는, 유기 용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이어도 된다. 상기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디옥산 등의 환상 에테르류; n-헥산,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탄화수소류;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시클로헥산올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알코올류; 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톱 코팅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구성하는 용매로서는, 물 또는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 용매(예를 들어,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톱 코팅층의 성상>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의 톱 코팅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3nm 내지 50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4nm 내지 10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5nm 내지 60nm이다. 톱 코팅층의 두께가 500nm 이하이면,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양호한 투명성(광선 투과성)이 얻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3nm 이상이면 톱 코팅층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예를 들어, 톱 코팅층의 두께에 있어서, 장소에 따른 두께의 편차가 작아져), 이 때문에 표면 보호 필름의 외관에 얼룩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톱 코팅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보다 외관 품위가 우수한 것을 얻는 점에서, 3nm 이상 50n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nm 이상 30n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4nm 이상 20nm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5nm 이상 11nm 미만이다. 표면 보호 필름의 외관 품위가 우수하면, 표면 보호 필름 너머로 제품(피착체)의 외관 검사를 보다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상기 톱 코팅층의 두께가 작은 것은, 기재의 특성(광학 특성, 치수 안정성 등)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상기 톱 코팅층의 두께는, 해당 톱 코팅층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으로 관찰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하는 시료(톱 코팅층이 형성된 기재, 해당 기재를 구비하는 표면 보호 필름 등)에 대해서, 톱 코팅층을 명료하게 할 목적으로 중금속 염색 처리를 행한 후, 수지 포매를 행하고, 초박절편법에 의해 시료 단면의 TEM 관찰을 행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TEM으로서는, 히타치사 제조의 TEM, 형식 「H-7650」 등을 들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가속 전압: 100kV, 배율: 60,000배의 조건에서 얻어진 단면 화상에 대해서, 2치화 처리를 행한 후, 시야 내의 샘플 길이로 톱 코팅의 단면적을 나눔으로써 톱 코팅층의 두께(시야 내의 평균 두께)를 실측하였다.
또한, 중금속 염색을 행하지 않아도 톱 코팅층을 충분히 명료하게 관찰할 수 있는 경우에는, 중금속 염색 처리를 생략해도 된다. 또는 TEM에 의해 파악되는 두께와, 각종 두께 검출 장치(예를 들어, 표면 조도계, 간섭 두께계, 적외 분광 측정기, 각종 X선 회절 장치 등)에 의한 검출 결과와의 상관에 대해서, 검량선을 작성하여 계산을 행함으로써, 톱 코팅층의 두께를 구해도 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톱 코팅층의 표면에서의 표면 저항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12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6Ω 내지 1012Ω이다. 이와 같은 표면 저항률을 나타내는 표면 보호 필름은, 예를 들어 액정 셀이나 반도체 장치 등과 같이 정전기를 기피하는 물품의 가공 또는 반송 과정 등에서 사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특히, 표면 저항률이 1011Ω 이하(바람직하게는 5×106Ω 내지 1010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7Ω 내지 109Ω)인 표면 보호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저항률의 값은, 시판되고 있는 절연 저항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23℃, 50% RH의 분위기 하에서 측정되는 표면 저항의 값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톱 코팅층의 마찰 계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찰 계수가 낮은 톱 코팅층에 의하면, 해당 톱 코팅층에 하중(스크래치 흠집을 발생시키는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에, 그 하중을 톱 코팅층의 표면을 따라 받아넘겨, 해당 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경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톱 코팅층의 응집 파괴(톱 코팅층이 그 내부에서 파괴되는 손상 형태)나 계면 파괴(톱 코팅층이 기재 배면으로부터 박리되는 손상 형태)가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톱 코팅층의 마찰 계수를 작게 하면, 표면 보호 필름에 스크래치 흠집을 발생하는 사상을 보다 잘 방지할 수 있다. 마찰 계수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른 특성(외관 품위, 인자성 등)과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마찰 계수를 0.1 이상(예를 들어 0.1 이상 0.4 이하)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0.15 이상(예를 들어 0.15 이상 0.4 이하)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 계수로서는, 예를 들어 23℃, 50% RH의 측정 환경 하에서, 톱 코팅층의 표면을 수직 하중 40mN으로 찰과해서 구해지는 값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왁스 에스테르(활제)의 사용량은, 상기 바람직한 마찰 계수가 실현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 계수의 조정에는, 예를 들어 가교제의 첨가나 성막 조건의 조정에 의해 톱 코팅층의 가교 밀도를 높이는 것도 유효하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그 배면(톱 코팅층의 표면)이, 유성 잉크에 의해(예를 들어, 유성 마킹 펜을 사용해서) 용이하게 인자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표면 보호 필름은, 해당 표면 보호 필름을 부착한 상태에서 행하여지는 피착체(예를 들어 광학 부품)의 가공이나 반송 등의 과정에서, 보호 대상인 피착체의 식별 번호 등을 상기 표면 보호 필름에 기재하여 표시하는 데 적합하다. 따라서, 외관 품위 외에 인자성도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용제가 알코올계이며 안료를 포함하는 타입의 유성 잉크에 대하여 높은 인자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자된 잉크가 마찰이나 전착에 의해 떨어지기 어려운(즉, 인자 밀착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또한, 인자를 수정 또는 소거할 때에 해당 인자를 알코올(예를 들어 에틸알코올)로 닦아내도 외관에 두드러진 변화를 발생시키지 않을 정도의 내용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내용제성의 정도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내용제성 평가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의 톱 코팅층은, 활제로서의 왁스 에스테르를 함유하므로, 해당 톱 코팅층의 표면에 새로운 박리 처리(예를 들어, 실리콘계 박리제, 장쇄 알킬계 박리제 등의 공지된 박리 처리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처리)를 실시하지 않아도, 충분한 미끄럼성(예를 들어, 상술한 바람직한 마찰 계수)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톱 코팅층의 표면에 새로운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형태는, 박리 처리제에 기인하는 백화(예를 들어, 가열 가습 조건 하에 보존됨으로 인한 백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내용제성의 점에서도 유리하다.
<아크릴계 점착제층>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점착제층)은,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 및 화합물(B)를 필수적인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비수용성 가교제(C)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서의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를 필수의 원료 단량체(원료 단량체 성분)로 해서 구성된 중합체(아크릴계 중합체)이다. 즉,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혼합물로부터 얻어지는 중합체이다.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며,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아크릴」 및 「메타크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말한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주된 단량체 성분으로서 사용되고, 주로 접착성, 박리성 등의 점착제(또는 점착제층)로서의 기본 특성을 발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점착제층(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중합체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점착제층에 밀착성, 점착성을 발현시키는 효과를 발휘하는 경향이 있고,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중합체에 경도를 부여하여, 점착제층의 재박리성을 조절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탄소수가 1 내지 16(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의, 직쇄상, 분지쇄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탄소수가 2 내지 14(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s-부틸, 아크릴산이소아밀, 아크릴산헥실, 아크릴산헵틸, 아크릴산옥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이소옥틸, 아크릴산노닐, 아크릴산이소노닐 등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아크릴산이소보르닐 등의 지환식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이소보르닐이다.
또한,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탄소수가 1 내지 16(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프로필, 메타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이소부틸, 메타크릴산s-부틸, 메타크릴산t-부틸 등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보르닐, 메타크릴산이소보르닐 등의 지환식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n-부틸이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목적으로 하는 점착성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은,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원료 단량체의 총량(전량)(전체 원료 단량체)(100중량%) 중, 70중량% 내지 99.5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 내지 99중량%이다. 상기 함유량이 99.5중량% 이하이면,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의 함유량이 저하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투묘성, 저오염성이나 에멀전의 안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일어나지 않고, 또한, 상기 함유량이 70중량% 이상이면 아크릴계 점착제층에 있어서 양호한 접착성 및 양호한 재박리성을 얻을 수 있다.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모든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합계량(합계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면 된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중에서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비(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량비로, 100:0 내지 30:7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50이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는,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를 포함하는 에멀전 입자 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하여, 에멀전 입자의 전단 파괴를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것은 카르복실기를 염기로 중화함으로써 더욱 향상된다. 또한, 에멀전 입자의 전단 파괴에 대한 안정성은, 보다 일반적으로는 기계적 안정성이라고 한다. 또한, 카르복실기와 반응하는 다관능 화합물(예를 들어,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을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물 제거에 의한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형성 단계에서의 가교점으로서도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다관능 화합물을 개재하여, 아크릴계 점착제층과 기재의 밀착성(투묘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에는,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 무수물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들 중에서도, 에멀전 입자 표면에서의 상대 농도가 높고, 보다 고밀도의 보호층을 형성하기 쉬운 점에서, 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의 함유량은,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원료 단량체의 총량(전체 원료 단량체)(100중량%) 중, 0.5중량% 내지 10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내지 4중량%이다. 상기 함유량이 10중량% 이하이므로,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예를 들어, 아크릴산)는 일반적으로 수용성이기 때문에, 물 중에서 중합하여 증점(점도 증가)을 야기할 것이 우려되는데, 이러한 것이 발생하기 어렵다. 나아가,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피착체인 편광판 표면의 관능기와의 상호 작용이 증대해서,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착력이 증대하여, 박리가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함유량이 0.5중량% 이상이므로, 에멀전 입자의 기계적 안정성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층과 투명 필름 기재와의 사이의 밀착성(투묘성) 저하가 발생하기 어려워, 점착제 잔류도 발생하기 어렵다.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원료 단량체)으로서는, 특정한 기능 부여를 목적으로, 상기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이외의 다른 단량체 성분을 병용해도 된다. 이러한 단량체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응집력 향상의 목적으로,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나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를, 각각 0.1 내지 10중량% 정도 첨가(사용)해도 된다. 또한, 굴절률 조정, 리워크성 등의 목적으로, (메트)아크릴산페닐 등의 (메트)아크릴산아릴에스테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를, 각각 15중량% 이하의 비율로 첨가(사용)해도 된다. 또한, 에멀전 입자 내 가교 및 응집력 향상의 목적으로,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나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등의 다관능 단량체를, 각각 5중량% 미만의 비율로 첨가(사용)해도 된다. 또한, 히드라지드계 가교제를 병용하여 히드라지드 가교를 형성하고, 특히 저오염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다이아세톤아크릴아미드(DAAM), 알릴아세토아세테이트, 2-(아세트아세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케토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를 10중량% 미만의 비율로(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 첨가(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다른 단량체 성분으로서,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10-히드록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12-히드록시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를 사용해도 된다. 히드록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는, 백화 오염을 보다 저감하는 관점에서는 첨가량(사용량)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히드록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의 첨가량은, 1중량% 미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예를 들어, 0.05중량% 미만) 것이 바람직하다. 단, 수산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의 가교나 금속 가교의 가교 등의 가교점의 도입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0.01중량% 내지 10중량% 정도 첨가(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다른 단량체 성분의 첨가량(사용량)은,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원료 단량체의 총량(전체 원료 단량체)(100중량%) 중의 함유량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원료 단량체)으로서, 메타크릴산메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및 아세트산비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개의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이다.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원료 단량체의 총량(전체 원료 단량체)(100중량%) 중의, 상기 단량체(메타크릴산메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및 아세트산비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의 함유량은, 1중량% 내지 15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내지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중량% 내지 5중량%이다. 상기 함유량이 1중량% 이상이면 외관 향상 효과가 얻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유량이 15중량% 이하이면,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너무 단단해져서 밀착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원료 단량체 중에, 메타크릴산메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및 아세트산비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2 이상의 단량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메타크릴산메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및 아세트산비닐의 함유량의 합계량(합계 함유량)이 상기의 범위를 만족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의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는, 상기의 원료 단량체(단량체 혼합물)를 유화제, 중합 개시제에 의해 에멀전 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의 에멀전 중합에 사용하는 유화제는, 분자 중에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가 도입된 반응성 유화제(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반응성 유화제)이다. 즉, 상기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는, 분자 중에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반응성 유화제를 사용하여 중합된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이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반응기를 포함하는 반응성 유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반응성 유화제(이하, 「반응성 유화제」라고 함)는, 분자 중(1 분자 중)에 적어도 1개의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유화제이다. 상기 반응성 유화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비닐기, 프로페닐기, 이소프로페닐기, 비닐에테르기(비닐옥시기), 알릴에테르기(알릴옥시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다양한 반응성 유화제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당해 반응성 유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화제가 중합체 중에 수용되어, 유화제 유래의 오염이 저감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유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술포숙신산나트륨 등의 비이온 음이온계 유화제(비이온성의 친수성기를 갖는 음이온계 유화제)에 프로페닐기나 알릴에테르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라디칼 반응성기)가 도입된 형태를 갖는(또는 해당 형태에 상당하는) 반응성 유화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음이온계 유화제에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가 도입된 형태를 갖는 반응성 유화제를 「음이온계 반응성 유화제」라고 한다. 또한, 비이온 음이온계 유화제에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가 도입된 형태를 갖는 반응성 유화제를 「비이온 음이온계 반응성 유화제」라고 한다.
특히, 음이온계 반응성 유화제(그 중에서도, 비이온 음이온계 반응성 유화제)를 사용한 경우에, 유화제가 중합체 중에 수용됨으로써, 저오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특히 비수용성 가교제(C)가 에폭시기를 갖는 다관능성 에폭시계 가교제일 경우에는, 그 촉매 작용에 의해 가교제의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음이온계 반응성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에이징에서는 가교 반응이 종료되지 않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변화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미반응된 카르복실기에 의해 피착체와의 점착력이 시간이 경과하면서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당해 음이온계 반응성 유화제는 중합체 중에 수용되기 때문에, 에폭시계 가교제의 촉매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4급 암모늄 화합물(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31585호 공보 참조)과 같이 피착체의 표면에 석출되지 않기 때문에, 백화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반응성 유화제로서는, 상품명 「아데카리아솝 SE-10N」(가부시끼가이샤 아데카(ADEKA) 제조), 상품명 「아쿠아론 HS-10」(다이이찌 고교 세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아쿠아론 HS-05」(다이이찌 고교 세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등의 시판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특히 불순물 이온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불순물 이온을 제거하고, SO4 2 - 이온 농도가 100μg/g 이하인 반응성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이온계 유화제의 경우, 암모늄염 반응성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성 유화제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이온 교환 수지법, 막 분리법, 알코올을 사용한 불순물의 침전 여과법 등 적당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유화제의 배합량(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원료 단량체의 총량(전체 원료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부 내지 3중량부이다. 상기 배합량이 5중량부 이하이면, 점착제(점착제층)의 응집력을 충분히 얻어, 피착체에 대한 오염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유화제에 의한 오염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배합량이 0.1중량부 이상이면 안정된 유화를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의 에멀전 중합에 사용하는 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이황산염,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 등의 아조계 중합 개시제;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과황산염; 벤조일퍼옥시드, t-부틸히드로퍼옥시드, 과산화수소 등의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 과산화물과 환원제의 조합에 의한 레독스계 개시제, 예를 들어 과산화물과 아스코르브산의 조합(과산화수소수와 아스코르브산의 조합 등), 과산화물과 철(II)염의 조합(과산화수소수와 철(II)염의 조합 등), 과황산염과 아황산수소나트륨의 조합에 의한 레독스계 중합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사용량)은, 개시제나 원료 단량체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를 구성하는 원료 단량체의 총량(전체 원료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내지 1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중량부 내지 0.5중량부이다.
상기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의 에멀전 중합은, 일반적인 일괄 중합, 연속 적하 중합, 분할 적하 중합 등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오염화의 관점에서는, 일괄 중합이면서 또한 저온(예를 들어 55℃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에서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에서 중합을 행하면, 고분자량체가 얻어지기 쉽고, 저분자량체가 적어지기 때문에, 오염이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상기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 및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필수적인 구성 단위로 하는 중합체이다.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 중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70중량% 내지 99.5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 내지 99중량%이다.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 중의,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0.5중량% 내지 1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중량% 내지 4중량%이다.
상기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의 용제 불용분(용제 불용 성분의 비율, 「겔 분율」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7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이다. 용제 불용분이 70중량% 이상이면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 중에 저분자량체가 적어, 가교에 의해 충분히 점착제층 중의 저분자량 성분을 저감할 수 있어, 저분자량 성분 등에서 유래하는 피착체 오염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력이 너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 불용분은, 중합 개시제, 반응 온도, 유화제나 원료 단량체의 종류 등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용제 불용분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99중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의 용제 불용분은, 이하의 「용제 불용분의 측정 방법」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다.
(용제 불용분의 측정 방법)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 약 0.1g을 채취하여, 평균 구멍 직경 0.2㎛의 다공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상품명 「NTF112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에 둘러싼 후, 연실로 묶어, 그때의 중량을 측정하고, 해당 중량을 침지 전 중량이라 한다. 또한, 해당 침지 전 중량은,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상기에서 채취한 것)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와, 연실의 총중량이다. 또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와 연실의 합계 중량도 측정해 두고, 해당 중량을 포대 중량이라 한다.
이어서, 상기의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를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로 둘러싸 연실로 묶은 것(「샘플」이라고 함)을 아세트산에틸로 채운 50ml 용기에 넣어, 23℃에서 7일간 정치한다. 그 후, 용기로부터 샘플(아세트산에틸 처리 후)을 꺼내어, 알루미늄제 컵에 옮기고, 130℃에서 2시간, 건조기 내에서 건조하여 아세트산에틸을 제거한 후, 중량을 측정하여, 해당 중량을 침지 후 중량이라 한다.
그리고, 다음의 식으로부터 용제 불용분을 산출한다.
용제 불용분(중량%)=(X-Y)/(Z-Y)×100 (1)
(식 (1)에서, X는 침지 후 중량이며, Y는 포대 중량이며, Z는 침지 전 중량임)
상기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의 용제 가용분(「졸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만 내지 20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만 내지 15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6만 내지 10만이다.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의 용제 가용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4만 이상임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의 피착체에 대한 습윤성이 향상되어,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이 향상된다. 또한,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의 용제 가용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만 이하임으로써, 피착체에 대한 점착제 조성물의 잔류량이 저감하여, 저오염성이 향상된다.
상기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의 용제 가용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상술한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의 용제 불용분의 측정에서 얻어지는 아세트산에틸 처리 후의 처리액(아세트산에틸 용액)을 상온 하에서 풍건하여 얻어지는 샘플(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의 용제 가용분)을 GPC(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여 구할 수 있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측정 방법]
GPC 측정은, 도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GPC 장치 「HLC-8220GPC」를 사용하여 행하고, 폴리스티렌 환산값으로 분자량을 구한다. 측정 조건은 하기와 같다.
샘플 농도: 0.2wt%(THF 용액)
샘플 주입량: 10μl
용리액: THF
유속: 0.6ml/min
측정 온도: 40℃
칼럼: 샘플 칼럼; TSKguardcolumn SuperHZ-H 1개+TSKgel SuperHZM-H 2개
레퍼런스 칼럼; TSKgel SuperH-RC 1개
검출기: 시차 굴절계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 중의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제 조성물의 비휘발분 100중량%에 대하여 8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9중량%이다.
<화합물(B)>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서의 화합물(B)는, 하기 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R1O-(PO)a-(EO)b-(PO)c-R2 (I)
상기 식 (I) 중, R1 및 R2는,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R1과 R2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상기 R1 및 R2는,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식 (I) 중, PO는 옥시프로필렌기[-CH2CH(CH3)O-]를 나타낸다. 또한, a 및 c는 각각 양의 정수(1 이상의 정수)이며, 1 내지 10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이다. a와 c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식 (I) 중, EO는 옥시에틸렌기[-CH2CH2O-]를 나타낸다. 또한, b는, 양의 정수(1 이상의 정수)이며, 1 내지 5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이다.
상기 식 (I)에서, EO와 PO의 부가 형태(공중합 형태)는 블록형이다. 즉, 상기 화합물(B)는 EO를 포함하는 블록[폴리옥시에틸렌 블록,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블록]의 양측에 PO를 포함하는 블록[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블록]을 갖는 트리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의 유도체이다.
상기 화합물(B)를 점착제 조성물 중에 배합함으로써, 그의 소포성에 의해, 기포 유래의 결점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화합물(B)는, 폴리옥시에틸렌 블록이 분자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블록형의 구조이며, 분자의 양단부가 소수기인 PO를 포함하는 블록이 존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액 계면에 균일하게 배열하기 어려워, 소포성을 발휘할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블록을 분자의 양단부에 갖는 PEG-PPG-PEG 트리블록 공중합체나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디블록 공중합체는, PPG-PEG-PPG 트리블록 공중합체에 비해 기-액 계면에 균일하게 배열하기 쉽기 때문에, 포말을 안정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상기 화합물(B)는 소수성이 높기 때문에, 고습도 환경 하에서 피착체 위에 발생하는 백화 오염의 원인이 되기 어려워, 저오염성이 향상된다. 친수성이 높은 화합물(특히 수용성의 화합물)인 경우에는, 고습도 환경 하에서는, 화합물이 수분에 녹아서 피착체에 전사되기 쉬워지거나, 피착체에 블리딩한 화합물이 팽윤하여 백화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백화 오염을 야기하기 쉽다.
또한, 상기 화합물(B)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아크릴계 점착제층)은, 가습 보존 하에서도 백화(흡습 백화)하기 어렵다. 점착 시트를 광학 부재용의 표면 보호 필름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이 백화(즉, 점착 시트가 백화)하면 광학 부재의 검사 공정에 지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화합물(B)의, 「화합물(B)의 총중량」에 대한 「EO의 총중량」의 비율[(EO의 총중량)/(화합물(B)의 총중량)×100](단위: 중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내지 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30중량%이다. 상기 비율(EO 함유율)이 50중량%를 초과하면, 화합물(B)의 친수성이 높아져서, 소포성이 상실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비율이 5중량% 미만이면, 화합물(B)의 소수성이 너무 높아져서, 크레이터링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의 「화합물(B)의 총중량」이란,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 중의 모든 화합물(B)의 중량의 합계량」이며, 「EO의 총중량」이란,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 중의 모든 화합물(B)에 포함되는 EO의 중량의 합계량」이다. 또한, 상기의 「화합물(B)의 총중량」에 대한 「EO의 총중량」의 비율을, 「EO 함유율」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EO 함유율의 측정 방법은, 예를 들어 NMR, 크로마트법(크로마토그래피) 또는 TOF-SIMS(비행 시간형 2차 이온 질량 분석법)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 중의, 상기 화합물(B)의 수 평균 분자량은, 1500 내지 4000이 바람직하다. 수 평균 분자량이 1500 이상이면, 화합물(B)의 계(점착제 조성물의 계)에 대한 상용성이 너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하여, 충분한 소포 효과가 얻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수 평균 분자량이 4000 이하이면, 계에 대한 비상용성이 너무 높아져서, 소포성이 높아지기는 하지만,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등에 도포할 때의 크레이터링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B)는 시판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가부시끼가이샤 아데카(ADEKA) 제조, 상품명 「아데카 플루로닉 25R-1」, 「아데카 플루로닉 25R-2」, 「아데카 플루로닉 17R-2」, 「아데카 플루로닉 17R-3」; 바스프(BASF) 재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플루로닉 RPE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B)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의 제작 시에 상기 화합물(B)를 배합할 때에는,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화합물(B)만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배합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관점에서, 각종 용매에 화합물(B)를 분산 또는 용해시킨 것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용매로서는, 2-에틸헥산올, 부틸셀로솔브,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노르말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B)의 배합량(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 중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내지 2.5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중량부 내지 1.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중량부 내지 1.0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0.5중량부이다. 상기 배합량이 0.01중량부 이상이면 충분한 소포성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합량이 2.5중량부 이하이면, 오염을 억제하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비수용성 가교제(C)]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가교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저오염이고 점착력의 상승을 방해하는 것이 가능한 관점에서, 비수용성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분자 중(1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비수용성 가교제(C)가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의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비수용성 가교제(C)」를 간단히 「비수용성 가교제(C)」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비수용성 가교제(C)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비수용성 가교제(C)는, 비수용성의 화합물이며, 분자 중(1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2개 이상(예를 들어, 2개 내지 6개) 갖는 화합물이다. 1 분자 중의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개 내지 5개가 바람직하다. 1 분자 중의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점착제 조성물이 조밀하게 가교한다(즉,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중합체의 가교 구조가 조밀해진다). 이로 인해, 아크릴계 점착제층 형성 후의 해당 점착제층의 습윤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중합체가 구속되기 때문에, 아크릴계 점착제층 중의 관능기(카르복실기)가 피착체면에 편석되어, 아크릴계 점착제층과 피착체의 점착력이 시간이 경과하면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1 분자 중의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의 개수가 6개를 초과하여 너무 많은 경우에는, 겔화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비수용성 가교제(C)에서의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카르보디이미드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반응성의 관점에서 에폭시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가교 반응에서의 미반응물이 남기 어려워 저오염성에 유리하며, 아크릴계 점착제층 중의 미반응된 카르복실기에 의해 피착체와의 점착력이 시간이 경과하면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글리시딜아미노기가 바람직하다. 즉, 비수용성 가교제(C)로서는,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글리시딜아미노기를 갖는 가교제(글리시딜아미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비수용성 가교제(C)가 에폭시계 가교제(특히 글리시딜아미노계 가교제)일 경우에는, 1 분자 중의 에폭시기(특히 글리시딜아미노기)의 개수는 2개 이상(예를 들어, 2 내지 6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개이다.
상기 비수용성 가교제(C)는 비수용성의 화합물이다. 또한, 「비수용성」이란, 25℃에서의 물 100중량부에 대한 용해도(물 100중량부에 용해할 수 있는 화합물(가교제)의 중량)가 5중량부 이하인 것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중량부 이하다. 비수용성의 가교제를 사용함으로써, 가교하지 않고 잔존한 가교제가, 고습도 환경 하(가습 하)에서 피착체 위에 발생하는 백화 오염의 원인이 되기 어려워, 저오염성이 향상된다. 수용성의 가교제의 경우에는, 고습도 환경 하(가습 하)에서는, 잔존한 가교제가 수분에 녹아서 피착체에 전사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백화 오염을 야기하기 쉽다. 또한, 비수용성 가교제는, 수용성 가교제와 비교하여, 가교 반응(카르복실기와의 반응)에 대한 기여가 높고, 점착력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승 방지 효과가 높다. 또한, 비수용성 가교제는 가교 반응의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에이징에서 빠르게 가교 반응이 진행되어, 점착제층 중의 미반응된 카르복실기에 의해 피착체와의 점착력이 시간이 경과하면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가교제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
(물에 대한 용해도의 측정 방법)
동 중량의 물(25℃)과 가교제를, 교반기를 사용하여 회전 수 300rpm, 10분의 조건에서 혼합하여, 원심 분리에 의해 수상과 유상으로 나눈다. 계속해서, 수상을 채취하여 120℃에서 1시간 건조하고, 건조 감량으로부터 수상 중의 비휘발분(물 100중량부에 대한 비휘발 성분의 중량부)을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비수용성 가교제(C)로서는,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예를 들어,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TETRAD-C」 등)[25℃에서의 물 100중량부에 대한 용해도 2중량부 이하],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벤젠(예를 들어,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TETRAD-X」 등)[25℃에서의 물 100중량부에 대한 용해도 2중량부 이하] 등의 글리시딜아미노계 가교제; 트리스(2,3-에폭시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예를 들어, 닛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TEPIC-G」 등)[25℃에서의 물 100중량부에 대한 용해도 2중량부 이하] 등의 기타 에폭시계 가교제 등이 예시된다. 또한, 상기 비수용성 가교제(C)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의 제작 시에 상기 비수용성 가교제(C)를 배합할 때에는, 비수용성 가교제(C)는 액상의 비수용성 가교제(C)를 그대로 첨가(배합)해도 되고, 유기 용제로 용해 및/또는 희석하여 첨가해도 된다(단, 유기 용제의 사용량은 가능한 한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수용성 가교제(C)를 유화제에 의해 유화하여 첨가하는 방법은, 유화제가 블리딩하여, 오염(특히 백화 오염)을 야기하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비수용성 가교제(C)의 배합량(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 중의 함유량)은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의 원료 단량체로서 사용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의 카르복실기 1몰에 대한, 비수용성 가교제(C)의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의 몰수가 0.3 내지 1.3몰이 되는 배합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의 원료 단량체로서 사용되는 모든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의 카르복실기의 총 몰수」에 대한, 「모든 비수용성 가교제(C)의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의 총 몰수」의 비율[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카르복실기](몰비)이 0.3 내지 1.3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이다.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카르복실기]가 0.3 이상이면 아크릴계 점착제층 중에 미반응된 카르복실기가 많이 존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카르복실기와 피착체의 상호 작용에 의한 시간 경과에 따른 점착력 상승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카르복실기]가 1.3 이하이면, 아크릴계 점착제층 중에 미반응된 비수용성 가교제(C)가 많이 존재하는 것을 억제하여, 양호한 외관 특성이 얻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특히, 비수용성 가교제(C)가 에폭시계 가교제일 경우에는, [에폭시기/카르복실기](몰비)가 0.3 내지 1.3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 0.4 내지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이다. 또한, 비수용성 가교제(C)가 글리시딜아미노계 가교제일 경우에는, [글리시딜아미노기/카르복실기](몰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점착제 조성물 중에,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의 관능기 당량이 110(g/eq)인 비수용성 가교제(C)를 4g 첨가(배합)할 경우, 비수용성 가교제(C)가 갖는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의 몰수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비수용성 가교제(C)가 갖는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의 몰수=[비수용성 가교제(C)의 배합량(첨가량)]/[관능기 당량]=4/110
예를 들어, 비수용성 가교제(C)로서, 에폭시 당량이 110(g/eq)인 에폭시계 가교제를 4g 첨가(배합)할 경우, 에폭시계 가교제가 갖는 에폭시기의 몰수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에폭시계 가교제가 갖는 에폭시기의 몰수=[에폭시계 가교제의 배합량(첨가량)]/[에폭시 당량]=4/110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수분산형의 점착제 조성물이다. 또한, 「수분산형」이란, 수성 매체에 분산 가능한 것을 말하며, 즉,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수성 매체에 분산 가능한 점착제 조성물이다. 상기 수성 매체는, 물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매체(분산매)이며, 물 단독 외에, 물과 수용성 유기 용제와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수성 매체 등을 사용한 분산액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비수용성 가교제(C) 이외의 기타 가교제로서, 다관능성 히드라지드계 가교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다관능성 히드라지드계 가교제를 사용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재박리성, 접착성 및 기재와의 투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관능성 히드라지드계 가교제(간단히 「히드라지드계 가교제」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는, 분자 중(1 분자 중)에 히드라지드기를 적어도 2개 갖는 화합물이다. 1 분자 중의 히드라지드기의 개수는, 2 또는 3개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이다. 이러한 히드라지드계 가교제로서 사용되는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옥살산디히드라지드, 말론산디히드라지드, 숙신산디히드라지드, 글루타르산디히드라지드, 아디프산디히드라지드, 피멜산디히드라지드, 수베르산디히드라지드, 아젤라산디히드라지드, 세박산디히드라지드, 도데칸디오산디히드라지드, 프탈산디히드라지드, 이소프탈산디히드라지드, 테레프탈산디히드라지드,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히드라지드, 나프탈산디히드라지드, 아세톤디카르복실산디히드라지드, 푸마르산디히드라지드, 말레산디히드라지드, 이타콘산디히드라지드, 트리멜리트산디히드라지드, 1,3,5-벤젠트리카르복실산디히드라지드, 피로멜리트산디히드라지드, 아코니트산디히드라지드 등의 디히드라지드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디프산디히드라지드, 세박산디히드라지드이다. 또한, 다관능성 히드라지드계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히드라지드계 가교제는, 시판품을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도꾜 가세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시약)」, 와코 쥰야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아디포일디히드라지드(시약)」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히드라지드계 가교제의 배합량(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 중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의 원료 단량체로서 사용되는 케토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의 케토기 1몰에 대하여, 0.025몰 내지 2.5몰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몰 내지 2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몰 내지 1.5몰이다. 상기 배합량이 0.025몰 이상이면 가교제 첨가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고, 아크릴계 점착제층 또는 점착 시트의 중박리화를 억제함과 함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중합체에 대한 저분자량 성분의 잔존을 억제하여, 피착체의 백화 오염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합량이 2.5몰 이하이면, 미반응 가교제 성분에 의한 오염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저오염성의 관점에서, 제4급 암모늄염을 첨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제4급 암모늄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제4급 암모늄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제4급 암모늄 화합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화합물은, 에폭시계 가교제의 반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촉매 등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은,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중합체 중에 내장되지 않고 점착제층 중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피착체 표면에 석출되기 쉽고, 점착제 조성물 중에 이들 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백화 오염이 야기되기 쉬워, 저오염성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 중의 제4급 암모늄염의 함유량은, 점착제 조성물(비휘발분) 100중량%에 대하여 0.1중량% 미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중량% 미만이다. 또한, 제4급 암모늄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4급 암모늄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3, R4, R5, R6은, 수소 원자를 제외하고, 알킬기, 아릴기 또는 이들로부터 유도된 기(예를 들어, 치환기를 갖는 알킬기나 아릴기 등)를 나타낸다. 또한, X-는 반대 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제4급 암모늄염이나 제4급 암모늄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TMAH), 수산화테트라에틸암모늄, 수산화테트라프로필암모늄, 수산화테트라부틸암모늄 등의 수산화알킬암모늄이나 그의 염류, 수산화테트라페닐암모늄 등의 수산화아릴암모늄이나 그의 염류, 트리라우릴메틸암모늄 이온, 디데실디메틸암모늄 이온, 디코코일디메틸암모늄 이온,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이온, 디올레일디메틸암모늄 이온, 세틸트리메틸암모늄 이온,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이온,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이온, 코코일비스(2-히드록시에틸)메틸암모늄 이온, 폴리옥시에틸렌(15)코코스테아릴메틸암모늄 이온, 올레일비스(2-히드록시에틸)메틸암모늄 이온, 코코벤질디메틸암모늄 이온, 라우릴비스(2-히드록시에틸)메틸암모늄 이온, 데실비스(2-히드록시에틸)메틸암모늄 이온을 양이온으로 하는 염기나 그의 염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저오염성의 관점에서, 상기 제4급 암모늄염(또는 제4급 암모늄 화합물)과 마찬가지로, 에폭시계 가교제의 반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촉매 등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3급 아민 및 이미다졸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제3급 아민 및 이미다졸 화합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 중의, 제3급 아민 및 이미다졸 화합물의 함유량(제3급 아민 및 이미다졸 화합물의 합계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제 조성물(비휘발분) 100중량%에 대하여 0.1중량% 미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중량% 미만이다.
상기 제3급 아민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벤질디메틸아민 및 α-메틸벤질-디메틸아민 등의 제3급 아민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이미다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메틸이미다졸, 2-헵타데실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4-에틸이미다졸, 4-도데실이미다졸, 2-페닐-4-히드록시메틸이미다졸, 2-에틸-4-히드록시메틸이미다졸, 1-시아노에틸-4-메틸이미다졸 및 2-페닐-4,5-디히드록시메틸이미다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오염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이외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각종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안료, 충전제, 레벨링제, 분산제, 가소제, 안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노화 예방제, 방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세틸렌디올계 화합물(분자 내에 아세틸렌 결합을 갖는 디올 화합물), 플루오로카본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레벨링제의 배합량(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 중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부이다. 또한, 상기 레벨링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 및 상기 화합물(B)를 혼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그 밖에도, 상기 비수용성 가교제(C)나 기타 가교제, 각종 첨가제를 혼합해도 된다. 또한, 상기 혼합 방법은, 공지 관용의 에멀전 혼합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교반기를 사용한 교반이 바람직하다. 교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온도는 10℃ 내지 5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이다. 교반 시간은 5분 내지 30분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분 내지 20분이다. 교반 회전 수는, 10rpm 내지 2000rpm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rpm 내지 1000rpm이다.
상기 혼합에 있어서, 화합물(B)를 첨가하는 타이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의 중합 중에 화합물(B)를 첨가해도 되고, 중합 후의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와 화합물(B)를 혼합해도 된다. 비수용성 가교제(C)를 첨가하는 타이밍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용 시간의 관점에서,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직전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은, 예를 들어 상기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필름의 제2면에 직접 부여하여 건조 또는 경화시키는 방법(직접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 라이너의 표면(박리면)에 부여하여 건조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해당 표면 위에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이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기재 필름에 접합하여 해당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전사하는 방법(전사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투묘성의 관점에서, 통상은 상기 직접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할 때에는, 롤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리버스 코팅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팅법, 에어 나이프 코팅법, 다이 코터에 의한 코팅법 등의, 표면 보호 필름의 분야에서 종래 공지된 각종 방법이 사용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의 건조는, 필요에 따라 가열 하에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 내지 150℃로 가열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자외선, 레이저선, α선, β선, γ선, X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 내지 5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5㎛이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9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5중량% 이상이다. 상기 용제 불용분이 90중량% 이상이면 피착체에 대한 오염물의 전사를 억제하여, 백화 오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중박리화를 억제하고, 양호한 재박리성이 얻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99중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가교 후)의 용제 불용분은, 상술한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의 용제 불용분의 측정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용제 불용분의 측정 방법」에 있어서,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를 「아크릴계 점착제층(가교 후)」으로 바꾼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베이스 중합체인 아크릴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70℃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60℃이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하이면, 양호한 점착력을 얻고, 가공시 등에 있어서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70℃ 이상이면 고속의 박리 속도(인장 속도) 영역이어도, 중박리화를 억제할 수 있고, 양호한 작업 효율이 얻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이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아크릴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는, 예를 들어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를 제조할 때의 단량체 조성에 의해서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필요에 따라, 점착면(점착제층 중 피착체에 부착되는 측의 면)을 보호할 목적으로, 해당 점착면에 박리 라이너를 접합한 형태(박리 라이너 부착 표면 보호 필름의 형태)이어도 된다. 박리 라이너를 구성하는 기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종이, 합성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점에서, 합성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박리 라이너의 기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각종 수지 필름(특히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이다. 박리 라이너 중 점착제층에 접합되는 면에는, 종래 공지된 이형제(예를 들어,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지방산 아미드계 등) 또는 실리카분 등을 사용하여, 이형 또는 방오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표면 보호 필름의 성능>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23℃, 50% RH의 측정 환경 하에서 측정되는 박리 대전압이, 피착체(편광판)측, 표면 보호 필름측 모두 ±1kV 이내(보다 바람직하게는 ±0.8kV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0.7kV 이내)가 되는 대전 방지 성능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23℃, 25% RH의 측정 환경(저습도 환경) 하에서 측정되는 박리 대전압이, 피착체측, 표면 보호 필름측 모두 ±1kV 이내(보다 바람직하게는 ±0.8kV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0.7kV 이내)가 되는 대전 방지 성능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표면 보호 필름측의 박리 대전압이, 50% RH의 측정 조건, 25% RH의 측정 조건 중 어떤 경우에든 ±0.1kV 이내인 표면 보호 필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기재, 톱 코팅층 및 아크릴계 점착제층 외에, 또한 다른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다른 층」의 배치로서는, 기재의 제1면(배면)과 톱 코팅층의 사이, 기재의 제2면(전방면)과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사이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배면과 톱 코팅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층은, 예를 들어 대전 방지 성분을 포함하는 층(대전 방지층)이어도 된다. 기재 전방면과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층은, 예를 들어 상기 제2면에 대한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투묘성을 높이는 하도층(앵커층), 대전 방지층 등이어도 된다. 기재 전방면에 대전 방지층이 배치되고, 해당 대전 방지층 위에 앵커층이 배치되고, 그 위에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배치된 구성의 표면 보호 필름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12)의 배면(12A)에 톱 코팅층(14)이 직접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재 배면(12A)과 톱 코팅층(14)의 사이에 다른 층(예를 들어 대전 방지층)이 개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재 배면(12A)과 톱 코팅층(14)의 사이에 다른 층을 개재한 구성에 비해, 기재 배면(12A)과 톱 코팅층(14)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이 얻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착체(50)에 부착된 표면 보호 필름(1)의 배면(톱 코팅층(14)의 표면)(1A)에 점착 테이프(60)를 부착하고, 그 점착 테이프(픽업 테이프)(60)를 잡아당겨 피착체(50)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1)의 적어도 일부를 들어올리는 조작(픽업 조작)에 의해, 피착체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도 된다. 픽업 테이프(60)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기재(바람직하게는 수지 필름)(64)와, 그 편면에 설치된 점착제층(62)을 구비하는 편면 점착 테이프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층(62)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계, 폴리에테르계, 고무계, 실리콘계, 폴리아미드계, 불소계 등의 각종 점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종 점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6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 내지 1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이다.
여기서, 표면 보호 필름(1)의 배면(1A)에 대한 픽업 테이프(60)의 점착력(이하, 「배면 박리 강도」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이, 그 점착제층(62)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종류에 따라 크게 상이하면, 사용하는 픽업 테이프(60)의 선택 자유도가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배면 박리 강도의 상이는, 픽업 테이프(60)를 사용하여 표면 보호 필름(1)을 피착체(50)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자를 당황스럽게 하여, 작업 효율의 저하나 작업 부하의 증대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편, 일반적인 픽업 테이프는, 입수 용이성이나 비용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아크릴계 픽업 테이프, 고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고무계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고무계 픽업 테이프가 많다. 따라서, 이들 대표적인 2종류의 픽업 테이프가 비교적 가까운 배면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표면 보호 필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톱 코팅층은, 활제로서 왁스 에스테르를 함유한다. 이와 같은 조성의 톱 코팅층은, 예를 들어 상기 왁스 에스테르 대신에 실리콘계 활제를 포함하는 조성의 톱 코팅층에 비하여, 픽업 테이프의 점착제층의 종류에 따른 배면 박리 강도의 차이가 작은(즉, 배면 박리 강도의 픽업 테이프 점착제 의존성이 작은)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픽업 테이프의 기재는, 상기 픽업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강도 및 유연성을 갖는 것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면 보호 필름의 기재와 마찬가지의 수지 필름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천연 고무, 부틸 고무 등을 포함하는 고무 시트; 폴리우레탄, 폴리클로로프렌 고무, 폴리에틸렌 등을 발포시켜 이루어지는 발포체 시트; 크라프트지, 크레이프지, 일본 종이 등의 종이; 면포, 단섬유 등의 천; 셀룰로오스계 부직포,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비닐론 부직포 등의 부직포; 알루미늄박, 구리박 등의 금속박; 이들의 복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픽업 시트의 기재 두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10㎛ 내지 5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이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인장 속도 30m/분에서의 편광판(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판)에 대한 점착력(180° 박리 시험)(편광판에 부착한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의 박리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5N/25mm 내지 2.0N/2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N/25mm 내지 2.0N/2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2N/25mm 내지 1.5N/25mm,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0.3N/25mm 내지 1.1N/2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3N/25mm 내지 0.6N/25mm이다. 상기 점착력이 2.0N/25mm 이하이면, 편광판이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 표면 보호 필름이 박리되기 어려워져, 생산성, 취급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0.05N/25mm 이상이면 제조 공정에서 표면 보호 필름의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양호한 보호 기능이 얻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가시광 파장 영역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JIS K7361-1에 준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80% 내지 97%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헤이즈(JIS K7136에 준함)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 내지 3.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2%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활제로서 특정한 왁스(즉, 고급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를 함유하고, 그 바인더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톱 코팅층을 가지므로, 고온 다습 조건 하에서도 톱 코팅층의 백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톱 코팅층은 활제를 함유하므로, 내스크래치성이 좋고, 게다가 내백화성이 우수하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더욱 외관 품위가 높은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가지므로, 접착성, 시간 경과에 따른 점착력 상승 방지성이 우수하고, 재박리성이 우수하다. 또한, 오목부나 기포 결점 등의 점착제층의 외관 불량이 저감되어 있고, 또한, 흰빛을 띠는 것처럼 보이기 어렵다. 이로 인해, 외관 특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해당 필름 너머로 제품의 외관 검사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으므로, 특히, 광학 부품(예를 들어, 편광판, 파장판 등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성 요소로서 사용되는 광학 부품, ITO 필름, ITO 유리 등의 터치 패널 구성 요소로서 사용되는 도전성 광학 부품)에 부착되어 해당 광학 부품의 가공시나 반송시에 그 표면을 보호하는 표면 보호 필름(광학 부품용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접착성과 재박리성(박리 용이성)이 우수하고, 재박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재박리되는 용도(재박리용)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재박리되는 용도[예를 들어, 건축 양생용 마스킹테이프, 자동차 도장용 마스킹테이프, 전자 부품(리드 프레임, 프린트 기판 등)용 마스킹테이프, 샌드블라스트용 마스킹테이프 등의 마스킹테이프류, 알루미늄 새시용 표면 보호 필름, 광학 플라스틱용 표면 보호 필름, 광학 유리용 표면 보호 필름, 자동차 보호용 표면 보호 필름, 금속판용 표면 보호 필름 등의 표면 보호 필름류, 백그라인드 테이프, 펠리클 고정용 테이프, 다이싱용 테이프, 리드 프레임 고정용 테이프, 클리닝 테이프, 제진용 테이프, 캐리어 테이프, 커버 테이프 등의 반도체·전자 부품 제조 공정용 점착 테이프류, 전자 기기나 전자 부품의 곤포용 테이프류, 수송시의 임시 고정 테이프류, 결속용 테이프류, 라벨류]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오목부나 기포 결점 등의 점착제층의 외관 불량이 저감되어 있고, 또한 톱 코팅층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흰빛을 띠는 것처럼 보이기 어렵기 때문에, 우수한 외관 특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톱 코팅층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특히 우수한 외관 특성, 내스크래치성 등이 요구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유기 EL), 필드에미션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등의 패널을 구성하는 편광판, 위상차판, 반사 방지판, 파장판,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도전성 필름 등 광학 부재(광학 플라스틱, 광학 유리, 광학 필름 등)의 표면 보호 용도(광학 부재용의 표면 보호 필름 등)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단, 용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반도체, 회로, 각종 프린트 기판, 각종 마스크, 리드 프레임 등의 미세 가공 부품의 제조시의 표면 보호나 파손 방지, 또는 이물 등의 제거, 마스킹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광학 부재>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광학 부재이다. 즉,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광학 부재 위에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부재로서는, 상술한 광학 부재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그 표면이 상기 표면 보호 필름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의도하지 않고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광학 부재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상기 표면 보호 필름 너머로도 외관 검사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부재에서는,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은 재박리성이 우수하므로,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했을 때에, 광학 부재의 파손 등을 일으키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의 각 특성은, 각각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 또는 평가하였다.
[톱 코팅층의 두께 측정]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해서, 중금속 염색 처리를 행한 후에 수지 포매를 행하고, 초박절편법에 의해, 투과형 전자 현미경(장치명 「H-7650」, 가부시끼가이샤 히타치 하이테크놀러지즈사 제조)을 사용하여, 가속 전압: 100kV, 배율: 60,000배의 조건에서 단면 화상을 얻었다. 이 단면 화상의 2치화 처리를 행한 후, 시야 내의 샘플 길이로 톱 코팅의 단면적을 나눔으로써, 톱 코팅층의 두께(시야 내의 평균 두께)를 실측하였다.
[내백화성 평가]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톱 코팅층의 표면)을, 장갑을 낀 시험자가 두께 38㎛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1회 강하게 문질러서, 그 문질러진 부분(찰과부)이 주위(비찰과부)와 비교하여 투명하게 비쳐보이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비찰과부와 찰과부의 투명성의 차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는, 백화가 나타났다고 판정하였다. 백화가 현저해지면, 투명한 찰과부와 그 주위(백화한 비찰과부)의 콘트라스트가, 더욱 뚜렸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상기 육안 관찰은, 이하와 같이, 암실(반사법, 투과법) 및 명실에서 행하였다.
(a) 암실에서의 반사법에 의한 관찰: 외광을 차단한 실내(암실)에서, 각 예에 관한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톱 코팅층의 표면)으로부터 100cm의 위치에 100W의 형광등(미쓰비시전기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루피카라인」)을 배치하여, 시점을 바꾸면서 샘플의 배면을 육안 관찰하였다.
(b) 암실에서의 투과법에 의한 관찰: 상기 암실에서, 표면 보호 필름의 전방면(톱 코팅이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으로부터 10cm의 위치에 상기 형광등을 배치하여, 시점을 바꾸면서 샘플의 배면을 육안 관찰하였다.
(c) 명실에서의 관찰: 외광이 들어가는 창을 갖는 실내(명실)에서, 맑은 날에, 직사 광선이 닿지 않는 창가에서 샘플의 배면을 육안 관찰하였다.
이들 3종류의 조건 하에서의 관찰 결과를, 이하의 5단계로 표기하였다.
0: 모든 관찰 조건에서 백화(찰과부와 비찰과부가 투명하게)는 나타나지 않았다.
1: 암실에서의 반사법에 의한 관찰에서 약간의 백화가 나타났다.
2: 암실에서의 투과법에 의한 관찰에서 약간의 백화가 나타났다.
3: 명실에서의 관찰에서 약간의 백화가 나타났다.
4: 명실에서의 관찰에서 명확한 백화가 나타났다.
상기의 내백화성 평가를, 초기(제작 후, 50℃, 15% RH의 조건 하에 3일간 유지한 것) 및 가온 가습 후(제작 후, 50℃, 15% RH의 조건 하에 3일간 유지하고, 또한 60℃, 95% RH라는 고온 다습 조건 하에 2주일 유지한 것)의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해 행하였다.
[외관 특성 평가]
표면 보호 필름 제작 전에, 표면 보호 필름에 사용하는 톱 코팅 구비 기재에 대해서, 외광이 들어가는 창을 갖는 실내(명실)에서, 맑은 날에, 직사 광선이 닿지 않는 창가에서, 배면(톱 코팅층측의 표면)을 육안 관찰하였다. 그리고, 얼룩이나 줄무늬가 확인되지 않은 것을 톱 코팅 구비 기재의 외관 특성이 양호하다고 평가하고, 얼룩이나 줄무늬가 확인된 것을 톱 코팅 구비 기재의 외관 특성이 불량이라고 평가하였다.
이어서, 표면 보호 필름 제작 후,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 표면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세로 10cm, 가로 10cm의 관찰 범위 내의 결점(오목부 및 기포)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외견 결점의 개수가 0 내지 100개일 경우, 점착제층의 외관 특성이 양호하다고 평가하고, 외관 결점의 개수가 101개 이상인 경우, 점착제층의 외관 특성이 불량이라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톱 코팅 구비 기재의 외관 특성 및 점착제층의 외관 특성 모두를 양호하다고 평가할 수 있는 경우, 표면 보호 필름의 외관 특성을 양호하다고 평가하였다. 한편, 톱 코팅 구비 기재의 외관 특성 및 점착제층의 외관 특성 모두를 불량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 경우, 톱 코팅 구비 기재의 외관 특성을 양호하다고 평가할 수 있고, 점착제층의 외관 특성을 불량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 경우, 및 톱 코팅 구비 기재의 외관 특성을 불량이라고 평가할 수 있고, 점착제층의 외관 특성을 양호하다고 평가할 수 있는 경우, 표면 보호 필름의 외관 특성을 불량이라고 평가하였다.
[내용제성 평가]
상기 암실에서,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즉, 톱 코팅층의 표면)을 에틸알코올에 적신 웨스(천)로 5회 닦고, 그 배면의 외관을 육안 관찰하였다. 그 결과, 에틸알코올로 닦은 부분과 다른 부분의 사이에 외관상의 상이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틸알코올로 닦음으로 인한 외관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을 경우)에는 내용제성 「양호」, 닦은 얼룩이 확인된 경우에는 내용제성 「불량」이라고 평가하였다.
[배면 박리 강도 측정]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보호 필름(1)을 폭 70mm, 길이 100mm의 크기로 자르고, 이 표면 보호 필름(1)의 점착면(점착제층이 설치된 측)(20A)을, 양면 점착 테이프(130)를 사용하여 SUS304 스테인리스판(132) 위에 고정하였다.
셀로판 필름(기재) 위에 천연 고무계 점착제를 갖는 편면 점착 테이프(니치반사 제조, 상품명 「셀로판테이프(등록 상표)」, 폭 24mm)를 100mm의 길이로 커트하였다. 이 점착 테이프(160)의 점착면(162A)을, 표면 보호 필름(1)의 배면(즉, 톱 코팅층(14)의 표면)(1A)에, 0.25MPa의 압력, 0.3m/분의 속도로 압착하였다. 이것을 23℃, 50% RH의 조건 하에 30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만능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표면 보호 필름(1)의 배면(1A)으로부터 점착 테이프(160)를 박리 속도 0.3m/분, 박리 각도 180°의 조건에서 박리하고, 이때의 박리 강도[N/24mm]를 측정하였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130)는, 상기 배면 박리 강도를 보다 적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표면 보호 필름(1)의 배면(A)으로부터 점착 테이프(160)를 박리할 때에 해당 표면 보호 필름(1)이 점착 테이프(160)에 당겨져서 스테인리스판(132)으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에 맞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양면 점착 테이프(상품명 「No.500A」,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사용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 강도 측정]
피착체로서, 폭 70mm, 길이 100mm의 플레인 편광판(닛토덴코사 제조의 TAC 편광판, SEG1425DU)을 준비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을 폭 25mm, 길이 100mm의 크기로 자르고, 그 점착면을 상기 편광판에, 0.25MPa의 압력, 0.3m/분의 속도로 압착하였다. 이것을 23℃, 50% RH의 환경 하에 30분간 방치한 후, 동일 환경 하에서 만능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박리 속도 30m/분, 박리 각도 180°의 조건에서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고, 이때의 박리 강도(대 편광판 박리 강도)[N/25mm]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 강도 측정은, 초기의 것(제작 직후의 것) 및 40℃ 분위기 하에서 1주일 보관한 것(40℃×1주일 보관 후의 것)에 대하여 행하였다.
[점착력 상승 방지성의 평가]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 강도 측정에서의 「초기의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 강도(초기 박리 강도)」와 「40℃×1주일 보관 후의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 강도(40℃×1주일의 박리 강도)」의 차를 구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양호(○): 차가 0.2N/25mm 이하인 경우
불량(×): 차가 0.2N/25mm를 초과하는 경우
[픽업 특성 평가](재박리성 평가)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 박리 강도」와 「40℃×1주일 보관 후의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 강도(40℃×1주일의 박리 강도)」의 비[(배면 박리 강도)/(40℃×1주일의 박리 강도)]를 구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보다 양호(◎): 상기 점착력 상승 방지성을 양호하다고 평가할 수 있고, 상기의 비가 3.8 이상인 경우
양호(○): 상기 점착력 상승 방지성을 양호하다고 평가할 수 있고, 상기의 비가 2.0 이상인 경우
불량(×): 상기 점착력 상승 방지성을 양호하다고 평가할 수 있고, 상기의 비가 2.0 미만인 경우
[표면 저항률 평가]
JIS K6911에 준거하여, 절연 저항계(미쯔비시 가가꾸 아날리텍사 제조, 상품명 「Hiresta-up MCP-HT450」)를 사용하여, 23℃, 상대 습도 55%의 분위기 하에서, 각 예에 관한 표면 보호 필름 샘플의 배면 표면 저항(Rs)을 측정하였다. 인가 전압은 100V로 하고, 표면 저항(Rs)의 판독은 측정 개시부터 60초 후에 행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다음의 식에 따라서 표면 저항률을 산출하였다.
ρs=Rs×E/V×π(D+d)/(D-d)
여기서, 상기 식 중의 ρs는 표면 저항률(Ω), Rs는 표면 저항(Ω), E는 인가 전압(V), V는 측정 전압(V), D는 표면의 환상 전극의 내경(cm), d는 표면 전극의 내원의 외경(cm)을 각각 나타낸다.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예 1)(점착제 1)
용기에, 물 90중량부 및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크릴산2-에틸헥실(2EHA) 96중량부, 아크릴산(AA) 4중량부, 비이온 음이온계 반응성 유화제(상품명 「아쿠아론 HS-10」,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3중량부를 배합한 후, 호모믹서에 의해 교반 혼합하여, 단량체 에멀전을 제조하였다.
계속해서,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물 50중량부, 중합 개시제(과황산암모늄) 0.01중량부 및 상기에서 제조한 단량체 에멀전 중 10중량%에 해당하는 양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75℃에서 1시간 유화 중합하였다. 그 후, 또한 중합 개시제(과황산암모늄) 0.05중량부를 첨가하고, 계속해서 교반하면서, 나머지 단량체 에멀전 모두(90중량%에 해당하는 양)를 3시간에 걸쳐 첨가하고, 그 후, 75℃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계속해서, 이것을 30℃로 냉각하고, 농도 10중량%의 암모니아수를 첨가해서 pH8로 조정하여,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의 수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의 수분산액에,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화합물(B)인 「아데카 플루로닉 25R-1」을 1.0중량부, 레벨링제로서 「EFKA-3570」을 0.2중량부, 비수용성 가교제인 에폭시계 가교제[미쯔비시 가스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테트래드-C」,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에폭시 당량: 110, 관능기 수: 4] 3중량부를, 교반기를 사용하여, 23℃, 300rpm, 10분의 교반 조건에서 교반 혼합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점착제 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제조하였다.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예 2)(점착제 2)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응성 유화제로서, 「아쿠아론 HS-10」 대신에 「아데카리아솝 SE-10N」 3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상기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점착제 2」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제조하였다.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예 3)(점착제 3)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의 단량체 원료를, 아크릴산2-에틸헥실(2EHA) 92중량부, 메타크릴산메틸(MMA) 4중량부, 아크릴산(AA) 4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상기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점착제 3」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제조하였다.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예 4)(점착제 4)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B)로서, 「아데카 플루로닉 25R-1」 대신에 「아데카 플루로닉 17R-3」 0.5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상기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점착제 4」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제조하였다.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예 5)(점착제 5)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B)로서, 「아데카 플루로닉 25R-1」 대신에 「PPO-PEO-PPO」 0.5중량부를 사용하고, 비수용성 가교제(C)로서, 「테트래드-C」 대신에 「테트래드-X」 3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상기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점착제 5」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제조하였다.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예 6)(점착제 6)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수용성 가교제인 에폭시계 가교제[미쯔비시 가스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테트래드-C」,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에폭시 당량: 110, 관능기 수: 4] 2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상기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점착제 6」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제조하였다.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예 7)(점착제 7)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B)인 공중합체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상기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점착제 7」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제조하였다.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예 8)(점착제 8)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B)인 공중합체 대신에 화합물(B) 이외의 화합물(「POLYRan(EO-PO)」 0.5중량부)을 사용한 것 이외는, 상기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점착제 8」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제조하였다.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예 9)(점착제 9)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B)인 공중합체 대신에 화합물(B) 이외의 화합물(「PEO-PPO-PEO」 3.0중량부)을 사용한 것 이외는, 상기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점착제 9」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제조하였다.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예 10)(점착제 10)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의 단량체 원료를, 아크릴산2-에틸헥실(2EHA) 99.6중량부, 아크릴산(AA) 0.4중량부로 변경하고, 또한, 비수용성 가교제(C)로서, 「테트래드-C」의 배합량을 0.3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점착제 10」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2
표 1에서, 다음의 표현은 다음의 의미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화합물(B)의 총 중량」에 대한 「EO의 총 중량」의 비율을, 「EO 함유율」이라고 표기하였다.
[원료 단량체]
2EH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MM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AA: 아크릴산
[유화제]
HS-10: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아쿠아론 HS-10」(비이온 음이온계 반응성 유화제)
SE-10N: 가부시끼가이샤 아데카(ADEKA) 제조, 상품명 「아데카리아솝 SE-10N」(비이온 음이온계 반응성 유화제)
[가교제]
테트래드 C: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TETRAD-C(테트래드-C)」(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에폭시 당량: 110, 관능기 수: 4)
테트래드 X: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TETRAD-X(테트래드-X)」(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벤젠, 에폭시 당량: 100, 관능기 수: 4)
[화합물(B)]
아데카 플루로닉 25R-1: 가부시끼가이샤 아데카(ADEKA) 제조, 상품명 「아데카 플루로닉 25R-1」(수 평균 분자량 2800, EO 함유율 10중량%, 유효 성분 100중량%)
아데카 플루로닉 17R-3: 가부시끼가이샤 아데카(ADEKA) 제조, 상품명 「아데카 플루로닉 17R-3」(수 평균 분자량 2000, EO 함유율 30중량%, 유효 성분 100중량%)
PPO-PEO-PPO: SIGMA-ALDRICH(시그마-알드리치)사 제조, 폴리(프로필렌글리콜)-block-폴리(에틸렌글리콜)-block-폴리(프로필렌글리콜)(수 평균 분자량 2000, EO 함유율 50중량%, 유효 성분 100중량%)
[화합물(B) 이외의 화합물]
POLYRan(EO-PO): SIGMA-ALDRICH(시그마-알드리치)사 제조, 폴리(에틸렌글리콜-ran-프로필렌글리콜)(수 평균 분자량 2500, EO 함유율 75중량%, 유효 성분 100중량%)
PEO-PPO-PEO: SIGMA-ALDRICH(시그마-알드리치)사 제조, 폴리(에틸렌글리콜)-block-폴리(프로필렌글리콜)-block-폴리(에틸렌글리콜)(수 평균 분자량 1900, EO 함유율 50중량%, 유효 성분 100중량%)
<실시예 1>
(코팅재의 제조)
바인더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25% 포함하는 분산액(바인더 분산액)(상품명 「바이나롤 MD-1480」 도요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포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분산액)을 준비하였다. 또한, 활제로서의 카르나우바 왁스의 수분산액(활제 분산액)을 준비하였다. 또한, 도전성 중합체로서의 폴리(3,4-디옥시티오펜)(PEDOT) 0.5% 및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수 평균 분자량 15만)(PSS) 0.8%를 포함하는 수용액(도전성 중합체 수용액)(상품명 「Baytron P」 H. C. Stark사 제조)을 준비하였다.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에, 상기 바인더 분산액을 고형분량으로 100중량부와, 상기 활제 분산액을 고형분량으로 30중량부와, 상기 도전성 중합체 수용액을 고형분량으로 50중량부와, 멜라민계 가교제를 첨가하고, 약 20분간 교반하여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NV 약 0.15%의 코팅재를 제조하였다.
(톱 코팅층의 형성)
한쪽 면(제1면)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된 두께 38㎛, 폭 30cm, 길이 40cm의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준비하였다. 이 PET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에 상기 코팅재를 바 코터로 도포하고, 130℃에서 2분간 가열하여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PET 필름의 제1면에 두께 10nm의 투명한 톱 코팅층을 갖는 기재(톱 코팅 구비 기재)를 제작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PET 필름의 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이형 시트를 준비하였다. 이 이형 시트의 박리면(상기 박리 처리가 실시된 면) 위에 상기 점착제 1(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두께 15㎛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을 상기 톱 코팅 구비 기재의 다른 쪽 면(제2면, 즉 상기 톱 코팅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에 접합한 후, 50℃, 15% RH의 환경 하에서 3일간 양생(에이징)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코팅재의 제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NV 약 0.3%의 코팅재를 제조하였다.
(톱 코팅층의 형성)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PET 필름의 제1면에 두께 50nm의 투명한 톱 코팅층을 갖는 기재(톱 코팅 구비 기재)를 제작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PET 필름의 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이형 시트를 준비하였다. 이 이형 시트의 박리면(상기 박리 처리가 실시된 면) 위에 상기 점착제 2(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를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두께 15㎛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을 상기 톱 코팅 구비 기재의 다른 쪽 면(제2면, 즉 상기 톱 코팅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에 접합한 후, 50℃, 15% RH의 환경 하에서 3일간 양생(에이징)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코팅재의 제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NV 약 0.3%의 코팅재를 제조하였다.
(톱 코팅층의 형성)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PET 필름의 제1면에 두께 50nm의 투명한 톱 코팅층을 갖는 기재(톱 코팅 구비 기재)를 제작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PET 필름의 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이형 시트를 준비하였다. 이 이형 시트의 박리면(상기 박리 처리가 실시된 면) 위에 상기 점착제 3(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두께 15㎛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을 상기 톱 코팅 구비 기재의 다른 쪽 면(제2면, 즉 상기 톱 코팅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에 접합한 후, 50℃, 15% RH의 환경 하에서 3일간 양생(에이징)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코팅재의 제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NV 약 0.3%의 코팅재를 제조하였다.
(톱 코팅층의 형성)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PET 필름의 제1면에 두께 50nm의 투명한 톱 코팅층을 갖는 기재(톱 코팅 구비 기재)를 제작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PET 필름의 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이형 시트를 준비하였다. 이 이형 시트의 박리면(상기 박리 처리가 실시된 면) 위에 상기 점착제 4(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를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두께 15㎛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을 상기 톱 코팅 구비 기재의 다른 쪽 면(제2면, 즉 상기 톱 코팅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에 접합한 후, 50℃, 15% RH의 환경 하에서 3일간 양생(에이징)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5>
(코팅재의 제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NV 약 0.3%의 코팅재를 제조하였다.
(톱 코팅층의 형성)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PET 필름의 제1면에 두께 50nm의 투명한 톱 코팅층을 갖는 기재(톱 코팅 구비 기재)를 제작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PET 필름의 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이형 시트를 준비하였다. 이 이형 시트의 박리면(상기 박리 처리가 실시된 면) 위에 상기 점착제 5(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를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두께 15㎛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을 상기 톱 코팅 구비 기재의 다른 쪽 면(제2면, 즉 상기 톱 코팅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에 접합한 후, 50℃, 15% RH의 환경 하에서 3일간 양생(에이징)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6>
(코팅재의 제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NV 약 0.3%의 코팅재를 제조하였다.
(톱 코팅층의 형성)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PET 필름의 제1면에 두께 50nm의 투명한 톱 코팅층을 갖는 기재(톱 코팅 구비 기재)를 제작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PET 필름의 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이형 시트를 준비하였다. 이 이형 시트의 박리면(상기 박리 처리가 실시된 면) 위에 상기 점착제 6(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두께 15㎛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을 상기 톱 코팅 구비 기재의 다른 쪽 면(제2면, 즉 상기 톱 코팅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에 접합한 후, 50℃, 15% RH의 환경 하에서 3일간 양생(에이징)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코팅재의 제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NV 약 0.3%의 코팅재를 제조하였다.
(톱 코팅층의 형성)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PET 필름의 제1면에 두께 50nm의 투명한 톱 코팅층을 갖는 기재(톱 코팅 구비 기재)를 제작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PET 필름의 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이형 시트를 준비하였다. 이 이형 시트의 박리면(상기 박리 처리가 실시된 면) 위에 상기 점착제 7(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를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두께 15㎛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을 상기 톱 코팅 구비 기재의 다른 쪽 면(제2면, 즉 상기 톱 코팅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에 접합한 후, 50℃, 15% RH의 환경 하에서 3일간 양생(에이징)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코팅재의 제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NV 약 0.3%의 코팅재를 제조하였다.
(톱 코팅층의 형성)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PET 필름의 제1면에 두께 50nm의 투명한 톱 코팅층을 갖는 기재(톱 코팅 구비 기재)를 제작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PET 필름의 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이형 시트를 준비하였다. 이 이형 시트의 박리면(상기 박리 처리가 실시된 면) 위에 상기 점착제 8(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두께 15㎛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을 상기 톱 코팅 구비 기재의 다른 쪽 면(제2면, 즉 상기 톱 코팅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에 접합한 후, 50℃, 15% RH의 환경 하에서 3일간 양생(에이징)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코팅재의 제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NV 약 0.3%의 코팅재를 제조하였다.
(톱 코팅층의 형성)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PET 필름의 제1면에 두께 50nm의 투명한 톱 코팅층을 갖는 기재(톱 코팅 구비 기재)를 제작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PET 필름의 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이형 시트를 준비하였다. 이 이형 시트의 박리면(상기 박리 처리가 실시된 면) 위에 상기 점착제 9(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를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두께 15㎛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을 상기 톱 코팅 구비 기재의 다른 쪽 면(제2면, 즉 상기 톱 코팅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에 접합한 후, 50℃, 15% RH의 환경 하에서 3일간 양생(에이징)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
(코팅재의 제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NV 약 0.3%의 코팅재를 제조하였다.
(톱 코팅층의 형성)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PET 필름의 제1면에 두께 50nm의 투명한 톱 코팅층을 갖는 기재(톱 코팅 구비 기재)를 제작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PET 필름의 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이형 시트를 준비하였다. 이 이형 시트의 박리면(상기 박리 처리가 실시된 면) 위에 상기 점착제 10(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두께 15㎛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을 상기 톱 코팅 구비 기재의 다른 쪽 면(제2면, 즉 상기 톱 코팅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에 접합한 후, 50℃, 15% RH의 환경 하에서 3일간 양생(에이징)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5>
(코팅재의 제조)
물-알코올 용매 중에,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대전 방지제(고니시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본딥-P 주제」)와, 경화제로서의 에폭시 수지(고니시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본딥-P 경화제」)를 NV 기준에서 100:46.7의 질량비로 포함하는 용액을 준비하였다.
(톱 코팅층의 형성)
한쪽 면(제1면)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된 두께 38㎛, 폭 30cm, 길이 40cm의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준비하였다. 이 PET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에 상기 코팅재를 바 코터로 도포하고, 130℃에서 2분간 가열하여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PET 필름의 제1면에 두께 80nm의 투명한 톱 코팅층을 얻었다.
계속해서, 상기 톱 코팅층의 표면에, 장쇄 알킬카르바메이트계의 박리 처리제(상품명 「피로일 1010」 잇포샤유시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NV 기준으로 0.02g/m2가 되도록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톱 코팅층에 미끄럼성을 부여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PET 필름의 제1면에 두께 80nm의 투명한 톱 코팅층을 갖는 기재(톱 코팅 구비 기재)를 제작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PET 필름의 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이형 시트를 준비하였다. 이 이형 시트의 박리면(상기 박리 처리가 실시된 면) 위에 상기 점착제 6(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두께 15㎛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을 상기 톱 코팅 구비 기재의 다른 쪽 면(제2면, 즉 상기 톱 코팅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에 접합한 후, 50℃, 15% RH의 환경 하에서 3일간 양생(에이징)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표면 보호 필름의 개략 구성과, 이들을 상술한 방법에 의해 측정 또는 평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또한, 상기 픽업 특성이 「보다 양호」(즉, [(배면 박리 강도)/(40℃×1주일의 박리 강도)]가 3.8 이상)이면, 고속에서의 픽업 성능이 보다 우수하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더 빠르고, 더 효율적으로 픽업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다.
1 : 표면 보호 필름 1A : 표면(배면)
12 : 기재 12A : 제1면(배면)
12B : 제2면(전방면) 14 : 톱 코팅층
20 : 점착제층(아크릴계 점착제층) 20A : 표면(점착면)
30 : 박리 라이너 50 : 피착체
60 : 점착 테이프(픽업 테이프) 62 : 기재
64 : 점착제층 114 : 톱 코팅층
120A : 점착면 130 : 양면 점착 테이프
132 : 스테인리스판 160 : 점착 테이프
162 : 점착제 162A : 점착면

Claims (5)

  1. 제1면 및 제2면을 갖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상기 제1면에 설치된 톱 코팅층과,
    상기 기재의 상기 제2면에 설치된 아크릴계 점착제층
    을 구비하는 표면 보호 필름이며,
    상기 톱 코팅층은, 활제로서의 왁스와, 바인더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왁스가 고급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이며,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를 필수의 원료 단량체로 해서 구성되고, 원료 단량체 전량 중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이 70중량% 내지 99.5중량%,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의 함유량이 0.5중량% 내지 10중량%이며, 또한 분자 중에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반응성 유화제를 사용하여 중합된 아크릴 에멀전계 중합체(A) 및 하기 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B)를 함유하는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R1O-(PO)a-(EO)b-(PO)c-R2 (I)
    (식 중, R1 및 R2는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PO는 옥시프로필렌기, EO는 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낸다. a, b 및 c는 각각 양의 정수이다. EO와 PO의 부가 형태는 블록형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인 표면 보호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톱 코팅층이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하는 표면 보호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비수용성 가교제(C)를 더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이 접합되어서 이루어지는 광학 부재.
KR1020140094608A 2013-07-30 2014-07-25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Active KR102251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58189A JP6092034B2 (ja) 2013-07-30 2013-07-30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材
JPJP-P-2013-158189 2013-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866A true KR20150014866A (ko) 2015-02-09
KR102251539B1 KR102251539B1 (ko) 2021-05-14

Family

ID=5242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608A Active KR102251539B1 (ko) 2013-07-30 2014-07-25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037573A1 (ko)
JP (1) JP6092034B2 (ko)
KR (1) KR102251539B1 (ko)
CN (1) CN104342053B (ko)
TW (1) TWI6609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019A (ko) * 2015-01-16 2017-09-1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7466B2 (ja) * 2015-02-14 2017-03-15 三菱樹脂株式会社 偏光板製造工程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599618B2 (ja) * 2015-02-17 2019-10-3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JP6599619B2 (ja) * 2015-02-17 2019-10-3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WO2017010158A1 (ja) * 2015-07-15 2017-01-19 Dic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697876B2 (ja) * 2015-12-28 2020-05-27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用保護フィルム及び積層体
KR102346869B1 (ko) * 2016-03-29 2022-01-03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복층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E102016112700A1 (de) * 2016-07-11 2018-01-11 Logi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inseitigen Klebefolie und einseitige Klebefolie
JP2018077355A (ja) * 2016-11-09 2018-05-17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CN110476003B (zh) * 2017-03-30 2022-04-22 日东电工株式会社 隔热绝热基板
JP2018173167A (ja) * 2017-03-30 2018-11-08 日東電工株式会社 遮熱断熱基板
CN111630117B (zh) * 2018-01-19 2023-04-04 Mti株式会社 用于剥离切割工艺用保护性涂层剂的剥离剂
WO2020116288A1 (ja) * 2018-12-05 2020-06-1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保護膜形成用複合シート、及び半導体チップの製造方法
JP7537693B2 (ja) * 2019-03-08 2024-08-21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極及び生体センサ
CN110561745A (zh) * 2019-10-15 2019-12-13 广州捷和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透气性的超润滑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7329A (ja) 2007-10-10 2009-05-21 Jsr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KR20100061547A (ko) * 2007-09-20 2010-06-07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시트, 터치패널용 상부전극 및 화상표시장치
JP2011020348A (ja) 2009-07-15 2011-02-03 Nitto Denko Corp 透明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KR20120052680A (ko) * 2010-11-16 2012-05-2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용 산화방지 필름 및 이를 채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JP2012224682A (ja) * 2011-04-15 2012-11-15 Nitto Denko Corp 粘着シート
KR20120127604A (ko) * 2010-01-21 2012-11-2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필름 및 그의 이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5158A (ja) * 2000-11-21 2002-05-28 Teijin Ltd 光学用易接着性積層フィルム
JP4052021B2 (ja) * 2002-06-04 2008-02-27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フィルム
TWI387629B (zh) * 2004-07-26 2013-03-01 Nitto Denko Corp 壓感黏合劑組成物、壓感黏合片及表面保護膜
JP5313455B2 (ja) * 2007-03-05 2013-10-09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0234533A (ja) * 2009-03-30 2010-10-21 Toray Ind Inc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113277B2 (ja) * 2010-04-20 2013-01-09 日東電工株式会社 水分散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5611883B2 (ja) * 2011-04-13 2014-10-22 日東電工株式会社 再剥離用水分散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CN103476892A (zh) * 2011-04-15 2013-12-25 日东电工株式会社 粘合片
JP5751905B2 (ja) * 2011-04-15 2015-07-2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6034123B2 (ja) * 2011-10-19 2016-11-30 日東電工株式会社 再剥離用水分散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6230233B2 (ja) * 2012-04-23 2017-11-15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6239302B2 (ja) * 2013-07-31 2017-11-2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1547A (ko) * 2007-09-20 2010-06-07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시트, 터치패널용 상부전극 및 화상표시장치
JP2009107329A (ja) 2007-10-10 2009-05-21 Jsr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1020348A (ja) 2009-07-15 2011-02-03 Nitto Denko Corp 透明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KR20120039713A (ko) * 2009-07-15 2012-04-2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필름 및 그 이용
KR20120127604A (ko) * 2010-01-21 2012-11-2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필름 및 그의 이용
KR20120052680A (ko) * 2010-11-16 2012-05-2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용 산화방지 필름 및 이를 채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JP2012224682A (ja) * 2011-04-15 2012-11-15 Nitto Denko Corp 粘着シ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019A (ko) * 2015-01-16 2017-09-1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539B1 (ko) 2021-05-14
US20150037573A1 (en) 2015-02-05
CN104342053B (zh) 2019-06-11
TW201512258A (zh) 2015-04-01
JP6092034B2 (ja) 2017-03-08
CN104342053A (zh) 2015-02-11
JP2015027765A (ja) 2015-02-12
TWI660987B (zh) 201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651B1 (ko)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KR102263347B1 (ko)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KR102251539B1 (ko)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KR101878010B1 (ko) 점착 시트
TWI571384B (zh) Surface protective film
KR101297003B1 (ko)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JP6258681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光学部材
KR20150015398A (ko) 점착 시트 및 광학 부재
JP5791945B2 (ja) 粘着シート
JP6599619B2 (ja) 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JP6599618B2 (ja) 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JP5751905B2 (ja) 粘着シート
JP5751906B2 (ja) 粘着シート
JP645437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6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7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