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498U - Variable width multi-functional sling blanket - Google Patents
Variable width multi-functional sling blank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4498U KR20150004498U KR2020140004305U KR20140004305U KR20150004498U KR 20150004498 U KR20150004498 U KR 20150004498U KR 2020140004305 U KR2020140004305 U KR 2020140004305U KR 20140004305 U KR20140004305 U KR 20140004305U KR 20150004498 U KR20150004498 U KR 2015000449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by
- width
- fabric piece
- fabric
- waistban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47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42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41000237509 Patinopecten sp.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20637 scallop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3074 Equus as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454 Hyperhid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3460 swea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22 swe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371 to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6—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허리띠가 구비되어 아기 성장에 따라 다리 사이의 폭 및 안장 크기가 조절되는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형의 직물편과, 직물편 상단 양측에 부착되는 어깨띠로 이루어지는 포대기부와, 직물편의 일면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결합되는 허리띠와, 직물편의 양 측 사이의 폭이 조절됨으로써 포대기부에 안착되는 아기의 다리 사이 폭이 가변 되게 하는 폭 조절부와, 직물편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의 상단에 부착되는 머리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폭 조절부는 직물편에 형성되는 접힘선을 이용하여 직물편의 양단에서부터 단계적으로 접어서 조절되거나 또는 직물편의 양단을 가로지르는 터널 및 터널에 삽입되는 폭 고정끈으로 조절됨으로써, 아기의 추락 위험이 원천적으로 방지되고, 아기의 성장에 따라 다리 사이 폭이 조절될 수 있어 다리 벌어짐 현상이 방지됨과 함께 하나의 포대기로 신생아부터 유아시절까지 장기간 이용 가능하며, 아기 머리의 후부, 측부 상부가 모두 보호될 수 있는 허리띠 포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ddle cloth having a waistband and adapted to adjust the width and saddle size of the legs according to the growth of a baby. The saddle cloth includes a rectangular fabric piece, a bag base formed of a shoulder band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fabric piece, A width adjuster for varying the width between the legs of the baby that is seated on the base of the cloth by adjusting the width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 cloth piece; Wherein the width adjusting portion is adjusted by folding the fabric at both ends in a stepwise manner by using a folding line formed on the fabric piece or by a width fixing cord inserted in a tunnel and a tunnel crossing both ends of the fabric piece , The risk of falling is inherently prevented, and the width of the legs can be adjusted as the baby grows Legs and a long period of time can be used from birth with swaddling as soon as one flaring phenomenon is prevented from childhood, and to provide a belt sling in the rear of the baby's head, the upper side may be both protected.
Description
본 고안은 허리띠가 구비된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의 성장 정도에 따라 다리 폭 조절이 가능하고 비와 햇볕을 막을 수 있으며 연령에 따라 선택 가능하게 두 가지 크기의 직물편이 구비되는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addling cloth having a waistb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waddling cloth having two sizes of fabric pieces, which can control the width of a leg according to the degree of growth of infants and can prevent rain and sunshine and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age.
포대기는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써왔으며 현재까지도 사용되는 필수품으로서 유아를 업고 활동하기 위한 물건이다. 서양에서는 과거에 슬링을 많이 쓰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서양에서도 슬링보다는 장시간 착용해도 어깨 및 목과 척추에 무리가 덜 가는 포대기가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The swaddling cloth has been used in Korea since ancient times, and it is a necessity to carry on the infant as a necessity to be used until now. In the West, sling has been used a lot in the past, but in recent years, it has become more popular in the Western world than wearing a sling for a long time, which is less crowded with shoulders, neck and spine.
그런데, 전통의 포대기에도 몇가지 개선점들이 있다. 그 중에서 몇 가지를 살펴보면, 첫째로는 별도의 허리끈이 없어서 좌우 또는 상하의 균형이 맞지 않거나, 아기 엉덩이 밑을 받쳐주던 끈이 위로 미끄러지거나, 아기기가 뻗댈 경우 또는 아기 무게 자체에 의하여 아기가 아래로 처지면서 아기가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는 점이다. 도 2의 (a)를 참고하여 보면 이러한 문제점이 예상될 수 있다. By the way, there are some improvements in traditional swaddling. If you look at some of them, firstly there is no separate waistband so that the left / right or up / down balance is not balanced, or the straps that supported the bottom of the baby are slipped upwards, There is a risk that the baby may fall to the floor. This problem can be expected with reference to FIG. 2 (a).
둘째로는, 전통적인 포대기는 자주 사용하게 될 경우 유아에게 다리 벌어짐 현상(일명 'O다리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2의 (b)를 참고하면, 전통 포대기에서는 유아의 추락 방지를 위한 수단은 오직 유아와 유아를 업는 사람을 동시에 외부에서부터 감싸는 끈에만 의지하게 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더욱 확실하게 추락 방지를 하려면 더 세게 끈을 조일 수밖에 없어 이 경우 유아는 유아를 업고 있는 사람의 등으로 더 강하게 밀착되게 되고 아기 다리는 아기를 업는 사람의 몸통 둘레로 벌어지면서 밀착되어 다리 벌어짐 현상이 심하게 된다. Second, the traditional use of swaddling is that infants may experience leg widening (aka "O-legs") when used frequently. Referring to FIG. 2 (b), in the traditional swaddling, the means for preventing the fall of the infant becomes a form in which only the infant and the person carrying the infant are relied on only the strap that wraps from outside at the same tim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falling more surely, it is necessary to tighten the string more tightly. In this case, the infant is more strongly adhered to the back of the person carrying the infant, and the baby leg spreads around the waist of the baby raising person, This becomes severe.
셋째로는, 포대기와 아기가 함께 흘러내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어깨위로 끈을 넘기게 되면 끈이 아기 얼굴을 가리게 될 수도 있고, 어깨끈이 엄마의 목을 조여 불편함을 줄 수도 있다. 또 아기 엉덩이를 받치는 끈이 어깨 위로 넘어가게 되므로 끈이 아기 엉덩이 밑에서 미끄러져 빠지면서 아기가 추락할 위험이 있게 된다. 도 2의 (g)에서 이러한 문제점이 우려되는 사진이 나타나 있다.Third, if you wrap the strap over the shoulder to keep the baby and the baby from flowing together, the strap may cover the baby 's face, or the shoulder straps may tighten the mother' s neck and cause discomfort. Also, the straps that support the baby 's hips fall over the shoulder, so the strap slips underneath the baby' s butt, causing the baby to fall. In FIG. 2 (g), there is shown a picture of such a problem.
따라서 전통 포대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여러 가지 개선된 포대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아기가 흘러내리는 문제를 방지하고자 허리띠나 어깨띠가 별도로 구비된 제품이나 안장(아기를 넣는 내부포켓)이 구비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Therefore, various improved sneakers are being launched to improve the problem of traditional swaddling. To prevent the problem of flowing down the baby, there is a product that is equipped with a separate belt or sash clip or a saddle (inside pocket to hold a baby).
그런데, 아기는 계속 성장하고, 출생 초기의 유아에 비하여 몸집이 거의 두 배 이상 커질 때 까지는 포대기를 사용하여 아기와 함께 외출하게 되는 점을 고려하면, 종래의 허리띠나 안장이 구비된 슬링만으로는 해결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가지 사이즈의 고정된 안장의 크기로 신생아와 토들러(두돌)가까이의 아기가 사용하기에는 아기월령에 맞게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게 된다.However, considering that the baby continues to grow and goes out with the baby using a sling until the size of the baby is almost twice as large as that of the infant at the time of birth, the conventional sling with a waistband or saddle is not solv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solved. The size of a fixed saddle of one size makes it inconvenient for a baby near a newborn and a Toddler to use it according to the age of the baby.
즉, 안장의 크기가 신생아에게 맞는 슬링을 구매한 경우라면, 아기가 성장함에 따라 아기의 엉덩이가 커지게 되어 기존의 안장은 불편해지게 되고 장시간 착용시 아기 엉덩이에 통증이 올 수 있다. 또 안장크기가 너무 큰 슬링을 신생아 시절부터 착용시키게 되면 아기의 다리 사이가 너무 벌어져 다리 벌어짐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높게 된다.That is, if the size of the saddle is appropriate for a newborn baby, as the baby grows, the baby's hips become larger and the existing saddle becomes uncomfortable, and the baby's hip may become painful for a long time. Also, if you wear a sling that is too big for your saddle since you are a newborn baby, your baby's legs will be too wide to cause a widening of the legs.
그리고 신생아에게 사용될 수 있는 안장(신생아주머니)이 구비된 포대기의 경우에는 아기를 포대기 안에 넣은 후 포대기를 들고 안아야 하므로 포대기 착용 방법이 위험하고 불편하다. 또한 안장이 탈착이 되지 않으므로 생후 3개월이 지나서도 계속 사용하게 되면 크기가 작아서 더 이상 쓰지 못하게 되어 접힌 안장이 아기의 등에 짓눌려져 아기에게 통증이 생기는 문제도 있다. 도2의 (c)에서 (f)에는 종래 포대기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장 또는 허리띠가 구비된 포대기들의 사진이 나타나 있다.In the case of a saddle with a saddle (newborn pouch) that can be used for a newborn baby, it is dangerous and inconvenient to wear the saddle because the baby must be held inside the saddle and held with the saddle. In addition, since the saddle is not removable, if it continues to be used even after 3 months, the size of the saddle is small so that it can no longer be used, and the folded saddle is crushed on the baby's back, causing pain to the baby. FIGS. 2 (c) to 2 (f) show photographs of the saddles with saddles or waistbands to improve the conventional saddle bags.
전통 포대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기술 중 몇 가지를 구체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1a의 등록실용신안 제20-0192192호에서는, 포대기 몸체(10)에 암체결부재(30)(60)(84)가 구비되는 띠부재(20)(50)(80)가 세 군데에 마련되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대기가 제안되어 있다. 띠의 체결이 매듭 방식이 아닌 스냅식이며, 어깨띠도 별도로 마련되어 종래의 포대기에 비하여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만, 유아의 성장에 따른 조절장치가 전혀 없고, 다리 벌어짐 현상을 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없으며, 어깨띠의 경우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으므로 장시간 사용시 아기를 업는 사람의 어깨에 무리가 가해질 수 있게 된다.Some of the technologies that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traditional swaddling cloth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A, the
도1b의 등록실용신안 제20-0302127호에서는, 등받이부(10)와 엉덩이받이(20)를 가지는 포대기몸체 및 이들을 어깨에 멜 수 있는 어깨멜빵(41)(42)이 구비되고, 포대기몸체는 엉덩이받이(20)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두갈래로 연장되어 아기의 허벅지부분을 지지하는 제1,2허벅지받이(31)(32)가 구비되며, 어깨멜빵(41)(42)은 그 양단이 제1,2허벅지받이(31)(32)의 단부와 등받이(10) 상단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제1,2허벅지받이(31)(32) 사이에는 아기의 양다리가 위치될 수 있는 하부공간(70)이 형성되며 어깨멜빵(41)(42)과 포대기몸체 사이에는 아기의 양다리가 각각 위치될 수 있는 측부공간(61)(62)이 형성된 포대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게 되면 아기를 업을 때에 아기다리의 위치에 관계없이 다양한 형태로 아기를 안정적으로 업을 수 있게 된다. 다만, 여기에서도 아기의 성장 정도에 관계없이 동일한 사이즈의 안장이 사용되게 되어, 안장보다 아기가 작을 경우에는 아기가 안정되게 앉기 힘들고 불안하게 되며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멜빵이 어깨에 무리를 주지 않는 구조에 대해서는 별다른 대책이 없는 문제가 있다.1B, there is provided a cradle body having a
한편, 종래의 포대기는 어깨끈을 아기 엉덩이와 허벅지 밑으로 받치면서 묶어서 아기 엉덩이 받침대 혹은 안장 역할을 하도록 할 때 아기 엉덩이에 끈 자국이 남지 않게 하기 위하여 포대기 원단 내부에 솜을 넣고 누비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여름에는 솜으로 인하여 덥고 땀이 차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그렇다고 솜을 넣지 않고 여름용으로 얇은 재질의 포대기를 사용할 경우 끈이 아기 허벅지나 엉덩이 밑에 닿는 느낌으로 인해 아기가 불편하게 되고 끈 자국이 남게 된다. 결국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여름용과 겨울용을 별도로 사용하여야 했다. 따라서 아기의 엉덩이를 받치는 끈으로 인해 아기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하면서도 여름에 시원함을 느낄 수 있는 포대기의 개발이 필요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swaddling band, when the shoulder straps are supported and held under the baby hips and the thighs so as to serve as a baby hips stand or a saddle, quilts are often put inside the swaddling cloth to prevent stick marks on the baby hips . However, in summer, there is a problem of getting hot and sweaty due to cotton, but when you use a thin wrapping material for summer without putting cotton, the feeling of touching the straps under the baby thighs or hips makes the baby uncomfortable, do. As a result, conventionally, due to these problems, the summer and winter have to be used separate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waddling cloth that can feel cool in the summer, while preventing the baby from feeling uncomfortable due to the straps that support the baby's hips.
그리고 종래의 포대기는 어깨끈으로 아기의 엉덩이나 허벅지 받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아주 길게 형성이 된다. 어깨끈이 길게 되면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아기와 엄마의 몸을 함께 결속시킬 수 있는 점에서는 편리하나, 급하게 묶게 될 경우 긴 끈이 땅에 끌릴 수도 있고, 간단하게 묶어야 할 경우에는 끈 처리를 위하여 필요 이상으로 묶는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어 그동안 아기의 몸이 추락될 우려도 있게 된다. 따라서 긴 끈을 유지하면서도 간단하고 빠르게 포대기를 착용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The conventional swaddling cloth is formed to be very long so that the shoulder strap can serve as a baby's hips or thigh support. If the shoulder straps are long, it is convenient to bind the baby and the mother together in various ways for various purposes. However, if the straps are fastened, the long straps may be attracted to the ground. In case of simple straps, It takes a lot of time to tie more than necessary for the baby, and the baby's body may fall.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ans to wear the swimwear easily and quickly while maintaining a long string.
따라서 전통 포대기의 장점에 덧붙여, 아기가 포대기에서 흘러내리지 않게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아기의 성장에 따라 다리 폭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언제나 편하게 아기가 앉을 수 있게 하면서도 다리 벌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한편, 포대기의 장시간 사용에서도 어깨에 무리나 통증이 없는 형태의 포대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인 것이다.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advantages of the traditional swaddling clothes, the baby can be used in a stable manner so as not to fall off from the swaddling clothes, the leg wid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baby's growth, On the other hand, it is urgent to develop a swaddling cloth that does not have any difficulty or pain on the shoulder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등록실용신안 제20-0192192호(등록일자: 2000.06.01)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192192 (Registered Date: Jun. 2000)
등록실용신안 제20-0302127호(등록일자: 2003.01.11)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02127 (Registered Date: Jan. 11, 2003)
이에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아기의 추락 위험이 방지되고, 아기의 다리 벌어짐 현상이 방지되는 한편, 아기의 성장 정도에 맞춰서 아기의 안장이 형성될 수 있으며, 아기의 하중이 허리띠 및 포대기 사용자 어깨 전체로 분산될 수 있고, 아기의 머리가 젖혀지지 않도록 지지되고, 눈, 비 또는 햇볕으로부터 아기의 머리가 보호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며 어깨띠와의 분리가 가능하여 다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고, 유아시기를 완전히 벗어날 때 까지 쓰일 수 있는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risk of falling of a baby, prevent a baby's legs from being widened, The load can be dispersed throughout the waistband and the crotch user's shoulder, the baby's head is supported so that it is not tilted, and means are provided to protect the baby's head from snow, rain or sunlight, And to provide a wide variable multifunctional swaddling device that can be used until the baby is completely out of tim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는, 소정 형상의 직물편과, 직물편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어깨띠로 이루어지는 포대기부와, 직물편의 일면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결합되는 허리띠와, 허리띠의 일부가 직물편에 대하여 탈착식 또는 고정식으로 서로 결합되게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a width variable multifunctional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abric piec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 cloth base portion composed of a scabbard joined horizontally to the upper end of the fabric piece, a waistband And a coupling portion for allowing a part of the waistband to be detachably or fixedly coupled to the fabric piece.
또는 직사각형의 직물편과, 직물편 상단 양측에 부착되는 어깨띠로 이루어지는 포대기부와, 직물편의 일면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결합되는 허리띠와, 허리띠와 직물편이 서로 결합되는 결합부와, 직물편의 양 측 사이의 폭 조절로 포대기부에 안착되는 아기의 다리 사이 폭이 가변 되게 하는 폭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cloth base portion formed of a rectangular fabric piece and a shoulder belt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fabric piece; a waist belt coupled between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one surface of the fabric piece; an engaging portion in which the waist belt and the fabric piec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 width adjuster for varying a width of the legs of the baby to be seated on the base of the bag by the width adjustment between the legs.
여기서, 상기 폭 조절부는 직물편이 양 측에서부터 단계적으로 접혀서 폭이 조절 될 수 있도록 접힘이 형성되는 부위마다 표시되는 접힘선으로 되며, 상기 폭 조절부는 양측에서부터 단계적으로 접히는 상기 직물편의 접힘을 유지시키는 폭조절끈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idth adjusting portion may be a folding line that is displayed for each portion where folding is formed so that the width of the fabric is folded stepwise from both sides from both sides, and the width adjusting portion is a width for maintaining the folding of the fabric, And may further include adjustment straps.
아기 다리 사이 폭을 가변시킬 수 있는 또다른 구성으로서, 접힘선 대신에, 상기 폭 조절부는 직물편의 양측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터널과, 제1터널에 삽입되는 조임띠로 이루어져 조임띠의 노출에 따라 아기 다리 사이 폭이 조절되는 조임부로 아기 다리 사이 폭을 가변시킬 수 있다.The width adjust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tunnel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abric and a fastening band inserted into the first tunnel so that the width of the fastening band can be changed. Therefore, the width between the legs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width between the legs.
한편, 상기 결합부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신생아의 엉덩이 폭과 일치되도록 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직물편의 양 측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게 하여 허리띠 포대기를 착용할 때 쉽게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width of the engaging portion is preferably coincident with the hip width of the newborn, and the engaging portion is disposed at the center between the two sides of the fabric so as to be easily centered when the waistcoat is worn.
그리고, 상기 직물편은 상기 허리띠의 폭만큼씩 하부에서 상부로 단계적으로 접혀 올려 질 수 있는 재질로 되어 아기의 엉덩이 높이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직물편은 상기 허리띠의 폭만큼씩 하부에서 상부로 단계적으로 접혀 올라간 직물편의 접힘을 유지시키는 높이조절끈과, 허리띠 상부를 향하여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높이조절공을 더 포함하게 하여 한번 조절된 높이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fabric piece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folded up stepwise from the bottom to the top by the width of the waistband, so that the height of the hip of the baby can be varied. In particular, the fabric piece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ing strap for maintaining the folding of the fabric folded up stepwise from bottom to top by the width of the waistband, and a height adjusting hol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ward the top of the waistband, So that the height is maintained stably.
그리고, 상기 허리띠 포대기는 상기 직물편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의 상단에 부착되는 머리지지부가 더 포함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머리지지부는 머리지지부가 수납되는 주머니가 더 포함되도록 한다.Preferably, the waistcoat includes a head supporting part attached to an upper end of one of two surfaces of the fabric. The head support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pocket for receiving the head supporting portion.
머리지지부는 두 겹 이상의 직물로 이루어져 허리띠 포대기 전체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게 하며, 머리지지부의 표면에는 허리띠 포대기 수납용 개폐 수단이 마련되도록 한다.The head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of two or more layers of fabric so that an inner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whole waist banding crotch is form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ccommodating the waist banding crotch ar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head supporting portion.
이때, 머리지지부는 어깨띠에 고정 가능하도록 그 상부 끝단에 돌출되는 고정끈을 더 포함하며, 고정끈에 의하여 아기 머리의 하중이 지탱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head supporting part further includes a fixing strap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so as to be fixed to the shoulder strap, so that the load of the baby head is supported by the fixing strap.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끈은 머리지지부의 상부 양측에 두 개 이상 구비되며, 양측의 고정끈은 서로 결합 가능한 접합 수단이 구비되도록 한다.Preferably, at least two fixing cord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supporting portion, and the fixing cords on both sides are provided with joining means capable of coupling with each other.
또한, 머리지지부는 양측에 상기 고정끈이 삽입되는 제2터널을 더 포함하게 하는 한편, 제2터널에는 신축 가능한 주름이 형성되어, 제2터널 길이가 끝까지 신장되면 머리지지부가 아기 머리 상부에 덮이게 되도록 하여 햇볕이나 비 등으로부터 아기의 머리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d suppor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unnel into which the fixing strap is inserted, while a second telescopic wrinkle is formed in the second tunnel. When the second tunnel length is extended to the end, So that the baby's head can be protected from sunlight or rain.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물편은 두께방향으로 양 측의 마감 천과, 양 측의 마감 천 사이에 삽입되는 다공성 쿠션 원단을 포함하게 되어 여름에는 바람이 통하게 하여 시원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아기허벅지에 끈이 지나가도 다공성 쿠션 원단을 사용할 때 보다 끈 자국이 덜나게 되어 아기다리가 보호되도록 한다.Preferably, the fabric piece includes a porous cushion fabric inserted between the closure cloths on both sid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closure cloths on both sides, so that wind can pass through in the summer and can be used cooler. , It will have less string marks than when using a porous cushion fabric to protect the baby's leg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물편은 양면 중 상기 허리띠가 마련되는 면의 반대면의 양 측에 구비되는 어깨끈 고리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긴 어깨끈이 바닥에 끌리지 않을 수 있고, 미리 어깨끈을 걸어놓고 사용할 경우 끈을 돌려묶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면서 빨리 묶을 수 있도록 한다.Preferably, the fabric piece further includes a shoulder strap loop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pposite side of the face on which the waistband is provided, so that the long shoulder strap may not be attracted to the bottom, If you leave it, you can save time to turn the string and fasten it.
본 고안에 따른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에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The wide variable multifunctional sw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허리띠로 인하여 아기의 추락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1. Belt is prevented from falling due to belt.
2. 아기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안장의 크기가 자유롭게 가변됨으로써, 신생아 시절부터 포대기가 사용되는 마지막까지 포대기의 교체 없이 사용 가능하다.2. The size of the saddle on which the baby's buttocks rest is freely adjustable so that it can be used without replacement of the swaddling until the end of the use period of the swaddling period from the time of the newborn baby.
3. 아기의 다리가 안장이 형성되는 부위의 옆으로 자연스럽게 내려오게 되어 아기의 다리 벌어짐 현상(일명 'O'다리 현상)이 방지된다.3. Your baby's legs come down naturally to the side where the saddle is formed, preventing the baby's leg widening (aka "O" legs).
4. 아기 엉덩이가 안착되는 안장의 크기가 가변됨으로써, 아기가 계속 성장하더라도 다리 벌어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4. By varying the size of the saddle on which the baby's hips are resting, leg widening can be prevented even if the baby continues to grow.
5. 슬링의 장점인 안장 형성이 포대기에서도 가능하게 되는 한편, 포대기의 장점인 겨울철 방한 효과 및 아기 하중 분산 효과도 있게 된다.5. While saddle formation, which is an advantage of sling, is also possible in swaddling clothes, winter swelling effect and baby load dispersing effect, which are advantages of swaddling, are also obtained.
6. 아기의 머리지지부에 의하여 아기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게 된다.6. The baby's head rests on the back of the baby's head.
7. 아기의 머리지지부의 크기가 가변가능하게 되어 눈, 비, 햇볕으로부터 아기의 머리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7. The size of the baby's head support can be adjusted to make it possible to protect the baby's head from snow, rain, and sun.
8. 아기의 머리지지부에 마련되는 수납공간으로 허리띠 포대기 전체가 수납가능하게 되어 허리띠 포대기의 휴대가 간편하게 된다.8. The storage space provided in the head support part of the baby makes it possible to store the entire waistcoat, which makes it easy to carry the waistcoat.
9. 양 측의 마감 천 사이에 삽입되는 망사원단에 의하여 여름에는 바람이 통하게 하여 시원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아기허벅지에 끈이 지나가도 메쉬원단을 사용할 때 보다 끈 자국이 덜나게 되어 아기다리를 보호할 수 있으므로 여름용과 겨울용 포대기를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9. The mesh cloth inserted between the finishing cloths on both sides allows the wind to pass through in the summer, so that it can be used cooler. Even if the string passes through the baby thigh,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use summer and winter swaddlers.
10. 어깨끈 고리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긴 어깨끈을 활용할 필요가 없을 경우 미리 어깨끈 고리에 걸어 둔 상태로 착용할 수 있게 되므로 착용 시간이 단축되어 착용 와중의 아기의 추락 우려도 방지되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다.10. If you do not need to use a long shoulder strap so as to include more shoulder strap hooks, you can wear it in the way of hanging on the shoulder strap ring beforehand, shortening the wearing time, Can be worn.
11. 양쪽 어깨끈이 일체형이면서 직물편에서 분리가능하게 되므로 직물편이 별도로 아기의 간이이불이나 수유가리개로 사용될 수 있다.11. Since both shoulder straps are integral and detachable from the fabric, the fabric can be used separately as a baby's futon or as a nursing cover.
12. 직물편이 사이즈별로 두 가지 이상이 하나의 세트로 구성됨으로써, 신생아부터 유아의 마지막 단계까지 별도의 포대기나 슬링 구매 없이 하나의 포대기로 아기의 성장 정도에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어 유아의 부모에게 경제적이다.12. The fabric is composed of two sets of more than one piece per size, so that it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degree of growth of the baby in a single swaddling period without the need of separate swaddling or sling purchase from the newborn to the last stage of the infant. to be.
13. 두 가지 사이즈의 포대기는 소폭은 여름용으로, 광폭은 아기 몸 전체를 덮어주므로 겨울용 포대기 겸 아기 띠 덮개로도 활용이 가능하다.13. Two sizes of swaddling cloths are available for the summer season, and the wide swath covers the entire baby body, so it can be used as a winter swaddling and baby band cover.
14. 긴 일체형 어깨끈 내부 전체에는 스펀지나 쿠션이 있는 솜을 넣어 착용자의 어깨와 허리, 아기엉덩이의 통증을 완화시켜준다.14. Inside the long integral shoulder strap, put a cotton sponge or cushion on the inside of the shoulder, waist, and relieve the pain of the baby's buttocks.
도 1a와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의 (a) 내지 (g)는 종래의 다양한 형태의 포대기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들,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포대기의 기본 실시예에서 엉덩이 폭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포대기의 상부와 하부를 반전시켜 아기의 앉은키가 조절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3c는 본 고안에 의한 포대기의 상부와 하부를 반전시켜 아기의 앉은키가 조절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착용 사진
도 4a는 본 고안에 의한 허리띠 포대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b는 도4a의 허리띠 포대기의 배면도,
도 5는 도 4에서의 일 실시예에서 허리띠가 내면에 위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의 일 실시예에서 허리띠가 겉면에 위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허리띠 포대기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서 직물편의 폭이 가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허리띠 및 결합부가 직물편의 안쪽에 위치될 때 아기의 엉덩이와 다리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허리띠 및 결합부가 직물편의 바깥쪽에 위치될 때 아기의 엉덩이와 다리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허리띠 포대기의 높이 조절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허리띠 포대기의 머리지지부의 크기가 가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한 허리띠 포대기의 직물편의 마감 천 사이에 망사 원단이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의한 허리띠 포대기의 겉면에 마련되는 양측 고리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
도 15는 일체형 어깨띠와 직물편 상단의 어깨띠용 터널을 나타낸 평면도,
도 16의 (a)와 (b)는 본 고안에 의한 포대기가 소폭과 광폭 직물편 세트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7은 허리띠가 사용되는 여러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진,
도 18은 어깨끈에 구비되는 탈부착 고무밴드와 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진,FIGS. 1A and 1B are diagrams showing a child's cro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a) to 2 (g) are photograph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conventional various types of swaddling cloth,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in which a hip width can be adjusted in a basic embodiment of a swaddling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B is a side view showing that the sitting position of the baby can be adjusted by revers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waddling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c is a photograph of a wearer showing that the height of the baby can be adjusted by revers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ist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rear view of the waistband of Fig. 4A,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istband is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in the embodiment of FIG. 4,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istband is placed on the outer surface in the embodiment of FIG. 4;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waist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dth of the fabric piece is variable in the embodiment of Fig. 7,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hip and leg of the baby when the waistband and the engaging portion are located inside the fabric piece,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hip and leg of the baby when the waistband and the engaging portion are located outside the fabric piece,
FIG. 1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height adjustment state of a waistco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ze of the head support portion of the waistco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ariable,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a mesh cloth is inserted between cloth closure cloths of a fabric of a waist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both side ring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ist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lan view showing an integrated shoulder band and a shoulder strap tunnel at the upper end of the fabric piece,
16 (a) and 16 (b) are plan views showing that the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small-width and wide-
17 is a photograph showing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a waistband is used,
18 is a view showing a removable rubber band provided on a shoulder strap,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인 허리띠 포대기(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4와 도7에는 본 고안에 관하여 각각 두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4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 다음 도7의 실시예를 살펴본 후에 아기의 머리지지부에 대하여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
Figs. 4 and 7 show tw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embodiment of FIG. 4 will be described, and then the embodiment of FIG. 7 will be described.
본 고안에 의한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는 소정 형상의 직물편(11)과, 직물편(11)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어깨띠(12)로 이루어지는 포대기부(10)와, 직물편(11)의 일면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결합되는 허리띠(20)와, 허리띠(20)의 일부가 직물편(11)에 대하여 탈착식 또는 고정식으로 서로 결합되게 하는 결합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width variable multifunctional cloth sw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도4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에서 몇가지 구성이 더 추가된 것이지만 도4의 실시예에는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의 구성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므로 도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를 살펴볼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FIG. 4 is further modified in the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of FIG. 4 includes all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look at it.
후술하겠지만, 본 고안은 전통적인 포대기에 허리띠(20)를 결합시킴으로써 아기의 엉덩이 자리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아기 엉덩이 자리에 해당되는 안장의 크기가 조절 가능하게 되는 한편 아기의 추락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며, 포대기의 상하를 반전시켜 착용시에 아기의 앉은 키에 대응될 수 있게 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a waistband (20) with a conventional swaddling cloth to naturally form the hip of the baby, adjust the size of the saddle corresponding to the baby's buttocks, prevent the baby from falling dow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can be revers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seat when the baby is worn.
도3a를 참조하면 기본적으로 직물편(11)의 일면에 결합되는 허리띠(20)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아기의 안장이 형성되고 아기의 다리가 편안하게 늘어질 수 있게 되어 O다리가 방지됨과 아울러 아기의 엉덩이가 위치되는 안장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A, a saddle of a baby is naturally formed by a
도3a에는 허리띠(20)가 직물편(11)의 겉면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허리띠(20)는 직물편(11)의 안쪽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큰 아기의 경우 아기의 엉덩이가 커서 안장 크기 조절이 필요없게 될 때는 도5와 같은 방식으로 허리띠(20)가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아기의 추락 방지 및 O다리 형성이 배재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동일하다.3A shows the
한편, 신생아의 경우 아기의 앉은키가 작으므로 포대기 상부 끝단이 아기의 머리보다 더 높아서 아기의 머리가 포대기 안에 파묻히게 되어 답답함을 느끼게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허리띠(20)를 상부로 감아올려서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는 도3b에서처럼 포대기의 상부와 하부를 반전시켜 하부 끝단이 상부에 위치되고 상부 끝단은 하부에 위치되도록 착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newborn baby, since the seat height of the baby is small, the upper end of the swaddling cap is higher than the baby's head, so that the baby's head is buried in the swaddling clothes. In this case, the
이처럼 상부와 하부가 반전될 경우 허리띠(20) 아래 부분이 길게 되므로 아래로 길게 내려오는 원래의 상부 직물편을 도3b에서처럼 아기의 등 뒤로 다시 감아올려서 착용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허리띠(20) 두께만큼 직물편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어 자연스럽게 아기의 앉은 키 조절이 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reversed, the lower portion of the
도3c의 사진은 도3b의 사용법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3c의 (a)는 본 고안에 의한 포대기를 원래의 상하방향, 즉 허리띠를 기준으로 끝단까지의 길이가 긴 쪽이 상부로 되고 짧은 쪽이 하부로 될 때의 포대기의 착용 사진이다. 앞서 설명된 대로 신생아나 그에 준하는 작은 애기의 경우에는 도3c의 (a)에서처럼 아기의 앉은키가 작아 머리가 포대기의 상부아래에 파묻히게 된다.The photograph of FIG. 3c is a photograph showing the usage of FIG. 3b. Fig. 3 (a) is a photograph of a swimwear when the swim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original up-and-down direction, that is, the longer the length from the waist to the end is the upper side and the shorter side is the lower side.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newborn baby or its equivalent small baby, the height of the baby's seat is small as shown in (a) of FIG. 3c, and the head is buried under the upper part of the nest.
도3c의 (b)는 포대기의 상부와 하부를 반전시켜서 사용하게 되는 모습이다. 사진에서처럼 아래로 처진 원래 상부 부분을 아래에서 위로 접어올리면서 그 접어올림으로 형성되는 공간 사이에 아기가 자리잡게 된다. 이때에는 허리띠(20)의 폭 만큼 포대기 상부 높이가 낮아지게 되므로 아기의 앉은 키에 따른 포대기의 높이 조절이 한결 용이하게 되는 광경이 나타나 있다.FIG. 3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loth are reversed. As shown in the picture, the baby is positioned between the spaces formed by the folds, while folding down the original upper part from below. At this time, since the height of the upper part of the panty is lowered by the width of the
참고로, 사진에서는 포대기를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나오는데, 사용 목적에 따라서 전통 포대기처럼 사용자인 엄마의 등 뒤로 착용할 수도 있고, 사진에서처럼 사용자인 엄마의 정면에 착용하게 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in the photograph, a swaddling cloth is placed in front of the user.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the swaddling cloth may be worn on the back of the user's mother like a traditional swaddling cloth, or may be worn on the front of the user mother as shown in the photograph.
그리고 허리띠와 직물편이 결합되는 장소인 결합부(30)는 그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결합의 방식도 재봉에 의하여 고정 결합이 될 수도 있고 또는 결합부(30)자체가 하나의 밴드 고리처럼 형성되고 허리띠(20)가 이 고리에 통과되면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는 허리띠(20)가 양측으로 중심이 쉽게 벗어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결합부(30)인 고리 안쪽과 허리띠(20)의 중앙에 벨크로 테이프나 스냅 단추가 부착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다음으로는 도4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embodiment of FIG. 4 will be described.
도4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포대기에서 아기 엉덩이 크기의 조절이 눈으로 명확하게 보일 수 있도록 폭 조절부(40)를 별도로 형성시킨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FIG. 4, the
먼저, 도4의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살펴보면, 본 고안에 의한 허리띠 포대기(1)는 직사각형의 직물편(11)과, 직물편(11) 상단 양측에 부착되는 어깨띠(12)로 이루어지는 포대기부(10)와, 직물편(11)의 일면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결합되는 허리띠(20)와, 직물편(11)의 양 측 사이의 폭이 조절됨으로써 포대기부(10)에 안착되는 아기의 다리 사이 폭이 가변 되게 하는 폭 조절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어깨띠(12)는 도4에서는 직물편(11)의 상단의 양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으나 반드시 양측 방향만을 향하는 것은 아니며 직물편(11)의 상부를 향할 수 있도록 직물편(1)의 상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후술하겠지만 어깨띠(12)는 도15를 참조하면, 일체로 형성되어 직물편(11) 상단에 형성되는 어깨띠용 터널(13)에 결합될 수도 있다.In FIG. 4, the shoulder straps 12 are attached in the direction toward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결합부(30)는 바람직하게는 직물편(11)의 양 단 사이의 중앙과 허리띠(20)의 중앙이 서로 만나 이루어지게 된다. 결합부(30)는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탈착식일 수도 있고 고정식일 수도 있다. 탈착식일 경우에는 탈착의 방식에는 제한은 없다. 가령 좌우로 관통 가능한 고리(미도시)가 직물편의 일면에 형성되고 이 고리에 허리띠(20)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탈착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허리띠(20)가 고리를 관통한 상태에서 쉽게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리 내부 및 허리띠(20)의 중앙에 밸크로나 스냅 단추 등의 결합 수단(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허리띠(20)가 고정식으로 직물편(11)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함께 재봉될 수도 있으며 결합의 방식에는 제한은 없다.The engaging
폭 조절부(40)는 도4의 실시예에서는 접힘선(41)과 폭 고정끈(42)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접힘선(41)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직물편(11)이 양단부에서부터 단계적으로 접힐 수 있는 재봉선의 방식 혹은 미리 형성되는 주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직물편(11) 자체가 쉽게 접힐 수 있는 재질이어서 추가적인 재봉선이 필요 없더라도, 직물편(11)의 양측이 접히는 폭이 동일하게 되는 것이 쉽게 눈으로 판단될 수 있도록 접힘선이 염색선 또는 재봉선으로 형성되고 각 접힘선 사이의 인접되는 구간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하면서 양 측에서 서로 대응되는 구간의 색상은 같게 하는 것이다. 또는 별도의 접힘선 없이 접힘으로 형성되는 영역마다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양측의 접힘 단계가 서로 일치되도록 같은 접힘 단계는 양측이 같은 색상으로 하여 양 측의 균형이 맞게 한다. 이럴 경우에는 양 측이 접히는 정도가 쉽게 파악될 수 있게 되어 아기가 허리띠 포대기(1)에 안착될 때 아기 엉덩이 안장의 좌우 크기와 양 다리 사이 폭의 균형이 알맞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The
이하에서는 도5와 도6을 참조하여 도4의 실시예의 허리띠 포대기(1)에서의 각 구성이 서로 어떻게 작용되어 아기 다리 사이 폭이 조절되고 엉덩이 아래 안장 크기가 가변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5 and FIG. 6, a detailed examination will be made as to how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the
도5는 직물편(11)과 허리띠(20)가 서로 결합되는 결합부(30)가 안쪽에 위치되도록 허리띠 포대기(1)를 착용할 경우에 아기의 엉덩이 하부에 안장이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6에서는 결합부(30)가 바깥쪽에 위치되도록 포대기를 착용할 경우에 아기의 엉덩이 하부에 안장이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5 shows a state in which a saddl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hip of the baby when the
도5와 도6을 함께 살필 때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의한 허리띠 포대기(1)는 허리띠(20)의 위치가 안쪽일 수도 있고 바깥쪽일 수도 있다. 즉, 허리띠 포대기(1)의 양 면이 바깥쪽과 안쪽으로 미리 구분되어 정해지는 방식이 아니라 사용 목적에 따라 안과 밖은 서로 바뀔 수 있는 것이다.As can be seen from FIG. 5 and FIG. 6 together, the
도5를 참조하면, 허리띠(20)가 직물편(11)의 안쪽에 위치될 경우에는 아기의 등에 의하여 뒤쪽으로 팽만되는 직물편(11)과 허리띠 포대기(1)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허리띠(20)의 결합부(30) 사이에 팽팽하게 되는 자리가 바로 아기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안장으로 형성되게 된다. 즉, 아기의 등에 의하여 팽만되는 부위와 허리띠의 결합부(30)가 위치되는 부위의 사이에 아기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아기의 다리는 안장의 좌우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내려오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포대기는 아기의 다리가 허리띠로 사용되는 어깨띠와 포대기 사용자의 허리 사이에 끼워지게 되기 때문에 아기의 추락 방지를 위해서 아기를 밀착시키려면 아기의 다리가 포대기 사용자의 허리에 수평에 가까운 방향으로 감기게 되어 다리 벌어짐 현상이 생길 수 밖에 없게 되나, 본 고안에 의한 허리띠 포대기(1)에서는 아기 다리가 허리띠(20) 밖으로 빠져나오게 되어 다리 벌어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안장의 형성으로 인하여 아기의 추락 위험은 원천적으로 해소되는 것이다.5, when the
한편 후술하게 될 머리지지부(50)는 직물편(11)의 양면 중 어느 쪽에 구비되어도 상관없으며, 도5와 도6에서 머리지지부(50)가 구비되는 면은 서로 다르게 도시되어 있다.The
도9에는 허리띠(20) 및 결합부(30)가 직물편(11)의 안쪽면에 위치되는 경우에 아기의 발과 다리 및 엉덩이가 위치되는 지점이 평면도로 나타나 있다. 도9에서의 A1이 안장으로 형성되어 아기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지점이 되며 F지점은 양발 및 양다리가 내려가게 되는 공간이 된다. 도10에는 허리띠(20) 및 결합부(30)가 직물편(11)의 바깥쪽 면에 위치되는 경우에 아기의 발과 다리 및 엉덩이가 위치되는 지점이 평면도로 나타나 있다. 도10에서의 A2가 안장으로 형성되어 아기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지점이 되며 F지점은 양발 및 양다리가 내려가게 되는 공간이 된다. 아기 다리 사이의 폭 또는 안장의 폭 조절은 허리띠(20) 및 결합부(30)가 직물편(11)의 바깥쪽 면에 위치되는 경우에 가능하므로 이하에서 아기의 안장은 A2인 것으로 한다.9 is a plan view showing a position where the foot, legs and hips of a baby are positioned when the
하지만, 도5에서처럼 허리띠(20)가 직물편(11)의 안쪽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안장(A2)의 좌우 폭 조절은 안되므로 안장(A2)의 좌우 폭 조절이 가능하려면 허리띠(20) 및 결합부(30)는 직물편(11)의 바깥쪽에 위치되어야 한다. 허리띠(20)가 직물편(11)의 안쪽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안장(A2)의 크기는 허리띠(20)가 직물편(11)에 부착되는 장소인 결합부(30)의 좌우 폭에 의하여 결정되게 되며, 결합부(30)의 좌우 폭의 크기는 신생아의 엉덩이 크기에 맞춰지게 되므로, 아기가 성장하면서 더 큰 안장(A2)이 요구된다면 허리띠(20)와 결합부(30)는 직물편(11)의 바깥쪽에 위치될 수밖에 없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엉덩이 폭 조절 방식 때문이다.5, since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saddle A2 can not be adjusted when the
도4의 실시예에서는 아기의 다리 사이 폭이 가변되게 하는 방식으로서 접힘선(41)과 폭 고정끈(42)을 이용하는 방식이 나타나 있다. 허리띠(20)와 결합부(30)가 직물편(11)의 바깥쪽에 위치되면 도10에서의 아기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안장(A2)은 허리띠(20)와 사용자의 허리 사이에 삽입되는 직물편(11)의 폭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결합부(30)의 폭은 직물편(11)의 좌우 폭이 가장 좁혀질 수 있는 한계에 불과하며 결합부(30)의 좌우 폭에 의하여 안장(A2)의 크기가 결정되지는 않고 직물편(11)이 양측에서부터 단계적으로 접히는 정도에 의하여 안장(A2)의 크기가 결정 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아기가 신생아 시절부터 거의 두 배의 크기로 성장할 때까지 본 고안에 의한 허리띠 포대기(1) 하나로 종래 포대기 또는 슬링의 역할이 모두 대체될 수 있게 되어 아기의 성장에 따라 더 큰 사이즈의 포대기를 구입해야 할 필요성은 없어지게 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필요한 만큼 좌우에서 접어서 아기에게 적절한 크기의 안장(A2)이 형성되도록 직물편(11)의 좌우 폭이 조절 되고나면, 좌우 폭이 조절된 직물편(11)이 고정될 수 있도록 폭 고정끈(4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리띠 포대기(1)를 사용할 때 마다 필요한 크기만큼 매번 직물편(11)을 접어야 한다면 상당히 불편 해 지기 때문이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조적으로 밸크로 테이프나 스냅 단추 등이 허리띠 아래 부분에 배치되게 하여 접힘선(41)으로 구획되는 각 구간들이 인접되는 구간마다 차례로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하면 한번 조절된 직물편(11)의 폭이 훨씬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The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도10에는 허리띠(20)와 결합부(30)가 직물편(11)의 바깥쪽에 위치될 경우에 아기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안장(A2)과 아기의 다리의 위치(F)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부(30)가 점선처리 된 것은 직물편(11)이 허리띠 포대기(1) 사용자의 허리와 결합부(30) 사이에 삽입되게 되어 도10에서처럼 위에서 내려다보는 평면도에서는 결합부(30)는 허리띠(20)에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Fig. 10 shows the saddle A2 and the baby's leg position F where the hip of the baby is seated when the
이하에서는 도7과 도8에 도시되어 있는 아기 다리 사이 폭 조절 방식에 대한 두 번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adjusting the width between legs shown in FIGS. 7 and 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전체적인 구성은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하며 한 가지 차이점은 폭 조절부(40)가 첫 번째 실시예와 다른 것이다. 두 번째 실시예의 폭 조절부(40)는 직물편(11)의 양측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터널(46)과, 제1터널(46)에 삽입되는 조임띠(45)로 이루어지며 제1터널(46)의 신축에 따른 조임띠(45)의 노출 정도에 따라 아기 다리 사이 폭이 조절되는 방식이다. 이때, 조임띠(45)에는 버튼을 파지하면 조임띠(45)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버튼을 놓으면 그 지점에서 고정되는 고정버튼(47)을 더 구비되게 할 수 있다. 제1터널(46) 및 조임띠(45)의 위치는 도7에서 나타난 것처럼 바람직하게는 허리띠(20)의 아래에 배치되게 한다. 허리띠(20)의 위에 제1터널(46) 및 조임띠(45)가 배치되면 조임에 의하여 형성되는 직물편(11)의 주름 때문에 아기가 불편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주름이 완화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제1터널(46) 및 조임띠(45)가 허리띠(20)의 위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The overall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one difference is that the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결합부(30)양측에 복수개의 폭 조절용 고리를 더 두고 허리띠를 선택적으로 폭 조절용 고리에 통과시키면 통과되는 고리의 폭 만큼 안장의 폭이 조절될 수도 있어서 다리폭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f a plurality of width adjusting ring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또한 도4와 도7의 실시예 모두에 동일하게 아기가 안착되는 안장(A2)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결합부(30)와 결합부(30)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허리띠(20)를 위로 접는 방식으로 말아 올려서 허리띠 포대기(1)를 착용하는 것이다. Also, the height of the saddle A2 on which the baby is seated can be adjusted in both of the embodiments of Figs. 4 and 7. Concretely, the
본 고안에 의한 허리띠 포대기(1)는 신생아부터 일반적인 포대기 사용의 마지막 단계까지 사용될 수 있게 되어야 하므로 아기의 앉은키의 변화에도 대응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신생아의 경우에는 앉은키가 낮은 관계로 허리띠(20)를 접어 올리지 않으면 아기의 머리 위치가 직물편(11) 상부로 돌출되지 못하고 직물편(11)의 상단 아래에 묻히게 되어 답답함을 느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The belt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must be able to be used from the newborn to the last stage of the general use of the swab, so that it can cope with the change of the sitting height of the bab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newborn baby, if the
접어 올리는 방향은 직물편(11)의 어느 면이든 무방하다. 도11에는 허리띠(20) 및 결합부(30)를 접어 올리는 실시예가 측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The folding direction may be any surface of the
바람직하게는 접어올린 허리띠(20)의 높이가 유지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접힘유지수단(18-1,18-2)과 접힘유지끈(19)을 구비하게 하여 높이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4a 에는 접힘유지수단(18)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11에는 접힘유지수단(18-1,18-2)과 접힘유지수단(19)을 이용하여 접어올린 허리띠(20) 및 결합부(30)의 접힘 상태가 유지되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Preferably, means for maintaining the height of the folded
허리띠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에 위치되는 접힘유지수단(18-1)과 하부에 위치되는 접힘유지수단(18-2)은 도4a의 실시예에서는 구멍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접힘유지끈(19)이 상부와 하부의 접힘유지수단(18-1,18-2)을 관통하면서 묶여져서 허리띠(20)가 접혀 올라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된다. 그러나 접힘유지수단(18-1,18-2)는 반드시 도4a의 실시예의 방식일 필요는 없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냅단추일 수도 있고 혹은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스냅단추와 밸크로 테이프가 함께 쓰여지도록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The folding and holding means 18-1 and 18-2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waistband are shown as holes in the embodiment of Fig. Is fold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olding and holding means 18-1 and 18-2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that the folded state of the
하지만 사용하기에 따라 굳이 접힘유지수단(18-1,18-2)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본 고안에 의한 포대기의 사용법이 숙련됨에 따라 적절한 위치로 허리띠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말아 올려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높이 조절 방식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를 수 있다.However, even if the folding and holding means 18-1 and 18-2 are not used according to the use, the belt can be rolled up to an appropriate position inward or outward as it is skilled in the use of the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height adjustment method can be selected by the user.
도11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11의 (a)는 허리띠(20)를 한 번 접어 올렸을 때의 측단면도이며, 도11의 (b)는 허리띠(20)를 두 번 접어 올렸을 때의 측단면도이다. 허리띠(20)를 허리에 감아서 단단하게 묶는 것 만으로도 접힘은 유지될 수 있으며, 접힘유지끈(19)은 포대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접힘 상태가 늘 유지되도록 하여 다시 사용할 때 새로 접을 필요없이 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11 (a) is a side sectional view when the
도11에서 접힘 부분의 테두리처럼 도시된 빗금 부분은 접힘유지끈(19)을 나타낸다. 그리고, 접힘유지끈이 직물편을 통과할 수 있는 것은 도4a에 도시되어 있는 접힘유지수단(18-1,18-2)으로 인한 것인데 앞서 설명된 바 대로 접힘유지수단(18-1,18-2)은 관통공이어서 접힘유지끈(19)이 통과될 수 있는 것이다.In Fig. 11, the hatched portion shown as the rim of the folded portion represents the folded holding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직물편은 두께방향으로 양 측의 마감 천(111)과, 양 측의 마감 천(111) 사이에 삽입되는 다공성 쿠션 원단(1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아기 엉덩이 및 허벅지 아래를 받쳐주는 어깨끈(12)의 자국이 남지 않을 수 있게 되면서도 다공성 원단이 내부에 수많은 공간이 형성되는 특성상 여름에도 바람이 통할 수 있어서 답답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이때의 다공성 원단은 망사원단 또는 에어메쉬원단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fabric piece may include a
그리고 도 14에는 상기 직물편(11)의 양면 중 허리띠(20)가 마련되는 면의 반대면 상의 양 측에 부착되는 어깨끈 고리(14)가 도시되어 있다. 어깨끈 고리(14)의 위치는 상부와 하부 사이에 부착시킨다. 필요에 따라서는 어깨끈(12) 시작 위치에 부착시킬 수도 있고, 허리띠(20)와 같은 높이의 위치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어깨끈 고리(14)에 대해서는 작용 면의 서술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14 shows a
이하에서는 아기의 머리지지부(50)의 구조 및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baby's
머리지지부(50)는 직물편(11)의 일면에서 상단에 부착된다. 머리지지부(50)가 부착되는 면은 반드시 허리띠(20)가 부착되는 결합부(30)가 존재하는 면일 필요는 없으며 그 반대면에 부착되더라도 무방하다. 하지만, 머리지지부(50)는 아기의 머리가 위치되는 곳의 뒤통수이어야 하므로 직물편(11)의 수평방향의 양 단 사이에서는 중앙에 위치되도록 한다.A head support (50)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fabric piece (11). The surface to which the
머리지지부(50)는 머리지지부(50)가 수납되는 수납 주머니(51)를 더 포함하게 된다. 수납 주머니(51)는 바람직하게는 머리지지부(50)의 인접 하부에 부착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머리지지부(50)의 수납 후에 잠글 수 있는 스냅단추나 지퍼 혹은 밸크로 테이프 등의 잠금 수단이 부착되도록 한다.The
머리지지부(50)는 수납 주머니(51)에서 꺼내어서 끝까지 펼치게 되면 아기의 머리 상부가 여유 있게 덮일 수 있는 정도의 크기가 된다. 머리지지부(50)의 양측에는 제2터널(57)이 마련되고 제2터널(57) 내부에 머리지지부(5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끈(55)이 삽입되어 연결끈(55)을 뽑으면서 머리지지부(50)가 축소되면 아기의 머리가 뒤로 혹은 옆으로 젖혀지지 않게 하는 지지수단으로서 작용되게 된다. 이때, 머리지지부(50)가 아기 머리 하중에 버틸 수 있게 되는 원리는 연결끈(55)에 의해서 가능하게 된다.When the
도12에서는 머리지지부(50)가 머리 뒤통수만을 지지하는 경우와 머리 상부까지 보호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머리 상부까지 보호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머리지지부(50)를 끝까지 펼쳐야 한다. 이때, 먼저 연결끈(55)을 도12에서처럼 팽팽하게 당긴 다음 머리지지부(50)를 당기면 머리지지부 양 측의 제2터널(57)이 펼쳐지면서 머리 상부까지 머리지지부(50)가 덮이게 되는 것이다.12 shows a case in which the
연결끈(55)의 길이는 연결끈(55)을 허리띠 포대기(1) 사용자의 어깨를 넘겨 정면에 착용되는 어깨띠(12)에 고정시킬 수 있을 정도로 길게 형성시킨다. 따라서, 아기 머리 뒤에 위치되는 머리지지부(50)는 아기의 머리 뒤쪽 방향과 옆쪽 방향으로 팽팽하게 되어 아기의 머리가 젖히지 않게 된다. 하지만, 좌우 폭은 아기의 좌우 시야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한다.The length of the connection cord 55 is formed to be long enough to allow the connection cord 55 to pass over the shoulder of the user of the
연결끈(55)이 허리띠 포대기(1) 사용자의 정면에서 고정되는 방식은 여러 가지일 수 있으며, 도4의 실시예에서는 연결끈(55)의 끝단 근처에 복수개의 연결끈 접합수단(56a,56b)을 두어서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연결끈 접합수단(56a,56b)은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추, 스냅단추, 밸크로 테이프 혹은 매듭방식일 수도 있다. 양 측의 연결끈(55)의 연결끈 접합수단(56a,56b)은 서로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서로에 대하여 암수 구조로 된다. 양 측의 연결끈(55) 중 하나는 허리띠 포대기(1) 사용자 정면의 어깨끈(12)을 통과하고 나머지 하나는 통과되지 않게 하여 양 측의 연결끈(55)을 결합시키면 아기 머리 뒤의 머리지지부(50)에 아기 머리의 하중을 버틸 수 있는 힘이 걸리게 되는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FIG. 4, a plurality of connecting cord fastening means 56a, 56b (56a, 56b) may be provided near the end of the connecting cord 55 in a manner that the connecting cord 55 is fixed at the front face of the user of the belt- ) So that they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connecting
그리고, 비나 눈이 오거나 햇살이 강하여 아기의 머리 상부가 보호되어야 할 경우에는 머리지지부(50) 양측의 제2터널(57)을 쭉 펼쳐서 머리지지부(50) 전체가 펴지게 함으로써 머리지지부(50)는 아기 머리 위의 천막 혹은 모자 역할로 작용하게 되어 기후의 변화가 있더라도 아기의 머리 상부가 보호되게 된다.When the upper part of the head of the baby is to be protected due to rain, snow or strong sunlight, the
한편, 머리지지부(50)는 펼쳤을 때 크기가 크므로 머리지지부(50)를 이용하여 허리띠 포대기(1) 전체가 머리지지부(50) 내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머리지지부(50)가 이중 이상의 복겹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복겹 사이 공간에 허리띠 포대기(1) 전체를 삽입하는 방식이다. 허리띠 포대기(1) 전체의 수납 절차가 좀 더 간편하게 되기 위해서는 머리지지부(50)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폐수단(53)을 통하여 머리지지부(50)를 뒤집고, 뒤집어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작게 접힌 허리띠 포대기(1)를 밀어넣어 수납시킨 후 개폐수단(53)을 닫는다. 개폐수단(53)은 지퍼나 단추 혹은 스냅단추일 수도 있고 밸크로 테이프 기타 개폐 가 가능하게 되는 방식일 수 있으므로 개폐수단(53)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Since the
머리지지부(50)에 허리띠 포대기(1) 전체가 수납되고 나면 허리띠 포대기(1)는 하나의 작은 가방처럼 되어 휴대가 간편해진다. 수납된 허리띠 포대기(1)를 유모차나 승용차에 구비되는 옷걸이 등에 걸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연결끈(55) 내에서 연결끈 접합수단(56a,56b)이 하나의 연결끈의 일측(56a,56b)과 타측(56b,56a)에 모두 구비되게 하고, 양 단 각각이 서로에 대하여 암수 관계로 대응되는 형상을 취하게 하여 결합시켜 하나의 연결끈이 링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형성된 링 형상을 유모차 등에 구비되는 옷걸이 등의 걸림 수단에 걸어서 휴대가 가능하게 될 수 있으므로 분실의 염려가 적어지고 언제든지 필요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연결끈(55)은 허리띠 포대기(1) 전체가 머리지지부(50) 내에 수납되더라도 머리지지부(50) 밖으로 돌출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After the entirety of the
한편,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망사 원단 또는 에어 메쉬 원단과 같은 다공성 쿠션 원단(112)을 직물편의 양 면에 각각 구비되는 마감 천 사이에 삽입하게 되면, 일단 아기의 엉덩이를 받치는 끈의 촉감이 아기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을 수 있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바람이 통하므로 여름에도 답답함을 느끼지 않도록 해 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아기가 여름용 포대기와 겨울용 포대기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13, when a
그리고,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직물편의 양면 중 허리띠가 마련되는 면의 반대 면에 어깨끈(12)이 통과될 수 있는 어깨띠 고리(14)가 양 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어깨띠 고리(14)는 어깨끈(12)이 바닥에 끌리지 않게 하고 어깨끈(12)의 남는 부분을 말아서 정리 가능하도록 해 준다.14A, it can be seen that a pair of
통상적으로 일반적인 포대기의 어깨띠는 아기의 엉덩이 밑으로 돌려 안장으로 활용할 수도 있고 또는 아기의 등 뒤로 둘러서 아기와 포대기 착용자를 더 강하게 결속시켜 줄 수 있게 하는 등의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길이가 길게 된다.Generally, the shoulder belt of a general swaddling cloth can be used as a saddle by turning it under the baby's hips, or it can be wrapped around the back of the baby to make it stronger for the baby and the swaddling wearer.
하지만, 어깨띠를 결속 용도로만 사용할 경우에는 포대기를 착용 할 때 마다 착용을 위해서 어깨띠로 아기와 착용자의 몸을 여러 번 감아야 되므로 어깨띠의 긴 길이가 거추장스럽게 된다. 이럴 경우 여러번 감지 않으면 어깨띠는 바닥에 길게 끌리게 된다.However, when using a scarf only for binding purposes, the long length of the scarf is inconvenient because the scarf must be wrapped around the baby and the wearer's body several times to wear each time the scarf is worn. In this case, if you do not detect it many times, the scythe will be drawn long on the floor.
따라서, 어깨띠(12)가 단순히 결속 용도로만 사용될 경우를 대비하여 어깨띠 고리(14)를 직물편(11)에서 허리띠(20)가 구비되는 면의 반대면의 양측에 각각 마련하여 도14의 (b)에서처럼 어깨띠(12)의 남는 부분이 정리될 수 있도록 한다.14 (b)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pposite side of the face where the
한편, 어깨띠(12)는 바람직하게는 직물편(11)의 상측 양단에 각각 부착되는 형태가 아니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되며, 직물편(11)의 상단에는 일체형 어깨띠(12)가 수평으로 통과되는 어깨띠터널(13)이 형성되어 어깨띠(12)가 직물편(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The upper side of the
이럴 경우 어깨띠(12)를 빼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shoulder belt (12) and use it for various purposes.
참고로, 어깨띠(12) 또는 허리띠(20)를 직물편(11)에서 분리시켜서 본 고안에 의한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데, 가령 수유가리게로도 활용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아기 이불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허리띠와 어깨띠를 자유자재로 활용하여 아기가 엄마 등에서 옆으로 돌아누울 수도 있다. 도17의 사진에는 이처럼 허리띠와 어깨띠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하여 사진으로 표현이 되어 있다.For reference, the wide and variable multifunctional cloth sw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by separating the
또한, 이때 도18의 사진에서처럼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은 어깨띠 또는 허리띠 정리용 탄성밴드(60)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본 고안에 의한 포대기의 활용 방법을 더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18의 사진에는 이처럼 탄성밴드(60)를 활용하여 본 고안에 의한 포대기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the photograph of FIG. 18,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탄성밴드(60)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어깨끈(12)의 양 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도록 한다. 도18을 참조하면, 도18의 (b)처럼 어깨띠를 교차시킨 다음 탄성밴드(60)를 미리 교차지점에 고정시키고나서 포대기를 착용할 때에는 교차지점과 직물편 사이에 머리를 집어넣으며 포대기를 착용하게 되면 도18의 (a)와 같이 착용 될 수 있어서 쉽게 끈을 묶을 수 있게 되어 포대기 착용 과정에서의 아기의 추락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The
또는 도18의 (c)에서처럼 평소 끈 정리를 위하여 활용될 수도 있고 도18의 (d)와 (e)에서처럼 두 개의 탄성밴드(60)를 앞뒤로 착용하면서 본 고안에 의한 포대기를 슬링처럼 활용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8 (c),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swinging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sling while wearing two
그리고 도16의 (a)와 (b)처럼 본 고안에 의한 포대기는 하나의 세트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직물편 상단의 어깨띠 결합용 수평 터널과, 직물편의 양 측 사이의 폭이 조절됨으로써 포대기부에 안착되는 아기의 다리 사이 폭이 가변 되게 하는 폭 조절 수단이 마련되는 소폭 직물편(300)과, 직물편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어깨띠의 관통용 터널이 마련되며 상기 소폭 직물편 보다 폭이 더 큰 광폭 직물편(400)과, 직물편의 일면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결합되는 허리띠(200)와, 소폭 또는 광폭 직물편의 수평 터널에 결합되는 어깨띠(120)를 포함하는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 세트로 구비되는 것이다.16 (a) and 16 (b), the swadd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in one set. That is, the
도16의 (a)에는 소폭 직물편(300)이 도시되어 있고, (b)에는 광폭 직물편(400)이 도시되어 있으며, 소폭 직물편(300)과 광폭 직물편(400)모두에 공통으로 쓰이는 허리띠(200)와 어깨띠(120)는 하나의 세트에 하나씩만 들어가지만 도면상에는 도16의 (a)와 (b)에 모두 도시되어 있다.Fig. 16a shows a
이렇게 세트로 구비되면 신생아시절부터 생후 대략24개월 까지는 소폭 직물편(300)의 폭 조절 수단을 이용하여 아기의 성장에 맞춰서 포대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생후 대략24개월 이후부터는 폭 조절 보다는 광폭 직물편(400)과, 탈착 가능한 어깨띠(120)와 허리띠(200)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이다.In this set, when the baby is grown from the age of newborn to approximately 24 months after birth, the width of the woven
이 경우 소폭 직물편(300)도 마찬가지이지만, 특히 광폭 직물편(400)은 휴대용 아기 이불 또는 수유용 가리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광폭 직물편(400)의 경우는 걸음마 단계에 있는 비교적 덩치가 큰 유아를 위하여 쓰여지게 되므로 도4에서의 폭 조절용 주름(41)은 굳이 필요 하진 않게 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인 도4에서의 결합부(30)도 그 수평 길이가 길게 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그리고, 앞서와 마찬가지로 도4에서의 결합부(30)의 위치는 광폭 직물편(400)의 앞면 또는 뒷면 어디든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허리띠(200)는 광폭 직물편(400)의 어느 면에 결합되어도 상관없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허리띠(200)는 광폭 직물편에 쉽게 탈착 가능하도록 한다. 탈착 방법은 도4에서처럼 탈착의 방식에는 제한은 없다. 가령 결합부(30)가 좌우로 관통 가능한 고리(미도시)가 직물편의 일면에 형성되고 이 고리에 허리띠(200)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탈착될 수 있다.
4, the position of the engag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 10: 포대기부
11: 직물편 12: 어깨띠
13: 어깨띠용 터널 14: 어깨띠 고리
16: 어깨 접촉 구간 17: 폭조절 주름
18: 높이조절공 18-1: 접힘유지수단
18-2: 접힘유지수단 19: 접힘유지끈
20: 허리띠 30: 결합부
40: 폭 조절부 41: 접힘선
42: 폭 고정끈 43: 폭 고정끈 부착편
45: 조임띠 46: 제1터널
47: 고정척 50: 머리지지부
51: 수납 주머니 53: 개폐 수단
55: 연결끈 56a: 연결끈 접합수단
56b: 연결끈 접합수단 57: 제2터널
111: 마감 천 112: 다공성 쿠션 원단
120: 어깨띠 200: 허리띠
241: 폭 조절 주름 300: 소폭 직물편
314: 어깨띠 고리 330: 결합부
400: 광폭 직물편1: Variable width multifunctional swaddling 10: donkey donation
11: Fabric 12: Sash
13: Shoulder strap tunnel 14: Attachment ring
16: Shoulder contact section 17: Width adjustment wrinkle
18: height adjusting hole 18-1: folding holding means
18-2: fold holding means 19: fold holding line
20: waistband 30:
40: width adjusting portion 41: folding line
42: width-fixing strap 43: width-fixing strap attachment piece
45: fastening band 46: first tunnel
47: fixing chuck 50: head supporting part
51: storage bag 53: opening / closing means
55: connecting
56b: connecting string connecting means 57: second tunnel
111: Cloth 112: Porous cushion fabric
120: Scabbard 200: Belt
241: Width adjustment wrinkle 300: Small width fabric
314: Attachment ring 330:
400: Wide fabric
Claims (12)
직물편의 일면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결합되는 허리띠;와,
상기 허리띠의 일부가 상기 직물편에 대하여 탈착식 또는 고정식으로 서로 결합되게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A bag base portion formed of a fabric piec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 shoulder band horizontal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abric piece;
A waistband coupled between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one surface of the fabric piece,
And a coupling portion for allowing a part of the waistband to be detachably or fixedly coupled to the fabric piece.
직물편의 양 측 사이의 폭이 조절됨으로써 포대기부에 안착되는 아기의 다리 사이 폭이 가변 되게 하는 폭 조절부;를 포함하는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idth adjuster for varying the width between the legs of the baby that is seated on the base of the cloth by adjusting the width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 fabric piece.
상기 폭 조절부는 직물편이 양 측에서부터 단계적으로 접혀서 폭이 조절 될 수 있도록 접힘이 형성되는 부위마다 표시되는 접힘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idth adjusting portion is a folding line that is displayed for each of the portions where the folding is formed so that the width of the fabric is folded stepwise from both sides.
상기 폭 조절부는 직물편의 양측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터널과, 제1터널에 삽입되는 조임띠로 이루어져 제1터널의 신축에 따른 조임띠의 노출 정도에 따라 아기 다리 사이 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idth adjuster comprises a first tunnel formed through both sides of the fabric member and a fastening band inserted into the first tunnel and the width between the legs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osure of the fastening band caus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first tunnel. Variable multi-functional swaddling cloth.
상기 직물편은 상기 허리띠의 폭만큼씩 하부에서 상부로 단계적으로 접혀 올려 질 수 있는 재질로 되어 아기의 성장에 따라 아기 엉덩이 높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bric piece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folded up stepwise from the bottom to the top by the width of the waistband, and the height of the baby hips is changed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baby.
상기 허리띠 포대기는 상기 직물편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의 상단에 부착되는 머리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istband cuff further comprises a head support attached to an upper end of either side of the fabric.
머리지지부는 머리지지부의 끝단 양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허리띠 포대기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되는 어깨띠까지 이어지는 연결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ead supporting par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cord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head supporting part and leading to a shoulder belt positioned on the front of the user of the waistband crotch.
머리지지부는 그 양측에 상기 연결끈이 삽입되고 신축가능한 제2터널을 더 포함하며, 제2터널의 신축 조절에 따라 머리지지부의 전후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ead support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econd tunnel in which the connecting cord is inserted and retracted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head supporting portion are variable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second tunnel.
상기 직물편은 두께방향으로 양 측의 마감 천과, 양 측의 마감 천 사이에 삽입되는 다공성 쿠션 원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abric piece comprises a porous cushion fabric inserted between the closure cloths on both sid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closure cloths on both sides.
상기 어깨띠는 길게 연장되는 하나의 일체형 어깨띠이며,
상기 직물편의 상단에는 일체형 어깨띠가 수평으로 통과되는 터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shoelace is an integral shoelace extending in a long direction,
Wherein a tunnel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abric piece so that the integral shoulder belt passes horizontally.
상기 어깨띠 또는 허리띠 정리용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elastic bands for arranging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소정 형상의 직물편으로서, 상단에 수평으로 어깨띠가 결합되며 상기 소폭 직물편보다 폭이 더 큰 광폭 직물편과;
상기 소폭 또는 광폭 직물편의 일면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결합되는 허리띠와;
상기 허리띠의 일부가 상기 소폭 또는 광폭 직물편에 대하여 탈착식 또는 고정식으로 서로 결합되게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 세트.A narrow fabric piec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having a horizontally inclined sash in an upper end thereof;
A fabric piec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comprising: a wide fabric piece horizontally joined to an upper end of the fabric and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narrow fabric piece;
A waistband coupled between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narrow or wide fabric piece;
And a coupling portion for allowing a portion of the waistband to be detachably or fixedly coupled to the narrow or wide fabric pie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4305U KR20150004498U (en) | 2014-06-09 | 2014-06-09 | Variable width multi-functional sling blank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4305U KR20150004498U (en) | 2014-06-09 | 2014-06-09 | Variable width multi-functional sling blank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4498U true KR20150004498U (en) | 2015-12-17 |
Family
ID=5517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4305U KR20150004498U (en) | 2014-06-09 | 2014-06-09 | Variable width multi-functional sling blank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04498U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7257A (en) * | 2019-05-20 | 2019-05-28 | 김영란 | Baby wrapper |
KR20220031225A (en) * | 2020-09-04 | 2022-03-11 | 김민지 | Carrier for baby |
KR200495426Y1 (en) * | 2020-11-27 | 2022-05-18 | 송은경 | Fuctional nursing cush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2192Y1 (en) | 2000-01-22 | 2000-08-16 | 김재식 | Swadding clothes for infant |
KR200302127Y1 (en) | 2002-10-10 | 2003-01-24 | 황춘화 | baby carrier |
-
2014
- 2014-06-09 KR KR2020140004305U patent/KR20150004498U/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2192Y1 (en) | 2000-01-22 | 2000-08-16 | 김재식 | Swadding clothes for infant |
KR200302127Y1 (en) | 2002-10-10 | 2003-01-24 | 황춘화 | baby carrie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7257A (en) * | 2019-05-20 | 2019-05-28 | 김영란 | Baby wrapper |
KR20220031225A (en) * | 2020-09-04 | 2022-03-11 | 김민지 | Carrier for baby |
KR200495426Y1 (en) * | 2020-11-27 | 2022-05-18 | 송은경 | Fuctional nursing cush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85173B2 (en) | Baby carrier with ties | |
ES2400402T3 (en) | Transport device | |
US9750352B2 (en) | Baby carrier | |
US20140319189A1 (en) | Child carrier | |
US20140231472A1 (en) | Strap-on child carrier with support seating element | |
JP6718167B2 (en) | Babysitter | |
KR101426751B1 (en) | Baby carrier | |
CA2896575C (en) | Skin-on-skin baby carrier undergarment | |
JP2001137082A (en) | Baby carrier for facing and forward facing hold | |
US20090199337A1 (en) | Cover for a Person that Attaches with Clips Apparatus and Method | |
WO2012079787A1 (en) | Child carrier | |
NL2008730C2 (en) | Child carrier. | |
KR20150004498U (en) | Variable width multi-functional sling blanket | |
US20190246811A1 (en) | Infant carrier | |
JP2022175636A (en) | baby carrier | |
EP3644796B1 (en) | Multi-adjustable child carrier system | |
JP2018089280A (en) | Baby carrier | |
WO2017083950A1 (en) | Skin-to-skin baby carrier for twins | |
JP2005288107A (en) | Nursing strap | |
GB2550613A (en) | Garment | |
KR200478811Y1 (en) | Belt loop type baby blanket | |
JP2004003084A (en) | Infant cape | |
KR102134874B1 (en) | Baby wrapper | |
CN219680211U (en) | Infant braces | |
JPS6127492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