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40115060A -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060A
KR20140115060A KR1020130029656A KR20130029656A KR20140115060A KR 20140115060 A KR20140115060 A KR 20140115060A KR 1020130029656 A KR1020130029656 A KR 1020130029656A KR 20130029656 A KR20130029656 A KR 20130029656A KR 20140115060 A KR20140115060 A KR 20140115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key
representative
vowel
conso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혁
이재호
심광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29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5060A/ko
Priority to US14/191,324 priority patent/US20140285442A1/en
Publication of KR20140115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장치가 개시된다. 문자 입력 방법은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묶음화하여 각 자음 묶음의 대표 자음과 각 모음 묶음의 대표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각 대표 자음 및 각 대표 모음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독립적인 글쇠에 할당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및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대표 자음의 글쇠들 중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과 동일한 묶음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족 자음에 대한 글쇠를 터치스크린에서 미리 정의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글쇠의 위치에 대한 학습이나 훈련이 없이도 한글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METHOD FOR INPUTTING TEXT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문자 입력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은 화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의 명령을 인식하는 입출력 장치로, 최근에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대부분의 휴대용 정보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입출력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터치 스크린 기반의 휴대용 정보단말기에서는 컴퓨터용 자판의 문자 부분의 배열을 터치 스크린 상에서 그래로 배치한 'QWERTY'방식의 입력 체계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크기가 작은 표시영역을 가지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소형 휴대용 단말기들에서는 4행 3열 형태의 키 배열에 자음과 모음을 할당한 문자 입력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한글 입력 방식 중의 하나인 '천지인' 방식은 한글 자음 입력을 위해 7개의 키를 할당하고, 모음의 자획 'ㅣ', '.', 'ㅡ'를 3개의 키에 할당하여 할당된 키들의 조합을 통해 한글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한글 모음에 할당된 키의 수가 적은 특징이 있다. 그러나, '천지인' 방식은 한글 모음 중 사용빈도가 높은 'ㅏ', 'ㅓ', 'ㅗ', 'ㅜ' 등을 입력하는 경우에도 서로 독립적으로 할당된 두 개의 키를 눌러야 하며, 'ㅞ' 등과 같은 복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5번의 키를 눌러야 하기 때문에 한글 입력시 키 조작 회수가 많은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088036호(발명의 명칭 : 막대한글에 의한 핸드폰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에서는 상기한 천지인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긴 가로 세로의 막대키를 구비하고, 키를 누르는 시간을 조절하여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2005-0088036호에 개시된 한글 입력 방법은 한글 입력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가 키를 누르는 시간에 익숙해져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글 입력 방식 중 '나랏글' 방식은 한글 자음 입력을 위해 할당된 6개의 키를 사용하고 자음 전환을 위해 할당된 2개의 기능키를 사용한다. 모음 입력을 위해서는 'ㅏㅓ', 'ㅗㅜ', 'ㅡ', 'ㅣ'를 입력하기 위해 할당된 4개의 키와, 'ㅑㅕㅛㅠ' 등의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할당된 기능키를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한글 입력 방법들은 사용자가 학습과 훈련을 통해 자판의 구조 및 배열에 익숙해지는 것은 전제로 하기 때문에 한글을 신속하고 자유롭게 입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한글 입력 체계에 익숙해져야 하고 이로 인하여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즉, 컴퓨터용 자판이나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자판은 자판의 구조나 글쇠의 위치 등의 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문자 입력을 위해 학습과 훈련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내비게이션 장치나 키오스크(Kiosk)와 같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지 않는 장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한글 입력 방법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입력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오타율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훈련이나 연습이 필요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문자 입력 방법을 실행하는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터치스크린 기반의 장치에서 수행되는 문자 입력 방법으로,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묶음화하여 각 자음 묶음의 대표 자음과 각 모음 묶음의 대표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각 대표 자음 및 각 대표 모음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독립적인 글쇠에 할당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대표 자음의 글쇠들 중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과 동일한 묶음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족 자음에 대한 글쇠를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미리 정의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묶음화하여 각 자음 묶음의 대표 자음과 각 모음 묶음의 대표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상기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의 소리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특징에 기초하여 묶음화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묶음화하여 각 자음 묶음의 대표 자음과 각 모음 묶음의 대표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는, 한글 자음을 {ㄱ,ㄲ,ㅋ}, {ㄷ,ㄸ,ㅌ}, {ㅂ,ㅃ,ㅍ}, {ㅅ,ㅆ}, {ㅈ,ㅉ,ㅊ}, {ㅇ,ㅎ}, {ㄴ}, {ㄹ} 및 {ㅁ}으로 묶음화하고, 각 묶음의 대표 자음을 'ㄱ', 'ㄷ', 'ㅂ', 'ㅅ', 'ㅈ', 'ㅇ', 'ㄴ', 'ㄹ' 및 'ㅁ'으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정된 각 대표 자음 및 각 대표 모음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독립적인 글쇠에 할당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각 대표 자음을 총 9개로 구성하여 3행 3열의 글쇠 배열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되, 상기 각 대표 자음을 '가나다'순으로 상기 3행 3열의 글쇠에 배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과 동일한 묶음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족 자음을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미리 정의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과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족 자음에 대한 글쇠를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의 상, 하, 좌, 우 및 우하 방향 중 미리 정해진 방향에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와 인접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과 동일한 묶음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족 자음을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미리 정의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과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족 자음 중 쌍자음에 대한 글쇠는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표시하고, 상기 대표 자음과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족 자음 중 격자음에 대한 글쇠는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묶음화하여 각 자음 묶음의 대표 자음과 각 모음 묶음의 대표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는, 한글 모음을 {ㅏ,ㅑ}, {ㅓ, ㅕ}, {ㅗ,ㅛ}, {ㅜ,ㅠ}, {ㅣ} 및 {ㅡ}으로 묶음화하고, 각 묶음의 대표 모음을 'ㅏ', 'ㅓ', 'ㅗ', 'ㅜ', 'ㅣ' 및 'ㅡ'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묶음화하여 각 자음 묶음의 대표 자음과 각 모음 묶음의 대표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는, 한글 모음을 {ㅏ,ㅑ}, {ㅓ, ㅕ}, {ㅗ,ㅛ}, {ㅜ,ㅠ} 및 {ㅣ,ㅡ}으로 묶음화하고, 각 묶음의 대표 모음을 'ㅏ', 'ㅓ', 'ㅗ', 'ㅜ' 및 'ㅣ'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정된 각 대표 자음 및 각 대표 모음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독립적인 글쇠에 할당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각 대표 자음 및 대표 모음을 'QWERTY'자판 형태로 표시하되, 'ㅂ', 'ㅈ', 'ㄷ', 'ㄱ' 및 'ㅅ'의 글쇠에는 다른 자음을 할당하지 않고, 'ㅐ' 및 'ㅔ' 글쇠에는 다른 모음을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과 동일한 묶음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족 자음에 대한 글쇠를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미리 정의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ㅂ', 'ㅈ', 'ㄷ', 'ㄱ' 및 'ㅅ'의 글쇠 중 어느 하나의 글쇠가 선택되면, 선택된 글쇠에 할당된 자음의 쌍자음을 상기 선택된 글쇠의 위쪽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대표 모음의 글쇠들 중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모음과 동일한 묶음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족 모음에 대한 글쇠를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미리 정의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모음과 동일한 묶음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족 모음에 대한 글쇠를 상기 터치스크링네서 미리 정의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ㅐ' 글쇠가 선택되면, 상기 'ㅐ' 글쇠의 위쪽에 'ㅒ' 글쇠를 표시하고, 상기 'ㅔ' 글쇠가 선택되면, 'ㅔ' 글쇠의 위쪽에 'ㅖ'글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복수의 한글 자음 및 모음들의 묶음에서 각각 결정된 대표 자음들 및 대표 모음들이 각각 독립적인 글쇠에 할당되어 표시되고, 표시된 글쇠들 중 선택된 소정 글쇠에 대한 터치 신호를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대표 자음의 글쇠들 중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과 동일한 묶음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족 자음에 대한 연관 글쇠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미리 정의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결정된 대표 자음들을 3행 3열의 글쇠 배열로 표시하되, 상기 결정된 대표 자음들을 '가나다'순으로 상기 3행 3열의 글쇠에 배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자음에 대한 글쇠를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의 상, 하, 좌, 우 및 우하 방향 중 미리 정해진 방향에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와 인접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한글 자음 및 모음들의 묶음에서 결정된 대표 자음들 및 대표 모음들을 'QWERTY'자판 형태로 표시하되, 'ㅂ', 'ㅈ', 'ㄷ', 'ㄱ' 및 'ㅅ'의 글쇠 중 어느 하나의 글쇠가 선택되면, 상기 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된 글쇠에 할당된 자음의 쌍자음을 상기 선택된 글쇠의 위쪽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은 한글 자음 및 모음들의 묶음에서 결정된 대표 자음들 및 대표 모음들을 'QWERTY'자판 형태로 표시하되, 'ㅐ' 글쇠가 선택되면, 상기 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ㅐ' 글쇠의 위쪽에 'ㅒ' 글쇠를 표시하고, 'ㅔ' 글쇠가 선택되면, 상기 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ㅔ' 글쇠의 위쪽에 'ㅖ'글쇠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장치에 따르면, 한글 자음 및 모음을 묶음화하여 각 묶음의 대표 자음(또는 대표 모음) 및 가족 자음(또는 가족 모음)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 자음(또는 대표 모음)을 '가나다' 순으로 각각 독립적인 글쇠에 할당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한 후, 소정의 대표 자음(또는 대표 모음)이 선택되면, 선택된 대표 자음(또는 대표 모음)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가족 자음(또는 가족 모음)을 선택된 글쇠의 상, 하, 좌, 우 또는 우하 영역 중 해당 영역에 확장(또는 팝업)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적은 개수의 글쇠만으로 모든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한글 자음 및 모음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글쇠의 위치에 대한 학습이나 훈련이 없이도 한글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대표 자음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대표 자음과 관련된 가족 자음을 선택된 대표 자음의 인접한 영역에 표시하기 때문에 운지거리가 짧아서 문자 입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가나다 순의 자판 배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묶음화한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묶음화된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의 글쇠 배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한글 모음의 글쇠가 6개로 할당된 경우의 모음 입력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한글 모음의 글쇠가 5개로 할당된 경우의 모음 입력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한글 입력을 위한 자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서 가족 자음의 글쇠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서 가족 자음의 글쇠 표시 방법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한글 입력을 위한 자판 구성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컴퓨터용 자판이나 휴대용 단말기 등의 자판을 고려할 때, 현대의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19개의 자음자(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및 10개의 모음자(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가 글쇠(key)에 할당되어야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된 29개의 글쇠로 모든 한국어를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ㄶ', 'ㅢ' 등의 복합 자음자 또는 복합 모음자는 상기한 19개의 자음자 또는 10개의 모음자에 할당된 글쇠를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총 29개의 자음자 및 모음자를 글쇠에 할당하면 기존의 두벌식 한글 입력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내비게이션 장치나 키오스크 등의 시스템과 같이 사용자의 이용 빈도가 낮은 장치들에서는 기존의 자판 배열보다는 '가나다'순과 같은 간단한 규칙을 적용하여 자판을 구성하는 것이 유용하다.
도 1은 가나다 순의 자판 배열을 나타낸 것으로, 한글 자음자 19개 및 모음자 10개를 각각 별도의 글쇠에 할당하고, 자판을 가나다 순으로 순차적으로 배열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판은 한글 자음 및 모음이 간단한 규칙에 따라 배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글쇠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글쇠의 개수가 29개로 너무 많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자 또는 모음자가 자판 배열의 뒤쪽에 위치하는 경우, 자판의 첫 번째 글쇠부터 순차적으로 검색해야 하고, 이로 인하여 문자 입력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판 배열은 글쇠의 개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자판이 표시되는 영역이 작은 장치에서는 적용하기가 어렵고, 적용하는 경우에도 글쇠 및 글쇠간의 간격이 협소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문자 입력을 위한 자판을 제공하되, 자판의 배열에 대한 학습이나 훈련이 필요없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글쇠를 인식하고 제한된 개수의 글쇠만으로 문자를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한글 자음 및 모음이 할당된 글쇠를 용이하게 인지하기 위해서는 한글 자음 19개와 모음 10개의 글쇠를 모두 자판에 배열하는 것보다는 자음 및 모음을 몇 개의 묶음으로 구분하고, 대표 자음 및 대표 모음을 통해 다른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소정 개수의 묶음으로 구분한 예를 나타낸다. 도 2에서는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그 형태 또는 소리에 따라 구분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한글의 자음은 ‘ㄱ’과 같은 평자음, ‘ㄲ’과 같은 쌍자음, ‘ㅋ’와 같은 격자음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형태와 소리가 유사한 {ㄱ,ㄲ,ㅋ}, {ㄷ,ㄸ,ㅌ}, {ㅂ,ㅃ,ㅍ}, {ㅅ,ㅆ}, {ㅈ,ㅉ,ㅊ}는 하나의 묶음(또는 가족 자음)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자음의 형태를 기준으로 한글 자음을 구분할 때, ‘ㅇ’과 ‘ㅎ’은 형태가 유사하므로 자음의 형태에 따라 하나의 묶음 {ㅇ,ㅎ}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한글 자음을 형태 및/또는 소리에 따라 9개의 가족 자음 묶음으로 구분하고, 각 가족 자음의 대표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ㄴ}, {ㄹ} 및 {ㅁ}은 각각 하나의 묶음으로 구성하고, 각 묶음의 원소가 하나의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대표 자음을 'ㄴ','ㄹ'및 'ㅁ'으로 각각 결정한다.
한편 도 2의 (b)를 참조하면, 한글의 모음은 총 21개이지만, {ㅏ,ㅑ}, {ㅓ, ㅕ}, {ㅗ,ㅛ}, {ㅜ,ㅠ}를 가족 모음으로 묶고, 각 가족 모음의 대표모음을 ‘ㅏ, ㅓ, ㅗ, ㅜ’로 설정하고, {ㅣ}와 {ㅡ}를 포함하여, 총 6개의 대표모음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한 6개의 대표모음으로부터 ‘ㅣ’와 ‘ㅡ’를 하나의 묶음 {ㅣ,ㅡ}로 설정하여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총 5개의 대표 모음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묶음화된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의 글쇠 배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는 묶음화된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자음용 9개의 글쇠와 모음용 6개의 글쇠에 할당하여 배열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b)는 묶음화된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자음용 9개의 글쇠와 모음용 5개의 글쇠에 할당하여 배열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즉, 도 3의 (a)와 (b)에서 한글 자음용 글쇠의 배열은 서로 동일하나, 한글 모음용 글쇠의 배열에서 차이가 있다. 도 3의 (a)는 'ㅣ'와 'ㅡ'를 각각 서로 다른 글쇠에 할당한 반면, 도 3의 (b)는 'ㅣ'와 'ㅡ'를 하나의 글쇠에 할당하여 배열하였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글 자음 및 모음의 글쇠를 배열한 경우, 21개의 한글 모음은 제자리타 방식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자리타 방식은 하나의 글쇠에 여러 개의 글자가 할당된 경우, 같은 글쇠를 연속적으로 누르거나 터치하는 경우, 동일 글쇠에 할당된 글자들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한글 모음의 글쇠가 6개로 할당된 경우 모음 입력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족 모음으로 묶음화된 한글 모음을 6개의 키에 할당한 경우, 한글 모음 21개의 입력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21개의 한글 모음 중 'ㅏ', 'ㅓ', 'ㅗ', 'ㅜ', 'ㅡ', 'ㅣ'는 각 글쇠에 할당된 가족 모음의 대표모음에 해당하기 때문에 한 번의 터치(또는 누름)로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이중모음 'ㅑ', 'ㅕ', 'ㅛ', 'ㅠ'는 각각 'ㅏ', 'ㅓ', 'ㅗ', 'ㅜ'글쇠를 두 번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다.
한글 모음 중 상기한 모음들을 제외한 나머지 모음들은 각 모음의 필기 순서에 따라 해당 글쇠를 순차적으로 터치함으로써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ㅖ'를 입력하는 경우 먼저 'ㅕ'를 입력하기 위해 'ㅕ'의 대표모음인 'ㅓ'글쇠를 두 번 터치한 후, 'ㅣ'글쇠를 터치한다. 즉, 'ㅖ'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ㅓ' 'ㅓ' 'ㅣ'글쇠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면 된다.
다른 예로, 'ㅙ'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먼저 'ㅗ'를 터치한 후, 'ㅐ'를 입력하기 위해 'ㅏ'글쇠와, 'ㅣ'글쇠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한글 모음의 글쇠가 5개로 할당된 경우 모음 입력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족 모음으로 묶음화된 한글 모음을 5개의 키에 할당한 경우, 한글 모음 21개의 입력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한글 모음 입력 방법은 도 4에 도시한 한글 모음 입력 방법과 대부분 동일하나, 모음 'ㅡ' 및 'ㅣ'가 가족 모음으로 묶이고, 'ㅣ'를 대표모음으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모음 'ㅡ'와 'ㅢ'의 입력 방법만 도 4에 도시한 방법과 차이가 있다.
즉, 'ㅡ'를 입력하는 경우, 'ㅡ'의 대표모음이 할당된 'ㅣ'글쇠를 두 번 터치하여 입력하고, 'ㅢ'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ㅡ', 'ㅣ' 순으로 입력하기 위해 'ㅣ'글쇠를 세 번 터치하여 입력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 중 한글 자음의 글쇠 표시 및 입력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글 자음의 입력 역시 전술한 모음 입력 방식과 같이 제자리타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한글 자음 입력 체계의 특성으로 인하여 연속하는 두 개의 글자에서 종성과 초성이 동일한 자음인 경우, 음절 구분을 위한 별도의 처리를 사용자가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예를 들어, '안녕'을 입력하는 경우, '안'의 종성인 'ㄴ'과 '녕'의 초성인 'ㄴ'이 연속적으로 입력되어야 하기 때문에 음절 구분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사용자가 'ㄴ'과 'ㄴ' 사이에 화살표 키 또는 기능 키 등을 조작하여 음절을 구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제한된 개수의 자판을 이용하여 한글 자음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한글 입력을 위한 자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터치스크린(610)에 한글 자음용 자판과 모음용 자판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터치스크린(610) 기반의 장치에 수행될 수 있고, 터치스크린(610)의 표시 영역은 크게 입력문자 표시영역(620)과, 한글자판 표시영역(63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문자 표시영역(620)은 한글자판을 통해 터치된 글쇠에 해당하는 글자 또는 입력된 글자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한글자판 표시영역(630)은 크게 자음용 자판(640)과 모음용 자판(650)이 표시되고, 자음용 자판(640)과 모음용 자판(650)은 자판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표시될 수도 있고, 인접하여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자음용 자판(640)과 모음용 자판(65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배치되어 자음용 자판(640)이 왼쪽에 표시되고, 모음용 자판(650)이 오른쪽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자음용 자판(640)과 모음용 자판(650)을 상하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자음용 자판(640)은 9개의 대표 자음(예를 들면,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을 터치스크린(610) 상의 3행 3열의 형태의 자판에 ‘가나다’ 순으로 나열하고, 각 글쇠 중앙에 대표 자음을 크게 표시하거나, 크고 진하게 표시하여 대표 자음을 다른 자음과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한글 입력에 있어서 입력 빈도가 다른 자음에 비해 높은 대표 자음을 9개의 글쇠에 할당하고, 각 글쇠의 형태를 사각형 틀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이나 숙련도와 상관 없이 해당 글쇠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대표 자음과 연관된 나머지 자음들은 각 대표 자음의 주위에 대표 자음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표시한다. 여기서, 대표 자음과 연관되는 가족 자음들은 해당 글쇠별로 중앙에 표시되는 대표 자음을 기준으로 왼쪽 또는 오른쪽에 쌍자음을 표시하고, 대표 자음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는 격자음을 표시한다.
한편, 모음용 자판(650)은 도 3의 (a) 또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판을 배열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모음용 자판(650)이 도 3의 (b)와 같이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자음용 자판(640)에서 사용자가 'ㄱ'을 터치하면, 입력문자 표시영역(720)에는 사용자가 터치한 글쇠(740)의 대표 자음이 'ㄱ'이 표시된다. 동시에 자음용 자판의 글쇠 'ㄱ'의 위쪽과 왼쪽에는 대표자음 'ㄱ'의 글쇠에 표시된 가족 자음 'ㅋ'과 'ㄲ'이 각각 별도의 글쇠(741, 743)로 생성(또는 팝업)되어 표시된다. 여기서, 별도로 생성되어 표시되는 가족 자음의 글쇠(741, 743)는 대표 자음의 글쇠(740) 모양과 동일한 모양 및 크기로 대표 자음의 글쇠(740)와 인접하게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가족 자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대표 자음의 글쇠(740)와 다른 색이나 모양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한 대표 자음('ㄱ') 글쇠(740)의 가족 자음('ㅋ'및 'ㄲ') 글쇠(741, 743)가 추가적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표시된 가족 자음 글쇠들(741, 743)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는 경우, 터치된 가족 자음 글쇠에 해당하는 가족 자음이 입력문자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가족 자음의 글쇠(741, 743)가 추가적으로 표시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ㄱ'의 글쇠(740) 왼쪽에 추가된 글쇠(743)를 터치하면 입력문자 표시 영역에는 이전에 표시된 ‘ㄱ’이 ‘ㄲ’으로 바뀌어 표시된다. 또는, 사용자가 'ㄱ'의 글쇠(740) 위쪽에 추가적으로 표시된 글쇠(741)를 터치하면 입력문자 표시영역(720)에는 이전에 표시된 ‘ㄱ’이 ‘ㅋ’으로 바뀌어 표시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는 복수의 자음들을 그룹화하여 각 그룹의 대표 자음을 글쇠에 할당함으로써 기본 자판의 글쇠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자음의 검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대표 자음과 연관된 가족 자음들의 입력은,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의 대표 자음이 선택(또는 터치)되는 경우에만, 해당 대표 자음의 주위에 추가적으로 가족 자음의 글쇠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운지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서 가족 자음의 글쇠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의 (a)는 대표 자음 'ㄷ'의 가족 자음인 'ㅌ'과 'ㄸ'의 글쇠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대표자음 'ㄷ'글쇠가 터치된 경우, 'ㅌ'글쇠는 'ㄷ'글쇠의 오른쪽에 확장하여 표시하고, 'ㄸ'글쇠는 'ㄷ'글쇠의 위쪽에 확장하여 표시한다.
도 8의 (b)는 대표 자음 'ㅂ'의 가족 자음인 'ㅃ'과 'ㅍ'의 글쇠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대표자음 'ㅂ'글쇠가 터치된 경우, 'ㅃ'글쇠는 'ㅂ'글쇠의 오른쪽에 확장하여 표시하고, 'ㅍ'글쇠는 확장표시된 'ㅃ'글쇠의 아래쪽에 확장하여 표시한다.
도 8의 (c)는 대표 자음 'ㅅ'의 가족 자음인 'ㅆ'의 글쇠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대표자음 'ㅅ'글쇠가 터치된 경우, 'ㅆ'글쇠는 'ㅅ'글쇠의 왼쪽에 확장하여 표시한다.
도 8의 (d)는 대표 자음 'ㅇ'의 가족 자음인 'ㅎ'의 글쇠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대표자음 'ㅇ'글쇠가 터치된 경우, 'ㅎ'글쇠는 'ㅇ'글쇠의 아래쪽에 확장하여 표시한다.
도 8의 (e)는 대표 자음 'ㅈ'의 가족 자음인 'ㅉ'과 'ㅊ'의 글쇠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대표자음 'ㅈ'글쇠가 터치된 경우, 'ㅉ'글쇠는 'ㅈ'글쇠의 오른쪽에 확장하여 표시하고, 'ㅊ'글쇠는 'ㅈ'글쇠의 아래쪽에 확장하여 표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서 가족 자음의 글쇠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9개의 대표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은 전술한 바와 같이 3행 3열로 구성된 자판 배열(910)에서 각각 독립적인 글쇠를 할당하고, 각 대표 자음의 가족 자음들의 글쇠들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대표 자음 글쇠의 주변에 확장하여 표시하되, 모든 가족 자음의 글쇠를 대표 자음 글쇠와 동시에 표시한다.
다만, 모든 가족 자음의 글쇠를 동시에 표시함에 따라 대표 자음 'ㅂ'의 가족 자음인 'ㅍ'의 글쇠가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ㅃ'의 아래쪽에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ㅃ'의 오른쪽에 확장 표시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음 글쇠를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가 소정의 가족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 해당 가족 자음의 대표 자음 글쇠를 먼저 터치할 필요 없이 입력하고자 하는 가족 자음에 해당하는 글쇠를 터치하여 해당 가족 자음을 바로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19개의 자음 글쇠가 모두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특정 글쇠를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든 자음 글쇠가 동시에 표시됨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표 자음의 글쇠와 가족 자음의 글쇠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 자음의 글쇠를 대표 자음의 글쇠의 크기 보다 작은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각 대표 자음 글쇠를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하고, 가족 자음은 연관 대표 자음의 글쇠와 동일한 색으로 표시하여 자음 그룹을 색으로 구분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음 글쇠를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에서 한글 입력을 위한 자판의 구성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WERTY 형 자판 배열을 가지는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의 자판 배열을 나타내는 것으로, 터치스크린에 기본적으로 표시되는 자판 배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a)에 도시한 자판 배열에서 'ㅂ', 'ㅈ', 'ㄷ', 'ㄱ', 'ㅅ'은 각각 가족 자음 'ㅃ', 'ㅉ', 'ㄸ', 'ㄲ', 'ㅆ'의 대표 자음으로 구성하고, 'ㅐ', 'ㅔ'은 각각 가족 모음 'ㅒ', 'ㅖ'의 대표 모음으로 구성하여, 상기한 대표 자음 또는 대표 모음들의 글쇠 중 어느 하나의 글쇠가 터치되는 경우, 터치된 대표 자음 또는 대표 모음 글쇠에 상응하는 가족 자음 또는 가족 모음 글쇠가 터치된 글쇠의 위쪽에 추가적으로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글 자판을 QWERTY 형 배열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들 중 일부를 {ㅂ,ㅃ}, {ㅈ,ㅉ}, {ㄷ,ㄸ}, {ㄱ,ㄲ}, {ㅅ,ㅆ}와 같이 묶음화하고, 각 묶음의 대표 자음으로 'ㅂ', 'ㅈ', 'ㄷ', 'ㄱ', 'ㅅ'을 설정하고, 한글 모음들 중 일부를 {ㅐ,ㅒ}, {ㅔ,ㅖ}와 같이 묶음화하고, 각 묶음의 대표 모음을 ㅐ, ㅔ로 설정한 후, 상기 묶음들은 대표 자음 및 대표 모음들만 글쇠에 할당하고, 소정 글쇠가 터치되면 터치된 글쇠에 할당된 대표 자음 또는 대표 모음의 가족 자음 또는 가족 모음이 할당된 연관 글쇠를 터치된 글쇠의 위쪽에 표시한다.
도 10의 (b)는 도 10의 (a)에 도시한 글쇠들 중 대표 자음 'ㅈ'의 글쇠가 터치된 경우의 연관 글쇠 표시 방법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가 'ㅈ'글쇠를 터치하는 경우 'ㅉ'글쇠를 'ㅈ'글쇠의 위쪽에 추가적으로 표시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표시된 'ㅉ'글쇠를 터치하는 경우 'ㅉ'가 입력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ㅃ, ㅉ, ㄸ, ㄲ, ㅆ, ㅐ, ㅔ'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기 위해 'shift'글쇠를 터치하지 않아도 되며, 이를 통해 문자 입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디지털 신호의 처리가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에서 수행되는 문자 입력 방법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글 자음 및 모음의 그룹화를 미리 수행하여 각 그룹의 대표 자음 및 가족 자음과 또는 각 그룹의 대표 모음 및 가족 모음이 결정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문자 입력 장치는 먼저 자판 표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한다(S1101). 여기서, 문자 입력 장치는 문자 입력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나, 자판 표시를 위한 터치 조작(또는 키 조작)이 발생한 경우 자판 표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에 항상 자판이 표시되도록 구성된 환경에서는 단계 1101이 수행되지 않거나, 기본적으로 자판 표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고려할 수 있다.
단계 S1101에서 자판 표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문자 입력 장치는 터치스크린에 대표 자음 및 대표 모음 글쇠들로 구성된 기본 자판을 표시한다(S1103). 여기서, 상기 기본 자판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후, 문자 입력 장치는 표시된 기본 자판에 포함된 복수의 글쇠들 중 소정 글쇠가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105). 여기서, 문자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누름 동작 등의 키 조작을 수행한 경우 이에 상응하여 생성되는 터치 신호 또는 키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글쇠 선택 여부와 소정 글쇠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글쇠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105에서 소정 글쇠가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문자 입력 장치는 선택된 글쇠에 해당하는 글자(자음 또는 모음)를 터치스크린의 입력 문자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S1107).
또한, 문자 입력 장치는 선택된 글쇠(대표 자음 또는 대표 모음)와 연관된 글쇠(가족 자음 또는 가족 모음)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S1109). 즉, 문자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소정의 대표 자음 또는 대표 모음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대표 자음 또는 대표 모음의 가족 자음 또는 가족 모음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단계 S1109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글쇠와 연관된 글쇠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문자 입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해당 연관 글쇠를 터치 스크린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추가적으로 표시한다(S1111). 여기서, 연관 글쇠는 사용자가 선택한 글쇠에 할당된 대표 자음 또는 대표 모음의 가족 자음 또는 가족 모음에 할당된 글쇠를 의미하며, 상기 연관 글쇠는 사용자가 선택한 글쇠의 상, 하, 좌, 우, 우하 방향 중 미리 설정된 방향에 확장 또는 팝업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문자 입력 장치는 추가적으로 표시한 연관 글쇠가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고(S1113),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연관 글쇠 중 소정 연관 글쇠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선택된 연관 글쇠에 할당된 글자를 입력문자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S1115).
이후, 문자 입력 장치는 문자 입력 종료를 지시하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S1117), 문자 입력 종료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105로 되돌아가서 이후의 단계들을 실행한다. 또는, 문자 입력 장치는 문자 입력 종료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문자 입력을 위한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 문자 입력 장치는 문자 입력 종료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표시중이던 자판을 표시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디지털 정보처리가 가능한 다양한 컴퓨팅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터치스크린(1210), 처리부(1220) 및 저장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210)은 처리부(1220)의 제어에 상응하여 문자 입력를 위한 자판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글쇠에 상응하는 터치 입력 신호를 처리부(1220)에 제공한다. 또한, 터치스크린(1210)은 처리부(1220)로부터 제어에 상응하여 사용자가 터치한 글쇠에 할당된 문자를 표시한다.
터치스크린(1210)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표시하는 입력문자 표시영역과 한글자판 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문자 표시영역은 표시된 자판을 통해 터치된 글쇠에 해당하는 글자 또는 입력된 글자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한글자판 영역은 크게 자음용 자판과 모음용 자판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도 6 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판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처리부(1220)는 자판 표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터치스크린(1210)에 대표 자음 및 대표 모음 글쇠들로 구성된 기본 자판을 표시한다. 여기서, 처리부(1220)는 터치스크린(1210)으로부터 제공되는 터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자판 표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처리부(1220)는 터치스크린(1210)에 표시된 기본 자판에 포함된 복수의 글쇠들 중 소정 글쇠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글쇠에 해당하는 글자(한글 자음 또는 모음)를 터치스크린(1210)의 입력 문자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선택된 글쇠(대표 자음 또는 대표 모음)와 연관된 글쇠(가족 자음 또는 가족 모음)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선택한 글쇠와 연관된 글쇠가 존재한 경우, 해당 연관 글쇠를 터치 스크린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추가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후, 처리부(1220)는 추가적으로 표시한 연관 글쇠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연관 글쇠에 할당된 글자를 터치스크린(1210)의 입력문자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처리부(122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자 입력을 위한 처리 과정을 문자 입력이 종료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계속 반복하여 수행한다.
저장부(1230)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은 문자 입력을 위한 처리 방법이 명령어 형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30)는 그룹화된 한글 자음 및 모음 정보 및 각 그룹의 대표 자음 및 가족 자음과 대표 모음 및 가족 모음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610 : 터치스크린 620 : 입력문자 표시영역
630 : 한글자판 표시영역 640 : 자음용 자판
650 : 모음용 자판 720 : 입력문자 표시영역
740 : 대표자음의 글쇠 741. 743 : 가족자음의 글쇠
1210 : 터치스크린 1220 : 처리부
1230 : 저장부

Claims (17)

  1. 터치스크린 기반의 장치에서 수행되는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묶음화하여 각 자음 묶음의 대표 자음과 각 모음 묶음의 대표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각 대표 자음 및 각 대표 모음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독립적인 글쇠에 할당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대표 자음의 글쇠들 중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과 동일한 묶음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족 자음에 대한 글쇠를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미리 정의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묶음화하여 각 자음 묶음의 대표 자음과 각 모음 묶음의 대표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상기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의 소리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특징에 기초하여 묶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묶음화하여 각 자음 묶음의 대표 자음과 각 모음 묶음의 대표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는,
    한글 자음을 {ㄱ,ㄲ,ㅋ}, {ㄷ,ㄸ,ㅌ}, {ㅂ,ㅃ,ㅍ}, {ㅅ,ㅆ}, {ㅈ,ㅉ,ㅊ}, {ㅇ,ㅎ}, {ㄴ}, {ㄹ} 및 {ㅁ}으로 묶음화하고, 각 묶음의 대표 자음을 'ㄱ', 'ㄷ', 'ㅂ', 'ㅅ', 'ㅈ', 'ㅇ', 'ㄴ', 'ㄹ' 및 'ㅁ'으로 각각 설정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각 대표 자음 및 각 대표 모음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독립적인 글쇠에 할당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각 대표 자음을 총 9개로 구성하여 3행 3열의 글쇠 배열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되, 상기 각 대표 자음을 '가나다'순으로 상기 3행 3열의 글쇠에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과 동일한 묶음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족 자음을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미리 정의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과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족 자음에 대한 글쇠를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의 상, 하, 좌, 우 및 우하 방향 중 미리 정해진 방향에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와 인접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과 동일한 묶음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족 자음을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미리 정의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과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족 자음 중 쌍자음에 대한 글쇠는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표시하고, 상기 대표 자음과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족 자음 중 격자음에 대한 글쇠는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묶음화하여 각 자음 묶음의 대표 자음과 각 모음 묶음의 대표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는,
    한글 모음을 {ㅏ,ㅑ}, {ㅓ, ㅕ}, {ㅗ,ㅛ}, {ㅜ,ㅠ}, {ㅣ} 및 {ㅡ}으로 묶음화하고, 각 묶음의 대표 모음을 'ㅏ', 'ㅓ', 'ㅗ', 'ㅜ', 'ㅣ' 및 'ㅡ'로 각각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묶음화하여 각 자음 묶음의 대표 자음과 각 모음 묶음의 대표 모음을 결정하는 단계는,
    한글 모음을 {ㅏ,ㅑ}, {ㅓ, ㅕ}, {ㅗ,ㅛ}, {ㅜ,ㅠ} 및 {ㅣ,ㅡ}으로 묶음화하고, 각 묶음의 대표 모음을 'ㅏ', 'ㅓ', 'ㅗ', 'ㅜ' 및 'ㅣ'로 각각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각 대표 자음 및 각 대표 모음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독립적인 글쇠에 할당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각 대표 자음 및 대표 모음을 'QWERTY'자판 형태로 표시하되, 'ㅂ', 'ㅈ', 'ㄷ', 'ㄱ' 및 'ㅅ'의 글쇠에는 다른 자음을 할당하지 않고, 'ㅐ' 및 'ㅔ' 글쇠에는 다른 모음을 할당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과 동일한 묶음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족 자음에 대한 글쇠를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미리 정의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ㅂ', 'ㅈ', 'ㄷ', 'ㄱ' 및 'ㅅ'의 글쇠 중 어느 하나의 글쇠가 선택되면, 선택된 글쇠에 할당된 자음의 쌍자음을 상기 선택된 글쇠의 위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대표 모음의 글쇠들 중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모음과 동일한 묶음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족 모음에 대한 글쇠를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미리 정의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모음과 동일한 묶음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족 모음에 대한 글쇠를 상기 터치스크링네서 미리 정의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ㅐ' 글쇠가 선택되면, 상기 'ㅐ' 글쇠의 위쪽에 'ㅒ' 글쇠를 표시하고, 상기 'ㅔ' 글쇠가 선택되면, 'ㅔ' 글쇠의 위쪽에 'ㅖ'글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3. 복수의 한글 자음 및 모음들의 묶음에서 각각 결정된 대표 자음들 및 대표 모음들이 각각 독립적인 글쇠에 할당되어 표시되고, 표시된 글쇠들 중 선택된 소정 글쇠에 대한 터치 신호를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대표 자음의 글쇠들 중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과 동일한 묶음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족 자음에 대한 연관 글쇠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미리 정의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결정된 대표 자음들을 3행 3열의 글쇠 배열로 표시하되, 상기 결정된 대표 자음들을 '가나다'순으로 상기 3행 3열의 글쇠에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에 해당하는 대표 자음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자음에 대한 글쇠를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의 상, 하, 좌, 우 및 우하 방향 중 미리 정해진 방향에 상기 선택된 소정 글쇠와 인접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한글 자음 및 모음들의 묶음에서 결정된 대표 자음들 및 대표 모음들을 'QWERTY'자판 형태로 표시하되, 'ㅂ', 'ㅈ', 'ㄷ', 'ㄱ' 및 'ㅅ'의 글쇠 중 어느 하나의 글쇠가 선택되면, 상기 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된 글쇠에 할당된 자음의 쌍자음을 상기 선택된 글쇠의 위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한글 자음 및 모음들의 묶음에서 결정된 대표 자음들 및 대표 모음들을 'QWERTY'자판 형태로 표시하되, 'ㅐ' 글쇠가 선택되면, 상기 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ㅐ' 글쇠의 위쪽에 'ㅒ' 글쇠를 표시하고, 'ㅔ' 글쇠가 선택되면, 상기 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ㅔ' 글쇠의 위쪽에 'ㅖ'글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KR1020130029656A 2013-03-20 2013-03-20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20140115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656A KR20140115060A (ko) 2013-03-20 2013-03-20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14/191,324 US20140285442A1 (en) 2013-03-20 2014-02-26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apparatu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656A KR20140115060A (ko) 2013-03-20 2013-03-20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060A true KR20140115060A (ko) 2014-09-30

Family

ID=5156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656A KR20140115060A (ko) 2013-03-20 2013-03-20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285442A1 (ko)
KR (1) KR2014011506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255A (ko) * 2017-09-13 2019-03-22 권혁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90084821A (ko) * 2018-01-09 2019-07-17 주식회사 파이널보스비하인드더도어 이동 단말기의 키보드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KR20200136099A (ko) * 2019-05-27 2020-12-07 손효원 문자입력 방법 및 문자입력 시스템
WO2023008830A1 (ko) * 2021-07-26 2023-02-02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547A (ko) * 2014-11-05 2016-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1022B2 (en) * 2006-03-17 2019-12-31 Conversant Wireless Licensing S.a.r.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KR101167352B1 (ko) * 2008-03-28 2012-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11025200A2 (ko) * 2009-08-23 2011-03-03 (주)티피다시아이 확장키를 이용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
WO2011096702A2 (ko) * 2010-02-03 2011-08-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255A (ko) * 2017-09-13 2019-03-22 권혁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90084821A (ko) * 2018-01-09 2019-07-17 주식회사 파이널보스비하인드더도어 이동 단말기의 키보드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KR20200136099A (ko) * 2019-05-27 2020-12-07 손효원 문자입력 방법 및 문자입력 시스템
WO2023008830A1 (ko) * 2021-07-26 2023-02-02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85442A1 (en)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281B1 (ko)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CN102520874B (zh) 一种基于触摸屏的拼音输入方法及装置
KR100997555B1 (ko) 문자 입력 장치
KR20140115060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1046914B1 (ko) 귀환적 키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189112B1 (ko)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KR20110049617A (ko) 터치스크린의 한글 입력 방법, 기록매체
KR100862241B1 (ko) Pc 키보드와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204151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CN106168880B (zh) 一种输入控制的方法及终端
KR101426843B1 (ko) 확장키를 이용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
KR20100135340A (ko)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한 중국어 및 한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97921A (ko) 확장키를 이용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
KR101157084B1 (ko)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KR20120004175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제공방법
KR20110131575A (ko)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문자입력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282760B1 (ko) Acegi 키보드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28784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휴대용 한글 자판
KR20150131662A (ko) 문자입력시 문자 조합 조건 확장
KR101075642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그 방법 및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KR101454896B1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KR101438271B1 (ko)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053934B1 (ko) 휴대용 기기에 구현되는 키 입력장치 및 방법
KR20240145935A (ko) 문자입력시 문자 조합 조건 확장
KR20230128238A (ko) 3d 터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및 문자 수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