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839A -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 Google Patents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5839A KR20150005839A KR1020130079218A KR20130079218A KR20150005839A KR 20150005839 A KR20150005839 A KR 20150005839A KR 1020130079218 A KR1020130079218 A KR 1020130079218A KR 20130079218 A KR20130079218 A KR 20130079218A KR 20150005839 A KR20150005839 A KR 201500058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nnel state
- wireless lan
- state measurement
- module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모듈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무선랜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무선랜 모듈 및 셀룰러(cellular) 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셀룰러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무선랜 시스템의 무선랜 접속 장치와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가 누적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소정의 기간 동안 셀룰러 통신 모듈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수집하고, 수집된 채널 상태 측정 결과와 매핑 데이터베이스 간의 매칭값을 산출하고, 매칭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무선랜 모듈을 턴온(turn-ON)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모듈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셀룰러(cellular)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무선랜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술 규격을 제정하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3GPP 시스템과 타 무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802.11 시스템, 802.16 시스템 등) 간의 효율적인 이동을 위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견 및 선택을 지원하는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를 정의하고 있다. ANDSF는 이기종 무선 접속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접속 네트워크를 발견 및 선택하도록 필요한 정보를 단말에 제공하고, 주기적으로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여 변동되는 정보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사업자가 규정한 정책에 따라 단말의 접속을 유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만, 이러한 ANDSF 기능을 이용하면, 사용자 관점이 아닌 사업자 관점에서 트래픽 오프로드(offload)를 유도하게 되고, 단말의 위치 측위를 위하여 잦은 업데이트가 필요하여 불필요하게 단말의 배터리가 소모되며, 기존의 위치 측위 기술은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입장에서 사용자가 빈번하게 이용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를 통한 트래픽 오프로드(offload)를 수행하기 위하여 무선랜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사용자가 빈번하게 이용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에 원활하게 접속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된 채널 상태를 기반으로 무선랜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단말에 있어서, 무선랜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무선랜 모듈 및 셀룰러(cellular) 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셀룰러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무선랜 시스템의 무선랜 접속 장치와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가 누적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소정의 기간 동안 셀룰러 통신 모듈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수집하고, 수집된 채널 상태 측정 결과와 매핑 데이터베이스 간의 매칭값을 산출하고, 매칭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무선랜 모듈을 턴온(turn-ON)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단말에 있어서, 무선랜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무선랜 모듈 및 셀룰러(cellular) 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셀룰러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무선랜 시스템의 무선랜 접속 장치와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가 누적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무선랜 모듈을 통해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의 접속 빈도수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를 통해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가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가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인 경우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수집하며, 수집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상은, 무선랜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무선랜 모듈 및 셀룰러(cellular) 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셀룰러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이 무선랜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소정의 기간 동안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채널 상태 측정 결과와 매핑 데이터베이스 간의 매칭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매칭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무선랜 모듈을 턴온(turn-ON)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매핑 데이터베이스는 무선랜 접속 장치와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가 누적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 간의 매핑 관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상은, 무선랜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무선랜 모듈 및 셀룰러(cellular) 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셀룰러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이 무선랜 모듈 제어를 위한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랜 모듈을 통해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의 접속 빈도수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를 통해 상기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가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가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인 경우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매핑 데이터베이스는 무선랜 접속 장치와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가 누적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 간의 매핑 관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장에서 사용자가 빈번하게 이용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를 통하여 트래픽 오프로드(offload)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사용자가 빈번하게 이용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에 원활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장치의 구비 없이도 기존의 셀룰러 신호를 이용한 채널 상태 측정 기법을 통해 무선랜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3GPP에서 정의하는 접속 네트워크 발견 지원 기능(ANDSF: Access Network Discovery Support Functions)을 위한 아키텍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상태 측정 결과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예시에서 단말의 위치에 따라 생성되는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3GPP에서 정의하는 접속 네트워크 발견 지원 기능(ANDSF: Access Network Discovery Support Functions)을 위한 아키텍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상태 측정 결과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예시에서 단말의 위치에 따라 생성되는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S: Base Station)'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 장치(Device-to-Device), 스테이션(STA: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무선랜 접속 장치(예를 들어, AP(Access Point))는 무선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에서 해당 무선랜 접속 장치와 연계(association)된 단말(혹은 STA)들에 대해서 무선 매체를 통해서 무선랜 시스템으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개체를 의미하며, 기지국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셀룰러(cellular) 네트워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통해 단말의 무선랜으로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단말은 셀룰러(cellular) 이동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RAT(RAT Radio Access Technology) 기능과 무선랜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RAT 기능을 모두 가지는 단말임을 가정한다.
도 1은 3GPP에서 정의하는 접속 네트워크 발견 지원 기능(ANDSF: Access Network Discovery Support Functions)을 위한 아키텍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3GPP에서는 3GPP 시스템과 타 무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802.11 시스템, 802.16 시스템 등) 간의 효율적인 이동을 위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견 및 선택을 지원하는 ANDSF를 정의하고 있다. ANDSF을 위한 네트워크 요소(network element)는 단말이 이기종 무선 접속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접속 네트워크를 발견 및 선택하도록 필요한 정보를 단말에 제공한다. 단말과 ANDSF를 위한 네트워크 요소 간의 프로토콜로는 OMA(Open Mobile Alliance)의 DM(Device Management) 프로토콜이 이용된다.
ANDSF을 위한 네트워크 요소(network element)가 제공하는 정보에는 이기종 접속 네트워크 간의 이동성 정책(Inter-system mobility policy)과 접속 네트워크 발견 정보(Access network discovery information)를 포함한다. 이기종 접속 네트워크 간 이동성 정책은 단말이 이기종 접속 네트워크 간 이동성을 결정할 때 영향을 주는 사업자가 규정한 접속 허가에 관한 규칙(rules)과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선호도(preference)(혹은 우선 순위)를 나타낸다. 단말은 이러한 정보를 통해 이기종 접속 네트워크 간의 이동성이 허용 혹은 제한되는 시간을 결정하고, 핵심 네트워크를 접속하기 위하여 가장 선호되는 접속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네트워크 발견 정보는 단말에 의하여 요청된 RAT 형태에 대하여 단말의 위치에서 접근 가능한 접속 네트워크의 타입, 접속 네트워크의 ID, 기타 접속 네트워크의 관련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이처럼, ANDSF을 위한 네트워크 요소는 주기적으로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여 변동되는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사업자가 규정한 정책에 따라 단말의 접속을 유도한다. 다만, ANDSF는 사업자가 단말에 제공하는 정책을 기반으로 동작하고, 사용자가 주로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가 아닌 사업자가 관리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에 대한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단말의 위치 기반으로 단말의 무선랜 모듈의 전원의 ON/OFF를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이처럼, ANDSF를 이용하여 단말의 무선랜 모듈의 전원의 ON/OFF를 제어하게 되면, 사용자 관점이 아닌 사업자 관점에서 셀룰러 시스템에서 무선랜 시스템으로 트래픽 오프로드(offload)를 유도하게 되고, 위치기반 정책 수행을 위해 단말과 ANDSF를 위한 네트워크 요소 간 잦은 업데이트가 필요하여 불필요한 단말 배터리가 소모되며, 무선랜, 셀룰러, GPS 등을 활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게 되나 위치 측정을 위해 불필요한 단말 배터리가 소모되고 측위 정밀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빈번하게 이용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에 대하여 각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를 상황 정보로써 저장하고, 이후 기 저장된 상황 정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황이 발생된 경우 이를 인지하여 단말이 해당 무선랜 접속 장치에 재접속하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에 대하여 아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래 도 2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종의(다중) 무선 접속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라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점선의 타원은 각 기지국(기지국 A, B, C)가 서비스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예시하고, 실선의 타원은 무선랜 접속 장치가 서비스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예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수의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무선랜 시스템의 무선랜 접속 장치가 서비스하는 커버리지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단말은 기지국 A, B, C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무선랜 접속 장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단말은 셀룰러 시스템 및/또는 무선랜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단말은 현재 접속되어 있는 서빙 기지국(혹은 서빙 셀)에서 전송되는 셀룰러 신호뿐만 아니라 서빙 기지국에 인접하는 이웃 기지국(혹은 이웃 셀)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의 세기 또는 무선 채널 품질을 측정한다. 이때, 단말이 무선랜 접속 장치를 통해 무선랜 시스템에 접속한 경우에, 해당 무선랜 접속 장치가 사용자가 빈번하게 이용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라면, 단말은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기지국의 신호를 통해 측정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누적하여 수집하고, 이를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 정보를 매핑시켜 상황 정보로써 저장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가 누적된 데이터를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라고 지칭한다. 도 2의 경우 단말은 기지국 A, 기지국 B 및 기지국 C의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므로, 서빙 기지국이 기지국 A, B, C 중 어느 기지국인지 무관하게 기지국 A, B, C 로부터 전송되는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각각 신호의 세기 또는 무선 채널 품질을 측정하게 된다. 즉, 단말은 무선랜 접속 장치에 접속하는 동안에 해당 무선랜 접속 장치 주변의 각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셀룰러 신호의 세기 또는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채널 품질 등을 측정한 결과를 누적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와 매핑시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각 기지국의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는 단말이 측정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 값 별로 측정된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된 확률 분포/밀도 함수(probability distribution/density function)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셀룰러 신호의 일례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단의 데이터/신호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전송되는 신호로써 단말과 기지국의 양측이 모두 알고 있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특히 공용/셀 특정 참조 신호(Common/Cell-specific RS)(혹은 파일럿 신호) 또는 단말과 기지국 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가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말에서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신호의 세기 또는 무선 채널 품질 등을 채널 상태로 통칭한다. 채널 상태 값의 일례로,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정의하는 참조 신호 수신 세기(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참조 신호 수신 품질(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수신 신호 세기 지시자(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신호 대 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등이 해당되거나,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 정의하는 Ec/Io(energy per chip to interference density ratio),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 SNR, SIN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모니터링되는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채널 상태 값을 이용하여 단말의 무선랜 모듈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참조 신호는 송수신단의 데이터/신호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전송되는 신호로써 기지국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송수신되므로, 단말은 셀룰러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중에 계속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참조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의 세기 또는 무선 채널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 단말에서 일정 시간 동안 모니터링되는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채널 상태 값이 기 저장된 각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매칭되는 경우 단말은 이전에 해당 무선랜 접속 장치에 접속하였던 상황과 동일 혹은 유사함을 인지하고 무선랜 모듈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의 경우 단말이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와 매핑하여 기지국 A, B, C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를 저장한 이후에, 단말이 해당 무선랜 접속 장치 커버리지 영역 내로 다시 이동하게 되면, 단말은 기지국 A, B, C 로부터 전송되는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채널 상태 값과 저장된 매핑 데이터베이스와의 매칭 유사도를 확인하고, 무선랜 모듈의 전원을 턴온(turn-on)(혹은 기능을 활성화)하여 무선랜 접속 장치에 다시 접속할 수 있다. 즉, 단말은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에 접속하였던 위치와 동일 혹은 유사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이를 셀룰러 신호를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빈번하게 이용하는 해당 무선랜 접속 장치에 다시 접속이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셀룰러(cellular) 이동 통신 방식과 무선랜 통신 방식 모두로 통신 가능한 단말이 셀룰러 통신 방식으로 서빙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서빙 기지국과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이웃 기지국들로부터 수신하는 셀룰러 신호에 대한 채널 상태 결과와 기 저장된 각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와의 매핑 관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매칭율(즉, 매칭 유사도)에 따른 무선랜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이 무선랜 시스템의 무선랜 접속 장치에 접속하면(S301), 단말은 접속한 무선랜 접속 장치가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3). 즉, 단말은 무선랜 접속 장치에 접속할 때마다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의 주소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특정 무선랜 접속 장치를 접속한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혹은 초과)인 경우 해당 무선랜 접속 장치를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무선랜 접속 장치의 주소는 48 bit 크기를 가지는 BSSID 또는 IP 주소 형식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BSSID는 MAC 주소로도 지칭될 수 있으며, MAC 주소는 각 통신 장치에 부여된 48 비트 길이의 주소를 의미하며, 해당 주소는 전세계적으로 고유한(globally unique) 주소이다.
이처럼 접속한 무선랜 접속 장치에 대하여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단말이 무선랜 접속 장치에 접속할 때마다 수행할 수도 있으나, 기존에 단말이 이미 접속 빈도수가 임계치 이상(혹은 초과)이어서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라고 판단한 경우, 이후에 다시 해당 무선랜 접속 장치에 접속한 경우에는 이러한 판단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즉, 이미 한번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재차 해당 무선랜 접속 장치에 대하여 접속 빈도수를 확인하지 않고도 해당 무선랜 접속 장치가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라고 판단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단말이 현재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가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해당 무선랜 접속 장치가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가 아닌 경우(즉, 접속 빈도수가 임계치 미만 혹은 이하인 경우)에는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S305).
반면, S303 단계에서 단말이 현재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가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해당 무선랜 접속 장치가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인 경우, 단말은 서빙 기지국 및 이웃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각 기지국 별 채널 상태를 측정한 결과를 누적하여 수집한다(S307). 즉, 단말은 주기적으로 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셀룰러 신호를 통해 채널 상태 결과를 측정하여 기지국에 보고하는 중에, 현재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가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라면, 각 기지국에 대하여 측정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누적하여 수집하게 된다.
이어, 단말은 각 기지국에 대한 측정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S309).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는 무선랜 접속 장치의 식별 정보(혹은 주소 정보), 무선랜 접속 장치와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기지국 세트, 기지국 세트에 포함되는 각 기지국 식별 정보 및 각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는 채널 상태 측정 결과 값 별로 측정된 횟수를 나타내는 형태(예를 들어,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채널 상태 측정 결과 값 별로 측정된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된 확률 분포/밀도 함수(probability distribution/density function)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이 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한 결과를 수집하는 과정 및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 생성하는 과정은 단말이 해당 무선랜 접속 장치에 접속이 해제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데이터베이스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예시에서 단말의 위치에 따라 생성되는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채널 상태 측정 결과는 RSRP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서 점선의 타원은 각 기지국(기지국 A, B, C, D)가 서비스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예시하고, 실선의 타원은 각 무선랜 접속 장치(무선랜 접속 장치 1, 무선랜 접속 장치 2)가 서비스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예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는 무선랜 접속 장치의 식별 정보(혹은 주소 정보), 무선랜 접속 장치와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기지국 세트, 기지국 세트에 포함되는 각 기지국 식별 정보 및 각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무선랜 접속 장치 1 및 무선랜 접속 장치 2는 모두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에 해당하고, 단말이 a 및 b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무선랜 접속 장치 1에 접속되어 있으며, 단말이 c 및 d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무선랜 접속 장치 2에 접속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단말 a 내지 d에 위치하는 경우 모두 단말은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에 접속하고 있으므로 서빙 기지국 및 이웃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수집한다.
먼저, 단말이 a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 A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으나, 이웃 기지국인 B, C, D의 커버리지 영역을 벗어나 있으므로, 단말은 기지국 A로부터 수신하는 셀룰러 신호만을 이용하여 기지국 A에 대한 채널 상태를 측정한 결과를 수집하고, 기지국 A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1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의 예시와 같이 단말이 a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이 생성한 데이터베이스는 무선랜 접속 장치 1과 기지국 A가 매핑되고, 기지국 A로부터 수신한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RSRP 값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는 각 채널 상태 측정값 별로 측정된 횟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좌측), 또한 각 채널 상태 측정 결과 별로 측정된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된 확률 분포/밀도 함수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우측).
다음으로, 단말이 b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 A와 기지국 B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단말은 기지국 A 및 기지국 B로부터 수신하는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기지국 A 및 B에 대한 채널 상태를 측정한 결과를 수집하고, 기지국 A 및 B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1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서빙 기지국과 이웃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을 수행하므로, 서빙 기지국이 A인지 B인지 무관하게 단말은 기지국 A와 B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1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의 예시와 같이 단말이 b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이 생성한 데이터베이스는 무선랜 접속 장치 1과 기지국 A 및 기지국 B가 매핑되고, 기지국 A 및 기지국 B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RSRP 값이 각 기지국 별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는 각 채널 상태 측정값 별로 측정된 횟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좌측), 또한 각 채널 상태 측정값 별로 측정된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된 확률 분포/밀도 함수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우측).
그리고, 단말이 c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 A와 기지국 C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단말은 기지국 A 및 기지국 C로부터 수신하는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기지국 A 및 C에 대한 채널 상태를 측정한 결과를 수집하고, 기지국 A 및 C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1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의 예시와 단말이 c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이 생성한 데이터베이스는 무선랜 접속 장치 1과 기지국 A 및 기지국 C가 매핑되고, 기지국 A 및 기지국 C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RSRP 값이 각 기지국 별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는 각 채널 상태 측정값 별로 측정된 횟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좌측), 또한 각 채널 상태 측정값 별로 측정된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된 확률 분포/밀도 함수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우측).
그리고, 단말이 d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 A, 기지국 C 및 기지국 D의 커버리지 영역 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단말은 기지국 A, 기지국 C 및 기지국 D로부터 수신하는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기지국 A, C 및 D에 대한 채널 상태를 측정한 결과를 수집하고, 기지국 A, C 및 D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1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도 5의 예시와 같이 단말이 d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이 생성한 데이터베이스는 무선랜 접속 장치 1과 기지국 A, 기지국 C 및 기지국 D가 매핑되고, 기지국 A, 기지국 C 및 기지국 D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RSRP 값이 각 기지국 별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는 각 채널 상태 측정값 별로 측정된 횟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좌측), 또한 각 채널 상태 측정값 별로 측정된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된 확률 분포/밀도 함수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우측).
이처럼, 동일한 무선랜 접속 장치라도 단말이 위치하는 지점에 따라 해당 무선랜 접속 장치와 매핑되는 기지국 세트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즉, 무선랜 접속 장치 1에 매핑되는 기지국 세트는 {기지국 A}, {기지국 A, 기지국 B}로 2개일 수 있으며, 무선랜 접속 장치 2에 매핑되는 기지국 세트는 {기지국 A, 기지국 C}, {기지국 A, 기지국 C, 기지국 D}로 2개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도 4 및 도 5의 예시는 본 발명의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기지국의 위치, 무선랜 접속 장치의 위치, 단말의 위치, 각 기지국 혹은 무선랜 접속 장치의 신호 세기, 무선 채널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예시와 달리 단말이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에 접속할 때마다 해당 무선랜 접속 장치와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지 않으며, 미리 설정된 일정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에만 무선랜 접속 장치와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아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6의 S601 단계 내지 S607 단계는 앞서 도 3의 예시에서 S601 단계 내지 S307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서빙 기지국 및 이웃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한 결과를 수집한 단말은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의 임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S609).
이어, 단말은 임시 데이터베이스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11). 예를 들어, 임시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된 시간 구간을 누적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값(예를 들어, 12시간) 이상인지 혹은 동일한 시간대(예를 들어, 오후 1시부터 2시 또는 오후 10시부터 12시)에 반복하여 임시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611 단계에서 임시 데이터베이스가 미리 설정된 일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S607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단말은 계속하여 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이어 각 기지국 별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 임시 데이터베이스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한다.
반면, S611 단계에서, 임시 데이터베이스가 미리 설정된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말은 임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기지국의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S613). 또한, 이처럼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 이후에도, 단말이 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 과정 및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 생성하는 과정은 단말이 해당 무선랜 접속 장치에 접속이 해제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게 된다.
여기서, 하나의 무선랜 접속 장치에 매핑되는 기지국 세트에 포함되는 기지국이 복수 개인 경우, 단말은 각 기지국 별로 임시 데이터베이스가 미리 설정된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도 5의 예시에서 단말이 b에 위치하는 경우 기지국 A에 대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한 누적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이나, 기지국 B에 대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한 누적 시간이 일정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기지국 A에 대해서만 임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임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 후 일정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에만 정규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보다 정확한 무선랜 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랜 접속 장치와 각 기지국 별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를 매핑한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 단말은 수신하는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매핑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무선랜 모듈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은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됨을 감지한다(S701). 여기서, 특정 이벤트는 단말이 측정한 채널 상태 값과 기 저장된 매핑 데이터베이스와의 매칭을 통해 사용자가 빈번하게 이용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를 발견 및 선택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를 의미하며, 미리 설정된 트리거 이벤트라면 한정되지 않고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는 사용자로부터의 미리 설정된 터치/버튼 입력 등을 의미하거나, 사용자로부터의 터치/버튼/키 입력 등으로 인하여 단말의 화면이 활성화(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ON)를 의미하거나, 단말의 잠금 상태의 해제를 의미하거나, 단말에 저장된 프로그램(예를 들어,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또는 응용프로그램)의 업데이트 동작의 개시를 의미하거나, 단말이 컨텐츠 제공 서버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의 전송을 의미하거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각(예를 들어, 오후 8시)의 도달을 의미하거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위치에 일정 거리 이상 근접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감지한 단말은 서빙 기지국 및 이웃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각 기지국 별 채널 상태를 측정한 결과를 수집한다(S703). 이때, 단말은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구간 동안 서빙 기지국 및 이웃 기지국의 채널 상태를 측정한 결과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주기적으로 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셀룰러 신호를 통해 채널 상태 결과를 측정하여 기지국에 보고하는 중에, S301에서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됨을 감지하면, 각 기지국에 대하여 측정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일정 시간 동안 수집하게 된다.
서빙 기지국 및 이웃 기지국의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수집한 단말은 수집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와 앞서 도 3 내지 도 6의 예시에 따라 미리 저장된 무선랜 접속 장치와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매칭값(혹은 매칭 유사도)을 산출(혹은 결정)한다(S703). 매칭 알고리즘의 일례로, 힐링거 거리(Hellinger Distance) 또는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매핑 데이터베이스와 채널 상태 측정 결과의 매칭율 혹은 유사도(likelihood) 정도를 산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라면 한정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서빙 기지국 및 이웃 기지국의 채널 상태 측정 결과와 매핑 데이터베이스의 매칭값을 산출한 단말은 산출된 매칭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혹은 초과)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07).
S707 단계에서 매칭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혹은 이하)인 경우 단말은 S703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단말은 계속하여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수집하고, 이어 채널 상태 측정 결과와 데이터베이스의 매칭값을 산출한다.
반면, S707 단계에서 매칭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혹은 초과)인 경우 단말은 무선랜 모듈의 전원을 턴온(turn-on)(혹은 기능을 활성화)하고(S709), S707 단계에서 매칭값이 임계값 이상(혹은 초과)으로 결정된 하나 이상의 무선랜 접속 장치 리스트를 선택하여 선택된 무선랜 접속 장치로 접속을 시도한다(711).
이후, 도 7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선택된 무선랜 접속 장치로 접속이 완료된 단말은 해당 무선랜 접속 장치는 사용자가 빈번하게 이용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이므로, 앞서 도 3 또는 도 6에서 예시한 방법과 같이 단말은 계속하여 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수집하고, 이어 각 기지국 별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한다.
도 8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 도시된 단말(800)의 구성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이 실제 물리적으로는 서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800)은 통신부(810), 저장부(820), 제어부(830), 입력부(840) 및 출력부(8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810)는 무선랜 모듈(811) 및 셀룰러 모듈(8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800)을 구성하는 통신부(810), 무선랜 모듈(811), 셀룰러 모듈(813), 저장부(820), 제어부(830), 입력부(840) 및 출력부(850)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호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신부(8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랜 모듈(811) 및 셀룰러 모듈(8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811)은 무선랜 시스템과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셀룰러 모듈(813)은 셀룰러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무선랜 모듈(811)은 제어부(830)의 제어를 받아 공급되는 전원이 ON/OFF가 변동될 수 있으며 또는 기능이 활성화(activation)/비활성화(deactivation)될 수 있다. 또한, 셀룰러 모듈(813)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셀룰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820)는 단말(8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기본적으로 단말(800)에 의해 실행될 운영 프로그램 및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등)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저장부(820)는 제어부(830)에 의하여 생성된 무선랜 접속 장치와 각 기지국 별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를 매핑한 매핑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임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820)는 다양한 저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8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820)는 제어부(83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제어부(830)와 연결될 수 있다.
입력부(840)는 사용자가 단말(8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입력부(840)는 이벤트가 사용자의 입력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이벤트 발생을 위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단말의 화면이 활성화를 의미하는 경우, 이와 같이 이벤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버튼/키 입력 등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부(840)는 다양한 방식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84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음성 입력 수단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84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표시부(850)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82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8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통신부(810)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850)는 제어부(830)의 제어에 따라서 단말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이벤트가 표시부(850)가 활성화를 의미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부(840)의 입력에 의하여 제어부(830)의 제어를 받아 표시부(850)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850)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8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표시부(85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터치 스크린), 표시부(85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표시부(85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표시부(85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제어부(830)로 전송되고, 전송되는 신호를 통해 제어부(830)는 표시부(85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제어부(830)는 단말(8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으로, 통신부(810), 저장부(820), 입력부(840) 및 표시부(850)의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8309)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830)는 앞서 도 2 내지 도 7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30)는 무선랜 모듈(811)을 제어하여 무선랜 시스템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셀룰러 통신 모듈(813)을 제어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30)는 무선랜 모듈(811)을 통해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가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30)는 셀룰러 통신 모듈(813)을 통해 수신한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하여 채널 상태 측정값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가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인 경우 혹은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됨을 감지하면 각 기지국에 대하여 측정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수집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 무선랜 접속 장치 간의 매핑 데이터베이스 및 임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저장부(8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30)는 셀룰러 통신 모듈(813)을 통해 수신한 셀룰러 신호를 통해 측정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와 저장부(820)에 저장된 매핑 데이터베이스 간에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매칭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30)는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제어하여 무선랜 모듈(811)로 공급되는 전원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무선랜 모듈(811)의 기능이 활성/비활성화되도록 무선랜 모듈(811)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태블릿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셋탑박스(set-top box),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선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나 단말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무선랜 모듈 제어 방안은 3GPP LTE/LTE-A 시스템 및 무선랜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800: 단말 810: 통신부 811: 무선랜 모듈
813: 셀룰러 모듈 820: 저장부 830: 제어부
840: 입력부 850: 표시부
813: 셀룰러 모듈 820: 저장부 830: 제어부
840: 입력부 850: 표시부
Claims (12)
-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무선랜 모듈; 및
셀룰러(cellular) 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셀룰러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상기 무선랜 시스템의 무선랜 접속 장치와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가 누적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채널 상태 측정 결과와 상기 매핑 데이터베이스 간의 매칭값을 산출하고, 상기 매칭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무선랜 모듈을 턴온(turn-ON)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사용자로부터의 미리 설정된 입력,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으로 인하여 상기 단말의 화면 활성화, 상기 단말의 잠금 상태의 해제, 상기 단말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개시, 상기 단말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의 전송,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각 혹은 위치의 도달 중 어느 하나인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랜 모듈을 통해 상기 매칭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결정된 무선랜 접속 장치에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칭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결정된 무선랜 접속 장치에 접속을 완료한 후, 상기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측정 결과는 참조 신호 수신 세기(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참조 신호 수신 품질(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수신 신호 세기 지시자(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신호 대 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 및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중 어느 하나인 단말. -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무선랜 모듈; 및
셀룰러(cellular) 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셀룰러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상기 무선랜 시스템의 무선랜 접속 장치와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가 누적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와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무선랜 모듈을 통해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의 접속 빈도수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를 통해 상기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가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가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인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수집하며, 상기 수집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기초로 임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 후,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말.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임시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된 누적 시간 혹은 누적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단말.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는 채널 상태 측정 결과 값 별로 측정된 횟수에 기초하여 산출된 확률 분포 함수(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또는 확률 밀도 함수(probability density function) 형태를 가지는 단말. -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무선랜 모듈 및 셀룰러(cellular) 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셀룰러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이 상기 무선랜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소정의 기간 동안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채널 상태 측정 결과와 매핑 데이터베이스 간의 매칭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무선랜 모듈을 턴온(turn-ON)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핑 데이터베이스는 무선랜 접속 장치와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가 누적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 간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 -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무선랜 모듈 및 셀룰러(cellular) 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셀룰러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이 무선랜 모듈 제어를 위한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모듈을 통해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의 접속 빈도수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를 통해 상기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가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무선랜 접속 장치가 빈번하게 접속하는 무선랜 접속 장치인 경우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셀룰러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채널 상태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핑 데이터베이스는 무선랜 접속 장치와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대한 채널 상태 측정 결과가 누적된 채널 상태 측정 데이터 간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는 무선랜 모듈 제어를 위한 매핑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 제10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9218A KR101540936B1 (ko) | 2013-07-05 | 2013-07-05 |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9218A KR101540936B1 (ko) | 2013-07-05 | 2013-07-05 |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5839A true KR20150005839A (ko) | 2015-01-15 |
KR101540936B1 KR101540936B1 (ko) | 2015-08-07 |
Family
ID=52477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9218A KR101540936B1 (ko) | 2013-07-05 | 2013-07-05 |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093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8185A (ko) * | 2016-11-23 | 2018-05-3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KR20190096739A (ko) * | 2018-02-09 | 2019-08-20 | 주식회사 케이티 | 전파맵 관리 방법 및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44659A (ja) * | 2007-08-10 | 2009-02-26 | Panasonic Corp | 通信端末および無線接続方法 |
-
2013
- 2013-07-05 KR KR1020130079218A patent/KR101540936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8185A (ko) * | 2016-11-23 | 2018-05-3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KR20190096739A (ko) * | 2018-02-09 | 2019-08-20 | 주식회사 케이티 | 전파맵 관리 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40936B1 (ko) | 2015-08-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801967B (zh) | 使用多个用户识别模块的电子装置及其提供通信服务的方法 | |
US1025776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access map and applications | |
US9426724B2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wireless scanning | |
US9462567B2 (en) | Network-level device proximity detection | |
US9491691B2 (en) | Bluetooth assisted cooperative WiFi scan and roam | |
EP2982053B1 (en) | Proximity detection in a device to device network | |
NL2011258C2 (en) | Coverage adjustment in e-utra networks. | |
EP2878156B1 (en) | Identifying coverage holes using inter-rat handover measurements | |
US11382160B2 (en) | Method of processing radio link failure, user terminal and network device | |
US10856207B2 (en) | Wireless mesh network management method, device therefor,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EP3297337A1 (en) | Access point, wireless terminal, storage medium and method utilizing pointer signal to communicate in available channel | |
US9622136B2 (en) | Methods,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apparatuses enabling to improve handover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
EP2736284A1 (en) | Cell measurement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base station and network system | |
CN113412647A (zh) | 一种接入控制方法及装置 | |
CN107820302B (zh) | 移动终端无线局域网扫描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 | |
CN107846723B (zh) | 无线局域网扫描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 |
KR101540936B1 (ko) |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 |
US20210410025A1 (en) | Dynamic triggering of minimum periodic search timer | |
KR101489665B1 (ko) | 무선랜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
JPWO2016009983A1 (ja) | 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端末 | |
US1188248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using a differentiated neighbor list | |
KR101427101B1 (ko) | 무선랜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
AU2020460273A1 (en) |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 |
JP6452132B2 (ja) |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端末 | |
KR101489664B1 (ko) | 무선랜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