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8330A - Camera system for video telephony - Google Patents
Camera system for video telephon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18330A KR20140118330A KR1020130034013A KR20130034013A KR20140118330A KR 20140118330 A KR20140118330 A KR 20140118330A KR 1020130034013 A KR1020130034013 A KR 1020130034013A KR 20130034013 A KR20130034013 A KR 20130034013A KR 20140118330 A KR20140118330 A KR 201401183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otographing
- video
- transflective
- caller
- display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7/14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camera and display on the same optical axis, e.g. optically multiplexing the camera and display for eye to eye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통신 기술이 발달되면서 화상 통화나 화상 채팅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네트워크 인프라의 발전에 따라 HD(High Definition)급의 고해상도 화상 통화도 점차 일반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use of video call or video chat is becoming common, and with the development of network infrastructure, a high definition (HD) video call is gradually becoming common.
HD급 고해상도 화상 통화가 가능해짐에 따라 소비자들은 원거리 여행없이도 보다 쉽게 원격지의 사람들과의 대면 횟수를 늘려 대인 관계를 보다 돈독히 나눌 수 있다. 고해상도 영상을 통해 표정에서 느껴지는 미묘한 감정까지 이해할 수 있어 의사 소통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With the availability of high-definition (HD) video calls, consumers can more easily connect with people at remote sites without having to travel far, so that they can bett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ubtle emotions felt in expressions through high-resolution images, which can greatly enhance th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도 1은 종래의 화상 통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가 영상 표시 장치 상에 배치되어 현지 화상 통화자의 시선 위에서 현지 화상 통화자를 촬영하므로 현지 화상 통화자와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원격지 화상 통화자의 아이 콘택트(Eye contact, 시선 맞춤)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카메라의 촬영 각도가 현지 화상 통화자와 원격지 화상 통화자 사이의 시선과 일치하지 않음으로 현지 화상 통화자와 원격지 화상 통화자 사이에 시선 불일치가 발생한다. 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video call. Referring to FIG. 1, a camera is disposed on an image display device and photographs a local video caller on the line of sight of a local video caller, so that an eye contact of a local video caller and a remote video caller displayed on the video display device ). That is, a visual inconsistency occurs between a local video caller and a remote video caller because the shooting angle of the camera does not match the line of sight between the local video caller and the remote video caller.
이러한 시선 불일치는 고해상도 영상을 통해 느껴지는 미묘한 표정이나 감정의 변화를 읽어내는데 방해요인이 되며, 화상 통화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These discrepancies can interfere with reading the subtle facial expressions or emotional changes that are felt through high-resolution images, and cause the quality of the video call to deteriorate.
도 2에서와 같이, 화상 촬영 카메라를 영상 표시 장치 앞에 배치하면, 현지 화상 통화자와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원격지 화상 통화자 간의 시선과 화상 촬영 카메라의 촬영 각이 일치하게 되지만, 이 경우 화상 촬영 카메라가 영상 표시 장치를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2, when the image capturing camera is disposed in fron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line of sight between the local video caller and the remote video caller displayed on the video display device coincides with the image capturing angle of the image capturing camera. In this cas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camera hides the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현지 화상 통화자와 원격지 화상 통화자 사이의 시선 맞춤이 가능한 화상 통화를 제공할 수 있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 princip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system for a video call capable of providing a video call capable of being gazed between a local video caller and a remote video call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은, 현지 화상 통화자가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원격지 화상 통화자와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 앞에 배치되는 반투과 부재와, 상기 반투과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반투과 부재 앞에 위치하는 현지 화상 통화자를 촬영하는 촬영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반투과 부재는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원격지 화상 통화자의 상기 화상을 투과시키며, 상기 촬영 부재를 향하여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의 모습을 반사시킬 수 있다.A video camera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mera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in which a local video caller can make a video call with a remote video caller displayed on a video display device, And a photographing member which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ransflective member and photographs a local video caller located in front of the transflective member, Transmit the image of the remote video caller and reflect the appearance of the local video caller towards the photographing member.
상기 반투과 부재는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원격지 화상 통화자의 눈을 마주보는 영상을 상기 촬영 부재가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transflective member may be arranged to be tilted toward the image display device so that the imaging member can photograph an image of the local video caller facing the eyes of the remote video caller displayed by the video display device.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향하여 기울어지는 상기 반투과 부재의 각도가 가변적일 수 있다.The angle of the transflective member tilted toward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be variable.
상기 촬영 부재가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가 상기 원격지 화상 통화자의 눈을 마주보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반투과 부재의 상기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The photographing member can change the angle of the transflective member so that the local video caller can take an image of the remote video caller facing the eye.
상기 촬영 부재는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를 향하는 상기 반투과 부재의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member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an inclined surface of the transflective member facing the local video caller.
상기 반투과 부재의 면적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 면적보다 작으며,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을 전체를 보는데 상기 반투과 부재가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반투과 부재와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 사이의 거리가 상기 반투과 부재와 상기 영상 표시 장치 사이의 거리보다 더 짧을 수 있다.Wherein the area of the transflective member is smaller than the screen area of the video display device so that the transflective member is not disturbed when the local video caller views the entire scree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distance between the talkers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flective member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상기 반투과 부재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촬영 부재가 외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semispherical member may be disposed inside, and the imaging membe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상기 반투과 부재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의 면은 빛을 흡수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urface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ransflective member may be made of a material absorbing light.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housing.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바와, 상기 하우징을 상기 높이 조절 바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높이 조절 바의 일단에 결합하며, 상기 높이 조절 바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upporting member may include a height adjusting ba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for adjusting a height of the housing, a fixing part fixing the housing to the height adjusting bar, and a fixing part coupled to one end of the height adjusting bar, And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supporting portion.
여기서, 상기 촬영 부재와 상기 반투과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촬영 부재와 상기 반투과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gap adjus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imaging member and the transflective member and capable of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imaging member and the transflective member.
여기서, 상기 간격 조절부재는 상기 반투과 부재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보다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에 더 가까이 배치됨에 따라 상기 촬영 부재를 상기 반투과 부재로부터 멀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촬영 부재에 의한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의 촬영 영역이 확대될 수 있다. Wherein the spacing member is adapted to move the imaging member away from the transflective member as the transflective member is disposed closer to the local video caller than to the video display unit, The photographing area of the person can be enlarged.
여기서, 상기 간격 조절부재는 벨로우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gap adjusting member may be a bellows.
여기서, 상기 촬영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와 상기 촬영 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거리 조절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adjusting member coupled to the photographing member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the local photographer and the photographing member.
여기서, 상기 거리 조절부재는 신축성을 갖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촬영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 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촬영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영상 표시 장치 쪽에 배치되며, 상기 촬영 부재가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부재는 수축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신장될 수 있다. Here, the distance-controlling member is composed of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having elasticity, the first member is disposed on the local video caller side with respect to the photographing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photographing member Wherein the first member is retracted and the second member is stretched when the photographing member is moved toward the local video caller.
여기서, 상기 촬영 부재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부재는 신장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수축될 수 있다. Here, when the imaging member moves toward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first member may be extended and the second member may be contracted.
여기서, 상기 거리 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로부터 상기 촬영 부재까지의 거리가 변경되어도 상기 촬영 부재가 상기 화상 통화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촬영 부재의 촬영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 각도 조절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Here, an angle adjusting member capable of changing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photographing member so that the photographing member can photograph the face of the video caller even if the distance from the local video caller to the photographing member is changed by the distance adjusting member,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투과 부재가 영상 표시 장치를 향하여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현지 화상 통화자의 모습이 반투과 부재에 반사되어 촬영 부재에 의해 촬영됨으로써 현지 화상 통화자와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원격지 화상 통화자 사이의 시선 맞춤이 이루어지는 영상 통화가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flective member is disposed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image display device so that the state of the local video caller is reflected by the transflective member and is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member, It is possible to make a video call in which the line-of-sight alignment between remote video callers is performed.
도 1 및 2는 종래의 화상 통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을 통한 화상 통화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video call.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mera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ideo call through a camera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mera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mera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of Fig. 5; Fig.
Fig. 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amera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of Fig. 5;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mera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mera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amera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100)은 하우징(110), 반투과 부재(120), 및 촬영 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하우징(110)은 다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반투과 부재(120)가 배치되고, 일측에는 촬영 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하우징(110)은 현지 화상 통화자를 향하는 전면부(110a), 영상 표시 장치(도 4의 140)을 향하는 후면부(110b), 전면부(110a)와 후면부(110b)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양 측면부(110c), 하면부(111), 및 하면부(111)에 대응하여 간격 조절부재(112)를 구비할 수 있다. The
전면부(110a)와 후면부(110b)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현지 화상 통화자는 하우징(110)과 이격되어 배치된 영상 표시 장치(도 4의 140)의 영상을 후면부(110b)와 전면부(110a)를 통해 볼 수 있다. The
전면부(110a), 후면부(110b), 측면부(110c)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는 반투과 부재(120)가 배치될 수 있다. 반투과 부재(120)는 후면부(110b)를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투과 부재(120)는 후면부(110b)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영상을 투과시킬 수 있으며, 전면부(110a)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현지 화상 통화자의 모습을 반사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반투과 부재(120)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하면부(111)와 간격 조절부재(112)가 배치될 수 있다. 하면부(111)는 후면부(110b)를 향하는 반투과 부재(120)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하우징(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간격 조절부재(112)는 전면부(110a)를 향하는 반투과 부재(120)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하우징(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면부(111)는 전면부(110a), 후면부(110b), 측면부(110c)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하우징(110)의 하면을 형성하며, 간격 조절부재(112)는 전면부(110a), 후면부(110b), 측면부(110c)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하우징(11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하면부(111)와 간격 조절부재(112)는 빛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부(110a) 또는 후면부(110b)를 통해 입사되어 하면부(111) 또는 간격 조절부재(112)로 향하는 빛은 하면부(111) 또는 간격 조절부재(112)에서 반사되지 않고 흡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빛이 하면부(111) 또는 간격 조절부재(112)에서 반사되어 촬영 부재(130)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간격 조절부재(112)는 촬영 부재(130)와 연결되며, 그 자체로 신장(伸張) 또는 수축이 됨으로써 촬영 부재(130)와 반투과 부재(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간격 조절부재(112)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조절부재(112)는 벨로우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간격 조절부재(112)는 주름이 형성되어 반투과 부재(120)를 향하여 수축될 수 있으며, 반투과 부재(120)와 멀어지도록 신장될 수 있다. 간격 조절부재(112)가 수축되는 되는 경우에는 촬영 부재(130)와 반투과 부재(120)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고, 간격 조절부재(112)가 신장되는 경우에는 촬영 부재(130)와 반투과 부재(120) 사이의 간격은 멀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 부재(130)의 촬영 영역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반투과 부재(120)는 반투과 부재(120)를 향하는 빛의 일부는 투과하고 일부는 반사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반투과 부재(120)는 하프 미러일 수 있다. The
반투과 부재(120)는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현지 화상 통화자와 영상 표시 장치(도 4의 140) 사이에 배치되며,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는 반투과 부재(120)는 영상 표시 장치를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따라서, 영상 표시 장치(도 4의 140)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반투과 부재(120)를 투과하여 현지 화상 통화자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현지 화상 통화자의 모습은 반투과 부재(120)에서 반사되어 촬영 부재(130)에 입사될 수 있다. Thus,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140 in FIG. 4)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반투과 부재(120)가 기울어진 정도는 조절이 가능하다. 반투과 부재(120)의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촬영 부재(130)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반투과 부재(120)의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현지 화상 통화자가 영상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원격지 화상 통화자의 눈을 마주보는 모습을 촬영 부재(130)가 촬영할 수 있다. The degree to which the
반투과 부재(120)의 투과율은 대략 50%일 수 있다. 현지 화상 통화자는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을 반투과 부재(120)를 통해 보게 되므로 상기 영상의 휘도가 저하되는바, 반투과 부재(120)는 투과율이 50% 이상일 수 있다. 반투과 부재(120)의 투과율이 50% 이상일 경우 반투과 부재(120)를 통해 반사되는 빛의 양은 감소하므로 촬영 부재(130)의 입력 영상의 휘도는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투과 부재(120)의 투과율이 50% 이상인 경우, 촬영 부재(130)는 반투과 부재(120)에 의해 반사되는 입력 영상의 화질을 영상 프로세스에 의해 보상할 수 있다. The transmittance of the
반투과 부재(120)의 면적은 영상 표시 장치(도 4의 140)의 화면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반투과 부재(120)의 면적이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 면적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의 크기를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소형화 경량화된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을 영상 표시 장치보다 현지 화상 통화자에 더 가깝게 배치함으로써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의 크기에 관계없이 현지 화상 통화자는 반투과 부재(120)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의 전체 영상을 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area of the
이와 같이, 반투과 부재(120)는 영상 표시 장치(140)의 영상을 투과시키고, 현지 화상 통화자(10)의 모습을 반사시키므로, 촬영 부재(130)는 현지 화상 통화자(10)가 영상 표시 장치(140)의 영상을 바라보는 영상, 즉 영상 표시 장치(140)을 통해 표시되는 원격지 화상 통화자의 시선을 마주보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현지 화상 통화자(10)와 원격지 화상 통화자는 시선이 일치하는 영상 통화를 할 수 있다. Thus, since the
촬영 부재(130)는 현지 화상 통화자(도 4의 10)를 향하는 반투과 부재(120)의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하우징(11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촬영 부재(130)는 하우징(110) 상부를 이루는 간격 조절부재(112)와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부재(130)는 간격 조절부재(112)에 의해 반투과 부재(120)와의 간격이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할 수 있다. The
촬영 부재(130)는 반투과 부재(120)를 통해 반사되는 현지 화상 통화자(도 4의 10)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100)은 촬영 부재(130)가 현지 화상 통화자를 직접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반투과 부재(120)를 통해 반사된 현지 화상 통화자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현지 화상 통화자의 모습이 반투과 부재(120)에서 일부가 반사되어 촬영 부재(130)에 의해 촬영되므로, 반투과 부재(120)의 투과율에 따라 촬영 부재(130)에 의해 촬영된 현지 화상 통화자의 영상의 휘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 부재(130)는 영상의 휘도를 개선할 수 있는 영상 프로세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local video caller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을 통한 화상 통화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ideo call through a camera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반투과 부재(120)를 포함한 하우징(110)은 현지 화상 통화자(10)와 영상 표시 장치(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반투과 부재(120)는 영상 표시 장치(140)보다 작게 형성되는바, 현지 화상 통화자(10)는 반투과 부재(120)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140)의 영상 전체를 보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반투과 부재(120)와 현지 화상 통화자(10) 사이의 거리(a)가 반투과 부재(120)와 영상 표시 장치(140) 사이의 거리(b)보다 더 가깝도록 반투과 부재(120)를 포함한 하우징(110)을 배치함으로써, 현지 화상 통화자(10)가 영상 표시 장치(140)의 영상 전체를 반투과 부재(120)를 통해 볼 수 있다. 4, a
반투과 부재(120)를 포함한 하우징(110)을 영상 표시 장치(140) 보다 현지 화상 통화자(10)에 더 가깝게 배치함으로써 영상 표시 장치(140)의 화면보다 반투과 부재(120)의 면적을 더 작게 구현하여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을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으나, 반투과 부재(120)를 현지 화상 통화자(10)에 가깝게 배치함에 따라 촬영 부재(130)가 촬영 영역이 제한될 수 있다. 즉, 반투과 부재(120)를 현지 화상 통화자(10)에 가깝게 배치함에 따라 촬영 부재(130)는 현지 화상 통화자(10)의 상반신, 얼굴, 얼굴 일부 등을 촬영하게 되어 원격지 화상 통화자는 현지 화상 통화자(10)의 일부 모습을 보고 영상 통화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 부재(130)와 반투과 부재(1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부재(112)를 구비함으로써 반투과 부재(120)가 현지 화상 통화자(10)에 가까이 배치되어도 촬영 부재(130)가 현지 화상 통화자(10)의 일정한 모습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보다 상세하게는, 반투과 부재(120)는 영상 표시 장치(140)보다 작게 형성되는바, 현지 화상 통화자(10)가 반투과 부재(120)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140)의 영상 전체를 보기 위해서는 반투과 부재(120)를 포함한 하우징(110)을 영상 표시 장치(140)보다 현지 화상 통화자(10)에 가깝게 배치하여야 하며, 하우징(110)을 현지 화상 통화자(10)에 가깝게 위치시킴에 따라 하우징(110)의 상부에 배치된 촬영 부재(130)의 위치도 현지 화상 통화자(10)에 가깝게 되므로 촬영 부재(130)의 촬영 영역이 축소될 수 있다. 이때, 간격 조절부재(112)는 촬영 부재(130)를 반투과 부재(120)로부터 멀어지게 즉, 도 4에서 Z축 방향으로 신장시킴으로써 촬영 부재(130)의 촬영 영역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이 현지 화상 통화자(10)에 가깝게 배치되어도 촬영 부재(130)는 현지 화상 통화자(10)의 일정부분 예를 들면 상반신 또는 얼굴을 촬영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반대로 하우징(110)이 현지 화상 통화자(10)와 멀어지게 되면 간격 조절부재(112)는 촬영 부재(130)를 반투과 부재(120)에 가까워지게 즉, 도 4에서 -Z축 방향으로 수축시킴으로써 촬영 부재(130)가 현지 화상 통화자(10)의 일정한 부분을 촬영할 수 있게 한다.
Conversely, when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mera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amera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of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200)은 거리 조절부재(212) 및 각도 조절부재(213)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도 3 및 4에 도시된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100)과 차이가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200)는 간격 조절부재(112)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거리 조절부재(212)를 구비할 수 있다. 5 and 6, a
거리 조절부재(212)는 촬영 부재(230)와 결합하여, 현지 화상 통화자(10)와 촬영 부재(23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거리 조절부재(2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지 화상 통화자(10)가 위치하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현지 화상 통화자(10)와 촬영 부재(230)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으며, 또는 영상 표시 장치(140)가 위치하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현지 화상 통화자(10)와 촬영 부재(230) 사이의 거리를 멀게 할 수 있다. The
거리 조절부재(212)는 신축성을 갖는 제1 부재(212a) 및 제2 부재(21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제1 부재(212a)는 촬영 부재(230)를 중심으로 현지 화상 통화자(도 7의 10) 쪽에 배치되고, 제2 부재(212b)는 촬영 부재(230)를 중심으로 영상 표시 장치(도 7의 140) 쪽에 배치될 수 있다. The
제1 부재(212a)는 수축되고 제2 부재(212b)는 신장됨으로써 촬영 부재(230)가 현지 화상 통화자(1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212a)는 신장되고 제2 부재(212b)는 수축됨으로써 촬영 부재(230)가 영상 표시 장치(14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200)은 거리 조절부재(212)를 구비함으로써 반투과 부재(120)가 현지 화상 통화자(10)에 가깝게 배치됨에 따라 촬영 부재(230)의 촬영 영역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촬영 부재(230)가 현지 화상 통화자(10)의 일정한 모습을 촬영할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보다 상세하게는, 반투과 부재(120)는 영상 표시 장치(140)보다 작게 형성되는바, 현지 화상 통화자(10)가 반투과 부재(120)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140)의 영상 전체를 보기 위해서는 반투과 부재(120)를 포함한 하우징(110)을 영상 표시 장치(140)보다 현지 화상 통화자(10)에 가깝게 배치하여야 하며, 하우징(110)을 현지 화상 통화자(10)에 가깝게 위치시킴에 따라 하우징(110)의 상부에 배치된 촬영 부재(230)의 위치도 현지 화상 통화자(10)에 가깝게 되는바, 촬영 부재(230) 역시 현지 화상 통화자(10)에 가깝게 접근하게 되어 현지 화상 통화자의 상반신이 아니 얼굴이나 얼굴 일부분을 촬영하게 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이때, 거리 조절부재(212)는 촬영 부재(230)를 반투과 부재(120)로부터 멀어지게 즉,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212a)가 현지 화상 통화자가 위치한 Y축 방향으로 축소되고, 제2 부재(212b)가 Y축 방향으로 신장되어 제1 부재(212a)와 제2 부재(212b)가 접하는 부분에 위치한 촬영 부재(230) 역시 현지 화상 통화자와 더 가깝게 되고, 결과적으로 촬영 부재(230)와 반투과 부재(12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됨으로써, 하우징(110)이 현지 화상 통화자에 더 가까이 배치되어도 촬영 부재(230)는 현지 화상 통화자(10)의 일정부분 예를 들면 상반신 또는 얼굴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반대로 하우징(110)이 현지 화상 통화자(10)와 멀어지게 되면 거리 조절부재(212)는 촬영 부재(230)를 반투과 부재(120)에 가까워지게, 예를 들면 제1 부재(212a)는 -Y축 방향으로 늘어나고, 제2 부재(212b)는 -Y축 방향으로 줄어듦으로써 촬영 부재(230)가 현지 화상 통화자(10)의 일정한 부분을 촬영할 수 있게 한다. Conversely, when the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영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200)은 촬영 부재(23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촬영 부재(230)의 촬영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200)은 촬영 부재(230)의 현지 화상 통화자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촬영 각도를 보정할 수 있는 각도 조절부재(2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5 and 6, the image capturing angle of the
각도 조절부재(213)는 촬영 부재(230)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도 7은 도 5의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amera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of Fig. 5;
도 7을 참조하면, 촬영 부재(230)가 반투과 부재(120)의 중심점(C)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 현지 화상 통화자(10)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다라고 가정하면, 거리 조절부재(212)의 제1 부재(212a)가 현지 화상 통화자(10)를 향하여 수축되고 제2 부재(212b)가 현지 화상 통화자(10)를 향하여 신장될 때에는 촬영 부재(230) 역시 현지 화상 통화자(10)를 향하여(Y축 방향) 이동하게 되어. 촬영 부재(230)는 현지 화상 통화자(130)의 얼굴 아래 부분을 촬영하지 못하고 얼굴 윗 부분만을 촬영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7, if it is assumed that the face of the
이때, 각도 조절부재(213)는 촬영 부재(230)가 현지 화상 통화자(10)를 향하여 이동하여도 현지 화상 통화자(10)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촬영 부재(230)의 렌즈가 반투과 부재(120)를 향하게 하여 촬영 부재(230)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200)은 촬영 부재(230)가 거리 조절부재(212)에 의해 현지 화상 통화자(10)를 향해 이동하여도 각도 조절부재(213)에 의해 촬영 부재(230)의 촬영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현지 화상 통화자(10)가 영상 표시 장치(140)에 의해 표시되는 원격지 화상 통화자와 눈을 마주보며 통화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Th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mera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300)은 하우징(11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지지부재(500)는 하우징(110) 일측에 배치되며, 하우징(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바(510)와, 하우징(110)을 높이 조절 바(5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520)와, 높이 조절 바(510)의 일단에 결합하며, 높이 조절 바(510)를 지지하는 받침부(53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mera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400)은 마이크(411, 4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마이크(411, 412)는 현지 화상 통화자의 음성을 녹음할 수 있다. 마이크(411, 412)는 하우징(110)의 하면부나 촬영 부재(1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이크(411, 412)는 현지 화상 통화자의 음성을 용이하게 녹음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200, 300, 400: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
110: 하우징 111: 하면부
112: 간격 조절부재 130, 230: 촬영 부재
212: 거리 조절부재100, 200, 300, 400: Camera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110: housing 111:
112: spacing
212:
Claims (17)
상기 영상 표시 장치 앞에 배치되는 반투과 부재; 및
상기 반투과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반투과 부재 앞에 위치하는 현지 화상 통화자를 촬영하는 촬영 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반투과 부재는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원격지 화상 통화자의 상기 화상을 투과시키며, 상기 촬영 부재를 향하여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의 모습을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A camera system for a video call capable of making a video call with a remote video caller displayed on a video display device by a local video caller,
A transflective member disposed in fro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A photographing membe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transflective member and photographing a local video caller located in front of the transflective member; And,
Wherein the transflective member transmits the image of the remote video caller to be recognized by the local video caller and reflects the appearance of the local video caller toward the photographing member.
상기 반투과 부재는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원격지 화상 통화자의 눈을 마주보는 영상을 상기 촬영 부재가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flective member is arranged to be tilted toward the image display device so that the photographing member can photograph an image of the local video caller facing the eyes of the remote video caller displayed by the video display device Camera system for video calls.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향하여 기울어지는 상기 반투과 부재의 각도가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ngle of the transflective member tilted toward the image display device is variable.
상기 촬영 부재가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가 상기 원격지 화상 통화자의 눈을 마주보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반투과 부재의 상기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hotographing member is capable of changing the angle of the transflective member so that the local video caller can take an image of the remote video caller facing the eye.
상기 촬영 부재는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를 향하는 상기 반투과 부재의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hotographing member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an inclined surface of the transflective member facing the local video caller.
상기 반투과 부재의 면적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 면적보다 작으며,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 전체를 보는데 상기 반투과 부재가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반투과 부재와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 사이의 거리가 상기 반투과 부재와 상기 영상 표시 장치 사이의 거리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rea of the transflective member is smaller than the screen area of the video display device so that the transferee is not disturbed when the local video caller views the entire scree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flective member and the video display device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flective member and the video display device.
상기 반투과 부재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촬영 부재가 외부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in which the semitransparent member is disposed and the photographing member is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상기 반투과 부재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의 면은 빛을 흡수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surface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an inclined surface of the transflective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that absorbs light.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housing.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바;
상기 하우징을 상기 높이 조절 바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높이 조절 바의 일단에 결합하며, 상기 높이 조절 바를 지지하는 받침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upport member comprises:
A height adjusting ba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for adjusting a height of the housing;
A fixing part fixing the housing to the height adjusting bar; And
A pedestal coupled to one end of the height adjusting bar and supporting the height adjusting bar; The camera system comprising:
상기 촬영 부재와 상기 반투과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촬영 부재와 상기 반투과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pacing adjus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photographing member and the transflective member and capable of adjusting an interval between the photographing member and the transflective member.
상기 간격 조절부재는 상기 반투과 부재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보다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에 더 가까이 배치됨에 따라 상기 촬영 부재를 상기 반투과 부재로부터 멀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촬영 부재에 의한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의 촬영 영역이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pacing member moves the imaging member away from the transflective member as the transflective member is disposed closer to the local video caller than the video display unit, And the area is enlarged.
상기 간격 조절부재는 벨로우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gap adjusting member comprises a bellows.
상기 촬영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와 상기 촬영 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거리 조절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tance adjusting member coupled to the photographing member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the local video caller and the photographing member.
상기 거리 조절부재는 신축성을 갖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촬영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 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촬영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영상 표시 장치 쪽에 배치되며,
상기 촬영 부재가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부재는 수축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distance adjusting member comprises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having elasticity,
Wherein the first member is disposed on the local video caller side around the photographing member,
Wherein the second member is dispos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side with respect to the photographing member,
Wherein the first member is retracted and the second member is stretched when the photographing member moves toward the local video caller.
상기 촬영 부재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부재는 신장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when the imaging member is moved toward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first member is extended and the second member is contracted.
상기 거리 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현지 화상 통화자로부터 상기 촬영 부재까지의 거리가 변경되어도 상기 촬영 부재가 상기 화상 통화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촬영 부재의 촬영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 각도 조절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n angle adjusting member capable of changing an angle of photographing of the photographing member so that the photographing member can photograph the face of the video caller even if the distance from the local video caller to the photographing member is changed by the distance adjusting member The camera system compris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4013A KR101474116B1 (en) | 2013-03-29 | 2013-03-29 | Camera system for video telephon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4013A KR101474116B1 (en) | 2013-03-29 | 2013-03-29 | Camera system for video telephon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8330A true KR20140118330A (en) | 2014-10-08 |
KR101474116B1 KR101474116B1 (en) | 2014-12-22 |
Family
ID=5199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4013A KR101474116B1 (en) | 2013-03-29 | 2013-03-29 | Camera system for video telephon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411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95565A (en) * | 2019-12-17 | 2021-06-18 |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 Camera adjusting method of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storage medium |
-
2013
- 2013-03-29 KR KR1020130034013A patent/KR10147411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95565A (en) * | 2019-12-17 | 2021-06-18 |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 Camera adjusting method of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storage medium |
CN112995565B (en) * | 2019-12-17 | 2024-03-08 |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 Camera adjustment method of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storage mediu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4116B1 (en) | 2014-1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99805B2 (en) | Video phone equipment | |
US7856180B2 (en) | Camera device | |
US6554433B1 (en) | Office workspace having a multi-surface projection and a multi-camera system | |
US20140028704A1 (en) | Display Device | |
US20080239061A1 (en) | Firs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WO2011108139A1 (en) | Teleconference system | |
KR20130083153A (en) | Image taking and video communincation device and method | |
WO2013123725A1 (en) | Mobile device | |
US9541998B2 (en) | Electronic system with gaze alignment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
KR102662948B1 (en) | Camera, and terminal including the same | |
WO2015194084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US11601706B2 (en) | Wearable eye tracking headset apparatus and system | |
US11909896B2 (en) | Smartphone binoculars | |
KR101474116B1 (en) | Camera system for video telephony | |
JP2013141231A (en) | Video conferen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video conference apparatus | |
US11054621B2 (en) | Camera,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US11303790B1 (en) | Electronic binocular modules adapted for attachment to smartphones and cases therefor | |
US8964018B2 (en) | Video display systems | |
JP2000214517A (en) |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 |
JP2012010059A (en) | Imaging apparatus and remot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 |
CN207557586U (en) | A kind of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 |
JPH06225298A (en) | Terminal device for visual communication | |
JP2016019092A (en) |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 |
JP4199940B2 (en) |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 |
KR20130022497A (en) | Robot suppor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er having reflective pl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