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313A -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30313A KR20140130313A KR20130048576A KR20130048576A KR20140130313A KR 20140130313 A KR20140130313 A KR 20140130313A KR 20130048576 A KR20130048576 A KR 20130048576A KR 20130048576 A KR20130048576 A KR 20130048576A KR 20140130313 A KR20140130313 A KR 201401303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information
- electronic device
- wearable electronic
- are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4—Viewing or reading apparatus having collapsible par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착용형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착용형 전자 장치는,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의 렌즈부, 스마트 안경 착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스마트 안경 착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에 부가하여 시각적인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렌즈부에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촬영된 전경에 대응하는 리얼 영상 내의 수정할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검출된 영역의 영상에 대한 역상(Inverse Image)를 생성하며, 생성된 역상을 부가 정보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경 등과 같은 형태의 착용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강 현실은 현실 세계에 가상의 물체를 중첩함으로써 현실 세계를 보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상 현실 기술과 차이가 있으며, 가상 현실에 비해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현실감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증강 현실은, HMD(Head Mounted Display) 또는 HUD(Head Up Display)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눈 앞에 각종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제스처 인식을 이용하여 증강현실에서 증강된 물체를 조작하려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HMD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기타 부분에 장착되어 좌우의 눈에 독립적인 투영 영상(projected image)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찰 대상(object of view)을 주시할 때 수렴(convergence)에 의해 양안 간에 서로 다른 영상이 생성되고 이 양안 시차에 의해 깊이감의 지각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HUD는 유리 등과 같은 투명 글라스에 영상을 투영하여, 사용자가 투명 글라스를 통해 HUD에서 투영되는 정보와 외부 배경을 동시에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은 카메라로 촬영하여 생성된 리얼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리얼 영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 리얼 영상과 오버래핑되는 디스플레이 영상을 조절함으로써, 리얼 영상에 사용자가 원하는 효과를 부가하는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얼 영상의 특정 영역에 대한 역상을 산출함으로써,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실제 사물이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도록 하거나, 특정 사물이 부각되어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하는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는,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의 렌즈부, 상기 스마트 안경 착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스마트 안경 착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에 부가하여 시각적인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부에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촬영된 전경에 대응하는 리얼 영상 내의 수정할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영역의 영상에 대한 역상(Inverse Image)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역상을 상기 부가 정보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정할 영역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된 영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검출된 영역의 상기 리얼 영상 내에서의 위치 정보, 상기 검출된 영역의 윤곽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영역의 색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영역의 색상 정보를 기 생성된 역상 컬러 테이블에 적용하여 상기 검출된 영역의 영상에 대한 역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의 렌즈부를 구비한 착용형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스마트 안경 착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전경에 대응하는 리얼 영상 내의 수정할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영역의 영상에 대한 역상(Inverse Image)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안경 착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에 부가하여 시각적인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부에 상기 생성된 역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정할 영역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된 영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검출된 영역의 상기 리얼 영상 내에서의 위치 정보, 상기 검출된 영역의 윤곽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영역의 색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영역의 색상 정보를 기 생성된 역상 컬러 테이블에 적용하여 상기 검출된 영역의 영상에 대한 역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착용형 전자 장치에 영상 효과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착용형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리얼 영상 중 불필요한 정보를 가지는 영역을 역상을 이용해 제거하고, 원하는 목적지에 대응되는 영역이 주목되어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효과가 적용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전송하여 SNS 등을 통해 타 사용자와 공유함으로써, 스마트 디스플레이 글래스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그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글래스에서 사용자의 눈에 보여지는 리얼 영상과 디스플레이 영상 사이의 상호 영향을 미치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증강 현실을 뛰어넘어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3은 착용형 전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시야(view)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착용형 전자 장치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상 컬러테이블과 역상 컬러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14는 착용형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에 역상을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착용형 전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시야(view)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착용형 전자 장치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상 컬러테이블과 역상 컬러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14는 착용형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에 역상을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의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착용형 전자 장치(1)는 사용자의 눈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안경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착용형 전자 장치(1)를 전면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1)는 좌우 렌즈 프레임들(10, 11), 프레임 연결부(20), 좌우 걸이부들(30, 31) 및 좌우 렌즈들(50, 5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사진 또는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영상 획득 장치가 착용형 전자 장치(1)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연결부(20)의 전면에 카메라(110)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안경 형태의 착용형 전자 장치(1)를 착용하고 이동 중에, 카메라(110)를 이용해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의 시점이 사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장면의 시점과 매우 유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동작 등과 같은 제스쳐(gesture)가 인식되어, 상기 인식된 제스쳐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1)의 동작 또는 기능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110)가 장착되는 위치 또는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적외선 카메라 등과 같은 특수 목적의 카메라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좌우 걸이부들(30, 31) 각각에도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들이 배치될 수 있다.
우측 걸이부(right side-arm, 31)에는 착용형 전자 장치(1)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들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상의 커서, 메뉴 항목 등과 같은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트랙 볼(track ball, 100) 또는 터치 패드(touch pad, 101)가 우측 걸이부(31)에 배치될 수 있다.
착용형 전자 장치(1)에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트랙 볼(100)과 터치 패드(101)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다양한 입력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좌측 걸이부(left side-arm, 30)에는 마이크(120)가 장착될 수 있으며, 마이크(12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착용형 전자 장치(1)의 동작 또는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좌측 걸이부(30)에는 센싱부(130)가 배치되어, 착용형 전자 장치(1)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방위, 가속/감속 등과 같이 현 상태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등을 감지하여 착용형 전자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30)는 자이로 센서(gyroscope)나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등과 같은 동작 센서(motion detector), GPS 장치와 같은 위치 센서, 자력 센서(magnetometer), 경위 측정기(theodolite)와 같은 방향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풍향/풍량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한 센서들 이외에 다양한 정보들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30)는 적외선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적외선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적외선 통신이나 근접도 측정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1)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1)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와 함께 앞에 펼쳐진 전경(front view)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좌우 렌즈들(50, 5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한 바와 같은 투명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하도록 하여, 사용자는 렌즈에 형성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을 시각적으로 인지함과 동시에 전경을 볼 수 있다.
그를 위해, 착용형 전자 장치(1)는 HMD(Head Mounted Display) 또는 HUD(Head Up Display)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앞에 각종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HMD는 영상을 확대하여 허상을 형성하는 렌즈와, 그 렌즈의 초점거리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HMD가 사용자의 머리 근처에 장착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영상을 렌즈를 통하여 봄으로써 그 허상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HUD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영상이 렌즈를 통하여 확대되고, 상기 확대 화상이 하프 미러에서 반사되고, 상기 반사광이 사용자에게 보여짐으로써 허상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프 미러는 외부의 광을 투과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용자는 하프미러를 투과하는 외부로부터의 광에 의해 상기 HUD에 의해 형성된 허상과 함께 전경도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TOLED(Transparant OLED) 등과 같은 다양한 투명 디스플레이 방식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착용형 전자 장치(1)가 HUD를 구비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2에 도시된 착용형 전자 장치(1)의 후면 구성을 참조하면, 좌측 걸이부(30) 및 우측 걸이부(31) 중 적어도 하나의 후면에 프로젝터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HUD(150, 151)가 장착될 수 있다.
HUD(150, 151)로부터 방출되는 광에 의한 화상이 좌우 렌즈(50, 51)에서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보여짐에 따라, HUD(150, 151)에 의해 형성되는 오브젝트(200)이 좌우 렌즈(50, 51) 상에 표시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인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HUD(150, 151)에 의해 좌우 렌즈(50, 51) 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200)와 전경(250)이 사용자의 시야에 함께 관찰될 수 있다.
HUD(150, 151)에 의해 좌우 렌즈(50, 51) 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 아이콘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텍스트나 사진 또는 동영상 등과 같은 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착용형 전자 장치(1)의 구성에 의해, 착용형 전자 장치(1)는 촬영, 전화, 메시지, SNS(Social Network Service), 네비게이션(navigation), 검색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착용형 전자 장치(1)의 기능은 구비되는 모듈들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들 이외에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한 동영상을 통신부(140)를 통해 SNS 서버에 전송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는 등, 2 이상의 기능들을 융합한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3D 안경 기능이 착용형 전자 장치(1)에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표시함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1)는 사용자의 양안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시켜 사용자가 입체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즉, 착용형 전자 장치(1)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안 영상을 표시할 때 사용자의 좌안 측 셔터를 개방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우안 영상을 표시할 때는 사용자의 우안 측 셔터를 개방시켜, 사용자가 3차원 영상의 입체감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착용형 전자 장치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착용형 전자 장치(1)가 좌우 렌즈들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우측 렌즈(51))만을 구비하여, 한쪽 눈에만 HUD 등과 같은 착용형 전자 장치(1)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한쪽 눈(예를 들어, 좌측 눈) 부분은 렌즈에 가려지지 않은 채로 완전 개방되고, 또 다른 눈(예를 들어, 우측 눈) 부분 중 상측 일부분만이 렌즈(11)에 의해 가려지는 구조로 착용형 전자 장치(1)가 구현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착용형 전자 장치(1)의 형상 및 구성 등은 이용 분야, 주기능, 주사용계층 등 다양한 필요에 따라 선택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착용형 전자 장치(300)는 제어부(310), 카메라(320), 센싱부(330), 디스플레이부(340), 통신부(350) 및 저장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310)는 통상적으로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은 촬영, 전화, 메시지, SNS, 네비게이션, 검색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은 제어부(31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31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310)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과 메모리를 포함하여, 카메라(320), 센싱부(330), 디스플레이부(340), 통신부(350) 및 저장부(3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분석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320)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하며,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34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32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36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3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320)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센싱부(330)는 도 1에서 상술한 센싱부(13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360)는 제어부(3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3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착용형 전자 장치(300)는 인터넷상에서 저장부(3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착용형 전자 장치(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착용형 전자 장치(3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며,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4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340)를 통해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앞에 펼쳐진 전경과 함께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HMD, HUD 또는 TOLED 등과 같은 투명 디스플레이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350)는 착용형 전자 장치(300)가 외부 장치(40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착용형 전자 장치(300)는 착용형 전자 장치(3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하는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착용형 전자 장치(3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착용형 전자 장치(3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별 모듈은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착용형 전자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착용형 전자 장치(3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착용형 전자 장치(3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착용형 전자 장치(30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한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360)에 저장되고, 제어부(3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구성을 기초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착용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제어 방법을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카메라(320)는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선에 맞추어 사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을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320)는 사용자의 시선에 맞추어 사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에 대응하는 영상(이하, 리얼(real) 영상이라 표현함)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카메라(320)를 통해 생성된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10)는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초기 설정 기능, 현재 사용 기능 또는 사용자 설정 기능에 따라, 리얼 영상 중 제거 또는 수정 해야할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 색상 정보 및 윤곽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10)는 다양한 영상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카메라(320)를 통해 생성된 영상에서 자동으로 중요 영역(사용자 관심 영역)/비중요 영역(사용자 비관심 영역)을 분류하여 상술한 제거 또는 수정 해야할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현재 사용 기능이 네이비게이션 기능인 경우, 제어부(310)는 목적지 정보를 중요 영역(사용자 관심 영역)으로 분류하고, 목적지 이외의 정보를 비중요 영역(사용자 비관심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10)는 다양한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영역을 이용하여 중요 영역(사용자 관심 영역)/비중요 영역(사용자 비관심 영역)을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상기 리얼 영상 분석에 따라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영역을 제거 또는 수정하기 위한 역상(Inverse Image)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3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340)는 생성된 역상을 해당 영역의 위치에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340)에 의해 표시되는 역상과 함께 사용자의 앞에 펼쳐진 전경을 볼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역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역상(inverse image)을 생성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매 픽셀별로 현재의 픽셀값에 대한 역상값을 계산하여 역상을 만드는 방법이다. 다만, 이 경우, 매 프레임마다 매 픽셀별로 역상값을 계산하여 역상을 만들게 되고, 이에 따라 엄청난 계산 시간이 소모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속 역상 생성을 위해, 원상 컬러테이블과 역상 컬러테이블을 구비하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때, 원상(original image)을 디스플레이할 때는 원상 컬러테이블 값을 참조하여 픽셀 영상값을 변환하고, 역상을 디스플레이할 때는 역상 컬러테이블 값을 참조하여 픽셀 영상값을 변환할 수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그래픽 칩셋과 같은 비디오 처리부는 비디오 컨트롤러 및 비디오 메모리 등과 같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 8에 도시된 그래픽 칩셋과 같은 비디오 처리부는 제어부(310)에 포함된 일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저장 위치에 따라 비디오 메모리는 P1~Pk~Pm로 나타낼 수 있다. 각 메모리 블록은 flipping과 같은 방법을 통해 선택되어, 영상값(RGB값) 변환기 역할을 하는 컬러테이블(color table)을 경유하여 영상값이 적절히 변환되고, 변환된 영상값은 디스플레이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메모리 블록은 하나의 모니터 프레임 크기에 해당할 수 있다. 전용 드라이버는 그래픽 칩셋의 수직동기 레지스터를 폴링(Polling) 방식으로 확인하거나 그래픽 칩셋으로부터 시스템에 걸려오는 수직동기 인터럽트를 훅킹(Hooking)하여 수직동기 신호와 동기되어, 그래픽 칩셋에서 생성된 영상 프레임 중(P1~Pm) 하나가 선택되어 영상 프레임이 디스플레이 될 때, 컬러테이블을 제어하여 원상 또는 역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전용 드라이버는 그래픽 칩셋의 수평동기 레지스터를 폴링 방식으로 확인하거나 그래픽 칩셋으로부터 시스템에 걸려오는 수평동기 인터럽트를 훅킹하여 수평동기 신호와 동기되어,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때, 컬러테이블을 제어하여 원상 또는 역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컬러테이블 제어는, 미리 원상 컬러테이블과 역상 컬러테이블을 마련하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때, 원상을 디스플레이할 때는 원상 컬러테이블 값을 참조하여 픽셀 영상값을 변환하고, 역상을 디스플레이할 때는 역상 컬러테이블 값을 참조하여 픽셀 영상값을 변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평동기를 기준으로 딜레이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특정 수평동기후에 원상과 역상이 교체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값으로 딜레이 파라미터를 정할 수 있다.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때 특정 수평동기후 딜레이 파라미터 시간이 경과되면 컬러테이블을 제어하여 원상과 역상을 스위칭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수평동기를 기준으로 딜레이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특정 수평동기후에 원상과 역상이 교체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값으로 딜레이 파라미터를 정할 수 있다.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때 특정 수평동기후 딜레이 파라미터 시간이 경과된 시점에서 컬러 테이블을 교체하면(원상에서 역상으로), 디스플레이 공간적으로는 도 14의 파란색 화살표 끝에서 컬러 테이블이 교체되게 된다(원상에서 역상으로). 이런 방식으로 컬러테이블을 제어하여 원상과 역상을 스위칭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체 드라이버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기존의 그래픽 드라이버에 전용 드라이버 기능을 통합하여 하나의 드라이버로서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상 컬러테이블과 역상 컬러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에는, 역상을 생성할 경우 원 영상의 각 픽셀마다 픽셀 영상값에 대응하는 역상값을 계산하여 비디오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역상을 생성하였다. 다만, 이 방법은 각 픽셀마다 소프트웨어적인 계산을 한 후에 계산된 픽셀 역상값을 메모리에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계산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역상을 실시간 생성하기 위하여 그래픽칩셋에 포함된 color table을 영상값 변환기로 사용하여 변환규칙에 따라 color table을 변경함으로써 실시간 역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디오 메모리에 있는 각 픽셀의 영상값을 디스플레이에 전송하는 과정에서 컴퓨터 도메인의 영상값 Ga를 디스플레이에 보낼 때 color table을 참조하여 영상값을 변환한 후 DVI, HDMI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보낼 수 있다. 이 경우, 원래 color table은 영상의 미세 보정을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영상값 Ga와 변환 영상값이 거의 차이가 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9(a)와 같이 영상값 Ga가 (R,G,B)일 경우에 변환 영상값(R_out, G_out, B_out)은 영상값 Ga를 거의 그대로 출력하고 영상의 미세보정이 필요한 곳(그림에서는 R=188일 때 R_our=187)만 약간 바꾸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원래의 color table 대신에 역상에 해당하는 각각의 Ga 대응 변환 영상값을 color table에 넣으면 원 영상을 그대로 디스플레이하여도 역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도 9(b)는, R=187 값을 평균 영상값으로 하여 역상을 역상 color table 방법으로 구현한 일 예이다. 이 경우, 도 9(b)를 참조하면, 픽셀 영상값 Ga=(R,G,B)는 R=0->R_out=255, R=255->R_out=0, R=186->R_out=188, R=187->R_out=187, R=188 ->R_out=186와 같은 변경된 변환규칙에 의하여 변환 영상값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역상 color table 방법은 각각의 픽셀 영상값마다 역상값을 계산할 필요 없이 소수의 color table값만을 바꾸어 역상을 생성하므로 역상생성시간이 빨라 실시간 역상 생성에 효과적일 수 있다.
도 10 내지 14는 착용형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에 역상을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에 번잡한 거리의 광고판, 전광판, 불빛, 플랭카드 등 비중요 영역(비관심 영역)을 역상을 통해 중성 영상화시켜 사용자의 눈을 편하게 하고, 관심 영역(사람, 길, 건물)를 더욱 쉽고 편하게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또 다른 예로,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현재 사용 기능이 네비게이션 기능인 경우,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에 목적지 이외의 정보를 역상 이미지를 통해 가림으로써, 목적지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안내해줄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하여 운전중인 사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에, 전방에서 다가오는 차량의 불빛을 역상을 이용하여 제거 또는 약화시킴으로써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역상(inverse image)을 이용하여 선택 영역만 보이도록 또는 선택 영역만 안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에 역상효과를 주어 특정인만 돋보여 보이고 다른 사람은 거의 안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에서 사용자가 보기 싫은 사람만 안보이게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역상 효과가 제공된 영역에 추가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블러링 제거 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카메라(320)에서 촬영에 따라 생성된 리얼 영상이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과 정확히 매칭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과 역상이 오버래핑되면 블러링되어 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10)는 관심 영역(중요 영역)에는 역상의 오버래핑을 제거하여 관심영역에서는 블러링되지 않은 샤프한 영상이 보이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사용자 영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새로운 기분을 느끼게 하기 위해, 제어부(310)는 사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에 오버래핑 기반으로 효과를 주고 색깔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핑크색 눈풍경, 영상에 눈내리는 효과나 안개효과를 주기, 게임 또는 애니메이션속에 있는 느낌 제공, 연인 얼굴에 포토샵효과 제공, 특정인의 얼굴을 이뻐 보이게, 또다른 특정인의 얼굴을 못생기거나 재미있게 보이도록 영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쇼핑중 옷색깔을 사용자 취향에 맞게 변경 후 즉시 확인, 실제 사람 영상에 가상의 악세사리나 옷을 걸치게 하고 즉시 확인할 수 있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얼굴 인식 기능과 결합된 추가 영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영상 효과가 부가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전송하여 타 사용자와 공유함으로써 통화 또는 SNS 기능과 연결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지루한 강의중 선생님과 칠판 일부는 그대로 두고 주변부를 바다나 숲속의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300 : 스마트 안경 310 : 제어부
320 : 카메라 330 : 센싱부
340 : 디스플레이부 350 : 통신부
360 : 저장부 400 : 외부 장치
320 : 카메라 330 : 센싱부
340 : 디스플레이부 350 : 통신부
360 : 저장부 400 : 외부 장치
Claims (8)
- 착용형 전자 장치에 있어서,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의 렌즈부;
상기 스마트 안경 착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스마트 안경 착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에 부가하여 시각적인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부에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촬영된 전경에 대응하는 리얼 영상 내의 수정할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영역의 영상에 대한 역상(Inverse Image)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역상을 상기 부가 정보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착용형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할 영역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영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검출된 영역의 상기 리얼 영상 내에서의 위치 정보, 상기 검출된 영역의 윤곽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영역의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영역의 색상 정보를 기 생성된 역상 컬러 테이블에 적용하여 상기 검출된 영역의 영상에 대한 역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전자 장치. -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의 렌즈부를 구비한 착용형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경 착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전경에 대응하는 리얼 영상 내의 수정할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영역의 영상에 대한 역상(Inverse Image)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안경 착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전경에 부가하여 시각적인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부에 상기 생성된 역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할 영역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영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검출된 영역의 상기 리얼 영상 내에서의 위치 정보, 상기 검출된 영역의 윤곽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영역의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영역의 색상 정보를 기 생성된 역상 컬러 테이블에 적용하여 상기 검출된 영역의 영상에 대한 역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8576A KR20140130313A (ko) | 2013-04-30 | 2013-04-30 |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8576A KR20140130313A (ko) | 2013-04-30 | 2013-04-30 |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0313A true KR20140130313A (ko) | 2014-11-10 |
Family
ID=5245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48576A Withdrawn KR20140130313A (ko) | 2013-04-30 | 2013-04-30 |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3031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17515A (zh) * | 2018-07-11 | 2019-01-01 | 福州职业技术学院 | 一种应用于室内设计的智能设备控制布置系统及方法 |
-
2013
- 2013-04-30 KR KR20130048576A patent/KR20140130313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17515A (zh) * | 2018-07-11 | 2019-01-01 | 福州职业技术学院 | 一种应用于室内设计的智能设备控制布置系统及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130321A (ko) |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US11170565B2 (en) | Spatially-resolved dynamic dimming for augmented reality device | |
US9696548B2 (en) | Stereoscopic video observation device and transmittance control method | |
US11024083B2 (en) | Server,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US9311751B2 (en) | Display of shadows via see-through display | |
US11244496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US20160255336A1 (en) | 3D Intelligent Device and 3D Image Display Method therefor | |
WO201317007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presentations of displayed information based on focus distance | |
KR102671795B1 (ko) |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 |
EP3039476B1 (en) |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40128489A (ko) | 영상 인식과 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안경 및 그의 제어 방법 | |
CN104977716A (zh) | 目镜型显示装置及其显示控制方法 | |
CN111264057B (zh) |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记录介质 | |
KR20140130331A (ko) |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US20180364488A1 (en) | Display device | |
US20180359463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JP2012108379A (ja) | 情報表示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20140130332A (ko) |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KR20140130330A (ko) |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KR20140130313A (ko) |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US20220114811A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image | |
KR20140133323A (ko) | 썬캡형 증강현실 제공 장치 및 시스템 | |
KR20160048266A (ko) | 이차원 영상과 삼차원 영상 혼합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
KR20160048269A (ko) | 이차원 영상과 삼차원 영상 겸용 디스플레이 시청 장치 및 방법 | |
KR20140130327A (ko) |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