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360A -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83360A KR20140083360A KR1020120153019A KR20120153019A KR20140083360A KR 20140083360 A KR20140083360 A KR 20140083360A KR 1020120153019 A KR1020120153019 A KR 1020120153019A KR 20120153019 A KR20120153019 A KR 20120153019A KR 20140083360 A KR20140083360 A KR 201400833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polyvinyl chloride
- resin
- foam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4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4/50—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using pressure difference, e.g. by extrusion or by spraying
- B29C44/505—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using pressure difference, e.g. by extrusion or by spraying extruding the compound through a flat di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19—Use of organic additives halogenat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52—Organo-metallic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2—Azo-compounds
- C08J9/103—Azodicarbonam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06—PVC, i.e. polyvinylchlor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rosslinked or vulcanis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2—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29K2995/0015—Insul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2—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29K2995/0016—Non-flammable or resistant to hea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26—Crosslinking before of after foam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3—Extrusion of the foamable blen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04—N2 releasing, ex azodicarbonamide or nitroso compoun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2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3/28—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halogen-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J23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2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423/28—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halogen-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427/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J24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 및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00 중량부의 염소화 파라핀오일(CPO); 및 1 내지 10 중량부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원료 조성물이 압출 발포 성형된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는,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와 염소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 건축용 단열재로의 사용이 가능하고,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와 혼용성이 우수한 염소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 가교도를 상승시켜, 고배율의 발포가 가능하며, 이로써 단열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는,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와 염소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 건축용 단열재로의 사용이 가능하고,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와 혼용성이 우수한 염소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 가교도를 상승시켜, 고배율의 발포가 가능하며, 이로써 단열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배율의 발포체 제조를 통한 우수한 단열성으로 인해, 건축용 단열재로의 사용이 가능한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과 절약의 관점에서 단열재의 개발과 효과적 이용 방안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현재 단열재는 유기 고분자 수지계와 무기계로 크게 구분되며, 각각의 물성과 특성에 따라 이용방법도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유기 단열재가 무기 단열재에 비해 단열성, 경량성, 내수성, 가공성, 내충격성이 좋은 반면, 내열성 또는 내구성이 떨어지는 편이다. 따라서 각각의 특성이 보완된 다기능성 단열재가 개발될 경우 사용 범위의 제한이 크게 완화될 수 있고, 보다 새로운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계 발포체는, 유기 단열재가 가지는 일반적인 특성 외에 내열성, 내저온성, 내약품성 그리고 기계적 강도가 훨씬 보강된 새로운 기능성 단열재로서 보다 광범위하고 가혹한 조건에서도 충분히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유기 단열재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발포체는 주택, 건설, 냉장, 냉동, LNG 저장용 탱크, 항공기, 선박 등 산업 전반에 단일구조재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그 용도가 계속 개발됨에 따라 사용범위의 지속적인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는 제품이다.
특히,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나 가스에 의해 인명피해가 발생하는데, 연소가 활발해지면서 주변의 산소가 부족해져, 유해성 가스가 발생하고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연기는 다량의 인명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축용 단열재는, 화재발생시 위험요인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수한 난연성을 가질 것이 요구되는데, 폴리비닐클로라이드는 난연성 원소인 염소를 포함하고 있어, 기본적으로 난연성이 우수한 재료이다.
한편, 발포단열재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열의 출입을 차단시킴으로써 열의 손실을 막아주기 때문에, 내부에 기공을 많이 포함할수록 단열성이 좋아진다. 발포단열재의 내부에 기공을 많이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고배율로 발포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발포단열재는, 가교도가 낮아서 고배율의 발포가 어려워 일정 수준 이상의 단열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우수한 난연성을 유지하면서, 고배율의 발포로 인해 단열성을 향상시킨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 및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00 중량부의 염소화 파라핀오일(CPO); 및 1 내지 10 중량부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원료 조성물이 압출 발포 성형된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염소화 파라핀오일(CPO)은,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80 중량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교제는,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교제는, 디큐밀퍼옥사이드(DCP), t-부틸퍼옥시라우릴레이트,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시클로헥산온퍼옥사이드, t-디부틸퍼옥시말레인산, t-부틸히드로퍼옥사이드, 2,3-디메틸-2,5-디헥산, 디-t-부틸퍼옥사이드, 2,2-비스벤젠, 1,3-비스벤젠, 1,1-비스-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p-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의 한계산소지수는, 28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의 밀도는, 0.025 g/cm3 내지 0.500 g/cm3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의 열전도율은, 0.04 W/mK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원료 조성물은,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난연제 5 내지 50 중량부; 및 열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난연제는, 삼산화안티몬, 데카브로모페닐옥사이드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안정제는, 주석 말레이트, 주석 라우레이트 및 분말주석 말레이트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유기주석계 열안정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S1)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 및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00 중량부의 염소화 파라핀오일(CPO), 1 내지 10 중량부의 가교제, 난연제 5 내지 50 중량부, 열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 발포제 5 내지 50 중량부, 및 발포조제 0.1 내지 3 중량부를 혼련하여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원료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압출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S3) 상기 압출시트를 가열하여 화학가교 및 상기 발포제를 발포시켜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S1)단계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 및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00 중량부의 염소화 파라핀오일(CPO), 및 열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를 70 내지 150 ℃에서 5 내지 20 분간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 후의 결과물에,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난연제 5 내지 50 중량부 및 가교제 1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70 내지 150 ℃에서 2 내지 10 분간 분산시키는 제1 분산단계; 및 상기 제1 분산단계 후의 결과물에,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발포제 5 내지 50 중량부, 및 발포조제 0.1 내지 3 중량부를 첨가하여 70 내지 150 ℃에서 2 내지 10 분간 분산시키는 제2 분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포제는,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수소나트륨, 보로수소화나트륨, 아조디카본아미드,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 테트라민, 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 톨루엔설포닐 하이드라지드, 톨루엔설포닐 세미카바자이드 및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포조제는, 카드뮴 화합물, 칼슘 화합물, 아연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철 화합물 및 구리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출기는, 싱글 압출기 또는 트윈 압출기이며, 압출온도는 90 내지 140 ℃로 유지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3)단계는, 상기 압출시트를 150 내지 250 ℃의 온도로 가열하여 화학가교 및 상기 발포제를 발포시켜 발포체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는,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와 염소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 건축용 단열재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와 혼용성이 우수한 염소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 가교도를 상승시켜, 고배율의 발포가 가능하며, 이로써 단열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는, 가소제로서 염소화 파라핀오일을 포함하여, 난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 및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00 중량부의 염소화 파라핀오일(CPO); 및 1 내지 10 중량부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원료 조성물이 압출 발포 성형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이고, 상기 염소화 폴리에틸렌 수지의 함량이 70 중량부를 초과하면, 후술하는 한계산소지수가 낮아지게 되어, 난연성 확보에 불리하며, 상기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의 함량이 70 중량부를 초과하고, 상기 염소화 폴리에틸렌 수지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수지 혼합물의 시편상태가 불량해져서 가교 및 발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로 구성된 발포체는 잘 부러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일정량의 가소제가 포함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00 중량부, 또는 20 내지 80 중량부의 염소화 파라핀오일이 가소제로서 포함된다.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면, 한계산소지수가 낮아지게 되어, 난연성 확보에 불리하다. 또한, 상기 염소화 파라핀오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포단열재의 난연성을 우수하게 하며, 추후 열안정제가 첨가되더라도 분해가 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발포단열재로서의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단열재가 건축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난연성 및 단열성이 우수해야 한다.
국토해양부에서 제정한 건축기계설비공사 표준시방서에는, 단열재의 난연성과 관련된 시험방법인 KS M ISO 4589-2에 의해 측정되는 난연성 측정지수인 한계산소지수(limiting oxygen index, L.O.I)가 28 이상이 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염소화 폴리에틸렌 수지 및 염소화 파라핀오일은, 난연성 원소인 염소를 포함하고 있어, 난연성이 우수하며, 상기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의 한계산소지수는 적어도 28 이상이다.
한편, 발포단열재의 단열성은, 발포단열재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열의 출입을 차단시켜 열의 손실을 막아주는 정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발포단열재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많을수록 단열성이 우수해지는데, 종래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로 구성된 발포단열재는, 고분자의 체인구조상 가교도가 낮기 때문에, 20 배 정도의 발포가 이루어져, 일정 수준 이상의 단열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에, 상기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와 혼용성이 우수한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을 기본 수지로 함으로써, 가교도를 상승시키며, 30 내지 40 배 정도의 고배율의 발포가 가능하여, 단열성이 향상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발포단열재의 열전도율은, 0.04 W/mK 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가교제가 1 내지 10 중량부 또는 2 내지 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1 중량부 미만이면 가교도가 낮아져 발포 배율이 좋지 않아 단열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발포셀이 터지는 현상으로 인해 표면이 거칠게 되기 때문에 좋지 않다.
여기서 사용될 수 있는 상기 가교제는, 디큐밀퍼옥사이드(DCP), t-부틸퍼옥시라우릴레이트,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시클로헥산온퍼옥사이드, t-디부틸퍼옥시말레인산, t-부틸히드로퍼옥사이드, 2,3-디메틸-2,5-디헥산, 디-t-부틸퍼옥사이드, 2,2-비스벤젠, 1,3-비스벤젠, 1,1-비스-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p-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배율의 발포로 인해, 본 발명의 발포단열재는, 0.025 g/cm3 내지 0.500 g/cm3의 비교적 작은 밀도를 나타냄으로써 경량성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원료 조성물은,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난연제 5 내지 50 중량부; 및 열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난연제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며,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발포단열재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안정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압출 및 발포시 가공성이 저하되고 수지가 분해되어 물성이 저하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첨가로 인해, 경제성이 저하됨은 물론 제품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난연제는, 삼산화안티몬, 데카브로모페닐옥사이드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안정제는, 주석 말레이트, 주석 라우레이트 및 분말주석 말레이트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유기주석계 열안정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 및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00 중량부의 염소화 파라핀오일(CPO), 1 내지 10 중량부의 가교제, 난연제 5 내지 50 중량부, 열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 발포제 5 내지 50 중량부, 및 발포조제 0.1 내지 3 중량부를 혼련하여 원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S1).
이때 상기 (S1)단계는, 원료의 효율적인 혼합 및 제품의 물성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단계를 거쳐 수행될 수 있다.
우선,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 및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00 중량부의 염소화 파라핀오일(CPO), 및 열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를 70 내지 150 ℃에서 5 내지 20 분간 혼합한다. 이러한 혼합과정은 습식의 니더 (kneader)기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혼합단계 후의 결과물에,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난연제 5 내지 50 중량부 및 가교제 1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70 내지 150 ℃에서 2 내지 10 분간 분산시키는 제1 분산단계가 수행된다.
이어서, 상기 제1 분산단계 후의 결과물에,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발포제 5 내지 50 중량부, 및 발포조제 0.1 내지 3 중량부를 첨가하여 70 내지 150 ℃에서 2 내지 10 분간 분산시키는 제2 분산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제2 분산단계 이후의 결과물은, 추후 압출기로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펠릿 (pellet)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상기 염소화 폴리에틸렌 수지 및 상기 염소화 파라핀오일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해야 하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발포제 및 상기 발포조제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함으로써, 발포가 충분히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품의 물성 저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발포제는, 다양한 종류가 이미 공지되어 있지만 미세하고 균일한 기포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하며, 압출시에 발생될 수 있는 조기분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발포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수소나트륨, 보로수소화나트륨 등의 무기 발포제가 있고, 아조디카본아미드(azodicarbonamide),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 테트라민(N,N'-dinitrosopentamethylene tetramine), 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benzenesulfonyl hydrazide), 톨루엔설포닐 하이드라지드(toluenesulfonyl hydrazide), 톨루엔설포닐 세미카바자이드(toluenesulfonyl semicarbazide),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등의 유기 발포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발포조제로서 카드뮴 화합물(cadmium compound), 칼슘 화합물(calsium compound), 아연 화합물(zinc compound), 마그네슘 화합물(magnesium compound), 철 화합물(iron compound), 구리 화합물(copper compound)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아연 화합물 중 산화아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원료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압출시트를 제조한다 (S2).
여기서, 상기 (S2) 단계는, 상기 (S1) 단계에서 제조된 원료 조성물을 일정의 넓이와 두께를 갖는 압출시트로 압출성형하는 공정으로서, 일반적인 싱글 압출기(single extruder) 또는 발포제로 인한 압출시트의 조기발포를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발포제를 별도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사이드 피딩방식으로 투입하는 트윈 압출기(twin extruder)를 이용하여 공정처리가 가능하고, 스크류를 내재하며 90 내지 140 ℃의 온도를 갖는 실린더 및 90 내지 140℃의 온도를 갖는 다이스를 구비한 압출기로서 원료 조성물을 혼련하여 압출성형하기 때문에, 상기 (S1) 단계에서 준비된 원료 조성물에 포함된 전체 조성물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린더 및 다이스의 온도를 90 ℃ 미만으로 유지하면 수지 혼합물이 미미하게 용융되어 발포체 혼합물의 혼련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140 ℃를 초과하도록 유지하면 발포제의 조기분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압출기의 실린더 및 다이스의 온도를 90 내지 140 ℃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때, 상기 압출시트의 너비와 두께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어서, 상기 압출시트를 가열하여 화학가교 및 상기 발포제를 발포시켜 발포체를 형성한다 (S3).
여기서, 상기 (S3)단계는, 상기 압출시트를 발포로를 통해 150 내지 250 ℃의 온도로 가열하여 화학적으로 가교시킨 후, 상기 발포제를 발포시켜 발포체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의 온도가 150 ℃ 미만이면, 발포제가 활성화되지 않아, 발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250 ℃를 초과하면, 발포제가 분해되어 제품 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3)단계는, 발포로를 수평으로 설치하는 수평발포방법, 발포로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수직발포방법 및 열전달 매체로 액상의 설트를 이용하는 설트발포방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3가지의 발포방법은 모두 상압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발포로의 설치 방법과 열전달 매체에 따라 상호 구분된다. 첫 번째의 상기 수평발포방법은 발포로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발포시 발포체가 수평으로 생산되며, 모든 공정이 수평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수평발포방법은 발포로의 배치 및 공정 진행 과정에서 중력에 의한 영향이 거의 없으므로 발포시 길이 방향의 팽창비가 작으므로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물성 변화가 작은 장점이 있다. 두 번째의 상기 수직발포방법은 발포로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상기 압출시트를 하강시키면서 발포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수직발포방법은 발포시 공기중에서 발포가 이루어지므로 외관이 우수하고 아울러 폭 방향으로의 편차가 작게 발생하여 수율면에서 우수한 장점이 있다. 세 번째의 상기 설트발포방법은 열전달매체로 액상 설트를 사용하는 점에서 전술한 두 가지의 발포방법과는 공정상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수직발포방법과는 달리 공기를 열전달체로 사용하지 않고 액상의 설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열전달 효과가 우수하며 시트상에서 균일하게 발포가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전술한 수평 또는 수직발포방법에 의해 생산된 발포제품에 비해 길이 방향이나 폭 방향에서의 물성 편차가 매우 작아 제품 특성이 우수하게 평가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1.
실시예
- 수지 혼합물의 제조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VC) 수지와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수지의 배합비를 조절하여, 밀롤(mill roll)로 140 ℃의 온도에서 15 분간 배합하여 각각의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였으며, 각 배합비에 따른 수지 혼합물의 한계산소지수 및 시편상태에 대해,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 시료 1 | 시료 2 | 시료 3 | 시료 4 | 시료 5 |
PVC 중량부 | 70 | 60 | 50 | 40 | 30 |
CPE 중량부 | 30 | 40 | 50 | 60 | 70 |
합계 | 100 | 100 | 100 | 100 | 100 |
한계산소지수 | 38 | 36 | 34 | 31 | 29 |
시편상태 | △ | ○ | ◎ | ○ | △ |
(시편상태 표시: ◎ 매우 양호, ○ 양호, △ 보통, ×불량)
상기 각 배합에 따른 시료 1 내지 5 는 모두 한계산소지수가 28이 넘는 것으로 측정되어 난연성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시편상태가 가장 양호한 시료 3을 이용하여 하기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2.
실시예
-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의 제조
(1)
실시예
1
상기 시료 3의 배합을 갖는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 가소제로 염소화 파라핀오일(CPO) 50 중량부 및 열안정제로 주석 말레이트 2 중량부를 70 ℃의 습식의 니더 (kneader)기 내에서 10 분간 혼합하였다.
그 후, 난연제로서 수산화마그네슘 10 중량부 및 가교제로서 디큐밀퍼옥사이드 (DCP) 2 중량부를 투입하여, 90 ℃에서 5 분간 분산시키고, 이어서, 발포제로서 아조디카본아미드 25 중량부 및 발포조제로서 산화아연 1 중량부를 첨가하여, 110 ℃에서 5 분간 분산시킨 후, 이를 펠릿 (pellet)화하였다.
이어서, 상기 펠릿화된 발포체 원료 조성물을, 120 ℃로 유지되는 싱글 압출기에 투입한 후, 용융압출하여 압출시트를 제조한 후, 200 ℃로 유지되는 오븐에 투입하여 가교 및 발포시킴으로써 발포단열재를 제조하였다.
(2)
실시예
2
상기 난연제로서 수산화마그네슘 10 중량부, 삼산화안티몬 2 중량부 및 데카브로모페닐옥사이드 6 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단열재를 제조하였다.
(3)
실시예
3
상기 난연제로서 수산화마그네슘 10 중량부, 삼산화안티몬 3 중량부 및 데카브로모페닐옥사이드 9 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단열재를 제조하였다.
(4)
실시예
4
상기 난연제로서 수산화마그네슘 10 중량부, 삼산화안티몬 4 중량부 및 데카브로모페닐옥사이드 16 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단열재를 제조하였다.
(5)
실시예
5
상기 난연제로서 수산화마그네슘 10 중량부, 삼산화안티몬 3 중량부 및 데카브로모페닐옥사이드 9 중량부를 투입하고, 상기 발포제로서 아조디카본아미드 10 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단열재를 제조하였다.
(6)
실시예
6
상기 난연제로서 수산화마그네슘 10 중량부, 삼산화안티몬 3 중량부 및 데카브로모페닐옥사이드 9 중량부를 투입하고, 상기 발포제로서 아조디카본아미드 20 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단열재를 제조하였다.
(7)
실시예
7
상기 난연제로서 수산화마그네슘 10 중량부, 삼산화안티몬 3 중량부 및 데카브로모페닐옥사이드 9 중량부를 투입하고, 상기 발포제로서 아조디카본아미드 30 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단열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 의해 제조된 발포단열재의 조성에 대해 정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고, 각 실시예의 밀도, 한계산소지수, 열전도율 및 제품상태에 대해 정리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배합물 | 종류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실시예 7 |
수지 | PVC | 50 | 50 | 50 | 50 | 50 | 50 | 50 |
CPE | 50 | 50 | 50 | 50 | 50 | 50 | 50 | |
가소제 | CPO | 50 | 50 | 50 | 50 | 50 | 50 | 50 |
난연제 | 삼산화안티몬 | - | 2 | 3 | 4 | 3 | 3 | 3 |
데카브로모페닐옥사이드 | - | 6 | 9 | 16 | 9 | 9 | 9 | |
수산화마그네슘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
열안정제 | 주석 말레이트 | 2 | 2 | 2 | 2 | 2 | 2 | 2 |
가교제 | 디큐밀퍼옥사이드 | 2 | 2 | 2 | 2 | 2 | 2 | 2 |
발포제 | 아조디카본아미드 | 25 | 25 | 25 | 25 | 10 | 20 | 30 |
발포조제 | 산화 아연 | 1 | 1 | 1 | 1 | 1 | 1 | 1 |
총 중량부 | 190 | 198 | 202 | 210 | 187 | 197 | 207 |
특성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실시예 7 |
밀도(g/cm3) | 0.05 | 0.05 | 0.05 | 0.06 | 0.10 | 0.07 | 0.04 |
한계산소지수 | 28 | 30 | 32 | 34 | 34 | 34 | 34 |
열전도율(W/mK) | 0.035 | 0.035 | 0.035 | 0.035 | 0.040 | 0.036 | 0.034 |
제품상태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제조된 모든 발포단열재는 양호한 상태로 제조되었으며, 적절한 밀도와 열전도율을 나타내었고, 한계산소지수는 28 이상으로 측정되어 건축기계설비공사 표준시방서의 요구치를 모두 만족하였다.
특히, 실시예 2 내지 4에서, 난연제의 함량만을 달리하여 발포단열재를 제조하였는데, 난연재의 양이 증가할수록 제품의 열전도율에는 크게 변화가 없었으나, 한계산소지수가 증가되는 것으로 미루어, 난연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실시예 5 내지 7에서, 발포제의 함량만을 달리하여 발포단열재를 제조하였는데, 발포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제품의 밀도는 작아졌지만, 열전도율이 감소하여 단열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3.
비교예
-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의 제조
(1)
비교예
1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VC) 수지 100 중량부, 가소제로 염소화 파라핀오일(CPO) 40 중량부 및 열안정제로 주석 말레이트 2 중량부를 70 ℃의 습식의 니더 (kneader)기 내에서 10 분간 혼합하였다.
그 후, 난연제로서 수산화마그네슘 10 중량부, 삼산화안티몬 3 중량부 및 데카브로모페닐옥사이드 9 중량부와 가교제로서 디큐밀퍼옥사이드 2 중량부를 투입하여, 90 ℃에서 5 분간 분산시키고, 이어서, 발포제로서 아조디카본아미드 25 중량부 및 발포조제로서 산화아연 1 중량부를 첨가하여, 110 ℃에서 5 분간 분산시킨 후, 이를 펠릿 (pellet)화하였다.
이어서, 상기 펠릿화된 발포체 원료 조성물을, 120 ℃로 유지되는 싱글 압출기에 투입한 후, 용융압출하여 압출시트를 제조한 후, 200 ℃로 유지되는 오븐에 투입하여 가교 및 발포시킴으로써 발포단열재를 제조하였다.
(2)
비교예
2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VC) 수지 100 중량부 대신, 상기 시료 3의 배합을 갖는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사용하고, 상기 가소제로서 염소화 파라핀오일 40 중량부 대신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DINP) 5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단열재를 제조하였다.
(3)
비교예
3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VC) 수지 100 중량부 대신, 상기 시료 3의 배합을 갖는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사용하고, 상기 가소제로서 염소화 파라핀오일 40 중량부 대신 디옥틸프탈레이트 (DOP) 5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단열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발포단열재의 조성에 대해 정리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고, 각 비교예의 밀도, 한계산소지수, 열전도율 및 제품상태에 대해 정리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배합물 | 종류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수지 | PVC | 100 | 50 | 50 |
CPE | - | 50 | 50 | |
가소제 | CPO | 40 | - | - |
DINP | - | 50 | - | |
DOP | - | - | 50 | |
난연제 | 삼산화안티몬 | 3 | 3 | 3 |
데카브로모페닐옥사이드 | 9 | 9 | 9 | |
수산화마그네슘 | 10 | 10 | 10 | |
열안정제 | 주석 말레이트 | 2 | 2 | 2 |
가교제 | 디큐밀퍼옥사이드 | 2 | 2 | 2 |
발포제 | 아조디카본아미드 | 25 | 25 | 25 |
발포조제 | 산화 아연 | 1 | 1 | 1 |
총 중량부 | 192 | 202 | 202 |
특성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밀도(g/cm3) | - | 0.06 | 0.06 |
한계산소지수 | - | 25 | 24 |
열전도율(W/mK) | - | 0.050 | 0.050 |
제품상태 | 가소성 부족, 가교 불가, 발포 불가 | 가소성 양호, 발포시 다량의 가스 발생, 난연성 저하 | 가소성 양호, 발포시 다량의 가스 발생, 난연성 저하 |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에서처럼 폴리비닐클로라이드가 100 %인 경우에는, 가교 및 발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2 및 비교예 3과 같이 가소제로서, 염소화 파라핀오일이 아닌, 프탈레이트계가 사용된 경우에는 가소성은 양호하나, 발포시 다량의 가스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한계산소지수가 25 이하로 측정되어 기준치에 미달하였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6)
-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 및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00 중량부의 염소화 파라핀오일(CPO); 및 1 내지 10 중량부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원료 조성물이 압출 발포 성형된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화 파라핀오일(CPO)은,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8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디큐밀퍼옥사이드(DCP), t-부틸퍼옥시라우릴레이트,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시클로헥산온퍼옥사이드, t-디부틸퍼옥시말레인산, t-부틸히드로퍼옥사이드, 2,3-디메틸-2,5-디헥산, 디-t-부틸퍼옥사이드, 2,2-비스벤젠, 1,3-비스벤젠, 1,1-비스-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p-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의 한계산소지수는, 2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의 밀도는, 0.025 g/cm3 내지 0.500 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의 열전도율은, 0.04 W/mK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조성물은,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난연제 5 내지 50 중량부; 및 열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삼산화안티몬, 데카브로모페닐옥사이드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안정제는, 주석 말레이트, 주석 라우레이트 및 분말주석 말레이트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유기주석계 열안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 (S1)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 및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00 중량부의 염소화 파라핀오일(CPO), 1 내지 10 중량부의 가교제, 난연제 5 내지 50 중량부, 열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 발포제 5 내지 50 중량부, 및 발포조제 0.1 내지 3 중량부를 혼련하여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원료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압출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S3) 상기 압출시트를 가열하여 화학가교 및 상기 발포제를 발포시켜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 및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수지 3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00 중량부의 염소화 파라핀오일(CPO), 및 열안정제 1 내지 5 중량부를 70 내지 150 ℃에서 5 내지 20 분간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 후의 결과물에,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난연제 5 내지 50 중량부 및 가교제 1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70 내지 150 ℃에서 2 내지 10 분간 분산시키는 제1 분산단계; 및
상기 제1 분산단계 후의 결과물에, 상기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발포제 5 내지 50 중량부, 및 발포조제 0.1 내지 3 중량부를 첨가하여 70 내지 150 ℃에서 2 내지 10 분간 분산시키는 제2 분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수소나트륨, 보로수소화나트륨, 아조디카본아미드,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 테트라민, 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 톨루엔설포닐 하이드라지드, 톨루엔설포닐 세미카바자이드 및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조제는, 카드뮴 화합물, 칼슘 화합물, 아연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철 화합물 및 구리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는, 싱글 압출기 또는 트윈 압출기이며, 압출온도는 90 내지 140 ℃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S3)단계는, 상기 압출시트를 150 내지 250 ℃의 온도로 가열하여 화학가교 및 상기 발포제를 발포시켜 발포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3019A KR20140083360A (ko) | 2012-12-26 | 2012-12-26 |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
PCT/KR2013/010804 WO2014104591A1 (ko) | 2012-12-26 | 2013-11-26 |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3019A KR20140083360A (ko) | 2012-12-26 | 2012-12-26 |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8186A Division KR101552322B1 (ko) | 2014-11-13 | 2014-11-13 |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3360A true KR20140083360A (ko) | 2014-07-04 |
Family
ID=5102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3019A KR20140083360A (ko) | 2012-12-26 | 2012-12-26 |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83360A (ko) |
WO (1) | WO201410459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32417A1 (en) * | 2015-08-26 | 2017-03-02 | Leoni Cable Assemblies Slovakia S.R.O. | Electrical cable for an appliance, appliance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 cab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72821A (zh) * | 2014-07-08 | 2014-10-01 | 国家电网公司 | 一种高压绝缘靴 |
CN105837976A (zh) * | 2016-04-22 | 2016-08-10 | 刘志宏 | Pvc交联耐熔材料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2343A (en) * | 1980-06-04 | 1982-01-07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Foam of crosslinked vinyl chloride resin and its preparation |
JPH0753819A (ja) * | 1993-08-10 | 1995-02-28 | Mitsubishi Chem Mkv Co | 塩化ビニル樹脂系エラストマー組成物 |
KR100361561B1 (ko) * | 1999-10-28 | 2003-01-24 | 동방산업주식회사 | 난연성 폴리올레핀 발포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TWI322176B (en) * | 2002-10-17 | 2010-03-21 | Polymers Australia Pty Ltd | Fire resistant compositions |
-
2012
- 2012-12-26 KR KR1020120153019A patent/KR20140083360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
- 2013-11-26 WO PCT/KR2013/010804 patent/WO201410459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32417A1 (en) * | 2015-08-26 | 2017-03-02 | Leoni Cable Assemblies Slovakia S.R.O. | Electrical cable for an appliance, appliance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 cable |
US10643767B2 (en) | 2015-08-26 | 2020-05-05 | Bizlink Technology (Slovakia) s.r.o. | Electrical cable for an appliance, appliance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 cab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04591A1 (ko) | 2014-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3744B1 (ko) | 난연성 탄성 발포 물질 | |
KR100798204B1 (ko) |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용 조성물, 폴리올레핀 수지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487967B1 (ko) | 향상된 절연 특성을 갖는 연질 폼 | |
CN106349539A (zh) | 阻燃隔热发泡片材及其制备方法 | |
CN104927216A (zh) | 一种橡塑共混高阻燃绝热保温材料 | |
EP3388477B1 (en) | Expansion system for flexible insulation foams | |
EP3087125B1 (en) | Combination of a mineral component with carbon black and its use for decreas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vinyl aromatic polymer | |
KR20160041817A (ko) | 저연, 가요성 절연 폼 | |
JP2013221110A (ja) | スチレン系樹脂押出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EP1786853B1 (en) | Novel flame-retardant polystyrenes | |
CN1277874C (zh) | 具有增强的热老化性能的尺寸稳定的丙烯聚合物泡沫 | |
KR101772761B1 (ko) | 셀 균일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발포폴리스틸렌의 난연 마스터배치 및 그 제조방법 | |
KR20140083360A (ko) |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037383B1 (ko) | 고내열성 고무발포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
EP2824134B1 (en) | Compressible fire retardant foam | |
KR20140083361A (ko) | 전자선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552322B1 (ko) | 화학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 |
EP3087126B1 (en) | Use of cenospheres for improving the self-extinguishing properties of polymer foam prepared from vinyl aromatic monomer and containing athermanous additive | |
JP4459494B2 (ja) | 難燃性樹脂発泡体 | |
JP2024015416A (ja) | 発泡性塩素化塩化ビニル系樹脂粒子、その発泡粒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塩素化塩化ビニル系樹脂発泡成形体 | |
KR101975285B1 (ko) | 고강도 및 고신장률의 고무 발포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무 발포체의 제조방법 | |
KR101580651B1 (ko) | 전자선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 |
JP2020164707A (ja) | 発泡性塩素化塩化ビニル系樹脂粒子、その発泡粒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塩素化塩化ビニル系樹脂発泡成形体 | |
JP2009209170A (ja) | 難燃性無架橋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ボ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07211119A (ja) | 難燃性epdm系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