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397A - 음압을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마이크로구조체 - Google Patents
음압을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마이크로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05397A KR20140105397A KR20140019539A KR20140019539A KR20140105397A KR 20140105397 A KR20140105397 A KR 20140105397A KR 20140019539 A KR20140019539 A KR 20140019539A KR 20140019539 A KR20140019539 A KR 20140019539A KR 20140105397 A KR20140105397 A KR 201401053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scous composition
- microstructure
- negative pressure
- present
- suction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C—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 B81C1/00015—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for manufacturing microsystems
- B81C1/00023—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for manufacturing microsystems without movable or flexible elements
- B81C1/00111—Tips, pillars, i.e. raised structu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vaccinating or cleaning the skin previous to the vaccination
- A61B17/205—Vaccinating by means of needles or other punctu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Microneed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53—Methods for producing microneed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흡입구의 위치와 음압 인가에 따라 점성조성물의 형상 변화를 이용한 마이크로니들의 형성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복수의 흡입구를 갖는 흡입관을 이용하여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동시에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4는 흡입구와 점성조성물 사이의 거리의 조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형상/디멘젼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흡입구와 점성조성물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원하는 다양한 형상/디멘젼의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할 수 있다.
도 5는 흡입구의 직경에 따라 제조되는 다양한 마이크로니들의 형상에 관한 도면이다. 흡입구의 크기를 조절하여 제작되는 마이크로니들의 형상/디멘젼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음압의 세기에 따라 제조되는 다양한 마이크로니들의 형상에 관한 도면이다. 점성조성물의 표면에 인가되는 음압과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상/디멘젼의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할 수 있다.
도 7은 흡입구의 형상에 따른 마이크로니들의 형상 변화를 나타낸다. 흡입구의 형상 변화를 통하여 다양한 형상/디멘젼의 마이크로니들을 제작할 수 있다.
도 8은 흡입관의 상승 및 위치 조절을 통한 마이크로니들의 형상조절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니들 형성과정 중에 흡입구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 마이크로니들의 형상/디멘젼을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점성조성물을 방울로 형성하지 않고 도포한 후에 음압을 인가하여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점성용액을 원하는 표면에 일정하게 도포한 상태에서도 음압을 인가하여 비접촉식으로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흡입구가 마이크로니들 생성 표면에 밀착한 상태로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하는 것을 나타낸다. 흡입구를 표면에 밀착시키는 방법으로도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1은 하나의 흡입관이 마이크로니들 생성 표면에 밀착한 상태로 여러 개의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하는 것을 나타낸다. 하나의 흡입관을 표면에 밀착시켜 다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2는 두 번의 음압 인가에 의해 두 개의 층을 갖는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하는 첫 번째 구현예를 나타낸다. 첫 번째 층을 형성하는 점성용액을 도포하고 음압을 인가하여 지지층을 형성한다. 이후 두 번째 층을 이루는 점성용액을 지지층 위에 토출(또는 스팟팅)하고 음압을 인가한다. 이를 통하여 두 개의 층(두 개의 층은 서로 동일한 물질 또는 상이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니들은 약물의 전달효율을 향상하고 전달량을 조절하는데 활용가능하다.
도 13은 두 번의 음압 인가에 의해 두 개의 층을 갖는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하는 두 번째 구현예를 나타낸다. 첫 번째 층을 형성하는 점성용액 방울을 형성하고 음압을 인가하여 지지층을 형성한다. 이후 두 번째 층을 이루는 점성용액을 지지층 위에 토출하고 음압을 인가한다. 이를 통하여 두 개의 층(두 개의 층은 서로 동일한 물질 또는 상이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니들은 약물의 전달효율을 향상하고 전달량을 조절하는데 활용가능하다.
도 14는 소정의 형상 및/또는 간격을 가지는 동공(hole)을 갖는 흡입구를 이용하여 형상 및/또는 디메젼이 조절된 마이크로니들의 제작 방법을 나타낸다. 흡입구에 복수의 동공을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유체의 흐름과 음압을 조절함으로써, 제조되는 마이크로니들의 형상 및/또는 디메젼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흡입관의 단면 형상을 조절하여 형상 및/또는 디메젼(예컨대, 상단부 직경 및 종횡비)이 조절된 마이크로니들의 제작 방법을 나타낸다. 기존의 좌측의 그림과 같은 흡입구의 단면 형상을 우측과 같이 변형하여 마이크로니들의 형상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도 16은 흡입구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여 구부러진 형상의 마이크로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하여 제작되는 마이크로구조체 상단부의 방향과 각도, 그리고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7은 음압 인가에 의해 마이크로구조체 형상의 성형 후 추가적인 건조과정을 통해 마이크로구조체의 잔여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의 일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마이크로니들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작 과정을 시간 경과에 따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20a는 불충분한 음압 세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이크로니들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20b는 적합한 음압 세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이크로니들에 대한 이미지이다.
Claims (24)
-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a) 기판 상에 점성조성물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점성조성물에 음압(negative pressure)을 인가(apply)하여 상기 점성조성물의 인장(extension)을 유도하여 마이크로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성조성물은 생체적합성 또는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성조성물은 방울(drop) 형태로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경화(solidifying)가 동시에 일어나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의 인가는 음압 발생수단가 연결되어 있고 흡입구가 있는 흡입관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점성조성물과 상기 흡입관의 흡입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복수의 흡입관으로서 상기 단계 (b)에 의해 복수의 마이크로구조체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흡입구의 직경을 조절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음압의 세기를 조절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흡입관 또는 흡입구의 형상을 조절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흡입관을 이용하여 음압을 상기 점성조성물에 인가하여 상기 점성조성물의 형상이 변화하는 시점에 상기 흡입관을 소정의 속도로 상승시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흡입관의 상승 속도 또는 위치를 조절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흡입관의 흡입구가 상기 기판에 부착된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실온 또는 실온 이하의 저온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흡입구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온도를 조절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점성조성물의 인장 속도를 조절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판의 표면 성질을 조절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기판 상에 제1점성조성물을 도포하고 상기 제1점성조성물에 음압을 인가하여 지지층을 형성시키는 소단계 (a-1); 및 상기 지지층 상에 제2점성조성물을 스팟팅 하는 소단계 (a-2)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는 상기 지지층 상에 스팟팅 된 제2점성조성물에 음압을 인가하여 실시하며, 이에 의해 두 개의 층을 포함하는 마이크로구조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기판 상에 제1점성조성물을 방울 형태로 위치시키고 상기 제1점성조성물에 음압을 인가하여 지지층을 형성시키는 소단계 (a-1); 및 상기 지지층 상에 제2점성조성물을 스팟팅 하는 소단계 (a-2)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는 상기 지지층 상에 스팟팅 된 제2점성조성물에 음압을 인가하여 실시하며, 이에 의해 두 개의 층을 포함하는 마이크로구조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소정의 형상, 간격 또는 형상과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동공(hole)이 형성된 흡입구가 있는 상기 흡입관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흡입관의 단면 형상을 조절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구조체는 마이크로니들, 마이크로스파이크, 마이크로블레이드, 마이크로나이프, 마이크로파이버, 마이크로프로브, 마이크로발브(microbarb), 마이크로어레이 또는 마이크로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상기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19247 | 2013-02-22 | ||
KR1020130019247 | 2013-02-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5397A true KR20140105397A (ko) | 2014-09-01 |
KR101488397B1 KR101488397B1 (ko) | 2015-02-03 |
Family
ID=5139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19539A Active KR101488397B1 (ko) | 2013-02-22 | 2014-02-20 | 음압을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마이크로구조체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974936B2 (ko) |
KR (1) | KR101488397B1 (ko) |
WO (1) | WO2014129816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200214A1 (ko) * | 2016-05-20 | 2017-11-23 | 주식회사 라파스 | 마이크로니들 제조용 점성물질 공급장치 |
US10441545B2 (en) | 2014-12-16 | 2019-10-15 | Juvic Inc. | Microcellular micro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US10737081B2 (en) | 2013-06-17 | 2020-08-11 | Juvic Inc. | Painless and patchless shooting microstructur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708747B2 (ja) * | 2016-02-15 | 2020-06-10 | シャンハイ ジャオ トン ユニバーシティ | マイクロ針パッチの高速印刷方法 |
US20180056053A1 (en) * | 2016-08-26 | 2018-03-01 | Juvic Inc. | Protruding microstructure for transdermal delivery |
KR101837449B1 (ko) | 2016-10-28 | 2018-03-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마이크로 니들 패치, 마이크로 니들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
CN109420245A (zh) * | 2017-08-30 | 2019-03-05 | 优微(珠海)生物科技有限公司 | 可溶性微针的制造方法 |
KR20240073423A (ko) | 2022-11-18 | 2024-05-27 | 쥬빌리바이오텍 주식회사 | 마이크로니들 카트리지의 생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9029256A1 (en) * | 1997-12-10 | 1999-06-17 | Diro, Inc. | Temporary implant components, system and method |
ES2463818T3 (es) * | 2004-08-16 | 2014-05-29 | Functional Microstructures Limited | Dispositivo que se aplicará a una barrera biológica |
JP5882556B2 (ja) * | 2004-12-28 | 2016-03-09 | ナブテスコ株式会社 | 皮膚用針、皮膚用針製造装置および皮膚用針製造方法 |
US20080213461A1 (en) * | 2005-06-17 | 2008-09-04 |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 Coated Microstruc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
KR20090059971A (ko) * | 2007-12-07 | 2009-06-11 | 인싸이토 주식회사 | 중공형 마이크로 니들 |
US20110177297A1 (en) * | 2008-10-02 | 2011-07-21 | Nurim Wellness Co. Ltd. | Method of manufacturing solid microstructure and solid microstructure manufactured based on same |
KR101152486B1 (ko) | 2009-07-31 | 2012-06-01 | (주)테라젝코리아 | 마이크로니들 패드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제조장치 |
KR101386442B1 (ko) * | 2010-04-01 | 2014-04-18 | 주식회사 라파스 | 송풍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된 솔리드 마이크로 구조체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1180032B1 (ko) * | 2010-07-12 | 2012-09-05 | 인싸이토(주) | 외형 조절이 가능한 중공형 마이크로니들의 제조방법 |
KR101633137B1 (ko) * | 2011-06-14 | 2016-06-23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약물 전달을 위한 리포좀-마이크로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4
- 2014-02-20 WO PCT/KR2014/001373 patent/WO201412981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2-20 KR KR20140019539A patent/KR101488397B1/ko active Active
- 2014-02-20 US US14/426,598 patent/US9974936B2/en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737081B2 (en) | 2013-06-17 | 2020-08-11 | Juvic Inc. | Painless and patchless shooting microstructure |
US10441545B2 (en) | 2014-12-16 | 2019-10-15 | Juvic Inc. | Microcellular micro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WO2017200214A1 (ko) * | 2016-05-20 | 2017-11-23 | 주식회사 라파스 | 마이크로니들 제조용 점성물질 공급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8397B1 (ko) | 2015-02-03 |
US9974936B2 (en) | 2018-05-22 |
WO2014129816A1 (ko) | 2014-08-28 |
US20150224293A1 (en) | 2015-08-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8397B1 (ko) | 음압을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마이크로구조체 | |
KR101136738B1 (ko) | 송풍에 의한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 | |
KR101386442B1 (ko) | 송풍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된 솔리드 마이크로 구조체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830398B1 (ko) | 무고통 및 무패치의 슈팅 마이크로구조체 | |
KR101314091B1 (ko) | 치료 부위내 경피 유전자 전달을 위한 일렉트로 마이크로니들 집적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US8545741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microstructure | |
KR101703312B1 (ko) | 미세공구조를 포함하는 마이크로구조체-기반 약물전달체 | |
JP5161776B2 (ja) | 薬物粒子および/または薬物を吸着した粒子を含む、固溶体穿孔器 | |
KR101590172B1 (ko) | 원심력을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마이크로구조체 | |
KR101745682B1 (ko) | 마이크로 니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니들 | |
KR20100037389A (ko) | 다중 약물방출조절이 가능한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53308B1 (ko) | 미세방 마이크로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6853271B (zh) | 微结构体的制造方法 | |
KR20120138180A (ko) | 약물 전달을 위한 리포좀-마이크로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03050B1 (ko) | 경피전달용 미세돌기 구조체 | |
KR101828591B1 (ko) | Ccdp 방법에 의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 | |
KR101754309B1 (ko) | 음압을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마이크로구조체 | |
KR102094744B1 (ko) | 마이크로 니들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10116110A (ko) | 송풍에 의한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 |
KR20160143611A (ko) | 경피전달용 미세돌기 구조체 | |
KR20180011837A (ko) |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마이크로구조체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
KR102127123B1 (ko) |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
US20180056053A1 (en) | Protruding microstructure for transdermal delivery | |
KR20170138291A (ko) |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마이크로구조체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