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1216A - Supporting device for welding parent metal - Google Patents
Supporting device for welding parent met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41216A KR20140141216A KR20130062707A KR20130062707A KR20140141216A KR 20140141216 A KR20140141216 A KR 20140141216A KR 20130062707 A KR20130062707 A KR 20130062707A KR 20130062707 A KR20130062707 A KR 20130062707A KR 20140141216 A KR20140141216 A KR 201401412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material
- seat
- base
- plate
-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167857 Bourr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6—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positioning the molten material, e.g. confining it to a desired are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5/00—Gas flame welding
- B23K5/22—Auxiliary equipment, e.g. backings, gu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주보는 모재들의 용접부위 사이에 삽입 배치되며, 일측에 체결홈이 관통 형성된 연결판, 연결판을 가로지르도록 체결홈에 삽입 설치되며, 상단에 모재들이 안착 배치되는 안착대, 모재의 상면에 안착 배치되도록 체결홈에 삽입 설치되며, 안착대에 안착 배치된 모재들을 가압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가압고정대를 포함하는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는, 체결홈이 관통 형성된 연결판을 모재 사이에 배치시킨 상태로 모재가 체결홈에 삽입 설치된 안착대 상에 안착 배치되게 한 후, 가압고정대를 체결홈에 삽입 설치하면서 모재를 가압 고정되게 하는 바, 모재의 용접작업시 상기 모재의 용접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는 모재를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용접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 인해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바,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plate, which is inserted between welding portions of opposing base materials and has a connecting plate having a fastening groove penetratingly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seating plat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to cross the connecting plate, And a pressurizing fixing memb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clamping groove so as to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amping member and fixes the base materials placed on the mounting base in a pressurized state.
In such a butt welding base material holding device, after the connecting plate having the fastening grooves formed thereon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materials, the base material is made to be seated and placed on the mounting table, which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s, The base material is pressed and fixed while being installed, so that the welding work of the base material can be performed stably during the welding work of the base material.
In addition, the butt welding base support apparatus does not require additional welding work for fixing the base material, so that the welding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work efficiency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모재의 맞대기 용접시, 상호 용접되는 상기 모재 간의 용접부위 위치를 동일하게 맞춘상태로 지지하는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welding base material suppor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a welding position of a base material between two base materials welded to each other at the same time in butt welding of two base materials .
일반적으로, 선박 등의 건조시에는 철판과 철판을 연결하기 위해 용접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용접 작업은 서로 분리된 철판에 열·압력 또는 열과 압력을 동시에 가해서 접합하며, 항공기, 유조선, 발전시설 등에 이르기까지 1차 가공 상태의 재료로부터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제품의 제조·수리·보수에까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술이다.Generally, when the vessel is dried, a weld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connect the steel plate and the steel plate. These welding processes are performed by applying heat, pressure, or heat and pressure to the separated steel plates at the same time, and manufacturing, repairing, and repairing products that produce high added value from materials in the primary processing state to aircraft, oil tankers, Which is essentially required.
이러한, 용접 작업시 서로 다른 일측의 모재와 타측의 모재를 용접 결합하고자 할 경우, 상기 모재들 사이에 일정한 루트(Root) 간격을 유지시킨 상태로 상기 모재들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스트롱 백(Strong back)을 연결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트롱 백은 각 단부를 각 상기 모재에 가용접으로 부착 형성된다.In this case, when the welding is to weld the other base material and the other base material to each other during welding, the base material is fixed with a constant root interval between the base materials, ). At this time, the strong back is formed by attaching each end portion to each of the base materials with an abutting contact.
그러나, 종래의 모재들을 고정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스트롱 백은, 상기 모재들의 용접이 완료된 후 상기 모재로부터 절단시켜야 하며, 상기 스트롱 백이 제거된 상기 모재 부분에 대한 연마작업을 추가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스트롱 백이 용접 결합된 상기 모재 부분에서 조직변형에 따른 결함이 커질 수 있으며, 추가적인 용접 및 연마작업으로 인해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trong back that is installed to fix the conventional preforms must be cut from the preform after the welding of the preforms is completed, and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a polishing work for the preform portion from which the strong back is removed is additionally performed. Therefore, in the prior art, defects due to deformation of the workpiece can be increased in the base material portion welded to the strong back,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is troublesome due to additional welding and polishing operations.
또한, 종래에는 모재와 모재가 동일 수평선상에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고 일정각도를 가지는 상태 또는 서로 다른 두께나 단면형상을 가지는 상태로 상호 용접될 경우에 상기 스트롱 백의 부착 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lso, conventionally, when the base material and the base material are not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same horizontal line, but are welded in a state having a certain angle, or in a state of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or cross-sectional shap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ong bag attaching work becomes difficult.
이러한, 선출원된 종래의 용접용 스트롱 백의 구성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120527호(2011.11.04)에 개시된다.The construction of such a prior art strong back for welding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120527 (April 11, 2011).
본 발명은, 모재의 루트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 상태로 맞대기 용접시, 모재의 고정을 위한 추가적인 용접이나 절단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의 증대와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모재의 용접각도나 형상 또는 두께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하여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lding apparatus and a welding method capable of omitting welding and cutting operations for fixing a base material at the time of butt welding while keeping the root interval of the base material constant, And which can maintain a stable support state regardless of the welding angle, shape or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thereby facilitating the welding work.
본 발명은, 마주보는 모재들의 용접부위 사이에 삽입 배치되며, 일측에 체결홈이 관통 형성된 연결판, 상기 연결판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체결홈에 삽입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모재들이 안착 배치되는 안착대, 상기 모재의 상면에 안착 배치되도록 상기 체결홈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안착대에 안착 배치된 상기 모재들을 가압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가압고정대를 포함하는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ding apparatus for welding a base material, which is inserted between welded portions of opposing base materials and has a connecting plate formed with a fastening groove penetratingly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fasten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to cross the connecting plate, And a pressure fixing bas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so as to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and fixing the base materials seated on the seating base in a pressurized state.
또한, 상기 체결홈은 일측의 모재에서 타측의 모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groove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from the one base material toward the other base material.
또한, 상기 안착대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판에 걸림 고정되도록 걸림홈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ck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seat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connection plat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또한, 상기 안착대는 직사각 단면형상을 가지는 판재일 수 있다.Further, the seat cushion may be a plate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또한, 상기 안착대는, 상단에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 단부를 향해 경사진 제1경사부를 가지는 판재일 수 있다.The seat cushion may be a plate having a first inclined portion that is inclined toward an end of both longitudinal side edges of the seat cush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cushion.
또한, 상기 안착대는, 상단에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길이방향 일측 테두리 단부를 향해 경사진 제2경사부를 가지는 판재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 cushion may be a plate member having a second inclined portion that is inclined toward the one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또한, 상기 안착대는, 상단에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길이방향 일측 테두리 단부를 향해 요입 형성된 요입홈부를 가지는 판재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 cushion may be a plate member having a concave groov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at cushion, the concave cushion being recessed toward an end portion of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longitudinal center.
또한, 상기 가압고정대의 일측에는 보조홈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uxiliary grooves may be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pressure fixing table.
또한, 상기 가압고정대는 쐐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fixture may have a wedge shape.
또한, 상기 가압고정대의 상단은 모따기 처리된 절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upper end of the pressure fixing table may be formed with chamfered cutting portions.
또한, 상기 체결홈은 수평상태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fastening grooves may be form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state.
본 발명에 따른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는, 체결홈이 관통 형성된 연결판을 모재 사이에 배치시킨 상태로 모재가 체결홈에 삽입 설치된 안착대 상에 안착 배치되게 한 후, 가압고정대를 체결홈에 삽입 설치하면서 모재를 가압 고정되게 하는 바, 모재의 용접작업시 상기 모재의 용접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In the butt welding base material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nnecting plate in which the coupling grooves are penetrated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materials, the base material is made to be seated and placed on the seating table which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The base material is pressed and fixed while being inserted and installed, so that the welding work of the base material can be performed stably during the welding work of the base material.
더불어,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는 모재를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용접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 인해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바,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butt welding base support apparatus does not require additional welding work for fixing the base material, so that the welding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work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2에 나타낸 연결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도 2에 나타낸 안착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2에 나타낸 가압고정대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tt welding base material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4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plate shown in Fig.
9 to 13 are sectional view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eating table shown in Fig.
Figs. 14 and 15 are sectional view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sure fixture shown in Fig. 2.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는, 연결판(100), 안착대(200), 가압고정대(300)를 구비하고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tt welding bas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1 to 3, the butt welding base material supporting apparatus includes a connecting
상기 연결판(100)은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로 용접할 대상물인 일측의 모재(10a)와 타측의 모재(10b) 사이에 설치되어, 이후 설명될 안착대(200)와 가압고정대(300)를 걸림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모재(10a,10b)를 가압상태로 고정 지지될 수 있게 하는 판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연결판(100)은 상기 모재(10a,10b)들의 용접부위 사이, 즉 일측에 배치된 상기 모재(10a)와 타측에 배치된 상기 모재(10b)의 루트(Root,11) 상에 삽입 배치된다.The connecting
그리고, 상기 연결판(100)의 일측에는 이후 설명될 안착대(200)와 가압고정대(300)를 각각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체결홈(110)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홈(110)은 일측에 배치된 상기 모재(10a)에서 타측에 배치된 상기 모재(10b)를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홈(110)은 이후 설명될 안착대(200)와 가압고정대(300)를 상기 모재(10a,10b)들의 용접부위 사이인 루트(11)를 중심으로 가로지르도록 삽입 배치될 수 있게 하여, 안착대(200)의 길이방향 중심 및 가압고정대(300)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안착대(200)의 상단 양측 및 가압고정대의 상단 양측으로 상기 모재(10a,10b)들이 각각 밀착 걸림될 수 있게 된다.A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홈(110)은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홈(110)은 상기 연결판(100)에 수평상태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홈(110)은 가로방향으로 복수개를 평행한 상태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하거나 세로방향으로 복수개를 평행한 상태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체결홈(110)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복수개를 평행한 상태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 즉 격자형으로 배치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체결홈(110)이 상기 연결판(100)에 복수개 형성될 경우, 이후 설명될 안착대(200)와 가압고정대(300)를 추가적으로 설치되게 하면서 상기 모재(10a,10b)에 대한 지지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홈(110)은 상기 연결판(100)의 일측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4 to 6, a plurality of the
상기 안착대(200)는 상기 연결판(100)에 걸림 설치된 상태로 일측의 상기 모재(10a) 및 타측의 상기 모재(10b)를 걸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안착대(200)는 상기 모재(10a,10b)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판(100)의 체결홈(110)에 삽입 설치된다. 즉, 상기 안착대(200)는 상기 연결판(100)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체결홈(110)에 삽입 설치된 상태로 상단 양측에 각각 일측의 상기 모재(10a) 및 타측의 상기 모재(10b)가 각각 안착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대(200)는 상기 체결홈(110)의 폭 크기인 'a'에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는 판 부재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체결홈(110)의 폭 크기인 'a'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안착대(200)의 두께가 상기 체결홈(110)의 폭 크기인 'a'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체결홈(110)에 상기 안착대(200)를 복수개 겹쳐 삽입 설치하거나 상기 안착대(200) 외에 추가적인 판 부재를 겹침상태로 상기 체결홈(110)에 삽입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The
그리고, 상기 안착대(200)의 하단 중앙,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착대(200)의 길이방향 하단 중앙에는 걸림홈(210)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걸림홈(210)은 상기 안착대(200)를 상기 연결판(100)의 체결홈(110)에 삽입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안착대(200)의 하단 중앙을 상기 연결판(100)에 걸림 고정되게 한다. 즉, 상기 걸림홈(210)은 상기 안착대(200)에 상기 모재(10a,10b)를 안착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착대(200)가 상기 연결판(100)에 걸림 고정되게 하는 바, 상기 모재(10a,10b)를 안정적으로 안착 지지되게 한다.An
이러한, 상기 안착대(200)는 상기 연결판(100)의 체결홈(110)에 삽입 설치된 상태로 상기 모재(10a,10b)를 수평상태로 나란하게 안착 지지한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직사각 단면형상을 가지는 판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판재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안착대(200)는 상단에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 단부를 향해 경사진 제1경사부(220)를 가지는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경사부(220)는 상기 안착대(200)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 테두리 단부로 갈수록 하방 또는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안착대(200)는 상단에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길이방향 일측 테두리 단부를 향해 경사진 제2경사부(230)를 가지는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경사부(230)는 상기 안착대(200)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 테두리 단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12, the
이같이, 상기 제1경사부(220)와 상기 제2경사부(230)는 일측의 상기 모재(10a)와 타측의 상기 모재(10b)를 상기 제1경사부(220) 및 상기 제2경사부(230)의 경사에 대응되는 각도를 가지는 상태로 상호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안착 지지되게 한다.The first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안착대(200)는 상단에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길이방향 일측 테두리 단부를 향해 요입 형성된 요입홈부(240)를 가지는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대(200)의 상단은 상기 요입홈부(240)의 형성으로 인해,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된 바, 일측의 상기 모재(10a) 두께와 타측의 상기 모재(10b) 두께가 서로 다를 경우에도 상기 안착대(200) 상에 상기 용접부위 위치를 정확하게 배치되게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seating table 200 may be formed of a plate having a
상기 가압고정대(300)는 상기 안착대(200) 상에 안착 배치된 상기 모재(10a,10b)를 가압상태로 고정되게 한다. 즉, 상기 가압고정대(300)는 상기 모재(10a,10b)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모재(10a,10b)의 상부에 밀착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가압고정대(300)는 상기 연결판(100)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연결판(100)의 체결홈(110)에 삽입 설치된 상태로 하단이 상기 모재(10a,10b)에 밀착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고정대(300)는 쐐기 형상을 가지는 판재로, 상기 연결판(100)의 체결홈(110) 상으로 관통 삽입되면서 상기 모재(10a,10b)를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모재(10a,10b)를 고정되게 한다. 이때, 상기 가압고정대(300)는 앞서 설명한 상기 안착대(2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체결홈(110)의 폭 크기인 'a'에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는 판 부재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체결홈(110)의 폭 크기인 'a'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가압고정대(300)의 두께가 상기 체결홈(110)의 폭 크기인 'a'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체결홈(110)에 상기 가압고정대(300)를 복수개 겹쳐 삽입 설치하거나 상기 가압고정대(300) 외에 추가적인 판 부재를 겹침상태로 상기 체결홈(110)에 삽입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The presser fixing table 300 fixes the
그리고,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고정대(300)의 일측에는 보조홈(31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조홈(310)에는 다른 가압고정대(300)를 추가로 엇갈리게 관통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상기 모재(10a,10b)의 가압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보조홈(310)은 상기 가압고정대(300)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상기 연결판(100)의 체결홈(110)으로 삽입시, 상기 가압고정대(300)의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면서 안정적인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Referring to FIG. 14, an
또한, 상기 가압고정대(300)의 상단에는 모따기 처리된 절단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절단부(320)는 상기 가압고정대(300)를 상기 연결판(100)의 체결홈(110)에 삽입 설치시, 작업자가 해머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고정대(300)를 상기 연결판(100)의 체결홈(110)으로 삽입시킬 때, 상기 연결판(100)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쓰러지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절단부(320)는 상기 가압고정대(300)를 타격시, 타격되는 힘이 수직방향인 'b' 로는 증대되게 하고 수평방향인 'c'로는 감소되게 한다.In addition, the chamfered cutting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고정대(300)의 상단에 형성된 절단부(320)는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도록 가공처리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절단부(320)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작업자가 타격할 수 있는 상기 절단부(320)의 면적이 커지게되면서 안정적인 삽입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15,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의 상기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를 이용한 용접작업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연결판(100)의 체결홈(110) 상에 상기 안착대(200)를 삽입 배치한 후, 상기 안착대(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용접하고자하는 일측의 상기 모재(10a)와 타측의 상기 모재(10b)를 안착 배치시킨다. 즉, 상기 모재(10a)와 타측의 상기 모재(10b) 사이에 상기 연결판(100)을 배치시킨 상태로 상기 모재(10a,10b)가 상기 안착대(200) 상에 안착되게 한다.The welding operation using the butt welding base material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First, the seating table 200 is inserted into the
이후, 상기 가압고정대(300)가 상기 모재(10a,10b)에 접촉 배치된 상태로 상기 모재(10a,10b)를 가압 고정되게 한다. 즉, 작업자는 상기 가압고정대(300)를 상기 모재(10a,10b)에 안착 배치시킨 상태로 상기 연결판(100)의 체결홈(110)에 삽입 설치한다. 이때, 상기 가압고정대(300)는 상기 작업자의 해머를 이용한 타격힘에 의해 상기 연결판(100)의 체결홈(110) 상에 억지끼움되면서 상기 안착대(200) 상에 안착 배치된 상기 모재(10a,10b)를 하방으로 가압력을 전달하면서 고정상태를 유지되게 한다.Then, the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는, 상기 체결홈(110)이 관통 형성된 상기 연결판(100)을 상기 모재(10a,10b) 사이에 배치시킨 상태로 상기 모재(10a,10b)가 상기 체결홈(110)에 삽입 설치된 상기 안착대(200) 상에 안착 배치되게 한 후, 상기 가압고정대(300)를 상기 체결홈(110)에 삽입 설치하면서 상기 모재(10a,10b)를 가압 고정되게 하는 바, 상기 모재(10a,10b)의 용접작업시 상기 모재(10a,10b)의 용접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In this way, in the butt welding base material support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the connecting
더불어, 상기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는 상기 모재(10a,10b)를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용접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 인해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바,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butt welding base material supporting apparatus does not require an additional welding work for fixing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연결판 110: 체결홈
200: 안착대 210: 걸림홈
300: 가압고정대 310: 보조홈
320: 절단부100: connecting plate 110: fastening groove
200: seat base 210: latching groove
300: pressure holder 310: auxiliary groove
320:
Claims (11)
상기 연결판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체결홈에 삽입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모재들이 안착 배치되는 안착대; 및,
상기 모재의 상면에 안착 배치되도록 상기 체결홈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안착대에 안착 배치된 상기 모재들을 가압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가압고정대를 포함하는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A connection plate inserted between the welding portions of the facing base materials and having a fasten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seating tabl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o cross the coupling plate and having the base materials placed thereon; And
And a pressure fixing bas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so as to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and fixing the base materials seated on the seating base in a pressurized state.
상기 체결홈은 일측의 모재에서 타측의 모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groove is formed in a direction from the one base material toward the other base material.
상기 안착대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판에 걸림 고정되도록 걸림홈이 요입 형성된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ower end of the seat is provided with a latching groov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plat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상기 안착대는 직사각 단면형상을 가지는 판재인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t is a plate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상기 안착대는, 상단에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 단부를 향해 경사진 제1경사부를 가지는 판재인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t has a first inclined portion that is inclined toward an end of both longitudinal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center at an upper end thereof.
상기 안착대는, 상단에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길이방향 일측 테두리 단부를 향해 경사진 제2경사부를 가지는 판재인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t has a second inclined portion that is inclined toward an end portion of one longitudinal end of the seat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center at an upper end thereof.
상기 안착대는, 상단에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길이방향 일측 테두리 단부를 향해 요입 형성된 요입홈부를 가지는 판재인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t has a recessed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ating seat, the recessed portion being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at in a length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a center in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seat.
상기 가압고정대의 일측에는 보조홈이 관통 형성된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uxiliary groove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pressing and fixing bar.
상기 가압고정대는 쐐기 형상을 가지는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8,
Wherein the pressing fixture has a wedge shape.
상기 가압고정대의 상단은 모따기 처리된 절단부가 형성된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fixture is formed with a chamfered cutting portion.
상기 체결홈은 수평상태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형성된 맞대기 용접용 모재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are form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st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62707A KR20140141216A (en) | 2013-05-31 | 2013-05-31 | Supporting device for welding parent met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62707A KR20140141216A (en) | 2013-05-31 | 2013-05-31 | Supporting device for welding parent met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1216A true KR20140141216A (en) | 2014-12-10 |
Family
ID=5245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62707A Abandoned KR20140141216A (en) | 2013-05-31 | 2013-05-31 | Supporting device for welding parent met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41216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498237A (en) * | 2017-08-29 | 2017-12-22 | 张家港凯航通力船用设备有限公司 | A kind of flat-bulb steel positioner |
KR20250074458A (en) | 2023-11-20 | 2025-05-27 | 주식회사 동희산업 | Apparatus for fixing welding material |
-
2013
- 2013-05-31 KR KR20130062707A patent/KR20140141216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498237A (en) * | 2017-08-29 | 2017-12-22 | 张家港凯航通力船用设备有限公司 | A kind of flat-bulb steel positioner |
KR20250074458A (en) | 2023-11-20 | 2025-05-27 | 주식회사 동희산업 | Apparatus for fixing welding materi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1136B1 (en) | Milling Clamp Assembly | |
US20050045693A1 (en) | Adaptable spring force clamping apparatus and methods | |
KR101614706B1 (en) | Clamp jig for welding of thin steel plate | |
KR200451555Y1 (en) | Jig for cutting cutter knife | |
KR20140000310U (en) | Jig for H-type built up steel beam | |
KR101525391B1 (en) | Jig for fixed weld specimen | |
KR101990282B1 (en) | Multipurpose welding worktable | |
JP2018051627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workpiece and boring processing tool for executing the method | |
KR101228301B1 (en) | Clamping apparatus for laser welding | |
KR20140141216A (en) | Supporting device for welding parent metal | |
KR101531328B1 (en) | Supporting device for welding parent metal | |
KR102025915B1 (en) | Jig for fixing specimens | |
CN202539772U (en) | Thin plate fillet weld automatic welding equipment | |
TWI620632B (en) | Cutting tool for substrate of brittle material | |
JP5966849B2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vehicle parts | |
CN204673224U (en) | Framework welding device | |
JP6726597B2 (en) | Laser processing machine | |
KR102599246B1 (en) | Jig device for welding container cell guide | |
KR101679002B1 (en) | Champering device using press | |
JP6163368B2 (en) | Break tool for brittle material substrate | |
KR101444377B1 (en) | Guide device for block connection | |
KR20160001215U (en) | Cutting apparatus | |
CN222344654U (en) | A welding fixture for the tail support of an excavator | |
JP5391287B2 (en) | Joining jig | |
KR20140006195U (en) | Supporting device for welding parent met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16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