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967A - 플랩 또는 도어용 록 - Google Patents
플랩 또는 도어용 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9967A KR20150009967A KR1020147031403A KR20147031403A KR20150009967A KR 20150009967 A KR20150009967 A KR 20150009967A KR 1020147031403 A KR1020147031403 A KR 1020147031403A KR 20147031403 A KR20147031403 A KR 20147031403A KR 20150009967 A KR20150009967 A KR 201500099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wl
- rotary latch
- lever
- blocking
- release lev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3 plastic coat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노력으로 쉽게 그리고 확실하게 열릴 수 있는 도어 록 또는 플랩 록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로터리 래치 그리고 로터리 래치를 록킹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올로 이루어진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도어 록 또는 플랩 록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로터리 래치가 포올에서 토크, 특히 열림 모멘트를 시작할 수 있도록 로터리 래치와 포올이 설계된다. 토크는 포올의 디텐트 위치에 좌우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전제부의 특징을 갖는 플랩 또는 도어용 록에 관한 것이다. 위의 구조를 갖는 록은 DE 10 2008 061 524 A1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도어 또는 플랩은 차량의 또는 건물의 도어 또는 플랩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록은 로터리 래치 및 적어도 하나의 포올을 갖는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여기서 로터리 래치는 닫힘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포올로 록킹될 수 있다. 닫힘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는 도어 또는 플랩을 닫힌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도어 또는 플랩은 열릴 수 없다. 만일 로터리 래치가 열림 위치에 있다면, 록킹 볼트는 록킹 메커니즘을 떠날 수 있으며, 그리고 도어 그리고 플랩은 열릴 수 있다.
독일특허공보 DE 10 2010 003 483 A1는 메인 태핏 위치(main tappet position)에서 포올이 로터리 래치를 래치할 때 로터리 래치가 포올에서 열림 모멘트(opening moment)를 시작하는 록킹 메커니즘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도어 실링 압력의 결과로써 그리고/또는 로터리 래치를 그의 열림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프리텐션된(pretensioned) 스프링 및/또는 각 도어 또는 플랩의 열림으로 인하여 로터리 래치는 포올에서 이러한 모멘트를 시작할 수 있다. 포올은 열림 모멘트에 의하여 그의 록킹 위치 밖으로 그리고 디텐트(detent)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록킹 메커니즘이 록킹된 경우에 위의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장치는 또한 디텐트 위치 밖으로의 포올의 이동을 차단하는 블록킹 레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블록킹 레버는 릴리즈 레버의 도움으로 그의 차단 위치 밖으로 이동된다. 일반적으로, 포올에서 로터리 래치에 의하여 시작된 열림 모멘트는 록킹 메커니즘을 언록킹하기에, 즉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에 충분하다.
위에서 설명된 형태의 록은 일반적으로 릴리즈 레버를 포함하며, 록킹된 록킹 메커니즘은 이 릴리즈 레버로 열릴 수 있거나 언록킹될 수 있다. 릴리즈 레버의 작동은 록킹 메커니즘의 열림을 위하여 포올이 그의 록킹 위치를 떠나게 하거나 떠날 수 있게 한다.
위에서 언급된 열림 모멘트를 갖는 록킹 메커니즘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포올을 그의 록킹 위치 밖으로 이동시키기에 모멘트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동작의 경우에도 록킹 메커니즘이 열리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릴리즈 레버 및/또는 DE 10 2010 003 483A1에 개시된 중간 닫힘 위치 포올에 부착된 태핏(tappet)이 제공된다. 특히 열림 모멘트의 결과로써 포올이 단독으로 록킹 위치를 떠날 수 없다면, 이러한 태핏은 포올을 그의 록킹 위치 밖으로만 이동시켜야 한다.
태핏이 록킹 메커니즘을 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릴리즈 레버 상에 배치된 태핏이 충분하게 넓은 각도까지 선회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약 25°와 같은 20°내지 30°사이의 각도가 태핏만에 의하여 포올을 그의 록킹 위치 밖으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하다.
록킹 메커니즘의 릴리즈 레버는 일반적으로 핸들의 작동에 의하여 이동된다. 핸들은 차량의 내부 도어 핸들 또는 외부 도어 핸들일 수 있다. 핸들의 작동시 릴리즈 레버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핸들은 일반적으로 로드 조립체 또는 보덴 케이블(Bowden cable)을 통하여 릴리즈 레버에 연결된다. 로드 조립체 상의 또는 보덴 케이블 상의 마모 및/또는 공차의 징후는 핸들에 의하여 작동하는 릴리즈 레버의 선회 각도를 줄이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설명된 형태의 신뢰할 수 있는 작동 록(working lock)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항의 특징부를 갖는 록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유리한 실시예가 종속항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 또는 플랩을 위한 록은 로터리 래치 그리고 로터리 래치를 록킹하기 위하여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포올로 이루어진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로터리 래치가 포올에서 토크, 특히 열림 모멘트를 시작할 수 있도록 로터리 래치와 포올이 설계된다. 한 실시예에서, 블록킹 레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특별하게 확실한 록킹을 제공하기 위하여, 로터리 래치는 또한 록킹 메커니즘의 디텐트 위치에서 포올에서의 닫힘 모멘트를 시작할 수 있다. 닫힘 모멘트의 경우, 포올을 디텐트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힘이 포올에서 시작된다. 그러면 블록킹 레버의 제공 없이 록킹 메커니즘은 확실하게 록킹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포올을 그의 디텐트 위치 밖으로 이동시키는데 비교적 큰 양의 힘이 요구된다. 다른 것들 중에서, 로터리 래치와 포올 사이의 마찰 저항 때문에 힘이 요구되며 또한 로터리 래치와 포올 사이의 마찰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힘도 증가한다. 예를 들어, 마찰 저항이 모래와 같은 불순물에 의하여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올에서 시작하는 토크는 포올의 디텐트 위치, 즉 로터리 래치가 열림 위치로 뒤돌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포올의 위치에 좌우된다. 따라서 2개의 다른 토크, 특히 포올 디텐트 위치에 따라 로터리 래치에 의하여 포올에서 시작될 수 있는 2개의 다른 크기의 토크가 있다. 청구항 1항의 목적의 결과로써, 요구 조건에 따라 모멘트가 포올에서 시작될 수 있다. 포올에서 시작된 토크를 위한 요구 조건은 자주 각 디덴트 위치에 좌우된다. 이렇게 하여, 특별하게 믿을 수 있게 기능하는 록이 제공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특히 포올이 완전하게 그의 디텐트 위치에 있을 때 로터리 래치에 의하여 포올에서 시작되는 열림 모멘트를 제공한다. 도어 또는 플랩을 닫기 위하여 록킹 메커니즘이 정확하게 록킹될 때 포올은 완전하게 그의 디텐트 위치에 있다. 예를 들어 멈춤부에 의하여 포올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특히 포올은 언록킹 위치에서 시작하여 디텐트 위치를 지나 이동될 수 없거나 단지 약간 (초과) 이동될 수 있다. 포올이 반대 방향으로 이 디텐트 위치 밖으로 부분적으로 이동된다면, 토크는 변한다. 이 경우에, 처음으로 더 큰 모멘트 또는 더 큰 모멘트가 가해진다. 그러면 록킹 메커니즘이 열릴 때 포올은 먼저 그의 완전한 디텐트 위치 밖으로 부분적으로 이동한다. 특히 더 큰 모멘트가 열림 모멘트에서 시작되어 포올에서 최종적으로 시작되는 결과로써, 열림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로터리 래치에 의하여 포올에서 시작될 수 있는, 적어도 다른 크기의 2개의 열림 모멘트를 포함한다. 포올이 완전하게 그의 디텐트 위치에 있다면, 처음에 비교적 작은 제 1 열림 모멘트가 로터리 래치에 의하여 포올에서 시작된다. 만일 포올이 완전한 것이 아닌 부분적으로 이미 그의 디텐트 위치 밖으로 이동되었다면, 로터리 래치에 의하여 포올에서 더 큰 제 2 열림 토크가 시작된다. 특별한 이유로 포올을 그의 디텐트 위치 밖으로 완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포올을 위한 태핏이 충분하게 선회될 수 없을 때, 이 실시예에 적용된 더 큰 토크로 인하여 포올은 또한 그의 디텐트 위치 밖으로 확실하게 이동된다. 이 실시예는 또한 포올이 완전하게 그의 디텐트 위치에 그리고 특히 메인 디텐트 위치에 있을 때 포올을 차단할 수 있는 또는 차단하는 블록킹 레버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록킹 메커니즘의 신뢰할 수 있는 언록킹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릴리즈 레버의 15°의 선회 각도가 충분하다. 바람직하게는, 이 목적을 위하여 13°의 선회 각도가 충분하다.
한 실시예에서, 록은 또한 릴리즈 레버를 포함하며, 이 릴리즈 레버를 이동시킴으로써 특히, 릴리즈 레버를 선회시킴으로써 록킹 메커니즘은 릴리즈 레버로 해제될 수 있다.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릴리즈 레버가 제공된다면, 처음에 작은 제 1 토크가 로터리 래치에 의하여 포올에서 시작된다. 만일 릴리즈 레버가 최대 가능한 거리만큼 선회되지 않았다면, 제 1 토크보다 큰 제 2 열림 토크가 포올에서 시작된다. 릴리즈 레버가 그의 의도된 선회 운동의 70%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이동되기 전에 이 제 2 열림 토크는 바람직하게는 로터리 래치에 의하여 포올에서 시작된다. 예를 들어, 만일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릴리즈 레버가 25°선회되도록 설계되었다면, 포올이 17.5°, 즉 70% 회전되면 늦어도 더 큰 제 2 토크가 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릴리즈 레버가 12.5°, 즉 50% 선회하기 전에 보다 큰 제 2 토크는 포올에서 시작된다. 본 실시예는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한 버퍼(buffer)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노후화(마모, 오차)의 이유로 릴리즈 레버가 더 이상 전체 거리를 이동할 수 없는 경우, 릴리즈 레버가 계속해서 단지 거리의 70% 또는 50%를 선회될 수 있다면, 더 큰 제 2 토크는 록킹 메커니즘이 계속해서 확실하게 열릴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는 특히 포올을 그의 디텐트 위치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태핏(tappet)을 포함한다. 특히, 시작된 열림 모멘트의 결과로써 포올이 그의 록킹 위치 밖으로 이동하지 않는다면, 이 태핏은 단지 포올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의 록킹 위치 밖으로 이동시킨다. 시작된 제 1 토크로 인하여 열림 과정(mechanism)이 실패한다면 태핏은 태핏에 의하여 포올이 적어도 처음에 그의 디텐트 위치 밖으로 이동되는 것을 보장한다. 포올이 태핏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그의 록킹 위치 밖으로 이동되는 경우, 그후 더 큰 열림 모멘트가 포올에서 시작된다. 열림 모멘트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태핏의 도움없이 포올이 그의 록킹 위치를 떠나는 정도이다. 이렇게 하여, 어떠한 이유에서이던지 릴리즈 레버가 전체 거리에 걸쳐 더 이상 선회될 수 없을 때 록킹 메커니즘은 또한 확실하게 열릴 수 있다. 릴리즈 레버가 전체 거리에 걸쳐 선회될 수 있을지라도, 본 실시예는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태핏이 단지 포올을 부분적으로 그의 디텐트 위치 밖으로 이동시켜야 한다는 것을 이룬다. 따라서 이러한 오작동의 경우에 이러한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요구되는 힘은 유리하게는 감소된다.
보다 적은 수의 부품을 갖는 더욱 콤팩트한 디자인을 얻기 위하여, 한 실시예에서 록킹 메커니즘의 포올과 릴리즈 레버는 공통 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어 밀봉 압력의 존재 없이도 포올에서의 모멘트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로터리 래치는 스프링에 의하여 록의 열림 위치의 방향으로 프리텐션(pretensioned)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릴리즈 레버는 록킹 메커니즘의 블록킹 레버를 그의 차단 위치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보통 비교적 적은 힘이면 충분하다. 로터리 래치에 의하여 포올에서 시작된 열림 모멘트에 의하여 포올이 후에 그의 디텐트 위치 밖으로 이동될 때,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요구되는 전체 힘은 유리하게는 매우 적다.
한 실시예는 블록킹 레버를 그의 차단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제공한다. 따라서 블록킹 레버는 스프링에 의하여 간단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그의 차단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블록킹 레버를 그의 차단 위치로 이동시킴에 의하여 포올 또한 그의 디텐트 위치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블록킹 레버와 포올은 설계된다. 따라서 요구되는 부품의 수는 더 감소된다. 동시에, 무게 그리고 요구되는 공간 역시 감소된다.
한 실시예에서, 릴리즈 레버는 3개의 레버 아암을 포함한다. 특히, 록킹 메커니즘을 언록킹하기 위하여 제 1 레버 아암을 사용함으로써 블록킹 레버는 그의 차단 위치 밖으로 이동된다. 릴리즈 레버의 제 2 레버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설명된 방식으로 포올을 해제한다. 즉, 록킹 메커니즘의 열림 동안에, 포올을 록킹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스프링력이 적어도 감소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제 2 레버 아암은 포올을 그의 록킹 위치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태핏(tappet)을 포함하여 생산하기에 콤팩트하고 간단한 설계를 제공한다. 제 3 레버 아암은, 예를 들어 로드 장치 또는 보덴 케이블(Bowden cable)의 도움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연결된 핸들 또는 전기 구동부의 도움으로 릴리즈 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핸들이 작동되거나 전기 구동부가 가동된다면, 이는 또한 록킹 메커니즘을 언록킹하기 위하여 제 3 레버 아암과 릴리즈 레버를 작동시키며 그리고 릴리즈 레버는 특히 축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유리하게는, 요구되는 공간과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그리고 릴리즈 레버가 원하는 종단 위치를 지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제 2 레버 아암을 위한 멈춤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포올은 2개의 레버 아암을 포함하되, 하나의 레버 아암은 로터리 래치를 록킹한다. 메커니즘, 예를 들어 프리텐션된 스프링의 도움으로 포올이 그의 디텐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프리텐션된 스프링과 같은 메커니즘은 다른 레버 아암에 작용한다. 포올의 이 다른 레버 아암은 선택적으로 릴리즈 레버의 태핏에 의하여 맞물려져 록킹 메커니즘을 언록킹하고 또한 따라서 이동, 특히 축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유리하게는, 포올이 그의 완전한 디텐트 위치를 지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멈춤부가 또한 이 레버 암을 위하여 제공된다.
디텐트 위치에서 포올을 차단하기 위한 블록킹 레버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레버 아암을 포함한다. 특히, 블록킹 레버의 제 1 레버 아암은 포올을 그의 래치된 위치에서 차단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포올을 그의 래치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한 실시예에서, 이 제 1 레버 아암은 또한 유리하게는 릴리즈 레버에 의하여 맞물려질 수 있으며 그리고 선회, 특히 축을 중심으로 선회함에 의하여 그의 블록킹 위치 밖으로 이동될 수 있다. 블록킹 레버의 제 2 레버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멈춤부에 맞서 이동될 수 있어 블로킹 레버는 제공된 종단 위치를 지나 이동될 수 있다. 제 2 레버 아암의 제공은 또한 유리하게는 블록킹 레버의 무게 중심이 축(블록킹 레버는 이 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기여한다. 무게 중심의 이 이동은 블록킹 레버의 선회를 용이하게 한다.
한 실시예에서,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블록킹 레버는 또한 릴리즈 레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릴리즈 레버는 또한 중간 닫힘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를 록킹할 수 있는 중간 닫힘 위치 포올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면 록킹 메커니즘은 도어 또는 플랩을 록킹할 수 있다. 그러나 계획된 바와 같이 아직 완전 닫힘 위치에서 록킹되지 않는다. 로터리 래치가 록킹 위치의 방향으로 더 선회된다면, 중간 록킹 위치에서 시작하여 완전한 닫힘 위치에 단지 도달한다.
본 발명의 록킹 메커니즘은 특히 금속 록 플레이트 상에 또는 보통 금속으로 제조된 록 케이싱 상에 배치된다. 주로 이러한 록은 또한 보통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그리고 외부 영향에 대하여 록의 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는 록 하우징을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특히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록 커버 및/또는 특히 보호를 위하여 제공된 중앙 록킹을 위한 플라스틱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록은 건물의 도어 또는 플랩의 부분 또는 차량의 도어 또는 플랩의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로터리 래치의 완전한 닫힘 위치를 위한 포올 (또한 "완전한 닫힘 위치 포올"로 언급됨)과 로터리 래치의 중간 닫힘 위치를 위한 포올(또한, "중간 닫힘 위치 포올"로 언급됨) 그리고 유리하게는 또한 완전한 닫힘 위치 포올을 위한 블록킹 레버를 갖는 이러한 록을 포함한다. 이러한 록은 DE 10 2008 061 524 A1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블록킹 레버에 더하여, 본 발명의 록은 또한 중간 록킹 위치 그리고 완전 닫힘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를 록킹하기 위하여 하나의 포올만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리 래치는 차량 도어 또는 플랩이 닫힐 때 도어 또는 플랩의 록킹 볼트가 진입하는 포크(folk) 형상의 유입 슬롯(인피드 부분)을 포함한다. 그러면 록킹 볼트는 로터리 래치를 열림 위치에서 디텐트 위치로 선회시킨다. 디텐트 위치에 있으면, 록킹 볼트는 더 이상 로터리 래치 밖으로 이동할 수 없다. 포올은 디텐트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를 록킹하며, 따라서 로터리 래치는 열림 위치로 뒤로 회전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록은 선회될 수 있고 그리고 선회되어야 하는 포올, 블록킹 레버 또는 로터리 래치와 같은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자주 스프링의 힘의 결과로서 이러한 요소의 원하는 선회 운동을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프리텐션된 스프링, 특히 레그 스프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프리텐션된 스프링은 포올을 그의 디텐트 위치로, 블록킹 레버를 그의 차단 위치로, 또는 로터리 래치를 그의 열림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열림 작동의 시작시의 록킹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록킹 메커니즘의 후방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록킹 메커니즘의 상세도.
도 2는 도 1의 록킹 메커니즘의 후방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록킹 메커니즘의 상세도.
도 1은 로터리 래치(1), 포올(2), 블록킹 레버(3) 및 릴리즈 레버(4)를 포함하는 록킹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로터리 래치(1)는 그 축(5)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포올(2)과 릴리즈 레버(4)는 그 공통 축(6)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블록킹 레버(3)는 그 축(7)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도 1은 열림 작동의 시작을 도시한다. 릴리즈 레버(4)를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킴으로 인하여 블록킹 레버(3)는 그 차단 위치 밖으로 이미 이동되었다. 포올(2)은 또한 그 레버 아암(8)으로 로터리 래치(1)를 록킹한다. 따라서 포올(2)에서 열림 모멘트를 시작하는 로터리 래치(1)는 도 1의 경우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축(6)을 중심으로 선회함에 의하여 포올(2)이 그의 도시된 디텐트 위치 밖으로 선회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 메커니즘이 실패하는 경우, 릴리즈 레버(4)의 레버 아암(10)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태핏(9)은 최종적으로 릴리즈 레버(4)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선회(이는 포올을 또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하여 포올(2)의 레버 아암(11)의 측부와 접촉한다. 이 부가적인 메커니즘의 결과로서, 포올(2)으로의 충분하게 큰 토크의 시작의 부분으로서 이 작동이 처음에 실패되었다면, 필요한 경우 레버 아암(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의 디텐트 위치 밖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또는 마모가 언록킹을 방지 또는 방해하는 경우, 따라서 태핏(9)은 포올(2)과 로터리 래치(1) 사이의 부가적인 언록킹 구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포올이 도 1에 도시된 그의 디텐트 위치에 있을 때, 포올(2)에서의 열림 모멘트가 언제라도 시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로터리 래치(1)는 도 1에 도시된 스프링 아암(14)을 갖는 프리텐션된 레그 스프링에 의하여 열림 위치의 방향으로 밀려진다. 스프링의 결과로서, 스프링 아암(14)에 의하여 로터리 래치는 그 축(5)을 중심으로 도 1에 도시된 반시계 방향으로 그의 열림 위치를 향하여 선회될 수 있다.
릴리즈 레버(4)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즉 도 1의 경우에 릴리즈 레버를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키기 위하여, 핸들의 작동은 예를 들어, 보덴 케이블, 로드 또는 로드 메커니즘에 의하여 릴리즈 레버(4)의 레버(15)로 적절하게 전달된다.
멈춤부(16)는 레버 아암(10 및 11) 그리고 포올(2) 또는 릴리즈 레버(4)의 시계 방향으로의 선회 운동을 제한한다. 결과적으로, 릴리즈 레버(4)와 포올(2)은 미리 한정된 종단 위치보더 더 멀리 이동할 수 없다. 그 결과, 포올(2)은 그의 록킹 위치까지는 이동될 수 있으나, 더 이상은 이동될 수 없다. 릴리즈 레버(4)의 시계 방향 선회는 또한 적절하게 제한되며 따라서 핸들의 짧은 작동 거리는 록킹 메커니즘을 언록킹 또는 열기에 충분하다. 한편으로는, 멈춤부(17)는 블록킹 레버(3)를 반시계 방향으로 그의 차단 위치로 선회시킬 수 있는 레그 스프링의 일부인 스프링 레그(18)를 유지한다. 멈춤부(17)는 블록킹 레버(3)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선회를 제한하며 따라서 블록킹 레버(3)는 그의 차단 위치보다 더 선회될 수 없다. 특히, 릴리즈 레버(3)의 레버 아암(25)의 선회는 제한된다. 로터리 래치(1)의 시계 방향으로의 선회 운동을 적절하게 제한하기 위하여 멈춤부(19)는 스프링 아암(14)을 유지하며 그리고 로터리 래치(1)를 위한 멈춤부의 역할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따라서 로터리 래치(1)의 초과 이동을 제한한다.
도 2는 도 1의 록킹 메커니즘의 배면도이다. 이 도면은 릴리즈 레버(4)의 블록킹 레버 아암(21)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그리고 이 블록킹 레버 아암(21)을 위한 태핏의 기능을 수행하는 핀(20)을 도시한다. 릴리즈 레버(4)의 작동시, 레버 아암(22)은 최종적으로 돌출된 핀(20)과 맞물려 레버 아암이 그 차단 위치를 떠나는 방식으로 이 돌출 핀 그리고 또한 블록킹 레버(3)를 선회시킨다.
도 1 및 도 2에서, 삐걱거리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록킹 볼트(27)를 위한 선택적인 그리고 바람직한 플라스틱 인피드 버퍼(26; platic infeed buffer)가 제공된다. 로터리 래치의 플라스틱 커버는 록킹 볼트(27) 주변의 편자형 부분 영역(28) 내에서 움푹 들어간다. 록킹 메커니즘이 도 1에 도시된 포올(2) 위의 평면 상에 중간 닫힘 포올을 포함할 때, 로터리 래치는 중간 위치에서 록킹 메커니즘을 록킹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돌출된 핀(2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완전히 닫힌 위치에서의 로터리 래치(1), 블록킹 레버(3)의 레버 아암(21) 그리고 포올(2)의 레버 아암(8)의 확대된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레버 아암(21)이 포올(2)의 레버 아암(8)을 차단함에 따라 포올(2)은 그의 완전 록킹 위치에 있다. 로터리 래치(1)는 포올(2)의 레버 아암(8)의 측면 윤곽부의 부분(30)에 부딪힌다. 이 제 1 윤곽부의 반경(R1)은 특히, 18 mm 내지 22 mm, 또는 바람직하게는 20 mm이다. 로터리 래치(1)가 제 1 윤곽부(30)에 부딪힐 때, 로터리 래치(1)는 포올(2)에서 제 1 토크를 시작한다. 블록킹 레버(3)가 그의 차단 위치 밖으로 이동된다면, 포올(2)은 초기에 완전 닫힘 위치를 부분적으로 떠난다. 그후, 로터리 래치(1)는 포올(2)의 레버 아암(8)의 제 2 윤곽부(31)에 부딪힌다. 제 2 윤곽부(31)의 반경(R2)은 더 작으며 그리고 특히 20 mm 이하이다. 로터리 래치가 제 2 윤곽부(31)에 부딪힌다면, 포올(2)은 계속해서 로터리 래치(1)가 열림 위치로 뒤로 선회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후 로터리 래치(1)에 의하여 더 큰 열림 토크(M)가 포올(2)에서 시작된다. 명확하게 더욱 굽어진 제 3 윤곽부(32)가 윤곽부(31)를 뒤따른다. 제 3 윤곽부(32)는 로터리 래치(1)가 열림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더 이상 방지할 수 없다. 특히 윤곽부(30 및 31)의 위치는 릴리즈 레버(4)의 선회 운동과 일치한다. 한 실시예에서 만일 릴리즈 레버(4)가 50% 및/또는 13.5°도와 같은 10° 내지 15° 만큼 선회되었다면, 한 실시예에서 로터리 래치(1)는 윤곽부(31)에 부딪히거나, 또는 이 윤곽부(31)를 지나 이동하며 그리고 제한없이 열림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터리 래치(1)에 의하여 록킹 메커니즘의 포올(2)에서 시작될 수 있는 토크는 또한 연속적으로 변할 수,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1: 로터리 래치
2: 포올
3: 블록킹 레버
4: 릴리즈 레버
5: 포올 축
6: 포올과 릴리즈 레버의 공통 축
7: 블록킹 레버 축
8: 포올의 록킹 레버 아암
9: 릴리즈 레버 태핏(tappet)
10: 릴리즈 레버의 레버 아암
11: 포올의 레버 아암
12: 스프링 아암
13: 레그 스프링
14: 스프링 아암
15: 릴리즈 레버의 작동 레버 아암
16: 포올과 릴리즈 레버를 위한 멈춤부
17: 블록킹 레버를 위한 멈춤부
18: 스프링 아암
19: 멈춤부
20: 핀
21: 블록킹 레버 아암
22: 릴리즈 레버의 언록킹 레버 아암
23: 블록킹 레버를 위한 레그 스프링
24: 로터리 래치를 위한 레그 스프링
25: 록킹 볼트용 인피드 버퍼(infeed buffer)
26: 록킹 볼트, 록 홀더
27: 플라스틱 코팅부가 없는 부분
29: 로터리 래치의 돌출 핀
30: 제 1 윤곽부
31: 제 2 윤곽부
32: 제 3 윤곽부
2: 포올
3: 블록킹 레버
4: 릴리즈 레버
5: 포올 축
6: 포올과 릴리즈 레버의 공통 축
7: 블록킹 레버 축
8: 포올의 록킹 레버 아암
9: 릴리즈 레버 태핏(tappet)
10: 릴리즈 레버의 레버 아암
11: 포올의 레버 아암
12: 스프링 아암
13: 레그 스프링
14: 스프링 아암
15: 릴리즈 레버의 작동 레버 아암
16: 포올과 릴리즈 레버를 위한 멈춤부
17: 블록킹 레버를 위한 멈춤부
18: 스프링 아암
19: 멈춤부
20: 핀
21: 블록킹 레버 아암
22: 릴리즈 레버의 언록킹 레버 아암
23: 블록킹 레버를 위한 레그 스프링
24: 로터리 래치를 위한 레그 스프링
25: 록킹 볼트용 인피드 버퍼(infeed buffer)
26: 록킹 볼트, 록 홀더
27: 플라스틱 코팅부가 없는 부분
29: 로터리 래치의 돌출 핀
30: 제 1 윤곽부
31: 제 2 윤곽부
32: 제 3 윤곽부
Claims (10)
- 로터리 래치(1) 그리고 로터리 래치(1)를 록킹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올(2)로 이루어진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하되, 로터리 래치(1)가 포올(2)에서 토크(M) 그리고 특히 열림 모멘트를 시작할 수 있는 방식으로 로터리 래치(1)와 포올(2)은 설계되며 토크(M)는 포올(2)의 록킹 위치에 좌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또는 플랩용 록.
- 제1항에 있어서, 포올(2)이 완전히 그의 디텐트 위치에 있을 때 로터리 래치(1)는 포올(2)에서 제 1 열림 모멘트를 시작할 수 있으며, 포올이 부분적으로 그의 록킹 위치 밖으로 이동되었을 때 그리고 그러나 포올(2)이 로터리 래치(1)가 그의 열림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때 로터리 래치(1)는 포올(2)에서 더 큰 제 2 열림 모멘트를 시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 제2항에 있어서, 릴리즈 레버(4)가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70%, 바람직하게는 50% 선회되기 전에 그리고/또는 포올이 10° 내지 15° 선회하기 전에 제 2 모멘트가 포올(2)에서 시작되는 방식으로 로터리 래치(1)와 포올(2)이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록킹 메커니즘이 열릴 때 포올(2)을 그 록킹 위치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태핏(9)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 제4항에 있어서, 디텐트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1)에 의하여 포올(2)에서 시작되는 열림 모멘트의 결과로서 포올(2)이 그의 디텐트 위치 밖으로 이동하지 않을 때 태핏이 포올(2)을 그의 디텐트 위치 밖으로 이동만시키는 방식으로 태핏(9)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태핏(9)은 릴리즈 레버(4) 상에 그리고/또는 록킹 메커니즘의 중간 닫힘 위치 포올(4)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포올(1)과 릴리즈 레버(4)는 공통 축(6) 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 제1항 내지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그의 차단 위치에서 포올(2)을 차단할 수 있는 블록킹 레버(3)를 포함하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 제1항 내지 제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릴리즈 레버(4)는 블록킹 레버(3)를 그의 차단 위치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블록킹 레버(3)를 그의 차단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링(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201210207442 DE102012207442A1 (de) | 2012-05-04 | 2012-05-04 | Schloss für eine Klappe oder Tür |
DE102012207442.2 | 2012-05-04 | ||
PCT/DE2013/000245 WO2013163982A2 (de) | 2012-05-04 | 2013-05-02 | Schloss für eine klappe oder tü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9967A true KR20150009967A (ko) | 2015-01-27 |
KR102165338B1 KR102165338B1 (ko) | 2020-10-14 |
Family
ID=4874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31403A KR102165338B1 (ko) | 2012-05-04 | 2013-05-02 | 플랩 또는 도어용 록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115626A1 (ko) |
EP (1) | EP2929114B1 (ko) |
JP (1) | JP6236668B2 (ko) |
KR (1) | KR102165338B1 (ko) |
CN (1) | CN104285023B (ko) |
BR (1) | BR112014027467A2 (ko) |
CA (1) | CA2872071A1 (ko) |
DE (1) | DE102012207442A1 (ko) |
MX (1) | MX2014013340A (ko) |
RU (1) | RU2014145649A (ko) |
WO (1) | WO2013163982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2207443A1 (de) * | 2012-05-04 | 2013-11-07 | Kiekert Ag | Schloss für eine Klappe oder Tür |
JP6171211B2 (ja) * | 2013-01-16 | 2017-08-02 | キーケルト アクツィーエンゲゼルシャフト | 自動車ドア用ラッチ |
DE102013016029A1 (de) * | 2013-09-26 | 2015-03-26 | Kiekert Ag | Kraftfahrzeugtürschloss |
DE102014201808A1 (de) * | 2014-01-31 | 2015-08-06 | Kiekert Ag | Verfahren für ein Schließen einer Kraftfahrzeughaube |
JP6549402B2 (ja) * | 2015-04-24 | 2019-07-24 | 株式会社ユーシン | レバー組付構造 |
DE102015113222A1 (de) * | 2015-08-11 | 2017-02-16 | Kiekert Ag | Sicherheitsvorrichtung mit einer Fronthaube und einem Bajonettverschlusssystem |
CN107130863B (zh) * | 2016-02-29 | 2019-04-12 | 开开特股份公司 | 具有弹簧的机动车锁 |
DE102016109281A1 (de) * | 2016-05-20 | 2017-11-23 | Kiekert Ag | Kraftfahrzeugtürschloss |
JP6891801B2 (ja) * | 2017-12-25 | 2021-06-1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DE102018107210A1 (de) * | 2018-03-27 | 2019-10-02 | Kiekert Ag | Kraftfahrzeugtürschloss |
CN110836056A (zh) * | 2018-08-17 | 2020-02-25 | 福州明芳汽车部件工业有限公司 | 双拉解锁型引擎盖锁 |
DE102018125641A1 (de) | 2018-10-16 | 2020-04-16 | Kiekert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Schlos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20482A1 (de) * | 2010-03-31 | 2011-10-06 | Kiekert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schloss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74664U (ko) * | 1980-05-27 | 1981-12-23 | ||
FR2607546B1 (fr) | 1986-12-02 | 1989-03-10 | Rockwell Cim | Serrure, notamment pour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
DE4318544C1 (de) | 1993-06-04 | 1994-05-05 | Bayerische Motoren Werke Ag | Schloß, insbesondere für Fahrzeugtüren |
JPH09203257A (ja) * | 1996-01-25 | 1997-08-05 |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の破損防止装置 |
GB2426787B (en) | 2003-12-31 | 2007-05-02 | Nigel Victor Spurr | Low release energy latch mechanism |
JP3808889B2 (ja) * | 2004-10-12 | 2006-08-16 | 株式会社アルファ | 電動ロック装置 |
DE102004051894A1 (de) * | 2004-10-26 | 2006-04-27 | Witte-Velbert Gmbh & Co. Kg | Verschluss mit beweglichem Riegelglied |
DE102007003948A1 (de) * | 2006-11-22 | 2008-05-29 | Kiekert Ag | Schlosseinheit mit mehrteiliger Sperrklinke |
DE102007045228A1 (de) * | 2007-09-21 | 2008-02-28 | Daimler Ag | Fahrzeugtürschloss |
CN102084076B (zh) * | 2008-06-13 | 2013-03-27 | 开开特股份公司 | 一种锁定设备 |
DE102008028256A1 (de) * | 2008-06-13 | 2009-12-24 | Kiekert Ag | Schließvorrichtung mit zwei Sperrklinken und motorisch angetriebenen Stellantrieb |
DE202008012706U1 (de) * | 2008-09-24 | 2008-12-18 | Kiekert Ag | Schlosseinheit mit mehrteiliger Sperrklinke und federvorgespannter Blockierklinke |
DE102008048712A1 (de) * | 2008-09-24 | 2010-03-25 | Kiekert Ag | Schlosseinheit mit Mehrklinken-Gesperre |
DE102008057961A1 (de) * | 2008-11-19 | 2010-05-20 | Kiekert Ag | Schlosseinheit mit Mehrklinken-Gesperre |
DE102008061524A1 (de) | 2008-12-10 | 2010-06-17 | Kiekert Ag | Mehrklinken-Gesperre mit Rasthaken |
DE102010003483B4 (de) | 2009-06-12 | 2019-08-01 | Kiekert Ag | Schloss mit Zwangsführung für Sperrklinke |
DE102009026921A1 (de) * | 2009-06-12 | 2010-12-16 | Kiekert Ag | Kraftfahrzeugschloss mit Zuziehhilfe |
US8235428B2 (en) * | 2009-07-14 | 2012-08-07 | Kiekert Ag | Lock unit having a slotted pawl |
DE102009029031A1 (de) * | 2009-08-31 | 2011-03-03 | Kiekert Ag | Gesperre |
DE102010036924A1 (de) * | 2010-06-23 | 2011-12-29 | Witte Automotive Gmbh | Drehfallenverschluss mit Haupt- und Vorrast |
DE102010061427A1 (de) * | 2010-12-21 | 2012-06-21 | Witte Automotive Gmbh | Drehfallenverschluss mit Sperrnocken |
DE102011003295A1 (de) * | 2011-01-28 | 2012-08-02 | Kiekert Ag | Kraftfahrzeugschloss |
DE102011010815A1 (de) * | 2011-02-09 | 2012-08-09 | Kiekert Ag | Kraftfahrzeugtürverschluss |
-
2012
- 2012-05-04 DE DE201210207442 patent/DE102012207442A1/de active Pending
-
2013
- 2013-05-02 US US14/398,750 patent/US2015011562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05-02 RU RU2014145649A patent/RU2014145649A/ru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05-02 CN CN201380023512.3A patent/CN104285023B/zh active Active
- 2013-05-02 WO PCT/DE2013/000245 patent/WO2013163982A2/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5-02 KR KR1020147031403A patent/KR10216533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5-02 EP EP13734315.8A patent/EP2929114B1/de active Active
- 2013-05-02 CA CA2872071A patent/CA287207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05-02 MX MX2014013340A patent/MX2014013340A/es unknown
- 2013-05-02 JP JP2015509307A patent/JP6236668B2/ja active Active
- 2013-05-02 BR BR112014027467A patent/BR112014027467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20482A1 (de) * | 2010-03-31 | 2011-10-06 | Kiekert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schlos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115626A1 (en) | 2015-04-30 |
EP2929114A2 (de) | 2015-10-14 |
JP6236668B2 (ja) | 2017-11-29 |
CN104285023A (zh) | 2015-01-14 |
RU2014145649A (ru) | 2016-06-27 |
WO2013163982A2 (de) | 2013-11-07 |
JP2015520815A (ja) | 2015-07-23 |
WO2013163982A3 (de) | 2014-03-06 |
EP2929114B1 (de) | 2019-10-30 |
CN104285023B (zh) | 2017-05-31 |
DE102012207442A1 (de) | 2013-11-07 |
CA2872071A1 (en) | 2013-11-07 |
BR112014027467A2 (pt) | 2017-06-27 |
KR102165338B1 (ko) | 2020-10-14 |
MX2014013340A (es) | 2015-0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09967A (ko) | 플랩 또는 도어용 록 | |
KR102005604B1 (ko) | 플랩 또는 도어 용 록 | |
KR101984344B1 (ko) | 패널 또는 도어용 록 | |
KR102055431B1 (ko) | 차량 도어 록 | |
US9617761B2 (en) | Motor vehicle door lock | |
US10174528B2 (en) | Motor vehicle door handle | |
US8172283B2 (en) | Door latch device in a motor vehicle | |
KR101801399B1 (ko) | 자동차 문짝용 핸들 | |
JP2016503473A (ja) | 車両ドア用ロック | |
US20190106914A1 (en) | Latch device for vehicle trunk lid | |
US11466486B2 (en) | Motor vehicle drive assembly | |
JP2020531718A (ja) | フラッシュハンドルを備える自動車のドアリーフの施錠システム | |
KR101985554B1 (ko) | 플랩 또는 도어를 위한 록킹 장치 | |
EP3575521A1 (en) | Vehicle door latch device | |
KR102005602B1 (ko) | 플랩 또는 도어용 록 | |
KR100828820B1 (ko) |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크구조 | |
WO2018150644A1 (ja) |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 |
CN101939499B (zh) | 用于机动车的门板的锁 | |
JP6446704B2 (ja) |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 |
CN118686501A (zh) | 机动车锁,特别是机动车门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