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40123733A - Mu-mim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프로토콜 수행 시 빔포미 스테이션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Mu-mim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프로토콜 수행 시 빔포미 스테이션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733A
KR20140123733A KR20130040932A KR20130040932A KR20140123733A KR 20140123733 A KR20140123733 A KR 20140123733A KR 20130040932 A KR20130040932 A KR 20130040932A KR 20130040932 A KR20130040932 A KR 20130040932A KR 20140123733 A KR20140123733 A KR 20140123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nformation
station
beamformer
stations
selec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20130040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진
이석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40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3733A/ko
Priority to US14/174,298 priority patent/US9287945B2/en
Publication of KR20140123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733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MU-MIM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프로토콜 수행 시 빔포미 스테이션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MU-MIMO에서의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방법은 복수의 빔포미 스테이션들 중 어느 하나의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어느 하나의 빔포미 스테이션의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에 따른 이득 및 손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사운딩 엔드 프레임(Sounding end frame)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MU-MIM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프로토콜 수행 시 빔포미 스테이션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BEAMFORMME STATION DURING THE SOUNDING PROTOCOL IN MULTI USER-MIMO COMMUNICATION SYSTEM}
아래의 실시예들은 MU-MIM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프로토콜 수행 시 빔포미 스테이션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다수의 수신 스테이션(station: STA)에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MU-MIMO(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이 구현되고 있다. 그리고, MU-MIMO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각 수신 스테이션으로 전송되는 정보들의 간섭이 발생하여 전송한 신호의 수신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신 성능 저하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채널 정보를 바탕으로 한 빔포밍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빔포밍 동작을 구성하는 스테이션들은 빔포머(beamformer와 빔포미(beamformee)로 지칭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빔포머는 빔포밍 기술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스테이션을 의미할 수 있고, 빔포미는 빔포밍 기술을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테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최근에는, 빔포미 스테이션의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운딩 프로토콜에서 채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빔포미 스테이션을 선택함으로써, 보다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채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U-MIMO에서의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방법은 복수의 빔포미 스테이션들 중 어느 하나의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어느 하나의 빔포미 스테이션의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에 따른 이득 및 손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사운딩 엔드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운딩 프로토콜에서 채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빔포미 스테이션을 선택함으로써, 보다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채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딩 프로토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MU-MIMO에서의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MU-MIMO에서의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MU-MIMO에서의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MU-MIMO에서의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일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딩 프로토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운딩 프로토콜은 전송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운딩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경우, 빔포머(110)는 사운딩 프로토콜이 시작됨을 알리는 NDPA(Null Data Packet Announcement)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고, SIFS 인터벌로 채널 측정을 위한 NDP(Null Data Packet)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먼저 채널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빔포미 스테이션 1(120)은 채널 정보를 포함한 VHT_CB(VHT compressed beamforming) 프레임으로 응답할 수 있다. 그리고, 빔포미 스테이션 2(130)와 같은 빔포미 스테이션 1(120)이 아닌 빔포미 스테이션들은 자신에 해당하는 BR_POLL(Beamforming report poll) 프레임이 수신되었을 때, VHT_CB 프레임을 전송하여 응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운딩 프로토콜이 수행될 빔포미 스테이션들의 정보는 NDPA 프레임의 STA info 필드에 AID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NDPA를 수신한 스테이션들은 STA info 필드를 확인함으로써, 자신이 빔포미 스테이션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NDPA 프레임이 포함할 수 있는 STA info 필드의 수는 제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사운딩 프로토콜 과정을 통해서 더 많은 빔포미 스테이션들과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면 빔포밍 매트릭스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더 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한 쌍의 BR_POLL 프레임과 이에 대한 응답인 VHT_CB 프레임, 그리고 2개의 SIFS 인터벌만큼의 시간이 소모될 수 있다. 특히 VHT_CB 프레임의 구조에서,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VHT_CB 리포트 필드(VHT Compressed beamforming report field)는 전송 스트림 수 및 대역폭 등에 따라 크기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전송을 위해 많은 시간 자원이 소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 많은 빔포미 스테이션을 사운딩 프로토콜에 포함시킴으로써 빔포밍 전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득 및 사운딩 프로토콜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 자원의 소모 사이에 트레이드 오프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운딩 프로토콜에서 너무 많은 빔포미 스테이션을 선택할 경우에는 전송 빔포밍을 통해 얻는 이득보다 시간 자원의 손해가 더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MU-MIMO에서의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MU-MIMO에서의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방법(이하,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방법)은 복수의 빔포미 스테이션들 중 어느 하나의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210). 구체적으로, 빔포머 스테이션은 사운딩 프로토콜이 시작됨을 알리는 NDPA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고, SIFS 인터벌로 채널 측정을 위한 NDP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먼저 채널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첫 번째 빔포미 스테이션은 VHT_CB 프레임으로 응답할 수 있다. 이 때, VHT_CB 프레임은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첫 번째 빔포미 스테이션이 아닌 나머지 빔포미 스테이션들은 자신에 해당하는 자신에 해당하는 BR_POLL 프레임이 수신되었을 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를 포함한 VHT_CB 프레임을 전송하여 응답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210)는 첫 번째 빔포미 스테이션 또는 나머지 빔포미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의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계(210)는 후술할 단계(230)에 따라, 채널 정보를 전송한 빔포미 스테이션의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방법은 복수의 빔포미 스테이션들 중 어느 하나의 빔포미 스테이션의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에 따른 이득 및 손해를 분석할 수 있다(220). MU-MIMO 동작 시, 빔포밍을 수행하는 목적은 전송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운딩 프로토콜에 포함될 빔포미 스테이션을 결정하기 위해서, 단계(220)는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얻게 되는 이득 및 손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EEE 802.11ac 시스템에서 전송 속도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전송 효율에 이득을 가지기 위해서는 더 높은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MCS 레벨로 변화해야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220)는 빔포밍 수행 후 남아있는 TXOP(transmission opportunity) 시간 동안 전송할 데이터가 충분한지 여부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채널 정보 획득에 따른 이득 및 손해를 분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빔포밍 수행 후 남아있는 TXOP 시간 동안 전송할 데이터가 충분한 경우,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과정의 수행에 의하여 MCS가
Figure pat00001
에서
Figure pat00002
로 향상될 때, 채널 정보 획득에 따른 이득은 다음의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3

여기서,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라는 MCS에 대한 전송 속도를 의미할 수 있고,
Figure pat00006
은 전송을 위해 남아있는 TXOP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채널 정보 획득에 따른 손실은 다음의 수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7

여기서,
Figure pat00008
는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과정을 위해 수행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220)는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에 따른 이득이 손실보다 큰 경우에만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으로부터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은 제1 결정식을 도출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9

위의 수학식 3에서, 채널 정보 획득에 따른 이득을 얻기 위해서는 향상된
Figure pat00010
가 특정 값보다 커야 함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특정 값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과정을 수행하기 전의 전송 속도, 현재 남아있는 TXOP 시간 및 채널 정보 획득 과정에 필요한 시간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필요한 정보는 모두 얻을 수 있으므로, 채널 정보 획득에 따른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최소한의 전송 속도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802.11ac 시스템에서는 MCS 레벨이 최대 9개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위의 제1 결정식을 만족시키는 MCS 레벨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과정을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Figure pat00011
는 2개의 SIFS 인터벌과 BR_POLL 프레임, VHT_CB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일 수 있다. 그리고, BR_POLL의 MPDU 크기는 21Bytes으로 고정될 수 있고, VHT_CB 프레임의 크기는 가변적이지만 예에서는 2kBytes라고 가정할 수 있다. 그리고, VHT 프레임의 프리앰블 전송에 소모되는 시간은 약 40us, SIFS 인터벌은 16us일 수 있다. 그리고, 채널 정보 획득 과정의 전송 속도가 약 200Mbps라고 하면, 총 소모되는 시간의 합은 약 250us에 이를 수 있다. 또한, TXOP limit가 AC_VI인 경우에는
Figure pat00012
이 3ms일 수 있고, AC_VO인 경우에는
Figure pat00013
이 1.5ms일 수 있다. 따라서
Figure pat00014
이 1ms 일 경우 최종적으로 제1 결정식은
Figure pat00015
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의 표 1은 VHT MCSs level들의 전송 속도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MCS Index Modulation R Data rate[배수]
0 BPSK 1/2 1
1 QPSK 1/2 2
2 QPSK 3/4 3
3 16-QAM 1/2 4
4 16-QAM 3/4 6
5 64-QAM 2/3 8
6 64-QAM 3/4 9
7 64-QAM 5/6 10
8 256-QAM 3/4 12
9 256-QAM 5/6 13.333
이에 따라, 현재
Figure pat00016
보다 1.25배 이상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MCS가 존재하고 구현되어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채널 획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빔포밍 수행 후 남아있는 TXOP 시간 동안 전송할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일 실시예는 빠르게 전송을 마치고 TXOP를 종료함으로써, 시간 자원을 다른 스테이션들의 송수신에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220)는 시간 자원 개념에서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에 따른 이득과 손해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과정의 수행에 의하여 MCS가
Figure pat00017
에서
Figure pat00018
로 향상될 때,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양을 K라 한다면, 채널 정보를 획득할 경우 전송을 위해 소모되는 시간은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19

그리고, 채널 정보를 획득하지 않은 경우 전송을 위해 소모되는 시간은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pat00020

그리고, 채널 정보를 획득한 경우 전송을 위해 소모되는 시간이 채널 정보를 획득하지 않은 경우 전송을 위해 소모되는 시간에 비해 더 적으면 되므로,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은 제2 결정식을 도출할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pat00021

여기서, 제2 결정식의 우변에 해당하는 값들은 모두 획득할 수 있으므로, 단계(220)는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최소한의 전송 속도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제2 결정식을 만족시키는 MCS 레벨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과정을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방법은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이 이득인지 또는 손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230). 구체적으로, 빔포밍 수행 후 남아있는 TXOP 시간 동안 전송할 데이터가 충분한 경우에는 상술한 제1 결정식을 만족시키는 MCS 레벨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이 이득인지 손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정식을 만족시키는 MCS 레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230)는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이 손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230)는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과정을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정식을 만족시키는 MCS 레벨이 존재하는 경우, 단계(230)는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이 이득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230)는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하여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빔포밍 수행 후 남아있는 TXOP 시간 동안 전송할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한 제2 결정식을 만족시키는 MCS 레벨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이 이득인지 손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정식을 만족시키는 MCS 레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230)는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이 손해라고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과정을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결정식을 만족시키는 MCS 레벨이 존재하는 경우, 단계(230)는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이 이득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하여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이 이득이라고 판단한 경우,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방법은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하여 단계(210)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방법은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고,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의 그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에 따른 이득 및 손해를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그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이 손해라고 판단한 경우, 단계(230)는 다음 빔포밍 스테이션 또는 채널 정보를 전송하지 않은 나머지 빔포미 스테이션들에 사운딩 엔드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이 손해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230)는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과정을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채널 획득을 수행하지 않는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은 BR_POLL 프레임이 수신되기를 기다릴 수 있다. 이는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의 시간 자원을 낭비할 수 있으므로, 단계(230)는 다음 빔포밍 스테이션에 사운딩 엔드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운딩 엔드 프레임을 수신한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 또는 나머지 빔포미 스테이션들은 사운드 프로토콜에 따른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MU-MIMO에서의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그림(310)은 기존의 사운딩 프로토콜에서 세 개의 빔포미 스테이션들에 대한 채널 획득 과정을 수행하고, 빔포밍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세 개의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NDPA 프레임에는 세 개의 STA info 필드들이 존재할 수 있고, 기존의 사운딩 프로토콜에서는 세 개의 스테이션에 채널 정보 획득 과정을 수행할 수 있었다.
반면에, 그림(320)과 같이 상술한 제1 결정식 또는 제2 결정식을 이용한 경우에는 NDPA 프레임에 세 개의 STA info 필드들이 존재하더라도 두 개의 빔포미 스테이션들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으로써 충분한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고 판단될 때, 마지막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방법은 불필요한 시간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전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MU-MIMO에서의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그림(410)은 상술한 도 3의 그림(310)과 같이, 기존의 사운딩 프로토콜에서 세 개의 빔포미 스테이션들에 대한 채널 획득 과정을 수행하고, 빔포밍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도 3의 그림(320)에서는 NDPA 프레임에 포함된 STA info 필드에 명시되었지만, 채널 획득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 빔포미 스테이션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구현 방법에 따라 해당 빔포미 스테이션은 BR_POLL 프레임이 송신되기를 기다릴 수 있으므로, 그림(420)과 같이 사운딩 엔드 프레임(Sounding end frame)을 전송함으로써 사운딩 프로토콜이 종료되었음을 알리고 빔포밍된 데이터를 전송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운딩 엔드 프레임을 전송시키는 과정에서 시간 자원이 소모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제1 결정식 또는 제2 결정식에 이를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운딩 엔드 프레임(430)은 프레임 컨트롤(Frame Control) 필드(431), 듀레이션(Duration) 필드(432), RA 필드(433), BSSID(TA) 필드(434) 및 FCS 필드(4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 컨트롤 필드(431)은 2 옥텟일 수 있고, 듀레이션 필드(432)는 2 옥텟일 수 있으며, RA 필드(433)는 6 옥텟일 수 있다. 그리고, BSSID(TA) 필드(434)는 6 옥텟일 수 있고, FCS 필드(435)는 4 옥텟일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MU-MIMO에서의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채널 정보 획득부(510)는 복수의 빔포미 스테이션들 중 어느 하나의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득 및 손해 분석부(520)는 어느 하나의 빔포미 스테이션의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에 따른 이득 및 손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정보 획득 여부 결정부(530)는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정보 획득 여부 결정부(530)는 사운딩 엔드 프레임 전송부(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운딩 엔드 프레임 전송부(540)는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지 않는 경우,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사운딩 엔드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MU-MIMO에서의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장치에는 도 1 내지 도 4b를 통해 설명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

  1. 복수의 빔포미 스테이션들 중 어느 하나의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어느 하나의 빔포미 스테이션의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에 따른 이득 및 손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 획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다음 빔포미 스테이션에 사운딩 엔드 프레임(Sounding end frame)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MU-MIMO에서의 빔포미 스테이션 선택 방법.
KR20130040932A 2013-04-15 2013-04-15 Mu-mim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프로토콜 수행 시 빔포미 스테이션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Withdrawn KR20140123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0932A KR20140123733A (ko) 2013-04-15 2013-04-15 Mu-mim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프로토콜 수행 시 빔포미 스테이션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US14/174,298 US9287945B2 (en) 2013-04-15 2014-02-06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beamformee station (STA) in process of performing sounding protocol in multi-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U-MIMO)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0932A KR20140123733A (ko) 2013-04-15 2013-04-15 Mu-mim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프로토콜 수행 시 빔포미 스테이션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733A true KR20140123733A (ko) 2014-10-23

Family

ID=51686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0932A Withdrawn KR20140123733A (ko) 2013-04-15 2013-04-15 Mu-mim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프로토콜 수행 시 빔포미 스테이션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87945B2 (ko)
KR (1) KR201401237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180A1 (ko) * 2014-01-06 2015-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073B1 (ko) * 2010-02-10 2017-07-20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송신 보호
US20110199946A1 (en) 2010-02-17 2011-08-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daptive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rate in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s
US9337954B2 (en) 2010-07-28 2016-05-10 Qualcomm Incorporated Protocol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CN102811119B (zh) * 2011-06-01 2014-12-10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信道信息的方法、设备和系统
US9332449B2 (en) * 2011-11-24 2016-05-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back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07817A1 (en) 2014-10-16
US9287945B2 (en)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837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1524689B1 (ko) 간섭 정렬을 위하여 선택적으로 간섭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피드백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EP3216135B1 (en) Efficient beam scanning for high-frequency wireless networks
US92263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erence alignment in Wi-Fi
US20220141812A1 (en) Approaches for beam selection
JP2023052221A (ja) 極高スループットサウンディングプロセスインジケーション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203486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ransmitting channel information
US10142960B2 (en) Multi-user ranging with unassociated stations
JP5649661B2 (ja) マルチセルマルチユーザ基盤のプリ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通信装置
EP3068058A1 (en) Beam training method and device in communication system
US103748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 channel estimation in massive MIMO
CN113796054B (zh) 用于无线接收站点的能力指示的系统和方法
JP2013541248A (ja) ダウンリンクマルチユーザmimo構成におけるビームフォーミングのためのサブバンドフィードバック
WO2014101242A1 (zh) 报告信道状态信息csi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KR20140037884A (ko) Mimo 암시적 빔형성을 위한 업링크 트레이닝
WO2018076305A1 (zh) 信息传输方法、接入网设备和终端设备
CA3016718A1 (en) Techniques for reporting channel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s
EP3614634B1 (en) Channel estimation evaluation in mimo systems
KR20150113068A (ko) 신호 대 잡음 비에 기초하여 송신 셋팅들을 부스팅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8023618B (zh) 基于mimo天线的波束训练方法及装置
KR20220149515A (ko)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
US9456452B2 (en) Scheduling method of multi-user multi-input multi-output communication system
KR20140123733A (ko) Mu-mim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프로토콜 수행 시 빔포미 스테이션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3459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sounding
KR20220145729A (ko) 채널 사운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