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472U -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0472U KR20150000472U KR2020130006073U KR20130006073U KR20150000472U KR 20150000472 U KR20150000472 U KR 20150000472U KR 2020130006073 U KR2020130006073 U KR 2020130006073U KR 20130006073 U KR20130006073 U KR 20130006073U KR 20150000472 U KR20150000472 U KR 2015000047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insulating
- insulating material
- forceps
- fixing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0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 내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연결되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수직하게 구비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바의 휨이나 뒤틀림을 방지하고 강도를 증진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바의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구비된 복수 개의 제1 힘살부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꺾임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된 복수 개의 제2 힘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외측면이 단열재와 접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단열재가 사용되는 벽면 또는 천장 등을 시공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려는 경우에 단열재에 밀착되면서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단열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재가 사용되는 벽면 또는 천장 등을 시공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려는 경우에 단열재에 밀착되면서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단열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빌딩 등의 건축물에서 벽면, 천장 등에는 단열을 하거나 결로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 시공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단열재 시공은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 공사시에 거푸집의 내측에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를 설치하여 고정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단열재 사이에 콘크리트가 매립되고 거푸집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단열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합판, 석고보드 등의 판넬을 부착한 거푸집에 단열재를 배치하고, 못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고정한 다음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거푸집을 해체하면 단열재는 콘크리트에 매립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못을 박아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거푸집 탈형 후에는 판넬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판넬을 탈착하고 단열재를 고정하기 위한 못은 판넬에 부착된 상태로 탈락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판넬에서 못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작업자의 실수로 못을 박지 않거나 판넬과 단열재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경우에는 유동성을 갖는 콘크리트 페이스트는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해 상기의 틈새로 유입되게 되며, 이와 같이 틈새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는 콘크리트 페이스트는 그대로 응고되므로 결국 못도 함께 고착되게 되고, 이와 같이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응고에 의해 고착된 못은 거푸집의 분리 과정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많은 노력을 들여 못을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열재가 사용되는 벽면 또는 천장 등을 시공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려는 경우에 단열재에 밀착되면서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단열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 내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연결되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수직하게 구비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바의 휨이나 뒤틀림을 방지하고 강도를 증진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바의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구비된 복수 개의 제1 힘살부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꺾임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된 복수 개의 제2 힘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외측면이 단열재와 접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는 상기 단열재와의 밀착성을 증가시키고 상기 단열재가 유동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구비된 복수 개의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하향 가압할 때 상기 단열재와의 마찰을 줄이고 삽입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가 위치된 반대편에 있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외측면 단부는 사선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는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사출성형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힘살부는 상기 연결바의 외측 둘레에 4개 구비되고, 상기 제1 힘살부 사이의 각도는 90° 이며, 상기 제1 힘살부는 상기 연결바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판형으로 상기 연결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힘살부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내측면에 4개 구비되고, 상기 제2 힘살부 사이의 각도는 90° 이며, 상기 제2 힘살부는 제1 고정플레이트의 내측면으로부터 마주하는 제2 고정플레이트의 내측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판형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힘살부와 상기 제2 힘살부의 갯수가 동일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힘살부와 상기 제2 힘살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는 단열재에 밀착되면서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단열재를 고정하게 된다.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하방향으로 밀게 되면 고정플레이트의 외측면이 단열재와 접촉하면서 미끄러지게 되고 돌기부는 단열재를 압축하면서 결합되고, 단열재의 복원력이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의 돌기부를 밀어내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단열재와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의 유동이 없이 견고한 고정상태가 이루어짐은 물론 거푸집에 대하여 단열재가 밀착 결합될 수 있다.
거푸집을 조립하는 현장에서 단열재를 배치한 후에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단열재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간편하며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단열재 고정장치는 단열재를 판넬 또는 거푸집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단열재를 고정하게 되므로 단열재와 판넬 사이 또는 단열재와 거푸집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성을 갖는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해 단열재와 판넬 사이 또는 단열재와 거푸집 사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에 의해 단열재와 판넬 사이 또는 단열재와 거푸집 사이가 확실하게 밀착 유지될 수 있으므로 단열재와 판넬 사이 또는 거푸집과 단열재 사이로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공성이 향상되고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비용 절감이 가능할 수 있다.
스티로폼 등으로 제조되는 단열재에 제조, 운반 또는 설치 과정에서 압력에 의해 눌려 국부적인 변형 또는 압축이 발생하더라도 본 고안의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고 단열재에 대한 견고한 고정 작업이 가능하며,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가 미설치된 부분에 대한 보완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단열재 고정장치는 쉽게 휘거나 변형되지 않는 구조 및 재질로 구비되므로 단열재를 고정하거나 지탱하는 힘이 우수하며, 제작이 용이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110a, 110b)와,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110a, 110b) 내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12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10a, 110b)에 연결되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10a, 110b)에 수직하게 구비된 상부플레이트(130)와, 상기 연결바(120)의 휨이나 뒤틀림을 방지하고 강도를 증진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바(120)의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구비된 복수 개의 제1 힘살부(14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10a, 110b)의 꺾임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바(120)의 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110a, 110b)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된 복수 개의 제2 힘살부(15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는 강성과 뒤틀림이 우수한 난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는 사출성형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성하려는 콘크리트 슬래브(콘크리트 벽면)의 두께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의 크기(길이)를 설정하여 사출성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에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110a, 110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0a, 110b)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판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0a, 110b)의 외측면은 단열재(10)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단열재(10)를 거푸집(20)이 위치된 방향으로 밀면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바(120)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110a, 110b) 내측면을 서로 연결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바(120)는 막대형, 봉형, 기둥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110a, 110b) 내측면을 연결할 수 있는 형태라면 그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3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10a, 110b)의 일단에 상기 고정플레이트(110a, 110b)에 수직하게 구비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30)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판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0a, 110b)의 하면은 단열재(10)의 상부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0a, 110b)는 단열재(10)가 상방향으로 융기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가 하방향으로 내려가는 것을 억제하면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힘살부(140)는 상기 연결바(120)의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바(120)의 휨이나 뒤틀림을 방지하고 강도를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힘살부(140)는 상기 연결바(120)를 기준으로 방사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연결바(120)의 휨이나 뒤틀림을 방지하고 강도를 증진하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힘살부(140)는 상기 연결바(120)의 외측 둘레에 적어도 3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힘살부(140)가 연결바(120)의 외측 둘레에 3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제1 힘살부(140)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제1 힘살부(140)가 이루는 각도는 12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힘살부(140)가 연결바(120)의 외측 둘레에 4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제1 힘살부(140)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제1 힘살부(140)가 이루는 각도는 9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힘살부(140)가 4개 구비되는 경우가 3개 구비되는 경우에 비하여 더욱 안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는 상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4개의 제1 힘살부(140)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제1 힘살부(140)는 연결바(12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소정 두께의 판형으로 연결바(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 개의 제2 힘살부(150)는 상기 연결바(120)의 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110a, 110b)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10a, 110b)의 꺾임과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바(120)의 휨이나 뒤틀림을 방지하고 강도를 증진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제2 힘살부(150)는 상기 제1 연결바(120)와 연결되게 구비되는 것이 고정플레이트(110a, 110b)와 연결바(120)의 변형, 휨 및 뒤틀림을 방지하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 개의 제2 힘살부(15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10a, 110b)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방사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변형, 휨 및 뒤틀림을 방지하고 강도를 증진하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힘살부(15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10a, 110b)의 내측면에 적어도 3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힘살부(150)가 고정플레이트(110a, 110b)의 내측면에 3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제2 힘살부(150)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제2 힘살부(150)가 이루는 각도는 12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 힘살부(150)가 고정플레이트(110a, 110b)의 내측면에 4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제2 힘살부(150)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제2 힘살부(150)가 이루는 각도는 9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힘살부(150)가 4개 구비되는 경우가 3개 구비되는 경우에 비하여 더욱 안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는 상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4개의 제2 힘살부(150)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제2 힘살부(140)는 제1 고정플레이트(110a)의 내측면으로부터 마주하는 제2 고정플레이트(110b)의 내측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소정 두께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힘살부(140)와 상기 제2 힘살부(150)의 갯수가 동일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힘살부(140)와 상기 제2 힘살부(150)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는 단열재(10)와의 밀착성을 증가시키고 상기 단열재(10)가 유동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110a, 110b)의 외측면에 구비된 복수 개의 돌기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110a, 110b)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부(160)가 각기 형성되어 있어 단열재(10)를 각각 밀착하면서 유동하거나 분리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견고한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돌기부(16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있고, 반구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열재(10)를 고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하향 가압할 때 상기 단열재(10)와의 마찰을 줄이고 삽입이 잘 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130)가 위치된 반대편에 있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10a, 110b)의 외측면 단부는 사선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7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부(170)는 상부플레이트(130) 방향으로 상향하는 경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단열재(10)의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끼워 조립하면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에 의해 스티로폼 등으로 이루어진 단열재(10)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이룰 수 있다.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에는 단열재(10)의 면과 접촉하면서 단열재(10)를 지지하기 위한 서로 마주하는 2개의 고정플레이트(110a, 110b)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플레이트(110a, 110b)에 연결되면서 수직하게 구비된 상부플레이트(130)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플레이트(110a, 110b)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부(160)가 각기 형성되어 있어 단열재(10)를 각각 밀착하면서 유동하거나 분리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견고한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콘크리트를 타설하려는 거푸집(20)의 내측에 단열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합판, 석고보드 등의 판넬(30)을 배치하고, 스티로폼과 같은 단열재(10)를 끼워넣은 후에, 단열재(10)의 상부에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올려놓고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하향 가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단열재(10)를 밀착하면서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가압하면 고정플레이트(110a, 110b)의 외측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부(160)가 단열재(10)의 일면을 지나치면서 밀착되게 된다.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하방향으로 밀게 되면 고정플레이트(110a, 110b)의 외측면이 단열재(10)와 접촉하면서 미끄러지게 되고 돌기부(160)는 단열재(10)를 압축하면서 결합되고, 단열재(10)의 복원력이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의 돌기부(160)를 밀어내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단열재(10)와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의 유동이 없이 견고한 고정상태가 이루어짐은 물론 거푸집(20)에 대하여 단열재(10)가 밀착 결합되게 된다.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의 고정플레이트(110a, 110b)에 형성된 돌기부(16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단열재(10)를 파고들면서 더욱 견고하고 안정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돌기부(160)가 단열재(10)에 압입되어 있는 상태므로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와 단열재(10)의 밀착이 더욱 견고해 질 수 있게 된다.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는 단열재(10)에 밀착되면서 단열재(10)와 단열재(1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고정하게 된다.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단열재(10)와 단열재(10)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단열재(10)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 슬래브가 양생되며, 거푸집(20)을 단열재(10) 및 콘크리트 슬래브로부터 탈형하면 된다. 콘크리트 슬래브가 완전히 양생된 상태에서 거푸집(20)을 탈형하여 해체하면 된다.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립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의 단열재(10)는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통해 콘크리트 슬래브에 고정 매립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거푸집(20)을 조립하는 현장에서 단열재(10)를 배치한 후에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단열재(10)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간편하며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단열재 고정장치는 단열재(10)를 판넬(30) 또는 거푸집(20)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단열재(10)를 고정하게 되므로 단열재(10)와 판넬(20) 사이 또는 단열재(10)와 거푸집(20)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성을 갖는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해 단열재(10)와 판넬(20) 사이 또는 단열재(10)와 거푸집(2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에 의해 단열재(10)와 판넬(20) 사이 또는 단열재(10)와 거푸집(20) 사이가 확실하게 밀착 유지될 수 있으므로 단열재(10)와 판넬(20) 사이 또는 거푸집(20)과 단열재(10) 사이로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공성이 향상되고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비용 절감이 가능할 수 있다.
스티로폼 등으로 제조되는 단열재(10)에 제조, 운반 또는 설치 과정에서 압력에 의해 눌려 국부적인 변형 또는 압축이 발생하더라도 본 고안의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단열재(10)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는 쉽게 휘거나 변형되지 않는 구조 및 재질로 구비되므로 단열재(10)를 고정하거나 지탱하는 힘이 우수하여 정밀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제작이 용이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단열재
20: 거푸집
30: 판넬
110a, 110b: 고정플레이트
120: 연결바
130: 상부플레이트
140: 제1 힘살부
150: 제2 힘살부
160: 돌기부
170: 경사부
20: 거푸집
30: 판넬
110a, 110b: 고정플레이트
120: 연결바
130: 상부플레이트
140: 제1 힘살부
150: 제2 힘살부
160: 돌기부
170: 경사부
Claims (7)
-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 내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연결되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수직하게 구비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연결바의 휨이나 뒤틀림을 방지하고 강도를 증진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바의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구비된 복수 개의 제1 힘살부;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꺾임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된 복수 개의 제2 힘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외측면이 단열재와 접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와의 밀착성을 증가시키고 상기 단열재가 유동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구비된 복수 개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를 하향 가압할 때 상기 단열재와의 마찰을 줄이고 삽입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가 위치된 반대편에 있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외측면 단부는 사선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는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사출성형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힘살부는 상기 연결바의 외측 둘레에 4개 구비되고, 상기 제1 힘살부 사이의 각도는 90° 이며, 상기 제1 힘살부는 상기 연결바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판형으로 상기 연결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힘살부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내측면에 4개 구비되고, 상기 제2 힘살부 사이의 각도는 90° 이며, 상기 제2 힘살부는 제1 고정플레이트의 내측면으로부터 마주하는 제2 고정플레이트의 내측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힘살부와 상기 제2 힘살부의 갯수가 동일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힘살부와 상기 제2 힘살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6073U KR20150000472U (ko) | 2013-07-22 | 2013-07-22 |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6073U KR20150000472U (ko) | 2013-07-22 | 2013-07-22 |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0472U true KR20150000472U (ko) | 2015-01-30 |
Family
ID=5248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6073U KR20150000472U (ko) | 2013-07-22 | 2013-07-22 |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00472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0645U (ko) * | 2017-09-04 | 2019-03-13 | 이장평 |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 |
KR20210000059U (ko) * | 2019-07-01 | 2021-01-11 | 박시환 | 단열재 간격유지용 스페이서 |
-
2013
- 2013-07-22 KR KR2020130006073U patent/KR20150000472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0645U (ko) * | 2017-09-04 | 2019-03-13 | 이장평 |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 |
KR20210000059U (ko) * | 2019-07-01 | 2021-01-11 | 박시환 | 단열재 간격유지용 스페이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50368915A1 (en) | Form board and method of constructing form using the same | |
KR102007464B1 (ko) | 조립형 보 거푸집 | |
KR101861254B1 (ko) | 콘크리트 외벽의 중간 단열재 시공방법 및 구조 | |
US20150354234A1 (en) | Flat tie and method of constructing form using flat tie and nonmetallic form board | |
KR101523987B1 (ko) | 벽체 거푸집에 사용되는 h형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벽체용 에코 거푸집의 제작방법 | |
KR20150000472U (ko) |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 | |
KR101516743B1 (ko) | 내외벽 연결 구조용 거푸집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 |
KR101318721B1 (ko) | 다기능레일을 이용한 중공슬래브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2025991B1 (ko) | 중단열벽체용 단열재고정구 | |
KR101899248B1 (ko) | 슬라브 단열재 고정구 | |
KR200465511Y1 (ko) |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 |
KR101041490B1 (ko) | 개선된 구조의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 | |
KR101816114B1 (ko) | 벽체용 단열재 고정구 | |
KR101413039B1 (ko) | 중공재 부력 방지 장치 | |
KR20180001113U (ko) |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 | |
KR102473429B1 (ko) | 내외측 단열재 지지구 | |
JP4058049B2 (ja) | 建築用型枠の緊結部材 | |
KR101083403B1 (ko) | 벽면 타설용 폼블록 고정용 브릿지 | |
KR101148185B1 (ko) | 플라스틱 발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설치구조 | |
KR101938974B1 (ko) |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 |
JP6788241B2 (ja) | 開口部用埋設部材、それを用いた開口部構造の施工方法、及び開口部構造 | |
KR102473430B1 (ko) | 외측 단열재 지지구 | |
JP6577756B2 (ja) | 型枠構造物 | |
KR101280201B1 (ko) | 내, 외장 패널 결합구조 | |
KR20110102769A (ko) | 거푸집 패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